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570A - 블랭크 및 카톤 - Google Patents

블랭크 및 카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570A
KR20190093570A KR1020197016034A KR20197016034A KR20190093570A KR 20190093570 A KR20190093570 A KR 20190093570A KR 1020197016034 A KR1020197016034 A KR 1020197016034A KR 20197016034 A KR20197016034 A KR 20197016034A KR 20190093570 A KR20190093570 A KR 20190093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recess
fold line
wall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539B1 (ko
Inventor
다미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웨스트락 패키징 시스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9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1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article-locating elements
    • B65D71/20Slits or openings along the fold line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129Wrapper locking means
    • B65D2571/00135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154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terlocked
    • B65D2571/00185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terlocked by tabs cut within one end and facing away from the other end when blank is unfolded, and co-operting with openings at the other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59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wardly folded tabs, i.e. elements substantially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ackage dimension
    • B65D2571/00265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wardly folded tabs, i.e. elements substantially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ackage dimen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or low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77Slits or openings formed along a fold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38Holes
    • B65D2571/00444Holes f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555Wrapper opening devices
    • B65D2571/00561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555Wrapper opening devices
    • B65D2571/00561Lines of weakness
    • B65D2571/00567Lines of weakness defining a narrow removable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709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 B65D2571/00716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tubular without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709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 B65D2571/00722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tubular with end walls, e.g. walls not extending on the whole end surface
    • B65D2571/00765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tubular with end walls, e.g. walls not extending on the whole end surface the end walls being retained in closed position by their own rig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833Other details of wrappers
    • B65D2571/0087Special features for machine processing, e.g. gripper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1 벽(112), 및 제1 패널 접는 선을 통해 적어도 상기 제1 벽에 연결된 제2 벽(114)을 포함하는 블랭크(100)가 개시되며, 상기 제1 패널(112)은 물품을 유지하는 물품 유지 수단(200)을 갖고, 상기 물품 유지 수단(200)은 상기 물품의 일부를 수용하는 물품 수용 개구(202)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공된 오목부 지지 탭(204)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저 단부는 탭 접는 선(206)을 통해 상기 제1 벽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W1)과 같거나 더 작다.

Description

블랭크 및 카톤
본 발명은 블랭크 및 이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카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물품을 포장하고 이들 물품을 하나의 그룹으로 수용하기에 적합한 블랭크 및 카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캔과 같은 물품들을 집합적으로 수용하여 이들 물품을 집합적으로 저장, 운송 및 판매하기 위해 판지 등으로 제조된 카톤이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카톤은 일반적으로 천정 벽, 이 천정 벽의 양쪽 끝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 벽을 포함하며, 카톤은 포장되는 물품들이 카톤 내부에 놓일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카톤의 양쪽 단부는 개방 단부이다.
카톤 내부에 포장되는 물품들의 한 가지 예는 복수 개의 캔이다. 예를 들어, 6개의 캔이 일반 카톤 내부에 2x3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카톤은 캔들의 상단부들, 둘레 벽들, 및 하단부들을 둘러싸게된다.
이러한 카톤은 블랭크 소재를 절약하는 데 적합하다. 그러나, 카톤의 양쪽 단부는 개방 단부이기 때문에, 이러한 카톤은 포장될 물품을 카톤 내부에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물품 유지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물품 유지 수단은 오목부 지지 탭에의해 또는 물품 수용 개구와 이 물품 수용 개구를 향해 돌출하는 오목부 지지 탭에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오목부 지지 탭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오목부 지지 탭의 폭은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 특허공보 S59-062464호 및 일본 특허 제4373285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하다. 또한, 오목부 지지 탭을 캔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오목부와 맞물리기 위해, 오목부 지지 탭은, 카톤을 캔 위에 놓은 후에, 캔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오목부 내로 밀어 넣어야 한다.
또한, 소정의 공간이 오목부 지지 탭과 물품 수용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에 생성되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에지 부분은, 일본 특허 제4505061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블랭크를 펀칭하여 물품 수용 개구들을 형성할 때, 오목부 지지 탭과 물품 수용 개구 사이에 형성된 작은 조각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은 조각들의 각각은 오목부 지지 탭의 연결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는 쐐기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상을 갖는 오목부 지지 탭에서, 캔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오목부의 내부 둘레 표면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작고, 카톤으로부터의 탈락에 견디는 강도가 감소하여, 각 캔들이 카톤의 내측으로부터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상을 갖는 오목부 지지 탭들을 포함하는 블랭크가 캔과 같은 물품들에 적용될 때, 오목부 지지 탭들 각각은, 카톤이 캔들의 위에 덮인 후, 캔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오목부들의 각각 내로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포장 공정에서 오목부 지지 탭을 캔들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오목부들과 맞물리게 만드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제거될 작은 조각이 오목부 지지 탭과 물품 수용 개구 사이에 형성되고 오목부 지지 탭의 연결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는 쐐기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작은 조각은 펀칭 공정에서 블랭크에 부착되기 쉬우며, 블랭크로부터 이들 작은 조각을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캔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운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는 블랭크와, 바람직하게는, 캔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운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고, 캔에 탑재하기 용이하고 생산에 용이한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블랭크는 제1 벽, 및 제1 패널 접는 선을 통해 적어도 상기 제1 벽에 연결된 제2 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널은 물품을 유지하는 물품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물품 유지 수단은 상기 물품의 일부를 수용하는 물품 수용 개구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공된 오목부 지지 탭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는 탭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제1 벽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W1)과 같거나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적어도 일 측부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는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탭 접는 선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폭은 상기 최대 폭을 갖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저 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일 측부는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상기 에지 부분에 인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탭 접는 선의 상기 일 단부에 인접한 측의 상기 슬릿의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과 상기 제1 패널 접는 선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상기 일 측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은 귀 부분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기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을 향해 만곡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일 단부에 오목부를 갖고 실질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가진 물품들을 수용하는 카톤이 제공되며, 상기 카톤은 제1 벽, 및 제1 패널 접는 선을 통해 적어도 상기 제1 벽에 연결된 제2 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물품을 유지하는 물품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물품 유지 수단은 상기 물품의 일부를 수용하는 물품 수용 개구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공된 오목부 지지 탭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는 탭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제1 벽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W1)과 같거나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톤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적어도 일 측부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는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탭 접는 선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톤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폭은 상기 최대 폭을 갖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저 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톤에 있어서, 상기 일 측부는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상기 에지 부분에 인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톤에 있어서, 상기 탭 접는 선의 상기 일 단부에 인접한 측의 상기 슬릿의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과 상기 제1 패널 접는 선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상기 일 측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톤에 있어서, 상기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은 귀 부분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톤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기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을 향해 만곡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는 탭 접는 선을 통해 제1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W1)과 같거나 더 작기 때문에, 캔과 같은 포장될 물품들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있는 오목한 부분의 내주 벽과 접촉하는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표면적이 증가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물품들을 카톤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가 탭 접는 선을 통해 제1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W2)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W1)과 같거나 더 작다. 이로써, 전술한 형상을 가진 블랭크로부터 카톤을 조립할 때, 상기 오목부 지지 탭들 각각은 각 캔의 상단부 또는 하부에 있는 오목부 내에 위치되도록,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이 일시적으로 바깥쪽으로 접혀진다. 그 후,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본 발명은 캔과 같은 포장될 물품들의 포장 공정 동안 그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있는 내주 벽과 더 신속하게 맞물릴 수 있고, 따라서 포장될 물품의 신속한 포장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가 탭 접는 선을 통해 제1 측벽에 연결되고, 또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W2)이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최대 폭(W1)과 같거나 더 작기 때문에, 오목부 지지 탭과 물품 수용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에 제거될 작은 조각(블랭크게 부착될 수도 있는)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품 수용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블랭크를 펀칭할 때 물품 수용 개구에 대응하는 부분이 블랭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물품 유지 수단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가 조립된 카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로 형성된 패키지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캔이 카톤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유지 수단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가 조립된 카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로 형성된 패키지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캔이 카톤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 및 그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카톤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방향을 명확히 하기 위해, 참조 부호 "X"의 방향은 "제1방향"으로 사용되고, 참조 부호 "Y"의 방향은 제1방향(X)에 직교하는 "제2방향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00)의 물품 유지 수단(200)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00)가 조립된 카톤(3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흉터 형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빈 캔(100)(170)의 복수의 박스 내부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100)로부터 형성된 패키지(304)이 사시도이며, 복수의 캔(170)이 카톤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100)는 제1방향(X)으로 전체적으로 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이 블랭크(100)는 판지 등으로부터 형성된다. 제1방향(X)에서 양쪽 단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 형상을 가진 카톤(300)이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랭크(100)는 제1방향(X)에서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에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천정 벽(110)을 가진다. 제1방향(X)에서 천정 벽(110)의 한 측면 에지는 제1 패널 접는 선(130)을 통해 제1 측벽(112)에 연결되고, 천정 벽(110)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2 패널 접는 선(132)을 통해 제2 측벽(114)에 연결된다. 제1방향(X)에서, 천정 벽(110)에 연결된 측면 에지와 반대의 제1 측벽(112)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3 패널 접는 선(134)을 통해 제1 바닥 경사 부분(116)에 연결된다. 또한, 천정 벽(110)에 연결된 측면 에지와 반대의 제2 측벽(114)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4 패널 접는 선(136)을 통해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측벽(112)에 연결된 측면 에지와 반대의 제1 바닥 경사 부분(116)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5 패널 접는 선(138)을 통해 제1 바닥 벽(120)에 연결되고, 제2 측벽(114)에 연결된 측면 에지와 반대의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6 패널 접는 선(140)을 통해 제2 바닥 벽(1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카톤(300)의 바닥 벽(302)은 제1 바닥 벽(120)과 제2 바닥 벽(122)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천정 벽(110)의 실질적인 중앙 부분은 카톤을 운반하기 위한 개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접는 부분(152) - 여기서, 제1 접는 부분(152) 중 한 부분은 접는 선(154)을 통해 천정 벽(110)에 연결됨 -, 및 제2 접는 부분들(158) - 여기서, 제2 접는 부분들(158) 각각은 접는 선을 통해 제1 접는 부분들(152)의 각각에 연결됨 -을 구비한다. 제1 접는 부분들(152) 및 제2 접는 부분들(158)을 카톤(300) 내부로 접는 것과 동시에 카톤을 운반하기 위한 개구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카톤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캔(170)이 쉽게 운반될 수 있다. 또한, 천정 벽(110)에는 제2방향(Y)에서 한 단부에서 다른 단부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파단선(156)이 제공되며, 상기 한 쌍의 파단선(156) 사이에 제1 접는 부분들(152) 및 제2 접는 부분들(158)이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파단선(156) 사이의 한 단부 에지를 잡고 그 단부 에지를 다른 단부 에지 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는 천정 벽(110)을 파단하고 패키지(304)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복수의 캔(170)을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방향(Y)에서 천정 벽(100)의 치수는 3개의 캔이 나란히 배열되는 경우 3개의 캔(170)의 상단부들(172)을 커버할 수 있는 치수에 해당한다. 제1방향(X)에서 천정 벽(100)의 치수는 2개의 캔(170)이 나란히 배열되는 경우 2개의 캔(170)의 상단부들(172)을 커버할 수 있는 치수에 해당한다. 캔(170)은 실질적으로 원통인 형상을 가지며, 원형의 상단부(172), 원형의 하단부(174), 및 상단부(172)와 하단부(174) 사이에서 연장하는 둘레 벽(176)을 포함한다. 상단부(172)에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캔(17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오목부(178)가 제공된다. 하단부(174)에는 실질적으로 돔 형상이고 캔(17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오목부(180)가 제공된다. 캔(170)은 음료수 캔이거나, 예를 들어 가스 병 캔과 같은 다른 용도의 캔일 수 있다.
제1방향(X)에서의 제1 측벽(112) 및 제2 측벽(114)의 치수는 각각의 캔(17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제2방향(Y)에서 제1 측벽(112) 및 제2 측벽(114)의 치수는 제2방향(Y)에서 천정 벽(110)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제1 측벽(112)과 제1 바닥 경사 부분(116) 사이의 제3 패널 접는 선(134) 상에 그리고 제2 측벽(114)과 제2 바닥 경사 부분(118) 사이의 제4 패널 접는 선(136) 상에는 복수의 제1 슬릿(190)이 형성되며, 이 복수의 제1 슬릿(190)은 제2방향(Y)에 수직인 방향(제1방향(X))으로, 즉 제3 패널 접는 선(134)과 제4 패널 접는 선(136)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경사 부분(116)에는 3개의 물품 유지 수단(200)이 제공된다. 이들 물품 유지 수단(200)은 제1 바닥 벽(120)으로부터 제1 측벽(112)을 향해 연장되며 제2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또한, 제2 바닥 경사 부(118)에는 3개의 물품 유지 수단(200)이 제공된다. 이들 물품 유지 수단(200)은 제2 바닥 벽(122)으로부터 제2 측벽(114)을 향하여 제2 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물품 유지 수단(200) 각각은 캔(170)의 하단부(174)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진 물품 수용 개구(202)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202) 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오목부 지지 탭(204)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수용 개구(202)는 제1 바닥 경사 부분(116)으로부터 제1 측벽(112)을 향해 또는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으로부터 제2 측벽(114)을 향해 연장된다. 물품 수용 개구(202)의 폭은 제1방향(X)으로, 즉 제1 바닥 경사 부분(116)으로부터 제1 측벽(112)을 향해 또는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으로부터 제2 측벽(114)을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측벽(112) 또는 제2 측벽(114)의 한 측면 상의 물품 수용 개구(202)의 에지 부분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제1 측벽(112) 또는 제2 측벽(114)을 향해 돌출한다.
오목부 지지 탭(204)은 탭 접는 선(206)을 통해 제1 바닥 벽(120) 또는 제2 바닥 벽(122)에 연결되어 있다. 탭 접는 선(206)은 제5 패널 접는 선(138) 또는 제6패널 접는 선(140)으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여, 제5 패널 접는 선(138) 또는 제6 패널 접는 선(140)에서 종료한다. 이러한 탭 접는 선(206)은 물품 수용 개구(202)의 반대측으로 돌출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수용 개구(202) 측의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자유 단부는 제2방향(Y)에 대해 평행하게 직선으로 형성된다.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이것에 인접하는 물품 수용 개구(202)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는 제2 슬릿(20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202)의 에지 부분 사이에 실질적인 갭은 없으며,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202)의 에지 부분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슬릿(208)은 탭 접는 선(206)의 일 단부로부터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자유 단부 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바닥 경사 부분(116)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오목부 지지 탭(204)의 폭은 제1방향(X)을 따라 제1 바닥 벽(120)으로부터 제1 측벽(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오목부 지지 탭(204)의 폭은 제1방향(X)을 따라 제2 바닥 벽(122)으로부터 제2 측벽(114)을 향하여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바닥 벽(120) 또는 제2 바닥 벽(122)에 연결된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저 단부는 폭(W2)을 가지며, 물품 수용 개구(202) 측의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자유 단부는 최대 폭(W1)을 갖는다. 따라서,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최대 폭(W1) 이하이고, 오목부 지지 탭(204)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폭이 최대 폭(W1)을 갖는 부분으로부터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저 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바닥 벽(120) 또는 제2 바닥 벽에 인접하는 측의 제2 슬릿(208)의 단부(210)는 탭 접는 선(206)을 향해 만곡되고, 제5 패널 접는 선(138) 또는 제6 패널 접는 선(140) 및 탭 접는 선(206)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단부(210)를 갖는 제2 슬릿(208)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는 제1 또는 제2 바닥 경사 부분(116, 118)과 제1 또는 제2 바닥 벽(120, 122)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는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잔여 부분에 대해서 접을 수 있는 귀 부분(212)을 형성한다. 이들 귀 부분(212)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측으로부터 제2방향(Y)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블랭크(100)로부터 카톤(300)을 조립할 때, 이들 귀 부분(212)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잔여 부분으로 캔(170)의 하단부(174)의 오목부(180)의 내주 표면에 인접한다. 도 2의 참조 번호 '214'는 귀 부분 접는 선을 지시한다. 귀 부분 접는 선(214)은 귀 부분들(212)의 각각을 오목부 지지 탭(204)에 접을 수 있게 연결하며, 예를 들면 슬릿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귀 부분 접는 선(214)은 제5 패널 접는 선(138) 또는 제6 패널 접는 선(14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즉, 제1방향(X))으로 연장된다. 귀 부분 접는 선(214)의 일 단부는 제2 슬릿(208)의 단부(21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또한, 오목부 지지 탭(204)은 한 쌍의 접는 선(216)을 포함한다. 접는 선(216)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끝 모서리 부분들의 각각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상으로 접혀지도록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끝 모서리 부분들에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상은 캔(170)의 하단부(174)의 오목부(180)의 내주 표면의 형상 내에 끼워질 수 있다. 접는 선(216)은 예를 들어 슬릿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바닥 벽(122)에는 "버섯" 형상을 가진 4개의 연결 탭(230)이 제공되며, 이들 연결 탭(230)은 제2방향(Y)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연결 탭(230) 각각은 절단선(232)으로 형성되며, 연결 탭(230)의 제2 바닥 경사 부분(118) 측의 연결부는 제2 접는 선(234)을 통해 제2 바닥 벽(122)에 연결된다.
또한. 제1 바닥 벽(120)에는 제2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탭 끼움 개구(236)가 제공된다. 탭 끼움 개구(236)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상을 갖고, 실질적으로 "U"자 모양의 절단선에 의해 형성된다. 탭 끼움 개구(236) 각각은 연결 탭(230)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블랭크(100)로부터 카톤(300)을 조립할 때, 각각의 연결 탭(230)을 각각의 탭 끼움 개구(236)에 끼움으로써 제1 바닥 벽(120)을 제2 바닥 벽(122)에 연결하여 카톤(300)의 바닥 벽(30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닥 벽(120)과 제2 바닥 벽(122) 사이의 연결 수단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바닥 벽(120)과 제2 바닥 벽(122)의 단부 에지는 접착 재료 등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천정 벽(110), 제1 측벽(112), 제2 측벽(114), 제1 바닥 벽(120), 제2 바닥 벽(122)의 양쪽 단부에 함몰부(240)가 각각 제공된다. 이에 의해, 함몰부(240) 사이에 위치된 돌출부(242)가 제1방향(X)으로 연장되는 블랭크(100)의 양쪽 단부를 따라 각각 형성된다.
천정벽(110)과 제1 측벽(112) 또는 제2 측벽(114)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242)는 카톤(300) 내부에 복수의 캔(170)을 유지하기 위한 물품 덮개 수단(244)을 구성한다. 물품 덮개 수단(244) 각각은: 복수의 슬릿을 갖는 제3 접는 선(246)을 통해 제1 측벽(112) 또는 제2 측벽(114)에 연결된 접는 조각(248); 제4 접는 선(250)을 통해 접는 조각(248)에 연결된 웹 조각(252); 제1 패널 접는 선(130) 또는 제2 패널 접는 선(132)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5 접는 선(254)을 통해 웹 조각(252)에 연결된 덮개 조각(256); 및 캔(170)의 상단부(17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다이아몬드 형상인 개구(26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4 접는 선(250)은 웹 조각(252)을 향해 돌출하는 슬릿을 갖고, 상기 덮개 조각(256)은 제6 접는 선(258)을 통해 천정 벽(110)에 연결된다.
블랭크(100)가 카톤으로 조립되는 경우, 제6 접는 선(250)은 계곡 접힘되고(외측으로 접힘), 제3 접는 선(246), 제5 접는 선(254), 및 제6 접는 선(258)은 산 접힘되어(내측으로 접힘), 물품 덮개 수단(244)이 카톤(300) 내부에 수용된 캔들(170)의 둘레 벽들(176)의 상단부(172) 및 상부에 입체적으로 인접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캔(170)의 각각이 카톤(3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블랭크(100)로부터 카톤(300)을 조립하는 절차를 설명할 것이다.
먼저, 각각의 캔(170)은 블랭크(100)의 천정 벽(110) 위에 2열 3행으로 정렬된다. 다음에, 블랭크(100)의 제4 접는 선(250)이 계곡 접힘되고(외측으로 접힘), 제3 접는 선(246), 제5 접는 선(254), 및 제6 접는 선(258)은 산 접힘된다(내측으로 접힘). 이에 의해, 각각의 덮개 조각(256) 및 각각의 웹 조각(252)의 내측 표면들은 각각의 캔(170)의 둘레 벽(176)의 상단부(172) 및 상부에 입체적으로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블랭크(100)의 제1 패널 접는 선(130) 및 제2 패널 접는 선(132)는 산 접힘되고(내측으로 접힘), 따라서, 각각의 접는 조각(248)의 내측 표면이 제1 측벽(112) 또는 제2 측벽(114)의 내측 표면에 인접되는 동시에, 제1 측벽(112) 또는 제2 측벽(114)의 내측 표면이 각각의 캔(170)의 둘레 벽(176)에 꼭맞게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3 패널 접는 선(134) 및 제4 패널 접는 선(136)이 산 접힘되어(내측으로 접힘) 제1 바닥 경사 부분(116) 및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이 각각의 캔(170)의 하단부(174)의 경사 부분에 꼭맞게 배치된다.
그 후, 제5 패널 접는 선(138) 및 제6 패널 접는 선(140)은 제1 바닥 벽(120) 및 제2 바닥 벽(122)을 바깥쪽으로 열도록 일시적으로 계곡 접힘되며, 그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들(204)의 각각이 블랭크(100)로부터 돌출하게된다. 돌출하는 오목부 지지 탭들(204) 각각은 각 캔(170)의 하단부(174) 내 오목부(180)의 모서리 부분 내측에 위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제1 바닥 벽(120)과 제2 바닥 벽(122)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제5 패널 접는 선(138)과 제6 패널 접는 선(140)이 산 접힘되며(내측으로 접힘), 오목부 지지 탭들(204)의 각각은 각각의 캔(170)의 하단부(174)의 오목부(180)의 내주 표면과 맞물린다.
그 다음, 제1 바닥 벽(120)은 제2 바닥 벽(122)과 중첩되고, 연결 탭들(230) 각각은 탭 끼움 개구(236)와 결합되며, 그에 의해 제1 바닥 벽(120)이 제2 바닥 벽(122)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벽(120)과 제2 바닥 벽(122)은 카톤(300)의 바닥 벽(302)을 형성하여 각각의 캔(170)의 하단부(174)를 덮는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바닥 경사 부분(116)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물품 유지 수단(200)의 오목부 지지 탭(204)의 폭은 제1 바닥 벽(120)으로부터 제1 측벽(112)을 향하는 제1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물품 유지 수단(200)의 오목부 지지 탭(204)의 폭은 제2 바닥 벽(122)으로부터 제2 측벽(114)을 향하는 제1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바닥 벽(120) 또는 제2 바닥 벽(122)에 연결된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저 단부는 폭(W2)을 가지며, 물품 수용 개구(202) 측의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자유 단부는 최대 폭(W1)을 갖는다. 따라서,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최대 폭(W1) 이하이고, 오목부 지지 탭(204)은 오목부 지지 탭(204)이 폭이 오목부 지지 탭(204)의 최대 폭(W1)을 갖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저 단부를 향해서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바닥 벽(120) 또는 제2 바닥 벽(122)에 인접한 측 상의 제2 슬릿들(208)의 단부들(210)은 탭 접는 선(206)을 향해 만곡되어 제5 패널 접는 선(138) 또는 제6 패널 접는 선(140) 및 탭 접는 선(206)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단부들(210)을 가지는 제2 슬릿들(208)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쪽 측면 부분들은 제1 또는 제2 바닥 경사 부분(116, 118) 및 제1 또는 제2 바닥 벽(120, 122)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204)은 오목부지지 탭(204)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212)을 포함하며, 상기 접을 수 있는 귀 부분(212)은 제2방향(Y)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접을 수 있는 귀 부분(212)은, 블랭크(100)로부터 카톤(300)을 조립할 때 캔(170)의 하단부(174)에 있는 오목부(180)의 내주 표면에 인접한다. 따라서, 캔(170)과 같이 포장될 물품들의 하단부(174)에 있는 오목부(180)의 내주 벽에 인접되는(접촉되는) 오목부 지지 탭(204)의 표면적이 증가되고, 카톤(300)으로부터의 탈락에 견디는 강도가 증가되므로, 캔(170)과 같은 포장될 물품이 카톤(3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탭 접는 선(206)을 향해 만곡된 단부(210)를 갖는 제2 슬릿(208)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면 부분들은 제1 또는 제2 바닥 경사 부분(116, 118) 및 제1 또는 제2 바닥 벽(120, 122)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면 부분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212)을 형성한다. 귀 부분(212)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측으로부터 제2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카톤(300)을 조립할 때 오목부 지지 탭(204)의 잔여 부분으로 캔(170)의 하단부(174)에 있는 오목부(180)의 내주 표면에 인접한다. 따라서, 카톤(300)을 조립할 때, 제1 바닥 벽(120) 및 제2 바닥 벽(122)은 일시적으로 외측으로 접혀서 오목부 지지 탭(204)을 블랭크(100)로부터 돌출시킨다. 오목부 지지 탭들(204) 각각은 각 캔(170)의 하단부(174)에 있는 오목부(180) 내측에 위치되고, 그 다음 제1 바닥 벽(120) 및 제2 바닥 벽(122)이 내측으로 접히며, 그리하여 오목부 지지 탭(204) 각각이 각각의 캔(170)의 하단부(174)에 있는 오목부(180)의 내주 표면과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오목부 지지 탭(204)은, 포장될 물품들의 포장 동안에, 캔(170)과 같은 포장될 물품들의 하단부(174)에 있는 오목부(180)의 내주 벽과 더욱 신속하게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202)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는 제2 슬릿(208)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202)의 에지 부분 사이에 실질적인 갭은 없으며,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202)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펀칭 공정에 의해 블랭크(100)에 물품 수용 개구(202)를 형성할 때, 오목부 지지 탭(204)의 양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202)의 에지 사이에는 제거될 조각이 존재하지 않으며, 물품 수용 개구(202)에 대응하는 부분은 블랭크(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500)를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특징부의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됨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5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500)의 물품 고정 수단(600)의 확대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500)로부터 조립된 카톤(7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500)로 형성된 패키지(704)의 사시도이며, 복수의 캔(170)이 상기 패키지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500)는 제1방향(X)에서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바닥 벽(526)을 갖는다. 제1방향(X)에서, 바닥 벽(526)의 한 측면 에지는 제5 패널 접는 선(538)을 통해 제1 바닥 경사 부분(522)에 연결되고, 바닥 벽(526)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6 패널 접는 선(540)을 통해 제2 바닥 경사 부분(524)에 연결되어 있다. 바닥 벽(526)에 연결된 측면 에지의 반대의 제1 바닥 경사 부분(522)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3 패널 접는 선(534)을 통해 제1 측벽(518)에 연결되어 있다. 바닥 벽(526)에 연결된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바닥 경사 부분(524)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4 패널 접는 선(536)을 통해 제2 측벽(520)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바닥 경사 부분(522)에 연결된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1 측벽(518)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7 패널 접는 선(542)을 통해 제1 상부 경사 부분(514)에 연결되고, 제2 바닥 경사 부분(524)에 연결된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측벽(520)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8 패널 접는 선(544)을 통해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에 연결된다. 제1 측벽(518)에 연결된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1 상부 경사 부분(514)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1 패널 접는 선(530)을 통해 제1 천정 벽(510)에 연결되고, 제2 측벽(520)에 연결된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의 다른 측면 에지는 제2 패널 접는 선(532)을 통해 제2 천정 벽(5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카톤(700)의 천정 벽(702)은 제1 천정 벽(510) 및 제2 천정 벽(512)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천정 벽(510)의 제1방향(X)에서의 치수는 제2 천정 벽(512)의 제1방향(X)의 치수보다 짧기 때문에, 카톤(700)을 조립할 때, 제2 천정 벽(512)은 제2 천정 벽(512)이 제1 천정 벽(510) 외부에 위치되도록 제1 천정 벽(510)과 결합된다.
제1 천정 벽(510)에는 운반 개구(550)를 구성하기 위한 한 쌍의 개구(55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운반 개구(55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접는 부분(552)이 실질적으로 제1방향(X)에서 제2 천정 벽(512)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접는 부분(552)의 한 부분은 제1 접는 선(554)을 통해 제2 천정 벽(512)에 연결되고, 및 접는 부분(552)의 다른 부분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 절단 선(556)에 의해 제2 천정 벽(512)으로부터 절단된다. 접는 부분(552)의 형상은 개구 부분(558)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천정 벽(510)과 제2 천정 벽(512)을 결합하여 카톤(700)의 천정 벽(702)을 구성할 때, 제1 천정 벽(510 )의 개구(558)는 제2 천정 벽(512)의 접는 부분(552) 과 정렬된다. 그 다음에 접는 부분(552)은 운반 개구(550)를 형성하기 위해 개구(558)를 통해 카톤(700)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제1 접는 선(554)에 대해서 접힌다.
제1 실시예의 제1 바닥 벽(120)의 탭 끼움 개구(236) 및 제2 바닥 벽(122)의 연결 탭(230) 대신에, 제2 실시예에서,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에 연결된 측면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천정 벽(512)의 다른 측면 에지에는 제2방향(Y)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된 2개의 연결 탭(630)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연결 탭(630)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버섯" 형상을 가진다. 또한, 연결 탭(630)은 제1방향(X)에서 외측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제2 접는 선(634)을 통해 제2 천정 벽(512)에 연결된다. 연결 탭(630)을 제2 천정 벽(512)에 연결하는 부분에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5 슬릿(632)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1 천정 벽(510)의 제1 상부 경사 부분(514) 부근에는 2개의 탭 끼움 개구(636)가 제공되어 제2방향(Y)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탭 끼움 개구(636) 각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진 절단 선(638)에 의해 형성된다. 제6 슬릿(640)은 탭 끼움 개구(636)의 각 모서리로부터 제1 상부 경사 부분(514) 또는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을 향하여 제2방향(Y)의 외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탭 끼움 개구(636) 각각은 연결 탭(630)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블랭크(500)로부터 카톤(700)을 조립할 때, 연결 탭(630)의 각각을 탭 끼움 개구(636)의 각각에 결합함으로써 제2 천정 벽(512)이 제1 천정 벽(510)에 연결되며, 그리하여 카톤(700)의 천정 벽(702)이 형성된다. 제1 천정 벽(510)과 제2 천정 벽(512) 사이의 연결 수단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천정 벽(510)과 제2 천정 벽(512)의 단부 에지는 서로 접착 재료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닥 경사 부분(116) 및 제2 바닥 경사 부분(118)에 있는 물품 유지 수단(200) 대신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 경사 부분(514)은 제1 천정 벽(510)으로부터 제1 측벽(518)까지 연장되는 3개의 물품 유지 수단(60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은 제2 천정 벽(512)으로부터 제2 측벽(520)까지 연장되는 3개의 물품 유지 수단(600)을 포함한다. 이들 물품 유지 수단(600) 각각은 각 캔(170)의 상단부(172)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상의 물품 수용 개구(602)와, 물품 수용 개구(602)를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오목부 지지 탭(604)을 포함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수용 개구(602)는 제1 상부 경사 부분(514)으로부터 제1 측벽(518)을 향해 또는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으로부터 제2 측벽(520)을 향해 연장된다. 물품 수용 개구(602)의 폭은 제1 상부 경사 부분(514)으로부터 제1 측벽(520)까지 또는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으로부터 제2 측벽(516)까지 제1방향(X)으로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오목부 지지 탭(604)은 탭 접는 선(606)을 통해 제1 천정 벽(510) 또는 제2 천정 벽(512)에 연결된다. 이들 탭 접는 선(606)은 제1 패널 접는 선(530) 또는 제2 패널 접는 선(532)으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여 제1 패널 접는 선(530)이나 제2 패널의 접는 선(532)에서 종료한다. 탭의 접는 선(606)의 각각은 물품 수용 개구(602)에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상부 경사 부분(514)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제1 천정 벽(510)으로부터 제1 측벽(518)까지 제1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최대 폭(W1)을 얻은 후에 물품 수용 개구(602)의 한 측면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자유 단부 쪽으로 점차 감소한다. 또한,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제2 천정 벽(512)으로부터 제2 측벽(520)까지 제1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최대 폭(W1)을 얻은 후에 물품 수용 개구(602)의 한 측면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자유 단부 쪽으로 점차 감소한다. 즉, 제1 천정 벽(510) 또는 제2 천정 벽(512)에 연결된 오목부 지지 탭(604)의 기단부는 폭(W2)을 가지며, 오목부 지지 탭(604)은 그 기단부와 물품 수용 개구(602)의 측면의 자유 단부 사이에서 최대 폭(W1을 가진다. 따라서, 오목부 지지 탭(604)의 기단부의 폭(W2)은 오목부 지지 탭(604)의 최대 폭(W1) 이하이고, 오목부 지지 탭(604)의 기단부의 폭(W2)은 물품 수용 개구(602) 측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자유 단부의 폭과 갖거나 더 작다. 또한, 오목부 지지 탭(604)은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이 최대 폭(W1)을 갖는 부분으로부터 오목부 지지 탭(204)의 기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그것에 인접한 물품 수용 개구(602)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는 제2 슬릿(608)에 의해 형성된다.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602)의 에지 부분 사이에는 실질적인 갭이 없으며, 따라서,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602)의 에지 부분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2 슬릿(608)은 탭 접는 선(606)의 일 단부로부터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자유 단부 쪽으로 연장된다.
제1 천정 벽(510) 또는 제2 천정 벽(512)에 인접한 측면 상의 제2 슬릿(608)의 단부(610)는 탭 접는 선(606)을 향해 만곡되어 제1 패널 접는 선(530) 또는 제2 패널 접는 선(532) 및 탭 접는 선(606)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그러한 단부(610)를 가지는 제2 슬릿(608)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는 제1 또는 제2 상부 경사 부분(514, 516) 및 제1 또는 제2 측벽(510, 512)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것 의해,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는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잔여 부분에 대해서 접을 수 있는 귀 부분(612)을 형성한다. 이들 귀 부분(612)은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귀 부분들(612)은 블랭크(100)로부터 카톤을 조립할 때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잔여 부분으로 캔(170)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내주면에 인접한다.
또한, 한 쌍의 귀 부분 접는 선(614)은 귀 부분(612)을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잔여 부분에 접을 수 있게 연결한다. 귀 부분 접는 선(614)은 제1 패널 접는 선(530) 또는 제2 패널 접는 선(53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즉, 제1방향(X)으로) 연장된다. 귀 부분 접는 선(614)의 한 단부는 제2 슬릿(608)의 단부(61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귀 부분 접는 선(614)은 슬릿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제1 바닥 경사 부분(522)에는 3개의 제2 물품 유지 수단(670)이 제공되며, 이것들은 제1 측벽(518)으로부터 바닥 벽(526)까지 연장되고 제2방향(Y)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2 바닥 경사 부분(524)에는 3개의 제2 물품 유지 수단(670)이 제공되며, 이것들은 제2 측벽(520)으로부터 바닥 벽(526)까지 연장되고 제2방향(Y)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2 물품 유지 수단(670) 각각은 각 캔(170)의 하단부(174)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제2 물품 수용 개구(672), 및 제2 물품 수용 개구(672)를 향해 돌출하는 유지 탭(674)을 포함한다.
바닥 벽(526)의 한 측면의 제2 물품 수용 개구(672)의 에지는 제2 물품 수용 개구(672)를 향해 돌출하는 원호 형상을 가진 에지(676)이며, 이 에지(676)는 제5 패널 접는 선(538) 또는 제6 패널 접는 선(540)으로부터 연장되고 제5 패널 접는 선(538) 또는 제6 패널 접는 선(540)에서 종료한다. 에지(676)는 캔(170)의 하단부에 있는 오목부(180)의 내주면과 맞물린다.
바닥 벽(526)으로부터 제1 측벽(518) 또는 제2 측벽(520)을 향해 제1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물품 수용 개구(672)의 두 에지들은 제1방향(X)에서 대칭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가진다. 제1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물품 수용 개구(672)의 두 에지 사이의 거리는 제3 패널 접는 선(534) 또는 제4 패널 접는 선(536)에서 최대가된다.
제2 물품 수용 개구(672)의 에지에는 제1 측벽(518) 측에 또는 제2 측벽(520) 측에 실질적으로 "C"자 형상을 가진 유지 탭(674)이 제공되며, 제2 물품 수용 개구(672) 측의 유지 탭(674)의 에지는 제2방향(Y)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 측벽(518) 또는 제2 측벽(520)에 대한 유지 탭(674)의 연결부에는 제2방향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제7 슬릿(678)이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110)의 한 쌍의 파단선(156) 대신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벽(518)에 패키지(704)를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한 한 쌍의 파단선(560)이 제공되며, 파단선(560)은 제2방향(Y)에서 한 단부 에지로부터 다른 단부 에지까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파단선(560)은 제2 측벽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천정 벽(110), 제1 측벽(112), 제2 측벽(114), 제1 바닥 벽(120), 및 제2 바닥 벽(122)의 양쪽 단부에 있는 함몰부(240)와 제1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240)들 사이의 돌출부(242) 대신에, 제2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X)에서 제1 천정 벽(510), 제2 천정 벽(512), 제1 상부 경사 부분(514), 제2 상부 경사 부분(516), 제1 측벽(518), 제2 측벽(520), 제1 바닥 경사 부분(522), 제2 바닥 경사 부분(524), 및 바닥 벽(526)의 양쪽 단부들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블랭크(500)로부터 카톤(700)을 조립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각 캔(170)은 블랭크(500)의 바닥 벽(526)에 2행 3열로 정렬된다. 이 배열 상태에서, 블랭크(500)의 제5 패널 접는 선(538) 및 제6 패널 접는 선(540)을 산 접힘(내측으로 접힘)에 의해, 각 캔(170)의 하단부의 일부가 제2 물품 유지 수단(670)의 각각 내에 수용되며, 바닥 벽(526) 측의 제2 물품 수용 개구(672)이 에지는 각 캔(170)의 하단부(174)에 있는 오목부(180)의 내주면과 맞물린다.
다음에, 블랭크(500)의 제3 패널 접는 선(534) 및 제4 패널 접는 선(536)이 산 접힘되어(내측으로 접힘되어) 제1 측벽(518) 및 제2 측벽(520)의 내부면이 각 캔(170)의 둘레 벽(176)에 꼭 들어맞게 배열된다.
그 후, 블랭크(500)의 제7 패널 접는 선(542)과 제8 패널 접는 선(544)이 산 접힘되어(내측으로 접힘되어) 제1 상부 경사 부분(514) 및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의 내벽이 각 캔(170)의 상단부(172)의 경사 부분에 꼭 들어맞게 배열된다.
다음으로, 제1 패널 접는 선(530) 및 제2 패널 접는 선(532)은 제1 천정 벽(510) 및 제2 천정 벽(512)을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일시적으로 계골 접힘되어(바깥쪽으로 접힘되어), 물품 유지 수단(600)의 오목부 지지 탭(604)이 블랭크(500)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된 오목부 지지 탭(604) 각각은 각 캔(170)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에지 부분 내부에 위치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천정 벽(510)과 제2 천정 벽(512)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제1 패널 접는 선(530)과 제2 패널 접는 선(532)이 산 접힘되고(내측으로 접히고), 오목부 지지 탭(604)의 각각이 각 캔(170)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내주면과 맞물린다.
제2 천정 벽(512)은 제1 상부 벽(510)과 중첩되어 제2 천정 벽(512)의 접는 부(552)를 제1 천정 벽(510)의 개구부(558)와 정렬시킨다. 각각의 연결 탭(630)을 각각의 탭 끼움 개구(636)과 대응시켜 제1 천정 벽(510)과 제2 천정 벽(512)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카톤(700)의 천정 벽(7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캔(170)의 상단부(172)를 덮는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부 경사 부분(514)의 일부로 형성된 물품 유지 수단(600)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제1 천정 벽(510)으로부터 제1 측벽(518)을 향해 제1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최대 폭(W1)을 얻은 후에 물품 수용 개구(602) 측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자유 단부를 향해 점차 감소한다. 또한, 제2 상부 경사 부분(516)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물품 유지 수단(600)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제2 천정 벽(512)으로부터 제2 측벽(520)을 향해 제1방향(X)을 따르는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오목부 지지 탭(604)의 폭은 최대 폭(W1)을 얻은 후에 물품 수용 개구(602) 측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자유 단부를 향해 점차 감소한다. 즉, 제1 천정 벽(510) 또는 제2 천정 벽(512)에 연결된 오목부 지지 탭(604)의 기저 단부는 폭(W2)을 가지며, 오목부 지지 탭(604)은 그 기저 단부와 물품 수용 개구(602) 측의 자유 단부 사이에 최대 폭(W1)을 가진다. 따라서, 오목부 지지 탭(604)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오목부 지지 탭(604)의 최대 폭(W1) 이하이고, 오목부 지지 탭(604)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물품 수용 개구(602) 측의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자유 단부에서의 폭과 같거나 작다. 또한, 오목부 지지 탭(604)은 오목부 지지 탭(204)의 폭이 최대 폭(W1)을 갖는 부분에서 오목부 지지 탭(604)의 기저 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제1 천정 벽(510) 또는 제2 천정 벽(512)에 인접한 측 상의 제2 슬릿(608)의 단부(610)는 탭 접는 선(606)을 향해 만곡되어 제1 패널 접는 선(530) 또는 제2 패널 접는 선(532)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단부(610)를 가진 제2 슬릿(608)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는 제1 또는 제2 상부 경사 부분(514, 516) 및 제1 또는 제2 측벽(510, 512)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604)은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612)을 포함하며, 상기 귀 부분(612)은 제2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블랭크(500)로부터 카톤(700)을 조립할 때 캔(170)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내주면에 접한다. 따라서, 캔(170)과 같은 포장되는 물품들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내주벽에 접하는(접촉하는) 오목부 지지 탭(604)의 표면적이 증가되고, 카톤(700)으로부터 탈락에 저항하는 강도가 증가되며, 캔(170)과 같은 포장되는 물품들이 카톤(7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탭 접는 선(606)을 향하여 만곡된 단부(610)를 갖는 제2 슬릿(608)에 의해,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는 제1 또는 제2 상부 경사 부분(514, 516) 및 제1 또는 제2 측벽(510, 512)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는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612)을 형성한다. 또한, 이들 귀 부분(612)은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귀 부분(612)들은 블랭크(500)로부터 카톤(700)을 조립할 때 오목부 지지 탭(604)의 잔여 부분으로 캔(170)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내주면에 접한다. 따라서, 제1 천정 벽(510)과 제2 천정 벽(512)은 일시적으로 외측으로 접혀서 목부 유지 탭(604)을 블랭크(500)로부터 돌출시킨다. 돌출된 각각의 오목부 지지 탭(604)들은 각 캔(170)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에지 부분 내부에 위치된다. 그 후, 제1 천정 벽(510) 및 제2 천정 벽(512)은 내측으로 접혀서 각각의 오목부 지지 탭(604) 각각이 각 캔(170)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내주면과 맞물린다. 이로써, 오목부 지지 탭(608)이 캔(170)과 같은 포장될 물품의 포장 공정 중에, 캔(170)과 같은 포장될 물품의 상단부(172)에 있는 오목부(178)의 내주벽과 보다 신속하게 맞물릴 수 있으며, 포장될 물품의 신속한 포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부(602)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가 제2 슬릿(60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부(602)의 에지 부분 사이에 실질적인 갭은 없으며,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또는 일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부(602)는 서로 접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펀칭 가공에 의해 블랭크(100)에 물품 수용 개구부(602)를 형성할 때, 오목부 지지 탭(604)의 양 측부와 물품 수용 개구부(602)의 에지 사이의 제거될 작은 조작들이 없으며, 물품 수용 개구부(602)에 대응하는 부분이 블랭크(5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의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행 3열로 정렬된 복수의 캔(170)을 포장하는 카톤(700)을 생산하기 위한 블랭크를 설명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본 발명은 1행 3열로 또는 2행 2열로 정렬된 복수의 캔(170)을 포장하는 카톤(700)을 생산하기 위한 블랭크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블랭크가 판지(cardboard)로 제조되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판지 이외의 재료로 제조된 블랭크가 될 수 있으며, 재료가 판지와 같은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다면, 재료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블랭크가 바닥 경사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바닥 경사 부분 및 상부 경사 부분을 가진 블랭크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블랭크는 어떠한 경사 부분을 갖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천정 벽은 측벽에 직접 연결되고, 바닥 벽은 측벽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물품 유지 수단은 제1 측벽과 제1 바닥 벽을 가로질러 또는 제2 측벽과 제2 바닥 벽을 가로질러 제공되거나, 또는 제1 측벽과 천정 벽을 가로질러 또는 제2 측벽과 천정 벽을 가로질러 제공될 수 있다. 제2 물품 유지 수단은 제1 측벽과 바닥 벽을 가로질러 또는 제2 측벽과 바닥 벽을 가로질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를주지의 구성 요소로 적절히 치환할 수 있고, 상기 변형 예들이 적절히 조합될 수도 있다.
100 : 블랭크
110 : 천정 벽
112 : 제1 측벽
114 : 제2 측벽
116 : 제1 바닥 경사 부분
118 : 제2 바닥 경사 부분
120 : 제1 바닥 벽
122 : 제2 바닥 벽
130 : 제1 패널 접는 선
132 : 제2 패널 접는 선
134 : 제3 패널 접는 선
136 : 제4 패널 접는 선
138 : 제5 패널 접는 선
140 : 제6 패널 접는 선
152 : 제1 접는 부분
154 : 제1 접는 선
156 : 한 쌍의 파단선
158 : 제2 접는 부분
170 : 캔
172 : 상단부
174 : 하단부
176 : 둘레 벽
178 : 오목부
180 : 오목부
190 : 제1 슬릿
200 : 물품 유지 수단
202 : 물품 수용 개구
204 : 오목부 지지 탭
206 : 탭 접는 선
208 : 제2 슬릿
210 : 제2 슬릿(208)의 단부
212 : 귀 부분
214 : 귀 부분 접는 선 또는 슬릿
216 : 접는 선
230 : 연결 탭
232 : 절단선
234 : 제2 접는 선
236 : 탭 끼움 개구
240 : 함몰부
242 : 돌출부
244 : 물품 덮개 수단
246 : 제3 접는 선
248 : 접는 조각
250 : 제4 접는 선
252 : 웹(web) 조각
254 : 제5 접는 선
256 : 덮개 조각
258 : 제6 접는 선
260 : 개구
300 : 카톤
302 : 바닥 벽
304 : 패키지
500 : 블랭크
510 : 제1 천정 벽
512 : 제2 천정 벽
514 : 제1 상부 경사 부분
516 : 제2 상부 경사 부분
518 : 제1 측벽
520 : 제2 측벽
522 : 제1 바닥 경사 부분
524 : 제2 바닥 경사 부분
526 : 바닥 벽
530 : 제1 패널 접는 선
532 : 제2 패널 접는 선
534 : 제3 패널 접는 선
536 : 제4 패널 접는 선
538 : 제5 패널 접는 선
540 : 제6 패널 접는 선
542 : 제7 패널 접는 선
544 : 제8 패널 접는 선
550 : 운반 개구
552 : 접는 부분
554 : 제1 접는 선
556 : 실질적으로 "U"자형 절단선
560 : 한 쌍의 파단선
600 : 물품 유지 수단
602 : 물품 수용 수단
604 : 오목부 지지 탭
606 : 탭 접는 선
608 : 제2 슬릿
610 : 오목부 지지 탭(604)의 연결 단부
612 : 귀 부분
614 : 귀 부분 접는 선 또는 슬릿
630 : 연결 탭
632 : 한 쌍의 제5 슬릿
634 : 제2 접는 선
636 : 탭 끼움 개구
638 : 절단선
640 : 제6 슬릿
670 : 제2 물품 유지 수단
672 : 제2 물품 수용 개구
674 : 유지 탭
676 : 원호 형상을 가진 에지
678 : 제7 슬릿
700 : 카톤
702 : 천정 벽
704 : 패키지
W1 :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
W2 :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

Claims (14)

  1. 제1 벽; 및
    제1 패널 접는 선을 통해 적어도 상기 제1 벽에 연결된 제2 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은 물품을 유지하는 물품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물품 유지 수단은 상기 물품의 일부를 수용하는 물품 수용 개구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공된 오목부 지지 탭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는 탭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제1 벽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W1) 이하인, 블랭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적어도 일 측부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는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탭 접는 선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되는, 블랭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폭은 상기 최대 폭을 갖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저 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되는, 블랭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측부는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상기 에지 부분에 접하는, 블랭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접는 선의 상기 일 단부에 인접한 측의 상기 슬릿의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과 상기 제1 패널 접는 선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상기 일 측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을 형성하는, 블랭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은 귀 부분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에 연결되는, 블랭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기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을 향해 만곡되어 있는, 블랭크.
  8. 적어도 일 단부에 오목부를 갖고 실질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가진 물품들을 수용하는 카톤에 있어서,
    제1 벽; 및
    제1 패널 접는 선을 통해 적어도 상기 제1 벽에 연결된 제2 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물품을 유지하는 물품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물품 유지 수단은 상기 물품의 일부를 수용하는 물품 수용 개구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를 향해 돌출하도록 제공된 오목부 지지 탭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는 탭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제1 벽에 연결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기저 단부의 폭(W2)은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최대 폭(W1) 이하인, 카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적어도 일 측부와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에지 부분 사이의 경계는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탭 접는 선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되는, 카톤.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폭은 상기 최대 폭을 갖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기저 단부를 향하여 점차 감소되는, 카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측부는 상기 물품 수용 개구의 상기 에지 부분에 접하는, 카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접는 선의 상기 일 단부에 인접한 측의 상기 슬릿의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과 상기 제1 패널 접는 선을 분할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상기 일 측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의 잔여 부분에 대해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을 형성하는, 카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을 수 있는 귀 부분은 귀 부분 접는 선을 통해 상기 오목부 지지 탭에 연결되는, 카톤.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상기 단부는 상기 탭 접는 선을 향해 만곡되어 있는, 카톤.
KR1020197016034A 2016-12-08 2017-12-07 블랭크 및 카톤 KR102574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38268A JP6890961B2 (ja) 2016-12-08 2016-12-08 ブランク及びカートン
JPJP-P-2016-238268 2016-12-08
PCT/US2017/065015 WO2018106865A1 (en) 2016-12-08 2017-12-07 Blank and car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570A true KR20190093570A (ko) 2019-08-09
KR102574539B1 KR102574539B1 (ko) 2023-09-04

Family

ID=6076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034A KR102574539B1 (ko) 2016-12-08 2017-12-07 블랭크 및 카톤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90300255A1 (ko)
EP (1) EP3551546A1 (ko)
JP (1) JP6890961B2 (ko)
KR (1) KR102574539B1 (ko)
CN (1) CN110023202B (ko)
AU (2) AU2017370909A1 (ko)
BR (1) BR112019011446A2 (ko)
CA (1) CA3046204A1 (ko)
CL (1) CL2019001564A1 (ko)
CO (1) CO2019006664A2 (ko)
MX (1) MX2019006516A (ko)
PH (1) PH12019501196A1 (ko)
TW (1) TWI770088B (ko)
WO (1) WO2018106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578A1 (en) * 2019-02-12 2020-08-20 Westrock Packaging Systems, Llc Panel interlocking device
USD980069S1 (en) 2020-07-14 2023-03-07 Ball Corporation Metallic dispensing lid
CA3223864A1 (en) * 2021-06-22 2022-12-29 Frederic LIMOUSIN Packag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426A (ja) * 1998-03-25 1999-10-12 Mead Corp:The 包装用容器
JP2016533975A (ja) * 2013-10-25 2016-11-04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Inc. 保持機能部を有するカート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8877A (en) * 1931-07-13 1934-08-07 Hoffman Beverage Company Bottle carrier
US2684759A (en) * 1951-04-09 1954-07-27 Container Corp Package with integral handle
US2838223A (en) * 1956-12-28 1958-06-10 Container Corp Can carrier
GB2123385A (en) * 1982-07-15 1984-02-01 Mead Corp Can package
US5167325A (en) * 1991-12-09 1992-12-01 Field Container Company, L.P. Carrier for containers
GB9601746D0 (en) * 1996-01-29 1996-03-27 Riverwood Int Corp Tightening arrangement for paperboard wrap
JP4373285B2 (ja) * 2004-06-10 2009-11-25 ザ ミード コーポレーション カートンおよび包装体
JP5315530B2 (ja) * 2010-12-09 2013-10-16 麒麟麦酒株式会社 マルチパック用包装箱
JP3179070U (ja) * 2012-08-02 2012-10-11 ミードウエストベコ 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 カートンブランクおよびカートン
AU2015219232B2 (en) * 2014-02-21 2019-01-24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retention fea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426A (ja) * 1998-03-25 1999-10-12 Mead Corp:The 包装用容器
JP2016533975A (ja) * 2013-10-25 2016-11-04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Inc. 保持機能部を有するカー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11446A2 (pt) 2019-10-08
PH12019501196A1 (en) 2020-02-24
CN110023202A (zh) 2019-07-16
CL2019001564A1 (es) 2019-08-23
TWI770088B (zh) 2022-07-11
TW201832997A (zh) 2018-09-16
AU2017370909A1 (en) 2019-05-30
AU2023278008A1 (en) 2023-12-21
KR102574539B1 (ko) 2023-09-04
MX2019006516A (es) 2019-10-30
WO2018106865A1 (en) 2018-06-14
US20190300255A1 (en) 2019-10-03
EP3551546A1 (en) 2019-10-16
CO2019006664A2 (es) 2019-07-10
CA3046204A1 (en) 2018-06-14
JP6890961B2 (ja) 2021-06-18
JP2018095262A (ja) 2018-06-21
CN110023202B (zh)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9094B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KR100506870B1 (ko) 브레이스 탭을 구비하는 물품 운반기
US6189687B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EP1015347B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JP3949579B2 (ja) カートン
AU2023278008A1 (en) Blank and carton
KR102105221B1 (ko) 카톤 및 카톤을 형성하는 카톤 블랭크
US20070261990A1 (en) Carton Assembly
WO1999061342A1 (en) Basket-style article carrier with non-stepped side walls
JP2018507143A (ja) 板紙カートン及びカートンブランク
US6568585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JP6957508B2 (ja) パッケージ、カートンおよびそのためのブランク
JP4373285B2 (ja) カートンおよび包装体
WO2000078634A1 (en) Carton and a carton blank
EP1125850B1 (en) Carton and carton blank
EP0946395B1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EP1667918B1 (en) Top gripping article carrier and blank
EP1204564B1 (en) Carton and carton blank
WO2012051369A1 (en) Article carrier carton
EP0970894A1 (en) Paperboard carrier with handle
WO1999051132A1 (en) A tray container and blank
EP1306315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JP2006500286A (ja) 物品用カートンおよびそのためのブランク
JP2013173559A (ja) ブランク、カートン、及びマルチパック缶ユニット
MXPA98001542A (en) Support device for packaging fixed articles fixed irregular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