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669A -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 Google Patents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669A
KR20190090669A KR1020180033540A KR20180033540A KR20190090669A KR 20190090669 A KR20190090669 A KR 20190090669A KR 1020180033540 A KR1020180033540 A KR 1020180033540A KR 20180033540 A KR20180033540 A KR 20180033540A KR 20190090669 A KR20190090669 A KR 20190090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toothbrush
teeth
lengt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인
박명희
최관락
Original Assignee
오세인
최관락
박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인, 최관락, 박명희 filed Critical 오세인
Priority to US16/964,57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100347A1/en
Priority to CN201980009814.2A priority patent/CN111655072A/zh
Priority to PCT/KR2019/000820 priority patent/WO2019146973A1/ko
Publication of KR2019009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치실이 필요없도록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이 개시된다. 상기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1 칫솔모들에 의해 치아가 쓸어지도록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다.

Description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TOOTHBRUSH INCLUDING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본 발명은 길이가 다른 칫소모들을 가지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의 칫솔모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를 가진다. 이 경우, 양치시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어느 정도는 제거할 수 있으나, 치아 사이에 꽉 낀 이물질 등은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즉,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기가 힘들다.
또한, 상기 칫솔은 내측의 칫솔모가 외측의 칫솔모의 동작을 방해하므로, 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에 생기는 치석을 제거할 수가 없어서 풍치가 생길 확률이 높다.
결과적으로, 치실 등을 별도로 사용하여야 했고, 양치를 하더라도 충치 예방이 어려웠으며, 따라서 충치로 인하여 고가의 치과 치료를 자주 받아야만 한다.
게다가, 양치 후 이물질 및 치약이 칫솔모들 사이에 끼는 경우가 많으며, 칫솔을 물로 씻더라도 이러한 이물질 및 치약이 잘 제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칫솔이 오염되게 되며, 따라서 오염된 칫솔을 사용함에 따라 잇몸 등이 상할 수 있었다.
KR 10-2017-0082725 A
본 발명은 치실이 필요없도록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1 칫솔모들에 의해 치아가 쓸어지도록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되는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는 30도 이상 휘어진 상태로 치아를 쓰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휘어진 칫솔모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으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의 내부 공간에는 어떠한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칫솔모를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치시 상기 제 2 칫솔모가 치아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안쪽을 양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제 2 칫솔모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서남북 방향에서 상기 제 1 칫솔모의 이웃에 상기 제 1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의 제 2 칫솔모 또는 빈 공간이 존재하며, 상기 제 2 칫솔모 또는 상기 빈 공간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칫솔모가 치아를 쓸거나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칫솔모들을 포함하는 칫솔 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를 감싸서 상기 치아의 앞뒷면을 한번에 양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1 칫솔모들에 의해 치아가 쓸어지도록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되는 칫솔모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는 30도 이상 휘어진 상태로 치아를 쓰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휘어진 칫솔모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으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칫솔모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칫솔모들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내부 공간에는 어떠한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칫솔모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치시 상기 제 2 칫솔모가 치아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안쪽을 양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제 2 칫솔모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서남북 방향에서 상기 제 1 칫솔모의 이웃에 상기 제 1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의 제 2 칫솔모 또는 빈 공간이 존재하며, 상기 제 2 칫솔모 또는 상기 빈 공간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칫솔모가 치아를 쓸거나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칫솔모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를 감싸서 상기 치아의 앞뒷면을 한번에 양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제조 방법은 칫솔 헤드의 지지부 상에 제 3 칫솔모들을 심는 단계; 상기 심은 제 3 칫솔모들을 절단하여 제 2 칫솔모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칫솔모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지지부 상에 심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칫솔모는 상기 제 1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상기 칫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제 2 칫솔모의 길이가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이며, 그 결과 양치시 상기 제 1 칫솔모가 실질적으로 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치시 상기 제 1 칫솔모가 휘어지고, 그런 후 휘어진 힘을 가지고 제 1 칫솔모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 사이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양치를 하면 치아에 이물질이 남지 않으며, 따라서 효율적인 충치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칫솔모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 1 칫솔모가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석이 생기지 않아서 풍치가 예방되고, 그 결과 잇몸이 튼튼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 2 칫솔모들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양치후 칫솔모들 사이에 삽입된 이물질 및 치약을 용이하게 잘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칫솔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A 부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칫솔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칫솔모의 모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칫솔대는 생략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모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실이 필요없고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며 풍치를 예방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실이 필요없다고 광고하는 기존 칫솔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어느 정도 제거하기는 하나 양치 후에도 치아 사이에 이물질이 남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치아 사이에 삽입된 이물질을 거의 제거할 수 없다.
또한, 칫솔모들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 제거시 주변 칫솔모들로 인하여 칫솔모가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을 제대로 제거할 수가 없다. 결과적으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석이 생겨서 풍치가 발생하며, 그 결과 잇몸이 약해지게 된다.
게다가, 양치한 후 칫솔을 물로 세척할지라도, 칫솔모들 사이로 침투한 이물질 및 치약이 거의 제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칫솔 자체가 오염되기 쉬워서 칫솔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치아 및 잇몸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칫솔은 실질적으로 쓸어질 수 있는 칫솔모를 가지며, 그 결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칫솔은 치아 사이에 강하게 낀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실이 필요없다.
또한, 내측의 칫솔모의 길이가 최외각 칫솔모의 길이보다 상당히 짧기 때문에, 최외각 칫솔모가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을 제거할 때 내측의 칫솔모가 방해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최외각 칫솔모를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을 잘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석이 생기지 않아서 풍치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최외각 칫솔모가 쓸어지기 때문에 잇몸에 걸쳐서 양치를 하더라도 잇몸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양치 후 칫솔 자체를 씻으면, 일부 칫솔모의 길이가 상당히 짧아서 칫솔모들 사이로 침투한 이물질 및 치약이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며, 칫솔 자체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A 부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칫솔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100) 및 칫솔 헤드(102)를 포함한다. 칫솔대(100)의 형상은 도 1의 구조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기존의 칫솔대를 채용할 수도 있다.
칫솔 헤드(102)는 지지부(110), 제 1 칫솔모들(120) 및 제 2 칫솔모들(122)을 포함한다.
제 1 칫솔모들(120)은 예를 들어 타원 형상을 가지고 지지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칫솔모들(120)은 지지부(110)의 홀들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칫솔모들(120)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일반 칫솔의 칫솔모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칫솔모들(122)은 제 1 칫솔모들(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칫솔모들이며, 일반 칫솔의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칫솔에서, 내부 칫솔모인 제 2 칫솔모들(122)은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칫솔모들(120)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제 2 칫솔모들(122)의 길이를 제 1 칫솔모들(1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양치시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칫솔모들(120)이 실질적으로 쓸어지면서 치아를 닦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는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약 7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고, 최적으로는 42% 이하일 수 있다.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를 초과하면, 양치시 제 1 칫솔모(120)가 쓸어지더라도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이는 제 1 칫솔모(120)가 충분한 힘을 가지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릴 수 없고 제 1 칫솔모(120)가 치아 사이의 공간으로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약 70% 내지 50%일 때에는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약 50% 이하일 때에 비하여 쓸어지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파고드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나,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를 초과할 때에 비하여 효과가 높으며, 충분한 정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를 초과하면, 칫솔모가 치아를 쓸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파고드는 효과가 실질적으로 미미하다. 즉, 칫솔모들이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약간의 길이 차이를 가지는 칫솔은 실질적으로 쓸어지도록 동작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가 없으며, 특히 강하게 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거의 제거하기가 불가능하다.
반면에, 제 2 칫솔모(122)의 길이(h2)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h1)의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면, 양치시 제 1 칫솔모(120)가 충분히 쓸면서 치아를 닦아나가며, 그 결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치시 제 2 칫솔모들(122)이 치아 표면에 의해 지지되며, 제 2 칫솔모들(122)이 치아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길이가 긴 제 1 칫솔모들(120)이 치아를 쓸게 된다. 결과적으로, 휘어진 제 1 칫솔모(120)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충분한 힘을 가지고 때리게 되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칫솔의 동작은 칫솔의 구조를 더 살펴본 후 상술하겠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칫솔모(120)와 제 2 칫솔모(122)는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제 1 칫솔모(120)의 쓰는 효과와 제 2 칫솔모(122)의 지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 1 칫솔모(120)는 부드러운 솔들 또는 극세사 솔들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제 2 칫솔모(122)는 제 1 칫솔모(120)보다 강한 솔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2 칫솔모(122)의 강도가 제 1 칫솔모(120)의 강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쓰는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제 1 칫솔모(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삼각형 형태로 된 제 1 솔들(300) 및 제 1 솔(300)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제 2 솔들(302)로 이루어진 이중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칫솔모(122)는 제 1 칫솔모(120)의 제 1 솔(300)의 길이의 약 42%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솔(302)의 길이의 약 5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솔(300)은 1.2㎝이고, 제 2 솔(302)은 1㎝이며, 제 2 칫솔모(120)는 0.5㎝일 수 있다.
칫솔모들의 전체적인 배열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102)의 폭 방향으로 최대 5개 이상의 칫솔모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일반 칫솔의 경우 세로로 4개의 칫솔모들이 배열된다. 이렇게 기존 칫솔보다 1개 이상의 칫솔모를 더 배열하는 것은 제 2 칫솔모들(122)의 공간이 넓어지면 제 1 칫솔모들(120)의 쓰는 효과가 더 높아지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을 제거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위에서는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122)의 길이만을 길게 형성하였으나 최외각 바로 안쪽의 칫솔모들의 길이도 길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쓰는 효과가 있긴 하나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치아 사이의 이물질 제거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외각의 칫솔모들을 짧게 하고 내측의 칫솔모들을 작은 길이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쓸어지는 칫솔모들의 면적이 작아지면서 최외각 칫솔모들을 길게 하였을 때에 비하여 이물질 제거 효과가 떨어지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의 제거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칫솔 헤드(102)의 폭 방향으로 최대 5개의 이상의 칫솔모들을 배열하면서, 내부의 제 2 칫솔모들(122)의 길이를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120)의 길이의 50% 이하로 구현하는 것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의 제 2 칫솔모들은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되, 외각, 특히 최외각에는 제 1 칫솔모들 외에도 제 3 칫솔모들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의 70% 이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최외각에는 길이가 다른 제 1 칫솔모와 제 3 칫솔모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칫솔모들의 쓰는 효과가 더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칫솔모는 상기 제 2 칫솔모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에서는, 긴 칫솔모들 내측 또는 외측에 짧은 칫솔모들이 배열되며, 쓰는 효과를 위하여 짧은 칫솔모의 길이는 긴 칫솔모의 길이의 약 70% 이하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쓰는 효과를 위하여 긴 칫솔모에 이웃하는 칫솔모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긴 칫솔모를 기준으로 동서남북 방향의 이웃하는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긴 칫솔모에 이웃하는 칫솔모가 긴 칫솔모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한, 칫솔모들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는, 긴 칫솔모들 사이에 짧은 칫솔모가 배열되지 않고 빈 공간이 배열될 수 있다. 즉, 짧은 칫솔모를 빈 공간이 대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쓰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양치시의 칫솔의 동작을 살펴보겠다.
기존 칫솔을 이용하는 경우, 양치시 칫솔모들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인다. 즉, 내측의 칫솔모들로 인하여 칫솔모들이 치아를 쓸거나 치아 사이의 공간으로 거의 삽입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칫솔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잘 제거할 수가 없었다. 특히, 상기 칫솔은 치아 사이에 꽉 낀 이물질을 거의 제거할 수가 없다. 전체적으로 볼 때, 기존 칫솔은 단순 평면만을 닦을 수 있을 뿐이어서 복잡하고 요철 굴곡이 심한 치아를 양치하는데는 부적합하다.
또한, 기존 칫솔은 도 5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공간(510)으로 칫솔모가 삽입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기존 칫솔은 치아와 잇몸 사이를 양치할 수 없다.
반면에, 본 발명의 칫솔의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치시 길이가 짧은 제 2 칫솔모들(122)은 치아(500)에 의해 지지되며, 제 1 칫솔모들(120)이 휘어지면서 치아(500)를 쓸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양치시 휘어졌던 제 1 칫솔모(120a)가 칫솔의 이동에 따라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제 1 칫솔모(120b)가 치아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이 치아의 외측으로 배출되거나 내측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즉, 본 발명의 칫솔은 복잡하고 요철 굴곡이 심한 치아를 양치하는데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칫솔모(122)의 길이가 제 1 칫솔모(120)의 길이의 70% 이하이므로, 제 1 칫솔모(120)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게 되고, 특히 30도 이상(α), 예를 들어 70도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제 1 칫솔모들(120) 중 적어도 하나는 양치시 30도 이상 휘어지며, 그 결과 제 1 칫솔모들(120)은 칫솔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휘어진 힘을 가지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게 된다. 칫솔모들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길이를 가졌던 기존의 칫솔들에서는 불가능한 구조이다.
한편, 제 2 칫솔모(122)에 비하여 제 1 칫솔모(120)의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양치시 제 2 칫솔모(122)가 제 1 칫솔모(120)의 쓰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 1 칫솔모들(120)에 의해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510)의 치석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칫솔모(120)가 휘어지면서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510)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510)의 치석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제 1 칫솔모들(120)에 의해 양치가 집중되는 영역(C)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510)이다. 따라서,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510)의 치석을 잘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풍치가 예방될 수 있다.
특히, 제 1 칫솔모(120)가 잇몸 영역(C)에 직접적으로 닿더라도 양치시 제 1 칫솔모(120)가 휘어지므로 잇몸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양치를 하더라도 핏물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종래의 칫솔에서는 칫솔모들이 휘어지지 못한 채로 잇몸에 닿으므로 잇몸에 상처를 주기 쉬웠으며, 그 결과 양치시 핏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120)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치아 사이 공간 중 공간이 작은 잇몸(502) 근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치시 최외각의 제 1 칫솔모들(120)이 잇몸(502) 부근에서 이동할 가능성이 높고 제 1 칫솔모들(120)이 강한 힘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 사이로 삽입되게 되므로, 잇몸(502) 근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잇몸(502) 근처의 이물질 제거 효율이 탁월하다.
가로 방향 양치와 세로 방향 양치로 구분하면, 가로 방향 양치의 경우에는 제 1 칫솔모들(120)이 휘어졌다가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와 잇몸(502) 사이 공간으로 파고드는 현상이 더 많이 발생하므로 치아와 잇몸(502) 사이의 공간의 이물질 또는 치아 사이 공간 중 잇몸(502) 근처 공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반면에, 세로 방향 양치의 경우에는 제 1 칫솔모들(120)이 치아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현상이 더 많이 발생하므로 잇몸(502) 근처 외의 다른 치아 공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탁월하다. 따라서, 가로 방향 양치 및 세로 방향 양치를 수행하면, 잇몸 근처를 포함한 치아 사이 공간 전체에 걸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치실이 전혀 필요없다.
한편, 기존 칫솔로는 칫솔모들을 치아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여 치아(500)에 삽입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칫솔에서는 제 2 칫솔모들(122)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제 1 칫솔모들(120)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상단에서 치아(500)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여 치아(50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 1 칫솔모들(120)이 치아를 감싸게 된다. 물론, 제 1 칫솔모들(120)이 어느 정도 진입하면 제 2 칫솔모들(122)이 치아 상단에 의해 진입이 막히게 되므로, 제 1 칫솔모들(120)이 더 이상 진입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제 1 칫솔모들(120)을 치아(500) 상단으로부터 치아(500)로 삽입한 후 가로 방향 양치를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아(500) 외측면 및 내측면을 한번에 양치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양치 효과는 아랫니뿐만 아니라 윗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양치 방법은 기존 칫솔에서는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은 치아들(500) 중 가장 안쪽의 치아(500a, 예를 들어 어금니)를 양치할 수 있다. 기존 칫솔의 경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들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안쪽의 치아(500a)를 양치할 수가 없다. 반면에, 본 발명의 칫솔은 제 1 칫솔모(120)가 제 2 칫솔모(122)에 비하여 상당히 길기 때문에,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칫솔모(120)가 가장 안쪽의 치아(500a)를 양치할 수가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칫솔은 가로 방향 양치, 세로 방향 양치, 치아(500)에 제 1 칫솔모들(120)을 삽입한 상태로 치아(500)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한번에 닦는 양치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세가지 양치를 통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치아(500)와 잇몸(502) 사이의 치석 제거 효율이 탁월하며, 가장 안쪽의 치아(500a)의 내측면 또한 양치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충치는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일반 칫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물질이 치아에 남고 칫솔 자체가 오염원으로 동작하므로, 충치 발생 확률이 높다. 따라서, 양치를 많이 하더라도 충치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고가의 치과 치료를 받아야만 하며, 그 결과 치과 치료 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다.
반면에, 본 발명의 칫솔을 사용하면 이물질이 거의 완벽히 제거되기 때문에, 충치가 발생할 확률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즉, 양치만 잘해도 충치를 방지할 수가 있어서 치과 치료 횟수가 적어지고 치과 치료로 인한 비용이 상당히 절감되게 된다.
한편, 위에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칫솔 헤드와 칫솔대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칫솔 헤드만 교체하여 칫솔을 사용할 수 있다.
칫솔 세척을 살펴보면, 제 1 칫솔모(120) 내측의 제 2 칫솔모(122)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양치 후 이물질 및 치약이 제 2 칫솔모들(122) 위에 놓이더라도 물로 용이하게 이물질 및 치약을 제거할 수가 있다. 즉, 양치하더라도 칫솔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의 칫솔은, 세척하더라도 칫솔모들 사이에 이물질 및 치약이 많이 남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 및 치약이 잘 제거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당히 비위생적이고 잇몸을 상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칫솔모의 모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칫솔모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제 2 칫솔모들(122a, 122b 및 122c)은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곡선(C)을 형성하도록 제 2 칫솔모들(122a, 122b 및 122c)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선(C)의 곡률은 치아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치시 제 2 칫솔모들이 치아를 더 밀착하여 감쌀 수 있다.
한편, 제 2 칫솔모들(122a, 122b 및 122c) 중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제 2 칫솔모(122a)의 길이가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800), 지지부(810) 및 칫솔모들(8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칫솔은 전동 칫솔일 수 있으며, 지지부(810)와 칫솔대(800)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칫솔대(800)의 상단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지지부(810)의 일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칫솔대(800)와 지지부(810)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모터에 의해 지지부(810)가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부(810)가 전동 방식이 아니더라도 수동으로 칫솔대(8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법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어느 기술이든 적용 가능하다.
칫솔모들(8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칫솔모들(820)은 일반 전동 칫솔의 최외각 칫솔모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외각 칫솔모들 내부에 다른 칫솔모들이 존재하는 일반 전동 칫솔과 달리, 본 실시예의 칫솔에서는 칫솔모들(820)의 내측 공간(e)에는 어떤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것은 양치시 지지부(81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므로, 내부에 칫솔모들이 없더라도 양호한 양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지부(810)가 회전하는 칫솔도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칫솔모들(820)이 치아를 쓸게 된다. 특히, 칫솔모들(820)이 상당히 휘어지고 휘어진 힘으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 사이로 삽입되어 이물질을 밀어내므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외각 칫솔모와 내부 칫솔모의 비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예를 들어 전동 칫솔로서, 칫솔대(900), 지지부(910), 제 1 칫솔모들(920) 및 제 2 칫솔모들(922)을 포함한다.
제 1 칫솔모들(920)은 최외각 칫솔모들이고, 제 2 칫솔모들(922)은 제 1 칫솔모들(920) 내측의 칫솔모들이다.
제 2 치솔모(922)의 길이(h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칫솔모(920)의 길이(h3)의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일 수 있다.
칫솔의 동작 및 효과는 위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칫솔대는 생략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지지부(1110), 제 1 칫솔모들(1120) 및 제 2 칫솔모들(1122)를 포함한다.
제 1 칫솔모들(1120)은 긴 칫솔모로서 지지부(1110)의 외측에 배열된다. 여기서, 제 1 칫솔모들(1120)의 내부 공간에는 어떠한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칫솔모들(1120)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칫솔모들(1120) 사이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122)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칫솔모(1122)는 제 1 칫솔모(1120)의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칫솔모들(1120)과 제 2 칫솔모들(1122)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제 1 칫솔모들과 1개의 제 2 칫솔모가 교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즉,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와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가 교대로 배열되는 한, 칫솔모들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 지지부(1210), 제 1 칫솔모들(1220), 제 2 칫솔모들(1222) 및 제 3 칫솔모들(1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칫솔모들(1220)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면서 배열되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칫솔모들(1222)은 제 1 칫솔모들(1220) 내측에 배열되며, 제 1 칫솔모(1220)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3 칫솔모들(1224)은 제 1 칫솔모들(1220)과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칫솔모들(1220)과 교대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칫솔모(1220)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들(1220)의 내측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222)이 배열되고, 긴 제 1 칫솔모(1220)와 짧은 길이의 제 3 칫솔모(1224)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형성하면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칫솔은 칫솔대, 지지부(1310), 제 1 칫솔모들(1320) 및 제 2 칫솔모들(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칫솔모들(1320)은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면서 배열되며,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칫솔모들(1322)은 제 1 칫솔모들(1320) 내측에 배열되며, 제 1 칫솔모(1320)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칫솔모들과 교대로 짧은 길이의 제 3 칫솔모들이 교대로 배열되었던 도 12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칫솔모 대신 빈 공간이 형성되며, 즉 제 1 칫솔모(1320)와 빈 공간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빈 공간에 해당하는 종 방향 가상의 라인 상에는 제 2 칫솔모(1322)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모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도 1의 구조로서,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들(120) 내부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22)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들(1420) 내부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1422)이 존재하고, 제 2 칫솔모들(1422)의 내부에 빈 공간(1430)이 존재할 수 있다.
폭 방향 가상의 라인 관점에서 보면, 예를 들어 BL5 및 BL6를 보면,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1420),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1422) 및 빈 공간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긴 길이의 제 1 칫솔모,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 및 빈 공간이 적절히 배열되어 양치시 제 1 칫솔모가 실질적으로 치아를 쓸고 치사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를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공정을 살펴보면,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을 직접적으로 지지부의 홀에 심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칫솔 제조 방법은 지지부에 제 2 칫솔모들에 해당하는 홀에 긴 길이의 칫솔모들을 심는 단계, 상기 심어진 칫솔모들을 절단하여 제 2 칫솔모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칫솔모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칫솔모들을 해당 홀에 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칫솔모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긴 칫솔모를 심은 상태에서 절단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칫솔대 102 : 칫솔 헤드
110 : 지지부 120 : 제 1 칫솔모
122 : 제 2 칫솔모

Claims (22)

  1.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1 칫솔모들에 의해 치아가 쓸어지도록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최외각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는 제 1 솔 및 상기 제 1 솔보다 길이가 작은 제 2 솔을 포함하는 이중모이되,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솔의 길이의 42% 이하이고, 상기 2 솔의 길이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는 양치시 30도 이상 휘어졌다가 상기 휘어진 힘을 가지고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상기 치아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석을 제거하며, 가장 내측 치아를 양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칫솔모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상기 제 3 칫솔모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면서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상기 제 3 칫솔모 내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되,
    상기 빈 공간에 해당하는 종방향 가상 라인에는 상기 제 2 칫솔모가 배열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상기 빈 공간이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되는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는 30도 이상 휘어진 상태로 치아를 쓰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휘어진 칫솔모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으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칫솔모들의 내부 공간에는 어떠한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는 회전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칫솔대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칫솔은 전동 칫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 사이에 짧은 길이의 제 2 칫솔모들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칫솔모들과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칫솔모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70%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1.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칫솔모를 가지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되,
    양치시 상기 제 2 칫솔모가 치아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안쪽을 양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제 2 칫솔모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2.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되,
    동서남북 방향에서 상기 제 1 칫솔모의 이웃에 상기 제 1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의 제 2 칫솔모 또는 빈 공간이 존재하며, 상기 제 2 칫솔모 또는 상기 빈 공간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칫솔모가 치아를 쓸거나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3. 칫솔대; 및
    상기 칫솔대에 연결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칫솔모들을 포함하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를 감싸서 상기 치아의 앞뒷면을 한번에 양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4.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들 및 제 2 칫솔모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칫솔모들은 상기 제 1 칫솔모들 내측의 칫솔모들이며, 상기 제 1 칫솔모들에 의해 치아가 쓸어지도록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칫솔모들은 최외각 칫솔모들이고, 상기 지지부는 칫솔대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 2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 1 칫솔모의 길이의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6.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되는 칫솔모들을 포함하되,
    상기 칫솔모들 중 적어도 하나는 30도 이상 휘어진 상태로 치아를 쓰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휘어진 칫솔모는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때리거나 치아들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으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7.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칫솔모들을 포함하되,
    상기 칫솔모들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칫솔모들의 내부 공간에는 어떠한 칫솔모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8.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칫솔모를 포함하되,
    양치시 상기 제 2 칫솔모가 치아 상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칫솔모가 어금니 안쪽을 양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칫솔모가 상기 제 2 칫솔모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19.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제 1 칫솔모를 포함하되,
    동서남북 방향에서 상기 제 1 칫솔모의 이웃에 상기 제 1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의 제 2 칫솔모 또는 빈 공간이 존재하며, 상기 제 2 칫솔모 또는 상기 빈 공간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칫솔모가 치아를 쓸거나 치아 사이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로 파고들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20.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된 칫솔모들을 포함하되,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를 감싸서 상기 치아의 앞뒷면을 한번에 양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21. 칫솔 헤드의 지지부 상에 제 3 칫솔모들을 심는 단계;
    상기 심은 제 3 칫솔모들을 절단하여 제 2 칫솔모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칫솔모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칫솔모들을 상기 지지부 상에 심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칫솔모는 상기 제 1 칫솔모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제조 방법.
  22. 제2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칫솔.







KR1020180033540A 2018-01-25 2018-03-22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KR20190090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64,570 US20210100347A1 (en) 2018-01-25 2019-01-21 Toothbrush comprising bristles having different lengths
CN201980009814.2A CN111655072A (zh) 2018-01-25 2019-01-21 具有不同长度的牙刷毛的牙刷
PCT/KR2019/000820 WO2019146973A1 (ko) 2018-01-25 2019-01-21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9148 2018-01-25
KR1020180009148 2018-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69A true KR20190090669A (ko) 2019-08-02

Family

ID=676140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540A KR20190090669A (ko) 2018-01-25 2018-03-22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KR1020190006222A KR20190090704A (ko) 2018-01-25 2019-01-17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222A KR20190090704A (ko) 2018-01-25 2019-01-17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906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3188U1 (ru) * 2022-05-30 2022-08-29 Дон Чжон Ли Зубная щетка
KR102594153B1 (ko) * 2023-06-23 2023-10-26 주식회사 킹스트레이드 반려동물용 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725A (ko) 2016-01-07 2017-07-17 김재찬 칫솔모 패드 교체형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725A (ko) 2016-01-07 2017-07-17 김재찬 칫솔모 패드 교체형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3188U1 (ru) * 2022-05-30 2022-08-29 Дон Чжон Ли Зубная щетка
KR102594153B1 (ko) * 2023-06-23 2023-10-26 주식회사 킹스트레이드 반려동물용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704A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241B1 (en) Brushhead for use in an acoustic toothbrush
WO2017083283A1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US5044035A (en) Dental cleaning device
CN104824966B (zh) 一种多功能口腔护理工具的反冲板
KR20190090669A (ko)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KR20190001966U (ko)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을 가지는 칫솔
KR20230000369U (ko)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이 교대로 배열된 칫솔
KR101630739B1 (ko) 치관 및 잇몸 세정용 칫솔
KR101570934B1 (ko) 치간 칫솔
KR20190090670A (ko) 길이가 다른 칫솔모들이 교대로 배열된 칫솔
KR200469882Y1 (ko) 칫솔
US20210100347A1 (en) Toothbrush comprising bristles having different lengths
KR20070014921A (ko) 칫솔
KR200468339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100781884B1 (ko) 로울러식 전동칫솔
KR200473943Y1 (ko)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과 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20070003230A (ko) 중앙이 개구되어진 칫솔
KR200302942Y1 (ko) 앞니 안쪽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된경사모 칫솔
KR200293917Y1 (ko) 치아 세척이 용이한 칫솔
KR200264911Y1 (ko) 칫솔
CN115715624A (zh) 一种弧形牙刷刷头及牙刷
KR200238284Y1 (ko) 치솔의 치솔모 구조
KR20070001312U (ko) 치아를 감싸서 닦는 도구가 있는 칫솔
KR200306545Y1 (ko)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
KR200468338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3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2

Effective date: 202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