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105A -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105A
KR20190091105A KR1020180010140A KR20180010140A KR20190091105A KR 20190091105 A KR20190091105 A KR 20190091105A KR 1020180010140 A KR1020180010140 A KR 1020180010140A KR 20180010140 A KR20180010140 A KR 20180010140A KR 20190091105 A KR20190091105 A KR 2019009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races
coupled
seating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창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소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소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소존
Priority to KR102018001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105A/en
Publication of KR2019009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Abstract

Provided is a dental brace comprising: a first unit capable of being changed into a second shape from a first shape and recovered into the first shape from the second shape; a second unit coupled with the first unit and having a mounting unit in which a wire can be mounted; and a third unit coupled with an assembly where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re assembled and having an adhesion surface to adhere to one surface of a tooth. The coupling between the assembly and the third unit is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first unit in the first shape. At least one of the first unit,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unit is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metals or ceramics.

Description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Orthodontic and Orthodontic Assembly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races and orthodontic assemblies.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서 치아는 색깔과 형태에 의해 외관상 형성되는 이미지로 인해 개인적 외모를 연출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치아의 정렬에 따른 치열은 치아의 자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골격구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외적 이미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기형적 치열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외적 이미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자체적 식생활 등에도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어서 치열의 교정은 치의학상 중요한 치료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치의학적치료 중에서 치열의 교정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방법 또는 기술 또한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근래까지 널리 시술되어온 치열교정술은, 치열을 이루는 각각의 치아의 외측 치표면에 1개씩의 브라켓을 부착하고,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구조물에 철사, 즉 치열 교정용 호선을 형성한 강인한 재질의 와이어를 묶어 와이어의 외적 물리력에 의해서 각각의 치아의 위치 또는 방향을 장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교정시키도록 하는 방법이었다.In general, teeth are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al appearance due to the appearance of images by color and shape, and the dentition due to the alignment of teeth affects not only the teeth but also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face. It is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the im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erson with malformed dentition, not only the influence on the external image but also its own eating habits may cause inconvenience, and the correction of the denti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dental treatment. For this reason, orthodontics of dental treatment has a long history, and the method or technique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Orthodontic surgery, which has been widely practiced until recently, attaches one bracket to the outer tooth surface of each tooth forming the teeth, and binds a wire made of a rigid material, that is, an orthodontic wire, to the fixed structure formed on the bracket. The external physical force of the wire was to gradually correct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each tooth over a long time.

아울러, 근래에는 치열의 내측, 즉 치아의 구강내 설(舌)측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여기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이 와이어의 외력에 의해서 소기의 치열교정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설측 교정 장치와 더불어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교합면 슬롯과 수평 슬롯의 크기가 각각 다르고 결합되는 아치와이어의 단면상 중심부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공지의 브라켓에 있어서, 소구치와 대구치 및 전치 등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교합면 슬롯과 수평면 슬롯을 교합면에서 일치시켜 같은 크기의 아치와이어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아치와이어를 환자에 구강 내에서 각 치아에 부착된 교정기구와 연결해야 하는 점 때문에 교체 및 세척 등에 있어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n increase in the procedure of attaching a bracke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eth, that is, the intraoral tongue, and connecting the wires to perform the desired orthodontic treatment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wires Is in the trend.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cedures using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in addition to the lingual correction device. Recently, in the known brackets having different sizes of occlusal slots and horizontal slots, the centers of the archwire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The same size archwir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this configur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umbersome in replacement and cleaning because the archwire must be connec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attached to each tooth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565801 호 (2015.10.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65801 (2015.10.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ntal brace that is a coupling between the assembly to which the wire can be connected and the third portion attached to the teeth, the assembly is coupl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from the assembly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ntal brace that is coupled between the assembly to which the wire can be connected and the third portion attached to the teeth, the assembly is coupl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art,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from the assembl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ssembly.

제1형태로부터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제1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제1부; 제1부와 결합되고,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제2부; 및 제2부 및 상기 제1부가 조립된 조립체가 결합되고, 치아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제3부;를 포함하고, 조립체 및 상기 제3부 간의 결합은 상기 제1부가 상기 제1형태의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제1부, 제2부 및 제3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치아교정기가 제공된다.A first portion that can be modified from the first form to the second form and can be restored to the first form from the second form; A second part coupled to the first part and provided with a seating part on which a wire may be seated; And a third part having a second part and an assembly assembled with the first part and having an adhesive surface formed thereon to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a tooth, wherein the assembly between the assembly and the third part comprises: It is made by maintaining in the shape of the first for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omprising a metal or ceramic, there is provided a braces.

그리고, 조립체 및 상기 제3부는 삽입에 의해 결합되고, 제1부는, 삽입한계점을 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assembly and the third part may be coupled by insertion, and the first part may include a stopper that determines an insertion limit point.

또한, 제1부는, 제3부에 조립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핀공이 삽입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ssembly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ird portion, the pin hole may be expo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또한, 제1부는, 조립체 및 제3부 간 결합 시에, 탄성에 의해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rt may include a first catching part that allows the coupling to be maintained by elasticity when the assembly and the third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제1부는 제2부에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rt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coupled to the second part.

또한, 제2부의 안착부는 다면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may be formed as a multi-faceted groove.

또한, 제2부의 안착부는 사각홈 형태이고, 사각홈의 깊이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형성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has a rectangular groove shape, and may be formed within a 90 degree 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square groove.

또한, 제2부는, 제1부의 일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first part may be inserted and fixed.

또한, 제2부는,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 may include a fixing part having an end portion extended to be fixed to each other by elasticity of the first part.

또한, 제3부는,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part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ssembly can be inserted.

또한, 제3부는, 삽입공에 조립체가 삽입되면, 제1부의 삽입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공을 관통할 수 있다.Also, when th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least a part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part may pass through the insertion hole.

또한, 제3부는, 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제3부 및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2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part may include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insertion direction to insert the assembly, and the guide part may include a second catching part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third part and the assembly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art.

또한, 제1부 및 제2부 간의 결합에 의해 안착부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wire from the seating portion can be prevented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또한, 제1형태 및 제2형태 간의 변형 및 복원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deformation and resto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rms can be made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ortion.

상기에 기재된 치아교정기 복수 개 및 각각의 치아교정기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A braces assembly is provided,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ces described above and wires connected to each br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ntal brace that is a coupling between the assembly to which the wire can be connected and the third portion attached to the teeth, the assembly is coupl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from the assembly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ntal brace that is coupled between the assembly to which the wire can be connected and the third portion attached to the teeth, the assembly is coupl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art,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from the assembly An assembly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조립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평면측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측면측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r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of a brace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부, 제2부, 제3부로 구분하여 지칭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부는 기능은 클립(clip) 및 캡(cap)의 기능을 포함하므로, '클랩앤캡'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부의 경우에 캐리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3부의 경우 몸체를 형성하므로 바디라고 지칭될 수 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to be referred to divided into the first, second, third parts. Here, since the first part includes functions of a clip and a cap, the first part may be referred to as a 'clap and cap'. The second part may be referred to as a carrier, and the third part may be referred to as a body because it forms a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치아교정기는 제1부(100), 제2부(200) 및 제3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100) 및 제2부(200)는 우선적으로 결합되고, 제1부(100) 및 제2부(200)가 결합된 조립체(10)가 제3부(300)와 결합되므로써, 치아교정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인 치아교정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부(300)는 조립체(10)와 결합이 되어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하며, 복수 개의 부품이 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치아교정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상기 치아교정기가 각각 하나의 와이어의 일부를 고정시키면서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각각의 치아교정기의 제3부(300)가 치아와 접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이란,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제의 경화로 인한 치아 및 제3부의 결합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rthodontic appliance may include a first part 100, a second part 200, and a third part 300. Here, the first portion 100 and the second portion 200 are preferentially coupled, and the assembly 10 to which the first portion 100 and the second portion 200 are coupled is coupled to the third portion 300. The orthodontic appliance, which constitutes an orthodontic assembly, may be formed. Here, the third part 300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assembly 10 and attached to the teeth, and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arts or may be configured as one single part. Orthodontic assembly is a plurality of the bra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ire while fixing a portion of one wire, each of the third portion 300 of the braces is bonded to the teeth, can be fixed. In this case, the adhesive may include bonding of the teeth and the third part due to the curing of the adhesive by applying the adhesive.

그리고, 제1부(100), 제2부(200) 및 제3부(300)는 어느 하나 이상이 금속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내구성 및 심미감 등을 고려한 사항이며, 특히 마모 가능성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part 100, the second part 200, and the third part 3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metal or ceramic. This is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nd aesthetics, and can be determined in particular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possibility of wear.

이하에서는 치아교정기를 위주로 설명하고, 필요에 따라 치아교정 어셈블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inly give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dental orthodontic assembly will be further described as necess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10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치아교정기의 일 구성인 제1부(100)는 스토퍼(110), 핀공(120), 제1걸림부(130), 삽입부(140) 및 결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part 10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ncludes a stopper 110, a pin hole 120, a first catching part 130, an insertion part 140, and a coupling part 150. can do.

제2부(200)와의 조립순서를 기준으로 제1부(100)를 설명하면, 제2부(200)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150)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결합부(150)가 삽입되고 난 후에 삽입부(140)가 제2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50) 및 삽입부(140)는 제2부와 결합되는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어, 결합부(150) 및 삽입부(140)의 결합 후에는 제1부(100) 및 제2부(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방향으로 구속이 이루어져 분리되는 것이 보다 어렵게 설게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first portion 100 on the basis of the assembly order with the second portion 200, the coupling portion 1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ion 20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the coupling portion 150 After inserting, the insertion unit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unit 200. Here, the coupling part 150 and the insertion part 140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which the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second part, and thus, after the coupling part 150 and the insertion part 140 are combined, the first part 100 and the second part are combined. Separation of the 200 can be prevented. That is, it may be more difficult to separate the restraint is mad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특히, 삽입부(140)의 경우에는, 제1부(100)의 형상변경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형상 변경은 기 결정된 온도 등의 환경에 노출되면 특정 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소재(SMA; shape memory alloys) 또는 탄성을 지닌 소재가 제1형태으로부터 제2형태로 변형가능하고, 다시 제2형태으로부터 제1형태으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상의 변형 및 복원은 다양한 경우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형태를 기준으로 탄성에 의한 형상의 변형(제2형태인 상태) 및 복원(제1형태인 상태)을 예로 하여 후술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insertion unit 140, it can be coupled through the shape change of the first portion (100). The shape change may include shape memory materials (SMA) or materials having elasticity, which may be deformed into specific shapes when exposed to an environment such a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means that can be restored to the first form from.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such a shape can be carried out by various cases,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based on the first form of deformation (reinforcement of the second form) and restoration of the shape (first form) Phosphorus state) will be described later.

나아가, 제1형태는 조립체(10)와 제3부(300) 간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형성된 형태이고, 제2형태는 탄성 또는 형상기억소재에 의한 복원성에 의해 제1형태를 갖추기 위한 과저에서 제1형태 이외의 형태를 갖추는 상태를 제2형태라고 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form is a form forme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assembly 10 and the third portion 300 is maintained, the second form is the first to the first form by the resilience or resilience by the shape memory material The state which has forms other than a form can be called a 2nd form.

한편, 제1부(100)는 일부가 절개된 형상일 수 있고,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이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이동될 수 있다. 즉,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벌어져 넓어진 공간을 통해 제2부(200)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부에 벌어진 만큼 탄성에 의해 좁아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형태 및 제2형태 간의 변형과 복원이 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탄성이동방향(E)으로 지칭했을 뿐, 형상기억소재(SMA; shape memory alloy)로 제1부(100)가 구성된 경우에는 형상변형방향 또는 형상복원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ortion 100 may be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cut, both sides can be elastically moved in the elastic moving direction (E) based on the cut portion. That is, it may be inserted into a part of the second portion 200 through a space widened based on the cut portion, and may be narrowed and fixed by elasticity as much as the opening portion is opened. Here, to explain an example in which deformation and resto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rms are made by elasticity, the first portion 100 is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SMA). If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deformation direction or the shape restoration direction.

상기의 결합과정이 수행되기 위해 제1부(100)는 탄성을 지니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100)는 수지 및 금속 중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coupling process, the first part 100 may have elasticity. For example, the first portion 100 may include one or more materials of resin and metal.

또한, 제1부(100) 및 제2부(200)의 결합이 된 조립체(10)의 상태에서, 조립체(10)가 제3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부(300)와 삽입결합되는 과정에서 삽입한계점까지 조립체(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부(100)에는 스토퍼(11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10)는 조립체(10)와 제3부(300)의 결합과정에서 제3부(300)에 형성된 삽입공(310)을 형성하는 표면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조립체(10)가 더 이상 상기 삽입공(310)으로 삽입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10)와 제3부(300) 간의 접촉되는 삽입지점이 삽인한계점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of the assembly 10 in which the first portion 100 and the second portion 200 are coupled, the assembly 1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portion 300. In this case, the stopper 1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part 100 so that the assembly 10 can be inserted to the insertion limit point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ird part 300. The stopper 11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urface forming the insertion hole 310 formed in the third portion 300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assembly 10 and the third portion 300, the assembly 10 is no longer the above-mentioned. It may function to prevent the insertion hole 310 is inserted. Here, the insertion point contacted between the stopper 110 and the third part 300 may be an insertion limit point.

상기 삽입한계점까지 삽입된 조립체(10)는 삽입공(3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제1부(10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일부는 제1부(100)의 제1걸림부(130) 및 핀공(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ssembly 10 inserted up to the insertion limit point may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310 to expose a part of the first portion 100 to the outside. The part may include a first catching part 130 and a pin hole 120 of the first part 100.

여기서, 제1걸림부(130)는 제3부(300)의 일부와 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제1부(100)가 지닌 탄성 및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체(10)가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이동방향(E) 중 제1부(100)가 절개되어 형성된 내측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고, 삽입과정동안 상기 탄성변형되었던 삽입체는 삽입체의 단부에 마련된 제1걸림부(130)가 삽입공을 관통한 후에 외측으로 노출되면 탄성변형된만큼 탄성복원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atching part 130 may be coupled to a part of the third part 300. The coupling may be a coupling made by the elasticity and structure of the first portion 100.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assembly 10 into the insertion hole 310, the first portion 100 of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E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formed by cutting, and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The elastically deformed insert may be elastically restored as much as the deformed elasticity when the first locking portion 130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sert is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상기 탄성복원에 의해 삽입체가 벌어지면서 서로 멀어지게 되고, 멀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3부(300)는 제1걸림부(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은, 삽입체에 상기 탄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힘이 가해지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이동에 의해 조립체(10) 및 제3부(300)는 분리될 수 있다.The inser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 restoration, and the third parts 300 may be fixed by the first catching part 130 so that the inser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f course, the fixing,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insert, i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movem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assembly 10 and the third portion 300.

여기서 탄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힘이 가해지는 경우의 일 예로써, 외력의 작용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은 삽입체 상에 마련된 각각의 핀공(120)에 집게류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서로 모아지도록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일 예가 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a force is applied so that elastic deformation occurs, there may be an action of an external force. Specifically, the external force may be an example in which a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tongs into each of the pin holes 120 provided on the insert to be collected.

따라서, 삽입체에 탄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기 결정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1걸림부(130)에 의해 제3부(300)와 조립체(10)는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unless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that may cause elastic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insert, the third part 300 and the assembly 10 may be kept in a coupled state by the first catching part 13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200)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2부(200)는 삽입체(조립체(10)의 상태에서 제3부(300)의 삽입공(310)에 삽입되는 부분), 삽입홈(220), 고정부(240) 및 안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10)는 다각형의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제2부는 사각형의 홈형태로 안착부가 형성되고, 도시 방향인 사시측 방향을 기준으로 저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 7을 통해 안착부(21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수직 이외의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part 200 is an insert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0 of the third part 300 in the state of the assembly 10), an insertion groove 220, and a fixing part ( 240 and the mounting portion 210 may be included. The seat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groove. The illustrated second portion may have a seating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groove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botto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isometric side direction, which is the illustrated direction. Although the mounting portion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below, it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ther than vertical.

한편, 삽입홈(220)에는 제1부(100)의 결합부(1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0)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50)는 삽입홈(220)에 삽입되어 제1부(100) 및 제2부(20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을 통해 제2부(200) 및 제1부(100) 간의 높이방향으로 분리가 단속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부(100)의 삽입부(14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240)는 단부가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체결부(242)가 외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체결부(242)의 단부로부터 확장되는 경사면(24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T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240)에 상기 삽입부(14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40) 및 고정부(240) 간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부(100)의 탄성변형에 의해 제1부(100)의 삽입체가 넓어지므로써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부(100) 및 제2부(200) 간의 분리도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groove 22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220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150 of the first portion 100 can be inserted. The coupling part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0 so that the first part 100 and the second part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eparation may be interrupted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part 200 and the first part 100 through the coupling. In addition, the fixing part 240 to which the insertion part 140 of the first part 100 described above may be coupled may have a shape in which an end thereof is extended. The fastening part 242 extends outward and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241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extended fastening part 242.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a T-shape, the insertion portion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240. Coupling between the inserting part 140 and the fixing part 240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of the first part 100 is widen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part 100. Therefore,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portion 100 and the second portion 200 may also be made by e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개시한 예시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부(100)의 삽입체의 탄성변형이 되는 방향이, 조립체(10)가 제3부(300)와 결합될 때 요구되는 상기 삽입체의 탄성변형되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In the example disclos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insert of the first portion 100 described above is required when the assembly 10 is engaged with the third portion 300 is obtained. It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elastic de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부(300)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par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조립체(10; 제1부(100) 및 제2부(2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3부(300)로써,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접합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ssembly 10 (the first portion 100 and the second portion 200), to which the third portion 300 may be coupled, includes a bonding surface 330 that may be attached to a tooth. can do.

구체적으로, 제3부(300)는 앞서 설명한 조립체(10)의 일부가 삽입 및 관통될 수 있는 삽입공(310)이 마련되고, 조립체(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가이드를 위해 한 쌍의 가이드부(320)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320)의 상단부가 차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앞서 설명한 조립체(10)와의 결합과정에서 조립체(10)의 삽입한계점을 결정하는 제1부(100)의 스토퍼(110)와의 접촉이 발생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한계점은 스토퍼(110) 및 차단부의 내측면 간의 접촉 지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part 30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310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assembly 10 described above can be inserted and penetrated, and a guide part 320 gui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ssembly 10 is inserted. It may include.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guide portions 320 are provided for the guide, and upper ends of the pair of guide portions 3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lock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may be a portion in which contact with the stopper 110 of the first portion 100 determines the insertion limit of the assembly 10 in the process of coupling with the assembly 10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insertion limit poi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topper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부(320)의 일단부에는 제2걸림부(3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걸림부(321)는 제1부(100)에 마련된 제1걸림부(1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한계점까지 삽입된 조립체(10)는 제3부(300)의 삽입공(310)을 일부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제1걸림부(130)는 제2걸림부(3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A second catching part 321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each guide part 320. The second catching part 32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atching part 130 provided in the first part 100. The assembly 10 inserted up to the insertion limit point may be positioned to partially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310 of the third part 300. In this case, the first catching part 13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catching part 321. It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여기서 제2걸림부(321)는 조립체의 삽입방향의 단부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가이드부(320)가 마주하도록 대향하는 공간을 향해 기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길이만큼 삽입방향으로 삽입되는 조립체(10)에 의해 제1부(100)는 삽입체가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고, 조립체(10)가 삽입한계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삽입체는 탄성복원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catching part 321 may be formed at an end sid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assembly, and may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pposite space so that the pair of guide parts 320 face each other. The first portion 10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E by the assembly 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direction by the protruding length, and the inser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assembly 10 reaches the insertion limit. The sieve can be elastically restored.

즉,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탄성변형이 될 수 있는 기 결정된 외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1걸림부(130) 및 상기 제2걸림부(321)는 서로 대응되어 맞물림으로써, 조립체(10) 및 제3부(3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at is, if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that may become the elastic deformation by elastic restoration does not occur, the first catching portion 130 and the second catching portion 321 correspond to each other to engage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assembly 10 and the third The coupling state of the part 300 can be maintain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평면측 투시도이다.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도 1의 분해사시도 상태의 치아교정기가 조립이 된 상태로써, 제1부(100)의 삽입체 단부측인 제1걸림부(130) 및 핀공(120)이 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dental braces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re assembled, and the first catching part 130 and the pin hole 120, which are end portions of the insert part of the first part 100, are exposed. Can be.

상기 핀공(120)의 노출은 치아교정기의 외부로부터 제1부(100)에 외력을 통해 탄성변형을 가하기 위한 구조의 일예로써, 본 실시예와 같이 관통공의 형상인 핀공(120)일 수 있고, 상기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홈 형태의 구조가 제1부(100)의 절개된 삽입체 각각의 좌우측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exposure of the pin hole 120 is an example of a structure for applying an elastic deformation to the first portion 100 through the external force from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t may be a pin hole 120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a groove-shaped structure capable of applying the external force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positions of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of the cut inserts of the first portion 100.

또한, 도 3을 통해 설명한 고정부(240)는 제1부(100)과의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경사면(24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241)은 탄성소재의 제1부(100)과의 결합을 위해 삽입체를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사시측 도면의 수직하방으로 제1부(100)를 가압할 경우, 하방으로 경사진 상기 경사면(241)에 의해 상기 삽입체가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체가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될 수도 있으나, 상기 탄성변형을 주도 또는 도모하기 위해 경사면(24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24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241 for ease of coupling with the first part 100. The inclined surface 241 may aim to elastically deform the insert in the elastic moving direction E for coupling with the first portion 100 of the elastic material. When pressing the first portion 100 in the vertically downward direction of the perspective drawing based on the illustrated figure, the inser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E) by the inclined surface 241 inclined downward. can do. The insert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elastic movement direction E by an external force, but an inclined surface 241 may be formed to drive or promote the elastic deformation.

또한, 경사면(241)은 상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 또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곡면 또는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 중 본 예시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예를 개시하였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24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t may be provided in a flat or curved surface. It may be provided as a curved surface or a flat surface, but the present example has been disclosed an example formed of a curved surfa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측면측 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치아교정기에 포함되는 안착부(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부(300)의 저면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고, 본 예시와 같이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측 단면도에서 확인가능하듯, 안착부(210, 210A, 210B)는 측면을 관통하는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ating part 210 included in the orthodontic appliance may be provided by a groov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of the third part 30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by an angle. As can be seen in the cross-sectional side view, the mounting portion 210, 210A, 210B may be formed by a groove passing through the side.

상기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안착부(210A, 210B)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치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치아는 예를 들어 상측 전치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측 전치가 전방을 향해 뻗어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측 전치에 부착될 치아교정기에는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있는 안착부(210A, 210B)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측 전치는 일 예이며, 덧니 등의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도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안착부(210A, 210B)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가 부착될 수 있다.The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the seating portions 210A and 210B inclin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coupled to the teeth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tooth tilted at an angle may be, for example, an upper anterior tooth. In general, since the upper anterior may extend toward the front,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be attached to the upper anterior may be provided with seating portions 210A and 210B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f course, the upper transposition is an example, and a tooth brace including a seating portion 210A, 210B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attached to a tooth requiring correction such as a tooth.

여기서, 기 결정된 각도란, 앞서 설명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의해 마련되는 안착부(210)를 기준으로 양방향 45도 내외로 형성된 범위를 의미하며, 이러한 각도로 기울어진 안착부(210A, 210B)는 타 치아교정기와 함께 하나의 와이어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비틀림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을 치아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치 및 구치의 외표면 기울기에 따라 안착면(210, 210A, 210B)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치아교정기와 하나의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교정을 위해서는 비틀림에 의한 탄성도가 다양한 와이어가 단계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eans a range formed around 45 degrees in bo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ating portion 210 provided by th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bed above, and the seating portions 210A and 210B inclined at such angles are It is coupled to one wire together with another brace to transfer elasticity generated by the twisting of the wire to the tooth. For example, a plurality of braces and one wire different from the seating surfaces 210, 210A, and 210B may be coupled according to the external surface slopes of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teeth. Therefore, for orthodontic use, various wires having various elasticities due to torsion may be used step by step.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 : 조립체
100 : 제1부
110 : 스토퍼
120 : 핀공
130 : 제1걸림부
140 : 삽입부
150 : 결합부
200 : 제2부
210, 210A, 210B : 안착부
220 : 삽입홈
240 : 고정부
241 : 경사면
242 : 체결부
300 : 제3부
310 : 삽입공
320 : 가이드부
321 : 제2걸림부
330 : 접합면
340 : 차단부
E : 탄성이동방향
10: assembly
100: Part 1
110: stopper
120: pin ball
130: first catching part
140: insertion unit
150: coupling part
200: part 2
210, 210A, 210B: Seat
220: insertion groove
240: fixed part
241: slope
242: fastening part
300 Part 3
310: insertion hole
320: guide part
321: second catching part
330: joint surface
340: blocking unit
E: direction of elastic movement

Claims (15)

제1형태로부터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제1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제1부;
상기 제1부와 결합되고,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제2부; 및
상기 제2부 및 상기 제1부가 조립된 조립체가 결합되고, 치아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제3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 및 상기 제3부 간의 결합은 상기 제1부가 상기 제1형태의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부, 상기 제2부 및 상기 제3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치아교정기.
A first portion that can be modified from the first form to the second form and can be restored to the first form from the second form;
A second part coupled to the first part and provided with a seating part on which a wire may be seated; And
And a third part to which the second part and the assembly assembled with the first part are coupled, and an adhesive surface capable of being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is formed.
Coupling between the assembly and the third portion is made by maintaining the first portion in the shape of the first shape,
At least one of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omprising a metal or a ceramic, orthodontic appli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 및 상기 제3부는 삽입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부는, 삽입한계점을 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y and the third portion are joined by insertion,
The first portion, a braces comprising a stopper for determining the insertion limit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제3부에 상기 조립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핀공이 삽입방향으로 노출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
When the assembly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hird portion, the pin hole is expo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brac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조립체 및 상기 제3부 간 결합 시에, 상기 탄성에 의해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rt,
And a first catching portion for retaining the engagement by the resilience upon engagement between the assembly and the thir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제2부에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portion comprises an insert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의 상기 안착부는 다면홈으로 형성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is formed with a multi-faceted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의 상기 안착부는 사각홈 형태이고,
상기 사각홈의 깊이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형성범위 내에 형성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is in the form of a square groove,
Dental braces are formed within a 90 degree forming range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square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는,
상기 제1부의 일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rt,
Orthodontic braces, including a part of the first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는,
상기 제1부의 상기 탄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art,
And a fixing portion having an end portion extending in such a manner as to be fixe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부는,
상기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part,
Orthodontic braces are forme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부는,
상기 삽입공에 조립체가 삽입되면, 상기 제1부의 삽입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third part,
When th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portion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brac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부는,
상기 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부의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제3부 및 상기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part,
It includes a guide for guiding the insertion direction so that the assembly is inserted,
The guide unit,
And a second catching portion such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third portion and the assembly can be mainta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 및 상기 제2부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es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of the wire from the seating portion is prevented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형태 및 상기 제2형태 간의 변형 및 복원은 상기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치아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formation and restoration between the first form and the second form is made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portion.
청구항 1 내지 14 중 한 항에 기재된 치아교정기 복수 개 및 각각의 상기 치아교정기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어셈블리.A braces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ces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4 and wires connected to each said braces.
KR1020180010140A 2018-01-26 2018-01-26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1900911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40A KR20190091105A (en) 2018-01-26 2018-01-26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40A KR20190091105A (en) 2018-01-26 2018-01-26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05A true KR20190091105A (en) 2019-08-05

Family

ID=6761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40A KR20190091105A (en) 2018-01-26 2018-01-26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10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801B1 (en) 2015-02-12 2015-11-05 장상건 Tooth corr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801B1 (en) 2015-02-12 2015-11-05 장상건 Tooth corr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0757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KR102131166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sliding cover
US8246347B2 (e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JP4847449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clip
CA3018850A1 (en) Orthodontic bracket
US20130260329A1 (en) Active Self-Ligating Bracket
JP2006320726A (en) Improved orthodontic bracket
WO2005096984A2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US20130337397A1 (en) Clip-Base-Bracket Assembly Having a Base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Apparatus Comprising Same
US20130337399A1 (en) Assembly Formed by a Self-Ligating Bracket and an Elastic Clip,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US9289274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US20150173859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ligating feature
TWI638646B (en) Self-ligating bracket
US20090325119A1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851106B1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KR20190091105A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JP6950903B2 (en) Orthodontic bracket
KR101919411B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20210244508A1 (en) Method of an orthodontic treatment, use of a pearl as a holding element for an orthodontic appliance and a pearl for an orthodontic treatment
JP2022532858A (en) Orthodontic methods and devices
KR20200050190A (en)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KR101501197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KR102080210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