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268A -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3268A KR20190093268A KR1020180012675A KR20180012675A KR20190093268A KR 20190093268 A KR20190093268 A KR 20190093268A KR 1020180012675 A KR1020180012675 A KR 1020180012675A KR 20180012675 A KR20180012675 A KR 20180012675A KR 20190093268 A KR20190093268 A KR 201900932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dio signal
- data
- tones
- reference data
- microphone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8 discontinuous diafiltration by volum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마이크부를 구비한 디바이스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chord)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코드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prese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텍스트 기반 및 그래픽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이어 소리 신호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소리 신호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제어 방법과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포함한다. 이 중, 음성인식을 이용한 제어 방법은 음성명령을 STT(Speech-To-Text) 처리한 텍스트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바이스가 상기 텍스트 데이터와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음성명령을 통한 디바이스 제어의 정확도는 음성명령을 얼마나 정확히 STT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므로, STT의 성능이 낮으면 음성명령이 그와 대응되는 텍스트 데이터로 정확히 변환되지 않아 디바이스가 상기 음성명령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달리,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제어 방법은 STT 처리 없이도 오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코드(chord)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와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T처리는 텍스트 데이터로의 변환 품질이 사용자의 말투, 포함된 어휘, 음의 높낮이, 음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디바이스 제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동기화된 둘 이상의 악기 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악기 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보이스 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마이크부를 구비한 디바이스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chord)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코드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prese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둘 이상의 악기 톤(to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보이스(voice) 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셋 동작은, 상기 디바이스의 켜기, 끄기, 녹음 개시, 영상이나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또는 중지 및 볼륨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로 제어되는 디바이스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부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둘 이상의 악기 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보이스 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셋 동작은, 상기 디바이스의 켜기, 끄기, 녹음 개시, 영상이나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또는 중지 및 볼륨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범위를 설명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을 통해 권리로서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 제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코드(chord) 데이터 및 멜로디(melody)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높이가 다른 둘 이상의 음이 함께 어울리는 소리로 화음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멜로디는 음의 높낮이의 변화가 리듬과 연결되어 하나의 음악적 통합으로 형성되는 음의 흐름으로 선율, 곡조 또는 가락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은 피아노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C major 코드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에는 피아노가 도시되어 있으나, 기타, 우쿨렐레, 거문고, 가야금 등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악기가 디바이스(100)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피아노에 Do, Mi, Sol 톤이 생성이 인가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톤들은 4개 이상 또는 2개로 구성될 수 있고, 코드 데이터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톤들을 추출하거나, 비동기화된 복수의 톤들을 동기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비동기화된 복수의 톤들을 동기화하지 않고, 그 복수의 톤들이 포함된 멜로디 데이터와 레퍼런스 데이터가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을 동기화시키거나 상기 비동기화된 톤들을 포함하는 멜로디를 이용하더라도 디바이스(100) 제어가 가능하므로,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악기(예를 들면, 관악기 등)도 디바이스(100)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람의 보이스(즉, 목소리) 역시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보이스 역시 디바이스(100)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보이스를 통한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손으로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바이스(100) 제어에는 C, D, E, F, G, A, B 코드 및 그와 연관된 코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 Cm, Cdim, C+, CM7, C7, Cm7, Cdim7, C7sus4, C6, Cm6 등 C 코드와 관련된 모든 코드가 디바이스(100)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데이터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지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을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코드 데이터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지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멜로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멜로디 데이터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지 비교할 수 있다.
코드 데이터(또는 멜로디 데이터)가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프리셋(preset) 동작은 디바이스(100)의 전원 켜기/끄기, 녹음 개시/중지, 영상이나 오디오의 재생/중지, 볼륨의 증가/감소,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비활성화 등 다양한 동작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부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는 둘 이상의 악기 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또는 비동기화)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보이스(voice) 톤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또는 그래픽 기반의 디바이스(100) 제어와 달리,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디바이스(100) 제어 방법은 원격으로 디바이스(100) 제어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입력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면, 손, 손가락 등)이 다른 작업을 수행하고 있더라도 목소리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한 디바이스(100) 제어 방법은 STT 처리 성능에 동작 수행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 음성인식 제어 방법과 달리 균일한 정확도의 동작 수행을 제공한다.
<코드 데이터를 이용한 디바이스(100) 제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100).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C major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C minor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B major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화음 데이터를 추출한다(S110).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 C major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 C minor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 B major를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화음 데이터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한다(S120).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각의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프리셋 동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레퍼런스 데이터가 C major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전원 켜기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C minor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전원 끄기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D major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녹음 개시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D minor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녹음 중지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B major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볼륨 증가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B minor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볼륨 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C major가 레퍼런스 데이터 C major와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디바이스(100) 전원 켜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C minor가 레퍼런스 데이터 C minor와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디바이스(100) 전원 끄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B major가 레퍼런스 데이터 B major와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볼륨 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비동기화된 톤에 기초하여 생성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한 디바이스(100) 제어>
현악기와 달리, 사람의 목소리(voice)나 관악기의 경우 동기화된 톤을 생성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둘 이상의 톤이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되어 있더라도, 상기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을 동기화함으로써 코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에 비동기화된 톤인 Do, Mi, Sol이 포함된 경우, 상기 톤에 기초하여 코드 데이터 C major를 생성할 수 있다.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들로부터 생성되는 코드 데이터는 코드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둘 이상의 비동기화된 톤의 시간적 순서에 연관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동일한 코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o, Sol, Mi(Sol, Mi, Do 순서 또는 Mi, Do, Sol 순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임) 순서로 톤이 발생하더라도 디바이스(100)는 상기 톤들로부터 코드 데이터 C major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에 중복되는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대응되는 코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동기화된 톤이 Do, Do, Mi, Sol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상기 톤들로부터 코드 데이터 C major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200).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비동기화된 톤인 Do-Mi-Sol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비동기화된 톤인 Mi-Sol-Ti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비동기화된 톤인 Re-Fa-La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에 코드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210).
판단 결과, 오디오 신호에 코드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비동기화된 톤에 기초하여 코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일례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비동기화된 톤인 Do-M-Sol을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상기 비동기화된 톤인 Do-M-Sol에 기초한 코드 데이터 C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비동기화된 톤인 Mi-Sol-Ti를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상기 비동기화된 톤인 Mi-Sol-Ti에 기초한 코드 데이터 Em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비동기화된 톤인 Re-Fa-La를 포함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상기 비동기화된 톤인 Re-Fa-La에 기초한 코드 데이터 Dm을 생성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오디오 신호에 코드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와 대응되는 경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한다(S230).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각의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프리셋 동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레퍼런스 데이터가 C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영상 재생 개시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Em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영상 재생 중지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Dm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최근 통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C가 레퍼런스 데이터 C와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영상 재생 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Em이 레퍼런스 데이터 Em과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영상 재생 중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데이터 Dm이 레퍼런스 데이터 Dm과 대응되므로 ,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최근 통화 번호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동기화된 톤들로부터 생성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를 제어함으로써 목소리(voice)나 관악기 등과 같이 동시에 둘 이상의 톤을 생성하기 어려운 도구(instrument or tool)로도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멜로디 데이터를 이용한 디바이스(100) 제어>
현악기와 달리, 사람의 목소리(voice)나 관악기의 경우 동기화된 톤을 생성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둘 이상의 톤이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되어 있더라도, 상기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이 구성하는 멜로디에 기초한 멜로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에 비동기화된 복수의 톤인 Do-Re-Mi가 시간적 순서에 따라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톤이 구성하는 멜로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톤들로부터 생성되는 멜로디 데이터를 그 자체로 이용할 경우, 상기 둘 이상의 톤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연산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디바이스(100)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300).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비동기화된 톤인 Do-Re-Mi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비동기화된 톤인 Mi-Re-Do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비동기화된 톤인 Do-Mi-Mi가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멜로디 데이터를 추출한다(S310).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멜로디 데이터 Do-Re-Mi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멜로디 데이터 Mi-Re-Do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멜로디 데이터 Do-Mi-Mi를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멜로디 데이터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한다(S320).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각의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프리셋 동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레퍼런스 데이터가 Do-Re-Mi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전원 켜기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Mi-Re-Do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전원 끄기를 수행할 수 있고, 레퍼런스 데이터가 Do-Mi-Mi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녹음 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멜로디 데이터 Do-Re-Mi가 레퍼런스 데이터 Do-Re-Mi와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디바이스(100) 전원 켜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멜로디 데이터 Mi-Re-Do가 레퍼런스 데이터 Mi-Re-Do와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디바이스(100) 전원 끄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디바이스(100)는 멜로디 데이터 Do-Mi-Mi가 레퍼런스 데이터 Do-Mi-Mi와 대응되므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되는 동작인 디바이스(100) 전원 끄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멜로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를 제어함으로써, 목소리나 관악기, 타악기 등과 같이 동시에 둘 이상의 톤을 생성하기 어려운 도구로도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음의 길이를 이용한 디바이스(100) 제어>
도시되지 않았으나, 음의 길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음(Do, Re, Mi, Fa, Sol, La 및 Ti 중 어느 하나)을 미리 정해진 음의 길이(예를 들면, 1박 또는 1박 내지 2박의 길이)로 낼 경우, 디바이스(100)가 프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음이 Do이고 미리 정해진 음의 길이 1박인 경우, 1박의 Re 음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디바이스(100)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지속시간(즉, 음의 길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상기 지속시간 데이터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의 길이가 미리 정해진 음의 길이를 초과하더라도 제2 미리 정해진 음의 길이를 더 초과할 경우, 디바이스(100)가 프리셋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음이 Re이고,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음도 Re이며, 미리 정해진 음의 길이가 1박이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음의 길이가 2박을 초과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프리셋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100) 제어에 음의 길이를 더 이용함으로써,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 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런,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 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 마이크부를 구비한 디바이스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chord)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코드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preset)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둘 이상의 악기 톤(tone)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보이스(voice) 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동작은, 상기 디바이스의 켜기, 끄기, 녹음 개시, 영상이나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또는 중지 및 볼륨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부; 및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데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대응되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와 매핑된 프리셋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둘 이상의 악기 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디바이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악기 톤은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디바이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시간적으로 비동기화된 둘 이상의 보이스 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동작은, 상기 디바이스의 켜기, 끄기, 녹음 개시, 영상이나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또는 중지 및 볼륨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675A KR20190093268A (ko) | 2018-02-01 | 2018-02-01 |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675A KR20190093268A (ko) | 2018-02-01 | 2018-02-01 |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268A true KR20190093268A (ko) | 2019-08-09 |
Family
ID=6761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2675A KR20190093268A (ko) | 2018-02-01 | 2018-02-01 |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9326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7005A1 (ko) * | 2021-03-16 | 2022-09-22 | 주식회사 코클 | 오디오 신호 기반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
-
2018
- 2018-02-01 KR KR1020180012675A patent/KR201900932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97005A1 (ko) * | 2021-03-16 | 2022-09-22 | 주식회사 코클 | 오디오 신호 기반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6824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
EP4295353A1 (en) | Unsupervised parallel tacotron non-autoregressive and controllable text-to-speech | |
US1019903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normalization in text-to-speech an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
JP6078964B2 (ja) | 音声対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CN110675886B (zh) | 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JP6980603B2 (ja) | 話者モデル作成システム、認識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装置 | |
KR20210043995A (ko) | 모델 학습 방법 및 장치, 및 시퀀스 인식 방법 | |
JP5175325B2 (ja) | 音声認識用wfst作成装置とそれを用いた音声認識装置と、それらの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憶媒体 | |
US10878835B1 (en) | System for shortening audio playback times | |
EP4158619B1 (en) | Phrase-based end-to-end text-to-speech (tts) synthesis | |
JP2001282277A (ja) | 音声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と記憶媒体 | |
KR20220134347A (ko) | 다화자 훈련 데이터셋에 기초한 음성합성 방법 및 장치 | |
JP2009265276A (ja) | 支援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方法 | |
KR102072627B1 (ko) | 음성 합성 장치 및 상기 음성 합성 장치에서의 음성 합성 방법 | |
JP2021144238A (ja) | 発音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こ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KR20190093268A (ko) |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
KR20190084859A (ko) | 의미론적으로 생성된 결과 세트에 기초하여 오디오 스트림을 라우팅하는 기법 | |
JP2017198790A (ja) | 音声評定装置、音声評定方法、教師変化情報の生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160036995A (ko) | 음성 신호 전처리 방법 및 장치 | |
WO2020110744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4877112B2 (ja) | 音声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WO2018236962A1 (en) | AUTONOMOUS TOUR-PAGE FOR PARTITION | |
JP6680029B2 (ja) | 音響処理方法および音響処理装置 | |
CN112542159B (zh) | 一种数据处理方法以及设备 | |
KR102140438B1 (ko) | 오디오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의 동기화 서비스를 위해 텍스트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에 매핑하는 방법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