KR20190095911A -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 Google Patents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911A
KR20190095911A KR1020190093088A KR20190093088A KR20190095911A KR 20190095911 A KR20190095911 A KR 20190095911A KR 1020190093088 A KR1020190093088 A KR 1020190093088A KR 20190093088 A KR20190093088 A KR 20190093088A KR 20190095911 A KR20190095911 A KR 20190095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ment
card
resource
cards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환
김탄휴
임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즈크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즈크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즈크라우드
Priority to KR102019009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5911A/ko
Publication of KR2019009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06Board games played along a linear track, e.g. game of goose, snakes and ladders, along an endless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151Backgamm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는 복수의 게임말, 주사위의 숫자에 따라 복수의 게임말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칸이 구비되는 보드판, 기본 개발 카드, 친환경 개발 카드, 난개발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발 카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활성화한 친환경 개발 카드 및 난개발 카드의 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보유한 자원 블록 중 일부를 반환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 기재된 복수의 재해 카드 및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ENVIRONMENTAL PROTECTION LEARNING BOARD GAME TOOL}
본 발명은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 게임은 보드판 위에서 말이나 카드를 이용하는 게임으로서, 포커와 같이 정해진 숫자의 카드를 이용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거나, 블루마블(Blue Marble)과 같이 보드판을 두고 그 위에 게임 참여자 별로 지정되는 게임말을 순서대로 이동시키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종류의 게임을 모두 포괄한다. 이러한 보드 게임은 최근에는 아동교육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9-0030636호 (2009.03.25 공개)
플레이어가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을 통해 환경 보호의 가치와 기술 개발을 통한 경제 발전이 가져다 주는 가치와 환경 보호 및 기술 개발 간의 조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의 의미를 학습하도록 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는 복수의 게임말; 주사위의 숫자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말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칸이 구비되는 보드판; 기본 개발 카드, 친환경 개발 카드, 난개발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발 카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활성화한 친환경 개발 카드 및 난개발 카드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보유한 자원 블록 중 일부를 반환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 기재된 복수의 재해 카드; 및 상기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복수의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플레이어가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을 통해 환경 보호의 가치와 기술 개발을 통한 경제 발전이 가져다 주는 가치를 학습할 수 있고, 환경 보호 및 기술 개발 간의 조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의 의미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는 보드 게임을 통해, 난개발로 인해 재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재해를 복구하는데 비용이 발생되고, 이에 반해, 친환경 개발을 통해 재해를 복구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이 낮아짐을 학습할 수 있어 친환경 개발을 중요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보드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개발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재해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동 카드 및 행동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는 보드판(100), 복수의 게임말(102), 복수의 개발 카드(104), 복수의 재해 카드(106), 복수의 행동 카드(108), 복수의 자원 블록(110) 및 주사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드판(100)은 주사위(112)의 숫자에 따라 복수의 게임말(10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칸이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개발 카드(104)는 기본 개발 카드, 친환경 개발 카드, 난개발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행동 카드(10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플레이어의 활성화된 개발 카드를 무효화하거나 자신에게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는 조커 카드이다.
복수의 재해 카드(106)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활성화한 친환경 개발 카드 및 난개발 카드의 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보유한 자원 블록 중 일부를 반환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 기재되어 있다.
복수의 자원 블록(110)은 나무 형상을 갖는 블록으로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자원 블록(110)은 자원과 화폐의 기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드판(100)은 복수의 자원 블록(110)을 수용하는 자원 수용 영역(201)과 자원 루트(203) 및 개발 루트(205)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수용 영역(201)은 숲의 형상을 갖는다. 학습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는 학습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의 시작전에 기설정된 개수(예컨대, 10개)의 자원 블록(110)을 자원 수용 영역(201)에 쌓아두고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드판(100)의 중앙에 자원 수용 영역(201)이 위치하고, 자원 루트(203)는 자원 수용 영역(201)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개발 루트(205)는 자원 루트(203)의 위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원 루트(203)에는 자원칸(207)의 비율이 가장 높고, 개발 루트(205)에는 자원칸(207) 보다 개발칸(209) 및 재해칸(211)의 비중이 높다. 이와 같이, 보드판(100)은 숲을 형상화한 자원 수용 영역(201)과 숲에서 자원을 획득하는 것을 형상화한 자원 루트(203) 및 숲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곳에서 개발이 이루어지는 것을 형상화한 개발 루트(205)를 포함한다.
보드판(100)에 구비된 복수의 칸은 자원 블록을 획득할 수 있는 자원칸(207), 개발 카드를 획득할 수 있는 개발칸(209) 및 재해 카드를 획득할 수 있는 재해칸(2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사위의 숫자에 기초하여 플레이어의 게임말이 자원칸(207)에 도착하면, 플레이어는 해당 자원칸(207)의 숫자만큼의 자원 블록을 자원 수용 영역(201)에 있는 복수의 자원 블록에서 얻을 수 있다.
만일, 자원 수용 영역(201)에 자원 블록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플레이어들 보유하고 있는 자원 블록이 회수될 수 있다.
플레이어의 게임말이 개발칸(209)에 도착하면, 플레이어는 복수의 개발 카드(104) 중 하나의 개발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플레이어의 게임말이 재해칸(211)에 도착하면, 플레이어는 재해 카드를 획득하게 되고, 해당 플레이어 또는 모든 플레이어는 재해를 당하게 된다. 단, 개발 점수가 기설정된 점수(예컨대, 40점) 이상인 플레이어만이 재해를 당할 수 있다. 재해 카드에 기재되어 있는 재해의 효과와 재해 범위는 다양하므로 재해 카드를 획득한 플레이어는 재해 카드에 기재된 지시를 따라야 한다.
자원 루트(203)에는 자원칸(207) 및 개발칸(209)만이 구비되어 있다. 즉, 자원 루트(203)에는 재해칸(211)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에 반해, 개발 루트(205)에는 자원칸(207), 개발칸(209) 및 재해칸(211)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자원 루트(203)는 자원 수용 영역(201) 즉, 숲의 주변에 위치하기 때문에 개발 루트(205)에 비해 자원칸(207)의 비율이 높고, 개발 루트(205)는 자원 수용 영역(201)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자원 루트(203)에 비해 개발칸(209)의 비율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보드 게임에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플레이어들은 개발 루트(205)를 돌아 기술 개발의 기회를 늘릴 수 있다. 만일, 개발 루트(205)에서 기술 개발을 어느 정도 이룩한 플레이어는 재해를 조심해야 한다. 자원 루트(203)을 통해 플레이어들은 빠르게 자원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자원을 쌓아두고 기술 개발을 하지 않는 플레이어는 손해를 입게 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복수의 개발 카드(104)는 플레이어의 게임말이 개발칸(209)에 도착하게 되면 얻게 되는 카드이고, 개발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카드이다. 예를 들면, 획득된 개발 카드의 점수가 기설정된 점수(예컨대, 100점)에 도달하는 플레이어가 보드 게임에서 승리하게 된다.
복수의 개발 카드(104)는 복수의 기본 개발 카드(301), 복수의 친환경 개발 카드(303), 복수의 난개발 카드(305)를 포함하고, 각 카드별로 개발을 위해 필요로 하는 자원 블록의 수가 다르고, 개발 단계도 상이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개발 카드(104)에는 해당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 블록의 수(30), 개발 단계(32) 및 해당 개발 카드를 활성화함에 따른 개발 점수(34)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개발 카드(104)에는 개발의 종류(36) 및 개발의 계열 정보(38)가 더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 블록의 수(30)는 개발 카드의 점수를 플레이어의 개발 점수로 적용시키는데 필요한 자원 블록의 수이다. 개발 단계(32)가 1 단계인 경우, 자유롭게 개발이 가능한 단계를 의미하고, 개발 단계(32)가 2 단계인 경우, 같은 개발의 계열의 1 단계의 개발 카드가 활성화되어 있어야만 개발이 가능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개발 단계(32)가 3 단계 및 4 단계도 2 단계와 마찬가지로 이전 단계의 개발 카드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개발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업계열의 1 단계 개발 카드를 활성화한 제 1 플레이어는 자유롭게 개발을 할 수 있으나, 제 2 플레이어가 공업계열의 1 단계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지도 않고, 해당 공업 계열의 2 단계의 개발 카드만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2 단계의 개발 카드를 활성화할 수 없다.
복수의 친환경 개발 카드(303)는 자원 블록을 이용하여 개발함에 있어 비교적 많은 수의 자원 블록을 필요로 하지만 플레이어를 재해로부터 지켜주는 카드이고, 복수의 난개발 카드(305)는 적은 수의 자원 블록으로 개발이 가능하지만(즉, 빠른 개발이 가능) 과도한 난개발로 인한 재해로 큰 손실을 불러올 수 있는 카드이다. 즉, 복수의 친환경 개발 카드(303)는 복수의 난개발 카드(305)에 비해 개발 점수 대비 필요 자원 블록의 수가 높을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각 개발 카드의 뒷면에는 톱니 바퀴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톱니 바퀴가 1개 표시되어 있는 개발 카드(307)는 1~2 단계의 개발카드에 해당되고, 톱니 바퀴가 2개 표시되어 있는 개발 카드(309)는 3~4 단계의 개발 카드에 해당될 수 있다. 이후, 도 5a를 통해 후술될 행동 카드의 뒷면도 개발 카드와 동일하게 톱니 바퀴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들은 보드 게임 시작 전에 각 개발 카드 및 행동 카드의 뒷면을 보고 톱니 바퀴의 종류대로 분류해 놓고, 플레이어들의 말이 기술칸(209)에 도착했을 때, 본인이 필요한 단계가 있는 개발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를 얻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재해 카드(106)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의 개발 점수가 기설정된 점수(예컨대, 40 점)이상인 경우에 플레이어가 획득할 수 있는 카드로서, 해당 재해 카드를 통해 각종 재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생기는 카드이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점수 이상의 개발 점수를 획득한 플레이어의 게임말이 재해칸에 도착하게 되면, 해당 플레이어는 재해 카드를 뽑고 이를 공개해야 한다.
복수의 재해 카드(106)에는 기본 반환 자원 블록의 수, 활성화한 친환경 개발 카드 및 난개발 카드의 수에 기초하여 추가로 반환하여야 하는 추가 반환 자원 블록의 수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가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재해 카드(40) 및 제 2 재해 카드(42)에는 재해로 인한 피해 범위에 따라 반환해야 하는 자원 블록의 수(401, 407), 피해 범위 및 보호 범위(403, 409) 및 가중치(405, 411)가 표시되어 있다. 이 때, 피해 범위 및 보호 범위(403, 409)는 해당 재해 카드로 인해 재해의 영향을 받게 되는 대상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재해 카드를 획득한 플레이어 본인만이 될 수 있고, 플레이어들 전체가 재해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405, 411)는 해당 재해 카드로 인해 재해의 영향을 받게 되는 대상 플레이어에게 추가 피해를 주기 위한 점수에 해당된다. 가중치(405, 411)에 개발 점수에 따라 기설정된 조건이 추가될 수 있다. 총 재해 피해량은 재해 카드에 기재된 기본 반환 자원 블록의 수, 활성화한 친환경 개발 카드의 수, 난개발 카드의 수 및 재해 카드에 기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만일, 재해 카드를 획득한 플레이어가 후술하는 행동 카드에 포함되는 보호 카드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총 재해 피해량은 보호 카드의 수를 추가하여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총 재해 피해량 = [{재해카드의 기본 반환 자원 블록의 수} + {(친환경 개발 카드의 수 - 난개발 카드의 수) X 가중치}]
[수학식 2]
총 재해 피해량 = [{재해카드의 기본 반환 자원 블록의 수} + {(친환경 개발 카드의 수 - 난개발 카드의 수) X 가중치}] - 보호 카드의 보호 자원 블록의 수
예를 들면, 해당 재해 카드로 인해 재해의 영향을 받게 되는 대상 플레이어가 난개발 카드 3장을 활성화하고 있고, 친환경 개발 카드 1장을 활성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어가 기본 반환 자원 블록의 수가 3이고, 가중치가 1인 재해 카드를 획득하게 된 경우, 추가 피해량은 2가 된다. 추가 피해량 2를 재해 카드의 기본 반환 자원 블록의 수와 합산하면 총 피해량은 5가 되므로 플레이어는 총 피해량의 수인 5개의 자원 블록을 자원 수용 영역에 환원해야 한다.
만일, 해당 플레이어가 보호 카드를 3개 보유하고 있는 경우, 보호 카드에 기재된 보호 자원 블록의 수를 적용하면, 플레이어는 2개의 자원 블록을 자원 수용 영역에 환원해야 한다. 이 때, 친환경 개발 카드가 많을 경우, 가중치 계산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을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친환경 개발 카드의 수가 많고, 활성화된 난개발 카드의 수가 적을수록 재해에 대한 피해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레이어들은 친환경 개발의 중요성을 학습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복수의 행동 카드(108)는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필요 자원 블록의 수를 절감하기 위해 업사이클링 카드(501),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활성화한 난개발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환경 감시 카드(503) 및 재해 발생 시에 반환하여야 하는 자원 블록을 감소하기 위한 보호 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행동 카드를 획득하게 되면, 행동 카드에 기재된 조건에 따른 특정 행동을 다른 플레이어에게 강행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행동 카드(108)는 복수의 개발 카드(104) 사이에 숨겨져 있다. 업사이클링 카드(501)는 플레이어의 본인 차례에 발동시킬 수 있는 카드이고, 환경 감시 카드(503)는 플레이어가 원하는 어느 때라도 즉시 발동시킬 수 있는 카드일 수 있다. 환경 감시 카드(503)는 상대 플레이어가 승리 점수(예컨대, 100점)에 도달한 경우라도 해당 상대 플레이어에게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플레이어 A가 환경 감시 카드(503)를 플레이어 B의 1 단계 난개발 카드에 사용한 경우, 플레이어 B가 소유한 해당 1 단계의 난개발 카드를 무효화시킬 수 있다. 이 때, 환경 감시 카드(503)에 따른 무효화된 개발 카드는 더 이상 점수로 인정되지 않고, 해당 무효화된 개발 카드와 연결된 상위 단계의 개발 카드 역시 점수로 인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무효화된 개발 카드의 부가 효과 또한 계산되지 않는다. 무효화된 개발 카드의 경우, 해당 카드의 필요 자원 블록의 수를 다시 반환하는 것으로 무효화가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환경 보호 학습용 게임에서 승리 조건은 개발 점수를 가장 먼저 100점 이상 달성하는 것이다. 플레이어의 패배 조건은 환경 재해가 일어났을 때, 각 플레이어들이 자원 수용 영역에 반환할 수 있는 자원 블록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플레이어는 개발 카드를 파괴하고, 파괴된 개발 카드로 사용했던 자원 블록의 개수에서 절반을 회수하게 된다. 이 때, 모든 개발 카드가 파괴되면 플레이어는 파산하게 된다.
전체 패배의 조건은 보드판의 자원 수용 영역에 자원 블록이 모두 떨어지게 된 상황이 되었을 때 더 이상의 게임을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 모든 플레이어가 패배하게 된다.
보드 게임에 참여하는 플레이어들은 한 사람당 기설정된 개수의 자원 블록을 보드판(100)의 자원 수용 영역에 쌓아 놓고, 각자 자신의 게임말을 선택해 시작 지점에 둔다. 이후, 각 플레이어들은 1~2 단계의 개발 카드를 3장씩 나눠 갖게 된다. 각 플레이어들은 나머지 개발 카드의 뒷면을 통해 개발 카드의 단계를 구분하여 개발 카드를 쌓아 놓는다.
플레이어들은 주사위를 던져 주사위의 숫자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따라 전진할 수 있다.
각 플레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루트에 따른 이동이 끝나면 각자 보유한 개발 카드와 자원 블록을 사용해 개발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개발 카드의 개발 계열과 개발 단계에 기초하여 획득한 개발 카드의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획득한 개발 카드 및 행동 카드가 기설정된 개수(예컨대, 총 3장) 이상인 경우,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수만큼의 카드를 버려야 한다. 이 때, 버려진 카드는 후에 개발 카드가 모두 떨어졌을 때, 사용되며, 기술 개발에 사용된 자원 블록은 다시 자원 수용 영역으로 환원될 수 있다.
플레이어들 중 어느 누군가가 개발 카드를 버리는 상황이 일어났을 때 다른 플레이어 중에서 해당 개발 카드가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개발 카드의 경매가 진행된다. 경매 의사를 밝힌 플레이어들 간에 경매에 내놓은 자원 블록의 수에 기초하여 개발 카드를 갖게 될 플레이어가 결정된다.
만일, 자원 수용 영역에 자원 블록이 고갈된 경우에는 기설정된 벌칙이 플레이어들에게 내려질 수 있다. 예를 들면, 9개 이상의 자원 블록을 갖고 있는 플레이어는 3개의 자원 블록을 자원 수용 영역에 반납하고, 개발 카드를 한장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의 게임말을 잡은 경우, 해당 플레이어는 주사위를 한번 더 굴릴 수 있게 하되, 개발 카드를 이용한 개발은 한 번 밖에 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개발 카드를 버릴 때에도 개발 레벨에 기초하여 버릴 수 있다. 1~2단계의 개발 카드와 3~4 단계의 개발 카드를 한 더미에 버리지 못하며, 버리게 될 때에는 개발 카드의 앞면이 보이도록 쌓아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드판
102: 복수의 게임말
104: 복수의 개발 카드
106: 복수의 재해 카드
108: 복수의 자원 블록
110: 주사위

Claims (10)

  1.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에 있어서,
    복수의 게임말;
    주사위의 숫자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말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루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칸이 구비되는 보드판;
    기본 개발 카드, 친환경 개발 카드, 난개발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발 카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활성화한 친환경 개발 카드 및 난개발 카드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보유한 자원 블록 중 일부를 반환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이 기재된 복수의 재해 카드; 및
    상기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복수의 자원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칸은 상기 자원 블록을 획득할 수 있는 자원칸, 상기 개발 카드를 획득할 수 있는 개발칸 및 상기 재해 카드를 획득할 수 있는 재해칸을 포함하는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은 상기 복수의 자원 블록을 수용하는 자원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루트는 자원 루트 및 개발 루트를 포함하는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루트에는 상기 자원칸 및 상기 개발칸만이 구비되고,
    상기 자원 루트는 상기 개발 루트에 비해 자원칸의 비율이 높은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루트에는 상기 자원칸, 상기 개발칸 및 상기 재해칸이 구비되고,
    상기 개발 루트는 상기 자원 루트에 비해 개발칸의 비율이 높은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블록은 나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자원 수용 영역은 상기 보드판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자원 루트는 상기 자원 수용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발 루트는 상기 자원 루트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카드에는 해당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필요 자원 블록의 수, 개발 단계 및 상기 해당 개발 카드를 활성화함에 따른 개발 점수가 기재되어 있는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개발 카드는 상기 난개발 카드에 비해 개발 점수 대비 필요 자원 블록의 수가 높은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해 카드에는 기본 반환 자원 블록의 수 및 상기 활성화한 친환경 개발 카드 및 난개발 카드의 수에 기초하여 추가로 반환하여야 하는 추가 반환 자원 블록의 수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가 기재되어 있는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카드를 활성화하기 위한 필요 자원 블록의 수를 절감하기 위한 업사이클링 카드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어가 활성화한 난개발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환경 감시 카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행동 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KR1020190093088A 2019-07-31 2019-07-31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KR20190095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88A KR20190095911A (ko) 2019-07-31 2019-07-31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088A KR20190095911A (ko) 2019-07-31 2019-07-31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86A Division KR102011413B1 (ko) 2017-12-04 2017-12-04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911A true KR20190095911A (ko) 2019-08-16

Family

ID=6780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088A KR20190095911A (ko) 2019-07-31 2019-07-31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59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110B1 (ko) * 2021-03-22 2021-10-13 대한민국 탄소중립 교육용 보드게임 및 시스템
KR20220009076A (ko) 2020-07-15 2022-01-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후 변화 문제 인식 및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보드게임 세트
KR20220092024A (ko) 2020-12-24 2022-07-01 남기민 코로나 예방 게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636A (ko) 2007-09-20 2009-03-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636A (ko) 2007-09-20 2009-03-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076A (ko) 2020-07-15 2022-01-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후 변화 문제 인식 및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보드게임 세트
KR20220092024A (ko) 2020-12-24 2022-07-01 남기민 코로나 예방 게임 시스템
KR102312110B1 (ko) * 2021-03-22 2021-10-13 대한민국 탄소중립 교육용 보드게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595B2 (en) Variable point generation craps game
US4666160A (en) Apparatus for playing
KR20190095911A (ko)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US8469361B2 (en) Role-playing game
US5242171A (en) Game cards for playing a game and for learning arithmetic
KR102011413B1 (ko) 환경 보호 학습용 보드 게임 도구
US20120015701A1 (en) Dynamic card system and method
US20060038349A1 (en) Set of cards for game playing and related method
Rose et al. Internet gaming law
US20050073099A1 (en) Card games
US8672746B2 (en) Horse-racing simulation wagering game
US20100133752A1 (en) Blackjack double down options
US4842281A (en) Option board game
US4521197A (en) Money calculation game
EP1453578A1 (en) Card games
US20060151955A1 (en) Method of playing card games
WO1996004968A1 (en) Trading card game and method of play
CA3034426A1 (en) Board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in the land of"
US20210154565A1 (en) Game board an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entertaining experience of war between the players over a plurality of areas of a game board
US20130178265A1 (en) Baccarat bonus wagering game system and method
JP2007236654A (ja) ゲーム具、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30150137A1 (en) RoX METHOD OF PLAYING ROCK, PAPER, SCISSORS AS A BOARD GAME
McCulloch A Game-Theoretic Intelligent Agent for the Board Game Football Strategy.
Van Ditmarsch Serious play
US20150031000A1 (en) Board game for learning arith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