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09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096A
KR20190091096A KR1020180010118A KR20180010118A KR20190091096A KR 20190091096 A KR20190091096 A KR 20190091096A KR 1020180010118 A KR1020180010118 A KR 1020180010118A KR 20180010118 A KR20180010118 A KR 20180010118A KR 20190091096 A KR20190091096 A KR 20190091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information
module
failed
plane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380B1 (ko
Inventor
정문영
이기원
고영성
이준서
한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380B1/ko
Priority to US16/259,443 priority patent/US11229080B2/en
Publication of KR2019009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 중인 통신 시스템에서는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7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개선된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개발되고 있는 4G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Beyond 4G 시스템, pre-5G 시스템)에서는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과 같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평면 데이터와 제어 평면 데이터를 분리하여 폭증하고 있는 데이터를 분산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즉,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ess Network)와 코어 네트워크(Core Netowork) 모두 통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상술한 기술들의 도입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이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장애 발생에 강한 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에게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세션 식별자 및 상기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또는 Sx 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또는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 정보, UE(User Equipment) 주소 정보 및 TE(Terminal Equipment)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에게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장치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을 결정하며,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에게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세션 식별자 및 상기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또는 Sx 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또는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 정보, UE(User Equipment) 주소 정보 및 TE(Terminal Equipment)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장치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프로세서; 및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에게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의 RAN(Radio Access Network) 및 EPC(Evolved Packet Core)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 시스템의 RAN 및 CN(Core Network)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저 플레인 엔티티의 세션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저 플레인 엔티티와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 간의 장애 발생 시 세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의 세션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저 플레인 엔티티에서의 장애 발생 시의 장애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엔티티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 혹은 이를 기반으로 변형한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 단말이라 함은 UE(User Equipment)를 의미할 수 있다. UE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휴대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 TV, 타블렛,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블랙박스, 자동차에 탑재 디바이스, 자동차에 탑재된 디바이스 내의 모듈, 자동차 그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세션(Session)이란 데이터의 상호교환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플로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션이란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엔티티란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내의 구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성, 요소, 개체, 주체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으며, 기능으로 구분된 경우 펑션(Function)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엔티티로써, 게이트웨이(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AMF(Access Management Function) 등 네트워크 내의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User Plane Entity)란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면 패킷, 플로우, 트래픽 등)을 전달 및 처리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게이트웨이(User Plane Gateway: GW UP 또는 GW-U)또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Control Plane Entity)란 제어 데이터를 전달 및 처리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 는 컨트롤 플레인 게이트웨이(Control Plane Gateway: GW CP 또는 GW-C) 또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트래픽이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패킷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QoS(Quality of Service) 정책이란, 중요도에 따라 서비스 수준을 차등하여 관리하는 정책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QoS 제어 정책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또는 트래픽의 종류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송수신되는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정책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QoS 제어 정책은 QoS 요구 조건(QoS Requirement)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구 조건이 만족되도록 송수신되는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정책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QoS 제어 정책은 중요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기 위한 모든 정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LTE 및 5G 두가지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101)은 LTE 및 5G 두가지 통신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이 LTE 통신 방식을 사용할 때는 LTE 기지국인 eNodeB(102)와 연결될 수 있고, eNodeB(102)는 LTE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oed Packet Core)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이 차세대 이동 통신 방식(New Radio: NR) 통신 방식을 사용할 때는 차세대 기지국 gNodeB(103)와 연결될 수 있고, gNodeB(103)는 NR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인 5G Core(5Generation Core)와 연결될 수 있다. NR 시스템은 5G 시스템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하에서는 5G와 NR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LTE와 NR 통신 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는 시스템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일 뿐이며, 또한 NR 통신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사용자 단말 또한 LTE-NR Dual Connectivity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NR 통신 시스템과 LTE 통신 시스템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1)과 기지국(102 및 103) 간의 연결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이라 하며, 기지국(102 및 103)은 코어 네트워크(120 및 130)와 연결되며, 코어 네트워크(120 및 130) 내의 엔티티들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 인터넷 등)에 접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LTE 또는 NR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사용자 단말(101)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기지국(102 또는 103)이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102 또는 103)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 또는 빔포밍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 또는 103)은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네트워크(120 또는 130)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세션을 설립 및 관리하여 트래픽의 송수신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120 또는 130) 내의 다양한 엔티티들은 사용자 단말(101)의 이동성을 지원하거나, 세션을 설립하거나, QoS를 설정하는 등의 사용자 단말(101)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20 또는 130) 내에 포함되는 엔티티들은 이하의 도 2 및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200)의 RAN(Radio Access Network) 및 EPC(Evolved Packet Core)의 구조를 도시한다.
물론, LTE 통신 시스템(200)은 도시된 도 2의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LTE 통신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엔티티보다 더 많은 엔티티를 포함하거나, 도 2에 도시된 엔티티보다 더 적은 엔티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UE)(10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단말(101)은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임을 인증, 식별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eNodeB)(102)은 사용자 단말(101)과 코어 네트워크간의 무선 연결을 제공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1)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1)과 기지국(102)간의 연결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라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1) 및 기지국(102)의 연결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예를 들면, S-GW, P-GW 등)을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라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는 EPC(Evolved Packet Core)로 부르기도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GW(Serving Gateway)(201)는 데이터(또는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하는 엔티티로써, 유저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다. S-GW(201)는 기지국(102) 간의 또는 다른 통신 망과의 핸드오버 시의 기준점(즉, Anchor point)가 될 수 있다. 물론, S-GW(201)는 당업자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P-GW(PDN Gateway)(202)는 사용자 단말(101)과 외부 네트워크인 PDN(Packet Data Network)(203) 간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GW(202)는 사용자 단말(101)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며, S-GW(201)간의 핸드오버 시의 기준점이 될 수 있으며, QoS 제어 정책을 적용하며, 과금을 위해 사용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P-GW(202)는 당업자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GW(201) 및 P-GW(202)는 기능상 GW-C(GW CP) 및 GW-U(GW UP)로 구분될 수 있으며, GW-C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고, GW-U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PDN(203)은 인터넷망,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04)는 사용자 단말(101)을 인증하고, 베어러(Bearer)와 같은 세션을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의 연결 상태(Connectivity State)를 관리한다. 물론, MME(204)는 당업자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HSS(Home Subscriber Server)(205)는 사용자 단말(101)의 인증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엔티티로써, QoS 등급 정보(예를 들면, 우선 순위 정보, 최대 사용 가능 대역폭에 관한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HSS(205)는 당업자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LTE의 코어 네트워크인 EPC에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OCS(Online Charging System), OFCS(Offline Charging System)과 같은 엔티티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PCRF(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1)에게 적용할 과금 정책 및 QoS 정책을 결정하는 엔티티일 수 있고, SPR(미도시)은 PCRF가 결정한 과금 정책 및 QoS 정책을 저장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OCS(미도시) 및 OFCS(미도시)는 사용량 및 과금을 관리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엔티티들은 당업자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엔티티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2)간에는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102)과 S-GW(201)는 S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엔티티들 또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엔티티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 시스템(300)의 RAN 및 CN(Core Network)의 구조를 도시한다.
물론, 5G 통신 시스템(300)은 도 3의 도시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5G 통신 시스템(300)은 도 3에 도시된 엔티티보다 더 많은 엔티티를 포함하거나, 도 3에 도시된 엔티티보다 더 적은 엔티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능 별로 엔티티를 구별하여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gNodeB)(103)은 LTE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eNobeB)(102)에 대응될 수 있다. 기지국(gNodeB)(103)는 5G 통신 방식을 이용하므로, LTE와는 동일 또는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eNodeB(102)에 비해 단말에게 더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eNodeB 및 gNodeB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User Plane Function)(301)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엔티티로써, 유저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302)은 세션을 관리하는 엔티티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1)이 여러 개의 세션을 가질 경우 각 세션별로 SMF(302)가 할당될 수 있어, 사용자 단말(101)이 적어도 하나의 SMF(302) 와 연결될 수 있다.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304)는 단말의 접속 및 이동성을 관리하는 엔티티일로서, 사용자 단말(101)은 하나의 AMF(30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302) 및 AMF(304)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고, UPF(301) 및 SMF(302)는 앞선 도 2에서 설명한 GW-U 및 GW-C와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DN(Data Network)(303)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도 2의 PDN과 대응되는 개념일 수 있다. DN(303)은 사용자 단말(101)에게 전송할 PDU(Packet Data Unit)을 UPF(301)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101)가 송신한 PDU를 UPF(301)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PCF(Policy Control Function)(305)는 과금과 관련된 정책을 결정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AF(Application Function)(306)는 QoS를 보장하기 위한 패킷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307)는 사용자 단말(101)의 인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엔티티일 수 있고, UDM(Unified Data Management)(308)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5G 코어 네트워크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엔티티들은 당업자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엔티티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NodeB(103)과 UPF(301)은 NG3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UPF(301)과 SMF(302)는 NG4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엔티티들 또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301)와 같은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빠른 사용자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패킷 처리에만 집중하는 구조일 수 있고, SMF(302)와 같은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기능은 네트워크 및 단말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따라서, UPF(301)는 빠른 데이터 처리 및 비용 절감을 위해 세션 정보를 UPF(301) 내에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PF(301)는 비연결유지(Stateless) VNF(Virtual Network Function) 구조일 수 있으며, 따라서, UPF(301)는 세션 정보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UPF(301)는 SDN switch, white box switch와 같은 장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세션 정보를 전혀 저장하지 않거나 또는 세션 정보의 일부만을 캐시와 같은 저장부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다만, UPF(301)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UPF(301) 내에 세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 단말(101)에게 계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더 효율적인 세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세션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420에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 관리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션 관리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세션 관리 모듈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 내에 포함되는 제 1 세션 관리 모듈은 제 1 세션 내지 제 50 세션들을 관리할 수 있고, 제 2 세션은 제 51 세션 내지 제 100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세션 관리란 사용자 단말과 DN 간에 연결된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포워딩하는 동작 및 설립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란 정상적으로 세션을 관리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애란, 모듈의 동작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의 오류와 같은 소프트웨어적 장애나 전원 차단과 같은 물리적 장애를 모두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이유로 모듈 또는 엔티티가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세션의 관리란 세션의 유지, 생성, 갱신 등을 세션과 관련된 처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 내의 트래픽 플로우의 모니터링, 각 세션 관리 모듈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 등을 통해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특정한 방법에 제한 없이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식별되면,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 모듈로 절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VNFC(Virtual Network Function Component)의 이중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대기(Standby) 모듈이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던 세션을 관리할 수 있도록 모듈의 종료 및 재시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복수인 경우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모듈을 대체할 대체 모듈을 결정하고, 절체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션에 관한 정보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 정보, UE(User Equipment) 주소 정보 및 TE(Terminal Equipment)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션에 관한 정보는 각각 개별적일 수 있으며, 각 세션 별 QoS 정보, 과금 정보, UE 및 TE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에게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엔티티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세션 식별자 및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또는 Sx 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시지의 이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 정보를 한번에 수신할 수도 있고, 세션 별로 각각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또는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도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시지의 이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될 수 있다.
단계 480에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체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던 세션들을 대체 모듈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가 발생한 모듈은 복구 이후 대기(Standby) 모듈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3GPP 표준 내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의 복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새롭게 세션을 생성하는 것에 비해 빠른 서비스의 재개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TE 통신 서비스 및 5G 통신 서비스 둘 모두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지역 별로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식(Geo redundancy)및 모듈별로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식(VNF redundancy)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저 플레인 엔티티와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 간의 장애 발생 시 세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시스템(500)에서는 도 3의 5G 통신 시스템(300)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301)은 제 1 세션 관리 모듈(501), 제 2 세션 관리 모듈(502) 및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세션 관리 모듈 내지 제 3 세션 관리 모듈(501 내지 503)은 캐시(Cach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세션 관리 모듈 내지 제 3 세션 관리 모듈(501 내지 503)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UPF(301) 내에 포함되는 모듈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301)는 OAM(Operations,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모듈 및 LB(Load Balancing)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AM 모듈 및 LB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OAM은 UPF(301)의 운용 및 관리를 위한 모듈일 수 있다. 또한 LB는 UPF(301) 내의 제 1 세션 관리 모듈 내지 제 3 세션 관리 모듈(501 내지 503)과 같은 복수의 모듈에 대한 부하를 조절하는 모듈일 수 있다. OAM 및 LB는 당업자가 그 명칭으로부터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302)는 복수의 세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504)를 포함할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4)는 제 1 세션 정보(505), 제 2 세션 정보(506), 제 3 세션 정보(507) 및 제 4 세션 정보(508)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베이스(504)에 저장되는 세션 정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504)는 UPF(301) 내의 각 모듈 별로 세션 정보를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504)는 제 1 세션 관리 모듈(501)이 관리하는 세션의 세션 정보가 제 1 세션 정보(505) 및 제 2 세션 정보(506)이고, 제 2 세션 관리 모듈(502)이 관리하는 세션의 세션 정보가 제 3 세션 정보(507) 및 제 4 세션 정보(508)라 가정하면 제 1 세션 정보(505) 및 제 2 세션 정보(506)와 제 3 세션 정보(507) 및 제 4 세션 정보(508)를 각각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베이스(504)는 Fully Qualified Connection Set Identifier (FQ-CSID)와 같은 각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들을 구분하는 ID에 기초하여 세션 정보를 그룹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504)에 세션 정보가 저장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내지 도 10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의 UPF(301) 및 SMF(302)로 도시하였으나, UPF(301)의 동작은 GW-U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며, SMF(302)의 동작은 GW-C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UPF(301) 및 GW-U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고, SMF(302) 및 GW-C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301)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UPF(301)는 장애가 발생했음을 감지하고,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제 1 세션 관리 모듈(501)임을 식별할 수 있다.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한 UPF(301)는 대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이 대체 모듈로 결정될 수 있다.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 대기(Standby) 모듈일 수 있다. 대기 모듈이란 보조의 모듈로서 세션 관리를 하지 않거나 또는 부하가 적은 모듈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301)의 OAM 또는 LB가 대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대체 모듈이 결정되면, UPF(301)는 제 1 세션 관리 모듈(501)을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로 대체(절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UPF(301)는 대체 모듈을 결정한 후, SMF(302)에게 세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PF(301)는 제 1 세션 관리 모듈(501)이 관리하는 세션에 관한 세션 정보를 SMF(302)에게 요청할 수 있다.
요청 시, UPF(301)는 세션 식별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PF(301)는 제 1 세션 관리 모듈(501)이 관리하던 세션 정보를 FQ-CSID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션 정보의 요청은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301)는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PF(301)는 세션 정보를 요청할 때.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의 주소 정보로 설정하여 송신함으로써, SMF(302)로부터 수신되는 세션 정보를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로 수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MF(302)는 UPF(301)로부터 수신한 세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504)를 검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302)는 UPF(301)로부터 수신한 세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302)는 UPF(301)로부터 수신한 FQ-CSID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504)를 검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302)는 데이터베이스(504) 내에 UPF(301)가 요청한 세션 정보가 저장된 경우, 장애 복구를 위한 절차임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4) 내에 UPF(301)가 요청한 세션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SMF(302)는 신규 세션 설정 절차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302)는 데이터베이스(504) 내에 UPF(301)가 요청한 세션 정보가 저장된 경우, 수신된 요청을 Session restoration trigger message라 판단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504) 내에 UPF(301)가 요청한 세션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요청을 신규 N4 setup request message라 판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SMF(302)는 UPF(301)가 요청한 세션 정보를 UPF(3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302)는 대체 모듈인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에게 도 7에서 요청받은 세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302)는 각 세션 별로 세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302)는 세션 별로 Create session request message를 통해 세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물론 SMF(302)는 세션 별로 세션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한꺼번에 세션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UPF(301)는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을 통해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UPF(301)는 SMF(302)로부터 수신한 세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세션 관리 모듈(503)이 제 1 세션 관리 모듈(501)이 관리하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내지 도 10의 세션 관리 방법 UPF(301) 내의 특정 세션 관리 모듈의 장애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체 UPF(301)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의 세션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1120에서,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세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식별자인 FQ-CSID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를 통해 세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140에서,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단계 1120에서 요청 받은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세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FQ-CSID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단계 1120에서 요청받은 요청한 세션 정보가 저장된 경우, 장애 복구를 위한 절차임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내에 유저 플레인 엔티티가 요청한 세션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신규 세션 설정 절차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플레인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단계 1120에서 요청받은 세션 정보가 저장된 경우, 수신된 요청을 session restoration trigger message라 판단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내에 단계 1120에서 요청받은 세션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수신된 요청을 신규 N4 setup request message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160에서,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장애가 발생한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에게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각 세션 별로 세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세션 별로 Create session request message를 통해 세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는 세션 별로 세션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한꺼번에 세션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유저 플레인 엔티티에서의 장애 발생 시의 장애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2 내지 도 13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의 UPF(301) 및 SMF(302), AMF(304)로 도시하였으나, UPF(301)의 동작은 GW-U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으며, SMF(302)의 동작은 GW-C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고, AMF(304)는 MME의 동작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UPF(301) 및 GW-U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고, SMF(302), GW-C, AMF(304) 및 MME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일 수 있다.
도 12는 장애 발생 시 세션을 새롭게 설정하는 장애 복구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단계 1201에서, UPF(301)는 장애가 발생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UPF(301)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고,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대응된다.
단계 1203에서, UPF(301)는 일부 또는 전부의 세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PF(301)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단계 1205에서, UPF(301)는 SMF(302)에게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UPF(301)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을 식별할 수 있는 세션 식별자(예를 들면, FQ-CSID)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PF(301)는 SMF(302)에게 delete PDN connection set request message를 이용하여 세션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207에서, SMF(302)는 세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SMF(302)는 단계 1205에서 요청받은 세션 식별자에 기초하여 세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할 수 있다.
단계 1209에서, SMF(302)는 AMF(304)에게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302)는 AMF(304)에게 delete PDN connection set request message를 이용하여 세션 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211에서, AMF(304)는 세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단계 1213에서, 사용자 단말(101)는 세션 설립을 요청할 수 있다. 장애를 복구하기 위해서, UPF(301), SMF(302) 및 AMF(304)에서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던 세션 정보를 모두 삭제할 수 있으며, UPF(301), SMF(302) 및 AMF(304)에 저장되어 있던 세션 정보를 삭제하였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1)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새롭게 세션 설립을 요청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1)는 UPF(301), SMF(302) 또는 AMF(304) 중 적어도 하나에게 session establishment message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UPF(301)는 세션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stateless VNF일 수 있어, 세션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복구하기 위해서는 SMF(302)와 같은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세션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참고로, 3GPP 23.007 에서 CUPS (Control/User Plane Separation) 구조에서는 게이트웨이의 일부 장애 발생 시 세션 복원에 대해서는 기존의 session 정보를 네트워크에서 지우고 새롭게 설정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UE IP 를 비롯한 모든 세션 관련 정보를 새롭게 받아야 하므로 서비스 재개까지 복구 시간이 오래 걸리며 UDM(HSS), PCF (PCRF) 등 많은 엔티티들과의 많은 시그널링이 필요하므로, 네트워크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은 앞서 설명한 장애 발생 시 세션 정보를 삭제하지 않는 장애 복구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이다.
단계 1301에서, UPF(301)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고,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세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대응된다.
단계 1303에서, UPF(301)는 대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PF(301) 내의 대기 상태의 모듈을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305에서, UPF(301)는 SMF(302)에게 세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PF(301)는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를 통해 SMF(302)에게 세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LTE 통신 방식에서는 GW-U가 Sx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ge를 통해 GW-C에게 세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또는 Sx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ge는 세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세션 식별자는 CSID 또는 FQ-CSID일 수 있다. CSID 및 FQ-CSID는 앞서 설명한 바와 대응될 수 있다.
단계 1307에서, SMF(302)는, UPF(301)로부터 수신한 세션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504)를 검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SMF(302)는 UPF(301)로부터 수신한 세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세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302)는 UPF(301)로부터 수신한 FQ-CSID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504)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1309에서, SMF(302)는 UPF(301)에게 세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MF(302)는 Create Session request message 를 이용하여 UPF(301)에게 세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LTE 통신 방식에서는 GW-C가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를 통해 GW-U에게 세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와 비교할 때 도 13의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 단말(101)는 새롭게 세션을 설립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애가 발생한 모듈의 세션 정보에 대해서 UPF(GW-U)(301)와 SMF(GW-C)(302) 간의 시그널링을 통해 장애를 복구하므로, 시간이 적게 소요되며, 시그널링 횟수 또한 줄어들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엔티티(1400)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엔티티들은 송수신부(1410), 메모리(1420) 및 프로세서(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원발명의 유저 플레인 엔티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를 포함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4G 및 5G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엔티티들은 모두 도 14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엔티티(1400)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14에 비해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엔티티(1400)의 구성요소인 송수신부(1410), 메모리(1420) 및 프로세서(1430)는 하나의 칩(chip) 또는 카드(Card)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410)는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사용자 단말, 기지국 또는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410)는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송신하고, 요청에 기초하여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410)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송수신부(1410)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또는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410)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410)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에게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420)는 프로세서(1430) 및 송수신부(141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20)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4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30)는 통상적으로 엔티티(1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30)는 엔티티(14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엔티티(1400)이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30)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30)는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을 결정할 수 있고, 송수신부(1410)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체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30)는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엔티티(14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다른 동작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응되므로 그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에게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세션 식별자 및 상기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또는 Sx 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내에 포함되는 것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수신하는 것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또는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 정보, UE(User Equipment) 주소 정보 및 TE(Terminal Equipment)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에게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송신하는 것인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는 복수의 세션 관리 모듈 중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세션 관리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을 결정하며, 상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체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에게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세션 식별자 및 상기 대체 모듈의 주소 정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은,
    N4 As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또는 Sx sociation setup request message 내에 포함되는 것인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컨트롤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세션 별로 수신하는 것인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PDU(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또는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관한 정보는,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과금 정보, UE(User Equipment) 주소 정보 및 TE(Terminal Equipment)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프로세서; 및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부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이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로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유저 플레인 엔티티의 상기 장애가 발생한 모듈을 대체하는 대체 모듈에게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0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10118A 2018-01-26 2018-01-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18A KR102499380B1 (ko) 2018-01-26 2018-01-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6/259,443 US11229080B2 (en) 2018-01-26 2019-01-28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18A KR102499380B1 (ko) 2018-01-26 2018-01-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96A true KR20190091096A (ko) 2019-08-05
KR102499380B1 KR102499380B1 (ko) 2023-02-13

Family

ID=6739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18A KR102499380B1 (ko) 2018-01-26 2018-01-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29080B2 (ko)
KR (1) KR102499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226B1 (ko) * 2020-08-04 2022-0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세션 관리 장치의 장애 발생 시의 서비스 복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4388A1 (en) * 2020-03-02 2021-09-10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of commun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5881A1 (en) * 2002-06-13 2004-05-20 Borella Michael S. System and method for point-to-point protocol device redundancey
KR20050008822A (ko) * 2002-06-13 2005-01-21 유티스타컴, 인코포레이티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로드 밸런싱 및 장애 허용성을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2523797A (ja) * 2009-04-13 2012-10-04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ッション状態を回復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160045635A (ko) * 2013-05-21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용 논리 채널을 이용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0481B2 (en) 2015-05-19 2018-10-23 Cisco Technology, Inc. Virtual network functions with high availability in public clouds
CN108738149B (zh) * 2017-04-21 2022-05-17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处理共同搜寻空间的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5881A1 (en) * 2002-06-13 2004-05-20 Borella Michael S. System and method for point-to-point protocol device redundancey
KR20050008822A (ko) * 2002-06-13 2005-01-21 유티스타컴, 인코포레이티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로드 밸런싱 및 장애 허용성을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2523797A (ja) * 2009-04-13 2012-10-04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ッション状態を回復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160045635A (ko) * 2013-05-21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용 논리 채널을 이용한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226B1 (ko) * 2020-08-04 2022-01-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세션 관리 장치의 장애 발생 시의 서비스 복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9270A1 (en) 2019-08-01
KR102499380B1 (ko) 2023-02-13
US11229080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3766B1 (en) Roaming support for next generation slice architecture
WO2018045877A1 (zh) 网络切片控制方法及相关设备
EP35890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tate of session according to posi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34685A (ko) 통신 시스템에서 PDU(Protocol Data Unit) 세션을 설립하는 방법
EP3236617A1 (en) Method for an improved processing of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t least one user equipment by means of realizing, within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4651523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管理网络切片的方法和装置
WO2021031592A1 (zh) 用户面功能实体信息的上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10054923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rfsp 인덱스 선택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 정보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902794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服务的方法和装置
CN115399066A (zh) 无线通信系统中传输网桥管理信息的装置和方法
US1122908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510945A (zh) 一种上报终端能力的方法及装置
EP423167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412636B (zh) 支持对dn授权的pdu会话进行重新认证并根据dn授权数据的改变管理pdu会话的方法和装置
US202301324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dge computing service for roaming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555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프로세싱을 위한 트래픽 스티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413355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ulticast transmission
US10349387B2 (en) Enhanced and/or adaptive communication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t least one secondary communication device via or using a primary communication device
EP41354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lice interworking
KR2021005496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86930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建立用于与局域网通信的会话的方法、装置和系统
US202301164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ssion breakout of home routed session in visited plm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237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for device identification, addition and/or change
WO2023141877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erforming network slice replacement during mobility
WO2023179471A1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