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209A - Poke-in Connector - Google Patents

Poke-in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209A
KR20190095209A KR1020190093543A KR20190093543A KR20190095209A KR 20190095209 A KR20190095209 A KR 20190095209A KR 1020190093543 A KR1020190093543 A KR 1020190093543A KR 20190093543 A KR20190093543 A KR 20190093543A KR 20190095209 A KR20190095209 A KR 2019009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or
bent
wir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3399B1 (en
Inventor
진장범
신지수
홍사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9009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399B1/en
Publication of KR2019009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ke-in connector with a single plate structure without an additional molding unit by being stably mounted on a substrate. As a plate-shaped plate is bent in a cylinder shape, a wire connec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wire insertion hole is provided at the front. The poke-in connector comprises: a mounting plate mounted on a substrate; a first support plate in which an end of the mounting plate is bent to the upper side; a pick-up plate bent to face the mounting plate on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which is bent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at an end of the pick-up plate and of which an end i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connection plate bent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to the wire connection space and connecting a wire inserted into the wire connection space.

Description

포크인 커넥터{Poke-in Connector}Fork-in Connector

본 발명은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어 별도의 몰딩부가 구비되지 않는 단일 플레이트 구조의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in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k-in connector having a single plate structure, which can be stably mounted on a substrate and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molding part.

일반적으로 커넥터 중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 와이어가 단자에 접촉 및 클램핑되는 형태를 포크인 커넥터라 한다.In general, a fork-in connector is a type in which a wire contacts and clamps a terminal only by inserting a wire into a terminal.

종래의 일반적인 포크인 커넥터는 기판에 실장된 콘택트 단자를 몰딩부가 감싸면서 결합되고, 콘택트 단자와 몰딩부의 와이어 삽입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구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콘택트 단자에 접속되는 구조를 이룬다. 몰딩부는 와이어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와이어와 콘택트 단자의 불필요한 간섭을 방지하고 하고, 콘택트 단자의 실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A conventional fork connector is coupled to a molded part surrounding a contact terminal mounted on a board, and a wire insertion hole of the contact terminal and the molding part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wire is inserted into the contact terminal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 It form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he molding part guides the insertion of the wire to prevent unnecessary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 and the contact terminal, and maintains the mounting of the contact terminal in a stable manner,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electrical contact.

한편, 최근에는 전기장치들이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가 장착되는 기판의 사이즈도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콘택트 단자에 몰딩부가 결합되는 구조의 커넥터는 몰딩부가 기판상에서 상대적으로 큰 면적과 공간을 차지하여 기판과 전기장치의 소형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등록특허 US8,721,376B1 에는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라는 명칭으로 콘택트 단자만으로 이루어진 단일 플레이트 구조의 포크인 커넥터를 소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electric devices are gradually miniaturized, the size of the board on which the connector is mounted is also gradually reduced. However, as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having a molded part coupled to a contact terminal, the molded part occupies a relatively large area and space on the substrate, which is an obstacle to miniaturiza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electric devi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US Patent No. 8,721,376B1 introduces a single plate structure fork-in connector made of only contact terminals under the name of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선행문헌의 포크인 커넥터를 도시하였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Ⅰ-Ⅰ방향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onnector is a fork of the prior documen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 direction showing a wire insertion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의 커넥터(10)는 단일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기판(20)에 솔더링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1)와, 전방으로 와이어 삽입구(12)를 형성하며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벤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와, 일측의 지지 플레이트(13)가 와이어 삽입구(12) 상부를 차폐하면서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는 와이어 삽입구(11) 반대측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와이어(30)의 삽입을 저지하는 차단벽(16)를 제공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는 삽입 방향 단부가 내측으로 벤딩되는 클램핑부(14)를 각각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nector 10 of the prior document is composed of a single plate, and a mounting plate 11 soldered to the substrate 20, and a wire inserting hole 12 in front of the mounting plate 11. A pair of support plates 13 are bent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and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3 is composed of a pick-up plate 15 bent while shie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insertion hole (12). Here, the mounting plate 11 is provided with a barrier wall 16 for preventing the insertion of the wire 30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opposite end of the wire insertion hole 11 and a pair of support plates 13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provide clamping portions 14 whose insertion direction ends are bent inwardly.

상기 선행문헌의 커넥터는 몰딩부가 제거된 단일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작은 사이즈의 기판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어, 전기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connector of the prior document has a single plate structure from which the molding part is removed, it can be easily mounted on a small size substrate,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an electric device.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는 하측에서 마운팅 플레이트(1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지만, 상측에서 픽업 플레이트(15)와 타측의 지지 플레이트(13) 사이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30)가 한 쌍의 클램핑부(14)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접속 및 발거될 때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 및 한 쌍의 클램핑부(14)는 소성 변형이 쉽게 나타나 접촉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the pair of support plates 13 are connected by a mounting plate 11 at the lower side, but are physically separated between the pickup plate 15 and the other support plate 13 at the upper side. . Therefore, when the wire 30 is repeatedly connected and extracted between the pair of clamping portions 14, the pair of support plates 13 and the pair of clamping portions 14 easily exhibit plastic deformation, thereby making contact reliability.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is lowered.

또한, 종래의 커넥터(10)는 마운팅 플레이트(11),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 및 픽업 플레이트(15)의 전방측 단부가 수직 방향의 동일면 상에서 와이어 삽입구(12)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평 접속 방향의 포크인 커넥터에서 와이어(30)는 약간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커넥터(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삽입 과정에서 와이어(30)를 감싸는 피복(31)이 상측의 픽업 플레이트(15) 단부에 충돌되거나 간섭되어 접속이 어렵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와 와이어 피복(31)의 충돌이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와이어(30)가 대략 8° 이하의 수평 경사각(θ1)으로만 삽입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nector 10 provides the wire insertion hole 12 on the same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mounting plate 11, the pair of support plates 13 and the front end of the pickup plate 15 are vertical. In the connector, which is generally a fork in the horizontal connection direction, the wire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 in a slightly inclined direction.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10, as shown in FIG. 2, the coating 31 surrounding the wire 30 during the wire insertion process collides or interferes with the end of the upper pickup plate 15, making it difficult to connect. have.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 or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or 10 and the wire sheath 31, the wire 30 should be inserted only at a horizontal inclination angle θ1 of approximately 8 ° or less.

미국등록특허 US8,721,376B1United States Patent US8,721,376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넥터의 몰딩부를 제거하여 전기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면서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 플레이트 구조의 포크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k-in connector having a single plate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an electrical device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by removing the molding part of the connecto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크인 커넥터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그 내부에 와이어 접속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와이어 삽입구를 제공하며, 기판에 실장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면서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삽입공간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The fork-i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late-shaped plate is bent in a cylindrical shape to form a wire connection space therein and provides a wire insertion hole in the front, the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substrate; A first support plate on which an end of the mounting plate is bent upward; A pickup plate bent to face the mounting plate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bent at the end of the pickup plate so as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and having an en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 connection plate bent from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to the wire insertion space to connect the wires inserted into the wire connection space.

또한,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단부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방향으로 벤딩되는 마운팅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단자가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ing plate may be formed with a mounting terminal whose end is bent toward the mounting plate, and the mounting terminal is mounted on a substrate.

또한, 상기 와이어 삽입구는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에 비하여 후방으로 후퇴되는 회피 홈을 갖는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 insertion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pick-up plate has an evacuation groove which is retracted backward compared to the end of the mounting plate.

상기 접속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벤딩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서 벤딩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2단 벤딩 구조를 이루고, 상기 탄성부와 상기 클램핑부는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plate has a two-stage bending structure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bent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clamping portion bent at the end of the elastic portion, wherein the elastic portion and the clamp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via the connection.

또한, 본 발명의 포크인 커넥터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의 과삽입을 저지하는 차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k-i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plate for preventing the over-insertion of the wire by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plate is bent upwards.

본 발명의 포크인 커넥터는 단일 구조의 판상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양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어 기판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소형화되는 기판이나 전기장치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fork-i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a substrate or an electric apparatus that is miniaturized by mounting a plate-shaped plate of a single structure in a tubular shape and having both ends mounted on the substrate to improve bonding force with the substrat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커넥터를 와이어 삽입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절곡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클램핑 해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re insertion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oar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or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4 viewed from the wire insertion hole direc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insertion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bending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amping release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 상, 하, 좌, 우, 제1 및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에 따른 표현으로 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그 사전적인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before, after, up, down, left, right, first, and second are expressions according to positions or directions that ar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constitution of the invention is necessarily limited to the prior meaning. No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기판(20)에 실장된 상태에서 와이어(30)를 수용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별도의 몰딩부 없이 기판(20)에 실장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oard. As shown, th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wire 30 in the state mounted on the substrate 2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m, and is mounted on the substrate 20 without a separate molding part. do.

상기 커넥터(100)는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판상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위치에서 벤딩되는 통 형상을 이루며, 일측이 개구된 와이어 삽입구(100a)를 제공한다. 상기 기판(20)은 전기장치 구동을 위한 각종 소자를 실장하고, 표면에는 각 소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회로들이 인쇄되며, 특히, 커넥터(100)가 실장되기 위한 실장 패드(21)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30)는 소정의 길이로 절연 피복(31) 외부로 노출되어 커넥터(100)에 삽입된다.The connector 100 form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plate-shaped plate process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is b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provides a wire insertion hole 100a having one side opened. The substrate 20 mounts various elements for driving an electric device, and circuit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each element are print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in particular, a mounting pad 21 for mounting the connector 100 is formed. . The wire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coating 31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00.

상기 커넥터(100)는 기판(20)의 실장 패드(21) 상에 솔더링 등의 공정으로 실장되고, 와이어(30)가 와이어 삽입구(100a)를 통하여 삽입된 후 클램핑되어, 기판(20)과 와이어(3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The connector 1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d 21 of the substrate 20 by soldering or the like process, and the wire 30 is clamped after being inserted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 100a, thereby the substrate 20 and the wir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30 is mad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커넥터를 와이어 삽입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Figure 4, Figure 6 is a view of the connector of Figure 4 from the wire insertion hole direction Perspective view.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전도성의 금속 플레이트가 성형 및 벤딩되며, 기판(20)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의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0)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상단을 연결하는 픽업 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0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0) 및 픽업 플레이트(150) 사이에 형성되는 와이어 접속공간(100b)으로 와이어(30)를 수용한다. 여기서, 와이어의 삽입이 시작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와이어의 삽입이 끝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plate and is bent, a mounting plate 110 fixed to the substrate 20, and a vertical direction formed 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And a pair of support plates 130 and a pickup plate 150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plate tops. The connector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ccommodates the wire 30 in the wire connection space 100b formed between the mounting plate 110, the pair of support plates 130, and the pickup plate 150.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wire starts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wire is finished is referred to as the rear.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00)는 단일 구조의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판상의 플레이트는 기판(20) 표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의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일측 단부(일 예로, 도면상 우측 단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의 상측 단부에서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마주하는 수평 방향으로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150)와, 픽업 플레이트(150)의 타측 단부(일 예로, 도면상 좌측 단부)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마주하는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130-2)를 연속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사각 통 형상으로 벤딩되어 그 내부에 와이어(30)의 접속과 클램핑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접속공간(100b)을 제공하고, 와이어 접속공간(100b)의 전방에는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구(100a)를 제공한다.The connector 1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plate-shaped plate of a single structure, the plate-like plate is a mounting plate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one end of the mounting plate 110 (one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late 130-1 bent upwardly at the right end of the drawing)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facing the mounting plate 110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30-1. The second support plate 130-2 which is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facing the first support plate 130-1 at the pickup plate 150 and the other end (eg, the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pickup plate 150. ) Are formed continuously. Accordingly, th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connecting space 100b in which a plate-like plate is bent into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and clamped to the wire 30 therein. The front provides a wire insertion hole (100a) into which the wire 30 is insert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하면이 기판(20)의 실장 패드(21)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커넥터(100)가 기판(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솔더링으로 실장 패드(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판상의 플레이트 가장자리를 따라 솔더링되어 기판(20)과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측으로 형성되는 리세스부(111)를 가질 수 있다.In detail, the mounting plate 110 has a lower surface mounted on the mounting pad 21 of the substrate 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or 100 is stably coupled to the substrate 20. The mounting plate 110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ad 21 by soldering, and may be soldered along the plate edge of the plate to stably maintain the coupling with the substrate 20. In addition, the mounting plate 110 may have a recess 111 form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110.

또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후방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와이어(30)의 과삽입을 저지하는 차단 플레이트(120)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120)의 상측 및 좌우측 단부에서 전면으로 벤딩되면서 돌출되어 와이어 접속공간(100b)을 차폐하는 차폐벽(121)을 형성한다. 상기 차폐벽(121)에는 도 5와 같이 와이어 접속공간(100b) 내부에서 클램핑부(142)와 와이어(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122)는 상측 차폐벽(12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 차폐벽(122)은 후술하는 해제 툴(도 9의 40)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면(123)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late 110 forms a blocking plate 120 which is bent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to prevent over-insertion of the wire 30, and is moved from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ends of the blocking plate 120 to the front surface. It protrudes while being bent to form a shielding wall 121 that shields the wire connection space 100b. The shielding wall 121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22 for chec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lamping unit 142 and the wire 30 in the wire connection space 100b, as shown in FIG. The through hole 12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upper shielding wall 121. In addition, the upper shielding wall 122 forms a stopper surface 123 extending forward to prevent overinsertion of the release tool 40 (FIG. 9) described later.

상기 지지 플레이트(13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우측 단부에서 상측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픽업 플레이트(150)의 좌측 단부에서 하측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130-2)의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제2 지지 플레이트(130-2)는 서로 마주하는 대칭 구조를 이룬다. 각 지지 플레이트(130)의 후방 단부에는 내측의 와이어 접속공간(100b)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벤딩되는 접속 플레이트(140)를 형성한다. 상기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14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 및 픽업 플레이트(150)와 분리되어 지지 플레이트(130)를 축으로 탄성을 갖게 되며, 와이어(30)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와이어(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삽입된 와이어(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클램핑시킨다.The support plate 130 is a first support plate 130-1 which is bent in an approximately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ide at the right end of the mounting plate 110 an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side at the left end of the pickup plate 150. It is composed of a pair of plates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30-2 to be bent, and the first support plate 130-1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30-2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facing each other. At the rear end of each support plate 130 is formed a connection plate 140 which is bent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 the inner wire connection space (100b). The pair of connection plates 140 ar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late 110 and the pickup plate 150 to have elasticity about the support plate 130, guide the insertion of the wire 30, and guide the wire 30. At the same tim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d clamped so that the inserted wire 30 is not separated.

이러한 접속 플레이트(140)는 지지 플레이트(130)의 단부에서 1차 벤딩되는 탄성부(141)와, 탄성부(141)의 단부에서 2차 벤딩되는 클램핑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141)와 클램핑부(142) 사이에는 지지 플레이트(130)와 나란한 방향의 연결부(143)가 더 개입되어 탄성부(141)와 클램핑부(142)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플레이트(140)는 적어도 2단 벤딩 구조를 이루며, 2단 벤딩 구조의 접속 플레이트는 단부의 클램핑부(142)에서 1단 벤딩 구조에 비하여 와이어(30)를 더욱 강한 힘으로 탄성 가압하고, 소성 변형에도 더욱 강한 내성을 나타낸다.The connection plate 140 includes an elastic portion 141 which is first bent at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130 and a clamping portion 142 which is secondly bent at the end of the elastic portion 141. A connection part 143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plate 130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part 141 and the clamping part 142 to connect the elastic part 141 and the clamping part 142. Therefore, the connecting plate 140 forms at least a two-stage bending structure, and the connecting plate of the two-stage bending structure elastically pressurizes the wire 30 with a stronger force than the one-stage bending structure in the clamping portion 142 at the end. And more resistant to plastic deformation.

구 분division 2 step bending2 step bending 1 step bending1 step bending Push(mm)Push (mm) 0.30.3 Force(N)Force (N) 6.0126.012 3.9753.975 Plasticity(mm)Plasticity (mm) 0.0110.011 0.0780.078

위 [표 1]과 같이, 와이어가 삽입된다는 가정에 따라 편측으로 0.3mm 폭의 변형을 갖도록 클램핑부 단부를 푸쉬할 때, 1단 벤딩 구조에서는 3.975N의 힘으로 변형이 가능하지만, 2단 벤딩 구조에서는 6.012N의 힘이 가해져야 동일한 폭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2단 벤딩 구조의 접속 플레이트(140)에서 클램핑부(142)는 상대적으로 더 큰 가압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above, when pushing the end of the clamping part to have a deformation of 0.3mm width on one side according to the assumption that the wire is inserted, in the one-stage bending structure, deformation is possible with a force of 3.975N, but two-stage bending In the structure, a force of 6.012 N is applied to achieve the same width deformation.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clamping portion 142 shows a relatively higher pressing force in the connection plate 140 of the two-stage bending structure.

또한, 푸쉬가 가해진 후 복원 상태에 따른 클램핑부의 소성 변형을 살펴보면, 1단 벤딩 구조에서는 0.078mm의 소성 변형을 나타내지만 2단 벤딩 구조에서는 0.011mm의 소성 변형을 나타내어, 2단 벤딩 구조의 접속 플레이트(140)에서 클램핑부(142)는 소성 변형에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clamping portion according to the restored state after the push was applied, the plastic deformation of 0.078mm in the one-stage bending structure, but the plastic deformation of 0.011mm in the two-stage bending structure, the connection plate of the two-stage bending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the clamping portion 142 at 140 shows excellent properties even in plastic deformation.

또한, 상기 접속 플레이트(140)는 연결부(143) 상단이 내측으로 '∩' 형상으로 벤딩되는 클램핑 해제부(144)를 포함한다. 한 쌍의 클램핑 해제부(144)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서로 대응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그 사이로 해제 툴(40)이 삽입될 때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140)를 서로 이격시켜 와이어(30)가 접속 플레이트(140)로부터 쉽게 발거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140 includes a clamping release part 144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43 is bent inwardly into a '∩' shape. The pair of clamping release portions 144 form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hen the release tool 40 is inserted therebetween, the pair of connection plates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wire ( 3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onnecting plate 140.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130)는 접속 플레이트(140)가 연결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31)는 지지 플레이트(130)와 접속 플레이트(140)가 연결되는 플레이트의 표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거나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이루며, 지지 플레이트(130) 단부를 축으로 하는 접속 플레이트(140)의 탄성 변형에 내성을 부가하여 접속 플레이트(140)가 더욱 큰 탄성 가압력을 갖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30 may include an uneven portion 131 formed at a side surface to which the connection plate 140 is connected. The concave-convex portion 131 forms a shape in which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connection plate 140 are concave or convexl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connection plate having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130 as an axis ( Tolerance is added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140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140 has a larger elastic pressing force.

상기 픽업 플레이트(150)는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벤딩된다. 픽업 플레이트(150)는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마주하며, 그 상면은 커넥터(100)를 실장 툴에 흡착시키기 위한 픽업 면을 제공한다. 또한, 픽업 플레이트(150)는 해제 툴(40)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측 단부로 돌출 연장되는 스토퍼 면(151)을 형성한다.The pickup plate 150 is bent in an approximately horizontal direction i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130-1. Pickup plate 150 faces side by side with mounting plate 110, the upper surface of which provides a pick-up surface for adsorbing connector 100 to the mounting tool. The pick-up plate 150 also defines a stopper face 151 that protrudes to the rear end to prevent overinsertion of the release tool 40.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130-2)는 픽업 플레이트(150)의 좌측 단부에서 벤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30-1)와 나란하게 마주하며, 그 하측 단부는 다시 내측으로 벤딩되는 마운팅 단자(132)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는 마운팅 단자(132)가 회피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상기 마운팅 단자(132)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각 가장자리(110-1, 132-1)를 따라 솔더링되어 실장 패드(21)에 실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양측 단부가 기판(20)에 실장되는 밀폐 구조를 이루므로, 와이어(30)가 반복적으로 접속 및 발거되더라도 소성 변형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접촉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support plate 130-2 faces the first support plate 130-1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 plate 130-1 while being bent at the left end of the pickup plate 150. The end forms a mounting terminal 132 that is bent inward again. To this end, the mounting plate 110 provides a space for the mounting terminal 132 to be avoided. The mounting plate 110 and the mounting terminal 132 form the same plan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soldered along the edges 110-1 and 132-1, and are mounted on the mounting pad 21. Therefore, th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ermetically sealed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20 while the plate-shaped plate is bent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even if the wire 30 is repeatedly connected and removed, the plastic deformation is almost impossible. Without appearing, the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contact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삽입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와이어 절곡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insertion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 wire bending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하측의 마운팅 플레이트(110), 양측의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30)와 상측의 픽업 플레이트(150)가 통 형상을 이루면서 전방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개구된 와이어 삽입구(100a)를 형성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삽입구(100a)에는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가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단부(B)에 비하여 후방으로 후퇴되는 회피 홈(100c)이 형성된다. 회피 홈(100c)은 마운팅 플레이트(110)의 단부(A)와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를 연결하는 지지 플레이트(130)의 단부에 경사를 부여하거나 하측의 제1 수직단부(133)에 비하여 상측의 제2 수직단부(134)를 후방에 위치시키고,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를 지지 플레이트(130)의 상측 단부에 일치시키는 구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mounting plate 110, the pair of support plates 130 on both sides, and the pick-up plate 150 on the upper side form a tubular shape, and the front of the connector 100 is opened in an approximately square shape. 100a). 7 and 8, the wire insertion hole 100a has an end B of the pick-up plate 150 retracted backward from the end B of the mounting plate 110. 100c) is formed. The avoidance groove 100c may be inclined to the end of the supporting plate 130 connecting the end A of the mounting plate 110 and the end B of the pickup plate 150 or the first vertical end 133 of the lower side. The second vertical end portion 134 of the upper side is positioned rearward, and the end portion B of the pickup plate 150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30.

상기 회피 홈(100c)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가 경사 방향에서 삽입될 때 와이어 피복(31)이 커넥터(100)의 상단부(즉,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와 충돌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회피 홈(100c)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경사각(θ2)을 증가시켜 와이어(30)의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evacuation groove 100c is such that, as shown in FIG. 7, the wire sheath 31 collides with or interferes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100 (ie, the end of the pickup plate) when the wire 30 is inserted in the oblique direction. Prevent it. Therefore, the avoidance groove 100c in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θ2 into which the wire 30 is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wire 30 can be easily connected.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는 커넥터(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대부분 상측으로 90°정도 꺾인 상태로 전기장치에 조립된다. 이때, 와이어 피복(31)이 픽업 플레이트(150)의 단부(B)와 충돌 및 간섭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충돌이나 간섭에 의하여 픽업 플레이트(150) 단부는 상측으로 외력을 받게 되고, 상측 방향의 외력은 하면의 마운팅 플레이트(110)와 마운팅 단자(132)에 전달되어 기판(20)과의 솔더링을 손상시키거나 커넥터(100)와 기판(20)의 결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피 홈(100c)은 와이어(30)가 상측으로 꺾일 때 와이어 피복(31)과 픽업 플레이트(150) 단부의 충돌 및 간섭을 최소로 하여 커넥터(100)의 접촉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wire 30 is assembled to the electric device in a state in which most of the wires are bent by about 90 °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0. In this case, the wire sheath 31 may collide with and interfere with the end B of the pickup plate 150. Due to such collision or interference, the end of the pickup plate 150 may receive an external force upward, and an external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The silver may be transferred to the mounting plate 110 and the mounting terminal 132 of the lower surface to damage the soldering of the substrate 20 or to weak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or 100 and the substrate 20. Accordingly, the avoidance groove 100c minimizes collision and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 sheath 31 and the end of the pickup plate 150 when the wire 30 is bent upward, thereby improving contact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connector 100. .

구 분division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Push(mm)Push (mm) 0.50.5 Force(N)Force (N) 97.2797.27 87.0887.08 Plasticity(mm)Plasticity (mm) 0.21930.2193 0.31480.3148

위 [표 2]와 같이, 접속된 와이어가 상측으로 90°꺾이는 가정에 따라 와이어 삽입구의 픽업 플레이트 단부를 상측으로 0.5mm 높이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푸쉬할 때, 회피 홈이 형성되지 않은 박스 구조의 픽업 플레이트(비교예)에서는 87.08N으로 변형이 가능하지만, 회피 홈이 형성된 단차 구조의 픽업 플레이트(실시예)에서는 97.27N의 힘이 가해져야 동일한 높이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또한, 변형이 가해진 후 복원 상태에 따른 소성 변형을 살펴보면, 비교예에서는 0.3148mm의 소성 변형을 나타내지만, 실시예에서는 0.2193mm의 소성 변형을 나타낸다.As shown in [Table 2] above, when pushing the end of the pickup plate of the wire insertion hole to the deformation of 0.5mm height upward, according to the assumption that the connected wire is bent upward by 90 °, the box structure without the avoidance groove is formed. In the pickup plate (comparative example), deformation is possible to 87.08N, but in the pickup plate (example) having a stepped groove, a force of 97.27N is applied to deform the same height.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plastic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tored state after the deformation is applied, the comparative example shows a plastic deformation of 0.3148mm, but in the examples shows a plastic deformation of 0.2193mm.

이러한 사실에 따라 와이어 삽입구 상측으로 동일한 외력이 가해질 때 회피 홈이 형성된 커넥터의 상단부가 회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커넥터의 상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변형이 발생될 것이고, 결국 회피 홈이 형성된 커넥터에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전달되는 것이므로 커넥터의 접촉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fact, when the same external force is applied above the wire insertion hol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nector with the avoidance groove is generated relatively smaller tha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nector without the avoidance groove, and thus, the connector is formed relative to the connector with the avoidance groove. Since a small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he contact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connector can be improved.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클램핑 해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ing release structure f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접속된 와이어(30)는 와이어 접속공간(100b) 내에서 클램핑부(142)의 날카로운 단부에 클램핑되어 쉽게 발거되지 않는다. 이는 한 쌍의 클램핑부(142)가 강한 탄성으로 와이어(30)의 양면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와이어(30)를 발거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클램핑부(142)를 서로 이격시켜야 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connected wire 30 is clamped at the sharp end of the clamping portion 142 in the wire connection space 100b and is not easily extracted. This is because the pair of clamping portions 142 press both sides of the wire 30 with strong elasticity. Therefore, in order to extract the wire 30, the pair of clamping parts 142 shoul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클램핑부(142)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143) 상단에 곡면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클램핑 해제부(144)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핑 해제부(144) 사이로 해제 툴(40)을 삽입시키면 클램핑 해제부(144)와 함께 한 쌍의 클램핑부(142) 단부도 서로 이격되어 와이어(30)가 쉽게 발거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lamping release parts 144 facing each other in a curved shap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connection part 143 so as to space the clamping parts 142 from each other. Accordingly,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release tool 4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lamping release portions 144, the ends of the pair of clamping portions 142 together with the clamping release portion 14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easily extracted.

또한, 해제 툴(40)이 클램핑 해제부(144) 사이로 과삽입되면 해제 툴(40)의 단부가 와이어(30)를 가압하게 되어 오히려 와이어(30)의 발거가 어려워지거나 와이어(3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플레이트(150)와 차폐벽(121)의 단부에는 해제 툴(40)의 과삽입을 방지하여 와이어(30)를 보호하는 스토퍼 면(151,123)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release tool 40 is over-inserted between the clamping release portions 144, the end of the release tool 40 presses the wire 30, making it difficult to extract the wire 30 or damage the wire 30. Can be. Accordingly, stopper surfaces 151 and 123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pick-up plate 150 and the shielding wall 121 to protect the wire 30 by preventing over-insertion of the release tool 40.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100)에서 상기 클램핑 해제부(144)는 해제 툴(4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release portion 144 may be formed in a pair of semicircular cross s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release tool 40.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의 클램핑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툴을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10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0, as a means for releasing the clamping of the wire 30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connector 100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픽업 플레이트(150)는 후방 단부에서 연장되는 누름부(152)를 형성하고, 누름부(152)의 단부 하측으로는 쐐기 형상의 삽입돌기(154)가 마련된다. 또한, 누름부(152)는 굴곡 형상을 이루는 탄성편(153)에 의하여 픽업 플레이트(15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00)는 와이어(152)가 접속된 상태에서 누름부(152)를 누를 때, 삽입돌기(154)가 한 쌍의 클램핑부(142) 사이에 삽입되면서 클램핑부(142)를 이격시키므로 와이어(30)의 클램핑이 해제되어 쉽게 발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ck-up plate 150 forms a pressing part 152 extending from the rear end, and a wedge-shaped insertion protrusion 154 is provided below the end of the pressing part 152.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152 is connected to the pickup plate 150 by the elastic piece 153 forming a curved shape. In the connector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ressing part 152 is pressed while the wire 152 is connected, the insertion protrusion 154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clamping parts 142 and thus the clamping part 142. ), The clamping of the wire 30 is released and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상기와 같이 커넥터(100)에 형성되는 누름부(152)는 차단 플레이트(120)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성도 가능하고, 삽입돌기(154)도 누름부(152)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152 formed in the connector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120, the insertion protrusion 154 also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portion 152.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figur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100 : 커넥터
110 : 마운팅 플레이트 111: 리세스부
120 : 차단 플레이트
130 : 지지 플레이트 130-1 : 제1 지지 플레이트
130-2 : 제2 지지 플레이트 132 : 마운팅 단자
140 : 접속 플레이트 141 : 탄성부
142 : 클램핑부 143 : 연결부
144 : 클램핑 해제부 150 : 픽업 플레이트
100: connector
110: mounting plate 111: recessed portion
120: blocking plate
130: support plate 130-1: first support plate
130-2: 2nd support plate 132: mounting terminal
140: connection plate 141: elastic portion
142: clamping portion 143: connecting portion
144: clamping release portion 150: pickup plate

Claims (10)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그 내부에 와이어 접속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와이어 삽입구를 제공하며,
기판에 실장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면서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마운팅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단자의 가장자리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폭방향 중심 위치보다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포크인 커넥터.
The plate-like plate is bent into a tubular shape to form a wire connection space therein, and to provide a wire insertion hole in front of the plate.
A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substrate;
A first support plate on which an end of the mounting plate is bent upward;
A pickup plate bent to face the mounting plate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bent at the end of the pickup plate so as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and having an en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nd a pair of connecting plates bent from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lates to the wire connecting space to connect wires inserted into the wire connecting space.
A mounting terminal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mounting plate.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an edge of the mounting terminal and an edge of the mounting plate,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second support plate than the widthwise center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Fork-in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단자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terminal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mounting plate,
Fork-in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측으로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갖는,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late has a recess form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Fork-in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각각, 제1 수직단부 및 상기 제1 수직단부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 수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단부는 제2 수직단부보다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단부는 상기 제1 수직단부에 비하여 후방으로 후퇴되는 회피 홈을 형성하는,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each include a first vertical end and a second vertical end formed to be located behind the first vertical end,
The first vertical end is formed below the second vertical end,
Wherein the second vertical end forms an evacuation groove that is retracted rearward relative to the first vertical end,
Fork-in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접속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each have an uneven portion formed on the side to which the connection plate is connected,
Fork-in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굴곡되도록 연장된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의 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쐐기 형상을 갖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n elastic piece extending to bend downward from the pickup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elastic piece,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extending downward and having a wedge shape,
Fork-in connector.
판상의 플레이트가 통 형상으로 벤딩되면서 그 내부에 와이어 접속공간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와이어 삽입구를 제공하며,
기판에 실장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는 픽업 플레이트;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벤딩되면서 단부가 기판에 실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으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에서 벤딩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서 벤딩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2단 벤딩 구조를 이루는,
포크인 커넥터.
The plate-like plate is bent into a tubular shape to form a wire connection space therein, and to provide a wire insertion hole in front of the plate.
A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substrate;
A first support plate on which an end of the mounting plate is bent upward;
A pickup plate bent to face the mounting plate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bent at the end of the pickup plate so as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and having an end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And a pair of connecting plates bent from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lates to the wire connecting space to connect wires inserted into the wire connecting space.
The pair of connection plates form a two-stage bending structure including an elastic part bent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locking part bent at the end of the elastic part.
Fork-in connector.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록킹 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해제부 사이로 해제 툴이 삽입될 때 상기 한 쌍의 접속 플레이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된,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7,
Each of the pair of connection plates includes a locking release part formed by bending i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pair of connection plates,
The pair of connecting plate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release tool is inserted between the unlocking portions.
Fork-in connec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플레이트는 상기 해제 툴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플레이트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돌출 연장된 스토퍼 면을 포함하는,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The pick-up plate includes a stopper face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pick-up plate to prevent overinsertion of the release tool;
Fork-in connec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가 상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와이어의 과삽입을 저지하는 차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전면으로 벤딩되면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 접속공간을 차폐하는 차폐벽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벽에는 상기 해제 툴의 과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 면이 형성된,
포크인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plate is further bent upwards and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plate to prevent overinsertion of the wire,
A shielding wall is formed to protrude while bending toward the front from the end of the blocking plate to shield the wire connection space.
The shielding wall is formed with a stopper surface to prevent overinsertion of the release tool,
Fork-in connector.
KR1020190093543A 2019-07-31 2019-07-31 Poke-in Connector KR102133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43A KR102133399B1 (en) 2019-07-31 2019-07-31 Poke-in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43A KR102133399B1 (en) 2019-07-31 2019-07-31 Poke-in Conne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523A Division KR102011845B1 (en) 2017-07-12 2017-07-12 Poke-in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209A true KR20190095209A (en) 2019-08-14
KR102133399B1 KR102133399B1 (en) 2020-07-14

Family

ID=6762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543A KR102133399B1 (en) 2019-07-31 2019-07-31 Poke-in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3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1447A1 (en) * 2021-02-10 2022-08-2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Contact element and conductor terminal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60B1 (en) *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oke in connector
US8721376B1 (en) 2012-11-01 2014-05-13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KR20160135882A (en) * 2015-05-18 2016-11-29 (주)씨엘 Electric connector for a power c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1376B1 (en) 2012-11-01 2014-05-13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KR101390960B1 (en) *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oke in connector
KR20160135882A (en) * 2015-05-18 2016-11-29 (주)씨엘 Electric connector for a power c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1447A1 (en) * 2021-02-10 2022-08-2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Contact element and conductor terminal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399B1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783B1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CN111293452B (en) Flexible flat cable electric connector
CN106058538B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234291A1 (en) High frequency midboard connector
US6431914B1 (en) Grounding scheme for a high speed backplane connector system
US1093816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plate connected to ground contacts
US6908345B2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CN100553043C (en) The bullet connector that has mating protection
CN101128961A (en) Connector guide member
US7377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970702596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7909644B1 (en)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with cards inserted thereinto along different directions
US20100297885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assageways protected from contamination
JP4594706B2 (en) Shielded board connection connector
KR102011845B1 (en) Poke-in Connector
CN114447680A (en)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US6890216B2 (en)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CN109962354B (en) Card edge connecting device
KR102133399B1 (en) Poke-in Connector
CN108879162B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6758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lddown for ground connection
JP4097513B2 (en) connector
KR102010328B1 (en) Pock-in connector
JP2016081670A (en) Terminal for linear conductor connection
CN109193192B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