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147A -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147A
KR20190091147A KR1020180010231A KR20180010231A KR20190091147A KR 20190091147 A KR20190091147 A KR 20190091147A KR 1020180010231 A KR1020180010231 A KR 1020180010231A KR 20180010231 A KR20180010231 A KR 20180010231A KR 20190091147 A KR20190091147 A KR 2019009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blowing
blowing function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8336B1 (en
Inventor
성상엽
이병주
양경수
윤지훈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성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상엽 filed Critical 성상엽
Priority to KR102018001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336B1/en
Priority to PCT/KR2019/001068 priority patent/WO2019147060A1/en
Publication of KR2019009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3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47C27/064Pockete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apparatus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nd a mattress including the same, wherein air in a bellows type ca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ventilation hole of a cover as the bellows type case is expan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vide a user who takes a sleep with pleasant sleeping environment. The cover coupled to an inlet of the case can be changed. Moreover, as the cover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hange only a portion of the cover. In addition, the mattress comprises the cushion apparatus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 buffering block, a buffering plate, and a support frame, and thus the user who takes a sleep can take a deep sleep.

Description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nd a mattress comprising the same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nd a mattress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싱글 또는 더블침대의 쿠션재로 사용되는 매트리스는, 내부에 스프링 등의 쿠션구조물이 구비되고 외측에 직물지의 커버가 씌워져서 구성된다.Generally, a mattress used as a cushion material of a single bed or a double bed is constituted by a cushion structure such as a spring inside and a cover of fabric paper covered on the outsid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매트리스는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장기간 사용한 침대의 매트리스 위에 앉거나 누울 경우에 매트리스의 내부 공기가 매트리스커버를 통해 강제 배출되면서 불쾌한 냄새를 발산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attress is not smooth circulation of the internal air and external air, when sitting or lying on the mattress of the bed used for a long time is often forced to discharge the unpleasant smell as the air inside the mattress is forced through the mattress cover.

한편, 인간은 수면 중 반컵 분량의 땀을 배출하게 되는 바, 숙면을 위해서는 매트리스의 공기 순환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the human is to discharge half a cup of sweat during sleep, the air circulation of the mattress is required for a good night's sleep.

따라서 매트리스 위에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매트리스 내외부로 원활히 공기 순환이 되도록 하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 that allows the air circulation smoothly into and out of the mattress by the weight of the user who sleeps on the mattress is required.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21847호 '매트리스용 통풍구'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1994-0021847 'Mattress Vent'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벨로우즈 타입의 케이스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에어가 커버의 통기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 인해,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s the bellows-type case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inside the ca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cover,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sleeping environment for the user taking a sleep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케이스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의 교체가 가능하며, 커버가 제1커버와 제2커버의 결합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일부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ver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ase, the cover is formed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so that only a part can be replaced.

또한,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와 완충블럭, 완충플레이트, 서포트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매트리스의 제공으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nd a cushioning block, a cushioning plate, a support frame, and the like, the purpose of the user to take a good night's sleep.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벨로우즈 타입의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케이스의 입구에 결합되고,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에어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is a bellows-type case in which one side inlet is open, the space is formed therein;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 cover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ase, supporting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vent hole to allow air to pa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do.

또한,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가 삽입되어 지지되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구션장치의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블럭; 및 완충블럭의 상부에 지지되며,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구션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에어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완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 cushioning block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inserted therein, the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exposed therein; And a cushioning plate which is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ffer block and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allow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to pass therethrough. To prov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벨로우즈 타입의 케이스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에어가 커버의 통기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 인해,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the bellows-type case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inside the ca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cover, the effect of providing a comfortable sleeping environment to the user taking a sleep There is.

또한, 케이스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의 교체가 가능하며, 커버가 제1커버와 제2커버의 결합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일부만의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ver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ase, since the cover is formed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replacing only a part.

또한,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와 완충블럭, 완충플레이트, 서포트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매트리스의 제공으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nd a cushion block, a cushioning plate, a support frame, and the like,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who takes a sleep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B-B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of FIG. 1.
5 and 6 are views showing a mattress inclu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of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cushioning device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of FIG. 7.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의 B-B선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cushioning device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of FIG. 5 and 6 are views showing a mattress inclu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of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cushion device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of FIG. 7.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는, 일측 입구(201)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벨로우즈 타입의 케이스(101,101'); 케이스(101,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03); 및 케이스(101,101')의 입구(201)에 결합되고, 탄성부재(203)의 일측을 지지하며, 케이스(101,101')의 길이방향으로 에어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105)이 형성된 커버(103,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ushion device (100,700)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inlet 201, the bellows-type case 101, 101 'with a space formed therein ); An elastic member 203 provided inside the cases 101 and 101 '; And a cover coupled to the inlet 201 of the cases 101 and 101 ', supporting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3,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vent hole 105 to allow air to pa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s 101 and 101'. (103, 103 ').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케이스(101,101')는 일측 입구(201)가 개방된다.Cases 101 and 101 'have one inlet 201 open.

또한, 케이스(101)는 타측면(301)이 폐쇄될 수 있고(도 3 참고), 이와 달리 케이스(101')는 타측면(301')이 개방될 수도 있다(도 9 참고).In addition, the case 101 may have the other side 301 closed (see FIG. 3). Alternatively, the case 101 ′ may have the other side 301 ′ opened (see FIG. 9).

한편,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폐쇄된 타측면(301)에는 다수개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lurality of vent holes may be formed in the other closed side (301).

이러한 케이스(101,101')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The cases 101 and 101 'are formed in a bellows type and have a space formed therein.

즉, 벨로우즈 타입으로 형성된 케이스(101,101')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데, 케이스(101,101')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면서 케이스(101,101') 내부의 에어가 케이스(101,101')의 외부로 방출된다.That is, the cases 101 and 101 'formed in the bellows type are stretched and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ir inside the cases 101 and 10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s 101 and 101 'while the cases 101 and 101' are stretched and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케이스(101)의 폐쇄된 타측면(301)에는, 그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후술할 베이스판(209)에 형성된 결합홈(303)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부(401)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closed side surface 301 of the case 101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01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03 formed in the base plate 209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edge circumference.

이와 반대로, 케이스(101)의 폐쇄된 타측면(301)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베이스판(209)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losed other side surface 301 of the case 101,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base plate 209.

즉, 서로 마주하는 베이스판(209)의 일면과 케이스(101)의 폐쇄된 타측면(301) 중 어느 한쪽에, 돌기부(401)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돌기부(40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303)이 형성된다.That is, a protrusion 401 is formed on one of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209 facing each other and the other closed side surface 301 of the case 101, and the protrusion 401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ther. Coupling groove 303 is formed.

이처럼 케이스(101)의 타측면(301)과 베이스판(209)이 돌기부(401)와 결합홈(303)의 맞물림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베이스판(209)이 케이스(101)의 타측면(301)에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As such, the other side surface 301 of the case 101 and the base plate 209 are mutually coupled by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401 and the coupling groove 303, so that the base plate 209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01 ( 301 is stably and firmly supported.

물론, 상술한 바와 달리, 케이스(101')의 개방된 타측면(301')에는, 그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후술할 베이스판(209)에 형성된 결합홈(303)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부(401)가 형성된다.Of course, unlike the above, the projection 401 is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303 formed in the base plate 209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edge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301 'of the case 101' Is formed.

이어서, 탄성부재(203)는 케이스(101,101')의 내부에 구비된다.Subsequently, the elastic members 203 are provided inside the cases 101 and 101 '.

이러한 탄성부재(203)는 일예로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된다.The elastic member 203 is provided as a coil spring as an example.

탄성부재(203)는 벨로우즈 타입의 케이스(101,101')가 길이방향으로 압축된 후 원상회복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elastic member 203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recover the original shape after the bellows-type cases 101 and 101 'are com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어서, 커버(103,103')는 케이스(101,101')의 입구(201)에 결합되는데, 커버(103,103')는 탄성부재(203)의 일측을 지지한다.Subsequently, the covers 103 and 103 'are coupled to the inlets 201 of the cases 101 and 101', and the covers 103 and 103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3.

이러한 커버(103,103')에는, 케이스(101)의 길이방향으로 에어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105)이 형성된다.At least one vent hole 105 is formed in the covers 103 and 103 ′ so that air pass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1.

한편, 커버(103,103')에서 통기홀(105)이 형성된 면은, 케이스(101,10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거나, 케이스(101,10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rface on which the vent holes 105 are formed in the covers 103 and 103 ′ may be convexly curved out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s 101 and 101 ′, or may be concavely curved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s 101 and 101 ′.

또한, 커버(103')는, 통기홀(105)의 둘레에 케이스(10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되, 경방향 외측이 개방된 돌출연장부(70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ver 103 'includes a protruding extension 701 which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1' around the vent hole 105 and whose radially outer side is opened.

이러한 돌출연장부(701)는 일예로, 커버(103')의 외측면에 십자형(+형)으로 돌출형성되는데, 통기홀(105)은 십자형으로 구획된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extension 701 is, for example, protruded crosswise (+ ty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103 ', the vent hole 105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cross-sectional area.

이로 인해, 통기홀(105)을 통해 에어가 더욱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As a result, air may be mor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105.

한편, 커버(103,103')의 일실시예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103,103')는 케이스(101,101')의 내부에서,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통기홀(205)이 형성된 제1커버(211); 및 케이스(101)의 외부에서,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제1통기홀(205)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통기홀(207)이 형성된 제2커버(213);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embodiment of the cover 103, 103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ver 103, 103 ′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 inlet 201 in the case 101, 101 ′. A first cover 211 having at least one first vent hole 205 formed therein; And a second cover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01 and is opened at the outside of the case 101 and has at least one second vent hole 207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ent hole 205. 213).

제1커버(211)에서 제1통기홀(205)이 형성된 면과, 제2커버(213)에서 제2통기홀(207)이 형성된 면은, 케이스(101,10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거나, 케이스(101,10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vent hole 205 is formed in the first cover 211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vent hole 207 is formed in the second cover 213 are convex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s 101 and 101 '. It may be curved, or may be curved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1, 101 ').

물론, 제1커버(211)에서 제1통기홀(205)이 형성된 면의 만곡되는 방향과, 제2커버(213)에서 제2통기홀(207)이 만곡되는 방향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반대방향일 수도 있다.Of course, the curved direction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vent hole 205 is formed in the first cover 21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vent hole 207 is curved in the second cover 213 may be the same. It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제1커버(211)는 케이스(101,101')의 내부에서,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내측면에 결합된다.The first cover 211 is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01 that is opened in the cases 101 and 101 ′.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커버(211)의 일측면(제2커버(213)와 마주하는 면)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함몰된 삽입홈(215)이 형성되고, 케이스(101,101')의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내측면에는, 삽입홈(215)에 끼워지는 돌출부(403)가 형성되어서, 돌출부(403)와 삽입홈(215)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제1커버(211)가 케이스(101,101')의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211 (the face facing the second cover 213), an insertion groove 215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dge is formed, the opening of the case (101, 101 ')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01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403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5, and the first cover 211 is formed by engaging the protrusion 403 with the insertion groove 215.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inlet 201 of the case (101, 101 ').

한편, 제1커버(211)의 타측면(제2커버(213)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편)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305)이 형성되는데, 지지턱(305)은 탄성부재(203)의 일측을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ver 211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cover 213), a support jaw 305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is formed, the support jaw 305 is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3 is supported.

물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턱(305)은 제1커버(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s shown in FIG. 9, a plurality of support jaws 305 may be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211.

이처럼 제1커버(211)의 타측면에 지지턱(305)이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203)의 일측이 제1커버(211)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As the support jaw 30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over 211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3 is supported in a fixed position on the first cover 211.

또한, 제1커버(211)의 일측면(제2커버(213)와 마주하는 면)에는, 후크 타입의 고리부(217)가 형성되는데, 고리부(217)는 후술할 제2커버(213)에 형성된 걸림홀(219)에 끼워져 고정된다.In addition, a hook type hook portion 217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facing the second cover 213) of the first cover 211, and the hook portion 217 is a second cover 2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fitted into the fixing hole 219 formed in the).

이처럼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3)가 고리부(217)와 걸림홀(219)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3)가 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고리부(217)가 걸림홀(219)로부터 탈거됨으로써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3)가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first cover 211 and the second cover 213 are bound by the hook portion 217 and the locking hole 219, so that the first cover 211 and the second cover 213 can be easily coupled. In addition, the first cover 211 and the second cover 213 can be easily separated by removing the hook portion 217 from the locking hole 219.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고리부(217)는 제2커버(213)에 형성되고, 걸림홀(219)은 제1커버(211)에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ring portion 217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ver 213, and the locking hole 219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ver 211.

달리 말하면,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3)가 서로 결속되도록,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3)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 중 어느 한쪽에 후크 타입의 고리부(217)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고리부(217)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홀(219)이 형성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hook type hook portion 217 is formed on any one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cover 211 and the second cover 213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ver 211 and the second cover 213 are coupled to each other. ) Is formed, and the engaging hole 219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ing portion 217 is formed.

제2커버(213)는 케이스(101,101')의 외부에서,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외측면에 결합된다.The second cover 213 i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01 that is opened outside the cases 101 and 101 ′.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커버(213)의 타측면(제1커버(211)와 마주하는 면)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함몰된 함몰홈(307)이 형성되고, 케이스(101,101')의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외측면에는, 함몰홈(307)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부(221)가 형성되어서, 끼움돌기부(221)와 함몰홈(307)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제2커버(213)가 케이스(101,101')의 개방된 입구(201) 둘레면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other side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cover 211) of the second cover 213, the recessed groove 307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dge, the opening of the case (101, 101 ')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01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221 to be fitted into the recessed groove 307, and by engaging the fitting protrusion 221 with the recessed groove 307, the second cover ( 213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 inlet 201 of the cases (101, 101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는, 케이스(101)의 내부에서, 폐쇄된 타측면(301)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탄성부재(203)의 타측을 고정지지하는 베이스판(209);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ushion device 100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case 101,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closed 301 is fixe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3 It includes; base plate 209 for fixing the.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01)의 폐쇄된 타측면(301)과 마주하는 베이스판(209)의 일면에는, 결합홈(303)이 형성되어서, 케이스(101)의 폐쇄된 타측면(301)에 형성된 돌기부(401)가 결합홈(303)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01)의 폐쇄된 타측면(301)과 베이스판(209)이 상호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groove 30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209 facing the other closed surface 301 of the case 101, so that the other closed surface 301 of the case 101 is closed. The protrusion 401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03 is fitt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losed other side surface 301 of the case 101 and the base plate 209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베이스판(209)의 일측면(결합홈(303)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턱(223)이 형성되는데, 가이드턱(223)은 탄성부재(203)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guide jaw 223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edg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209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303 is formed), and the guide jaw 223 is an elastic member. The other side of 203 is supported.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턱(223)은 베이스판(209)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as illustrated in FIG. 8, a plurality of guide jaws 223 may be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209.

이처럼 베이스판(209)의 일측면에 가이드턱(223)이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203)의 타측이 베이스판(209)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As the guide jaw 2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209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3 is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base plate 209.

더불어,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판(209)에는 다수개의 통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lurality of vent holes may be formed in the base plate 209.

또한, 베이스판(209)은 케이스(101')의 내부에서 개방된 타측면(301')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탄성부재(203)의 타측을 고정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209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ther side surface 301 ′ opened in the case 101 ′, and may support and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3.

이 때, 베이스판(209)이, 케이스(101,101')의 내부에서 개방된 타측면(301')에 결합되는 방식의 일예로, 앞에서 설명한 결합홈(303)과 돌기부(401)의 결합 구조가 적용된다.At this time, the base plate 209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surface 301 'which is opened inside the cases 101 and 101',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upling groove 303 and the protrusion 401 described above is Appl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500)는, 상술한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구션장치(100,700)가 삽입되어 지지되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의 커버(103,103')가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블럭(501); 및 완충블럭(501)의 상부에 지지되며,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로부터 송출되는 에어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에어홀(503)이 형성된 완충플레이트(5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ttress 500 inclu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100,700); A cushion block 501 to which the cushion devices 100 and 700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are inserted and supported, and the covers 103 and 103 'of the cushion devices 100 and 700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buffer plate 505 which is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ffer block 501 and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503 formed thereon to allow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cushion devices 100 and 700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to pass therethrough. do.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ushion devices 100 and 700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완충블럭(501)은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가 삽입되어 지지되록 하는데,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의 커버(103,103')는 완충블럭(501)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buffer block 501 allows the cushion devices 100 and 700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The covers 103 and 103 ′ of the cushion devices 100 and 700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ffer block 501. .

여기서, 완충블럭(501)은 일예로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제공되는데, 완충블럭(501)은 일예로 라텍스(latex), 메모리폼, 합성라텍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uffer block 501 is provided as a block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 example, the buffer block 501 may be formed of a latex (latex), memory foam, synthetic latex and the like.

이어서, 완충플레이트(505)는 완충블럭(501)의 상부에 지지되는데, 완충플레이트(505)에는 다수의 에어홀(503)이 형성되어서,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100,700)로부터 송출되는 에어가, 에어홀(50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방출된 에어는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공급되어, 쾌적한 수면 환경이 조성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buffer plate 505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ffer block 501. The buffer plate 50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holes 503,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ushion devices 100 and 700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A,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hole 503, the discharged air is supplied to the user taking a sleep, so as to create a comfortable sleeping environment.

여기서, 완충플레이트(505)는 일예로 라텍스(latex), 메모리폼, 합성라텍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plate 505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latex, memory foam, synthetic latex,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500)는, 완충블럭(501)의 하부를 지지하는 평평한 플레이트 타입의 서포트프레임(507);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ttress 500 inclu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plate type support frame 507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 block 501; includes .

서포트프레임(507)은 일예로, 소정의 강성을 갖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서포트프레임(507)은 완충블럭(501)의 하부를 지지한다.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507 is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the support frame 507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 block 501.

일예로, 서포트프레임(507)은,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가 놓이는 침실 등 공간의 바닥에 놓일 수도 있고, 이와 별개로 서포트프레임(507)의 저면에 다수의 지지다리(미도시)가 결합되어, 서포트프레임(507)이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놓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frame 507 may be placed on the floor of a space such as a bedroom in which a mattress inclu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is placed, and separately, a plurality of support legs (not shown)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507. May be combined, the support frame 50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벨로우즈 타입의 케이스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에어가 커버의 통기홀을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 인해,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ellows-type case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ir inside the ca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cover, which is comfortable for the user who takes a sleep.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leeping environment.

또한, 케이스의 입구에 결합되는 커버의 교체가 가능하며, 커버가 제1커버와 제2커버의 결합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일부만의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ver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ase, since the cover is formed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replacing only a part.

또한,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와 완충블럭, 완충플레이트, 서포트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매트리스의 제공으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nd a cushion block, a cushioning plate, a support frame, and the like,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who takes a sleep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101,101' : 케이스
103,103' : 커버
105 : 통기홀
201 : 입구
203 : 탄성부재
205 : 제1통기홀
207 : 제2통기홀
209 : 베이스판
211 : 제1커버
213 : 제2커버
215 : 삽입홈
217 : 고리부
219 : 걸림홀
221 : 끼움돌기부
223 : 가이드턱
301,301' : 타측면
303 : 결합홈
305 : 지지턱
307 : 함몰홈
401 : 돌기부
403 : 돌출부
500 :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501 : 완충블럭
503 : 에어홀
505 : 완충플레이트
507 : 서포트프레임
700 :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701 : 돌출연장부
100: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101,101 ': Case
103,103 ': Cover
105: ventilation hole
201: entrance
203: elastic member
205: first ventilation hole
207: second vent hole
209: base plate
211: first cover
213: second cover
215: Insertion groove
217 ring portion
219: jam hole
221: fitting protrusion
223: guide jaw
301,301 ': other side
303: Coupling Groove
305: support jaw
307: recessed groove
401: projection
403: protrusion
500: Mattress includ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501: buffer block
503: air hole
505: buffer plate
507: support frame
700: cush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701: protruding extension part

Claims (10)

일측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벨로우즈 타입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에어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홀이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A bellows-type case in which one side inlet is opened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 cover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ase, supporting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vent hole to allow air to pa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폐쇄된 타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고정지지하는 베이스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ase plat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se closed inside the case, the base plate supporting and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과 상기 케이스의 폐쇄된 타측면 중 어느 한쪽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Cushion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closed side of the case facing each other,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된 입구 둘레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통기홀이 형성된 제1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개방된 입구 둘레면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통기홀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통기홀이 형성된 제2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A first cover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pen inlet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vent hol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open inlet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having at least one second ven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ent hole;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가 서로 결속되도록,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 중 어느 한쪽에 후크 타입의 고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상기 고리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hook-type hook portion is formed on one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so that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hook portion is fit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개방된 타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고정지지하는 베이스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ase plat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pened in the case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개방된 타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고정지지하는 베이스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ase plat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pened in the case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통기홀의 둘레에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되, 경방향 외측이 개방된 돌출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A protruding extension part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around the vent hole, the radially outer side of which is opened;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상기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가 삽입되어 지지되되, 상기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구션장치의 상기 커버가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블럭; 및
상기 완충블럭의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구션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에어가 통과되도록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완충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cushion block in which the cushion device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is inserted and supported, wherein the cover of the cushion device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buffer plate which is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uffer block and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allow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cushion device having the air blowing function;
Mattress comprising a cushioning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블럭의 하부를 지지하는 평평한 플레이트 타입의 서포트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구션장치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The method of claim 9,
A support plate of a flat plate type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uffer block;
Mattress comprising a suction device having an air blowing function comprising a.
KR1020180010231A 2018-01-26 2018-01-26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KR1020683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31A KR102068336B1 (en) 2018-01-26 2018-01-26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PCT/KR2019/001068 WO2019147060A1 (en) 2018-01-26 2019-01-25 Cushion device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31A KR102068336B1 (en) 2018-01-26 2018-01-26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47A true KR20190091147A (en) 2019-08-05
KR102068336B1 KR102068336B1 (en) 2020-01-20

Family

ID=6739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31A KR102068336B1 (en) 2018-01-26 2018-01-26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8336B1 (en)
WO (1) WO2019147060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847U (en) 1993-03-06 1994-10-19 정영수 Mattress vents
KR950008915Y1 (en) * 1992-12-30 1995-10-18 장순옥 Container
US5467489A (en) * 1994-01-21 1995-11-21 Cchen; Cchung-Pao Air permeable cushion
KR20100020089A (en) * 2008-08-12 2010-02-22 송춘근 Air blowout cushion or she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8941A (en) * 1988-10-26 1989-09-26 Tai Hsin Fen Assembled mattress having bellows for jacketing spring therein
KR200313943Y1 (en) * 2003-02-17 2003-05-22 김태일 Cushion device for a mattr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915Y1 (en) * 1992-12-30 1995-10-18 장순옥 Container
KR940021847U (en) 1993-03-06 1994-10-19 정영수 Mattress vents
US5467489A (en) * 1994-01-21 1995-11-21 Cchen; Cchung-Pao Air permeable cushion
KR20100020089A (en) * 2008-08-12 2010-02-22 송춘근 Air blowout cushion or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7060A1 (en) 2019-08-01
KR102068336B1 (en)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2234B2 (en) Vehicle seat
US8336964B2 (en)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US20130292288A1 (en) Impact protection enclosur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WO2005084214A3 (en) Slipcovers for support pillows
US20180125271A1 (en) Pillow
US7188379B2 (en) Combination air and spring mattress for a sofa sleeper
US20180049568A1 (en) Portable full head support pillow convertible cushion
US10682936B1 (en) Lumbar support cushion
KR102068336B1 (en) Cushion apparatus having air blowing function and mattress having the same
US11730292B2 (en) Self-stowing pillow
US20170112293A1 (en) Mattr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914113B1 (en) A pillow hav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using magnets
KR20170005691A (en) Bed
JP3216156U (en) Sheet stocker
KR20210104612A (en) Bed battress having a mash-member
JP3214113U (en) Air pillow
KR101603949B1 (en) Hybrid cushion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0490485Y1 (en) Assistance pillow
KR102225862B1 (en) Mattress cover with no side wrinkles
KR101516501B1 (en) Cover used for a cushion
US20200060449A1 (en) Adjustable pillow
KR200298819Y1 (en) portable cushion
KR200313943Y1 (en) Cushion device for a mattress
KR101811804B1 (en) Cushion device having stand-alone type spring
JP2007021017A (en) Mattr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