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650A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650A
KR20190090650A KR1020180009616A KR20180009616A KR20190090650A KR 20190090650 A KR20190090650 A KR 20190090650A KR 1020180009616 A KR1020180009616 A KR 1020180009616A KR 20180009616 A KR20180009616 A KR 20180009616A KR 20190090650 A KR20190090650 A KR 2019009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information
patient
intensit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5717B1 (en
Inventor
유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아이
Priority to KR102018000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717B1/en
Publication of KR2019009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aging pain.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the method and the apparatus for managing pain which integrate and record pain information of a patient with a surrounding environment element based on a time zone, and then analyze data to accurately determine pain intensity of the patient to provide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the patient. In addition, the method and the apparatus for managing pain perform effective prescriptions and make big data of pain data according to diseases, thereby being able to improve future medical development and life quality of patients.

Description

통증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Pai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본 실시예는 통증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pai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below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is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통증은 환자들이 겪는 가장 흔하며 고통스러운 증상 중의 하나이다. 예컨대, 암의 진단초기에 있거나 적극적인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30 ~ 50 %, 진행성인 경우에는 약 60 ~ 70 %, 말기의 경우에는 80 ~ 90 % 정도가 통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in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painful symptoms suffered by patients. For example, 30 to 50 percent of patients diagnosed early or undergoing active chemotherapy, 60 to 70 percent in advanced stages, and 80 to 90 percent in late stages are known to suffer from pain. .

통증은 일상생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손상하기 때문에 통증을 충분히 조절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WHO의 통증 관리 원칙과 프로그램에 따르면, 환자 90 % 이상에서 적절한 통증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40 ~ 50 %의 환자들이 적절한 통증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Pain not only interferes with daily life, but also grea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so the pain should be controlled sufficiently. However, according to WHO's Pain Management Principles and Programs, 40-50% of these patients do not receive adequate pain treatment, even though more than 90% of patients can be adequately controlled.

예컨대, 암환자가 겪는 통증은 만성적인 통증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약 70 ~ 80 %의 환자에서는 만성적인 통증 외에 돌발성 통증(Breakthrough Pain)이 함께 나타난다. For example, the pain experienced by cancer patients is characterized by persistent pain. However, in about 70-80% of patients, in addition to chronic pain, breakthrough pain appears.

돌발성 통증은 갑자기 아프기 시작해서 짧은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통증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 돌발성 통증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일상 활동을 전혀 할 수 없다. Sudden pain refers to pain that starts suddenly ill and appears repeated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Usually, while sudden pain persists, you cannot do your daily activities at all.

반복되는 돌발성 통증은 환자에게 고통 자체의 고통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자신을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좌절감, 우울감 등을 초래하여 치료에 대한 의지를 꺾어 놓기도 하기 때문에, 돌발성 통증은 암 통증 환자 관리에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필요가 있다.Recurring pain can not only cause pain to the patient, but also frustration and depression caused by his or her inability to control himself. It needs to be managed continuously.

본 실시예는 환자의 통증 정보를 시간대를 기준으로 주변 환경 요소와 함께 통합 기록한 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다 정확하게 환자의 통증 강도를 확인하여 환자에 대해 처방할 수 있도록 하며, 효율적 처방과 질병에 따른 통증 데이터를 빅 데이터화하여 향후 의료발전 및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증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in information of the patient is recorded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s based on the time zone, and the data can be analyzed to more accurately check the pain intensity of the patient and to prescribe the patient. The goal is to provide pain management methods and devices that enable data to be big data to improve future medical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센싱 장치; 상기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하고, 시간대 별로 상기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상기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증 관리 장치; 및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병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eriodically, and senses and transmits the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A pain management apparatus for extracting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generating pain data for each patient matching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And it provides a pai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hospital server for generating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optimized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환경정보 수신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 수신부; 상기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하는 통증 정보 처리부; 및 시간대 별로 상기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상기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통증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eriodically from the sensing device attached to the patient wearable form; A pressure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from the sensing device; A pain information processor extracting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a pain data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d display pain data for each patient matching the pain intensity alo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상기 통증 데이터 생성부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상기 통증 강도를 기반으로 통증이 반복되는 통증 주기를 산출한다.The pain data generator calculates a pain cycle in which pain is repeated based on the pain intensity matched for each time zone.

상기 통증 데이터 생성부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상기 통증 강도와 상기 통증 주기가 챠트(Chart)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e pain data generator may display the pain intensity and the pain period matched for each time zone in the form of a chart.

상기 통증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차트 상에서 상기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색깔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한다.The pain data generator may display the pain intensity by distinguishing the pain intensity by a predetermined color on the chart.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을 추출하는 압력값 추출부; 상기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는 레벨 추출부; 상기 레벨에 대응한 통증 강도를 추출하는 통증 강도 추출부; 및 상기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증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omprises a pressure valu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A level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A pain intensity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And a pain data generator for generating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임계치 미만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약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pain information processor extracts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confirms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as a weak pai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 이하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중간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extracts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exceeding the first threshold and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The corresponding pain intensity is identified as intermediate pain to generate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2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 이하인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심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or extracts a level corresponding to a pressure value exceeding a second threshold and less than or equal to a third threshold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d less than or equal to a third threshold, and corresponds to the level. Identifying pain intensity as severe pain to generate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한다.Further comprising a prescrip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optimized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상기 처방전 처리부는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시간대 중 새벽 시간대에 상기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상기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상기 새벽 시간대에 환자의 통증이 심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약 복용 시간대 중 새벽 시간에 통증이 완화되도록 약 성분을 조절한 상기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The prescription processing unit analyzes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and as a result, when the pain intensity occur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morning of the preset time zone or when the severe pain occurs,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the preset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ient's pain intensified at the time of dawn,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is adjusted to adjust the drug component so that the pain is relieved at the time of dawn during the time of taking the medicine.

상기 처방전 처리부는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시간대와 무관하게 주변환경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가 기 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상기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주변 환경 개선에 대한 상기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When the prescription processor analyzes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r hum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side the preset temperature threshold regardless of time zone, the pain intensity is intermediate pain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When this occurs or the severe pain occurs, if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generated.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하는 과정; 시간대 별로 상기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상기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eriodically from the sensing device attached to the patient in a wearable form; Receiving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from the sensing device; Extracting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It provides a pai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병원 서버에서 환자의 통증을 시간대 및 주변환경요소를 통합 기록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확하게 환자를 관리하고 처방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효율적 처방과 질병에 따른 통증 데이터를 빅데이터(Big Data)화 시켜 향후 의료 발전 및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n of the patient in the hospital server is integrated with time zones and surrounding factors, and data is analyzed to accurately manage the patient and provide a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ffective prescription and pain data according to the disease are made big data (Big Data), thereby improving the future medical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별로 매칭된 통증 강도와 통증 주기를 나타낸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i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i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i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chart showing pain intensity and pain period matched for each time 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i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시스템은 센싱 장치(110-1, 110-2, 110-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 네트워크(120), 병원 서버(130)를 포함한다. 통증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ai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and the pain management application 114-1. 114-2, 114 -N), network 120, and hospital server 130. Components included in the pain management system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형태의 센싱 장치를 의미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주변의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주변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습도 정보를 수집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경우, 누르는 압력을 감지한다. 다만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환자가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자가 자신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에 따라 약한 통증, 중간 통증, 심한 통증에 대하여 누르는 횟수를 달리하여 통증의 강도를 입력받을 수 있는 버튼 형태의 장치도 가능하다.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refer to a wearable type sensing device attached to a part of a patient's body.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collect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pati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collect temperature information around the patient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collect humidity information.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sense pressure when the patient feels pain. However,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re not limited to devices that sense the pressure that the patient presse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button-type device that can receive the intensity of pain by varying the number of pressing.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센싱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한다.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periodicall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ense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to manage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112-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센싱 장치(110-1, 110-2, 110-N)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병원 서버(13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communicate with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refer to electronic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the hospital server 130 via the network 120 according to a user's key manipul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센싱 장치(110-1, 110-2, 110-N)와 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병원 서버(1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communicate with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via the network, the hospital server 130.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or a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memory),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the program, and the like.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게임 콘솔,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N are smart phones, tablets, laptops, personal computers (PDA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digital assistant, a game consol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media player, or the like.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N are (i)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munication modems for communicating with various devices o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ii) memory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data. And (iii) microprocessors for executing, operating, and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the memory may be a computer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an optical disk, a magnetic disk, or a solid state disk Readable recording /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the microprocessor may be programmed to selectively perform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the micro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uch a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in whole or in part.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병원 서버(13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가 병원 서버(130)를 포함하는 형태의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을 구동한다.Although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are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hospital server 130,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ual embodiment,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and 112 are described. -2, 112-N may be implemented as a stand alone device of the type including the hospital server 130.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drive the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 -N by a user's manipulation or command.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은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에 탑재되어,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 있다. The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114-N are mounted o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112-N, and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It is preferable to operate using various hardware provided in 112-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은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 내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은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부착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은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수신한다.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은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한다.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은 시간대 별로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The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 -N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pplications already installed in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The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 -N periodically receiv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ttached to the patient in a wearable form. The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114 -N receive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110 -N that occur when the patient feels pain.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N extract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N generate and display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along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대 별로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extract pain intensities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generat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along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통증이 발생한 통증 시간대 및 주변환경요소와 함께 통합 기록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통증 시간대 및 주변환경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다 정확하게 환자를 관리하고 환자의 통증에 대해 처방전을 제공할 수 있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효율적 처방과 질병에 따른 통증 데이터를 빅 데이터화 시켜서 향후 의료 발전 및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N are integrated records with pain time and peripheral factors in which the pain of patients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N occurs. d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N may analyze data on pain time zones and surrounding factors to more accurately manage patients and provide prescriptions for patient pai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can be used to improve effective prescription and disease-based pain data to improve future medical development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웨어러블 형태의 환자에 부착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와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BLE, WI-FI)기반으로 통신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are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ttached to the wearable patient,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E, WI-). Communication based on FI).

웨어러블 형태의 환자에 부착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온도 센서(212), 습도 센서(214) 및 압력 센서(216) 등을 구비한다. 웨어러블 형태의 환자에 부착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손목 부위나 주변에 거치하여 실시간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한다.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ttached to the wearable patient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212, a humidity sensor 214, a pressure sensor 216, and the like.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ttached to the wearable patient sense the real-time ambient information by mounting them on the wrist or the periphery of the patient using the provided sensors.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집된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 변화를 분석한다.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ransmit the collecte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analyz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실시간 주변 환경 정보 (온도 및 습도)를 기록한다.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record real-time ambient environment inform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patient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환자는 통증이 오면 부착하고 있는 웨어러블 형태의 센싱 장치(110-1, 110-2, 110-N)가 1회 통증강도에 따라 강하거나 약하게 누른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통증 신호를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온도 정보, 습도 정보와 함께 통증 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When the pain comes, the wearabl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of the wearable type are pressed strongly or weakly according to the pain intensity once.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ransmit pain signals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through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may transmit pain signals together with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based on time information. Match and save.

환자는 통증 정도에 따라 센싱 장치(110-1, 110-2, 110-N)에 구비된 센서부(210)를 약하게 누르거나 세게 누르게 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구비된 압력 센서(216)로부터 환자가 누르는 압력에 따른 강도에 따른 압력 정보를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한다.The patient may weakly press or hardly press the sensor unit 210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ccording to the pain level.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receive the pres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according to the pressure that the patient presses from the pressure sensor 216. 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압력 정보를 분석하여 압력 강도에 따른 통증 강도를 저장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analyze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nd store the pain intensity according to the pressure intensity.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압력 정보를 분석하여 통증 강도를 분석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을 확인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1 ~ 레벨10)을 확인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레벨(예컨대, 레벨1 ~ 레벨10)에 대응한 ‘통증 강도(예컨대, 약한 통증, 중간 통증, 심한 통증 등)’를 확인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저장한다.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analyze pain information by analyzing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N check the pressure values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identify levels (eg, level 1 to level 10)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s.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identify 'pain intensity (eg, mild pain, moderate pain, severe pain, etc.)'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level 1 to level 10). .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store the pain intensity along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10g’인 경우, ‘10g’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1)을 확인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레벨1’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약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저장한다.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may have a pressure value of '10g'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Check the level (eg level 1) corresponding to 10g '.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identify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level 1' as weak pain and store it together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50g’인 경우, ‘50g’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5)을 확인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레벨5’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중간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저장한다.When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include a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N, is '50g', Check the level (eg level 5) corresponding to 50g '.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identify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level 5' as 'medium pain' and store it together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100g’인 경우, ‘100g’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10)을 확인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레벨10’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심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저장한다.When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ar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N, '100g', Check the level (eg level 10) corresponding to 100g '.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identify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level 10' as 'severe pain' and store it together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가 통증 강도에 따라 구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The criteria that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N classify according to pain intensity are as follows.

‘약한통증’: 압력값이 레벨(Level) 1 ~ 5, 예컨대, 10g 압력값 입력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1‘Weak Pain’: Software Algorithm 1 when Pressure Value is Level 1-5, eg 10g Pressure Value

‘중간통증’: 압력값이 레벨(Level) 4 ~ 6, 예컨대, 50g 압력값 입력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2‘Moderate pain’: Software algorithm 2 when pressure value is entered at level 4 or 6, eg 50g

‘심한통증’ : 압력값 Level 7~10, 예컨대, 100g 압력값 입력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3'Severe pain': Software algorithm 3 when pressure level 7 ~ 10, eg 100g pressure

다만 센싱 장치(110-1, 110-2, 110-N)가 버튼 형태의 장치로 환자가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통증 강도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경우에,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환자가 입력한 횟수에 따라 기 설정된 통증 강도의 매칭에 의해 통증 강도를 정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데,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환자가 센싱 장치(110-1, 110-2, 110-N)를 1회 누를 경우 '약한통증', 2회 누를 경우 '중간통증', 3회 누를 경우 '심한통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re button type devices that can receive pain intens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atient presses the butto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and 112-are used. 2, 112-N) may determine and store pain intensity by matching preset pain intens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input by the patient. For example,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may be referred to as 'weak pain' when the patient presses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once, and when the user presses twice. It can be classified as 'medium pain' or 'severe pain' when pressed three times.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을 탑재한다.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통증 강도 측정값을 산출하여 색상별로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표기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112 -N are equipped with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114 -N.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N use the application to calculate pain intensity measurements based on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 real time and display them for easy viewing by color.

상황1Situation 1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탑재된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을 이용하여 시간대별에 매칭된 통증주기 및 강도를 챠트로 표기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use chartered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 -N as charts to match pain periods and intensities over time. Mark it.

환자가 새벽에만 통증이 심할 경우, 통증이 심한 시간에 센서부(210)를 누르게 되므로,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탑재된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을 이용하여 새벽 시간대에 매칭된 통증주기 및 강도를 챠트 상에 표기한다.If the patient has severe pain only at dawn, the pain management device (112-1, 112-2, 112-N) is a pain management application (114-1) 114-2, 114-N) and match the pain cycle and intensity matched at dawn time on the chart.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새벽 시간대에 주로 매칭 저장된 통증주기 및 강도에 대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서비스 가입된 의료진 단말기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병원 서버(130)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may manage patient-specific pain data about the matched and stored pain cycle and intensity mainly at dawn time.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transmit patient-specific pain data to a medical staff member subscribed to a service, or transmit patient-specific pain data to a hospital server 130.

의료진 단말기 또는 병원 서버(130)는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부터 수신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처방시 아침, 점심, 저녁 중 특정 시간에 복용하는 약의 성분을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약 처방이 가능하다,The medical staff terminal or the hospital server 130 may take medicine at a specific time of morning, lunch, and dinner during prescription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received from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You can adjust the ingredients of the drug, making it possible to prescribe effective medicine,

상황2Situation 2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탑재된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을 이용하여 시간대별에 매칭된 통증주기 및 강도를 챠트로 표기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use chartered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14-1, 114-2, and 114 -N as charts to match pain periods and intensities over time. Mark it.

환자가 환경에 의한 통증이 심할 경우, 환자는 통증이 발생할 때마다 센서부(210)를 누르게 되므로,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탑재된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114-1, 114-2, 114-N)을 이용하여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 저장된 통증주기 및 강도를 챠트 상에 표기한다.If the patient is severe pain due to the environment, the patient will press the sensor unit 210 each time the pain occurs, s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112-N) is equipped with a pain management application 114 -1, 114-2, 114-N), and match the stored pain period and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chart.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 저장된 통증주기 및 강도에 대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서비스 가입된 의료진 단말기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병원 서버(130)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may manage patient-specific pain data about the matched and stored pain cycle and intensity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transmit patient-specific pain data to a medical staff member subscribed to a service, or transmit patient-specific pain data to a hospital server 130.

의료진 단말기 또는 병원 서버(130)는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부터 수신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통증 주기 데이터를 분석할 때 주변환경정보(온도, 습도 등)에 따른 통증 주기를 판단하여 환자에게 온도 및 환경 개선되도록 하는 처방 정보를 생성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 입장에서는 통증 완화 및 관리가 가능해 진다. When the medical staff terminal or the hospital server 130 analyzes the pain cycle data for each time zone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received from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emperature, By determining the pain cycle according to humidity, etc.),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temperature and the environmen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As a result, pain relief and management are possible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환자의 질병 및 성별, 연령에 따른 온도, 습도, 시간대별 통증 데이터를 빅데이터화 시켜서 효율적인 약 처방 및 통증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112-N) is a big data of the pain data by temperature, humidity, time of day according to the disease, sex, and age of the patient to help effective prescription and pain relief do.

네트워크(120)는 병원 서버(130)와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들을 연결하는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2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network 120 refers to a communica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hospital server 130 and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The network 120 may be a clos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the like, but is preferably an open type such as the Internet.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The Interne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ervices, such a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Domain Name System (DNS),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네트워크(120)는 인터넷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5G 등의 통신망과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장치와 단말기 사이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접속망을 통칭한다The network 120 may include not only the Internet network but also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long term evolution (LTE), evolved packet core (EPC), It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5G, an access network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and a cloud computing access network between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a terminal.

병원 서버(13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병원 서버(13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병원 서버(13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한다.The hospital server 130 includes the same hardware module as a web server or a network server which is conventionally hardware. The hospital server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or a network server. Hospital server 130 generally communicates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clients or other servers via an open comput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병원 서버(13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The hospital server 130 refers to a computer system or computer software (web server program) which derives and provides a work result corresponding to a work execution request of a client or another web server.

병원 서버(130)는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장치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web server program, the hospital server 130 includes a series of application programs or various databases built in a device.

병원 서버(130)는 인증된 의료기관 서버, 인증된 의료진 단말기, 가입된 의료진 단말기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병원 서버(130)는 처방전 정보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한다. The hospital server 130 provides a service in connection with an authenticated medical institution server, an authenticated medical staff terminal, and a registered medical staff terminal. The hospital server 130 classifies the information on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stores and manages it in a database.

병원 서버(13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 병원 서버(130)는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부터 수신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The hospital server 130 generates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optimized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The hospital server 130 generates optimized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received from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병원 서버(13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시간대 중 새벽 시간대에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새벽 시간대에 환자의 통증이 심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약 복용 시간대(예컨대, 아침, 점심, 저녁) 중 새벽 시간에 통증이 완화되도록 약 성분을 조절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in data for each patient, the hospital server 130 analyzes the patient's pain data, and when the pain intensity occurs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in the morning time zone, or when severe pain occurs,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the preset time. In this case, the pain of the patient is determined to be severe at dawn, and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is adjusted to adjust the drug components so as to alleviate the pain at dawn during the medicine taking time (eg, morning, lunch, dinner).

병원 서버(13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시간대와 무관하게 주변환경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가 기 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주변 환경 개선에 대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in data for each patient, the hospital server 130,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r hum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side the preset temperature threshold regardless of the time zone, the pain intensity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intermediate pain When this occurs or severe pain occurs, if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generated.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센서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sensor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nd a communication unit 230.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센싱 장치(110-1, 110-2, 110-N)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inside the device to operate organically with each other. These components communicate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도 2에 도시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illustrated in FIG. 2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is a software module, a hardware module, or software and hard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센서부(210)는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주변의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센서부(210)는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주변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습도 정보를 수집한다. 센서부(210)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경우, 누르는 압력을 감지한다.The sensor unit 210 collects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patient at a predetermined cycle. The sensor unit 210 collects temperature information around the patient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collects humidity information. The sensor unit 210 detects pressing pressure when the patient feels pain.

센서부(210)는 온도 센서(212), 습도 센서(214), 압력 센서(216)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21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212, a humidity sensor 214, and a pressure sensor 216.

온도 센서(212)는 환자 주변 상황의 온도를 센싱한다. 온도 센서(212)는 센싱한 온도 정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습도 센서(214)는 환자 주변 상황의 습도를 센싱한다. 습도 센서(214)는 센싱한 습도 정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압력 센서(216)는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통증의 정도에 따라서 세게 누르거나 약하게 눌러는 압력을 센싱한다. 압력 센서(216)는 센싱한 압력 정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압력 정보는 환자가 누르는 압력 값에 의해 통증의 강도를 포함한다.The temperature sensor 212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situation around the patient. The temperature sensor 212 transmits the sens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20. The humidity sensor 214 senses the humidity of the situation around the patient. The humidity sensor 214 transmits the sensed humidity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20. The pressure sensor 216 senses the pressure of pressing hard or weak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ain when the patient feels pain. The pressure sensor 216 transmits the sensed press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20. The pressure information includes the intensity of pain by the pressure value the patient presses.

제어부(220)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의미한다. 제어부(220)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센싱 장치(110-1, 110-2, 110-N)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20 refers to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e control unit 220 stores a memory for controlling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program to detect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110-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제어부(220)는 온도 센서(212)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220)는 습도 센서(214)로부터 수신한 습도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220)는 압력 센서(216)로부터 수신한 압력 정보를 통신부(230)를 경유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220 transmit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12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via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e controller 220 transmits the hum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214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via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e controller 220 transmits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ssure sensor 216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via the communication unit 230.

통신부(230)는 근걸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통신부(230)는 각종 데이터를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refers to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interworking with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using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 (112-1, 112-2, 112-N).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i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정보 수신부(310), 주변환경정보 처리부(320), 통증 정보 처리부(330), 처방전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n information receiver 310, an environment information processor 320, a pain information processor 330, and a prescription processor 340. d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3에서는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가 센싱 장치(110-1, 110-2, 110-N)와 별도로 구현된 장치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FIG. 3,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are illustrated as devices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may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with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inside the device to operate organically with each other. These components communicate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도 3에 도시된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illustrated in FIG. 3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includes a software module, a hardware module, or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hardware.

정보 수신부(310)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통신한다. 정보 수신부(310)는 주변환경정보 수신부(310), 압력 정보 수신부(310)를 포함한다.The information receiver 310 communicates with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receiver 310 includes a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r 310 and a pressure information receiver 310.

주변환경정보 수신부(310)는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부착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압력정보 수신부(310)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수신한다.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0 periodically receiv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ttached to the patient in a wearable form.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r 310 receives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주변환경정보 처리부(320)는 주변환경정보 수신부(310)로부터 주변환경 정보(온도 정보, 습도 정보)를 수신한다. 주변환경정보 처리부(320)는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온도 정보, 습도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20 receiv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humidity information)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ing unit 310.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rocessor 320 matches and stores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based on time information.

통증 정보 처리부(330)는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한다. The pain information processor 330 extracts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통증 정보 처리부(330)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예컨대, 10g)인 경우, 제 1 임계치 미만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1)을 추출하고, 레벨(예컨대, 레벨1)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약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or 330 extracts a level (eg, level 1)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below the first threshold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eg, 10 g), For example,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level 1) is identified as a weak pain, and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ime information.

통증 정보 처리부(330)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예컨대, 10g)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예컨대, 50g) 이하인 경우, 제 1 임계치(예컨대, 10g)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예컨대, 50g) 이하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5)을 추출한다. 만약 센장 장치(110-1, 110-2, 110-N)가 버튼의 형태로 환자가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통증의 강도가 정해지는 경우에, 위 임계치는 통증의 강도에 대응하는 버튼 눌림 횟수로 지정될 수 있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30 exceeds the first threshold (eg, 10g)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eg, 10g)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eg, 50g)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eg, 10g). The level (eg level 5)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below the threshold (eg 50 g) is extracted. If the strength of the pain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patient presses the button in the form of the button of the sensor device 110-1, 110-2, or 110 -N, the above threshold is the number of button presse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the pain. May be specified.

통증 정보 처리부(330)는 레벨(예컨대, 레벨5)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중간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or 330 checks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level 5) as 'intermediate pain' and generates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통증 정보 처리부(330)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2 임계치(예컨대, 50g)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예컨대, 50g) 이하인 경우, 제 2 임계치(예컨대, 50g)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예컨대, 100g) 이하인 압력값(예컨대, 100g)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10)을 추출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30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eg, 50g)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eg, 50g)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rd threshold (eg, 50g) and the third threshold (eg, 50g). A level (eg, level 10) corresponding to a pressure value (eg, 100 g) that is below a threshold (eg, 100 g) is extracted.

통증 정보 처리부(330)는 레벨(예컨대, 레벨10)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심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or 330 identifies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level 10) as severe pain and generates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통증 정보 처리부(330)는 압력값 추출부(332), 레벨 추출부(334), 통증 강도 추출부(336), 통증 데이터 생성부(338)를 포함한다.The pain information processor 330 includes a pressure value extractor 332, a level extractor 334, a pain intensity extractor 336, and a pain data generator 338.

압력값 추출부(332)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을 추출한다. 레벨 추출부(334)는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1 ~ 레벨10)을 추출한다. 통증 강도 추출부(336)는 레벨(예컨대, 레벨1 ~ 레벨10)에 대응한 ‘통증 강도(예컨대, 약한 통증, 중간 통증, 심한 통증 등)’를 추출한다. The pressure value extractor 332 extracts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level extractor 334 extracts a level (eg, level 1 to level 10)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The pain intensity extractor 336 extracts 'pain intensity (eg, mild pain, moderate pain, severe pain, etc.)'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level 1 to level 10).

통증 데이터 생성부(338)는 시간대 별로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통증 데이터 생성부(338)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통증 강도를 기반으로 통증이 반복되는 통증 주기를 산출한다. 통증 데이터 생성부(338)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통증 강도와 통증 주기를 챠트(Chart)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통증 데이터 생성부(338)는 차트 상에서 통증 강도를 기 설정된 색깔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통증 데이터 생성부(338)는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pain data generator 338 generates and displays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pain intensitie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The pain data generator 338 calculates a pain cycle in which pain is repeated based on the matched pain intensity for each time period. The pain data generator 338 displays the pain intensity and pain period matched for each time zone in the form of a chart. The pain data generator 338 classifies and displays the pain intensity by a predetermined color on the chart. The pain data generator 338 generates pain data for each patient who matched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처방전 처리부(34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The prescription processor 340 generates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optimized for each patient based on patient-specific pain data.

처방전 처리부(34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시간대 중 새벽 시간대에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새벽 시간대에 환자의 통증이 심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약 복용 시간대(예컨대, 아침, 점심, 저녁) 중 새벽 시간에 통증이 완화되도록 약 성분을 조절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The prescription processing unit 340 analyzes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and when the pain intensity is greater than the preset number of times in the morning of the preset time zone or when severe pain occurs,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the preset time. In this case, the pain of the patient is determined to be severe at dawn, and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is adjusted to adjust the drug components so as to alleviate the pain at dawn during the medicine taking time (eg, morning, lunch, dinner).

처방전 처리부(34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시간대와 무관하게 주변환경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가 기 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주변 환경 개선에 대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in data for each patient, the prescription processor 340 analyzes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and irrespective of the time zone,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r hum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side the preset temperature threshold, the pain intensity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intermediate pain. When this occurs or severe pain occurs, if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generated.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i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형태의 장치로서,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주변의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기 설정된 주기로 환자 주변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습도 정보를 수집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주기적으로 주변환경정보를 센싱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한다(S410).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re wearable devices that are attached to a part of a patient's body and collect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a pati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collect temperature information around the patient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collect humidity information.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periodically sen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S410).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경우, 누르는 압력을 감지한다.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환자가 통증이 발생할 때마다 누르는 압력값을 센성하여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 전송한다(S420).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sense pressure when the patient feels pain.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sense the pressure value that the patient presses whenever pain occurs and transmits the pressure values to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S420). ).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통신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부착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주변환경정보(온도 정보, 습도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430).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communicate with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periodically receiv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attached to the patient in a wearable form.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may receive ambient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humid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based on time information. To match and store (S430).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수신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된 압력 정보에 대응하는 압력값에 따른 통증 강도를 추출한다(S440).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receive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extract the pain intensity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 S440).

단계 S440에서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을 추출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1~10)을 추출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레벨(예컨대, 1~10)에 대응한 ‘통증 강도(예컨대, 약한 통증, 중간 통증, 심한 통증 등)’를 추출한다. In operation S440,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extract the pressure values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N extract the levels (e.g., 1-10)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s.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extract a 'pain intensity (eg, mild pain, moderate pain, severe pain, etc.)'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1-10).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대별로 주변환경정보, 통증 강도를 저장한다(S450). 단계 S450에서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대 별로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112-N) store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ain intensity for each time zone (S450). In operation S450,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generate and display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along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통증 강도를 기반으로 통증이 반복되는 통증 주기를 산출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통증 강도와 통증 주기를 챠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차트 상에서 통증 강도를 기 설정된 색깔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calculate pain periods in which pain is repeated based on time-matched pain intensity.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display the matched pain intensity and the pain period for each time zone in the form of a chart.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classify and display pain intensity by predetermined color on the chart.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generate patient-specific pain data in which pain intensity is matched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예컨대, 10g)인 경우, 제 1 임계치 미만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1)을 추출하고, 레벨(예컨대, 레벨1)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약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have levels corresponding to pressure values below the first threshold,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below the first threshold (eg, 10 g). , Level 1) is extracted, and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level 1) is identified as weak pain to generat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예컨대, 10g)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예컨대, 50g) 이하인 경우, 제 1 임계치(예컨대, 10g)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예컨대, 50g) 이하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5)을 추출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레벨(예컨대, 레벨5)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중간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have a first threshold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exceeds the first threshold (eg, 10g) and is below the second threshold (eg, 50g). Extract a level (eg, level 5) that corresponds to a pressure value above (eg, 10 g) and below a second threshold (eg, 50 g).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identify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level 5) as 'medium pain' and match the patie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Generates star pain data.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2 임계치(예컨대, 50g)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예컨대, 50g) 이하인 경우, 제 2 임계치(예컨대, 50g)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예컨대, 100g) 이하인 압력값(예컨대, 100g)에 대응하는 레벨(예컨대, 레벨 10)을 추출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레벨(예컨대, 레벨10)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심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have a second threshold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eg 50g) and is below the third threshold (eg 50g). Extract a level (eg, level 10) that corresponds to a pressure value (eg, 100 g) that is above (eg, 50 g) and below a third threshold (eg, 100 g).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identify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eg, level 10) as severe pain, and match each patient's pai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ime information. Generate data.

병원 서버(130)는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로부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S460).The hospital server 130 generates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optimized for each patient based on patient-specific pain data from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N (S460).

단계 S460에서, 병원 서버(13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시간대 중 새벽 시간대에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새벽 시간대에 환자의 통증이 심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약 복용 시간대(예컨대, 아침, 점심, 저녁) 중 새벽 시간에 통증이 완화되도록 약 성분을 조절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In step S46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the hospital server 130, if the pain intensity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morning of the preset time zone or a severe pain occurs, the pain cycle is preset When repeated within the time, the pain of the patient is determined to be severe at the time of dawn, and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is adjusted to adjust the drug component so that the pain at the time of dawn during the medicine taking time (eg, morning, lunch, evening).

단계 S460에서, 병원 서버(130)는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시간대와 무관하게 주변환경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가 기 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주변 환경 개선에 대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한다.In step S46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the hospital server 130, if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r hum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the preset temperature threshold, regardless of time zone, the number of pain intensity is a predetermined number When the middle pain or severe pain occurs, if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generated.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4, steps S410 to S460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4 may be applied by changing the steps or executing one or more steps in parallel, FIG. 4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증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ai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in FIG. 4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pai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별로 매칭된 통증 강도와 통증 주기를 나타낸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hart showing pain intensity and pain period matched for each time 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장착된 센싱 장치(110-1, 110-2, 110-N)는 구비된 센서부(210)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변환경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한다.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mounted in a wearable form on the patient periodically collect the patient's surrounding information using the sensor unit 210.

환자는 신체부위에 통증을 느끼면 자신의 통증 강도를 센싱 장치(110-1, 110-2, 110-N)에 입력하면,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에서 수집된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When the patient feels pain in the body part, when the pain intensity is input to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e pain management device 112-1, 112-2, and 112 -N is collected. The pain intensity is matched and stored alo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 별(예컨대,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00:00)로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별로 매칭된 통증 강도와 통증 주기를 챠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As shown in FIG. 5,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include time zones (eg,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 00, 19:00, 20:00, 21:00, 22:00, 23:00, 00:00) to generate and display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5,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display the pain intensity and the pain period matched for each time zone in the form of a chart.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트 상에서 통증 강도를 기 설정된 색깔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약한통증’은 노란색으로 표시하며, ‘중간통증’은 주황색으로 표시하며, ‘심한통증’은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classify and display pain intensities on a chart. For example, 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may display 'mild pain' in yellow, 'mid pain' in orange, and 'severe pain' in red. .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 별로 1:30(약한통증), 2:00, 3:30(약한통증), 4:00, 5:00~6:00(약한통증, 중간통증, 심한통증), 7:00, 8:00, 9:00, 10:00, 11:00, 12:00(약한통증), 13:00(약한통증), 14:00(중간통증), 15:00, 16:00, 17:00(중간통증, 심한통증),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00:00로 차트 상에서 통증 강도를 표시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5, 1:30 (weak pain), 2:00, 3:30 (weak pain), 4:00, 5:00 ~ 6:00 (weak pain, moderate pain) by time zone , Severe pain), 7:00, 8:00, 9:00, 10:00, 11:00, 12:00 (soft pain), 13:00 (soft pain), 14:00 (medium pain), 15 Pain intensity on the chart: 00, 16:00, 17:00 (medium pain, severe pain),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00:00 Is displayed.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통증 강도를 구분할 수 있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may classify pain intensity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약한통증’: 제 1 임계치 이하의 압력값, 레벨 1~3, 제 1 소프트웨어 알고리즘‘Weak pain’: pressure below the first threshold, levels 1-3, first software algorithm

‘중간통증’: 제 1 임계치 초과 제 2 임계치 이하의 압력값, 레벨 4 ~ 6, 제 2 소프트웨어 알고리즘‘Moderate pain’: a pressure value above the first threshold and below the second threshold, levels 4-6, second software algorithm

‘심한통증’ : 제 2 임계치 초과 제 3 임계치 이하의 압력값 레벨 7~10, 제 3 소프트웨어 알고리즘‘Severe Pain’: Pressure value level 7-10 above the second threshold and below the third threshold, third software algorithm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센싱 장치(110-1, 110-2, 110-N)로부터 수신한 환자 주변환경 정보, 환자 통증 정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환자가 통증이 더 심한 시간대와 환경 정보를 추출하여 환자의 통증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pain management devices 112-1, 112-2, and 112 -N perform data analysis on patient surrounding information and patient pai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devices 110-1, 110-2, and 110 -N. The patient's pain state can be pinpointed by extracting more severe tim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통증 관리 장치(112-1, 112-2, 112-N)는 시간대 별로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병원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pain management apparatuses 112-1, 112-2, and 112 -N may generat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along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and transmit the pain data to the hospital server 130.

병원 서버(130)는 환자 주변환경 정보, 환자 통증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환자의 통증 강도에 따라 약 처방을 달리하도록 하여 환자의 통증에 최적화된 처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hospital server 130 may provide prescription information optimized for the pain of the patient by varying the prescription of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pain intensity of the patient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atien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patient pain information.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1, 110-2, 110-N: 센싱 장치
112-1, 112-2, 112-N: 통증 관리 장치
114-1, 114-2, 114-N: 통증 관리 애플리케이션
120: 네트워크 130: 병원 서버
210: 센서부 212: 온도 센서
214: 습도 센서 216: 압력 센서
220: 제어부 230: 통신부
310: 통증 정보 관리부
312: 주변환경정보 수신부
314: 압력 정보 수신부
320: 주변환경정보 처리부 330: 통증 정보 처리부
332: 압력값 추출 334: 레벨 추출부
336: 통증 강도 추출부 338: 통증 데이터 생성부
340: 처방전 처리부
110-1, 110-2, 110-N: sensing device
112-1, 112-2, 112-N: pain management device
114-1, 114-2, 114-N: Pain Management Applications
120: network 130: hospital server
210: sensor unit 212: temperature sensor
214: humidity sensor 216: pressure sensor
220: control unit 230: communication unit
310: pain information management
312: surrounding information receiver
314: pressure information receiver
320: surrounding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30: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32: pressure value extraction 334: level extraction
336: pain intensity extraction unit 338: pain data generation unit
340: prescription processing unit

Claims (13)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센싱하여 전송하는 센싱 장치;
상기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하고, 시간대 별로 상기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상기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증 관리 장치; 및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병원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시스템.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periodically, and by sensing the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A pain management apparatus for extracting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generating pain data for each patient matching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And
Hospital server for generating optimized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Pai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환경정보 수신부;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 수신부;
상기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하는 통증 정보 처리부; 및
시간대 별로 상기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상기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통증 데이터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An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periodically receiv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a sensing device attached to a patient in a wearable form;
A pressure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from the sensing device;
A pain information processor extracting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Pain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pain data for each patient matching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period
Pain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데이터 생성부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상기 통증 강도를 기반으로 통증이 반복되는 통증 주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n data generation unit,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pain cycle in which the pain is repeated based on the pain intensity matched for each time peri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데이터 생성부는,
시간대별로 매칭된 상기 통증 강도와 상기 통증 주기가 챠트(Chart)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in data generation unit,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pain intensity matched by time period and the pain period in the form of a chart (Ch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차트 상에서 상기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색깔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in data generation unit,
The pain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pain intensity is divided by the predetermined color on the ch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을 추출하는 압력값 추출부;
상기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는 레벨 추출부;
상기 레벨에 대응한 통증 강도를 추출하는 통증 강도 추출부; 및
상기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증 데이터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 pressure valu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A level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A pain intensity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And
Pain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ing the pain intens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Pain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임계치 미만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약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below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extracted, and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is confirmed as a weak pain, and the surrounding is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Pai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matched wit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2 임계치 이하의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중간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above the first threshold and below the second threshold,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above the first threshold and below the second threshold is extracted, and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is extracted. The pai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pain data for each patient matched with the surrounding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tim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pa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정보 처리부는,
상기 압력 정보에 포함된 압력값이 제 2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2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 3 임계치 이하인 압력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추출하고, 상기 레벨에 대응하는 통증 강도를 심한 통증으로 확인하여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주변환경정보와 함께 매칭한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f the pressure value included in the pressur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nd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rd threshold,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value exceeding the second threshold and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rd threshold is extracted, and the pai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level is increased. Pai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pain data for each patient match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ime information confirmed by pa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별로 최적화된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 처리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Prescrip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optimized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based on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Pain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처리부는,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시간대 중 새벽 시간대에 상기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상기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상기 새벽 시간대에 환자의 통증이 심해진 것으로 판단하여 약 복용 시간대 중 새벽 시간에 통증이 완화되도록 약 성분을 조절한 상기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escription processing uni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ient-specific pain data, when the pain intensity occurs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morning of the preset time zone or when the severe pain occurs,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the pre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ain of the patient at the time of dawn is severe, pai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adjusted to the drug component so that the pain is relieved at the time of dawn during the time of taking the medici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처리부는,
상기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시간대와 무관하게 주변환경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가 기 설정된 온도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통증 강도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중간 통증이 발생하거나 상기 심한 통증이 발생한 경우, 통증 주기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복되는 경우, 주변 환경 개선에 대한 상기 통증 완화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escription processing uni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in data for each patient, irrespective of the time zone,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r the humid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out of a preset temperature threshold, the intermediate pain occurs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or the pain intensity is increased. When the severe pain occurs, if the pain cycle is repe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ain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pain relief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환자에 웨어러블 형태로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주변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센싱 장치로부터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발생하는 압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압력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강도를 추출하는 과정;
시간대 별로 상기 주변환경 정보와 함께 상기 통증 강도를 매칭한 환자별 통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관리 방법.
Rece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periodically from a sensing device attached to a patient in a wearable form;
Receiving pressure information generated when the patient feels pain from the sensing device;
Extracting pain intensity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A process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pain data for each patient matching the pain intensity alo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ach time zone
Pai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KR1020180009616A 2018-01-25 2018-01-2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KR102055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16A KR102055717B1 (en) 2018-01-25 2018-01-2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16A KR102055717B1 (en) 2018-01-25 2018-01-2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50A true KR20190090650A (en) 2019-08-02
KR102055717B1 KR102055717B1 (en) 2020-01-22

Family

ID=6761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616A KR102055717B1 (en) 2018-01-25 2018-01-2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7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98A (en)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Method for generating discomfort graph and system thereof
KR20210153500A (en)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Method for providing treatment base data and system thereof
KR102631687B1 (en) * 2023-08-23 2024-01-31 주식회사 대박드림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in management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using a neural networ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7099A1 (en) * 2003-06-30 2004-12-30 Mcmahon Michael D. Pain assessment user interface
JP2006181119A (en) * 2004-12-27 2006-07-13 Univ Nagoya Pain meter
KR101263184B1 (en) 2012-05-29 2013-05-10 최수연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patient
JP2013523274A (en) * 2010-03-30 2013-06-17 ザ チルドレ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human pain sensation
KR20170049463A (en) * 2015-10-01 2017-05-10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치 Pain measuring device
KR20170089727A (en)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Monito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ai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7099A1 (en) * 2003-06-30 2004-12-30 Mcmahon Michael D. Pain assessment user interface
JP2006181119A (en) * 2004-12-27 2006-07-13 Univ Nagoya Pain meter
JP2013523274A (en) * 2010-03-30 2013-06-17 ザ チルドレ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human pain sensation
KR101263184B1 (en) 2012-05-29 2013-05-10 최수연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patient
KR20170049463A (en) * 2015-10-01 2017-05-10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치 Pain measuring device
KR20170089727A (en)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Monitor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a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98A (en)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Method for generating discomfort graph and system thereof
KR20210153500A (en)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Method for providing treatment base data and system thereof
KR102631687B1 (en) * 2023-08-23 2024-01-31 주식회사 대박드림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in management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using a neura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717B1 (en)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727B2 (en)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of human sexual response using a personal massaging device
Mosenia et al. Wearable medical sensor-based system design: A survey
US20220401035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changes in health parameters and activate lifesaving measures
Dineshkumar et al. Big data analytics of IoT based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US103761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and displaying data
Camara et al. Real-time electrocardiogram streams for continuous authentication
Ahanathapillai et al. Preliminary study on activity monitoring using an android smart‐watch
KR1020557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in
WO2019244949A1 (en)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8521461A (en) Health monitor method, device, equipment based on edge calculations and storage medium
Page et al. Research directions in cloud-based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health monitoring using Internet-of-Things driven data acquisition
KR2020011395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Hamil et al. Design of a secured telehealth system based on multiple biosignals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for IoT application
Camara et al. Non-invasive multi-modal human identification system combining ECG, GSR, and airflow biosignals
Oğur et al. IoT data analytics architecture for smart healthcare using RFID and WSN
CN113990482A (en) Health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10755091A (en) Personal mental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43527A (en)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ersa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obile health care
US202101453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ment of clinical and behavioral function using passive behavior monitoring
Sharma et al. Health Care Patient Monitoring using IoT and Machine Learning
Adeyemi et al. A psychographic framework for online user identification
Triantafyllopoulos et al. Real-time management of multimodal streaming data for monitoring of epileptic patients
US202303551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mental state of a user
CN113409926A (en) Intelligent follow-u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