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439A - 정보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정보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439A
KR20190095439A KR1020197021246A KR20197021246A KR20190095439A KR 20190095439 A KR20190095439 A KR 20190095439A KR 1020197021246 A KR1020197021246 A KR 1020197021246A KR 20197021246 A KR20197021246 A KR 20197021246A KR 20190095439 A KR20190095439 A KR 2019009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ed
frequency resour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006B1 (ko
Inventor
치 리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9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7Timing of allocation when data requirement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구현될 수 있어서, 레이턴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정보가 특정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대기할 필요 없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시에 송신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전술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16년 12월 29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611249814.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은 2개의 프레임 구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프레임 구조 및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ing, TDD)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TDD 프레임 구조는 도 1에 도시된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 ms이고, 무선 프레임은 총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 ms이다. 또한, 10개의 서브프레임은 특수 서브프레임들 및 노멀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3개의 슬롯: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슬롯(Downlink PilotSlot, DwPTS), 가드 기간(Guard Period, GP) 및 업링크 파일럿 타임슬롯(Uplink Pilot Slot, UpPTS)으로 분할된다. 노멀 서브프레임들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분류된다.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제어 시그널링, 업링크 서비스 데이터 등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다운링크 서비스 데이터 등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TDD 프레임 구조는 7개의 상이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지원한다. 따라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기초하여, 업링크 정보 및 다운링크 정보는 특정 시간이 도달할 때에만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정보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도달할 때에만 송신될 수 있고, 다운링크 정보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도달할 때에만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모드에서, 정보 대기 지속기간은 레이턴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서비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정보 송신 방법은 정보가 TDD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송신될 때 야기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긴 정보 대기 지속기간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급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가 TDD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송신될 때 야기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긴 정보 대기 지속 기간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구현될 수 있어서, 레이턴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정보가 특정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대기할 필요 없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시에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 또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및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만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거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을 수 있는데, 즉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양방향 정보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구현될 수 있어서, 레이턴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정보가 특정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대기할 필요 없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시에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전술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것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동시 서브프레임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양방향 정보 송신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구현될 수 있어서, 레이턴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대기할 필요 없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시에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것-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및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것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표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전송 모듈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결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결정 모듈은,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수신 모듈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결정 모듈은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수신 모듈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이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전송 모듈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동시 서브프레임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및
결정 모듈은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 수신 모듈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표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전송 모듈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결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결정 모듈은,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수신 모듈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결정 모듈은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수신 모듈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이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전송 모듈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동시 서브프레임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임 -.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및
결정 모듈은 전송 모듈이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 수신 모듈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구현될 수 있어서, 레이턴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정보가 특정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대기할 필요 없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시에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전술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제1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제2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제3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송신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른 타입의 정보 송신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제1 RB들, 제2 RB들, 및 제3 RB들의 분포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제1 심벌의 서브캐리어 점유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개의 단말 사이의 정보 송신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의 예이다;
도 9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정보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4개의 단말을 제어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괄적인 시나리오에서의 정보 송신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7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8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추가로 설명한다.
표 1에 열거된 바와 같이, LTE TDD 시스템에서는 이하의 총 7개의 TDD 업링크(Uplink, UL)/다운링크(Uplink, DL) 구성들이 정의된다.
표 1: UL/DL 구성들
Figure pct00001
표 1의 콘텐츠로부터, 어느 UL/DL 구성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특수 서브프레임 이외의 노멀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정보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정보 송신만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번호 0을 갖는 구성이 사용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서브프레임 2에서 단말에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면,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및 서브프레임 4 모두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5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는데, 즉 3 ms를 대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래의 진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5G 시스템(새로운 무선 시스템(New Radio system)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에서, 새로운 서비스 타입: 초신뢰성(ultra-reliable) 및 낮은 레이턴시 통신들(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서비스가 정의된다. URLLC 서비스는 높은 신뢰성 및 낮은 레이턴시를 요구하고, 레이턴시가 1 ms만큼 낮은 것을 기대한다. 따라서, 전술한 TDD 정보 송신 모드는 상대적으로 긴 정보 대기 지속기간 때문에 URLLC 서비스의 레이턴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이에 기초하여, 업링크 정보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정보 송신만이 노멀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대기 지속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서브프레임 타입, 즉 동시 서브프레임이 TDD 프레임 구조에서 정의되고, 양방향 정보 송신(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번호 0을 갖는 구성이 사용되는 구성 방식에서, 동시 서브프레임은 임의의 서브프레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5, 서브프레임 7, 서브프레임 8, 또는 서브프레임 9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은 복수의 시스템 아키텍처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제1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는 도 1에 도시된 단말(1021), 단말(1022) 및 단말(1023)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21), 단말(1022) 및 단말(1023)과의 정보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제2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201)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202)와 같은 적어도 2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1)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202)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셀프-백홀(self-backhaul) 방식으로 정보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제3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는 도 3에 도시된 단말(3021) 및 단말(3022)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단말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301)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01)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3021) 및 단말(302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일 수 있다. 기지국은 기지국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고,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 2G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기지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및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를 포함하고; 3G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노드B(NodeB)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를 포함하고; 4G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진화된 노드B(evolved NodeB, eNB)를 포함하고; 5G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새로운 무선 노드B(New Radio NodeB, gNB), 중앙집중화된 유닛(Centralized Unit, CU),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및 새로운 무선 제어기를 포함하고; WLAN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이다.
단말은 사용자에 대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device)일 수 있고, 유선 단말 및 무선 단말을 포함한다. 무선 단말은 무선 접속 기능이 있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은 모바일 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줄여서 PDA),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줄여서 MID),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e-북 리더(e-book reader)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단말은 대안적으로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 포켓 크기의 모바일 디바이스,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 컴퓨터 빌트-인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차량-내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일부,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줄여서 UE)의 일부일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들에 기초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의 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01: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402: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403: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양방향(예를 들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구현될 수 있어서, 레이턴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정보가 특정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대기할 필요 없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시에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이고,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제1 단말(1021), 제2 단말(1022), 및 제3 단말(1023) 중 어느 하나이다. 대안적으로, 다른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이고,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202)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정보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에 적용가능할 수 있고, 또한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간의 정보 송신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다음은 제1 응용 시나리오(즉,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임)를 예로서 사용함으로써 설명들을 제공한다.
송신될 타겟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에 전송된 제1 정보일 수 있거나, 단말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송된 제2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은 두 가지 경우를 개별적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경우 1: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401에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제1 정보(즉,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정보의 속성 정보는 제1 정보의 데이터 양 및 제1 정보의 레이턴시 요건과 같은 복수의 정보 피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제1 정보의 데이터 양 및 제1 정보의 레이턴시 요건을 포함한다면,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제1 정보의 데이터 양이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제1 정보의 레이턴시 요건이 제3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일 수 있다.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및 제3 임계값의 값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실제 경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전송될 필요가 있는 제1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데, 즉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양방향 정보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경우 2: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2 정보이다.
단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단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여기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제2 정보(즉,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대응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에서의 제2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한다. 세부 사항들에 대해서는,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에 관한 전술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이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제2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결정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데, 즉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양방향 정보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출원에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일 수 있고, 이 정보는 구체적으로 채널 품질 표시자 정보(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ACK 및 NACK 등이다. 대안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는 데이터 정보, 즉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 송신된 정보일 수 있다. 상이한 송신될 타겟 정보에 대해, 표시 정보는 상이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상세한 설명들을 제공한다.
(1)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는 서브프레임 번호일 수 있거나, 동시 서브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는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자원(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에 의해 미리 합의된 자원)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만을 전송할 필요가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자원에서 송신될 타겟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의 데이터 양이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에서 표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수량의 송신 자원이 요구된다. 따라서, 송신 부하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이 동시 서브프레임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후속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자원을 사용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단말은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자원에서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n+k)번째 서브프레임에 있고 특정 자원과 상이한 자원을 사용하여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 있고 특정 자원과 상이한 자원에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2 정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이 동시 서브프레임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후속하여, 단말은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자원을 사용하여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자원에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 있고 특정 자원과 상이한 자원을 사용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 있고 특정 자원과 상이한 자원에서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k는 0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k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정보 대기 지속기간을 더 잘 단축시키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k의 값은 과도하게 크지 않아야 한다. k의 값은 실제 상황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2)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B의 식별 정보는 RB의 번호일 수 있거나, RB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에서의 정보 송신과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에서의 정보 송신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인데, 즉 블랭크 RB에서 어떠한 정보도 송신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블랭크 RB들의 수량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능력 및 단말의 능력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능력에 대해, 예약될 필요가 있는 대응하는 RB들의 수량은 8이고; 단말의 능력에 대해, 예약될 필요가 있는 RB들의 대응하는 수량은 12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블랭크 RB들의 수량으로서 예약될 필요가 있는 더 큰 RB들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는데, 즉 블랭크 RB들의 수량은 12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섭이 더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로의 서비스 접속을 확립할 때 단말의 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들(이하, 제1 RB들로서 지칭됨)의 수량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들(이하, 제2 RB들로 지칭됨)의 수량은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a는 제1 RB들, 제2 RB들, 및 블랭크 RB들의 분포의 개략도이다. 도 6a의 서브프레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RB들의 수량은 제2 RB들의 수량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6a의 서브프레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RB들의 수량은 제2 RB들의 수량보다 작을 수 있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RB들 및 제2 RB들은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유연하게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은 불변이 아니고, 실제 상황(예를 들어,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블랭크 RB들은 또한 실제 상황(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능력 및 단말의 능력)에 기초하여 유연하게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이 효과적으로 회피되지만, 스펙트럼 자원들이 적절히 활용될 수 있고,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콘텐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들, 제2 RB들, 및 블랭크 RB들은 유연하게 스케줄링될 수 있어서, 이러한 송신 모드는 기존의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시스템에서의 송신 모드(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들은 고정적으로 할당된 자원들임)와 현저하게 상이하다. 또한, 고정된 폭을 갖는 가드 자원은 기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들 사이에 설정되고, 고정된 폭의 값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식,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능력 및 단말의 능력에 기초하여 가드 자원을 결정하는 것은 스펙트럼 자원 활용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의 식별 정보 및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RB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후속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를 사용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단말은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에서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단말은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RB를 사용하여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RB에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2 정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의 식별 정보 및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RB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후속하여, 단말은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를 사용하여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에서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RB를 사용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RB에서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3)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이하, 제1 심벌로서 지칭됨)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이하 제2 심벌로서 지칭됨)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심벌의 식별 정보는 심벌의 수일 수 있거나, 심벌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심벌에 의해 점유된 서브캐리어들의 수량은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양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b는 제1 심벌의 서브캐리어 점유의 개략도이다. 도 6b의 서브프레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심벌은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캐리어들의 다수를 점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6b의 서브프레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심벌은 서브프레임에서의 서브캐리어들의 소수를 점유할 수 있다.
전술한 (2) 및 (3)은 각각 주파수 도메인 및 시간 도메인의 관점으로, 제1 시간-주파수 자원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송신될 타겟 목표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대안적으로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송신에 사용되는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에 의해 미리 합의된 자원이 아니면,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일 때, 표시 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대해,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일 때 표시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가 참조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유사하게, 데이터 정보 송신에 사용되는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에 의해 미리 합의된 자원인 경우,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일 때, 표시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에 대해,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일 때 표시 정보에 포함된 콘텐츠가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프로세스는 단지 2개의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정보 송신을 예로서 사용하여 설명된다. 제1 통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단말인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2개의 단말과 정보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개의 단말 사이의 정보 송신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정보를 단말 b에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 a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 a에 지시하고; 단말 b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도록 단말 b에 지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a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원들 중 일부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 b는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원들 중 일부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과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사이에 가드 자원이 있고, 그에 의해 간섭을 회피한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송신 방법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의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801: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한다.
단계 802: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803: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804: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301)이고,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제1 단말(3021)이고, 제3 통신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제2 단말(3022)이다.
전술한 시나리오에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단말에 의해 제2 단말에 전송된 제1 정보일 수 있거나, 제2 단말에 의해 제1 단말에 전송된 제2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단말에 의해 제2 단말에 전송된 제1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단계 401에서, 제1 단말은 제1 단말이 제2 단말에 제1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1 단말이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제1 정보(즉,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에서의 제1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한다. 세부 사항들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에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제1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거나,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표시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데, 즉,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양방향 정보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출원에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RB의 식별 정보 및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제1 RB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RB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에서, 송신될 타겟 정보 이외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하거나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콘텐츠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프로세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지 2개의 단말 사이에서 정보 송신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정보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을 대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정보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4개의 단말을 제어하는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a는 단말 a가 단말 b에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 c는 단말 c가 단말 d에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 a 및 단말 c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a 및 단말 b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제1 방향으로 정보 송신을 수행하도록 단말 a 및 단말 b에 지시하고; 단말 c 및 단말 d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제2 방향으로 정보 송신을 수행하도록 단말 c 및 단말 d에 지시한다. 또한, 제1 방향으로의 정보 송신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과 제2 방향으로의 정보 송신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 사이에 가드 자원이 존재하고, 그에 의해 간섭을 회피한다.
전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괄적인 시나리오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a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정보 송신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정보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 b 및 단말 c를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포괄적인 시나리오에서의 정보 송신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a는 단말 a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업링크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 b는 단말 b가 단말 c에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단말 a 및 단말 b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a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 a에 지시하고; 단말 b 및 단말 c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정보 송신을 수행하도록 단말 b 및 단말 c에 지시한다. 또한, 단말 a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업링크 정보를 전송할 때 점유되는 자원과 단말 b 및 단말 c가 정보 송신을 수행할 때 점유되는 자원 사이에 가드 자원이 있고, 그에 의해 간섭을 회피한다.
전술한 방법 프로세스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디바이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특정 콘텐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1100)는 전송 모듈(1101), 수신 모듈(1102), 및 결정 모듈(1103)을 포함한다.
전송 모듈(1101)은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 모듈(1101)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수신 모듈(1102)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1103)은 전송 모듈(1101)이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수신 모듈(1102)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결정 모듈(1103)은, 전송 모듈(1101)이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통신 디바이스(1200)는 전송 모듈(1201) 및 수신 모듈(12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202)은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 모듈(1202)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송 모듈(1201)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1202)이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전송 모듈(1201)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1300)는 전송 모듈(1301), 수신 모듈(1302), 및 결정 모듈(1303)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1303)은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1301)은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시 서브프레임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전송 모듈(1301)이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1302)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결정 모듈(1303)은 전송 모듈(1301)이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1400)는 전송 모듈(1401) 및 수신 모듈(14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402)은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 모듈(1401)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1402)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1401)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1500)는 전술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500)는 송신기(1501a), 수신기(1501b), 프로세서(1502), 메모리(1503) 및 버스 시스템(1504)을 포함한다.
메모리(1503)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동작 명령어를 포함한다. 메모리(15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줄여서 RAM)일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일 수 있다. 하나의 메모리만이 도면에 도시된다. 물론, 대안적으로, 복수의 메모리가 요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503)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502) 내의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503)는 다음의 요소들을 저장한다: 실행가능 모듈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그것의 서브세트, 또는 그것의 확장 세트;
다양한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동작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동작 명령어들; 및
다양한 기본 서비스들을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운영 체제.
프로세서(1502)는 통신 디바이스(15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0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유닛)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응용 동안, 디바이스(1500)의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1504)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데이터 버스 이외에, 버스 시스템(1504)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1504)으로서 모두 표시된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버스 시스템(1504)은 도 15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방법들은 프로세서(1502)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50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2)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은 프로세서(1502)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2)는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2)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되는 방법들, 단계들, 및 논리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직접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본 기술분야의 발달된(mature)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503)에 위치되고, 프로세서(1502)는 메모리(1503)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502)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다음의 방법 단계를 수행한다:
송신기(1501a)를 사용하여,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송신기(1501a)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수신기(1501b)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502)는, 송신기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1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1501b)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502)는 송신기(1501a)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600)는 송신기(1601a), 수신기(1601b), 프로세서(1602), 메모리(1603) 및 버스 시스템(1604)을 포함한다.
메모리(1603)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동작 명령어를 포함한다. 메모리(16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줄여서 RAM)일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일 수 있다. 하나의 메모리만이 도면에 도시된다. 물론, 대안적으로, 복수의 메모리가 요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603)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602) 내의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603)는 다음의 요소들을 저장한다: 실행가능 모듈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그것의 서브세트, 또는 그것의 확장 세트;
다양한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동작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동작 명령어들; 및
다양한 기본 서비스들을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운영 체제.
프로세서(1602)는 통신 디바이스(16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60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유닛)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응용 동안, 통신 디바이스(1600)의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1604)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데이터 버스 이외에, 버스 시스템(1604)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1604)으로서 모두 표시된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버스 시스템(1604)은 도 16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방법들은 프로세서(1602)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60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2)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은 프로세서(1602)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2)는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2)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되는 방법들, 단계들, 및 논리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직접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본 기술분야의 발달된(mature)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603)에 위치되고, 프로세서(1602)는 메모리(1603)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602)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다음의 방법 단계를 수행한다:
수신기(1601b)를 사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수신기(1601b)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기(1601a)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수신기(1601b)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송신기(1601a)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7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디바이스는 전술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700)는 송신기(1701a), 수신기(1701b), 프로세서(1702), 메모리(1703) 및 버스 시스템(1704)을 포함한다.
메모리(1703)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동작 명령어를 포함한다. 메모리(17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줄여서 RAM)일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일 수 있다. 하나의 메모리만이 도면에 도시된다. 물론, 대안적으로, 복수의 메모리가 요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703)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702) 내의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703)는 다음의 요소들을 저장한다: 실행가능 모듈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그것의 서브세트, 또는 그것의 확장 세트;
다양한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동작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동작 명령어들; 및
다양한 기본 서비스들을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운영 체제.
프로세서(1702)는 통신 디바이스(17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0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유닛)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응용 동안, 통신 디바이스(1700)의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1704)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데이터 버스 이외에, 버스 시스템(1704)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1704)으로서 모두 표시된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버스 시스템(1704)은 도 17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방법들은 프로세서(1702)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70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2)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은 프로세서(1702)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2)는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2)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되는 방법들, 단계들, 및 논리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직접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본 기술분야의 발달된(mature)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703)에 위치되고, 프로세서(1702)는 메모리(1703)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702)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다음의 방법 단계를 수행한다: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송신기(1701a)는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시 서브프레임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수신기(1701b)는: 송신기가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702)는 송신기가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제3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블랭크 RB는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와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 사이의 가드 자원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8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800)는 송수신기(1801), 프로세서(1802), 메모리(1803), 및 버스 시스템(1804)을 포함한다.
메모리(1803)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동작 명령어를 포함한다. 메모리(18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줄여서 RAM)일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일 수 있다. 하나의 메모리만이 도면에 도시된다. 물론, 대안적으로, 복수의 메모리가 요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803)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802) 내의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803)는 다음의 요소들을 저장한다: 실행가능 모듈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그것의 서브세트, 또는 그것의 확장 세트;
다양한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동작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동작 명령어들; 및
다양한 기본 서비스들을 구현하고 하드웨어 기반 작업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운영 체제.
프로세서(1802)는 디바이스(18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80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유닛)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응용 동안, 디바이스(1800)의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1804)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데이터 버스 이외에, 버스 시스템(1804)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면에서는 다양한 버스들이 버스 시스템(1804)으로서 모두 표시된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버스 시스템(1804)은 도 18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방법들은 프로세서(1802)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180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2)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은 프로세서(1802)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2)는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2)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개시되는 방법들, 단계들, 및 논리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직접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본 기술분야의 발달된(mature)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803)에 위치되고, 프로세서(1802)는 메모리(1803)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1802)의 하드웨어와 조합하여 다음의 방법 단계를 수행한다:
수신기(1801b)를 사용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 정보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송신기(1801a)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1801b)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기(1801a)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콘텐츠로부터,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표시 정보는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송신될 타겟 정보는 제1 정보 또는 제2 정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정보 송신은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구현될 수 있어서, 레이턴시에 대한 상대적으로 높은 요건을 갖는 정보가 특정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대기할 필요 없이 동시 서브프레임에서 적시에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전술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스펙트럼 자원 활용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웨어 전용 실시예들, 소프트웨어 전용 실시예들,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들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CD-ROM, 광 메모리 등을 포함함) 상에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의 각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의 조합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머신을 생성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 컴퓨터, 내장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대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흐름도들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들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게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대안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은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아티팩트를 생성한다. 명령 장치는 흐름도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 수행되며, 그것에 의해 컴퓨터 구현 처리를 발생시키도록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로 대안적으로 로딩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흐름도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그들이 기본적인 발명 개념을 학습하면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변경들 및 수정들을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드는 모든 변화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명백하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의 기술들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의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8)

  1.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 RB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와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 사이의 가드 자원인 방법.
  6.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것-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는 데이터 정보이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 RB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와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 사이의 가드 자원인 방법.
  13. 정보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TDD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표시 정보를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송신될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임 -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결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를 포함함 -;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2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통신 디바이스.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 RB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와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 사이의 가드 자원인 통신 디바이스.
  20.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임 -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표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2.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제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임 -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표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가용 자원들의 수량이 제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제어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가 데이터 정보인 경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심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R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은 블랭크 R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 RB는 상기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와 상기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상기 RB 사이의 가드 자원인 통신 디바이스.
  27.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방법은: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제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송신될 타겟 정보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가 정보 송신을 수행하는 동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1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동시 서브프레임에서의 제2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는 상기 송신될 타겟 정보의 상기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KR1020197021246A 2016-12-29 2017-11-24 정보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41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249814.4A CN108259150B (zh) 2016-12-29 2016-12-29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201611249814.4 2016-12-29
PCT/CN2017/112884 WO2018121150A1 (zh) 2016-12-29 2017-11-24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439A true KR20190095439A (ko) 2019-08-14
KR102341006B1 KR102341006B1 (ko) 2021-12-21

Family

ID=6270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246A KR102341006B1 (ko) 2016-12-29 2017-11-24 정보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7104B2 (ko)
EP (1) EP3544216B1 (ko)
JP (1) JP6904511B2 (ko)
KR (1) KR102341006B1 (ko)
CN (1) CN108259150B (ko)
WO (1) WO2018121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1996B1 (en) * 2016-04-01 2019-12-1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with reduced latency
CN109101595B (zh) * 2018-07-27 2022-07-08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查询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35894B (zh) * 2019-01-11 2023-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配置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5690A1 (en) * 2014-12-17 2016-06-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6518B2 (en) * 2000-12-01 2008-04-29 Lucent Technologies Inc. Supplemental channel sharing algorithm
US8165228B2 (en) * 2007-03-20 2012-04-24 Alcatel Lucent Non-coherent transmission method for uplink control signals using a constant amplitude zero-autocorrelation sequence
CN101287281A (zh) 2007-04-11 2008-10-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下行调度控制信令的传输设备和方法
CN101296508A (zh) * 2007-04-29 2008-10-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Lte tdd系统中调度授权资源的指示方法
JP5180163B2 (ja) * 2009-08-05 2013-04-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501067B2 (ja) * 2010-03-30 2014-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US8694400B1 (en) * 2010-09-14 2014-04-08 Amazon Technologies, Inc. Managing operational throughput for shared resources
WO2012138197A2 (ko) * 2011-04-08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247563B2 (en) * 2011-12-23 2016-01-26 Blackberry Limited Method implemented in a user equipment
KR101957698B1 (ko) * 2012-02-06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4798427B (zh) * 2012-11-09 2019-06-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KR20150051063A (ko) * 2013-11-01 2015-05-11 주식회사 아이티엘 하향링크 harq-ack와 sr동시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6063178B (zh) * 2013-12-18 2019-10-18 Idac控股公司 用于全双工无线电系统中的干扰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US9374799B2 (en) * 2013-12-23 2016-06-21 Cellco Partnership Mobile device locating using long term evolution signals
US9706532B2 (en) * 2014-02-21 2017-07-11 Blackberry Limited TDD and FDD joint carrier aggregation enhancements in LTE-advanced
KR101985348B1 (ko) 2014-04-11 2019-06-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채널 자원 할당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5159638A1 (ja) * 2014-04-16 2015-10-2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099631A (zh) * 2014-04-17 2015-11-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处理灵活双工的方法和设备
US11012272B2 (en) * 2015-03-10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or interference estimation for SC-FDM symbol streams
WO2016154922A1 (zh) * 2015-03-31 2016-10-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系统中的通信方法及基站、用户设备
US10735982B2 (en) * 2015-05-15 2020-08-04 Kyocera Corporation Radio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monitoring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US10128993B2 (en) * 2015-05-29 2018-11-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of adaptive frame structure for time division duplex
CN106850164B (zh) 2015-12-04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及设备
CN107040347B (zh) * 2016-02-03 2021-05-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传输方法及装置
WO2017135799A1 (en) * 2016-02-05 2017-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access method, and corresponding transmission method, receiver and transmitter
CN107046728B (zh) * 2016-02-06 2020-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的上报方法及装置、非连续传输的方法
CN106792430B (zh) * 2016-05-13 2018-11-27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近距离业务单播通信方法及装置
CN106941724B (zh) * 2017-05-09 2020-1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11722351B2 (en) * 2019-01-17 2023-08-0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full-duplex communication
US11737105B2 (en) * 2019-05-03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coordination for low-latency traffic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s
US11496964B2 (en) * 2019-08-02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boosting design for multi-slot shared channe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5690A1 (en) * 2014-12-17 2016-06-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740 *
3GPP R1-1612168 *
3GPP R1-164871* *
3GPP R1-165027* *
3GPP R1-167267 *
3GPP R1-167269 *
3GPP R1-16739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59150B (zh) 2020-09-11
EP3544216B1 (en) 2021-05-12
CN108259150A (zh) 2018-07-06
US20190319700A1 (en) 2019-10-17
EP3544216A1 (en) 2019-09-25
WO2018121150A1 (zh) 2018-07-05
KR102341006B1 (ko) 2021-12-21
JP2020503759A (ja) 2020-01-30
US11057104B2 (en) 2021-07-06
JP6904511B2 (ja) 2021-07-14
EP3544216A4 (en)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55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EP38697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863449B2 (en) Uplink channe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429736B (zh) 一种发送和接收反馈的方法及设备
EP28743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EP3437231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obtaining feedback of harq acknowledgment information
US114640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AU2019460320B2 (en) Sharing HARQ processes by multiple configured grants resources
CN108811135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057104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567105B (zh) 一种pucch资源的调度方法和装置
US201701419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EP310054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a dynamic range for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JP717978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情報伝送方法および機器
EP3598709A1 (en) Acknowledg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4019161A1 (en) Buffer status reporting for time division duplex long term evolution
US11399369B2 (en) Transmiss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1327410B (zh) 一种用于载波聚合系统的通信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09983818B (zh) 用于发送/接收调度命令的方法和设备
US20220256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head Reduction for Configured Grant Based Uplink Transmission
CN112533289B (zh) 上行控制信息传输方法、终端、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320641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cheduling multiple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transmissions
EP3383084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N115190596A (zh) 一种uci在pusch上传输的方法、终端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