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795A -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795A
KR20190092795A KR1020180011963A KR20180011963A KR20190092795A KR 20190092795 A KR20190092795 A KR 20190092795A KR 1020180011963 A KR1020180011963 A KR 1020180011963A KR 20180011963 A KR20180011963 A KR 20180011963A KR 20190092795 A KR20190092795 A KR 2019009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outer chamber
filter
spac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피에스
Priority to KR102018001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795A/ko
Publication of KR2019009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e.g. electricity, ultrasonics or ultrafiltration
    • A61L12/06Radiation, e.g. ultraviolet or microwaves
    • A61L12/063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납용기; 및 상기 각 수납용기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각 수납용기는 상방이 개구(開口)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를 갖는 아우터챔버와, 상기 아우터챔버의 공간부에 고정 배치되어 세척수에 잠기고 콘택트렌즈가 수납되는 통수(通水)형 이너챔버와, 상기 아우터챔버와 상기 이너챔버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필터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용기 회전 시 콘택트렌즈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에 흡착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살균 및 세척 성능이 우수하고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STERILIZATION AND CLEANING KIT FOR CONTACT LENS}
본 발명은 눈에 착용하게 되는 콘택트렌즈를 살균 세척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가 수용되는 용기를 회전시켜 이의 원심력과 용기에 담겨진 세척수를 이용하여 렌즈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하고, 자외선 또는 플라즈마 이온을 이용해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에 관한 기술이다.
콘택트렌즈를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79074호 (2000.10.2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각종기기들이 내장된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세척용 지지관과 살균용 지지관이 장착된 몸체부와, 상기 지지관들에 각각 삽입되는 세척용기 및 살균용기와, 상기 용기들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에 의하여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상기 세척용기에 담겨진 콘택트 렌즈가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깨끗하게 세척되고 살균용기에서 자외선 램프에 의하여 살균 된 위생적인 콘택트 렌즈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3247호 (2000.09.0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콘텍트렌즈 세처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세척액이 담기는 세척통이 구비되고, 세척통의 내부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부에는 콘텍트렌즈가 놓이는 렌즈받이가 구비되며 렌즈받이의 상부에는 콘텍트렌즈를 덮어주는 렌즈덮개가 구비되며, 렌즈받이와 렌즈덮개의 대향면에는 콘텍트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패드가 구비되고, 세척통의 외주면에는 세척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콘텍트렌즈의 표면에 뭍은 지방질, 단백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액의 진동 물살에 의해 렌즈받이가 회전되도록 해주는 진동자가 구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에 의해 렌즈의 표면에 뭍은 지방질과 단백질이 분해되고 또한 렌즈가 회전되는 동안 렌즈의 표면에 뭍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자연적으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한 콘텍트렌즈 세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1884호 (2005.11.1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콘택트렌즈 자동 세척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은 콘택트렌즈를 수납할 수 있는 지지대와 커버들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체가 결합된 지지체를 모우터와 연결되는 회전편과 회전편의 편심축으로 장공을 결합하고 있는 링크 또한, 상기 링크의 타측부에 형성되어 지지체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정,역회전편을 구비함으로서 짧은 거리에서 모우터의 구동력을 고정체로 전달할 수 있어 기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링크에 의해 고정체를 정,역회전시키는 방식이므로 보다 정확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고 동력 전달시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동력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장의 우려가 없으며 설령,고장이 발생하여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수가 손쉽게 이루질 수 있는 콘택트렌즈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5701호 (2011.09.1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4'라고 함)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4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구비되고 상면을 관통하여 유동구멍이 형성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의 설치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유동구멍을 통하여 상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을 행하도록 형성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에 연결되어 전원의 인가 여부를 설정하는 전원부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유동구멍을 향해 내삽하여 상기 진동부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에 렌즈를 수용하는 수납용기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렌즈의 세척을 행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수납용기의 내측 하면에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진동부에 의해 세척액이 요동하면서 마찰하여 물방울을 생성토록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세척액 내에 콘택트렌즈가 잠기도록 수용된 수납용기를 향해 진동이 가해지고 자체적인 물방울 및 공기방울을 생성시켜 콘택트렌즈를 세척하도록 구성하므로, 렌즈의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세척 시 렌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렌즈에 묻은 단백질이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여 세척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기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79074호 (2000.10.26.등록) 문헌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3247호 (2000.09.04.등록) 문헌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01884호 (2005.11.16.등록) 문헌 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5701호 (2011.09.14.등록)
본 발명은 세척수에 잠기도록 콘택트렌즈가 기립(起立)되게 수용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용기를 이용해 콘택트렌즈를 세척하고, 자외선 또는 플라즈마 이온을 이용해 콘택트렌즈를 살균하는 사용편리성이 우수한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용기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해 사방으로 분산된 이물질이 1차, 2차 및 3차 필터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수 내에 이물질이 부유(浮游)되는 것을 방지한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작은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납용기; 및
상기 각 수납용기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각 수납용기는
상방이 개구(開口)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를 갖는 아우터챔버와,
상기 아우터챔버의 공간부에 고정 배치되어 세척수에 잠기고 콘택트렌즈가 수납되는 통수(通水)형 이너챔버와,
상기 아우터챔버와 상기 이너챔버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필터부재
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용기 회전 시 콘택트렌즈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는,
살균 및 세척 성능이 우수하고,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케이스, 수납용기, 구동수단 및 커버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분해 정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정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보조커버가 마련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 5는 수납용기에 있어 제1 구현예의 필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6은 수납용기에 있어 제2 구현예의 필터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7은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 구성도,
도 8은 케이스의 수용부 및 가이드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평면 구성도,
도 9는 가이드부재에 대한 입체 구성 및 사용 상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케이스 측을 하부 또는 하방, 커버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는,
크게 케이스(10), 수납용기(20), 구동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일측에 상방 개구(開口)형 내부 수용부(11)
를 포함하는 사각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납용기(2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콘택트렌즈(1)를 살균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상방이 개구(開口)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211)를 갖는 아우터챔버(21),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에 고정 배치되어 세척수에 잠기고 콘택트렌즈(1)가 수납되는 통수(通水)형 이너챔버(22), 그리고
상기 아우터챔버(21)와 상기 이너챔버(22)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필터부재(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한 쌍의 콘택트렌즈(1)를 살균 세척하기 위하여 한 쌍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챔버(21)는 상기 공간부(211) 형성을 위해 속이 비어 있고 사방이 막힌 밀폐형의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너챔버(22)는 콘택트렌즈(1)의 수납을 위해 속이 비어 있고 내외로의 세척수 흐름이 가능하도록 메시(mesh)형의 사각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되, 특히 도 1에서와 같이 콘택트렌즈(1)가 기립(起立)되게 수납되어 수납용기(20) 회전 시에도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사각의 내부 공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너챔버(22)는 이에 수납된 콘택트렌즈(1)가 상기 수납용기(20) 회전 시 상기 이너챔버(22)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바닥에서 중앙 영역에 접착제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23)는 이물질이 흡착되는 최종필터(231)와, 상기 최종필터(231)를 감싸는 중간필터(232)와, 상기 중간필터(232)를 감싸는 최초필터(233)로 이루어지되, 그 구조에 있어 크게 제1 및 제2 구현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5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필터부재(23)는 상기 최종필터(231)가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내벽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구조이어서 상기 최종필터(231)에 순차적으로 덧대게 되는 상기 중간필터(232)와 상기 최초필터(233) 또한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수납용기(20) 회전 시 콘택트렌즈(1)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사방으로 분산되고, 이때 상기 최초필터(233)와 상기 중간필터(232)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필터링 되고, 상기 최종필터(231)에 최종적으로 흡착된다.
상기 최초필터(233)와 상기 중간필터(232) 각각은 메시(mesh)형 구조이되, 상기 최초필터(233)가 상기 중간필터(232) 보다는 메시를 이루는 타공의 크기가 큰 구조이고, 상기 최종필터(231)는 부직포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의 필터부재(23)는 상기 최종필터(231)가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내벽에 공간부(211)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사각형의 구조이어서 상기 최종필터(231)에 순차적으로 덧대게 되는 상기 중간필터(232)와 상기 최초필터(233) 또한 사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수납용기(20) 회전 시 콘택트렌즈(1)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사방으로 분산되고, 이때 상기 최초필터(233)의 각 면 중에서 상기 수납용기(20)의 회전 방향과 서로 마주하게 되는 면에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포집되면서 필터링 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수납용기(20)는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입구를 막는 보조커버(24)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커버(24)는 빛이 통과하는 투광(透光)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커버(24)는 상기 공간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술할 닫힌 커버(50)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수단(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수납용기(2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고 상부 측에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31),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32),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는 한 쌍의 종동축에 각각 축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32)와 상호 맞물리게 되는 한 쌍의 종동기어(33),
상기 각 종동기어(33)의 종동축에 축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 상부면 측으로 상단(上端)이 노출되는 접속부(34),
상기 각 수납용기(20)의 아우터챔버(21) 하부면 중심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34)와 암수 결합되는 대응접속부(35),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1)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는 전원공급부(3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36)는 본 발명의 키트를 휴대하거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는 1차 또는 2차 전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건물 벽체에 설치된 전기콘센트에 접속되는 전기플러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36)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상기 구동모터(31)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32) 및 이와 상호 맞물린 상기 각 종동기어(33)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써, 결국 상기 각 수납용기(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포스트(40), 커버(50) 및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포스트(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면 후단(後端)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세워지는 벽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50)는
도 1 내지 도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40) 상단(上端)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 수납용기(20)에서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입구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사각의 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50)에는 상기 아우터챔버(21)의 상단 둘레에 안착되는 단턱부(51)와, 상기 단턱부(5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챔버(21)의 외벽 둘레를 감싸는 스커트(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50)는 상기 포스트(40)와의 힌지 결합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동작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에 대한 개폐를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50)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입구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게 하부면에 개폐로드(53)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폐로드(53)는 상기 수용부(11) 상단 둘레에 안착되는 기둥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살균모듈은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수납용기(20)에서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상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5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자외선살균모듈(60A) 또는 한 쌍의 플라즈마살균모듈(6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외선살균모듈(60A)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엘이디(LED)로써, 자외선 파장에 따라 UV-A(315~500㎚), UV-B(280~315㎚), UV-C(200~280㎚)로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는 공기 정화, 정수 및 살균에 적합한 UV-C가 적용된다.
상기 플라즈마살균모듈(60B)은 살균 이온을 방출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플라즈마 이온이 유해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인체에 무해한 물로 변환되도록 하는 통상의 플라즈마 방출기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부(36)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거나 또는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에 의해 인가받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7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7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손가락 바닥이 상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 바닥을 감싸도록 단면이 ∩자 형상인 가이드바디(71),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디(71)의 일단(一端)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손가락에 끼워지는 고리 형상의 홀딩부(7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9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70)에서 상기 가이드바디(71)의 타단 상부면에는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리세스(711)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711)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엠보싱형 돌기부(7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세스(711)에 안착된 콘택트렌즈(1)가 상기 각 돌기부(71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리세스(711)에 안착된 콘택트렌즈(1)의 표면장력을 떨어뜨려 눈에 착용 시 상기 리세스(711)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도와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삽입 안착된 상기 가이드부재(70)를 꺼내기 위해 집게손가락 등으로 상기 홀딩부(72)를 통과시킨 후 손가락 단부가 상기 가이드바디(71)의 내부 끝단에 닿을 때까지 집어넣고 상방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재(70)가 분리됨으로써, 다른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집게 등을 이용해 착용할 콘택트렌즈(1)를 상기 가이드부재(70)의 가이드바디(71) 상부면에 놓은 후 눈에 착용하게 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부재(70) 사용 시 상기 가이드바디(71)의 타단(他端) 상부면에 콘택트렌즈(1)를 안착시킨 후에 눈에 가져다대어 콘택트렌즈(1)가 안구 표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상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50)에 설치되는, 즉 상기 커버(50)의 개폐로드(53) 하부면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모듈(60A) 또는 플라즈마살균모듈(60B)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살균모듈에 대해서는 전술하였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수용부(11) 상부 측에 배치되는 자외선살균모듈(60A)은 열처리나 살균에 적합한 UV-A 또는 공기 정화, 정수 및 살균에 적합한 UV-C가 적용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70)를 위해 상기 케이스(1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 중단(中端) 측 양 내벽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11)에 삽입 안착된 상기 가이드부재(70)의 가이드바디(71) 상단(上端) 일부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제1그립부(12)와,
상기 수용부(11) 전방 측 양 내벽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11)에 삽입 안착된 상기 가이드부재(70)의 가이드바디(71) 양단(兩端) 일부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제2그립부(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제1그립부(12)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이어서 상기 가이드부재(70)의 상방 분리 시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졌다가 상기 가이드부재(70)가 완전히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2그립부(13)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력을 갖는 재질이며, 특히 경사진 방향이 후방 측으로 경사져 있어 상기 가이드부재(70)의 진입이 용이하며, 상기 가이드부재(70) 진입 시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졌다가 상기 가이드부재(70)가 통과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11)에 삽입 안착된 상기 가이드부재(7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정위치안착수단(8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정위치안착수단(8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수용부(11) 양 내벽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요부(凹部)(81),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70)의 가이드바디(71) 양 외벽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각 요부(8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서로 암수 결합되는 한 쌍의 철부(8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요부(81)와 상기 각 철부(82)의 형성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음은 자명하며, 상기 각 요부(81)와 상기 각 철부(82)의 상호 슬라이딩 암수 결합 구조는 상기 수용부(11)에 상기 가이드부재(70) 삽입 시 상기 가이드부재(70)의 정위치 삽입을 안내함은 물론, 삽입된 상기 가이드부재(70)에 대한 회전 동작을 방지하여 언제든지 사용자가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11 : 수용부
12 : 제1그립부
13 : 제2그립부
20 : 수납용기
21 : 아우터챔버
211 : 공간부
22 : 이너챔버
23 : 필터부재
231 : 최종필터
232 : 중간필터
233 : 최초필터
24 : 보조커버
30 : 구동수단
31 : 구동모터
32 : 구동기어
33 : 종동기어
34 : 접속부
35 : 대응접속부
36 : 전원공급부
40 : 포스트
50 : 커버
51 : 단턱부
52 : 스커트
53 : 개폐로드
60A : 자외선살균모듈
60B : 플라즈마살균모듈
70 : 가이드부재
71 : 가이드바디
711 : 리세스
712 : 돌기부
72 : 홀딩부
80 : 정위치안착수단
81 : 요부
82 : 철부

Claims (4)

  1.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상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납용기(20); 및
    상기 각 수납용기(2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30);
    을 포함하되,

    상기 각 수납용기(20)는
    상방이 개구(開口)되고 세척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부(211)를 갖는 아우터챔버(21)와,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에 고정 배치되어 세척수에 잠기고 콘택트렌즈(1)가 수납되는 통수(通水)형 이너챔버(22)와,
    상기 아우터챔버(21)와 상기 이너챔버(22)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필터부재(23)
    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용기(20) 회전 시 콘택트렌즈(1)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23)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용기(20)의 이너챔버(22)는 콘택트렌즈(1)가 기립(起立)되게 수납되어 수납용기(20) 회전 시에도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내부 공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면 후단(後端)에 세워지는 포스트(40)와,
    상기 포스트(40) 상단(上端)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 수납용기(20)에서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입구를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커버(50)와,
    상기 각 수납용기(20)에서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상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5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자외선살균모듈(60A) 또는 한 쌍의 플라즈마살균모듈(60B)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23)는 이물질이 흡착되는 최종필터(231)와, 상기 최종필터(231)를 감싸는 중간필터(232)와, 상기 중간필터(232)를 감싸는 최초필터(2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최종필터(231)는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내벽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아우터챔버(21)의 공간부(211) 내벽에 공간부(211)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KR1020180011963A 2018-01-31 2018-01-31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KR20190092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63A KR20190092795A (ko) 2018-01-31 2018-01-31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963A KR20190092795A (ko) 2018-01-31 2018-01-31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95A true KR20190092795A (ko) 2019-08-08

Family

ID=6761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63A KR20190092795A (ko) 2018-01-31 2018-01-31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27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629B1 (ko) * 2022-01-28 2023-02-17 이샘 오염 방지와 uv 살균이 가능한 드림렌즈 세척기
WO2024037534A1 (zh) * 2022-08-17 2024-02-22 苏州三个臭皮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接触镜自动护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47Y1 (ko) 2000-06-23 2000-11-15 임성묵 콘텍트렌즈 세척장치
KR100279074B1 (ko) 1998-09-24 2001-09-22 임성묵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
KR200401884Y1 (ko) 2005-08-31 2005-11-22 김세진 콘택트렌즈 자동 세척기
KR200455701Y1 (ko) 2011-06-24 2011-09-20 박상진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074B1 (ko) 1998-09-24 2001-09-22 임성묵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
KR200203247Y1 (ko) 2000-06-23 2000-11-15 임성묵 콘텍트렌즈 세척장치
KR200401884Y1 (ko) 2005-08-31 2005-11-22 김세진 콘택트렌즈 자동 세척기
KR200455701Y1 (ko) 2011-06-24 2011-09-20 박상진 휴대용 콘택트렌즈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629B1 (ko) * 2022-01-28 2023-02-17 이샘 오염 방지와 uv 살균이 가능한 드림렌즈 세척기
WO2024037534A1 (zh) * 2022-08-17 2024-02-22 苏州三个臭皮匠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接触镜自动护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897B2 (en) At-home integrated cleaning and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hardware
ES2271861T3 (es) Dispositivo para el lavado y centrifugado de un cuerpo limpiador.
US5144144A (en) Contact lens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US6183705B1 (en) Method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contact lens, and apparatus therefor
KR20190092795A (ko) 콘택트렌즈 살균 세척 키트
CN110915708A (zh) 存储装置
KR20090049144A (ko) 진공청소기
KR101843037B1 (ko) 용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미용 기기
KR20230032841A (ko) 자동으로 전력 충전 및 먼지 비움이 가능한 청소 장치
KR20110070267A (ko) 휴대용 자외선 소독기
KR101687372B1 (ko) 콘택트렌즈 세척기
CN106490805A (zh) 隐形眼镜盒
KR20190092797A (ko) 콘택트렌즈 착용 가이드용 핸디키트
KR101677677B1 (ko) 분리형 살균 가습기
KR20200035598A (ko) 칫솔모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칫솔 커버
KR100436076B1 (ko) 콘택트렌즈 세척장치
CN218255294U (zh) 用于毛发剃刮设备的清洁装置
KR102183468B1 (ko) 피부 클렌징 기기
CA2182725C (en) Method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contact lens, and apparatus therefor
KR200166658Y1 (ko) 콘택트렌즈 세척기
KR200203247Y1 (ko) 콘텍트렌즈 세척장치
CN212484003U (zh) 一种新型角膜接触镜清洗装置
KR102497629B1 (ko) 오염 방지와 uv 살균이 가능한 드림렌즈 세척기
KR102384360B1 (ko) 휴대용 복합살균기
CN218684128U (zh) 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