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521A - Simple frame of glasses type - Google Patents

Simple frame of glasses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521A
KR20190091521A KR1020197019636A KR20197019636A KR20190091521A KR 20190091521 A KR20190091521 A KR 20190091521A KR 1020197019636 A KR1020197019636 A KR 1020197019636A KR 20197019636 A KR20197019636 A KR 20197019636A KR 20190091521 A KR20190091521 A KR 20190091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ing frame
temple
lens hold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8401B1 (en
Inventor
노리오 세키
Original Assignee
노리오 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오 세키 filed Critical 노리오 세키
Publication of KR2019009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5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8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A, B)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를 연결하는 브릿지부(2)와, 템플부(temple)(3)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2)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5)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템플부(3)의 폭(W)을, 렌즈들(A, B)의 중심들 사이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한 구조이다.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1 holding plate-shaped lenses A and B disposed above and below, a bridge portion 2 connecting the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1, and a temple portion (temple) 3 and a nose pad portion 5 provided in the bridge portion 2 so as to be able to contact and support the nose when upside down, at least, and integrally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temple portion The width W of (3) is a structure formed in the range of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 variety of the lens holding frame part 1 from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centers of the lenses A and B. In FIG.

Description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Simple frame of glasses type

본 발명은 상하 반전시켜 상이한 종류의 렌즈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으로서 구분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형으로 일체 형성한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 different type of lens, wearable terminal glass, and the like, which are inverted up and down, for use as a separate type, and to a disposable frame that can be used for one-time use integrally formed in a plate shape.

일반적으로, 상하에 상이한 종류의 렌즈를 배치하여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경으로서는, 원근 양용 안경이 있다. 이것은 1장의 렌즈의 상부를 원시용으로, 그 하부를 근시용으로 구성하고, 안경의 장착자가 안구의 방향이나 보는 각도를 바꾸어, 멀리 있는 것을 볼 때에는 눈을 치떠서, 가까이에 있는 것을 볼 때에는 눈을 내리떠서 보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특히 가까이에 있는 것을 보는 경우, 시선이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물건을 보기 때문에, 물건을 보는 데 정시하는(렌즈의 중심을 눈의 위치에 합치시킨 시선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 데 대하여, 부자연스러운 보기, 부자연스러운 사용법으로 무리가 생기기 쉬워,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쉽게 되어 있었다.Generally, as glasses which can be used by dividing different kinds of lenses up and down, there are two-eye glasses. This consists of the upper part of one lens for the primitive and the lower part for myopia, and the wearer of the glasses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eyeball and the viewing angle, and looks away from the eyes. Looking down at this is the current situation. Especially when looking near, the line of sight looks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so it is natural to look at the object (looking at the center of the lens with the eye's position). It was easy to be overwhelmed by unnatural usage and was easy to cause eye fatigue.

이 때문에, 하방의 근시용 영역을 눈의 위치에 근접시켜, 시선을 정시 상태에 가깝게 하기 위한 제안이나, 안경 자체를 반전시키는 제안, 또는 안경 자체의 높이를 코 패드 위치의 상하 높이 조절에 의해 눈의 위치에 근접시키는 제안 등이 많이 있다.For this reason, a proposal for bringing the near-myopia region closer to the position of the eye and bringing the gaze closer to the on-time state, a proposal for reversing the glasses themselves, or the height of the glasses itself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nose pad position up and down. There are many proposals for approaching the position of.

이 중에서, 안경 자체를 상하 반전시키는 제안의 것으로서,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가 있고, 이것은, 상하용의 귀 패드부가 그대로인 형상으로 단순히 일체화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안의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귀 패드부가 상하에 있어, 미관이 나쁘며 또한 위화감이 있는 것이 되어, 실용성이 부족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렌즈를 통하여 보는 경우, 시선을 아래의 렌즈의 중심을 향하면, 아래의 렌즈의 중심선(수평선)에 대하여, 앞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각도가 생기기 때문에, 시선을 정시 상태로 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었다.Among these, there is a proposal of inverting the glasses themselves up and down, and there is a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31992, which is simply integrated into a shape where the top and bottom ear pads are intact. However, when using the eyeglasses of the said proposal, the ear pad part was up and down, aesthetics were bad, and there was a sense of incongruity, and it had become inadequate in practical use. In addition, when viewing through the lens, when the line of sight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lens below, it becomes inclin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horizontal line) of the lens below.

한편, 판형의 종이나 합성 수지제의 간이한 안경형의 프레임이며, 또한, 상하 반전시켜 상이한 종류의 렌즈 등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이한 안경형의 프레임은 지금까지는 없었다.On the other hand, there has never been a simple spectacle frame made of a plate-like paper or a synthetic spectacle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which can be used by distinguishing different kinds of lenses by inverting them up and down.

또한, 종이제이며 렌즈가 1종류인 것은, 많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42921호,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71416호,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05983호 등이 있다. 이들은, 2종류의 렌즈 등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또한, 그 렌즈 등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발상도 없는 것이었다. 또한 렌즈와 웨어러브 단말 글라스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발상도 없는 것이었다.In addition, many types of paper and one type of len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42921,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71416,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05983, and the like. These were not able to distinguish two types of lenses, etc., and also had no idea of using the lenses etc. separately. In addition, there was no idea of using a combination of a lens and a wear love terminal glass.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31992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42921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Pyeong Hyeong1-142921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71416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yeong-sung 171416 특허문헌 4: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05983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05983

본 발명은, 상하 반전시켜 상이한 종류의 렌즈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으로서 간단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종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판형으로 일체 형성시킴으로써, 컴팩트하게 경량화되며,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ivided up and down and used as a different type of lens, wearable terminal glass, or the like, and formed integrally in a plate shape with pap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which makes it compact and lightweight,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easi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tacle-shaped simple frame that can be used for a single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 등의 중심(광축)을 눈의 위치(또는 시선)에 합치시켜, 정시하는 자연스러운 상태로 만듦으로써, 안정 피로가 경감되며, 그리고 종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ilize the fatigue by reducing the center (optical axis) of the lens or the like to the position (or line of sight) of the eye, and to make the natural state to be present, and by forming integrally with pap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yeglass-shaped simple frame tha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that can be used for a single use.

본 발명은, 상기 현재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즉,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템플부의 폭을, 렌즈들의 중심들 사이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코 패드부는,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를 브릿지부에 접착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esent situation, that is,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for holding plate-shaped lenses disposed above and below, a bridge portion for connecting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and a temple portion. And a nos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bridge portion so as to be supported by contact with the nose when upside down, and at least configured, integrally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width of the temp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lenses. It is a structure formed in the range of distance corresponded to the width | variety of the lens holding frame part from the distance to make. The nose pad portion may be formed by adhering a block member of a soft material for supporting the nose to the bridge portion.

또한,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템플부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한쪽의 렌즈의 중심과 합치시킨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for holding plate-shaped lenses arranged up and down, a bridge portion connecting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a temple portion, and so as to be supported by contact with the nose when upside down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t least the nose pad part provided in a bridge part, these are integrally formed in plate shape, and the edge of the temple part matched with the center of one lens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본 발명과 같이,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는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전체가 평면형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관리가 용이한 것이 된다. 특히, 템플부를 절첩하였을 때에는, 전체가 박판형이 되어, 포켓 속에 넣거나, 책 등의 사이에 끼우는 것도 가능하여, 휴대할 때에 매우 편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품을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상이한 종류의 렌즈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으로서 간단하게 구분 사용이 가능한 것이 되며, 그 구분 사용을 간단하고 신속하며 그리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더욱 렌즈의 사용 범위(시선의 이동 범위)가 넓은 것이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의 프레임을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조절이나 미조절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간단한 것이 되는 것이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는, 통신, 게임, 운동이나 건강 상태의 기록, 전자 결제 등에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용도는 넓어지게 된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for holding the plate-shaped lenses arranged up and down,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a temple portion that is foldable and attached, The nose pad portion provided at the bridge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nos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s configured at least and integrally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nd it can be used for a single use. It becomes easy to manage. In particular, when the temple part is folded, the whole becomes a thin plate shape, and it can also be put in a pocket or sandwiched between books and the like, which is very convenient when carrying. In addition, by simply inverting the present invention up and down, different types of lenses, wearable terminal glasses, and the like can be easily divided and used, and the division can be used simply, quickly, and reliably. Range of movement of the line of sight) becomes wide. In addition, since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inverted up and down, there is no need to adjust or fine-tune, so handling becomes very simple. In addition, the wearable terminal glass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gaming, recording of exercise or health condition, electronic payment, and the like, and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adened.

또한, 템플부의 폭을, 렌즈들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렌즈 등의 중심(광축)을 눈의 위치에 대략 합치시켜, 시선을 정시 상태에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안정 피로가 경감되게 된다. 더구나 템플부의 폭을, 렌즈 등의 중심 위치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상하변에 근접시켜, 템플부의 폭을 넓혀 감에 따라, 렌즈 등의 면이 경사져 간다. 이 경사각은, 단일 렌즈의 종래품과 동일한 사용 상태가 된다. 즉, 전방 20 m 전후의 위치에 눈이 자연스럽게 가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앞으로 경사시켜 제작된다. 이때의 렌즈 등의 중심(광축)과 눈의 위치가 대략 합치하게 된다(도 5 참조).Further, the width of the temple portion is formed in a range of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from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lenses, whereby the center of the lens or the like (optical axis) is approximately coincided with the position of the eye, thereby providing a line of sight. Since it becomes possible to approach the on-time state, stable fatigue is reduced. In addition, as the width of the temple portion approache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from the center position of the lens or the like, the width of the temple portion is inclined as the width of the temple portion is widened. This inclination angle is in the same use state as the conventional products of a single lens. That is, since the eyes naturally go to the position of about 20 m ahead, it is inclined forward and produced accordingly. At this time, the center (optical axis) of the lens or the like and the position of the eye approximately coincide (see FIG. 5).

본 발명과 같이,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는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전체가 평면형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관리가 용이한 것이 된다. 더구나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조절이나 미조절을 할 필요가 없어, 취급이 매우 간단한 것이 되는 것이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for holding the plate-shaped lenses arranged up and down,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a temple portion that is foldable and attached, The nose pad portion provided at the bridge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nos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at least configured and integrally formed in a plate shape, can be produced inexpensively as in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and can be used for a single use. Since it is a flat type, it becomes easy to carry and manage.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and fine-tune only by inverting up and down, and handling becomes very simple.

또한, 템플부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한쪽의 렌즈의 중심(도면 중의 2점 쇄선 또는 1점 쇄선)과 합치시킴으로써, 렌즈 등의 중심을 눈의 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시하는 자연 상태가 되어, 안정 피로가 경감되게 된다. 또한, 렌즈와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상하 위치에서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공장 등에 있어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에 작업 공정상의 정보 등을 표시시키고, 그것을 보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면, 확실한 작업이 되어, 품질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와 확대용 렌즈를 렌즈 유지 프레임부에 접착하면, 정밀한 조립 작업이나 정밀 부품의 제조 작업 등에 있어서, 확대한 상태로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것이 된다.In addition, by matching the edge of the temple part with the center of one lens (two-dot chain line or one-dot chain line in the drawing) arranged up and down, the center of the lens or the like can be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eye, so that the natural state The stability fatigue is reduced. In addition, by using the lens and the wearable terminal glass separately in the up and down position, if the work or the like can be displayed on the wearable terminal glass in a factory or the like, and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viewing it, it is sure to work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is achieved.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wearable terminal glass and the magnifying lens are attached to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the work can be performed in an enlarged state in a precise assembling work, a manufacturing work of precision parts, and the like, which is convenient.

본 발명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 패드부가,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를 브릿지부에 접착하여 형성됨으로써, 간단하게 코 패드 위치의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연질인 블록 부재를 적절하게 잘라내어, 코 패드 위치의 조절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 pad portion is formed by adhering a block member of a soft material for supporting the nose to the bridge portion, whereby the nose pad position can be easily determined, and the soft block member is appropriately cut out and the no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ad posi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별도의 실시형태의 코 패드부가 이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nose pad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is used.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a∼도 1c,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품은 1장의 종이 또는 합성 수지의 박판 등으로 전체가 일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품을 절곡하여 고글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는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A, B)을 접착하여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는, 구멍이 2개 뚫려 있고,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부(1)는, 종이나 합성 수지의 박판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 의해 유지되는 판형의 렌즈로서는, 오목 렌즈나 볼록 렌즈가 역할을 달성하는 것, 판유리(투명이나 편광판), 착색 유리(선글라스 등), 판형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의 형상으로서는, 도 1a∼도 1c, 도 2 등의 도면 중에 나타내는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렌즈들(A, B)은 개별이 아니고, 1장의 렌즈에 일체화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2점 쇄선은 렌즈(A)의 중심을 나타내고, 1점 쇄선은 렌즈(B)의 중심을 나타낸다.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S. 1A-1C, FIG.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ingle sheet of paper or a thin sheet of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invention may be bent to form a goggle. The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1 are for bonding and holding the plate-shaped lenses A and B arranged up and down, and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has two holes,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is formed of a thin plate made of pap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Moreover, as a plate-shaped lens hold | maintained by the said lens holding frame part 1, a concave lens or a convex lens fulfills a role, plate glass (transparent or polarizing plate), colored glass (sunglasses, etc.), plate-shaped wearable terminal glass It is preferable to use etc. The shape of the lens is not limited to the quadrangle shown in the drawings of FIGS. 1A to 1C, FIG. 2 and the like, and may be other shap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lenses A and B which are not individual but integrated in one lens. In addition, the dashed-dotted line shown in drawing shows the center of the lens A, and the dashed-dotted line shows the center of the lens B. In FIG.

브릿지부(2)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 사이를 연결한다. 한 쌍의 템플부(3)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베이스부측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템플부(3)의 폭(W)으로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들(A, B)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상하 방향의 치수)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도 1a에 나타내는 폭(W)의 템플부(3)를 형성하면, 템플부(3)의 가장자리(31)가, 렌즈(A) 또는 렌즈(B)의 중심과 합치하는 위치에 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템플부(3)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용한다. 또한, 도 1b나 도 1c에 나타내는 폭(W)의 템플부(3)를 형성하면, 본 발명품을 장착하였을 때, 렌즈 유지 프레임부(1)가 앞으로 기울고(도 5 참조), 그 경사각(θ)으로서는, 5도∼20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각(θ)이 20도 이상이 되면, 렌즈의 광축과 시선이 비스듬히 교차하기 때문에, 난시가 섞일 우려를 발생시킨다. 이 경사각(θ)은, 템플부(3)의 폭(W)을 넓히면, 커진다. 이때,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이 원하는 폭(W)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을 넓힌다.The bridge portion 2 connects between the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1. The pair of temple portions 3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and the base portion side is formed to be foldable. As the width W of the temple portion 3, as shown in FIG. 1C,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is formed from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lenses A and B as shown in FIG. It is good to form in the range of distance corresponded to width (dimension of an up-down direction). In particular, when the temple portion 3 having the width W shown in FIG. 1A is formed, the edge 31 of the temple portion 3 comes to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center of the lens A or the lens B. FIG. desirable. In addition, the temple portion 3 i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and used. Further, when the temple portion 3 having the width W shown in Fig. 1B or 1C is formed,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tilts forward (see Fig. 5)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the inclination angle θ )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degrees to 20 degrees. At this time,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is 20 degrees or more,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and the line of sight intersect obliquely, which causes the possibility of astigmatism mixing. This inclination angle θ becomes large when the width W of the temple portion 3 is widened. At this time, when the width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cannot correspond to the desired width W, the width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is widened.

귀 패드부(4)는 템플부(3)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코 패드부(5)는 브릿지부(2)의 상하 중앙에 마련되어, 상하로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코 패드부(5)에는, 도 1a∼도 1c, 도 2에 나타내는 V자형으로 절결되는 것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51)를 복수 개 접착시켜 형성한 것이 있다. 상기 블록 부재(51)의 연질재로서는, 스펀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블록 부재(51)를 접착하는 경우는, 얼굴의 크기에 맞추어 접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절입선(6)은,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템플부(3)의 이면이자 그 경계에 낸 골접기의 선이며, 이것은 템플부(3)를 절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ear pad portion 4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emple portion 3. The nose pad part 5 is provided in the up-down center of the bridge part 2, and when it is inverted up-down, it is provided so that the lens holding frame part 1 may be supported by contacting a nose. The nose pad portion 5 is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block members 51 of a soft material for supporting the nose as shown in Figs. 1A to 1C and a V-shaped cutout as shown in Fig. 3. There is one thing.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use a sponge as a soft material of the said block member 51, it is not limited to this. When the said block member 51 is adhere | attached, it becomes possible to adhere | attach according to the size of a face. The piercing line 6 is the back of the lens holding frame part 1 and the temple part 3, and the line | wire of the fold | folding out in the boundary, This is for making the temple part 3 foldable.

다음에 본 발명품을 제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1장의 두꺼운 종이 또는 합성 수지판의 박판 등을 준비하고, 프레스 등으로 정해진 형상으로 펀칭하며,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템플부(3)의 경계에 절입선(6)을 낸다. 이 상태의 것을 다수 매 보관해 두면 좋다. 이때, 합성 수지로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 후, 용도에 따른 판형의 렌즈 또는 판형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을 조합하여, 그 조합한 것을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 접착하면, 안경이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때, 렌즈 등의 접착은,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구멍의 이면 측이어도 표면 측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품을 사용할 때에는, 템플부(3)의 베이스부를 절입선(6)을 따라 구부려,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하고 나서 사용하면 좋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템플부(3)를 절입하여 대략 평면형으로 하여 보관하면 좋다.Next,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will be described. First, a piece of thick paper or a thin sheet of synthetic resin sheet is prepared, punched into a shape determined by a press or the like, and a cut line 6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and the temple portion 3. . It is good to keep a lot of this state. At this time, you may make it shape | mold and produce it to the shape prescribed | regulated with synthetic resin. Thereafter, a combination of a plate-shaped lens or a plate-shaped wearable terminal glass according to a use, and the combination of the plate-shaped lens and the wearable terminal glass can be used as glasses or wearable terminal glass.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adhesion of a lens etc. may be a back surface side of the hole of the lens holding frame part 1, or a surface side. In addition, when using this invention, you may use, after bending the base part of the temple part 3 along the piercing line 6, making it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ens holding frame part 1, and using it. When not in use, the temple 3 may be cut in and stored in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다음에 본 발명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먼저 도 1a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부(3)의 폭(W)을, 렌즈들(A, B)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템플부(3)의 가장자리(31)는, 렌즈(A) 또는 렌즈(B)의 중심과 합치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본 발명품을 장착시키면, 렌즈(B)의 중심선(수평선)이 눈의 위치와 합치하게 되기 때문에, 물건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어, 눈의 피로를 격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렌즈(A)를 사용할 때에는, 전체를 상하 반전시켜 다시 장착하면, 렌즈(A)의 중심선(수평선)이 눈의 위치와 합치하게 되기 때문에, 렌즈(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건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어,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usage method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First, as shown in FIG. 1A or FIG. 2, the case where the width | variety W of the temple part 3 corresponds to the space | interval of the centers of the lenses A and B is demonstrated. At this time, the edge 31 of the temple part 3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lens A or the lens B. FIG. Firs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s shown in Fig. 4, since the center line (horizontal line) of the lens B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eye, it can be seen when viewing an object, and the eye fatigue can be reduced. The next time the lens A is used, if the entire surface is inverted up and down and reattached, the center line (horizontal line) of the lens A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eye, so that the object can be seen as in the case of the lens B. We can meet at the time and can reduce eyestrain.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도 1c에 나타내는 폭(W)의 템플부(3)의 것을 사용한 경우이고, 이것은 도 4 때와 비교하여, 템플부(3)의 폭(W)이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에 상당하는 것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본 발명품을 장착시키면, 코 패드부(5)의 접촉 위치와 귀 패드부(4)의 위치가 그대로이기 때문에, 템플부(3)는 앞으로 기울며 렌즈 유지 프레임부(1)도 마찬가지로 앞으로 기운다. 이때의 경사각(θ)으로서는, 5도∼20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으로, 템플부(3)의 폭(W)을 넓혀도 경사각(θ)이 20도가 되지 않을 때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구멍으로부터의 상하폭을 넓혀 대응하면 좋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This is the case where the temple part 3 of the width W shown in FIG. 1C is used, and this i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4, and the width W of the temple part 3 is equal to the width | variety of the lens holding frame part 1 in FIG. It is equivalent. Firs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s shown in Fig. 5, since the contact position of the nose pad portion 5 and the position of the ear pad portion 4 remain intact, the temple portion 3 tilts forward and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 Likewise tilts forward. The inclination angle θ at this tim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degrees to 20 degrees.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does not become 20 degrees even when the width W of the temple portion 3 is widened by the width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the vertical width from the hole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is increased. It is good to widen and respond.

이와 같이 렌즈의 중심을 눈의 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렌즈를 앞으로 기울여 종래의 안경과 동일한 사용 상태가 된다. 이때의 경사각(θ)은 접착하는 렌즈의 종류에 대응시켜 결정하는 것이 좋다. 그 기준으로서는, 근시용의 렌즈를 세팅할 때는, 경사각(θ)이 15도∼20도의 범위가 되도록, 템플부(3)의 폭(W)을 결정하고, 원시용의 렌즈를 세팅할 때는, 경사각(θ)이 5도∼15도의 범위가 되도록, 템플부(3)의 폭(W)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렌즈의 중심(광축)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의 위치에 대략 합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판유리(투명이나 편광판), 착색 유리(선글라스 등), 판형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을 이용할 때는, 경사각(θ)이 없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center of the lens can be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eye, so that the lens is tilted forward to the same use state as conventional glasses.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inclination angle θ at this ti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type of the lens to be bonded. As a reference, when setting the lens for myopia, the width W of the temple part 3 is determined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theta) is in the range of 15 to 20 degrees, and when setting the lens for the far field,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width W of the temple part 3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θ is in the range of 5 degrees to 15 degrees. At this time, the center (optical axis) of the lens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eye position as shown in FIG. 5.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plate glass (transparent or polarizing plate), colored glass (sunglasses, etc.), plate-shaped wearable terminal glass, etc.,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with no inclination angle (theta).

또한,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상하에 상이한 종류의 렌즈 등을 배치하여 구분 사용하는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렌즈(A)로서 선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운전석의 카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기기 등을 조작할 때에는, 렌즈(B)측을 이용하고, 그 후, 전체를 반전시켜 장착하면, 렌즈(A)측의 선글라스로 바꾸면, 전방이 흐려지는 일없이, 또한, 눈부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Next, specific examples in which different types of lenses and the like ar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1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f sunglasses are used as the lens A, and a convex lens is used as the lens B, the lens B side is used when the car navigation, audio equipment, etc. of the driver's seat is operated. If the lens is mounted inverte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glare without blurring the front if the lens is replaced with sunglasses on the lens A side.

또한 렌즈(A)로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노안용 안경으로서 렌즈(B)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공장의 제조 라인 등에서 사용하면, 작업을 확인하는 항목이나 사양 내용 등을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에 표시시키면, 조립 시, 사양에 맞는 제품을 실수없이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품을 다종 소량 생산하는 공장 등에서 이용하면, 편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품을 극장에서 손님에게 나누어 주고,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에, 개요나 등장 인물 및 이들의 해설 등을 표시시키면, 손님을 한층 더 즐겁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집객 수단으로서 유효한 것이 된다.If a wearable terminal glass is used as the lens A and a convex lens is used as the lens B, the lens B can be used as presbyopia glasses and can also be used as a wearable terminal glass. When this is used in a manufacturing line of a factory, if the item which confirms an operation | work or a specification content are displayed on a wearable terminal glass, the product which conforms to a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assembly can be assembled without mistake. Therefore, when it uses in a factory etc. which produce many small quantities of this invention, it becomes convenient. In addi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ributed to a guest at a theater and an outline, characters, and commentary thereof are displayed on the wearable terminal glass, the visitor can be further enjoyed, and it becomes effective as a guest means.

1: 렌즈 유지 프레임부 2: 브릿지부
3: 템플부 31: 가장자리
5: 코 패드부 51: 블록 부재
W: 템플부의 폭
1: lens holding frame portion 2: bridge portion
3: temple part 31: edge
5: nose pad part 51: block member
W: Temple part width

Claims (3)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
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템플부의 폭을, 상기 렌즈들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for holding plate-shaped lenses disposed above and below,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to each other;
Temple,
Nos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bridge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nose when supported up and down,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into a plate shape, and the width of the temple portion is formed in a range of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ens holding frame portion from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lenses. Simple frame.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
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템플부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한쪽의 렌즈의 중심과 합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A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for holding plate-shaped lenses disposed above and below,
A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pair of lens holding frame portions to each other;
Temple,
Nose pad portion provided in the bridge portion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the nose when upside down
And at least one of them integrally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edge of the temple portion is coincided with the center of one lens disposed above and below.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 패드부는,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를 상기 브릿지부에 접착시켜 형성되는 것인,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nose pad part is a spectacle-shaped simple frame formed by adhering the block member of the soft material for supporting a nose to the said bridge part.
KR1020197019636A 2016-12-14 2017-03-17 Glasses type simple frame KR1023284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2187 2016-12-14
JP2016242187A JP6351698B2 (en) 2016-12-14 2016-12-14 Eyeglass-shaped simple frame
PCT/JP2017/010852 WO2018109958A1 (en) 2016-12-14 2017-03-17 Simple eyeglass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521A true KR20190091521A (en) 2019-08-06
KR102328401B1 KR102328401B1 (en) 2021-11-18

Family

ID=6255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636A KR102328401B1 (en) 2016-12-14 2017-03-17 Glasses type simple fr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51698B2 (en)
KR (1) KR102328401B1 (en)
CN (1) CN110073278B (en)
WO (1) WO2018109958A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223U (en) * 1986-01-14 1987-07-23
JPH01142921A (en) 1987-11-30 1989-06-05 Nec Corp Mouse type input device
JPH01171416A (en) 1987-12-25 1989-07-06 Asahi Chem Ind Co Ltd Fertilizer applicator
JP3031992U (en) 1996-05-28 1996-12-13 重成 松江 Glasses
JP3105983U (en) 2004-06-16 2004-12-09 特定非営利活動法人 日本ケアフィットサービス協会 Simple glasses for simulated experience
KR200388895Y1 (en) * 2005-02-28 2005-07-07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The disposable magnifying glasses of foldaway
KR20100009119A (en) * 2008-07-18 2010-01-27 오태연 Bridge support of glasses
JP2014085363A (en) * 2012-10-19 2014-05-12 Asakura Plan Kk Up and down turnover bifocal spectacl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346U (en) * 1976-07-13 1978-02-01
JPH01142921U (en) * 1988-03-23 1989-09-29
JPH01171416U (en) * 1988-05-12 1989-12-05
JPH01172019U (en) * 1988-05-25 1989-12-06
DE3841939A1 (en) * 1988-12-13 1990-06-21 Stemme Otto Spectacles (goggles)
JPH07159733A (en) * 1993-12-10 1995-06-23 Bunzo Hirano Far and near bifocal spectacles
JP2728626B2 (en) * 1994-03-18 1998-03-18 文三 平野 Bifocal glasses
US6705724B1 (en) * 2003-05-19 2004-03-16 Darrell Willis Bridge of the nose eyewear support system
US7517081B2 (en) * 2006-07-20 2009-04-14 Real D Low-cost circular polarizing eyewear
JP2010286805A (en) * 2009-06-10 2010-12-24 Tatsumi Adachi Slip-down prevention silicon rubber seal of spectacles
US8579433B2 (en) * 2010-02-22 2013-11-12 Mark S. Margolis Low-cost eyeglasses
KR20130049641A (en) * 2011-11-04 2013-05-14 박도찬 Pad for glasses
JP3180998U (en) * 2012-07-03 2013-01-24 國憲 中村 glasses
KR20140004814U (en) * 2013-02-20 2014-08-28 이종욱 no name
US9804413B2 (en) * 2013-09-30 2017-10-31 Sandra W. Smith One stem reversible reading glasses
CN104076524A (en) * 2014-07-21 2014-10-01 东兴华鸿光学科技有限公司 Glasses with dual purposes
JP3202187U (en) * 2015-11-06 2016-01-21 株式会社ハセガワ・ビコー Cushion material for glasses nose pa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223U (en) * 1986-01-14 1987-07-23
JPH01142921A (en) 1987-11-30 1989-06-05 Nec Corp Mouse type input device
JPH01171416A (en) 1987-12-25 1989-07-06 Asahi Chem Ind Co Ltd Fertilizer applicator
JP3031992U (en) 1996-05-28 1996-12-13 重成 松江 Glasses
JP3105983U (en) 2004-06-16 2004-12-09 特定非営利活動法人 日本ケアフィットサービス協会 Simple glasses for simulated experience
KR200388895Y1 (en) * 2005-02-28 2005-07-07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The disposable magnifying glasses of foldaway
KR20100009119A (en) * 2008-07-18 2010-01-27 오태연 Bridge support of glasses
JP2014085363A (en) * 2012-10-19 2014-05-12 Asakura Plan Kk Up and down turnover bifocal specta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73278A (en) 2019-07-30
JP6351698B2 (en) 2018-07-04
CN110073278B (en) 2020-12-29
KR102328401B1 (en) 2021-11-18
WO2018109958A1 (en) 2018-06-21
JP2018097186A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15299B (en) Combined spectacle lens, auxiliary lens, and method of edging lenses
WO2017110858A1 (en) Bifocal glasses-shaped frame
WO2018066245A1 (en) Frame for bifocal eyeglasses
JP6268247B1 (en) Peripheral glasses frame
KR102328401B1 (en) Glasses type simple frame
TWM455882U (en) Eyeglass frame, rim and temple
JP6330090B1 (en) Peripheral glasses frame
EP1014151A1 (en) Spectacle lenses and a pair of spectacles using the same
JP6171033B2 (en) Peripheral glasses frame
JP6276748B2 (en) Peripheral glasses frame
JP3210521U (en) Additional glasses for clear vision
JP2008191692A (en) Combination lens for eyeglasses, auxiliary lens, and lens shape processing method for combination lens for eyeglasses
JP6764008B1 (en) Eyeglass frame
JP6407385B2 (en) Peripheral glasses frame
US2410141A (en) Vertically adjustable bifocal spectacles
JP2015232726A (en) Spectacle frame
JP3191640U (en) Eyeglass frames
CN207867167U (en) Glasses
JP3100890U (en) Optometry frame
JP6379266B2 (en) Peripheral glasses frame
JP6268263B1 (en) Peripheral glasses frame
JP2019197121A (en) Upside-down available spectacle frame
JP6170993B2 (en) Peripheral glasses frame
JP2021071704A (en) Spectacle for one-eyed person
JP2019191387A (en) Eyeglass-like frame that can be flipped upside d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