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095A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Battery Charging - Google Patents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Battery Charg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3095A KR20190093095A KR1020180012586A KR20180012586A KR20190093095A KR 20190093095 A KR20190093095 A KR 20190093095A KR 1020180012586 A KR1020180012586 A KR 1020180012586A KR 20180012586 A KR20180012586 A KR 20180012586A KR 20190093095 A KR20190093095 A KR 201900930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nit
- vehicle
- user
- c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8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3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20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8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0 graph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06Q50/3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vehicle position or surrounding, e.g. GPS-based position or tun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촉매 물질을 코팅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한 지정 개수의 광촉매 패널과 UV(UltraViolet)-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지정 개수의 UV램프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공기정화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 정화를 운영하면서 차량내의 상황을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음파신호를 입출력하는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모듈과,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모듈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모듈을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음파모듈을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모듈을 통해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위치모듈을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운영모듈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photocatalyst panels in which a plurality of silicon-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are coated in a panel form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emitting UV in a UV (UltraViolet) -A wavelength band are arranged in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A sound wave module having an air purification module, and operating the air purificat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to recognize the situation in the vehicle and to provide a service to the sound wave module to input and output the sound wave sig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 short distance module for proces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location module for acquiring position coordinates, and a power module for applying power,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short-range module, and the sound wave module Spoken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is recogniz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vehicle power and charging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module Determines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the power supply status of any one power supply, and upon emergency check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module to the designated contact when checking the battery dischar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an oper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of outputting an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to a user and informing or canceling an emergency call request according to a user's ignition instruction.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는 기관제어시스템에 집적되어 있는 차량 진단/감시 시스템이다. OBD는 전 운전영역에 걸쳐 차량 내부의 모든 시스템을 감시하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OBD스캐너와 연결되어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한편 OBD는 차량 진단/감시 중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내역을 ECU에 저장하며, OBD스캐너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를 조회할 수 있다.The vehicle's On-Board Diagnostics (OBD) is a vehicle diagnostic / monitoring system integrated in an engine control system. OBD monitors all the systems inside the vehicle throughout the entire driving area and processes them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the OBD scanner via the standard interface. On the other hand, if a failure occurs during vehicle diagnosis / monitoring, the OBD stores the failure history in the ECU, and the OBD scanner can query the standard interface.
한편 주지의 OBD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진단/감시 조회 서비스 이외에, 최근 블루투스 기능과 표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OBD 어댑터를 차량 OBD의 표준 인터페이스 연결하여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응급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하여 광대역망의 단말장치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13379호(2011년10월17일))이 공지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vehicle diagnostic / monitoring service using a well-known OBD scanner, an OBD adapter equipped with a recent Bluetooth function and a standard interface is connected to a standard interface of the vehicle OBD to obtain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extract an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Bluetooth function.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ystem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3379 (October 17, 2011))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a terminal device of a broadband networ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bridge has been known.
그러나 종래에 OBD스캐너를 이용한 차량 진단/감시 조회 서비스 이외에 차량 OBD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하여 다른 단말장치로 알림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 정작 차량 내 사용자에게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브릿지로 이용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원이 지속적으로 브릿지 기능으로 점유 이용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연의 기능(예컨대, 전화통화, 인터넷 등)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in addition to the vehicle diagnosis / monitoring service using the OBD scanner, the service provided by the vehicle OBD conventionally provides only a notification service to other terminal devices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bridge, and provides a service necessary for the user in the vehicle. 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used as a bridge, the resources of the mobile terminal are continuously occupied and used as a bridge function, thereby limiting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telephone call and the Internet). I have a problem.
한편,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속의 먼지나 세균 따위를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차량용으로 개발되어 차량에 장착하는 형태도 만들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cleans the air by filtering out dust and bacteria in the air, it is widely used in homes and offices, etc. Recently, it has been developed for the vehicle has also been made in the form of mounting on the vehicle.
그러나, 최근 널리 알려진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단순한 공기정화 기능 밖에 없어 좀 더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However, recently known vehicle air purifiers are cumbersome to have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ilters, and there is only a simple air purifying function, which is a need for a more versatile metho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촉매 물질을 코팅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한 지정 개수의 광촉매 패널과 UV(UltraViolet)-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지정 개수의 UV램프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공기정화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 정화를 운영하면서 차량내의 상황을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과,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에 대응하는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를 구비한 전원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모듈을 통해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음파모듈을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모듈을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위치모듈을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운영모듈이 구비된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emit a UV of UV (UltraViolet) -A wavelength band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photocatalyst panels in which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are integrally formed in a panel form. Sound purification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arranged in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and operating the air purification inside the vehicle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to receive a sound wave signal to recognize the situation in the vehicle to provide a service A sound wave module having an input unit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near field module having a near field wireless unit for proces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 GPS (Global Positioning) A position module having a position positioning unit for acquiring position coordinates, And a power module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nd a power charging unit for charg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n-board diagnostics (OBD) through the short-range module.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rough one or more information among the utteran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d and processed by the sound wave module and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vehicle power or the charging power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module. When grasping the discharge status and confirms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to request the emergency call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module to the designated contact and at the same time to output the emergency call request status to the user or to inform the emergency call according to the user's ignition instructions Emergency charging of battery with operation module equipped with a function to cancel the request It is a vehicle air-purifying device to provide a service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는, 광촉매 물질을 코팅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한 지정 개수의 광촉매 패널과 UV(UltraViolet)-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지정 개수의 UV램프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공기정화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 정화를 운영하면서 차량내의 상황을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운영모듈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과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과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에 대응하는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를 구비한 전원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OBD 연동부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화 인식부와,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와,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hotocatalyst panels in which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are formed in a panel form, and UV in a UV (UltraViolet) -A wavelength band. The air purifying module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emitting a predetermined number in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The air purifying module operates sound purification inside the vehicle and recognizes a situation in the vehicle to provide a sound wave signal. In the air purifying device comprising a sound wave module having a sound wav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quire a localized module having at least one short range wireless unit to process and position coordinates measured through GPS. Is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and applying a vehicle power, a power supply unit for charg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an OBD module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and a near field unit. OBD interworking unit for acquir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putt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to recognize the user's utterance A speech recognition unit performing a procedure of acquiring the processed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 positioning unit confirm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acquired through the position positioning unit, and whether the vehicl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 power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charging power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is applied; Any one of vehicl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unit,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nd processed by the language, and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A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approval information on the power supply state, and notifies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tate by using a designated contact. A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the utterance output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 ignition for the cancellation of the emergency call request or the ignition information to output the utterance to the user, and the audibl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i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Including the identified position information while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of a band 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including a servic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and notify a designated conta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양 면을 지니게 제작된 M(M≥2)개의 광촉매 패널을 구비하며,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의 지정된 각 면에 순차 접촉하면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Flowing Path)를 형성하도록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을 지그재그 배치하는 프레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module is provided with M (M≥2) photocatalyst panels manufactured with both sides of a designated geometry, and suctioned from the outside. And a frame portion for zigzag arranging the M photocatalyst panels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flows while sequentially contacting each designated surface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상기 광촉매 패널의 일 면과 상기 UV램프부 사이의 거리관계를 18㎜~30㎜의 수직거리에 대응하는 거리관계로 배치하는 프레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module,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on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uni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stance of 18mm ~ 30mm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frame portion arranged in a distance relationship.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상기 광촉매 패널의 일 면과 상기 UV램프부 사이의 거리관계를 지정된 수직거리 d의 거리관계로 배치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광촉매 패널의 동일한 면으로 UV를 방출하는 n(2≤n≤N)개의 UV램프부 사이의 간격관계를 지정된 램프간격 L의 간격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램프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정된 방사각 θ는, 90°~160°의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수직거리 d는, 18㎜~30㎜의 거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램프간격 L은, 지정된 최대 간격 Lmax(Lmax = 2*d*tan(θ/2)) 이내의 간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module,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on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unit arranged to a distance relationship of a specified vertical distance d And a lamp arrangement portion for arranging and fixing a spacing relationship between n (2 ≦ n ≦ N) UV lamp portions emitting UV to the sam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t a spacing relationship of a specified lamp spacing L. The radial angle θ comprises an angle of 90 ° to 160 °, the designated vertical distance d includes a distance of 18 mm to 30 mm, and the specified ramp interval L is a specified maximum distance Lmax (Lmax = 2 * d * tan (θ / 2)).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로를 유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설정된 지정된 회전속도 v로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 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정된 회전속도 v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의 각 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유로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적어도 지정된 유동시간 s(s≥0.5)초 이상 소요되는 압력을 생성하는 회전속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module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v set to generate a pressure for flowing the flow path by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It further comprises a fan unit, wherein the designated rotational speed v,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flows through the flow path that sequentially contacts each side of the M photocatalyst pane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least specified flow time s (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al speed to generate a pressure that takes more than ≥0.5) seconds.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UV램프부는, 350mA(±10mA)의 정전류와 적어도 DC 3.6V 이상(또는 DC 3.6V ~ 4.0V)의 전압 조건을 만족하는 동작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star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V lamp unit satisfies the constant current of 350mA (± 10mA) and the voltage conditions of at least DC 3.6V or more (or DC 3.6V to 4.0V)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power to be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상기 UV램프부와 열전도성 재질로 연결되어 상기 UV램프부의 UV 발광 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전도받아 방열하는 방열핀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UV lamp unit and a thermal conductive material to conduct heat to conduct heat radiated during the UV light emitting process of the UV lamp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 radiation fin.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배터리 방전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e battery discharge stat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nform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ag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to.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을 판독하여 배터리 방전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by reading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to check the user's speech content associated with the battery discharge batte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to grasp the discharge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과,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충전 전원의 인가됨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a function of identifying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by checking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is not appli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And one or more functions of checking a power supp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harging power through the power checking unit to determine a battery discharge stat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s first identified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age unit; And a function of finally identifying the actual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at least one of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nd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power confirm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e first to identify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rough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the OBD interworking And a function of finally identifying the actual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power supply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ower verif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황 파악부는,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전원인가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e first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the power authoriza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and the vehicle through the OBD linkage And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OBD, and at least one of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는,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information, one of the emergency dispatch reception server information of the insurance company contracted with the user, the emergency dispatch reception telephone information of the insurance company contracted with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bov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the emergency call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protocol agreed with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if the contact information includes the server information And configuring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if the contact information includes phone number information, constitutes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a speech by a specified voice, the communication unit Process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phone call function of the call device to check whether the call is received, and when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call device by the call device, a designated voice is connected. And outputt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hrough the telephone call channel to transmit a voice to the cal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by checking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 of the other party received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to provide a speech recognition unit, When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is obtained, the response content that responds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utterance conten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with a specified voice is obtained. And a function of uttering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with a designated voice to transmit the voice to the call apparatus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includes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the telephone communication mode with the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near field via the designated near field wireless unit Emergency short-range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mak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connect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e or a telephone call enabled mode with a user wireless terminal, and outputting a speech in a designated voice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a telephone call enabled mode. And to process a request for a call connection from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o a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firm that the call device is received, and to receive the call from the call device.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call If between connected the telephone channel to the ignition output the roadside assistance request information to the specified voice via sai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function of processing to transmit the voi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speech content of the other party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lephone call channel Aft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nd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speech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is obtained, the respon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checked to confirm the designated voice. And the function of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and outputting the speech,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by a designated voice, and transmitting the speech to the telephone apparatus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by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는,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at least one of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on output of the vehicle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on output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respon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by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is a virtual person, by telephon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battery char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a vehicle in which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ignition output, and the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the vehicle for explaining the user of the vehicle discharged battery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other party's utterances for the query cont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nswer spoken information for outputting the content spoken.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 요청 확인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a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in a telephone call enabled mode with a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in a short distance through a designated short-range wireless unit, or Check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and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interworking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via a predetermined call device via a telephone network. Checks whether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made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confirm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nect a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a call device. Made up of functions The features.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 시 지정된 음성으로 배터리방전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that can output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by the specified voice when the telephone call channel connection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call device; And a function of uttering and outputt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by a designated voice to transmit a voice to the call apparatus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all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방전상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to notify the other party to the telephone call that the subject who is uttered by the specified voice is not a user but a virtual personality; Characterized in that mad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방전상황정보는,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battery char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at least one of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utterance output and descrip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for the vehicle,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utterance output and description of user information for the us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speech content of the other party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lephone call channel Aft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nd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speech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is obtained, the respon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checked to confirm the designated voice. And the function of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and outputting the speech,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by a designated voice, and transmitting the speech to the telephone apparatus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respon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by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is a virtual person, by telephon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battery charg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a vehicle in which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ignition output, and the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the vehicle for explaining the user of the vehicle discharged battery generat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other party's utterances for the query cont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nswer spoken information for outputting the content spoken.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을 확인하고,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 확인 시 상기 OBD 연동부와 연동하여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과 비상등 점등 동작과 경음기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confirms the access within the specified range of the emergency vehicle, the designated range of the emergency vehicle And at least one vehicl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headlight lighting operation, the emergency light lighting operation, and the horn output operation through the OBD of the vehicle by interlocking with the OBD interwork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광촉매 물질을 코팅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한 지정 개수의 광촉매 패널과 UV(UltraViolet)-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지정 개수의 UV램프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공기정화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 정화를 운영하면서 차량내의 상황을 인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발화한 발화내용을 인식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 서비스를 자동으로 요청함으로써, 배터리 방전 상황을 자동 인식하여 자동으로 배터리 충전을 위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photocatalyst panels in which a plurality of silicon-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are formed into a panel form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 units emitting UVs in the UV (UltraViolet) -A wavelength band are designated. An air purifying module disposed in the air purifier, and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cquired from the OBD of the vehicle to provide a service by recognizing a situation in the vehicle while operating air purification in the vehicle through the air purifying module;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nd the user's utterance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utterances ignited in the vehicle and the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on the power supply state applied to the vehicle air purifier.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and the battery is discharged to the designated contact, By requesting a dispatch service automatically, there is an advantage of automatically requesting roadside assistance for battery charging as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battery discharge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을 근거로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자동 요청한 경우에 사용자가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기 위해 지정된 발화를 하면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discharge service is automatically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based on the battery discharge confirmation by grasp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of the vehicle, the user recognizes this when the designated ignition is made to cancel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nd automatically exits the emergency exit. There is an advantage to canceling the ser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을 근거로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자동 요청한 후에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로 걸려오는 전화 통화를 대신 받아 응대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접근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잡하게 개입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긴급출동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grasp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of the vehicle to automatically request the emergency call service to the designated contact based on the battery discharge confirmation after receiving the telephone call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for the emergency call service instead of the emergency call By inducing access of the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s automatically handled without complicated intervention by the user.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0)에 구비된 운영모듈(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장치(200)와 운영서버(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자동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ovided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200 and the operation serv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by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request proc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request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request proc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processing of an emergency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wn below are for the preferred method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below.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In other words, the following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ion form among a number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or omit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n the following embodiment, or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An embodiment of dividing a function implemented in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an embodiment,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ncorporating a function implemented in two or more configurations (or steps) into one configuration (or step). Embodiments to replace the order of operation, etc.,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in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apparent that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not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a subset or a filter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divided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nly.
도면1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제작된 지정 개수의 공기정화 패널과 UV(UltraViolet)-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공기정화모듈(110)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의 공기 정화 동작을 제어 내지 운영하면서 공기 정화 중인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인식하여 상기 상황 인식에 근거한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듈(200)을 구비한 차량 거치형 공기정화장치(100)의 측면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ore specifically, FIG. 1 shows a predetermined number of air purification panels and UV (UltraViolet) -A wavelength bands, which are manufactured in a specified geometric structure by integrally molding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in a panel form. Air purifying module 110 having UV lamps 120 arranged in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and controlling or operating an air purifying operation of the air purifying module 110 to control various operations occurring in the air purifying vehicle. As a sid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vehicle-mounted air purifier 100 having an operation module 200 that recognizes and provid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the situation recogn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Gr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ing device 100 (e.g., some components are omitted)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the present figure. Or, or would be able to infer the granular or, or combined embodiment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ny exemplary way in which the inference, to which the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method shown in the figure 1.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사용자의 차량 내부에 거치 가능하며 광촉매 물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이나 차량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무해한 성분으로 분해하여 정화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사용자의 차량 내부의 컵홀더에 거치 가능한 텀블러 형태의 하우징부(105) 외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하우징부(105) 외형이 텀블러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사용자의 차량 내부에 거치 가능한 외형이라면 어떠한 외형(예컨대, 보관함에 거치 가능한 외형, 시트의 등받이 부분에 거치 가능한 외형 등)이라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0)를 거치 가능한 공간이 차량 내부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부가 아니더라도 화장실이나 공부방 독서실 등과 같은 사용자의 개인 공간 등에도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0)를 거치하여 사용 가능하나,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차량 내부에 거치되어 차량의 주정나나 운행 중에 동작하는 공기정화장치(100)의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hich can be carried by a user or mounted inside a user's vehicle, and decomposes and cleanses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user or inside the vehicle into harmless components by using a photocatalytic material. As a generic te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outer shape of the housing portion 105 of a tumbler type which the user can carry or mount on the cup holder inside the user's vehicle. However, the outer shape of the housing portion 105 of the air purifier 100 is not limited to a tumbler shape, and any shape (for example, a shape that can be mounted in a storage box or a seat if the user can carry or mount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appearance etc. which can be mounted to a backrest part) sh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the space in which the air purifi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s not limi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the air purifi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even in a personal space of a user such as a toilet or a study room reading room even if the vehicle is not inside the vehic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based on the embodiment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mounted inside the vehicle and operating during the driving or driving of the vehicle.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지정 개수의 광촉매 패널과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정화하는 공기정화모듈(110)과,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의 공기 정화 동작을 제어 내지 운영하면서 공기 정화 중인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인식하여 상기 상황 인식에 근거한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모듈(200)과, 상기 운영모듈(200)과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모듈(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정화모듈(110)과 운영모듈(200)을 구비 가능한 지정된 외형의 하우징부(105)와, 차량 내부를 포함하는 지정된 거치 공간에 거치하기 위한 받침부(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운영모듈(200)의 기능적 구성과 이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는 도면y를 통해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상 본 도면1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purifier 100 is configured to purify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air sucked from the outside by arrang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photocatalyst panel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in a predetermined geometric relationship. An operation module for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the situation recognition by recognizing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the vehicle being air purified while controlling or operating an air purification operation of the purification module 110 and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 200, and an interface module 160 for implementing an interface between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the user, the housing portion of the specified appearance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105 and a support 155 for mounting in a designated mounting space includ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Meanwhile,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a detailed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Y, and for convenienc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하우징부(105)는 공기정화장치(100)의 외형을 구현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공기정화모듈(110)과 운영모듈(200)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수용 공간과 지정된 외형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105)는 텀블러 형태의 외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part 105 is a generic name of a component that implements the external shape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and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a designated external structure.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105 may include an outer shape of a tumbler form.
상기 받침부(155)는 지정된 거치 공간에 공기정화장치(100)를 거치하기 위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155)는 차량 내부의 컵홀더에 거치 가능한 텀블러 형태의 외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붕의 구조만으로도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지정된 거치 공간에 거치 가능한 경우, 상기 받침부(15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support part 155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for mounting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in a designated mounting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155 may be mounted on a cup holder in a vehicle. It may include the appearance of the form. On the other hand, even if only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shelf, i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can be mounted in the designated mounting space, the support 155 can be omitted, thereby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은 상기 운영모듈(200)과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구성부 집합의 총칭으로서, 하우징부(105)의 일 측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본 도면1의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부(105)와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은 본 도면1의 실시예와 같이 텀블러 형태의 하우징부(105)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은 하우징부(105)의 일 측(예컨대, 옆 면 등)에 구비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The interface module 160 is a generic term for a set of components for implementing an interface between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the user,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05 and / o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105. For example, the interface module 160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05 of the tumbler shap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odule 160 is also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provided on one side (eg, side, etc.) of the housing portion 105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도면1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이 텀블러 형태의 하우징부(105)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정화모듈(110)의 팬부(150)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유로 상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은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의 팬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예컨대, 공기정화모듈(110)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16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부(165)는 창살 형태의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interface module 16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mbler-shaped housing part 105 to be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formed by the fan unit 150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In this case, the interface module 160 is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an portion 150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for example,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to the outside ( 165). The discharge part 165 preferably includes a grate-shaped hole.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은, 공기정화모듈(110)의 동작을 제어 내지 운영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와, 공기정화모듈(110)의 동작을 제어 내지 운영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터치입력부(17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interface module 160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an oper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and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an oper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The touch input unit 175 receives a user input.
상기 정보표시부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온/오프 선택, 모드 선택, 특정 기능 활성/비활성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터치입력부(175)는 상기 정보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조작 입력(예컨대, 온/오프 터치 입력, 모든 선택 터치 입력, 특정 기능의 활성/비활성 터치 입력 등)을 터치 입력받아 운영모듈(200)로 제공한다.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for on / off selection, mode selection, and specific function activation / deactiv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touch input unit 175 is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operation inputs (eg, on / off touch inputs, all selected touch inputs, active / inactive touch inputs of a specific function, etc.) are input to the operation module 200.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은, 운영모듈(200)의 음파 출력을 위한 스피커와, 운영모듈(200)의 음파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본 도면1의 실시예와 같이 정보표시부나 터치입력부(175)의 내 측에 스피커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정보표시부나 터치입력부(175)는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된 음파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멍의 넓이는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 면적의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 the interface module 16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wave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sound wave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When the speaker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or the touch input unit 175 as shown in the exampl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or the touch input unit 175 preferably has a hole for transmitting the sound wave output by the speaker to the outside. The area of the hole is preferably 30% or more of the diaphragm area of the speaker.
상기 스피커는 상기 운영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운영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신호강도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운영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공기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운영모듈(200)로 제공하며, 상기 운영모듈(200)은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음파신호를 입력처리한다. The speak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outputs a sound wave signal having a specified signal strength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micropho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module 200, converts the vibration of the ai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operation module 200 provides a sound wa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Input processing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은,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양 면을 지니게 제작된 광촉매 패널과, 지정된 UV-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UV램프(120)부와, 상기 광촉매 패널과 UV램프(120)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배치 고정하는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광촉매 패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정된 일 측 방향으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40)와, 광촉매 패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140)와 다른 일 측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145)를 구비하며, 상기 흡입부(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광촉매 패널에 접촉시키는 지정된 유로를 유동시킨 후 상기 배출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압력을 생성하는 팬부(150)를 더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includes a photocatalyst panel fabricated to have both sides of a specified geometry by integrally molding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material in a panel form, and a designated UV-A. UV lamp portion 120 that emits UV in the wavelength band, and a frame portion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120 to form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one side direction specifi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A suction unit 140 for sucking outside air from the air, and a discharge unit 145 for discharging air in on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uction unit 14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suction unit ( A fan unit 150 which draws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140 and flows a designated flow path for contacting the photocatalyst panel and generates pressure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5. And a.
광촉매 물질은 빛을 받아들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광촉매 물질은 산화티탄(TiO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산화티탄은 UV를 받아들여 규소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물질의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특징을 지니다.The photocatalytic material is a generic term for a material that receives light to promote a chemical reaction. Preferably, the photocatalytic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itanium oxide (TiO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tanium oxide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UV and promoting the chemical reaction of almost all materials except silicon.
본 발명의 광촉매 패널은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양 면을 지니게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 패널은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직경 0.4㎜~1.5㎜의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하면서 지정된 두께 t(4㎜≤t≤12㎜)와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양 면을 지닌 패널 형태로 성형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지정된 두께 t(4㎜≤t≤12㎜)의 패널 형태로 집적하여 성형한 후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양 면을 지닌 패널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광촉매 패널의 두께가 6㎜ 내외인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photocatalys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have both sides of a designated geometry by integrally molding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material in the form of a panel.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atalyst panel has a specified thickness t (4 mm ≦ t ≦ 12 mm) and a specified geometry while integrating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having a diameter of 0.4 mm to 1.5 mm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in the form of a panel. Designed or fabricated in the form of a panel having both sides of the structure, or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the photocatalytic material are integrated into a panel having a specified thickness t (4 mm ≤ t ≤ 12 mm) and then shaped. It can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into a panel having both sides of.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hotocatalyst panel is about 6 mm.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 패널의 양 면에 형성되는 기하학 구조는 단변의 길이가 40㎜~80㎜이고 장변의 길이가 80㎜~120㎜인 직사각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촉매 패널의 양 면 기하학 구조가 직사각형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기하학 구조(예컨대, 5각형, 6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 원형이나 타원형 구조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광촉매 패널의 기하학 구조가 단변의 길이가 60㎜이고 장변의 길이가 80㎜인 직사각형 구조의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ometric structu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hotocatalyst panel may include a rectangular structure having a short side length of 40 mm to 80 mm and a long side length of 80 mm to 120 mm. However, the geometry of both sides of the photocatalyst panel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tructure,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geometric structures (for example, polygonal structures such as pentagons and hexagons, circular or elliptical structures, etc.).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in which the geometry of the photocatalyst panel has a short side length of 60 mm and a long side length of 80 mm.
한편 본 발명의 광촉매 패널은 상기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집적 성형하여 제작됨응로써, 첫째 규소 성분이 광촉매 물질에 안전하고, 둘째 규소 성분(=유리)은 빛을 효율적으로 투과시키기 때문에 광촉매 패널의 일 측 방향에서 조사된 UV를 광촉매 패널의 반대 측 방향에 집적된 구슬들에 까지 투과시켜 해당 구슬들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활성화 가능하며, 셋째 구 형태의 구슬을 집적할 경우 각 구슬과 구슬들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은 최소화되며 각 구슬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과 공기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한편 본 발명의 광촉매 패널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구슬들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경우 각 구슬과 구슬 사이의 공극은 최대화되어 공기가 패널을 투과하는 투과율이 증가하는 반면, 구슬들의 직경을 다양화할 경우 구슬과 구슬 사이의 공극과 공기의 투과율이 감소하는 대신에 광촉매 패널의 광촉매 물질과 공기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은 극대화된다. Meanwhile, the photocatalys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integrally molding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the photocatalyst material, so that the first silicon component is safe to the photocatalytic material, and the second silicon component (= glass) efficiently transmits light. Therefore, UV light emitted from one side of the photocatalyst panel can be transmitted to beads integrated in the opposite side of the photocatalyst panel to activate the photocatalytic function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 coated on the beads, and the third sphere-shaped beads can be integrated. In this c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eads and the beads is minimized,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eads and the photocatalytic material coated on each bead is maximized. Meanwhile, if the diameter of the beads used to fabricate the photocatalys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kept constant, the voids between the beads and the beads are maximize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through which air penetrates the panel, while varying the diameter of the beads Instead of reducing the air permeability between the pores and air between the bead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hotocatalyst material and the air of the photocatalyst panel is maximiz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정화모듈(110)에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지정된 유로를 따라 유동시키면서 광촉매 패널의 광촉매 물질과 접촉시킬 경우, 상기 광촉매 패널은 다양한 직경의 구슬들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상기 지정된 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패널 내부의 공극으로 스며든 공기와 광촉매 물질을 접촉시키는 접촉 면적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와 광촉매 물질이 접촉하여 반응하는 반응시간(또는 접촉 유지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촉매 패널이 다양한 직경의 구슬을 이용하는 제작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직경의 구슬을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와 같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지정된 유로를 따라 유동시키면서 광촉매 패널의 광촉매 물질과 접촉시킬 경우에 상기 광촉매 패널 내부의 공극으로 스며든 공기와 광촉매 물질을 접촉시키는 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및/또는 상기 공극으로 스며든 공기와 광촉매 물질의 반응시간(또는 접촉 유지시간)이 길수록 상기 공기의 유해성분은 더욱더 완전하게 무해한(또는 안전한)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act with the photocatalytic material of the photocatalyst panel while flowing along a predetermined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atalyst panel is a ball of various diameters The reaction time (or contact holding time) that the air and the photocatalytic materi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maximizing the contact area contacting the air and the photocatalyst material, which are made by using the same flow path, flows through the designated flow path and penetrates into the pores inside the panel. It is desirable to maximize. However, the photocatalys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using beads of various diameters, and it is apparent that even using beads of a certain diameter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as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hotocatalytic material of the photocatalyst panel while flowing along a designated flow path, the contact area for contacting the photocatalyst material with the air soaked into the voids inside the photocatalytic panel is The wider and / or the longer the reaction time (or contact holding time) of the air seeping into the voids and the photocatalytic material, the more harmful components of the air can be decomposed into more completely harmless (or safe)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지정된 기준 접촉 면적 이상인 양 면을 지닌 하나의 광촉매 패널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지정된 기준 접촉 면적 이상의 면적을 형성 가능한 둘 이상의 광촉매 패널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전자의 공기정화모듈(110)은 얇거나 긴 하우징 구조를 지닌 공기정화장치(100)에 탑재 가능하며, 후자의 공기정화모듈(110)은 원통형이나 텀블러 형태 또는 직육면체와 같은 3차원 부피감을 지닌 하우징 구조의 공기정화장치(100)에 탑재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은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에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복수의 규소 성분 구슬들을 패널 형태로 집적 성형하여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양 면을 지니게 제작된 M(M≥2)개의 광촉매 패널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M(M≥1)개의 광촉매 패널을 구비하는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may be manufactured by including one photocatalyst panel having both surfaces having a contact area with air greater than or equal to a designated reference contact area. Alternatively,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may be manufactured to include two or more photocatalyst panels capable of forming an area of more than a reference contact area with a designated contact area with air. The former air purification module 110 can be mounted i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having a thin or long housing structure, the latter air purification module 110 is a housing having a three-dimensional volume, such as cylindrical or tumbler form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can be mounted in the air purifier 100 of the structur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ilicon component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o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are formed in a panel form to form M (M≥2) photocatalyst panels having both sides of a specified geometr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with reference to the provid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embodiments having M (M≥1) photocatalyst panels. .
상기 UV램프(120)부는 UV-A 파장 대역(예컨대, 320~405nm 파장 대역)의 UV를 지정된 광 세기로 방출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UV-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UV_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UV램프(120)부는 광촉매 패널의 각 패널 영역(예컨대, UV램프(120)부의 UV가 직접 조사되는 수직방향 영역 내지 UV램프(120)부의 방사각 범위 내의 일정 각도 범위 영역, 상기 UV램프(120)부의 UV가 투과(또는 난반사)되어 조사되는 광촉매 패널의 내부 영역 내지 패널 반대 측 영역 등)에 집적된 구슬들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에 6~10㎽/㎠(±1㎽/㎠)의 광 세기로 조사되는 UV-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할 수 있다. The UV lamp 120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emits UV in a UV-A wavelength band (eg, 320-405 nm wavelength band) at a specified light intensity, and preferably includes UV_LED emitting UV in the UV-A wavelength band. It is done by For example, the UV lamp 120 may be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within each panel reg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eg, a vertical region where UV is directly irradiated from the UV lamp 120 to a radiation angle range of the UV lamp 120), 6 ~ 10㎽ / ㎠ (± 1 ±) on the photocatalyst material coated on beads integr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to which UV is transmitted through the UV lamp portion (or diffuse reflection) and irradi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nel / Cm 2) can emit UV in the UV-A wavelength band irradiated with the light intensity.
한편 상기 UV램프(120)부는 UV-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스펙 상의 방사각이 설정되어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스펙 상의 방사각은 상기 UV램프(120)부를 설계 또는 제조하는 제조사가 설정한 스펙 상에 설정된 방사각이다. 예를들어, 하나의 UV_LED를 포함하는 UV램프(120)부는 120°~160°의 각도 범위를 포함하는 스펙 상의 방사각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펙 상의 방사각은 단지 UV램프(120)부에서 UV를 방출할 수 있는 최대 각도 범위를 의미할 뿐,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한 UV가 유효한 광 세기와 유효한 파장 스펙트럼을 지니고 도달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한 UV가 상기 광촉매 패널의 각 패널 영역에 유효한 광 세기(예컨대,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활성화하는 광 세기)와 유효한 파장 스펙트럼(예컨대,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활성화하는 파장값을 피크(Peak) 파장 영역에 포함하는 파장 스펙트럼)으로 도달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포함하는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를 설정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은 광촉매 패널과 UV램프(120)부 사이의 거리관계(예컨대, 광촉매 패널의 일 면과 UV램프(120)부 사이의 수직거리 등)와 광촉매 패널 면의 기하학 구조(예컨대, 직사각형 구조의 장변 또는 단변의 길이, 원형이나 타원형 구조의 직경이나 반경 등)와 UV램프(120)부에 인가되는 동작 전원의 특성(예컨대, 각 UV램프(120)부 당 350mA(±10mA)의 정전류와 적어도 DC 3.6V 이상(또는 DC 3.6V ~ 4.0V)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근거로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V lamp 120 is produced by setting the emission angle on the specification for emitting UV in the UV-A wavelength band. Here, the radiation angle on the spec is the radiation angle set on the spec set by the manufacturer who designs or manufactures the UV lamp 120. For example, the UV lamp 120 including one UV_LED may be manufactured to include a radiation angle on a spec including an angle range of 120 ° to 160 °. However, the radiation angle on this specification means only the maximum angle range in which the UV lamp 120 can emit UV, and the UV emitted from the UV lamp 120 has an effective light intensity and an effective wavelength spectrum. It does not mean a range of angles that can be reach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ive light intensity (eg, light intensity for activating the photocatalytic function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 and effective wavelength spectrum (eg, photocatalytic material) in which the UV emitted from the UV lamp 120 is applied to each panel reg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It is preferable to set and use a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including an angular range where the wavelength value activating the photocatalytic function can be reached as the wavelength spectrum included in the peak wavelength region. For example, the specifi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is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120 portion (e.g.,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one sid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120 portion) and the photocatalyst panel surface. Geometry (eg, length of a long side or short side of a rectangular structure, diameter or radius of a circular or elliptical structure, etc.)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power applied to the UV lamp 120 (eg, for each UV lamp 120 part). It can be set experimentally based on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 constant current of 350mA (± 10mA) and at least DC 3.6V or more (or a voltage of DC 3.6V to 4.0V).
본 발명의 제1 방사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UV램프(120)부의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를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된 UV가 상기 UV램프(120)부의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 내의 광촉매 패널의 각 패널 영역에 유효한 광 세기와 유효한 파장 스펙트럼의 UV가 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UV램프(120)부의 스펙 상의 방사각이 120°인 경우,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1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radiation ang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include the radiat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of the UV lamp 120 as it is. For example, the UV light emitted from the UV lamp 120 portion may reach the effective light intensity and the UV of the effective wavelength spectrum in each panel reg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within the emiss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of the UV lamp 120 portion. In this case,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include the radiat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For example, when the radiation angle on the specification of the UV lamp 120 is 120 °,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include the 120 °.
본 발명의 제2 방사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UV램프(120)부의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를 일정 비율 축소한 범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UV램프(120)부와 광촉매 패널의 거리관계와 UV램프(120)부에 인가되는 동작 전원의 특성을 근거로 UV램프(120)부의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의 2/3 범위 내의 광촉매 패널의 각 패널 영역에 유효한 광 세기와 유효한 파장 스펙트럼의 UV가 도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의 2/3에 해당하는 방사각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UV램프(120)부의 스펙 상의 방사각이 120°인 경우,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120°의 2/3에 해당하는 9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radiation ang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include a range in which the radiat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of the UV lamp 120 is reduced by a certain ratio. For example, based on the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UV lamp unit 120 and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power applied to the UV lamp unit 120, two-thirds of the radiat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of the UV lamp unit 120 is specified. If the effective light intensity and UV of the effective wavelength spectrum can be reached in each panel reg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in the design,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includes an emission angle range corresponding to 2/3 of the radiat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can do. For example, when the radiation angle on the specification of the UV lamp 120 is 120 °,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include 90 ° corresponding to 2/3 of the 120 °.
본 발명의 제3 방사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제1 내지 제2 방사각 실시예의 각도 범위 중 적어도 일부의 각도 범위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상기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를 일정 비율 축소한 범위에서 상기 상기 스펙 상의 방사각 범위 중 적어도 일부의 각도 범위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 θ는 90°~160°의 각도 중 적어도 일부의 각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radial ang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be set to include an angle range of at least a part of the angle ranges of the first to second radial angle embodiments. For example,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be set to include an angle range of at least a part of the radiat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in a range in which the radiation angle range on the specification is reduced by a certain ratio. For example,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θ in the design may include an angle range of at least some of the angles of 90 ° to 160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은 UV-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하나의 UV램프(120)부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은 UV-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둘 이상의 UV램프(120)부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UV램프(120)부는 관이나 봉 형태를 포함하거나 또는 UV_LED의 배열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상기 UV램프(120)부는 개별의 UV_LE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은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에 UV-A 파장 대역의 UV를 방출하는 N(N≥2)개의 UV램프(120)부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N(N≥1)개의 UV램프(120)부을 구비하는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may be manufactured to include one UV lamp 120 to emit UV in the UV-A wavelength band. Alternatively,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may be manufactured to include two or more UV lamps 120 that emit UV in the UV-A wavelength band. In the former case, the UV lamp 120 portion may include a tube or rod form or an array structure of UV_LEDs. In the latter case, the UV lamp 120 portion may include an individual UV_LED form.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on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N (N≥2) UV lamps 120 to emit UV of the UV-A wavelength band 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mbodiment having N (N ≧ 1) UV lamps 120.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광촉매 패널과 UV램프(120)부를 고효율 공기정화를 위해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상기 UV램프(120)부와 광촉매 패널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함은 물론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에 복수의 광촉매 패널을 구비하는 경우 광촉매 패널과 광촉매 패널 사이에도 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한 UV-A 파장 대역의 UV가 상기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최대화하는 유효한 광 세기와 유효한 파장 스펙트럼으로 상기 광촉매 패널에 집적된 구슬들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에 조사되도록 설계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UV램프(120)부와 광촉매 패널을 배치 고정한다. The frame part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arranges and fixes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120 in a geometric relationship designated for high efficiency air purification, and forms a flow path for the flow of air between the UV lamp 120 and the photocatalyst panel. In addition, whe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hotocatalyst panels, an air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photocatalyst panel and at the same time, the UV-A wavelength band emitted from the UV lamp 120 is provided. The UV lamp 120 and the photocatalyst in a geometric relationship designed to irradiate the photocatalytic material coated on the beads integrated in the photocatalyst panel with an effective light intensity and an effective wavelength spectrum to maximize the photocatalytic function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 Place and secure the pane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광촉매 패널의 일 면과 상기 UV램프(120)부 사이의 거리관계가 지정된 수직거리 d의 거리관계를 성립하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광촉매 패널과 UV램프(120)부를 배치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 패널의 일 면과 UV램프(120)부 사이의 지정된 수직거리 d는 18㎜~30㎜의 수직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프레임부는 광촉매 패널의 양 면 중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된 UV가 직접 조사되는 일 면과 상기 UV램프(120)부 사이의 수직거리를 18㎜~30㎜의 거리관계로 배치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광촉매 패널의 두께가 t인 경우 상기 광촉매 패널의 양 면 중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된 UV가 직접 조사되는 일 면과 상기 UV램프(120)부 사이의 수직거리를 18㎜~(30-t)㎜의 거리관계로 배치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are in a specified geometrical relationship that establishes a distance relationship of a vertical distance d in which the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on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120 is designat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nd fix the 120 part. Here, the designated vertical distance d between on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120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vertical distance of 18 mm to 30 mm. For example, the frame portion has a vertical distance of 18 mm to 30 mm between on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photocatalyst panel to which UV light emitted from the UV lamp 120 is directly irradiated and the UV lamp 120. You can fix the arrangement in relation. Alternativ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photocatalyst panel is t, a vertical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n which UV light emitted from the UV lamp 120 is directly irradiated from the both sides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120 is provided. It can arrange and fix in the distance relationship of 18 mm-(30-t) m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M(M≥2)개의 광촉매 패널과 N(N≥2)개의 UV램프(120)부를 상기의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 고정하기 위한 일정한 부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 및 측면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M개의 광촉매 패널을 상기 내부 공간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기 위한 패널 배치 프레임부와, 상기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N개의 UV램프(120)부를 상기 내부 공간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 고정하기 위한 램프 배치 프레임부(135)를 포함하며,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을 지그재그 배치하기 위한 배치 조정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has a constant volume of internal space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M (M≥2) photocatalyst panels and the N (N≥2) UV lamps 120 in the above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A panel arranging frame portion for arranging and fixing M photocatalyst panels at a designated position in the internal space to form the designated geometric relationship, the upper frame portion for forming and a lower frame portion and a side frame portion; And a lamp arranging frame part 135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N UV lamps 120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internal space to form a relationship, and a flow path for the flow of air between the M photocatalyst panels. And a placement adjusting frame portion for zigzag placing the M photocatalyst panels to for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의 측면 중간 부분에 M개의 광촉매 패널을 지정된 패널 간 간격만큼 상호 이격시켜 대향 배치 고정하기 위한 패널 배치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널 배치 프레임부는 지정된 두께 t의 광촉매 패널을 삽입 가능한 가이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널 배치 프레임부는 상기 광촉매 패널과 광촉매 패널 사이의 패널 간 간격을 3㎜~10㎜를 포함하도록 상호 이격시켜 대향 배치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 배치 프레임부는 측면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nel arrangement frame portion for fixing the opposite arrangemen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M photocatalyst panel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ide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Preferably, the panel arrangement fram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form into which the photocatalyst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 can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arrangement frame uni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ace the gap between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photocatalyst panel so as to include 3 mm to 10 mm. Meanwhile, the panel arrangement frame unit may include a form provided in the side frame uni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패널 배치 프레임부에 의해 대향 배치되는 M개의 광촉매 패널 사이에 순차적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료를 형성하도록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을 지그재그 배치하기 위한 배치 조정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배치 조정 프레임부는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을 지그재그 배치하면서 공기의 유로를 유지하기 위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문 구조나 창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치 조정 프레임부는 상부 프레임부에 구비되거나 하부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adjustment frame for zigzag arrangement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to form a charge for the flow of air sequentially between the M photocatalyst panels arranged by the panel arrangement frame portion It is made with a part. For example, the arrangement adjustment fram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for maintaining the air flow path while zigzag arrangement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or may include a door structure or a grate form through which air may enter. Meanwhile, the arrangement adjusting frame part may include a shape provided in the upper frame part or in the lower frame par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패널 배치 프레임부와 배치 조정 프레임부는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 중 제m(1≤m<M) 광촉매 패널과 제(m+1) 광촉매 패널 사이에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m 광촉매 패널과 제(m+1) 광촉매 패널의 지정된 일 면을 지정된 패널 간 간격만큼 이격시켜 대향 배치함과 동시에, 흡입부(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m 광촉매 패널 측 다른 일 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하고, 상기 제m 광촉매 패널과 제(m+1) 광촉매 패널 사이의 대향 면 사이를 유동한 후, 상기 제(m+1) 광촉매 패널 측 다른 일 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제m 광촉매 패널과 제(m+1) 광촉매 패널을 지그재그 배치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arrangement frame portion and the arrangement adjustment frame portion provide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m (1 ≦ m <M) photocatalyst panel and the (m + 1) th photocatalyst panel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The m-th photocatalyst panel and the (m + 1) -th photocatalyst panel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unit 140 may be formed. Flows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side, and flows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between the mth photocatalyst panel and the (m + 1) th photocatalyst panel, and then on the other side of the (m + 1) th photocatalyst panel The m th photocatalyst panel and the (m + 1) th photocatalyst panel may be zigzag arranged to flow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패널 배치 프레임부에 의해 배치 고정된 M개의 광촉매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촉매 패널과 상기 N개의 UV램프(120)부 중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를 지정된 수직거리 d의 거리관계로 이격시켜 배치 고정하기 위한 램프 배치 프레임부(1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unit includes at least one photocatalyst panel among the M photocatalyst panels arranged and fixed by the panel arrangement frame uni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among the N UV lamps 120. It is provided with a lamp arrangement frame part 135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parts spaced apart in a distance relationship of the specified vertical distance 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은, 광촉매 패널에 대향하는 일 면에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를 배치 고정하며 상기 UV램프(120)부의 UV 발광을 위한 회로를 구비한 램프배치부(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is arranged to fix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on one surface facing the photocatalyst panel and UV of the UV lamps 120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lamp arrangement unit 125 having a circuit for emitting ligh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V램프(120)부의 UV 발광을 위해서는 상기 UV램프(120)부 외에 UV의 발광을 위한 전원 공급과 램프 관련 회로 구성이 필요한데, 이러한 회로 구성을 프레임부에 직접 실장하기에는 제작단가가 상승된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램프배치부(125)에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와 램프 관련 회로 구성을 실장한 후, 상기 램프배치부(125)를 상기 램프 배치 프레임부(135)의 지정된 배치 영역에 배치 고정함으로써, 상기 패널 배치 프레임부를 통해 배치 고정된 M개의 광촉매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촉매 패널과 상기 램프배치부(125)에 배치 고정된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 사이에 지정된 수직거리 d의 거리관계가 성립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램프배치부(125)는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와 램프 관련 회로 구성을 실장 가능한 PCB(Printed Circuit Boa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UV램프(120)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PCB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mit UV light of the UV lamp 120, a power supply and a lamp related circuit configuration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UV lamp 120,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rame unit. The cost of production ris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and lamp-related circuit configuration in a separate lamp arrangement section 125, the lamp arrangement section 125 is designated by the lamp arrangement frame section 135 By placing and fixing in an arrangement area, it is specified between at least one photocatalyst panel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arranged and fixed through the panel arrangement frame portion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arranged and fixed to the lamp arrangement 125. The distance relationship of the vertical distance d can be processed. For example,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may include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and a PCB (Printed Circuit Board) form that can be mounted to the lamp-related circuit configuration, the UV lamp 120 In order to efficiently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by the metal may include a PCB.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램프배치부(125)는 상기 광촉매 패널에 대향하는 일 면에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를 배치 고정하며, 상기 UV램프(120)부를 배치 고정한 면과 동일 면이나 반대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램프 관련 회로 구성을 실장할 수 있다. 상기 램프배치부(125)는 상기 광촉매 패널에 대향하는 일 면에 상기 N개의 UV램프(120)부 중 하나의 UV램프(120)부를 배치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광촉매 패널에 대향하는 일 면에 상기 N개의 UV램프(120)부 중 n(2≤n≤N)개의 UV램프(120)부를 배치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arranges and fixes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on one surface facing the photocatalyst panel, and is identica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UV lamps 120 are arranged and fixed. Lamp-related circuit configurations may be mounted on one or more of the facets or opposite faces.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may arrange and fix one of the UV lamps 120 of the N UV lamps 120 on one surface facing the photocatalyst panel or the N on one surface facing the photocatalyst panel. It is possible to arrange and fix n (2 ≦ n ≦ N) UV lamps 120 parts among the UV lamps 120 parts.
한편 상기 광촉매 패널에 대향하는 램프배치부(125)의 일 면에 n(2≤n≤N)개의 UV램프(120)부를 배치 고정하는 경우, 상기 램프배치부(125)는 상기 광촉매 패널의 동일한 면으로 UV를 방출하는 n개의 UV램프(120)부 사이의 간격관계를 지정된 램프간격 L의 간격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V램프(120)부의 설계 상의 지정된 방사각이 θ이고, 상기 UV램프(120)부와 광촉매 패널 사이의 수직거리가 d라면, 상기 n개의 UV램프(120)부를 상호 이격 배치하기 위해 지정된 지정된 램프간격 L은 지정된 최대 간격 Lmax(Lmax = 2*d*tan(θ/2)) 이내의 간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UV램프(120)부를 상호 이격 배치하기 위해 지정된 지정된 램프간격 L은 상기 지정된 최대 간격 Lmax를 지정된 일정 비율 감소한 간격(예컨대, Lmax에서 30%~50%를 감소한 간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n (2 ≦ n ≦ N) UV lamps 120 are disposed and fixed on one surface of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facing the photocatalyst panel,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is the same as that of the photocatalyst panel.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nd fix the spa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n UV lamps 120 which emit UV to the surface in the spacing relationship of the designated lamp spacing 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pecified radiation angle in the design of the UV lamp 120 is θ,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V lamp 120 and the photocatalyst panel is d, the n UV lamps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designated ramp interval L designated for arranging the parts apart from each other includes an interval within a designated maximum interval Lmax (Lmax = 2 * d * tan (θ / 2)). Preferably, the designated lamp interval L designated for arranging the n UV lamps 1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an interval in which the specified maximum interval Lmax is reduced by a predetermined ratio (eg, an interval of 30% to 50% reduction in Lmax). It may inclu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UV램프(120)부를 지정된 램프간격 L만큼 이격 배치한 경우, 상기 광촉매 패널은 상기 UV램프(120)부의 지정된 방사각에 의해 둘 이상의 UV램프(120)부에서 각기 방출한 UV가 중첩되어 조사되는 UV 중첩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UV램프(120)부에서 방출한 UV의 광 세기와 파장 스펙트럼은 상기 UV램프(120)부와 수직 방향 근처의 광촉매 패널 영역에서는 상기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활성화 가능한 광 세기와 파장 스펙트럼의 유효 범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UV램프(120)부의 수직 방향에서 일정 각도 이상 벗어날 경우 상기 광 세기와 파장 스펙트럼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유효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광촉매 패널 상에 둘 이상의 UV램프(120)부에서 각기 방출한 UV가 중첩되어 조사되는 UV 중첩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UV램프(120)부의 수직 방향에서 일정 각도 이상 벗어난 광촉매 패널 영역에도 유효한 광 세기와 파장 스펙트럼의 UV가 조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 UV lamps 1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lamp interval L, the photocatalyst panel has two or more UV lamps 120 by the designated radiation angle of the UV lamp 120. UV) emitted from each part may include a UV overlapping region irradiated by overlapping. That is, the light intensity and wavelength spectrum of the UV emitted from one UV lamp 120 section is the light intensity and wavelength that can activate the photocatalytic function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 in the photocatalyst panel region near the UV lamp 120 section. Although the spectrum may include an effective range, at least one of the light intensity and the wavelength spectrum may deviate from the effective range when the UV lamp 120 devi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V lamp 120.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UV overlapping region in which UVs emitted from two or more UV lamps 120 are overlapped and irradiated on the photocatalyst panel so as to deviate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V lamp 120. In addition, effective light intensity and UV in the wavelength spectrum can be treated to be irradia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와 램프 관련 회로 구성을 구비한 램프배치부(125)가 준비된 경우, 상기 램프 배치 프레임부(135)는 상기 램프배치부(125)에 배치된 UV램프(120)부와 광촉매 패널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된 UV가 상기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최대화하는 유효한 광 세기와 유효한 파장 스펙트럼으로 상기 광촉매 패널에 집적된 구슬들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에 조사되도록 설계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광촉매 패널과 램프배치부(125)를 배치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having the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and the lamp related circuit configuration is prepared, the lamp arrangement frame unit 135 is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UV light emitted from the UV lamp 120 portion maximizes the photocatalytic function of the photocatalyst material while forming a flow path for air flow between the UV lamp 120 portion and the photocatalyst panel disposed at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lamp arrangement 125 may be placed and fixed in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designed to irradiate a photocatalytic material coated on beads integrated in the photocatalyst panel in a wavelength spectr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1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은, 상기 램프배치부(125)의 면 중 상기 UV램프(120)부를 배치한 면과 다른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UV램프(120)부와 열전도성 재질로 연결되어 상기 UV램프(120)부의 UV 발광 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전도받아 방열하는 방열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is disposed on one surface different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UV lamp 120 is disposed among the surfaces of the lamp arrangement 125.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fin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UV lamp unit 120 and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o conduct heat to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UV light emission process of the UV lamp unit 120.
상기 UV램프(120)부는 UV를 방출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가열되는데,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UV램프(120)부를 방열하지 않은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상기 UV램프(120)부와 그 주변의 온도는 대략 150℃ 이상까지 상승하며, 이 경우 상기 UV램프(120)부의 광 세기가 변형되거나 파장 스펙트럼의 일부 영역이 변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광 세기나 파장 스펙트럼의 변형은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감소시킨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램프배치부(125)의 면 중 상기 UV램프(120)부를 배치한 면과 다른 일 면에 상기 UV램프(120)부와 열전도성 재질로 연결되어 상기 UV램프(120)부의 UV 발광 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전도받아 방열하는 방열핀부를 배치하고, 상기 방열핀부가 배치된 영역으로도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UV램프(120)부의 지속적인 UV 발광에도 상기 UV램프(120)부와 그 주변의 온도를 지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열핀부는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이나 그라파이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방열핀부는 상기 UV램프(120)부와 그 주변의 온도를 60℃~70℃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The UV lamp 120 is continuously heated while emitting UV. According to the applicant's experiment, when the UV lamp 120 is not heat-dissipated, the UV lamp 120 is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purifier 100. The temperature of the unit and its surroundings rises to about 150 ° C. or more. In this case, the light intensity of the UV lamp 120 may be deformed or a part of the wavelength spectrum may be deformed. Reduces the photocatalytic function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V lamp 120 and the heat conductive material on the other side of the surface of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and the UV lamp 120 is disposed in the UV lamp 120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is disposed to conduct heat radiation during the UV light emission process, and a portion of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flows to the area where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is disposed. The temperature of the unit and its surroundings can be maintained within the specified temperature range. Preferably, the heat radiation fin part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or a graphite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fin unit may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UV lamp 120 and its surroundings at 60 ° C to 70 ° C or les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지정 개수의 UV램프(120)부와 램프 관련 회로 구성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UV램프(120)부의 방열을 위한 방열핀부를 구비한 램프배치부(125)가 준비된 경우, 상기 램프 배치 프레임부(135)는 상기 램프배치부(125)에 배치된 UV램프(120)부와 광촉매 패널 사이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UV램프(120)부에서 방출된 UV가 상기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 기능을 최대화하는 유효한 광 세기와 유효한 파장 스펙트럼으로 상기 광촉매 패널에 집적된 구슬들에 코팅된 광촉매 물질에 조사되도록 설계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상기 광촉매 패널과 램프배치부(125)를 배치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120 and a lamp-related circuit configuration and having a heat dissipation fin unit for heat dissipation of the UV lamps 12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provided. When prepared, the lamp arrangement frame unit 135 forms a flow path for the flow of air between the UV lamp unit 120 and the photocatalyst panel disposed in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in the UV lamp unit 120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lamp arrangement in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are designed so that the emitted UV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tic material coated on beads integrated in the photocatalytic panel with an effective light intensity and an effective wavelength spectrum that maximize the photocatalytic function of the photocatalytic material. 125) can be fix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램프 배치 프레임부(135)는 상기 램프배치부(125)에 구비된 방영핀부의 근처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램프배치부(125)를 배치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arrangement frame unit 135 may include a lamp arrangement unit 125 to form a flow path for flowing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n the vicinity of the projection pin unit provided in the lamp arrangement unit 125. ) Is preferably fix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는 광촉매 패널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정된 일 측 방향으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지정된 흡입면적을 지닌 흡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부는 광촉매 패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140)와 다른 일 측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지정된 배출면적을 지닌 배출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frame portion and the lower frame portion, the suction portion 140 having a designated suction area for sucking the outside air from one side direction specifi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 May be included. 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upper frame portion and the lower frame portion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145 having a designated discharge area for discharging air in on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uction portion 14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hotocatalyst panel.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배출부(145)의 배출면적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광촉매 패널과 접촉하면서 유동하는 유동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흡입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면적을 포함(또는 상기 흡입부(140)의 흡입면적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광촉매 패널과 접촉하면서 유동하는 유동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배출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출면적과 흡입면적의 면적 관계가 상기의 관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부(150)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유동시간을 제어 가능한 경우 상기 배출면적과 흡입면적의 면적 관계는 생략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area of the discharge part 145 includes an area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suction area in order to maximize a flow time in which air sucked from the outside flows in contact with the photocatalyst panel. The suction area of the suction unit 140 may include an area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discharge area in order to maximize the flow time of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n contact with the photocatalyst panel. However, the area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area and the suction area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elationship, and when the flow time is controllable by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fan unit 150, the area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area and the suction area may be omitted. Do.
한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UV_LED를 포함하는 UV램프(120)부의 파장 스펙트럼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한 파장 스펙트럼 변형을 최소화하여 광촉매 패널에 구비된 광촉매 물질에 의한 공기정화 기능을 최대화하려면, 각 UV램프(120)부에 인가되는 동작 전원은 전류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 각 UV램프(120)부 별 동작 전원은 350mA(±10mA)의 정전류 조건과 적어도 DC 3.6V 이상(또는 DC 3.6V ~ 4.0V)의 전압 조건을 만족하는 동작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UV 발광 관련 회로는 정전류보다는 정전압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는데, 본 발명은 정전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nt, to maximize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by the photocatalytic material provided in the photocatalyst panel by maintaining a constant wavelength spectrum of the UV lamp portion 120 including the UV_LED or minimizing the wavelength spectrum deformation caus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 Preferably, the operating power applied to each UV lamp 120 satisfies a constant current condition for maintaining a constant current value. Preferably, the operating power for each UV lamp 120 is 350 mA (± 10 mA). It is preferable that an operating power supply satisfying the condition and the voltage condition of at least DC 3.6V or more (or DC 3.6V to 4.0V) is applied. Conventional UV light emitting circuits are designed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rather than a constant curr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maintaining a constant curren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V램프(120)부의 동작 전원은 상기 운영모듈(200)을 통해 외부(예컨대, 차량)로부터 공급되거나 및/또는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ower of the UV lamp 120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vehicle) through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 or through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V램프(120)부의 동작 전원은 350mA(±10mA)의 정전류 조건과 적어도 DC 3.6V 이상(또는 DC 3.6V ~ 4.0V)의 전압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동작 전원의 조건은 통상의 USB 전원(예컨대, DC 5V)을 통해서는 달성될 수 없으며, 차량 전원(예컨대, DC 12V, 대형 차량의 경우 DC 24V)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ower of the UV lamp unit 120 preferably satisfies a constant current condition of 350 mA (± 10 mA) and a voltage condition of at least DC 3.6 V or more (or DC 3.6 V to 4.0 V). This condition of the operating power supply cannot be achieved via a conventional USB power supply (eg DC 5V), but can be achieved via a vehicle power supply (eg DC 12V, DC 24V for large vehicle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전원은 2개의 램프배치부(125)로 병렬 관계로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개의 각 램프배치부(125)는 병렬로 인가된 전원을 각 램프배치부(125)에 구비된 각 2개의 UV램프(120)부에 직렬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각 UV램프(120)부 당 350mA(±10mA)의 지정된 정전류와 최소 DC 3.6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차량 전원을 2개의 각 램프배치부(125)에 병렬 관계로 인가한 후 각 램프배치부(125)에서 2개의 UV램프(120)부에 직렬 관계로 인가하는 경우, 각 UV램프(120)부에 지정된 정전류와 최소 DC 3.6V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DC 7.2V 이상의 전압이 필요하며, DC 2V의 예비 전압(예컨대, 각 UV램프(120)부 당 DC 1.0V의 예비 전압)을 고려하면 최소 DC 9.2V의 전압이 필요하다. 한편 각 UV램프(120)부에 지정도니 정전류와 DC 4.0V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최소 DC 8.0V의 전압이 필요하며, DC 2V의 예비 전압을 고려하면 DC 10.0V의 전압이 필요하다. 이러한 UV램프(120)부의 동작 전원은 USB 전원을 통해 달성되기 난해하며, DC 12V의 차량 전원이나 별도의 아답터를 통해 AC 전원을 정류하여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모듈(110)의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팬부(150)에 지정된 동작 전원(예컨대, DC 1.5V ~ 3.0V 등)이 인가되어야 하며, 상기 운영모듈(200)의 동작이나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을 위해서도 지정된 동작 전원(예컨대, DC 3.5V~5.0V)이 인가되어야 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모듈(160)의 동작이나 지저된 신호 강도의 음파 입출력을 위해서도 지정된 동작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0)에서 공기정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UV램프(120)부의 동작 전원이 최우선 순위로 인가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전원 공급이 불안정한 경우나 슬립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운영모듈(200)은 팬부(150)의 동작 전원이나 인터페이스모듈(160)의 동작 전원 중 일부의 동작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팬부(150)의 동작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UV램프(120)부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예컨대, 방열핀부에 의한 발열)에 의한 자연 대류에 의해서도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power is preferably applied in parallel to the two lamp arrangements 125, and the two lamp arrangements 125 each apply the power applied in parallel to each lamp arrangement. It is preferable to apply in series to each of two UV lamps 120 provided in the section (125).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constant current of 350 mA (± 10 mA) and a voltage of at least DC 3.6 V or more are applied to each UV lamp 120. When applied in parallel to (125) and then applied in series relation to the two UV lamp 120 in each lamp arrangement section 125, the constant current specified in each UV lamp 120 and at least DC 3.6V or more In order to apply the voltage, a voltage of at least DC 7.2V or higher is required, and a voltage of at least DC 9.2V is required considering a DC 2V preliminary voltage (for example, a DC 1.0V preliminary voltage for each UV lamp 120). . On the other hand, when applying a predetermined current and a voltage of DC 4.0V to each UV lamp 120, a minimum DC 8.0V voltage is required, considering the preliminary voltage of DC 2V DC 10.0V is required. The operating power of the UV lamp unit 120 is difficult to achieve through the USB power supply, it can be achieved by rectifying the AC power through the vehicle power of DC 12V or a separate adapte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operate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a designated operating power (for example, DC 1.5V to 3.0V) must be applied to the fan unit 150,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or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a designated operating power source (eg, DC 3.5V to 5.0V) should be applied, and the specified operating power source should also be applied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face module 160 or the sound wave input / output of the signal strength. In the state where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in the purification apparatus 100, the operating power of the UV lamp 120 should be applied with the highest priority.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is unstable or when operating in the sleep mode,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cut off the operation power of some of the operating power of the fan unit 150 or the operating power of the interface module 160, For example, even if the operation power of the fan unit 150 is cut off, air flow may be caused by natural convection caused by hea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UV lamp unit 120 (eg, heat generated by the heat radiation fin unit).
상기 팬부(150)는 상기 흡입부(140)와 배출부(145) 중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광촉매 패널과 UV램프(120)부 사이 내지 광촉매 패널과 광촉매 패널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유동시킨 후 상기 배출부(145)를 배출하기 위한 압력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팬부(150)는 상기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펠러와 모터 및 상기 프로펠러와 모터를 고정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는 팬부(150)로 인가되는 지정된 동작 전원을 근거로 따라 지정된 회전속도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팬부(150)의 모터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며 제어하려는 경우, 상기 운영모듈(200)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나 제어관련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fan unit 15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ction unit 140 and the discharge unit 145 and sucks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unit 140 to allow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 A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discharge unit 145 is generated after flowing a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ortions 120 to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photocatalyst panel. Preferably, the fan unit 150 includes a propeller and a motor for generating the pressure, and a body for fixing the propeller and the motor, wherein the motor is based on a specified operating power applied to the fan unit 150. The propeller can be rotated at a specified speed Meanwhile, when the motor rotational speed of the fan unit 150 is to be changed and controlled,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or a control related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t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 패널은 지정된 양면 기하학 구조 상 광촉매 패널의 일 면에 접촉하면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일 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거리 f(40㎜≤f≤120㎜)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변의 길이가 60㎜이고 장변의 길이가 80㎜인 직사각형 구조의 광촉매 패널을 본 도면1와 같이 세로방으로 세워 배치하고 하부 프레임부의 흡입부(140) 측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광촉매 패널의 일 면에 접촉하면서 유동하는 경우 상기 광촉매 패널의 유동거리 f는 8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atalyst panel has a flow distance f (40 mm ≦ f ≦ 120 mm) in which air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one side of the photocatalyst panel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esignated double-sided geometry is set. Can be. For example, a rectangular photocatalyst panel having a short side length of 60 mm and a long side length of 80 mm is plac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1, and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art 140 side of the lower frame part is When flowing while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the flow distance f of the photocatalyst panel may be 80 mm.
한편 유동거리가 f인 M개의 광촉매 패널을 본 도면1의 실시예와 같이 지그재그 배치한 경우, 하부 프레임부의 흡입부(140) 측에서 흡입된 공기는 M개의 광촉매 패널의 지정된 각 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지정된 유로거리 F(F≤(M+1)*f)를 유동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팬부(150)는 상기 흡입부(14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지정된 유로거리 F를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적어도 지정된 유동시간 s(s≥0.5)초 이상 소요되는 압력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 photocatalyst panels having a flow distance of f are zigzag arrang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140 side of the lower frame portion sequentially contacts each designated surface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While the flow path F (F≤ (M + 1) * f) can be flown, in this case, the fan unit 150 is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140 flows the specified flow path distance F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pressure that takes at least a specified flow time s (s ≧ 0.5) seconds unti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팬부(150)는 지정된 동작 모드(예컨대, 일반 모드 또는 저소음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지정된 유로거리 F를 유동하는데 1초 이상의 유동시간을 소요하는 압력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팬부(150)의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고속 모드라고 하더라도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광촉매 패널의 구슬들 사이로 스며들어 유동하면서 광촉매 물질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분해하는데 최소한의 반응시간(또는 접촉 유지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어도 0.5초 이상의 유동시간(예컨대, 반응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공기정화모듈(110)에서 광촉매 패널의 광촉매 물질이 공기 중의 유해한 성분을 분해할 확률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와 광촉매 물질이 접촉하여 반응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반응시간(또는 접촉 유지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팬부(150)의 프로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공기를 빠르게 유동시킨다고 하여 더 많은 공기가 더 빨리 분해되거나 더 빨리 정화되는 것은 아니다.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흡입부(14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지정된 유로거리 F를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적어도 0.5초 이상의 유동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초 이상의 유동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unit 150 may have a flow time of 1 second or more for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o flow the designated flow path distance F in a designated operation mode (eg, a normal mode or a low noise mode).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pressure, and even in a high speed mode in which the motor of the fan unit 150 rotates at high speed, air sucked from the outside penetrates through the beads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reacts with the photocatalytic material to decompose harmful substances. It is desirable to ensure a flow time (eg, reaction time) of at least 0.5 seconds or more to ensure a minimum reaction time (or contact holding time). That is, in order to maintain the probability that the photocatalytic material of the photocatalytic panel decomposes harmful components in the air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reaction time (or contact required for the air and the photocatalytic material to be contacted and reacted).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holding time), and by rotating the propeller of the fan unit 150 at a high speed so that the air flows quickly, more air does not decompose faster or purify faster. According to the applicant's experiment, a flow time of at least 0.5 seconds or more must be secured until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140 flows through the designated flow path distance F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5. Preferably, a flow time of at least 1 second should be ensur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팬부(150)의 프로펠러는 상기 흡입부(14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지정된 유로거리 F를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적어도 지정된 유동시간 이상 소요되는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지정된 회전속도 v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부(150)에 구비된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는 상기 팬부(150)의 모터로 인가되는 동작 전원의 전압값이나 전류값에 의해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나 제어관련 구성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eller of the fan unit 150 whe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140 flows through the designated flow path distance F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5 It is desirable to rotate at the specified rotational speed v to produce a pressure that takes at least the specified flow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ropeller provided in the fan unit 150 is controlled by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of the operating power applied to the motor of the fan unit 150 or a control circuit or control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t can be controlled by a signal delivered from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동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상기 팬부(150)에 구비된 프로펠러의 지정된 회전속도 v는 지정된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거리의 합인 유로거리 F 이외에 상기 배출부(145)의 배출면적이나 흡입부(140)의 흡입면적 등의 변수를 인자로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배출부(145)의 배출면적이 상기 흡입부(140)의 흡입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팬부(150)에 구비된 프로펠러의 지정된 회전속도 v는 상기 유로거리 F와 상기 배출부(145)의 배출면적 등의 변수를 인자로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거리 F와 상기 배출부(145)의 배출면적을 근거로 상기 흡입부(14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지정된 유로거리 F를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지정된 유동시간 s를 확보하기 위한 회전속도 v가 산출되는 경우, 상기 운영모듈(200)은 상기 팬부(150)로 상기 산출된 회전속도 v를 유지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거나 상기 산출된 회전속도 v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ated rotational speed v of the propeller provided in the fan unit 150 to secure the flow time is the discharge portion 145 of the discharge unit 145 in addition to the flow path distance F which is the sum of the distances flowing along the designated flow path. The discharge area or the suction area of the suction unit 140 may be calculated using a parameter, and in particular, when the discharge area of the discharge unit 145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uction area of the suction unit 140, The designated rotational speed v of the propeller provided in the fan unit 150 may be calculated by using variables such as the flow path distance F and the discharge area of the discharge unit 145 as factors. Therefore, based on the flow path distance F and the discharge area of the discharge part 145,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140 flows through the designated flow path distance F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rt 145. When the rotational speed v for securing the specified flow time s is calculated, the operation module 200 applies power to the fan unit 150 to maintain the calculated rotational speed v or the calculated rotational speed. You can pass a signal to hold v.
상기 흡입부(140)는 상기 팬부(150)의 프로펠러의 회전속도 v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을 근거로 지정된 일 측 방향으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며, 상기 배출부(145)는 상기 팬부(150)에 의한 압력을 근거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른 일 측 방향으로 배출한다.The suction unit 140 sucks outside air from one side direction specified based on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rotational speed v of the propeller of the fan unit 150, and the discharge unit 145 is the fan unit 150. On the basis of the pressure by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o discharge in one direction.
도면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에 구비된 운영모듈(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ovided in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은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205)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2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210)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225)과,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에 대응하는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를 구비한 전원모듈(215)을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모듈(210)을 통해 차량 OBD(On-Board Diagnostics)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음파모듈(205)을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위치모듈(225)을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정화장치(100)에 구비된 운영모듈(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모듈(2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2 shows a sound wave module 205 having a sound wav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 communication module 220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pplying a vehicle power supply unit, a short-range module 210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unit for proces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position module 225 having a positional positioning unit for acquiring position coordinates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 vehicle having a power module 215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and applying a power supply unit for charg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source, and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n-board diagnostics (OBD) through the short-range module 210.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recognized through the sound wave module 205 and processed in a natural language, and whether the power of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is applied.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of the vehicle through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upply for the emergency reques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module 225 to the designated contact when checking the battery discharge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ovided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having a function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of the dispatch request status or notifying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s ignition instruc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e drawing 2 to implement various methods of implementing the operation module 200 (eg,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subdivided, or combined). It can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Only the method is not limited that technical feature.
본 도면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모듈(200)는,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음파모듈(205)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모듈(2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210)과,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225)과,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에 대응하는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를 구비한 전원모듈(215)과,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인식하는 절차와 GPS를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절차와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충전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는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통해 차량의 실제적(또는 불가역적)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 구성부를 구비한 제어모듈(230)을 포함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모듈(20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키 버튼이나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각종 동작 상태나 정보를 출력하는 LED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출력부(도시생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2의 실시예에서 "모듈"이라는 명칭은 편의 상 운영모듈(200)의 기능과 역할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한 용어일 뿐, 그 자체가 어떤 독리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the operation module 200 includes a sound wave module 205 having a sound wav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nd at least on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location module 225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220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 short range module 210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unit for proces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location positioning unit for obtaining a location coordinate positioned through GPS. And a power module 215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and applying vehicle power and a power charging unit for charg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a procedure for acquiring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OBD,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and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and the process of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and whether the vehicle power or charging power is applied. While performing one or more procedures of checking, among the acquired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recognized user's utteran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the applied state of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Identifying the actual (or irreversible) battery discharge status of the vehicle through one or mor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formation) and requesting emergency dispatch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contact when checking the battery discharge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230 having one or more function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of the request status to inform or cancel the emergency call request according to the user's ignition instru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including a key button or a touch pad that receives a user's operation, and / or an LED or display for outputting various operation states or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not shown) including a.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name "module" is merely a term for distinguishing and describing functions and role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for convenience, and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it does not refer to any independent hardware configuration. It is a bar.
상기 음파모듈(205)은 운영모듈(200)의 구성부 중 지정된 음파 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음파 입력부와 지정된 음파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구비한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입력부와 음파 출력부는 적어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 가능하며, 상기 음파 입력부나 음파 출력부를 제어모듈(230)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The sound wave module 205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having a sound wav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of a specified sound wave number band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of a designated sound wave frequency ban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sound wave input unit and the sound wave output unit may input or output a sound wave signal of at least an audible frequency band, and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interfacing the sound wave input unit or the sound wave output unit with the control module 230.
상기 음파 입력부는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음파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입력되는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음파입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입력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예컨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파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엔코드 규격에 따라 상기 입력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생성된 음파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23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ound wave input unit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receives a sound wave signal, and includ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nd a sound wave input module for digitizing the input sound wave signal. Preferably, the sound wave input unit receives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for example,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voice signal uttered by a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sound wave of the input audio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specified encoding standard. The sound wave data generated by encoding the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230.
상기 음파 출력부는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음파신호를 음파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와 출력품질을 제어하는 음파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음파 출력하도록 요청된 음파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생성되는 음파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파 출력하되, 상기 음파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제어하여 음파 출력(예컨대, 차량 외부로 도달하지 않게 제어된 신호강도로 음파 출력, 또는 차량 주행 중에 창문이 열려 있어 바람에 의해 잡음이 지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거나 차량의 구성품 중 일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주변 잡음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음파신호의 신호강도를 일정 비율 증폭하여 음파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파 출력되는 음파신호의 출력품질(예컨대, Fs. Qts, Vas 등의 스피커 파라미터)을 제어하여 최대한 음파 왜곡을 차단하거나 억제하여 음파 출력(예컨대, 스피커의 공진에 의한 음파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음성신호의 경우 가청도(또는 청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음성신호 상의 분절음에 대응하는 음파 성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 또는 음파신호에 비트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경우 비트 열이 부호화되는 주파수나 신호강도의 왜곡을 차단/억제하도록 음파의 출력품질을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wave output unit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and includes one or more speakers for outputting sound wave signals and a sound wave output module for controlling signal intensity and output quality of the sound wave signals output from the speaker. Preferably, the sound wave output unit outputs a sound wave signal generated by decoding sound wave data requested to output sound wave through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peaker, and specifies a signal strength of the sound wave signal outputted by the sound wave. Sound wave output (e.g., signal intensity controlled so as not to reach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a window is open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causing noise to exceed the specified reference value due to wind, or an abnormality in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When the ambient nois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signal intensity of the sound wave signal is amplified by a certain ratio to output sound wave) and / or the output quality of the sound wave signal output (eg, speaker parameters such as Fs. Qts, Vas). To control the sound wave distortion as much as possible to suppress or suppress the sound wave output (e.g. The sound quality is controlled so that the sound wav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segmented sound on the sound signal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so that the output quality of the sound wave is controlled to block / suppress the sound. In the case of encoding and outputting a bit string to an output or sound wave signal by controlling the output quality, the output quality of the sound wave may be controlled and output so as to block / suppress the distortion of the frequency or signal intensity at which the bit string is encoded.
상기 통신모듈(220)은 운영모듈(200)의 통신망 연결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휴대인터넷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무선망 통신부와, 무선AP나 중계기를 경유하는 근거리망(예컨대, 무선랜 등)을 경유하여 지정된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근거리망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부를 제어모듈(230)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220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processes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communicates with a designated server through a wireless network (e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Internet, etc.) via a base stati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and communicating, and a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by conn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designated server via a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a wireless LAN, etc.) via a wireless AP or a repeater, An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interfacing the communication unit with the control module 230 is further provided.
상기 무선망 통신부는 상기 운영모듈(200)를 기지국을 경유하는 광역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등)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is a generic term for a communication component that connects the operation module 200 to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ia a base station,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s of a designated frequency band, an RF module, At least one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or to receive data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fer to the control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registered, communicated, and handed off.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를 통해 접속하는 무선망이 이동통신망인 경우, 상기 무선망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는 이동통신망 이외의 다른 광역 무선망(예컨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상기 운영모듈(200)를 무선망 상의 셀 기반 기지국을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network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t least on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performs at least one connection,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to a wide are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Internet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is a data network for providing a packet communication-bas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via the cell-based base station on the wireless network regardless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wireless section or the type or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Generic term for the component to connect.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 이내, 또는 30m 이내 등)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예컨대, 무선AP 등)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기 운영모듈(200)를 상기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망 통신, 블루투스 근거리망 통신, 지그비 기반 근거리망 통신, UWB 기반 근거리망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근거리에 구비된 망접속장치와 상기 운영모듈(2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운영모듈(200)를 망접속장치가 접속한 통신망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는 상기 운영모듈(200)를 구비한 차량이 이동하여 특정한 망접속장치의 무선 주파수 신호의 도달 범위에 진입하여 상기 망접속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망이 구현된 경우 상기 운영모듈(200)를 상기 근거리 무선망의 망접속장치를 경유하여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이하, 편의상 운영모듈(200)의 망 통신 기능은 무선망 통신부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망 통신부를 이용한 망 통신 기능도 제공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connects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network connection device (for example, wireless AP) provided at a short distance by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within 10 m or within 30 m). As a generic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connecting the operation module 2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network access device is connected through a local area wireless network, preferably Wi-Fi based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Bluetooth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Zigbee-based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WB Connect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provided in the local area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through at least one of based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and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nect the operation module 200 to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based thereon.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ed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moves to a range of radio frequency signals of a specific network access device by moving a vehicle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00 to establis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network access device. When a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is implemented, the operating module 200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operation module 200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packet data bas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via a network access device of the short range wireless network.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using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pparent that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a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is also provided. It is.
상기 근거리모듈(210)은 운영모듈(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와 제어모듈(230)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부는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규격이 블루투스 규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나 지그비 또는 UWB를 비롯한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The short-range module 210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process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eferably, the short-range module 210 includes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unit that connect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a specified standard. An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interfacing 230 is provided. For example,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may process Bluetooth 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Bluetooth standard.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e specification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is not limited to the Bluetooth standard, and may include al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including Wi-Fi, Zigbee, or UWB.
상기 근거리 무선부는 상기 차량 내에서 지정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구성이 블루투스 규격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블루투스 이외에 다양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음(예컨대, 와이파이 규격에 따른 와이파이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지그비(ZigBee) 규격에 따른 지그비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UWB 규격에 따른 UWB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현존하거나 미래의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관련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편의상 상기 근거리 무선부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is a generic name of a component that processe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a specified standard in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Bluetooth component that processes Bluetooth 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Bluetooth standard. Howeve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related configur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is not limited to the Bluetooth-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Bluetooth standard, it is possible to us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various standards in addition to Bluetooth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n the Wi-Fi standard Wi-Fi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according to ZigBee standard, UWB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according to UWB standard, etc. It is obviou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processes Bluetooth-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차량은 운전석 근처에 OBD(On-Board Diagnostics)-II 이후 규격이나 차량 제조사에 정한 규격에 따른 차량 OBD에 연결하기 위한 OBD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운영모듈(200)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OBD모듈(350)과 셋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OBD모듈(350)은 상기 차량의 OBD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OBD포트로부터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상기 OBD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 OBD로부터 지정된 OBD 규격에 따른 OBD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OBD모듈(350)은 상기 운영모듈(200)에 구비된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와 페어링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운영모듈(200)와 합의된 통신프로콜에 따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를 상기 운영모듈(200)로 근거리 무선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n OBD port near the driver's seat for connecting to the vehicle OBD according to the standard after the OBD (On-Board Diagnostics) -II or the standard set by the vehicle manufacturer.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be composed of an OBD module 350 having a function of processing a short range wireless unit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OBD module 350 is connected to the OBD port of the vehicle. It operates by receiving operating power from the OBD port, and obtains OBD information according to a designated OBD standard from a vehicle OBD while connected to the OBD port. The OBD module 350 is provided with a near field wireless module that is paired with a near field wireless unit of the near field module 210 provided in the operating module 200 to process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module, the operating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protocol agreed with (200), OB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s short-rang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200).
본 발명의 제1 OBD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모듈(350)은 상기 OBD포트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를 그대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운영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20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OBD모듈(350)로부터 상기 OBD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운행정보나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OBD interwork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module 350 may transmit the OB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port to the operation module 200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s it is,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receive the OBD information from the OBD module 35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selectively obtain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or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제2 OBD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BD모듈(350)은 상기 OBD포트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OBD정보 중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운행정보와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상태정보를 선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운영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20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OBD모듈(35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나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OBD interwork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module 350 sel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vehicle from among the OB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port.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200.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receive driving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OBD module 35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의 OBD 연동 실시예에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OBD정보의 용도나 기능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하는 명칭이다. 본 발명에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운행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 중 사용자의 운전 행위에 의하거나 차량의 운행 중에 시시각각 변경되는 정보의 집합을 포함하고, 상태정보는 차량 OBD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 중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집합이다. 따라서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정보 중 어느 한 정보는 운행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eanwhile, in the OBD interwork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s a name for convenience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purpose or function of the OB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cludes a set of information that can be changed by the user's driving behavior among the information obtainable from the vehicle OBD 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the vehicle among the information obtainable from the vehicle OBD. It is a set of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the state of. Therefore, any one of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may be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r in the status information,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랴장치와 OBD모듈(35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저장하거나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시점에 암호 통신을 위한 키 값을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OBD모듈(350)은 상기 키 값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운영모듈(200)는 상기 OBD모듈(350)을 통해 암호화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상기 OBD모듈(350)과 운영모듈(2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 device and the OBD module 350 store a key value for cryptographic communication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exchange a key value for cryptographic communication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OBD module 350 encrypts and transmits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key value,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receives encrypted information through the OBD module 350. It is preferable to decrypt the data, thereby preventing the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OBD module 35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200)에 구비된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와 OBD모듈(350)의 근거리 무선모듈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또는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 이상)에 도달하지 않도록 설정된 신호강도로 근거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OBD모듈(350)과 운영모듈(2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가 차량 외부에서 탐지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module of the OBD module 350 operate by using a vehicle power, and perfor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hort-range wireless signal with a signal strength set so that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does not reach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thereby operating with the OBD module 350. Information exchang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dules 200 may be blocked from being detected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을 확장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는 지정된 코드(예컨대, 운영모듈(200)에 고유 할당된 코드와 운영모듈(200)에서 생성한 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를 포함하며 미리 페어링되지 않은 수신장치에서도 수신하여 상기 코드를 인식 가능한 근거리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의 BLE 기반 무선신호)를 단방향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방향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단방향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코드를 포함하여 단방향 송출된 근거리 무선신호는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까지 도달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일정 거리 이내에 구비된 수신장치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신호에 포함된 코드를 인식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hort range wireless part may include a designated code (eg,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codes uniquely assigned to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codes generated by the operation module 200). It is possible to unidirectionally transmit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for example, a BLE-based wireless signal of Bluetooth 4.0 or later) that can receive the code by receiving it even from a receiver that is not previously paired. In this case,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amplifi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to a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so that the short-range wireless short-range wireless signal can reach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In this case, the short-rang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including the code may reach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and may be received by a receiving device provid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A code included in a short range wireless signal may be recognized to perform a procedure of providing a designated servi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200)에 구비된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는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는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페어링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는 데이터 통신 가능모드(예컨대, 근거리 무선부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블루투스 규격의 직렬포트프로파일(SPP)을 통해 페어링한 근거리 무선 통신)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데이터 통신하거나, 및/또는 전화 통화 가능모드(예컨대, 근거리 무선부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 블루투스 규격의 핸드프리프로파일(HFP)이나 헤드셋프로파일(HSP)을 통해 페어링한 근거리 무선 통신)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사용자 무선단말(360)을 통해 전화 호를 발신하거나 착신하거나 통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는 차량의 OBD에 연결된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데, 상기 근거리 무선부에 적용된 근거리 무선 통신의 규격이나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종류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부는 상기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는 상기 OBD모듈(350)과 사용자 무선단말(360) 중 어느 하나와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는 상기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면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데이터 통신 가능모드나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는 제어모듈(230)과 연동하여 지정된 제어 절차에 따라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듀얼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는 기본적으로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다가 제어모듈(230)에 의해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 상기 OBD모듈(35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일시적으로 해제(이 경우 OBD모듈(35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될 때까지 차량의 OBD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임시 저장함)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 사용자 무선단말(36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경우 OBD모듈(35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복구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모듈(210)은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부와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제2 근거리 무선부를 포함하는 2개의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예시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실시예를 모두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includ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communicate by connecting the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360 wi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may be paired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o proces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may perform a data communication mode (for example, when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provides Bluetooth bas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pairing is performed through a serial port profile (SPP) of the Bluetooth standar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 or a phone call enabled mode (eg,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to provide Bluetooth-b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is paired through a Bluetooth-based hand-free profile (HFP) or a headset profile (HSP),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throug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by connec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You can make a call or receive a call. Meanwhile,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connect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connected to the OBD of the vehicle.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is connect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or the type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ppli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Accordingly,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may connect the OBD module 350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simultaneously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lternatively,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OBD module 35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 Onl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360). In the former case,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may proces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a data communication mode or a phone call mode while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In the latter case,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perform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or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ccording to a control procedure specified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module 230. It can be controlled in dual mode to selectively switch. For example,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basically perform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and whe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to be processed by the control module 230.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fter temporarily cance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in this case, the OBD module 350 temporarily store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ehicle's OBD until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restored).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releas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may be resto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hort range module 210 may include two short range wireless units including a first short range wireless unit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and a second short range wireless unit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of the embodiments of the above-describ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s a right scope,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운영모듈(200)와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이 매핑된 경우(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360)에 지정된 앱을 설치하여 최초 실행(운영모듈(200)를 매핑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에서 운영모듈(200)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와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식별정보(또는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을 고유 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300)에 등록하여 상기 운영모듈(200)와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이 매칭 등록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각종 식별정보나 처리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운영서버(3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으로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을 통해 입력되거나 추출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운영모듈(200)의 제어모듈(230)로 전달되어 처리(예컨대, 음파 출력 또는 운영서버(300)로 전송)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운영서버(300)에서 상기 운영모듈(200)로 수신되거나 상기 운영모듈(200)에서 인식되거나 추출되거나 생성된 정보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으로 전달되어 처리(예컨대, 화면 출력 또는 운영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 of the operating module 2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mapped (for example, by installing the designated app o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firstly executing the operating module 200) Device mapping information identifying the operation module 200 in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or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uniquely identified when the mapping is executed before registering the mapping.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applic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registered), the short-range wireless unit and the matched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t is possible to exchange vario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processing information designated for processing a specified service by connec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as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or input or extracted through the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generat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230 of the 200 to process (for example, sound wave output or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server 300) and / or received from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to the operating module 200 or the operating module Information recognized, extracted or generated at 200 may be transferred to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processed (eg, outputted to a screen or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상기 위치모듈(225)은 운영모듈(2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측위부와 제어모듈(230)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The position module 225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obtain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eferably, the position module 225 includes a position positioning unit for acquiring position coordinates positioned through GPS, and the position positioning unit and the control module 230. ), An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interfacing is provided.
상기 위치 측위부는 상기 운영모듈(200)(또는 운영모듈(200)를 구비한 차량)의 위치좌표를 측위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위 기술을 통해 상기 운영모듈(200)의 위치좌표를 측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위치 측위부는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신호를 운영모듈(200)가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GPS (Assisted-GPS) 방식,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운영모듈(200)의 위치좌표를 측위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모듈(200)의 위치좌표를 측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location positioning unit is a generic term for a configuration unit for position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or a vehicle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preferably, the operation module throug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positioning technology. Position coordinates of (200) can be measured. For example, the position location unit is an A-GPS (Assisted-GPS) method in which the operation module 200 reads the position signal sent from the GPS satellite to the base station, and receives a correction signal from a reference receiver on the ground, and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from the satellit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be positioned by at least one of differential GPS (DGPS) methods for correcting an error of a signal, and limited by a method of position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No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는 상기 전원모듈(215)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위치좌표를 측위함으로써, 운영모듈(200)를 구비한 차량의 위치좌표를 측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위치 측위부의 측위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위치를 측위한 경우에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차량의 위치좌표로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positioning unit positions the position coordinates in a state in which a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a power supply unit of the power module 215 is applied (or a state in which operating power converted from the vehicle power is applied). As a result,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be measured. However, the positioning process of the position positioning unit is not limited to be performed only in the state of applying the vehicle power, but when the position is measured in the state of applying the vehicle power, the position coordinates measured through the position positioning unit are converted into position coordinates of the vehicle. Can be processed.
상기 제어모듈(230)은 운영모듈(2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통신모듈(220)을 통해 지정된 서버와 통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나 둘 이상을 조합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0b)를 구비한다. The control module 230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controls various operations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eferably, the control module 230 generates an image data through the camera module, and communicates with a server design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pera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and a memory unit 230b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or program code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영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및/또는 각종 칩이나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영모듈(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지정된 인터페이스(예컨대, 버스(BUS) 등)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운영모듈(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운영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은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어 메모리부(230b)에 저장되었다가 로딩되어 연산되는 프로그램 형태 및/또는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부를 본 제어부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a generic term for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and / or includes various chips or control circuits,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Are connected to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module) through a designated interface (eg,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loads and compute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through the processor into the execution memory, and transmits the result to at least one component through the bu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 or in the form of a chip or a control circuit. For convenience, the program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b, and then loaded and operated.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hips or control circuits,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상기 메모리부(230b)는 상기 운영모듈(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30b)는 기본적으로 상기 운영모듈(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운영모듈(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기능적 구성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30b)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30b is a generic term for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of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Save it and keep it. The memory unit 230b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operation module 2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an application data set are stored, and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30b.
상기 전원모듈(215)은 운영모듈(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인가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 전원의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이 상기 운영모듈(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 값이나 전류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을 지닌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전원모듈(215)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차량 전원이 공급되거나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상기 차량 전원이 동작 전원으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이나 동작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운영모듈(200)로 차량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충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module 215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supplies / applies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Preferably, the power module 215 includes a power supply configured to receive and apply vehicle power from a vehicle,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vehicle power. In addition, when the current value is different from the voltage value or current valu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odule 200 further includes a pow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vehicle power source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having a specified voltage or current value. The power module 215 charges the vehicle power or the operating power when the vehicl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or when the vehicle power is converted into the operating power through the power conversion unit, and the operating module 200. When the vehicl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furna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harging unit for applying the charged charging power.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공기정화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공기정화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차량의 시가잭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시가잭 외에 차량의 전장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공기정화장치(200)를 차량 이외의 거치 공간에 거치하는 경우, 지정된 아답터를 이용하여 AC 전원을 상기 차량 전원에 대응하는 DC 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15a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receives external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200, and preferably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vehicl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200. It is preferab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215a may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ehicle power is supplied from the cigar jack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215a may receive vehicle power from the electric field of the vehicle in addition to the cigar jack,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air purifier 200 is mounted in a mounting space other than a vehicle, AC power may be rectified and supplied to a DC pow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using a designated adapt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차량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운영모듈(200)을 통해 상기 공기정화모듈(210)의 공기정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근거로 상기 공기정화 기능을 위한 UV램프부(220)의 동작 전원(예컨대, 각 UV램프부(220)에 350mA(±10mA)의 정전류 조건과 적어도 DC 3.6V 이상(또는 DC 3.6V ~ 4.0V)의 전압 조건을 만족하는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과 상기 운영모듈(200)의 공기정화 제어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215a is supplied with vehicle power, and the vehicle power is supplied when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is activated through the operation module 200. On the basis of the operating power of the UV lamp unit 220 for the air purifying function (for example, each UV lamp unit 220, 350mA (± 10mA) constant current conditions and at least DC 3.6V or more (or DC 3.6V ~ 4.0V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figuration for applying a power supply that satisfies the voltage condition of)) and a configuration for applying the op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air purifica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200)은 상기 전원 공급부(215a)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UV램프부(220)의 동작 전원과 운영모듈(200)의 공기정화 제어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단, 공기정화 기능의 비활성화된 경우 UV램프부(220)의 동작 전원 인가는 생략 가능) 상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의 나머지 전원을 이용하여 운영모듈(200)의 무선 통신 내지 부가 서비스 관련 동작 전원이나 인터페이스모듈(260)의 음파 입출력을 위한 동작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60)을 통한 사용자 조작이나 음성 인식을 근거로 상기 공기정화모듈(210)의 팬부(250)의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거나 전원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ule 200 uses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15a to control the operation power of the UV lamp unit 220 and the air purification control of the operation module 200. In the state that the op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is applied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UV lamp unit 220 can be omitted if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deactivated) us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vehicle power supplied to the operation module 200 Wireless communication or additional service-related operation power or the operation power for the sound wave input and output of the interface module 260 is applied, and based on the user operation or voice recognition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260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The operating power of the fan unit 250 may be selectively applied or the amount of power may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상기 차량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200)은 차량의 시동이 꺼져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차량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UV램프부(230)에 인가하여 일정 시간 동안 공기정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모듈(200)과 인터페이스모듈(260)은 상기 차량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이나 각종 부가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215a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harging unit (not shown) for charging the vehicle power.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ule 200 may turn off the vehicle to start the vehicle cigarette lighter. Even when the vehicle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vehicle, the charging power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may be applied to the UV lamp unit 230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lternatively, even when the vehicle power is not supplied,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the interface module 260 perform an operation for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or various additional services for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the charging power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can do.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운영모듈(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는 차량 내부에 거치되는 거치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포함하는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운영모듈(300)의 내부 구성부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상기 차량 전원(또는 동작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215c)(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는 차량의 시동이 꺼져 차량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는 차량 내부에 내장(예컨대, 차량의 전장에 탑재)되거나 또는 차량 시가잭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차량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215a)는 상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15a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nent that receiv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300, and preferably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vehicle pow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ule 300 may be manufactured in a stationary type mounted inside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215a may receive the vehicle power from the vehicle cigar jack.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unit 215a preferably converts the vehicle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cigar jack into operating power including a specified voltage and current amount and applies it to an internal component of the operation module 300.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215a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harging unit 215c (not shown) for charging the vehicle power (or operating power).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ule 300 may turn off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is turned off. It can be operated for a certain time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cigar jack. 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ule 300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in a structure that can be supplied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mounted on the battlefield of the vehicle) or can be supplied with vehicle power without using the vehicle cigarette jack.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215a may receive the vehicle power.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모듈(200)의 제어모듈(235)은, 전원 공급부(24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공기정화모듈(210)의 공기정화 기능을 운영하는 공기정화 운영부(27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5 of the operation module 200 operates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using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45. 275.
상기 공기정화 운영부(275)는 공기정화모듈(210)의 공기정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또는 인터페이스모듈(260)을 통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나 음성 인식을 근거로 활성화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공기정화모듈(210)의 공기정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공기정화 운영부(275)는 상기 전원 공급부(24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근거로 UV램프부(220)의 지정된 동작 전원을 공기정화모듈(210)의 각 UV램프부(220)에 인가하도록 운영한다. The air purification operation unit 275 checks whether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is activated (or activated based on a user manipulation input or voice recognition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260). If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is activated, the air purification operation unit 275 is a specified operating power of the UV lamp unit 220 based on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45. It is operated to apply to each UV lamp unit 220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 운영부(275)는 상기 공기정화모듈(210)의 공기정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각 UV램프부(220)로 인가되는 전원이 지정된 UV램프부(220)의 동작 전원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UV램프부(220)로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지정된 동작 전원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팬부(250)나 인터페이스모듈(260)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UV램프부(220)로 인가하여 상기 UV램프부(220)의 동작 전원 조건이 최우선적으로 만족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operation unit 275 is a UV lamp unit 220 to which power is applied to each UV lamp unit 220 while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is activated. 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o check whether the operating power condition of the) and, if the power applied to the UV lamp unit 220 does not satisfy the specified operating power condition the fan unit 250 or the interface module 260 ) May be applied to the UV lamp unit 220 to apply the power applied to the UV lamp unit 220 so that the operating power condition of the UV lamp unit 220 is satisfied first.
한편 상기 공기정화 운영부(275)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60)을 통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나 음성 인식을 근거로 상기 공기정화모듈(210)에 구비된 팬부(250)의 동작 여부를 판단(또는 결정)하며, 상기 팬부(250)의 동작 시 상기 전원 공급부(245)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 중 팬부(250)의 지정된 동작 전원을 상기 팬부(250)로 인가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cation operation unit 275 determines (or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50 provided 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210 based on a user operation input or voice recognition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260. During operation of the fan unit 250, the fan unit 250 may be configured to apply the designated operating power of the fan unit 250 to the fan unit 250 among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45.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 운영부(275)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60)을 통한 사용자 조작 입력이나 음성 인식을 근거로 상기 팬부(250)의 모터 회전속도를 결정(또는 확인)하거나 및/또는 공기 오염 측정센서(도시생략)의 센싱 결과를 근거로 상기 팬부(250)의 모터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기정화 운영부(275)는 상기 팬부(250)의 모터가 상기 결정(또는 확인)된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operation unit 275 may determine (or confirm) the motor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50 based on a user operation input or voice recognition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260. And / or the motor rotational speed of the fan unit 250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sensing result of an air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In this case, the air purifying operation unit 275 may include the motor of the fan unit 250. It can be operated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determined (or confirmed) rotational speed.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제어모듈(230)의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될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인식될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부(230b)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모듈(230)의 OBD 연동부(240)를 통해 획득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모듈(230)의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를 분석하여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may be recognized by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245 of the control module 230 and may be urgent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mong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o be obtain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nfirmation of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for initiating or processing dispatch service and storing it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30b, and / or driving information to be obtained through the OBD linking unit 240 of the control module 230. And analyzing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for determining the start or processing of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nd / or the control module 230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ing of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by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be confirmed through the location check unit 250 of the Information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235 to store the specified storage.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제어모듈(230)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획득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의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비교되거나 상기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30b)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상기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한 차량분석판별정보는 차량의 상태정보 중 중 배터리 방전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의 실시예가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a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mong information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to be obtained through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at the time of manufacture or mounting of the control module 230.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to be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serving as a trigger of initiation or processing of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or performing the designated verification operation of the memory unit 230b. Save to the designated storage area. For example,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for starting or process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may include battery discharge state information amo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However, embodiments of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운영모듈(200)에 상기 제어모듈(230)이 탑재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서버로부터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와 비교되거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mount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emergency modul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from the server specif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fter the control module 230 is mounted Receiv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information to be compared with information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or to perform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ing of a service, and update it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Can be stored.
한편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나 취소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거나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한 인식대상정보는 배터리 방전 시점에 통상의 사용자가 발화하는 사용자의 발화내용(예컨대, '시동이 안 걸리네', '배터리 방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식대상정보의 실시예가 상기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speech recognition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o start, process or cancel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ncludes a speech content to be recognized from the user's speech to start, process or cancel the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t the time of storing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he target information may be identified and mapped to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for the start or processing of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s the user's utterances (eg, 'not started', 'battery discharge') that the user ignites at the time of battery discharge. ', Etc.). However, embodiments of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모듈(200)의 음파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되어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운영모듈(2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mapped with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designated including a predetermined speech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 or the operation module 200 After requesting a utterance to be used as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may be obtained and registered / updat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anwhi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 updated through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mapp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제어모듈(230)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30b)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to be confirmed through the positioning unit 250 for determining the start or processing of the service specifi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r mounting of the control module 230 or the movement distance (movement) Distance analysis along the path) or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or geofence calculation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30b).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운영모듈(200)에 상기 제어모듈(230)이 탑재된 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서버로부터 지정된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ing of a specified service from a server design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fter the control module 230 is mount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Receiv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for comparis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e a moving distance, or geofence calculation, and update and store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speech recognition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ing of a specified servic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at the time of storing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start or process a specified servic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speech contents to be recognized from speech of a user may be identified and mapped to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모듈(200)의 음파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되어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운영모듈(2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mapped with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specified including a predetermined speech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 or the operation module 200 After requesting a utterance to be used as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may be obtained and registered / updat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anwhi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 updated through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mapp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배터리 방전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for storing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emergency service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제어모듈(230)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하기 상황 파악부(260)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락처정보는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stores one or more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when the actual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mounting the control module 230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Can be. Preferably, the contact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emergency call reception server information of each insurance company, the emergency call reception telephone information of each insurance company.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발화 인식부(245)와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보험 계약된 보험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와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연락처정보를 사용자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may be linked wit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and / or may be linked with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and / or design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heck the insurer information of the insurance contract with the user, and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emergency dispatch server information of the insurer contracted with the user and the emergency dispatch telephone number of the insurer contracted with the user; The contact information may be updat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of the user.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배터리 방전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stores ignition information to be uttered and output to a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order to notify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when the battery discharge condition is confirmed, and / or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configured to store utterance information to be outputted to the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order to induce a user's utterance for canceling the utterance.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제어모듈(230)의 제조나 탑재 시점에 하기 상황 파악부(260)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되어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접수 합니다'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requests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mounting the control module 230 through the situation identification unit 260 to determine the emergency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nd provides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to the user. In order to notify the user, ignition information (eg, `` battery is discharged to receive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배터리 방전 상황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가 자동으로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자동으로 개시된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된 발화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았거나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려면 xxx를 말하세요'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s automatically started in the event of a battery discharg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the speech information to output the utterance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 to make a specified utterance in order to cancel the automatically initiated emergency dispatch request (E.g., say 'xxx' if the battery is not discharged or to cancel the emergency call service) can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하는 OBD 연동부(2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obtains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OBD by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BD interworking unit 240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OB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r transmits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상기 OBD 연동부(240)는 차량 OBD와 연동하는 OBD연동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is a generic term for a functional component that implements an OBD interworking function interworking with the vehicle OBD, and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a chip, or a control circuit, or a combination of two,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It includes a function of obtaining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OB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linker 240 transmits n (1 ≦ n ≦ 1) to be transmitted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among N (N ≧ 1)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electing 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250)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acquir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location checking unit 250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BD linking unit 240 may determine the location checking unit (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250 is confirmed as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transmitting.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240)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운행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the positioning unit 250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acquir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OBD linking unit 240 is selective for the privacy of the user.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ecessary, the check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Preferably,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electively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250 to the operation server 300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nly when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linker 24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tor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Preferably, the OBD linker 240 may store N (N≥1)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N(N≥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N (N≥1) pieces of informa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pecifies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among N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electing n (1 ≦ n ≦ N) pieces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250)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acquir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location checking unit 250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BD linking unit 240 may determine the location checking unit (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250 is confirmed as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checking unit 250.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toring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association with.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re linked to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pecifies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among N (N≥1)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N (1≤n≤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creen,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 informa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240)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r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operates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needed for the privacy of the user. ) Can be sent. Preferably,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elects n (1≤n≤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among N (N≥1)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only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driv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n pieces of information, and if it is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에 포함된 i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260)로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운행정보에 포함된 속도의 경우 급출발이나 급정거하는 경우에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운행정보의 속도가 비선형적으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제공받은 운영서버(300)나 상황 파악부(260)는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속도를 이용하여 급출발이나 급정거를 제약하도록 요청하는 안전운전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locking unit 240 may have i (1 ≦ i ≦ 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Compares the i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one or more pieces of driving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and includes the one or more pieces of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in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To transmit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on-linearly changed one or more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 or the operation including the non-linearly changed one or more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identifying unit 260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peed start or sudden stop in the case of the speed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may confirm that the speed of the driving information is changed non-linearly, and the operation server 300 received The situation grasping unit 260 may confirm to start the safe driving service requesting to limit the rapid start or stop by using the non-linearly changed spe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또는 i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임계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260)로 상기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정된 임계값 범위는 날씨 별 및/또는 도로 별 최고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연동부(240)는 통신부를 통해 현재 날씨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와 지도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주행 중인 도로 종류를 확인한 후 현재 날씨 및/또는 도로 별 최고속도를 확인한 후 상기 운행정보에 포함된 속도와 비교하여 현재 날씨 및/또는 도로 별 최고속도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제공받은 운영서버(300)나 상황 파악부(260)는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속도를 이용하여 안전속도를 유지하도록 요청하는 안전운전 서비스를 개시하도록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linker 240 uses i (1 ≦ i ≦ N) pieces of information (or i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By comparing the calculated threshold information with the designated threshold valu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threshold range, and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threshold range. If included,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information out of the specified threshold value rang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and / or the situation out of the specified threshold value range 260 on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abov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pecified threshold range may include a weather-specific and / or road-specific maximum speed, and the OBD linker 240 may check the current weather and / or the location determiner 25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Compar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road information to confirm the current type of road driving, and then check the current speed and the maximum speed by road, and then compare with the speed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the current speed and the maximum speed by road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exceeded, and the operation server 300 or the situation grasping unit 260 received this can be confirmed to start the safe driving service requesting to maintain a safe speed using a speed outside the specified threshold rang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transmits m (1 ≦ m ≦ 1) to be transmitted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among M (M≥1)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electing M) pieces of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250)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location checking unit 250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BD linking unit 240 may determine the location checking unit (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250 is confirmed as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transmitting.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240)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posi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the positioning unit 250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OBD linking unit 240 is selective for the privacy of the user.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ecessary, the check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Preferably,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electively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checker 250 to the operation server 300 in association with the status informa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nly when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linker 24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tor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Preferably, the OBD linker 240 may store M (M≥1)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M(M≥1)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M (M≥1) pieces of informa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pecifies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among M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electing m (1 ≦ m ≦ M) pieces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한편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 확인부(250)는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location checking unit 250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BD linking unit 240 may determine the location checking unit (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250 is confirmed as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hecked through the location checking unit 250.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toring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 association with.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를 연계 저장한 경우,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re link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pecifies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among the M (M≥1)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M (1≤m≤M)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creen,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 informatio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한편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OBD 연동부(240)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stat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operates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needed for the privacy of the user. ) Can be sent. Preferably,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selects m (1≤m≤M)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 designated operating server 300 among M (M≥1)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ion server 300,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f it is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j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260)로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may include j (1 ≦ j ≦ M)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stat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Compare the j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one or more state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change, and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In this case,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is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 or the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to the situation identifying unit 260.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BD 연동부(24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또는 j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유효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황 파악부(260)로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D interworking unit 240 uses j (1 ≦ j ≦ M) pieces of information (or j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formation calculated) to check whether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valid state, and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valid state.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information out of the valid state design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and / or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out of the valid state designated by the situation identifying unit 260.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화 인식부(24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reads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recognizes a user's speech, and obtain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natural language.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performs a procedure.
상기 발화 인식부(245)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프로그램코드 형태와 칩이나 제어 회로 형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생성된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지정된 음성인식 절차를 수행한다.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is a generic term for a functional component that implements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for recognizing a speech spoken by a user, and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a chip, or a control circuit, or a combination of the two. The sound wave data generated by digitizing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is read to perform a designated voice recognition procedure for recognizing the voice utte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제1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화 인식부(245)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 중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지정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함과 동시에 형태 분석, 의미 분석, 대화 분석 중 하나 이상의 자연어 처리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voice recogni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checks sound wave data obtained by digitizing sound wave signals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among sound wave signals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and performs a designated voice recognition algorithm. By analyzing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ser to recognize the speech spoken by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a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user's speech through one or mor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form analysis, semantic analysis, dialogue analysis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제2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인식 과정은 상기 운영모듈(2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300)(또는 별도의 음성인식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발화 인식부(245)는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신호 중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디지털화한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고, 음성인식을 처리하기 위해 지정된 인식서버(도시생략)나 운영서버(300)로 상기 추출된 음성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서버나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함과 동시에 형태 분석, 의미 분석, 대화 분석 중 하나 이상의 자연어 처리 절차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발화 인식부(245)는 상기 인식서버나 운영서버(300)로부터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운영모듈(200) 내에서 인식된 발화내용인식정보인 것처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서버에서 상기 음성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생성한 경우 상기 인식서버는 상기 인식된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300)로 제공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절차에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a second voice recogni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n operation server 300 (or a separate voice recognition server (not shown))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ration module 200, In this case,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checks sound wave data obtained by digitizing sound wave signals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among sound wave signals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and voices corresponding to voices uttered by the user from the identified sound wave data. In order to extract the information and process the voice recognition, the extracted voi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designated recognition server (not shown) or the operation server 300 to process the user to recognize the spoken voice. Meanwhile, the recognition server or the operation server 300 analyzes the speech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recognizes the speech spoken by the user, and simultaneously texts through one or mor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ocedures of form analysis, semantic analysis, and dialogue analysis. The user may generate and transmit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uttered contents, and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245 receives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recognition server or the operation server 300 to operate the operation module 200. It can be used as if it is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within.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peech server recognizes the voice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e recognition server provides the recognized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300. In order to be used for a procedure of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제3 음성인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화 인식부(245)는 상기 제1 및 제2 음성인식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ㅇ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 third voice recogni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performs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 voice spoken by a user in a form of at least partiall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voice recognition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는 기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인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위해 구비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으로, 편의상 상기 제1 음성인식 실시예를 기준으로 운영모듈(200)가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직접 인식하는 것처럼 기재하더라도, 이는 실제로 상기 제1 내지 제3 음성인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a user's voice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is performed to perform a function provided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voice recognition embodiments. For convenience, although the operation module 200 is described as directly recognizing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voice recognition embodiment, this actually describes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first to third voice recognition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it is a practice.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25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includes a position checking unit 250 for check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obtained through the position positioning unit.
상기 위치 확인부(250)는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예컨대, 위도, 경도)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모듈(200)를 구비한 차량이 진입/운행 가능한 지도정보 상의 위치정보(예컨대, 지도정보에 포함된 도로 상의 위치정보, 주차공간 상의 위치정보 등)를 확인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지도정보와 매칭되는 위치좌표 및/또는 지도정보 상의 도로정보 및/또는 지도정보 상의 공간이나 영역을 식별하는 지리식별정보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250 confirms the position coordinates (eg, latitude and longitude) obtained through the positioning unit, and provides position information (eg, on map information that can be entered / run by a vehicle having the operation module 200).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oa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etc. included in the map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form of location coordinates matching the map information and / or road information on the map information and / or geograph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 space or area on the map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250)는 상기 전원모듈(215)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상태)에서 측위된 위치좌표를 상기 운영모듈(200)를 구비한 차량의 위치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위치 확인부(250)의 위치정보 확인 과정이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상기 위치 확인부(250)는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서 확인된 위치정보를 차량의 위치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ing unit 250 receives the vehicl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power module 215 (or receives the operating power converted from the vehicle power). Positioned position coordinates can be confirm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operation module 200. However, the location information checking process of the location checking unit 250 is not limited to be performed only in the state of applying the vehicle power. You can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25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includes a power checking unit 255 for checking whether vehicl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or charging power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is applied.
상기 전원 확인부(255)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여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전원 확인부(255)는 상기 차량 전원의 인가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여 충전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한다.The power checking unit 255 checks whether the vehicl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checks the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e of applying the vehicle power when the vehicle power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the power checking unit 255 checks whether the charging power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is applied when the application of the vehicle power is not confirmed, and when the charging power is applie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applied state of the charging power. Check the information.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30)은,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260)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265)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27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230 may recognize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age unit 240 and the natural language process by being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For identify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the power supply state of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255. Induces the user's utterance information for utterance output or the user's utterance for cancel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 order to notify the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by using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performing the procedure and the designated contact. Acoustic wave confirmation unit 265 for confirming the utterance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utterance to the user, and the audible that uttered the identified utte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Configure roadside assistan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eck while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of the frequency band and a service processing unit 270 to perform the process of notifying the given contact via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차량의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한 각종 상황을 파악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위치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된 위치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통해 차량의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한 각종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is a generic term for a functional component that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Preferably,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obtain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ing unit 240. Alternatively,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and the natural state of the user, and the power of the vehicle power or the charging power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heck unit 255 A procedure for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of the vehicle is performed by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f the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may recognize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ing unit 240 and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One of the power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ignition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identifi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location check unit 250 and the power check unit 255 Through the abov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formatio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can be grasped.
본 발명의 제1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배터리 방전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irst battery discharge situation deter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is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ing unit 240 through at least on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or Analysis of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 function for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For example,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corresponding to battery discharge state information amo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ing unit 240. .
본 발명의 제2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대상정보를 통해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을 판독하여 배터리 방전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dentific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analyzes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through at least on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function for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For example,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reads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to check the user's speech contents related to battery discharge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충전 전원의 인가됨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dent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is a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the applied state of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255 Analysis may include a function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For example,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by checking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not being appli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255. Alternatively,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by checking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harging power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255.
본 발명의 제4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ourth battery discharge situation determin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at least partially combines at least two or more embodiments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 detecting embodiments or the embodiments using the same. One form may include a function for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identify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form that at least partially combines at least two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5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ing unit 240 1 Information of the user's utterance contents recognized by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245 and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255.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may include a function for determining the final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embodiments in a specified order.
본 발명의 제6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sixth battery discharge situation grasp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260 first grasps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rough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unit 240 and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state of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check unit 255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may include a function for determining the final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embodiments in a specified order.
본 발명의 제7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24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identifying unit 260 is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 application state of any one of vehicle power and charging power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hecking unit 255. First,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identified through the OBD linkage unit 24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may include a function for determining the final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embodiments in a specified order.
상기 상황 파악부(260)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음파 확인부(265)는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the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265 may output a utterance to the user to notify the user of an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using a designated contact. After confirming the speech information, the service processor 270 may output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that ignites the identified speech information to notify the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한편 상기 음파 확인부(26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한 발화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사용자의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265 confirms the speech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firms the speech information to output the speech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s speech to cancel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The service processor 270 may output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that utters confirmed speech information for canceling the emergency call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235)를 긴급출동 취소를 확인하기 위한 인식대상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절차를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emergency dispatch cancellation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receives the confirmed speech information for canceling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During or after outputting the utterance,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245 is checked, and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user is checked to match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cancellation. . If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matches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for emergency dispatch cancella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performs a procedure of canceling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한편 상기 상황 파악부(260)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할 연락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락처정보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확인부(265)는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가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도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configures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act information to notify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may be checked and a procedure of notifying the contact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erformed. Preferably, the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265 confirms the utterance information during or after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notifies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an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also checks. During or after the procedure for notify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o a designated contact, a process of outputting the speech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제1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ncludes server informa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corresponds to a protocol agreed with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nd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예컨대, 콜센터, ARS 등)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ncludes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s a phone call function, the service processor 270 speaks with a designated voice. Configure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 and process the call connection to the call device (eg, call center, ARS, etc.) corresponding to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phone call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to check whether the call device is incoming. And when the call is received by the call device and the 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may be uttered by a designated voice, and the voice call may be transmitted to the call device via the phone call channel. Here,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specifi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and is a virtual personality. At least one of posi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a ignition output,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a vehicle having a battery discharge,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igniting a vehicle for a user of a vehicle having battery discharge. It may include.
한편 상기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를 이용하는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245)로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메모리부(230b)의 지정된 저장영역이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운영서버(300)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ergency call request embodiment,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is a sound wave signal of the audio frequency band including the speech content uttered by the other party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Check if it is received. If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utterance details of the other party is received via the phone call channel, the service processor 270 checks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other party received via the phone call channel and utters the speech.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provide to the recognition unit 245 to process the speech spoken by the counterpart is recognized. If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245 is obtaine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responds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at the contents of the response can be outputted in a designated voice,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response in a designated voice, and transmitting the voice to the call apparatus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spoken output respons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and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battery discharge occur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ignition output,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describing and outputting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us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do. 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speech of the other party,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swer speech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speech corresponding to the query content. The answer speech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according to a designated query / answer rule and / or through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30b or a database on the operation server 300 communica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제3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에서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에 호 연결을 요청한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고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ergency call requ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emergency call service includes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enables a telephone call with the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Whe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provided in the mode, the service processor 270 connect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short distance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in a telephone call enabled mode. Check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phone call enabled mode, and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phone call enabled mode,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speech can be output in a designated voice. And correspond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call device is incoming.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processor 270 receives the call from the call device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all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call device. Check that it is connected. If a tele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a call device, the service processor 270 utters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with a specified voice to transmit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It may include a function for processing to transmit the voice to the call device. Here,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specifi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and is a virtual personality. At least one of posi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a ignition output,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a vehicle having a battery discharge,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igniting a vehicle for a user of a vehicle having battery discharge. It may include.
한편 상기 제3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를 이용하는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와 사용자 무선단말(360) 사이의 전화 통화채널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발화 인식부(245)로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메모리부(230b)의 지정된 저장영역이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운영서버(300)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ergency call request embodiment,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is uttered by the other party using the call device via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hone call channel connected to the call device. It is checked whether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cluding speech content is receiv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f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a utterance of the other party is receiv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the service processor 270 transmits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rm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received speech of the other party, and receiv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speech of the other party received via the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all device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may include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speech to be recognized by the counterpart. If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245 is obtaine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responds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configur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and outputted in a designated voice,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in a designated voice, and transmitting the voice to the telephone apparatus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have.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spoken output respons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and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battery discharge occur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ignition output,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describing and outputting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us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do. 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speech of the other party,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swer speech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speech corresponding to the query content. The answer speech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according to a designated query / answer rule and / or through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30b or a database on the operation server 300 communica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제4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의 실시예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하여 긴급출동을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is designated through an embodiment of at least partiall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embodiments of the first to third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s. The emergency contact request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contact information, and a procedure for requesting an emergency dispatch may be performed,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모듈(210)의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360)이 가입된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긴급출동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의 담당자(예컨대, 보험사 직원, 보험사와 제휴된 긴급출동 업체의 긴급출동 담당자, 긴급구조 기관의 긴급출동 담당자, 경찰서의 긴급출동 담당자 등)는 통화장치(예컨대, 담당자 소유의 이동통신단말 등)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전화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는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지정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vid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a telephone call enabled mode with a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unit of the short range module 210, the service processor 270 may be designated. Connect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short distanc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or check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 36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in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for example,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a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60 via the subscrib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hamhal. For example, when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is reques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s, a person in charge of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eg, an insurance company employee, an emergency dispatch company affiliated with an insurance company) Emergency dispatch staff, emergency dispatch staff of the emergency rescue agency, emergency dispatch staff of the police station, etc.) is connected to the call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a call devic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wned by the person in charge) The service processor 270 may check whether a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designated as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available mode.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지정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이 요청됨을 확인한 경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designat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e service processor 270 receive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available phone call mode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It may include a function for connecting the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360 and the call devi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가상 인격체 전화 통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지정된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을 확인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배터리방전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배터리방전상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irst virtual personal body telephone c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or 270 performs a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a designated call apparatu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If the connection is confirmed,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capable of igniting and outputt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by a specified voice is configured, and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is uttered and output by the designated voice to the call device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all channel. It may include a function for processing to transmit the voice. Her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speech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phone call, not a user, and is a virtual personality.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the ignition,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for the vehicle that has discharged the battery, and user description for ignition output for the user information for the user of the vehicle having the battery discharge.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가상 인격체 전화 통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지정된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발화 인식부(245)로 제공하여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메모리부(230b)의 지정된 저장영역이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운영서버(300) 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cond virtual personal body telephone c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ssor 270 is a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designated call apparatus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When the connection is confirmed,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counterpar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apparatus is confirmed through the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counterpart is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 And provide a function to process the recognition by the counterpart. If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245 is obtaine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responds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configur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and outputted in a designated voice,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to be spoken in a designated voice, and transmitting the voice to the telephone apparatus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have.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spoken output respons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and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battery discharge occur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ignition output,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describing and outputting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us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do. 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speech of the other party,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swer speech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speech corresponding to the query content. The answer speech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according to a designated query / answer rule and / or through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30b or a database on the operation server 300 communica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일부 차량의 OBD의 경우 상기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이나 비상등 점등 동작이나 경음기 출력 동작 등이 가능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서버(300)와 연동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을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 확인 시, 상기 서비스 처리부(270)는 상기 OBD 연동부(240)와 연동하여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과 비상등 점등 동작과 경음기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OBD of some vehicles, the headlight lighting operation, the emergency lighting lighting operation or the horn output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OBD of the vehicle, and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may operate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check the access within the specified range of the emergency vehicle in conjunction with 300. When confirming the approach within the designated range of the emergency dispatch vehicle, the service processing unit 270 in conjunction with the OBD linking unit 240 at least one of the headlight lighting operation, emergency light lighting operation and horn output operation through the vehicle OBD. It may include a function for performing a notification operation.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와 운영서버(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운영서버(300)의 실시예 및/또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공기정화장치(100)의 제어모듈(230)의 기능 구성 중 적어도 일부의 기능 구성을 운영서버(300) 측에 구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면2과 본 도면3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한 실시 방법(예컨대, 본 도면3의 운영서버(300) 측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운영서버(300) 측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공기정화장치(100)의 제어모듈(230)에 구현하거나 상기 도면2의 제어모듈(230)에 구현한 기능 구성 중 일부를 그대로 제어모듈(230)에 구현하되 다른 일부를 운영서버(300) 측에 구현하는 실시 방법, 상기 도면2과 본 도면3에 도시된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 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하며, 상기 도면2과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server 300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air purifier 100 shown in FIG. 2 and / or the control module of the air purifier 100 shown in FIG. An embodiment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230 is implemented on the operation server 300 sid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ee FIG. And / or a modified method of at least partially modifying the embodiments of FIGS. 2 and 3 (e.g., a part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implemented on the operation server 300 side of the operation 3 as it is) Implemented in the control module 230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00 or the other part of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implemented in the control module 230 of FIG. Implementation method implemented on the operation server 300 side, the figure It may be possible to infer the implementation method, such as the surface 2 and some components shown in Figure 3, omitted, subdivided, or comb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by the scope,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2 and FIG. 3.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 OBD에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정보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기능과 그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OBD모듈(350)과, 음파신호를 입출력하는 기능과 통신망에 연결하는 기능과 상기 OBD모듈(35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기능과 GPS를 통해 위치를 측위하는 기능 및 상기 각 기능들을 제어하고 연동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공기정화장치(100)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와 통신하여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나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에서 상기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수신하거나 확인하는 절차와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상황을 파악하는 절차와 상기 차량의 상황에 대응하는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의 경과나 결과에 대응하는 발화정보를 확인하여 공기정화장치(100)로 제공하는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운영서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the OBD module 350 having a function of collecting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he function of inputting and outputting sound wave signals, and the function of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function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350, a function of positioning a location through GPS, and control and interworking with the respective functions to perform a designated procedure for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a battery discharge condition. The air purifier 100 and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air purifier 100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ifier 100 and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air purifier 100 The user's speech recognized by read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sound wave signals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ted through a) or the sound wave data from the air purifier 100 At least one of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through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and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 application state of any one of vehicle power and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A procedure of receiving or confirm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A procedure for identifying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source and the charging power source, and provid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ituation. And checking the ign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or result of the procedure of providing the service to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This includes the operation server 300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procedures.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인식되어 획득될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인식될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획득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한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be recognized to start or process an emergency call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a battery discharge condition among utterance recognition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and obtained through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Identify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and store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 or analyze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o be obtained through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to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Storing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tart or processing of the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 or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be confirmed by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to determine the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provided for storing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start or processing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의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비교되거나 상기 트리거 역할을 하는 정보와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serves as a trigger for initiating or process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condition among information included in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to be checked through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that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to perform the trigger or at least one information to perform the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may be identifi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소정의 차량분석판별정보가 저장된 후 추가적인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정보와 비교되거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stores air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ing of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an additional designat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condition after predetermined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Check and update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at least one information to be compared with information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o be checked through the purification apparatus 100 or to perform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Can be stored.
한편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나 취소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거나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speech recognition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o start, process or cancel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ncludes a speech content to be recognized from the user's speech to start, process or cancel the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t the time of storing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he target information may be identified and mapped to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차량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mapped with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designated including a predetermined speech content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 or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After requesting the utterance content to be used as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can be registered / updated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 obtain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anwhi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 updated through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mapped with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to be checked through the air purifier 100, calculates a moving distance (distance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or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for geofence calculation Check the analysis judgment information and save it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지정된 저장매체에 소정의 위치분석판별정보가 저장된 후 추가적인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확인될 위치정보와 비교되거나 이동거리를 계산하거나 지오펜스 연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갱신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stores air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ing of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an additional designat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condition after predetermined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purifying apparatus 100 may check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which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to be checked or calculates a moving distance or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for geofence calculation and stores the update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 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개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화로부터 인식될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인식대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speech recognition is required to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tart or processing of the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At the time of storing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the speech content to be recognized from the user's speech is started to be mapped or mapped to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o start or process the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ervice or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Can be stor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와 매핑될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위치분석판별정보가 확인되는 시점에 미리 지정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지정되거나, 및/또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식대상정보로 사용될 발화내용을 요청한 후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입력받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획득된 발화내용을 포함하여 등록/갱신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대상정보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와 매핑된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을 통해 등록/갱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be mapped with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designated including the predetermined speech content at the time point when the location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 or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After requesting the utterance content to be used as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can be registered / updated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 obtain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anwhi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 updated through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mapped with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배터리 방전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for storing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confirmed.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연락처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락처정보는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각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may store one or more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a battery discharge condition o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Preferably, the contact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emergency call reception server information of each insurance company, the emergency call reception telephone information of each insurance company.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상기 발화 인식부(245)와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앱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보험 계약된 보험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와 상기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연락처정보를 사용자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대응하는 연락처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may be linked wit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and / or may be linked with an app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and / or design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heck the insurer information of the insurance contract with the user, and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emergency dispatch server information of the insurer contracted with the user and the emergency dispatch telephone number of the insurer contracted with the user; The contact information may be updat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of the user.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배터리 방전 상황 확인 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3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stores,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gnition information to be uttered and output to a user in order to notify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when the battery discharge condition is confirmed, and / or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is configured to store utterance information to be outputted to the us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induce a user utterance for canceling.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되어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접수 합니다'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requests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peech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in order to notify the user of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for example, 'the battery is discharged and the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I accept the service'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배터리 방전 상황 시에 긴급출동 서비스가 자동으로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35)는 자동으로 개시된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된 발화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예컨대,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았거나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려면 xxx를 말하세요'라는 내용의 발화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s automatically started in the event of a battery discharg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35, the speech information to output the utterance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 to make a specified utterance in order to cancel the automatically initiated emergency dispatch request (E.g., say 'xxx' if the battery is not discharged or to cancel the emergency call service) can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제어모듈(230)에 구비된 OBD 연동부(240)와 연계된 운영서버(300) 측 절차를 수행하는 OBD 처리부(30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performs an OB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server 300 side procedure associated with an OBD interworking unit 240 provided in the control module 230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The processor 305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transmits n (1 ≦ n ≦ N to N (1 ≦ n ≦ N) of the N (N≥1)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OBD processing unit 305 is the air purifier 100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운행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acquir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In this case, the air purifier 100 checks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receive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운행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운행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is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needed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eve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t a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obtain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Preferably,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selectively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only if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is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Meanwhile, when the air purifier 100 is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ir purifier 100 may transmit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OBD processor 305 may perform the air purific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100 stor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n N (N≥1)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Among the n (1 ≤ n ≤ N) information to be sent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OBD processing unit 305 ) May receive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re link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includes N (N≥1) pieces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Selecting n (1 ≦ n ≦ 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mong the information,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receive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운행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N(N≥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n(1≤n≤N)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n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air purifier 100, the air purifier 100 checks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needed for the privacy of the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Preferably, the air purifier 100 selects n (1 ≦ n ≦ 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mong N (N ≧ 1)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selectivel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s server 300, and include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s server 300 only when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receive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 Meanwhile, when the air purifier 100 is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ir purifier 100 may transmit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OBD processor 305 may perform the air purific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운행정보에 포함된 i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비선형적으로 변경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100 is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area with i (1≤i≤N)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Compares the i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one or more pieces of driving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and includes the one or more pieces of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in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May transmit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pieces of non-linearly change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includes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n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specifi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포함된 i(1≤i≤N)개의 정보(또는 i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임계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운행정보에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300)로 지정된 임계값 범위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n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100 uses i (1 ≦ i ≦ N) pieces of information (or i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driv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By comparing the calculated threshold information with the designated threshold valu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threshold range, and the sto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threshold range. If included,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includ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threshold range,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transmit the n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to be includ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transmits m (1≤m≤M) of M (1≤m≤M) of M (M≥1)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m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OBD processing unit 305 is the air purifier 100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상태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In this case, the air purifier 100 may determine the identified position. The information may be identified as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직전, 중, 또는 직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위치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상태정보와 연계시켜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is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needed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eve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at a point in time immediately before, during, or immediately after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OBD.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Preferably,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selectively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in association with the status information, and only if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OBD processing unit 305 is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m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Meanwhile, when the air purifier 100 is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ir purifier 100 ma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OBD processor 305 may perform the air purific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stor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then stores information of M (M≥1) included in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Among the m (1 ≤ m ≤ M) information to be sent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m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OBD processing unit 305 ) May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된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re link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includes M (M≥1) pieces of th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Selecting m (1≤m≤M)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mong the information,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 information, and includes the m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Statu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차량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가 연계 저장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선택적으로 위치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태정보에 포함된 M(M≥1)개의 정보 중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m(1≤m≤M)개의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m개의 정보와 연계된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300)로 전송할 지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만약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가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결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operates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on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ively needed for the privacy of the user, even though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re linked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 Can be sent. Preferably, the air purifier 100 selects m (1≤m≤M)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mong M (M≥1)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area. And selectively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include the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only when it is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store the position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 Meanwhile, when the air purifier 100 is not determin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ir purifier 100 ma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300, and the OBD processor 305 may perform the air purific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m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와 상기 저장영역에 이전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j개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300)로 상기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has previously received j (1 ≦ j ≦ M)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region. Compare the j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ored one or more state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change, and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transmit state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change,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includes the m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It can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차량 OBD로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포함된 j(1≤j≤M)개의 정보(또는 j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정보)와 지정된 유효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저장되는 상태정보에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300)로 지정된 유효상태를 벗어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OBD 처리부(305)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m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100 uses j (1 ≦ j ≦ M) pieces of information (or j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Information calculated) to check whether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valid state, and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information outside the specified valid state.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transmit state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which are out of a valid state, and the OBD processing unit 305 may include the m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100. Th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10)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OBD 처리부(305)를 통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31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er 310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a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air purifier 100. Or, and / or a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315 for confirm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OBD processing unit 305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에서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정보 수신부(31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한다. When the air purifier 100 transmits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o start or process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a battery discharge conditio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310 receive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of driving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air purifier 100.
한편 상기 OBD 처리부(305)를 통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경우, 상기 정보 확인부(315)는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ir purifier 100 through the OBD processing unit 305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information checking unit 315 is designated from the storage medium.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checked to start or process an emergency call service according to a service or a battery discharge condition.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10)와, 상기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발화 인식부(245)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에서 상기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1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er 310 for receiving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sound wave data. A speech recognition unit 245 which reads the speech of the user and recognizes the speech of the user and obtains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speech of the user, and / or the audible frequency in the air purifier 100 It is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0 for reading the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signal of the band to recognize the user's utterance and to obtain and transmit the utteran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processed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receive the utteran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상기 입력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31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음파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245)는 상기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을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receives sound wave signals in an audible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sound wave signals for initiation or processing of emergency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a battery discharge conditio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receiver 310 receives the sound wave data from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recognizes the user's speech by reading the sound wave data and processes the natural language to recognize the user's speech. On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에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서비스나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개시나 처리를 위해 상기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31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receives sound wave signals in an audible frequency band and reads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signals to start or process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ervice or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Whe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ich is recognized and processed in natural language, is obtained and transmitted, the information receiver 310 may receive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air purifier 100.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1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er 310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obtained through the air purifier 100.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에서 차량 전원(또는 차량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을 근거로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31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check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 measured through GPS on the basis of the vehicle power (or operating power converted from the vehicle power), the information receiver 3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received from the air purifier 100.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31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include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0 that receives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vehicle power and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에서 상기 전원 확인부(255)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부(31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부터 상기 전원인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air purifier 100 transmits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 applied state of any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255, the information receiver 310 performs the air purification.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device 100.
도면3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300)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260)와,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절차부(320)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265)와,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를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제공하여 발화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제공부(32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vehicle power and charge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the power sources, and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procedure unit 320 is configured to perform a procedure of notifying the designated contact, and the call information or the emergency call request to be outputted to the user to notify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using the designated contact. A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265 for confirming the utterance information to output the utterance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 utterance for cancellation, and the identified ignition tablet It is provided with a service providing unit 325 to provide a beam to the air purifier 100 to process the ignition output.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may be configured to any one of vehicle power and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and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of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air purifier 100. Perform a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제1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분석판별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 중 배터리 방전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analyzes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vehicle analysis discrimin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corresponding to battery discharge state information amo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제2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대상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판독하여 배터리 방전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dentific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analyzing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Can be. For example,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reading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o check the user's speech content related to the battery discharge to identify the battery discharge condition.
본 발명의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차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충전 전원의 인가됨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 grasp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260 provides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 application state of any one of vehicle power and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The analysis may include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For example,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by checking power supp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not being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Alternatively,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may include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by checking power supp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harging power to the air purifier 100.
본 발명의 제4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ourth battery discharge situation determin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at least partially combines at least two or more embodiments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 detecting embodiments or the embodiments using the same. One form may include a function for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identify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form that at least partially combines at least two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5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identifying unit 260 first identifies the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recognizes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finally determine the actual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embodiments in a specified order.
본 발명의 제6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sixth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dentific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first detects the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finally determine the actual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embodiments in a specified order.
본 발명의 제7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통상과 발생 상황이 파악됨과 동시에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으로, 상기 상황 파악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나 이를 응용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조합한 형태로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eventh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dent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ischarges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first determine the situation, and finally to determine the actual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occurrence situation are identified and the emergency call is requested to a designated contact point.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which of the first to third battery discharge situations or the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Rather than using only one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embodiments in a specified order.
상기 상황 파악부(260)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320)는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할 연락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연락처정보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60, the service procedure unit 320 configures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and contacts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The procedure of checking the information and notifying the contact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제1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320)는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tact information for requesting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ncludes server information, the service procedure unit 320 corresponds to a protocol agreed with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Configure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300)가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거나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 통화서버(도시생략)와 연계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320)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예컨대, 콜센터, ARS 등)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server for requesting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ncludes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erver 300 provides a telephone call function or a telephone call function having a telephone call function ( In connection with the figure, the service procedure unit 320 configures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a utterance by a designated voice, and uses a telephone call function (eg, a call center,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telephone call function. ARS, etc.) to process a call connection request to check that the call device is incoming, and when the call device receives the call and the 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uttered by a designated voice and the phone call is output. It may include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voice to the call device via the channel. Here,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specifi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and is a virtual personality. At least one of posi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a ignition output,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and outputting a vehicle having a battery discharge,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igniting a vehicle for a user of a vehicle having battery discharge. It may include.
한편 상기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서비스 절차부(320)는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를 이용하는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절차부(32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245)로 제공하여 상기 상대방이 발화한 발화내용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발화 인식부(245)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절차부(320)는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내용정보는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답변발화정보는 지정된 질의/답변 규칙에 따라 확인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ergency call request embodiment, the service procedure unit 320 is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cluding the utterances uttered by the other party using the call device via a phone call channel connected to the call device. Is received. If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utterance of the other party is received through the phone call channel, the service procedure unit 320 checks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phone call channel.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may include a function of processing the speech to be recognized by the counterpart. If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speech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245 is obtained, the service procedure 320 responds to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contents to construct the response contents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with the designated voice, and outputting the response contents information with the designated voice to transmit the voice to the call apparatus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In this case, the content of the spoken output respons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or notifying a counterpart of a subject who speaks with a designated voice to a counterpart who makes a telephone call, not a user, and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battery discharge occur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ignition output,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describing and outputting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d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outputting and explaining the us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do. 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speech of the other party,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answer speech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speech corresponding to the query content. The answer speech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according to a designated query / answer rule and / or confirmed through a designated database.
한편 본 발명의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절차부(320)는 상기 제1 내지 제2 긴급출동 요청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의 실시예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하여 긴급출동을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cedure unit 320 is designated through an embodiment of at least partiall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embodiments of the first to second emergency dispatch request embodiments. The emergency contact request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contact information, and a procedure for requesting an emergency dispatch may be performed,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상황 파악부(260)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이 파악된 경우, 상기 음파 확인부(265)는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32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공기정화장치(1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is identified through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60, the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265 outputs a utterance to the user to notify the user of the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using a designated contact After confirming the utterance information to be made, the service provider 325 may process the utterance output to the user by providing the confirmed utterance information to the air purifier 100 to notify the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한편 상기 음파 확인부(26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한 발화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사용자의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325)는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해 확인된 발화정보를 공기정화장치(1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265 confirms the speech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firms the speech information to output the speech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s speech to cancel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The service provider 325 may process the utterance output to the user by providing the utterance information confirmed for cancellation of the emergency dispatch request to the air purifier 10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by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의 공기정화장치(100)에서 차량의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배터리 방전 확인 시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을 요청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발화 출력하여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발화 지시에 따라 긴급출동 요청을 취소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4 illustrates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OBD of the vehicle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f FIG. 2, and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user's speech. Determines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to request emergency dispatch to a designated contact when checking the battery discharge.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to the user to inform the user or to show the process of cancel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gnition instructions,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process (e.g., some steps may have been omitted or reordered)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도면4를 참조하면,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차량의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측위된 차량의 위치정보와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로 인가되는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기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한다(400). 만약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기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와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둘 이상 정보의 조합)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한다(405).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배터리 방전 상황 파악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배터리 방전 황을 파악할 수 있다(405).Referring to FIG. 4,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s OBD, and the user's speech content that recognizes the user's speech. By identify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ositioned by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for any one of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applied to the air purifier 100 Confirm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designated to notify designated contacts 400. If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designated to identify a battery discharge state and notify a designated contact point are confirmed, the air purifier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determine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of driving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battery discharge state by using one or more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formation) of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405). Preferably, the air purifier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ulfur based o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first to seventh battery discharge situation determina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405).
만약 상기 배터리 방전 상황이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며(410),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5 내지 도면7의 과정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f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confirmed,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performs the procedure of configur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notify the designated contact ( 410), a preferred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process of FIGS.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통지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를 확인하고(415), 사용자게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한다(420).Meanwhile,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requests emergency dispatch according to a battery discharge situation by using a designated contact point at a designated time point before, during, and after notifying the emergency contact request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contact point. In order to notify the user of the utterance information to output the utterance or to confirm the utterance information to output the utterance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 utterance for the cancellation of the emergency call request (415), the user to utter the confirmed utterance information Output 420.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발화정보를 발화 출력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한다(425). 만약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해 지정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430). 만약 상기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가 긴급출동 취소를 위해 지정된 인식대상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긴급출동 서비스를 취소하는 절차를 수행한다(435).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user's speech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during or after outputting the speech information to the user. Check (425). If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specified for emergency call cancellation (430) ). If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matches the recognition target information designated for emergency dispatch cancellatio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performs a procedure of canceling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 435).
도면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service request proc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긴급출동 요청을 위한 연락처정보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requesting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for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cludes server inform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drawing 5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implementation steps in which some steps have been omitted or changed in order). It is made to include all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도면5를 참조하면,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이 확인된 경우 긴급출동 요청을 위해 지정된 연락처의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한다(500). 만약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한다(505).Referring to FIG. 5,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may include a server corresponding to server information of a contact designated for emergency dispatch request when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According to the agreed protocol,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500). If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configured,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transmits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505).
도면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request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긴급출동 요청을 위한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6 illustrates a process for requesting an emergency dispatch service to a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for emergency dispatch request includes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reordered) for the above process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the drawing. The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도면6을 참조하면,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이 확인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하여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송출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600), 긴급출동 요청을 위해 지정된 연락처의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고(605),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통화장치와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610). Referring to FIG. 6,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outputs a uttered voice with a designated voice when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Configure the request information (600), process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via the telephone network to the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contact for emergency call request (605), and the call device receives the call It is checked whether the call device is connected to a phone call channel (610).
만약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615).If the call device receives the call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utters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with a designated voice to output the telephone call channel. The transmission to the call device via the transmission (615).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동안(예컨대, 상기 통화장치 측에서 전화를 끊기 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한다(620).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625), 상기 확인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한다(630). 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other party's utterance via the phone call channel while the 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for example, before the call device hangs up). In step 620, the sound wave signal is received and the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elephone call channel is checked. If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telephone call channel is confirmed, the air purifier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is the other party's speech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sound wave data After confirming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625), and confirms the content of the response to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counterpart to configure the content of the content that can be output utterance with the specified voice (630).
만약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포함하는 응대내용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또는 운영서버(3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635). 상기의 과정은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If the response contents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pons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is configured,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or the operation server 300) utters the response contents information by a designated voice. The call is sent to the call device via the phone call channel (635).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telephone call channel ends.
도면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 요청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request proc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긴급출동 요청을 위한 연락처정보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고 공기정화장치(100)와 사용자 무선단말(360) 간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가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을 경유하여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7 is a contac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the air purifier whe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available mode between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possible FIG. 100 illustrates a process for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to a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via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drawing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some implementation steps are omitted or reordering) for the above proc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It does.
도면7을 참조하면,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이 확인된 경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한다(700).Referring to FIG. 7, when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the air purifier 100 connect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short distanc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in a phone call enabled mode. Or check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phone call enabled mode (700).
만약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거나 기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하여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송출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705),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에서 긴급출동 요청을 위해 지정된 연락처의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전화망을 경유하여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고(7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의 호 연결 요청에 대하여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715). I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short distance and the phone communication mode is available, or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lready connected, the air purifier 100 utters a specified voice and outputs it through the phone call channel. Configure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possible (705),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ontact designated for emergency call request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hone call available mode Process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through a telephone network to a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710), the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call It is checked whether a tele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call apparatus (715).
만약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상기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720).If the call device receives the call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call device is connected, the air purifier 100 utters and outputs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with a specified voice. 720 is transmitted to the call device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동안(예컨대, 상기 통화장치 측에서 전화를 끊기 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한다(725).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730), 상기 확인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한다(735). 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includes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other party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while the tele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for example, before the telephone apparatus hangs up). By checking whether the sound wave signal is received, the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signal receiv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hone call channel and the phone call enabled mode is checked (725). If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counterpart received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hone call channel and the available phone call mode is confirmed, the air purifier 100 may determine the counterpart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sound wave data. After confirming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speech (730), and confirms the content of the response to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counterpart, the content of the contents that can output the speech can be configured (735).
만약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포함하는 응대내용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740). 상기의 과정은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If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pon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is configured,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utters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with a designated voice and output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in the telephone conversation enabled mode. The communication is sent to the call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740).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telephone call channel ends.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긴급출동 서비스의 자동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processing of an emergency cal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공기정화장치(100)와 사용자 무선단말(360) 간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공기정화장치(100)가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 긴급출동 서비스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air purifier 100 makes a call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whe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emergency dispatch service is automatically receiv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the drawing 8 ( For example,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of implementation may be ch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the technical features may be modified only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It is not limited.
도면8을 참조하면,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도면5 내지 도면7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출동요청정보가 통지된 후,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한다(800).Referring to FIG. 8, the air purifier 100 is notified of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o a designated contact through the process of FIGS. 5 to 7, and then a telephone call with a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a short distance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uni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available mode or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check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phone call enabled mode (800).
만약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거나 기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한다(805). If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or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is already connected, the air purifier 100 performs the use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available mode. In operation 805, the mobile terminal 360 checks whether a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via a telephone network from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apparatus.
만약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호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호 연결 요청된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한다(810). I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confirm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e air purifier 100 is link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hone call enabled mode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and a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call device is connected (810).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배터리방전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구성하고(815),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820).Meanwhile, the air purifier 100 configures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capable of igniting and outputt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with a specified voice (815), and outputs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with a specified voice to ignite and outpu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The device transmits the data to th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and telephone call channel (820).
한편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배터리방전상황정보가 발화 출력되어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된 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동안(예컨대, 상기 통화장치 측에서 전화를 끊기 전)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360)로 수신된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한다(825).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확인하고(830), 상기 확인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한다(835). 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ier 100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and the call device, and / or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is uttered output and sent to the call device, the telephone call channel During the connection (e.g., before disconnecting the call from the call device side),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checks whether a sound wave signal including the utterance of the other party is received via the phone call channel and the phone call channel. The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signal received by the user wireless terminal 360 is confirm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825). If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counterpart received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hone call channel and the available phone call mode is confirmed, the air purifier 100 may determine the counterpart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sound wave data. After confirming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speech (830), and confirms the content of the response to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counterpart, and configures the content of the content that can output the speech with the specified voice (835).
만약 상기 상대방의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포함하는 응대내용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는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 가능모드의 근거리 무선 통신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송출한다(840). 상기의 과정은 상기 전화 통화채널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If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pons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is configured,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 utters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with a designated voice and output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in the telephone conversation enabled mode. It transmits to the call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840).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until the telephone call channel ends.
100 : 공기정화장치
105 : 하우징부
110 : 공기정화모듈
115 : 광촉매패널
120 : UV램프
125 : 램프배치부
130 : 방열판부
135 : 램프 배치 프레임부
140 : 흡입부
145 : 배출부
150 : 팬부
155 : 받침부
160 : 인터페이스모듈
165 : 토출부
170 : 정보출력부
175 : 터치입력부
200 : 운영모듈100: air purification device 105: housing part
110: air purification module 115: photocatalyst panel
120: UV lamp 125: lamp arrangement
130: heat sink portion 135: lamp arrangement frame portion
140: suction part 145: discharge part
150: fan portion 155: support portion
160: interface module 165: discharge part
170: information output unit 175: touch input unit
200: operation module
Claims (33)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부를 구비한 근거리모듈;
GPS를 통해 측위된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위치 측위부를 구비한 위치모듈;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에 대응하는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를 구비한 전원모듈; 및
상기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차량 OBD와 연결된 OBD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차량 OBD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OBD 연동부와,
상기 음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에 대응하는 음파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인식하고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발화 인식부와,
상기 위치 측위부를 통해 획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와,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어 자연어 처리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의 인가 상태에 대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상황 파악부와,
지정된 연락처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에 따른 긴급출동 요청 상황을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발화정보나 상기 긴급출동 요청의 취소를 위한 사용자 발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발화 출력할 확인하는 음파 확인부와,
상기 음파 출력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음파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구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Air purific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photocatalyst panels integrated with a plurality of silicon-coated beads coated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UV lamps emitting UV in the ultraviolet (UltraViolet) -A wavelength band are arranged in a specified geometric relationship. A sound wave module having a module and a sound wave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wave signal and a sound wav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in order to provide service by recognizing a situation in the vehicle while operating air purification in the vehicle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module In the air purifier provided with an operating modul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 short range module having at least one short range wireless unit configured to proces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location module having a location location unit for obtaining location coordinates located through GPS;
A power module having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and applying vehicle power and a power charging unit for charg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And
An OBD interworking uni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BD module connected to the vehicle OBD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to obtain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OBD;
A speech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read sound wave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input through the sound wave input unit, to recognize a user's speech, and to obtain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natural language;
A positioning unit for confirm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obtained through the positioning unit;
A power checking unit to check whether vehicl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or charging power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is applied;
Any one of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unit, the utterance contents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he vehicle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A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which performs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information on power supply state;
A sound wave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the ignition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user to notify the emergency call request situa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using the designated contact or to output the utterance to the user to induce the user ignition to cancel the emergency call request Wow,
Performing a procedure of notifying the designated conta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y constructing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while outputting a sound wave signal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speech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wave output unit; A control module having a service processing unit;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comprising a.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양 면을 지니게 제작된 M(M≥2)개의 광촉매 패널을 구비하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의 지정된 각 면에 순차 접촉하면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Flowing Path)를 형성하도록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을 지그재그 배치하는 프레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With M (M≥2) photocatalyst panels fabricated with both sides of the specified geometry,
And a frame portion for zigzag arranging the M photocatalyst panels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sucked from the outside flows while sequentially contacting each designated surface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Purifier
상기 광촉매 패널의 일 면과 상기 UV램프부 사이의 거리관계를 18㎜~30㎜의 수직거리에 대응하는 거리관계로 배치하는 프레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And a frame portion for arranging a distance relation between on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portion in a distance relationship corresponding to a vertical distance of 18 mm to 30 mm.
상기 광촉매 패널의 일 면과 상기 UV램프부 사이의 거리관계를 지정된 수직거리 d의 거리관계로 배치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광촉매 패널의 동일한 면으로 UV를 방출하는 n(2≤n≤N)개의 UV램프부 사이의 간격관계를 지정된 램프간격 L의 간격관계로 배치 고정하는 램프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정된 방사각 θ는, 90°~160°의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수직거리 d는, 18㎜~30㎜의 거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램프간격 L은, 지정된 최대 간격 Lmax(Lmax = 2*d*tan(θ/2)) 이내의 간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A frame part for arranging a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on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nd the UV lamp part in a distance relationship of a specified vertical distance d; And
And a lamp arrangement unit for arranging and fixing a spacing relationship between n (2 ≦ n ≦ N) UV lamp parts emitting UV to the sam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panel at a spacing relationship of a specified lamp spacing L.
The specified radiation angle θ comprises an angle of 90 ° to 160 °,
The designated vertical distance d includes a distance of 18 mm to 30 mm,
And the specified ramp interval L comprises an interval within a specified maximum interval Lmax (Lmax = 2 * d * tan (θ / 2)).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로를 유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설정된 지정된 회전속도 v로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 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지정된 회전속도 v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M개의 광촉매 패널의 각 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유로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적어도 지정된 유동시간 s(s≥0.5)초 이상 소요되는 압력을 생성하는 회전속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And a fan unit having a propeller rotating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v set to generate air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to flow the flow path.
The designated rotational speed v is a pressure required for at least the specified flow time s (s ≧ 0.5) seconds to flow out through the flow path wher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sequentially contacts each side of the M photocatalyst panels. Air purifying apparatus comprising a rotation speed to generate.
350mA(±10mA)의 정전류와 적어도 DC 3.6V 이상(또는 DC 3.6V ~ 4.0V)의 전압 조건을 만족하는 동작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V lamp unit,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ng power source satisfying a constant current of 350 mA (± 10 mA) and a voltage condition of at least DC 3.6 V or more (or DC 3.6 V to 4.0 V) is applied.
상기 UV램프부와 열전도성 재질로 연결되어 상기 UV램프부의 UV 발광 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전도받아 방열하는 방열핀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purification module,
The air purify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heat dissipation fin unit connected to the UV lamp unit and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nd conducting and radiating heat generated during the UV light emitting process of the UV lamp unit.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정보 중 배터리 방전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And a function of identifying a battery discharge state corresponding to battery discharge state information among vehicle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age unit.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을 판독하여 배터리 방전과 관련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을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Air for providing an emergency service for charging a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of reading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to determine the battery discharge situation by checking the user's speech content associated with the battery discharge. Purifier.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과,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충전 전원의 인가됨에 대응하는 전원인가정보를 확인하여 배터리 방전 상황을 파악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A function of checking a power supp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wer not being appli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to identify a battery discharge state;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start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the function of identify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by checking the power supp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harging power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First,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identified through the driving information 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interlocking unit, and the power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identification unit and the utteran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d by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service for charging a battery,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a function of finally determining an actual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at least one piece of authorization information.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전원인가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First,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identified through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age unit and the power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service for charging a battery,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a function of finally determining an actual battery discharge state through at least one piece of authorization information.
상기 전원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전원인가정보를 통해 배터리 방전 상황을 1차 파악하고, 상기 OBD 연동부를 통해 차량 OBD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상태정보와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발화내용인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통해 실제 배터리 방전 상황을 최종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tuation grasping unit,
First, the battery discharge state is identified through the power applicatio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ower confirmation unit,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OBD through the OBD linkage unit and the user's speech content recognized through the speech recognition unit Air purifying device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to determine the final battery discharge situ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서버정보,
사용자와 보험계약된 보험사의 긴급출동접수 전화번호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information,
Emergency dispatch server information of the insurer contracted with the employer,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dispatch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insurance company of the insurance contracted by the user.
상기 연락처가 서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상기 서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If the contact includes server information,
Construc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otocol agreed with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And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o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통신부의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If the contact contains phone number information,
Configur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hat can be outputted with the designated voice,
Through the phone call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processe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cal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call device receives the call,
And when the call device receives the call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uttered by a designated voice and the voice call is transmitted to the call device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An air purifier that provides emergency battery service.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Confirms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telephone call channel and provides the speech recognition unit;
When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is obtained, the response content that responds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utterance conten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with a specified voice is obtained. Make up,
And a function of uttering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response with a specified voice to transmit the voice to the call apparatus via the telephone call channel.
상기 연락처가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긴급출동요청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전화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로 호 연결을 요청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통화장치에서 착신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에서 상기 호를 착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사이에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된 경우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긴급출동요청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If the contact contains phone number information,
Connect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short distance through the designated short range wireless unit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or check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telephone communication enabled mode, configur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speech with a designated voice,
Proces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to the call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check whether the call apparatus receives the call;
When the telephone apparatus receives the call and the telephone call channel is connected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telephone apparatus,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uttered by a designated voice and output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for processing to transmit the voice to.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Confirming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other party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provide a speech recognition unit,
When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is obtained, the response content that responds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utterance conten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with a specified voice is obtained. Make up,
And a function of uttering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response with a designated voice to transmit the voice to the call apparatus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all channel.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or 18, wherein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The subject that speaks with a specified voice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user who is a virtual person, not a person who makes a telephone call.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or 18, wherein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and output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battery discharge occurred;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which describes and outputs the vehicle that has discharged the battery;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star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user ignition output of the vehicle discharged battery.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or 19, wherei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The subject that speaks with a specified voice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user who is a virtual person, not a person who makes a telephone call.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or 19, wherei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and output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battery discharge occurred;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which describes and outputs the vehicle that has discharged the battery;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star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user ignition output of the vehicle discharged battery.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or 19, wherei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other party, the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comprising the answer speech information for utterance outputting the content of the answer to the query content Air purifier
지정된 근거리 무선부를 통해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 가능모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소정의 통화장치에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호 연결 요청 확인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호 연결 요청을 착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Connect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signated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short distance through the designated short range wireless unit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or check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the telephone call enabled mode,
Whe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 a telephone call enabled mode, check whether a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a telephone network from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confirm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the function of connecting a telephone call channel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cal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Air purifier to provide.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화장치 간 전화 통화채널 연결 시 지정된 음성으로 배터리방전상황을 발화 출력 가능한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배터리방전상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When the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is connected betwee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output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with the designated voice.
Air for providing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by a designated voice and processing the voice transmiss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all channel. Purifier.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The subject that speaks with a specified voice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user who is a virtual person, not a person who makes a telephone call.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battery discharge status information,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and output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battery discharge occurred;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and explaining vehicle information on a vehicle in which battery discharge has occurred;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service for charging a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and outputting user information on a user of a vehicle having a battery discharge.
상기 전화 통화채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부터 수신된 상대방의 발화내용을 포함하는 음파데이터를 확인하여 발화 인식부로 제공하고,
상기 발화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파데이터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하여 자연어 처리한 발화내용인식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응대하는 응대내용을 확인하여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 출력 가능한 응대내용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음성으로 상기 응대내용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과 전화 통화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통화장치로 음성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Confirming the sound wave data includ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the other party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provide a speech recognition unit,
When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processing the natural language by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data through the utterance recognition unit is obtained, the response content that responds to the utterance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utterance content informat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utterance with a specified voice is obtained. Make up,
And a function of uttering and outputting the contents of the response with a designated voice to transmit the voice to the call apparatus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telephone call channel.
지정된 음성으로 발화하는 주체는 사용자가 아니라 가상의 인격체임을 전화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공지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The subject that speaks with a specified voice includes information for notifying a user who is a virtual person, not a person who makes a telephone call.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위치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차량설명정보와,
배터리 방전이 발생한 차량의 사용자를 차량을 발화 출력하여 설명하는 사용자설명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Location description information for igniting and outputt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battery discharge occurred;
Vehicle description information which describes and outputs the vehicle that has discharged the battery;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battery charging emergency start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user description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user ignition output of the vehicle discharged battery.
상기 상대방의 발화를 인식한 발화내용인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질의내용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질의내용에 대한 답변내용을 발화 출력하는 답변발화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response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at least one query content is included in the speech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utterance of the other party, the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comprising the answer speech information for utterance outputting the content of the answer to the query content Air purifier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을 확인하고,
긴급출동 차량의 지정된 범위 내 접근 확인 시 상기 OBD 연동부와 연동하여 차량의 OBD를 통해 전조등 점등 동작과 비상등 점등 동작과 경음기 출력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cessing unit,
Check the access within the designated range of the emergency vehicle by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t least one vehicle notification operation of the headlight lighting operation, the emergency lighting lighting operation, and the horn output operation through the OBD of the vehicle in connection with the OBD linkage unit when confirming the approach within the designated range of the emergency dispatch vehicle. Air purifier to provide battery charging emergency dispatch ser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586A KR20190093095A (en) | 2018-01-31 | 2018-01-31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Battery Charg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2586A KR20190093095A (en) | 2018-01-31 | 2018-01-31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Battery Charg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3095A true KR20190093095A (en) | 2019-08-08 |
Family
ID=6761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2586A KR20190093095A (en) | 2018-01-31 | 2018-01-31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Battery Charg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9309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3490A1 (en) * | 2020-04-10 | 2021-10-14 | 深圳市新驰客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motor vehicle emergency start-up power supply |
-
2018
- 2018-01-31 KR KR1020180012586A patent/KR2019009309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03490A1 (en) * | 2020-04-10 | 2021-10-14 | 深圳市新驰客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motor vehicle emergency start-up power supp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93095A (en)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Battery Charging | |
KR20190093096A (en)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Puncture of Tire | |
KR20190093094A (en)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Traffic Accident Emergency Rescue Service | |
KR20190093097A (en) | In-vehicle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Door Locking/Unlocking Service | |
KR20190093081A (en) |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and Operating Method | |
KR20190093092A (en) |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 |
KR20190093093A (en) | Air Cleaning Device | |
KR20190098825A (en) |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Mode Refueling Payment Operating with Mobile Device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in Car | |
KR20190098840A (en) | Method for Providing Refueling Payment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nversational Air Cleaning Device in Car and User Mobile Device | |
KR20190098822A (en) | Air Cleaning Devices for Vehicles | |
KR20190093074A (en) |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Mode Service based on Certification by Sound Wave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 |
KR20190093062A (en) | Method for Registering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 |
KR20190093063A (en) |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Mode Service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in Car | |
KR20190093066A (en)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Car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 |
KR20190098824A (en) | Method for Registering Payment Means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in Car | |
KR20190093079A (en)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Vehicles Based on Voice Recognition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 |
KR20190098828A (en) |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Payment in Car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in Car | |
KR20190093078A (en) |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Service Based on User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 |
KR20190098830A (en) |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Based on Sound Wave | |
KR20190093071A (en) | Method for Registering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Based on Sound Wave | |
KR20190093080A (en) | Method for Providing Dispersion Service for Vehicles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 |
KR20190098829A (en) | Method for Providing Ordering Payment in Car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 |
KR20190093084A (en)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in Car | |
KR20190093077A (en) | Method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Mode Service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ertification by Using Air Cleaning Device | |
KR20190093082A (en)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ound Wave Communication between Air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and User Mobi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