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318A -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318A
KR20190090318A KR1020180009665A KR20180009665A KR20190090318A KR 20190090318 A KR20190090318 A KR 20190090318A KR 1020180009665 A KR1020180009665 A KR 1020180009665A KR 20180009665 A KR20180009665 A KR 20180009665A KR 20190090318 A KR20190090318 A KR 20190090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ening
outlet
closing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043B1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ublication of KR2019009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65B61/18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by applying tabs over discharge openings, e.g. over discharge openings defined by tear or scor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8Flexible adhesive strips adapted to seal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폐필름과 더불어 추가적인 보조밀폐필름을 적용함에 따라 개폐필름과 더불어 보조밀폐필름을 통한 다중 밀폐구조를 갖도록 함에 따라 밀폐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최초 사용전 포장팩 인출구를 막고 있는 인출구필름의 절개 형태에 따라 손쉽게 해당 구조에 맞는 다중밀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포장패키지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인출구필름의 형태 및 인출구의 개방 형태에 따라 해당 인출구필름까지 밀폐구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필름과 보조밀폐필름을 비롯해 인출구필름을 이용한 다중밀폐효율을 극대활 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보조밀폐필름이 인출구의 형상이나 인출구필름의 유무여부, 인출구필름의 구조에 맞게 밀폐구조를 맞춤구조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효율을 높임은 물론, 내용물의 인출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내용물이 개폐필름의 점착제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현상은 물론 점착제가 인출구를 통해 포장팩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더욱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점착제를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이렇게 보조밀폐필름을 적용함에 있어서 보조밀폐필름의 추가적용에 따른 제작공정과 비용 증가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성은 향상은 물론 제조 과정에서 버려지는 재료의 재활용을 통해 재료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최초 사용 전 인출구를 막고 있는 인출구필름을 인출구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 보조밀폐필름이 개폐필름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개폐필름 점착제의 점착력을 통해 인출구필름을 쉽게 인출구로부터 전체 또는 일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상 편리성을 높임은 물론 인출구필름을 손으로 직접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손이 내용물에 원치않게 접촉될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Package package having a plurality of sealed opening and closing labe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티슈를 비롯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수용 상태에서 외북 공기와의 접촉 차단이 필요하고 내용물의 수용 및 인출과정에서 개폐필름의 점착제와의 접촉 차단도 필요한 경우 사용되는 포장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팩의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라벨의 구조를 개선하여 매우 간소한 구조만으로도 인출구의 다중밀폐구조를 구현함은 물론, 다중밀폐구조에 의해 개폐필름의 점착제를 성분종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라 불리우는 물티슈 포장패키지는 비닐 포장팩 내부에 수분을 함유한 물티슈가 수용되어 있고 포장팩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물티슈를 인출하며 미 사용 시에는 별도의 개폐필름 일부가 포장팩의 상부면 중 인출구 주변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구간이 인출구를 덮어 포장팩 내부를 밀폐시키는 형태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물티슈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 개폐필름 중 인출구를 덮고 있는 부분을 들어올려 위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인출구를 개방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미 사용 시 외부공기가 인출구를 통해 포장팩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함에 따라 물티슈의 수분유실 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포장패키지들의 공통적으로 가져야 하는 필요기능은 미 사용 시 외부공기가 포장팩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내용물이 외부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태가 변질되는 등의 현상을 막아야 하는 기능이 있다.
이 외에 개폐라벨 하부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가 내용물과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내용물이 점착제의 화학성분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현상도 막아야하는 기능도 필요하다.
특히 이 경우 개폐필름에 적용되는 점착제는 유성타입과 수성타입으로 나뉘는데, 그 중 유성타입은 내용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었을 때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있고, 수성타입의 점착제는 인체유해성은 상대적으로 적기는 하지만 성분 특성 상 수분과 접촉되었을 때 용해되어 오히려 인출구를 통해 포장팩 내부로 유입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기존에는 개폐필름만이 인출구를 직접적으로 덮는 방식으로 외부공기가 인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있기 때문에 높은 밀폐성을 얻기 힘들고, 더구나 개폐필름을 위쪽으로 젖힌 상태에서 내용물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개폐필름 하부면의 점착제 중 인출구와 대응되는 지점에 내용물이 접촉될 가능성이 크다.
즉 기존에는 단순히 개폐필름만을 통한 1중밀폐구조만을 갖고 있어 높은 밀폐력을 얻기 힘들고 인출과정이나 밀폐과정에서 내용물이 개폐필름의 점착제와 접촉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학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개폐필름과 더불어 추가적인 보조밀폐필름을 적용함에 따라 개폐필름과 더불어 보조밀폐필름을 통한 다중 밀폐구조를 갖도록 함에 따라 밀폐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최초 사용전 포장팩 인출구를 막고 있는 인출구필름의 절개 형태에 따라 손쉽게 해당 구조에 맞는 다중밀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포장패키지에 쉽게 적용할 수 이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인출구필름의 형태 및 인출구의 개방 형태에 따라 해당 인출구필름까지 밀폐구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필름과 보조밀폐필름을 비롯해 인출구필름을 이용한 다중밀폐효율을 극대활 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조밀폐필름이 인출구의 형상이나 인출구필름의 유무여부, 인출구필름의 구조에 맞게 밀폐구조를 맞춤구조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효율을 높임은 물론, 내용물의 인출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내용물이 개폐필름의 점착제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현상은 물론 점착제가 인출구를 통해 포장팩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점착제를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렇게 보조밀폐필름을 적용함에 있어서 보조밀폐필름의 추가적용에 따른 제작공정과 비용 증가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성은 향상은 물론 제조 과정에서 버려지는 재료의 재활용을 통해 재료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최초 사용 전 인출구를 막고 있는 인출구필름을 인출구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 보조밀폐필름이 개폐필름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개폐필름 점착제의 점착력을 통해 인출구필름을 쉽게 인출구로부터 전체 또는 일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상 편리성을 높임은 물론 인출구필름을 손으로 직접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손이 내용물에 원치않게 접촉될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 중 제조방법에 관한 해결수단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포장팩을 준비하는 포장팩 준비공정,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개폐필름 원지 및 상기 개폐필름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점착제에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부착되어 있는 점착제 보호지를 준비하는 원지준비공정, 상기 개폐필름 원지 일부를 절개하여 개폐필름 원지 중 절개구간 내측지점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부면에는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필름 형태의 개폐필름을 생성하는 개폐필름 구현공정, 상기 원지준비공정과 상기 개폐필름 구현공정 사이에 실시되거나 상기 개폐필름 구현공정과 함께 진행되거나 상기 개폐필름 구현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점착제 보호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점착제 보호지 중 절개구간 내측지점으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개폐필름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상태로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에 부착된 형태의 보조밀폐필름을 생성하는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 상기 개폐필름 중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존재하지 않는 지점 중 일부를 상기 포장팩 표면에 부착시키고 나머지 지점이 상기 부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포장팩의 인출구를 덮으면서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상기 보조밀폐필름 주변 지점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주변면에 분리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하부면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 외측부근을 덮도록 하는 개폐필름 설치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포장팩 일부를 절개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 내부에는 절개 과정에서 포장팩 중 인출구 구간 내에 형성되는 인출구필름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구를 분리 가능하도록 막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은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상기 인출구필름 및 인출구의 면적보다 크도록 제작되되 상기 점착제 보호지를 절개하여 상기 보조밀폐필름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내측지점 중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었을 때 상기 보조밀폐필름 하부면 중 상기 인출구필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에 노출유도공간을 형성시키는 형태로 이루이며, 상기 개폐필름 설치공정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었을 때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가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상기 인출구필름에 부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필름이 상기 점착제를 통해 상기 개폐필름과 함께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포장팩 일부를 절개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 내부에는 절개 과정에서 포장팩 중 인출구 구간 내에 형성되는 인출구필름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구를 분리 가능하도록 막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구필름은 상기 인출구의 절개구간 중 비 절개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은 상기 점착제 보호지를 절개하여 상기 보조밀폐필름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내측지점 중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었을 때 상기 보조밀폐필름 하부면 중 상기 인출구필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에 노출유도공간을 형성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필름 설치공정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었을 때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가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상기 인출구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와 상기 인출구필름의 테두리 간 경계지점을 덮는 형태가 되며 상기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필름이 상기 점착제를 통해 상기 개폐필름과 함께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슬릿홀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인출구를 비롯해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측부근까지 동시에 덮을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통공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의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필름 설치공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비롯해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측부근까지 동시에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외에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팩,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하부면 중 일부가 상기 포장팩 표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부착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며 하측으로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를 덮으면서 인출구 주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방할 수 있는 개폐필름, 필름 형태이고 상기 개폐필름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점착제를 통해 상기 개폐필름 하부면에 적층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적어도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측 부근을 덮는 보조밀폐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개폐필름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개폐필름 하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의 외부노출을 차단하기 위해 적용되고, 개폐필름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개폐필름 하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된 상태에서 일부가 절개제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구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상기 인출구 내에 분리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인출구를 막고 있는 인출구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밀폐필름 중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필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에는 노출유도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 중 상기 노출유도공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이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점착제 중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노출된 지점이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구필름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필름이 상기 점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개폐필름과 함께 상하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구는 슬릿홀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인출구를 비롯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부 부근을 덮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출구는 일정 면적을 갖는 통공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며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인출구 내측구간 전체를 비롯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 외부 부근을 동시에 덮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개폐필름 하부면에 별도의 보조밀폐필름이 적층되고 개폐필름이 포장팩의 인출구를 덮었을 때 보조밀폐필름이 인출구 전체를 비롯해 포장팩 표면 중 인출구 테두리 외측 부근을 덮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개폐필름과 포장팩 표면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기본적으로 인출구의 테두리 외측 부근이 보조밀폐필름에 의해 추가적으로 막혀 다중 밀폐구조가 형성되므로 외부공기나 이물질 등이 인출구로 유입될 가능성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렇게 개폐필름을 비롯해 보조밀폐필름을 통한 다중밀폐구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필름이 인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필름의 점착제가 인출구로 유입될 가능성도 줄어드므로, 점착제의 종류에 제약받지 않고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조밀폐필름이 개폐필름의 하부 점착제 중 인출구와 마주하는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인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점착제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가능성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보조밀폐필름이 적어도 인출구의 테두리 외부 부근을 덮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출구의 모양, 인출구필름의 존재여부, 인출구필름에 의한 인출구의 개폐구조에 따라 쉽게 인출구의 이중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인출구 내에 인출구필름이 존재할 경우 개폐필름이 인출구 상부를 덮고 있을 때 점착제 중 일부가 보조밀폐필름의 노출유도공간을 관통하여 인출구필름 상부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개폐필름을 상하 회동시켜 인출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인출구필름도 점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함께 자동으로 상하 회동되면서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초 사용 시 버려지는 인출구필름을 인출구의 밀폐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개폐필름 및 보조밀폐필름과 더불어 인출구필름에 의해 다중밀폐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보조밀폐필름이 개폐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점착제의 보호를 위해 사용된 후 버려지는 점착제 보호지를 재활용하여 구현함에 따라, 다중밀폐구조를 구현하더라도 그에 따른 제조공정 증가나 제품단가 상승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버려지는 재료를 재활용함에 따른 재료절감효과 및 환경보호 효과도 갖는다.
그리고 개폐필름에 보조밀폐필름이 부착되어 2중필름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전체 두께가 기존에 비해 두꺼워지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개폐필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재료절감효과와 더불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전체 제작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
도3은 원지 준비공정에서 개폐필름원지와 점착제 보호지 및 점착제의 합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4는 개폐필름 구현공정과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에서 커팅날을 통해 개폐필름원지와 점착제 보호지를 커팅하는 모습의 개략도
도5는 도4의 평면개략도
도6은 도2의 상태에서 개폐필름이 포장팩에 부착된 상태에서 인출구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단면도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보조밀폐필름이 인출구 및 인출구 테두리 외측 부근을 동시에 덮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인출구 내에 인출구필름이 존재하고 보조밀폐필름에 노출유도공간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10은 도9의 단면도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개폐필름이 인출구 상부를 덮었을 때 개폐필름의 점착제 일부가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관통하여 인출구필름 상부면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12는 도11의 상태에서 개폐필름이 상측으로 회동하여 인출구를 여는 과정에서 인출구필름이 점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개폐필름과 함께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13은 인출구와 인출구필름 간 경계지점의 절개 형태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도면으로, 인출구가 일부 비 절개되어 인출구필름이 인출구내에서 포장팩과 일체 상태로 존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15는 도14의 평면도
도16은 인출구가 슬릿홀 형태인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17은 도16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제조방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포장팩 준비공정(S1)과 원지준비공정(S2), 개폐필름 구현공정(S3),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S4), 개폐필름 설치공정(S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포장팩 준비공정(S1)은 물티슈나 식품 등 내용물의 실제 포장기능을 발휘하는 포장팩(1)을 준비하는 공정으로,
포장팩(1)은 전체적으로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물티슈나 음식을 비롯해 밀폐보관이 필요한 내용물(14)의 밀폐수용을 위한 수용공간(2)이 형성되며 상부면과 같은 일측에는 내용물(14)의 외부 인출 시 통로 역할을 하는 인출구(3)가 수용공간(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형태로 관통 형성된다.
참고로 포장팩(1)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개폐필름을 통해 인출구가 개폐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포장팩(1)의 형상 또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인출구를 통해 내용물의 인출이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포장팩 준비공정(S1)에서 인출구(3)의 형태 또한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단순 통공 구조로 형성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슬릿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인출구(3) 내부에 후술할 인출구필름(4)이 존재한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팩(1)의 준비과정과 별개로 원지준비공정(S2)을 실시한다.
원지준비공정(S2)은 후술할 개폐필름(6)과 보조밀폐필름(9)의 원재료인 개폐필름 원지(11)와 점착제 보호지(12)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이때 사용되는 개폐필름 원지(11)는 전체적으로 롤 형태의 필름 형태이고 풀어지면서 롤러 등을 통해 이동된다, 이때 개폐필름 원지(11)의 하부면에는 점착제(13)가 도포 형성된다.
그리고 점착제 보호지(12)는 개폐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개폐필름 원지(11) 하부면에 도포된 점착제(13)의 외부노출을 차단하여 제조과정에서 점착제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점착제 보호지(12)는 개폐필름과 동일한 폭을 갖는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 형태이고 개폐필름 원지(11)처럼 롤 형태에서 풀어져 이동하면서 개폐필름 원지(11) 하부면에 점착제(13)를 통해 적층 형태로 부착된다.
따라서 원지준비공정(S2)을 거치게 되면 개폐필름 원지(11)와 점착제 보호지(12)는 점착제(13)를 사이에 두고 상하 적층 형태로 일체화 되어 부착된 합지 구조를 갖게 된다.
이후에는 개폐필름 구현공정(S3)을 실시한다.
개폐필름 구현공정(S3)은 개폐필름 원지(11)와 점착제 보호지(12) 간 합지 상태에서 개폐필름 원지(11) 일부를 절개하여 실질적인 개폐필름(6)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다.
이때 개폐필름 원지(11)를 절개할 때 절개경로는 추후 생성될 개폐필름의 테두리라인을 따라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경로를 따라 개폐필름 원지(11) 일부를 절개한 뒤 절개구간 내측지점을 분리해 내는데, 이렇게 개폐필름 원지(11)로부터 절개되어 분리된 부분이 개폐필름(6)이 된다.
참고로 개폐필름 원지(11)를 절개하는 과정에서 절개경로는 개폐필름의 테두리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개폐필름(6)의 형상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다.
원지준비공정(S2) 이후에는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S4)도 실시한다.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S4)은 개폐필름 원지(11)와 점착제 보호지(12) 간 합지상태에서 점착제 보호지(12) 일부를 절개하여 실질적인 보조밀폐필름(9)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이때 점착제 보호지(12)를 절개할 때 절개 경로는 추후 생성될 보조밀폐필름(9)의 테두리 라인을 따라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경로를 따라 점착제 보호지(12) 일부를 절개한 뒤 절개구간 내측지점을 점착제 보호지(12)로부터 분리해 내는데, 이렇게 점착제 보호지(12)로부터 절개되어 분리된 부분이 보조밀폐필름(9)이 된다.
참고로 점착제 보호지(12)를 절개하는 과정에서 절개경로는 보조밀폐필름(9)의 테두리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수 있고 이로 인해 보조밀폐필름(9)의 형상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포장팩(1)의 인출구(3) 형태와 개폐필름(6)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필름 구현공정(S3)과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S4)은 상호 별개로 진행되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면과 같이 개폐필름 원지(11)와 점착제 보호지(12)가 상호 적층 합지된 상태에서 커팅날을 통해 개폐필름 원지(11) 또는 점착제 보호지(12) 중 어느하나를 먼저 절개한 뒤 연이어 커팅날을 통해 다른 어느하나를 절개하는 형태가 될 수 있고 절개 순서는 상호 얼마든지 바뀌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지의 기술을 이용해 커팅날을 이중 구조로 구현할 경우 상호 다른 형태의 절개라인을 갖는 개폐필름과 보조밀폐필름을 동시에 절개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S4)은 개폐필름 구현공정(S3)과 동시에 진행되거나 상호 순서에 상관없이 별개 과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만들어진 개폐필름(6)과 보조밀폐필름(9)은 개폐필름(6) 하부면에 점착제(13)가 도포되어 있고 개폐필름(6) 하측에 보조밀폐필름(9)이 위치된 상태에서 점착제(13)를 통해 개폐필름(6) 하부면에 적층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개폐필름(6)은 포장팩(1)의 인출구(3)보다 큰 면적을 갖고 보조밀폐필름(9)은 개폐필름(6)보다 작은 면적을 갖되 포장팩(1)의 인출구(3)보다 큰 면적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보조밀폐필름(9)의 형태는 인출구(3)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일예도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인출구(3)가 단순히 통공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인출구(3)를 모두 덮음과 동시에 포장팩(1) 표면 중 인출구(3)의 테두리 외측 부근까지 동시에 덮을 수 있는 단순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외에 보조밀폐필름(9)은 아래에서 설명할 인출구의 형태 변형 예를 각각 설명하면서 그에 따라 변형된 경우를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폐필름 구현공정(S3)과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S4)이 완료된 후에는 개폐필름 설치공정(S5)을 실시한다.
개폐필름 설치공정(S5)은 보조밀폐필름(9)을 구비하고 있는 개폐필름(6)을 포장팩(1)에 부착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개폐필름(6)의 하부면 중 후측 일부구간은 포장팩(1) 표면 중 인출구(3) 주변 특정지점에 부착 고정시키고 나머지 구간은 부착지점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포장팩 표면에 점착되거나 떼어질 수 있는 구조로 위치된다.
그리고 이렇게 개폐필름(6)의 일부 구간은 상하 회동하면서 포장팩(1)의 인출구(3)를 덮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필름(6)이 인출구(3) 상부를 덮었을 때 개폐필름(6) 하부면 중 인출구(3)와 상하 대응되는 지점의 주변 지점은 포장팩(1)에 부착된 상태가 되므로 1차적인 밀폐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만약 인출구(3)가 단순 통공 형태일 경우 이 상태에서 보조밀폐필름(9)은 단순히 인출구(3)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단순 필름 형태를 갖게 되고 개폐필름이 인출구(3) 상부를 덮었을 때 보조밀폐필름(9)은 인출구(3) 상부 전체를 덮음과 동시에 포장팩(1) 표면 중 인출구(3) 테두리 외측 부근까지 덮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폐필름(6) 중 포장팩(1) 표면에 부착고정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상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는 인출구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내용물(14)을 인출구(3)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데, 이때 개폐필름 하부면 중 인출구(3)와 상하 마주하던 지점이 내용물(14)이 인출구(3)를 통과하면서 가장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쉬운지점인데, 해당 지점에는 보조밀폐필름(9)이 위치하여 해당 지점의 점착제(13)가 가려져 있기 때문에 내용물(14)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14)이 개폐필름의 점착제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 후 개폐필름(6)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인출구(3) 상부를 덮음과 동시에 개폐필름(6) 하부면 중 인출구(3)와 상하 대응되는 지점의 주변 지점은 포장팩(1)에 부착된 상태가 되므로 1차적인 밀폐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보조밀폐필름(9)은 단순 통공 형태의 인출구(3) 상부 전체를 덮음과 동시에 포장팩(1) 표면 중 인출구(3) 테두리 외측 부근까지 덮는 형태가 된다.
이로 인해 인출구(3)는 개폐필름(6)과 포장팩(1) 표면 간 점착에 의해 1차밀폐구조를 갖게 되고 개폐필름(6)과 포장팩(1) 사이 중 인출구(3)를 비롯해 인출구 테두리 부근은 보조밀폐필름(9)에 의한 2차밀폐구조를 동시에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 과정에서 개폐필름(6)과 포장팩(1) 간의 점착 상태가 불량하여 해당 간극지점으로 외부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인출구(3)를 비롯해 인출구 테두리 외측 부근이 보조밀폐필름(9)에 의해 추가적으로 막혀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공기나 이물질이 인출구(3)를 통해 포장팩(1)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훨씬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인출구(3) 및 인출구 주변이 보조밀폐필름(9)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개폐필름(6)의 점착제가 인출구(3)를 통해 포장팩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도 훨씬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개폐필름(6)의 점착제(13)가 수성타입이나 유성타입 등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인출구(3)가 단순 원형이나 타원 등의 통공 형태인 위 실시예와 달리 슬릿홀(slit hole) 형태로 적용되고 보조밀폐필름(9)도 이러한 인출구(3) 형상에 맞게 형태가 변형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이때 보조밀폐필름(9)은 인출구(3)의 슬릿홀 모양에 맞게 구현되되 길이와 폭이 인출구(3)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개폐필름(6)이 이러한 인출구(3) 상부를 덮었을 때 보조밀폐필름(9)이 인출구(3) 전체를 덮음과 동시에 포장팩(1) 표면 중 인출구(3) 테두리 외측 부근도 함께 덮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2중밀폐기능을 쉽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실시예는 인출구(3)가 통공 구조를 갖되 내부에 인출구필름(4)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이다.
이때 인출구(3) 내부에는 인출구(3)와 동일한 모양 및 면적을 갖는 인출구필름(4)이 위치하여 인출구필름(4)에 의해 인출구(3)가 막혀있는 상태가 되고 인출구필름(4)은 테두리 전체 또는 일부가 국부적으로 포장팩(1)과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위치된다.
참고로 이러한 인출구필름(4)은 포장팩(1)을 절개하여 인출구(3)를 형성시킬 때 포장팩 중 절개라인 내측 구간에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것인데, 대부분 최초 사용 시 사용자가 인출구로부터 떼어낸 뒤 버리는 요소이다.
만약 도면과 같이 인출구(3) 테두리를 완전히 절개하여 인출구(3)와 인출구필름(4)이 상호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일 경우, 보조밀폐필름(9)의 구조 또한 변경되는데, 이때 보조밀폐필름(9)은 인출구(3)보다 큰 면적의 필름 구조를 갖되 중앙 지점에 노출유도공간(10)이 상하 완전히 관통된 형태, 즉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폐필름(6)의 점착제 중 보조밀폐필름(9)의 노출유도공간(10)과 마주하는 지점의 점착제는 노출유도공간(10)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필름(6)이 인출구(3) 상부를 덮었을 때 보조밀폐필름(9)은 인출구필름(4)의 테두리와 인출구(3) 테두리 간 경계지점을 비롯해 포장팩(1) 인출구(3) 테두리 외측 부근까지 덮게된다.
이때 개폐필름(6)의 점착제 중 보조밀폐필름(9)의 노출유도공간(10)을 통해 노출된 점착제가 노출유도공간(10)을 관통하여 인출구필름(4)의 상부면에 접촉됨에 따라, 결국 인출구필름(4)이 개폐필름(6)에 접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해 개폐필름(6)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리면 인출구필름(4)이 개폐필름(6) 및 보조밀폐필름(9)과 함께 들어올려지고 개폐필름(6)이 인출구(3)를 덮는 과정에서 인출구필름(4)도 함께 이동하여 인출구(3) 내부에 다시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결국 개폐필름(6)에 의한 1차밀폐구조와 보조밀폐필름(9)에 의한 2차밀폐구조 및 인출구필름(4)에 의한 3차밀폐구조가 구현되고, 더구나 대부분 최초 사용 시 인출구로부터 떼어져 버려지는 인출구필름을 밀폐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외에 인출구(3)와 인출구필름(4)이 이처럼 상호 완전히 분리되는 위 실시예 중 인출구(3) 형성을 위해 포장팩(1) 중 인출구(3)의 테두리 라인을 따라 절개를 하는 과정에서 포장팩(1)의 두께를 완전히 상하 뚫으면서 절개하지 않고 일반 적인 'V커팅'처럼 포장팩(1)의 두께를 완전히 뚫지 않고 일정깊이까지만 파내는 형태로 절개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경우 최초 제작 후 유통 및 판매되는 과정, 즉 최초 사용 전 까지는 인출구가 완벽하게 막혀진 상태가 되므로 유통 등의 과정에서 외부공기나 이물질이 인출구로 유입될 가능성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초 사용 시 개폐필름(6)이 위쪽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인출구필름(4)도 위쪽으로 당겨지게 되믄에 이때 인출구(3)의 테두리가 사전에 일정깊이로 절개된 상태이기 때문에 절개라인이 쉽게 찢어지면서 인출구필름(4)이 인출구(3)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인출구필름(4)이 존재하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과 같이 포장팩(1)을 절개하여 인출구(3)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인출구를 완전히 절개하지 않고 비 절개지점(5)을 형성시킴에 따라 인출구(3) 내에 생성되는 인출구필름(4) 중 일부 테두리구간은 포장팩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항시 인출구 내에 남아 비 절개지점(5)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인출구(3)를 개폐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밀폐필름(9)은 전체적으로 판재형태라기 보다는 띠 형태로 기다랗게 형성되되 인출구(3)의 절개구간 테두리와 이와 대응되는 인출구필름(4)의 테두리간 경계지점의 형성 경로에 맞도록 형상과 길이가 구현된다.
따라서 보조밀폐필름(9)은 인출구(3)와 인출구필름(4)의 비 절개지점(5)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판재 형태가 아니라 비 절개지점(5)을 제외한 인출구(3)의 절개구간만을 덮을 수 있는 형태가 되고 이 경우 개폐필름(6)의 점착제 중 인출구필름(4) 상부면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의 점착제는 자연스럽게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필름(6)이 인출구(3) 상부를 덮었을 때 보조밀폐필름(9)은 인출구필름(4)의 테두리와 인출구(3) 테두리 절개구간 간 경계지점을 비롯해 포장팩(1) 표면 중 인출구(3) 테두리 외측 부근까지 덮게된다.
이때 개폐필름(6)의 점착제 중 인출구필름(4)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의 점착제가 인출구필름(4) 상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결국 인출구필름(4)이 개폐필름에 접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해 개폐필름(6)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들어올리면 인출구필름(4)도 비 절개지점(5)을 중심으로 함께 위쪽으로 회동하여 인출구(3)가 최종적으로 개방된다.
반대로 개폐필름(6)이 인출구(3)를 덮는 과정에서 인출구필름(4)도 함께 회동하여 인출구(3)를 최종적으로 덮는 상태가 된다.
참고로 이때 도면과 같이 인출구(3)와 인출구필름(4)의 단부, 즉 비 절개지점(5)의 양측단부에 일반적으로 물티슈 개폐라벨에서 개폐라벨을 위쪽으로 젖힐 때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찢어짐 방지라인(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구필름(4)이 개폐필름(6)을 따라 비 절개지점(5)을 중심으로 들어올려질 때 인출구(3) 주변이 원치 않게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찢어짐 방지라인(7)은 도면처럼 개폐필름(6)에도 형성될 수 있고 형성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참고로 개폐필름(6)에는 찢어짐 방지라인(7) 외에도 절개를 통해 지지편(8)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개폐필름(6)을 위쪽으로 회동시켰을 때 지지편(8)의 하당부가 포장팩 표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개폐필름(6)이 열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찢어짐 방지라인(7)을 형성시키지 않고 인출구와 개폐내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인출구(3)를 최초 개방하는 과정에서 포장팩(1) 전체가 일부로 찢어져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즉 1회용으로 사용하는 포장팩의 경우에 이러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폐필름 하부면에 별도의 보조밀폐필름이 적층되고 개폐필름이 포장팩의 인출구를 덮었을 때 보조밀폐필름이 인출구 전체를 비롯해 포장팩 표면 중 인출구 테두리 외측 부근을 덮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공기가 개폐필름과 포장팩 표면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기본적으로 인출구의 테두리 외측 부근이 보조밀폐필름에 의해 추가적으로 막혀 다중 밀폐구조가 형성되므로 외부공기나 이물질 등이 인출구로 유입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리고 이렇게 개폐필름을 비롯해 보조밀폐필름을 통한 다중밀폐구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필름이 인출구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필름의 점착제가 인출구로 유입될 가능성도 줄어드므로, 점착제의 종류에 제약받지 않고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조밀폐필름이 개폐필름의 하부 점착제 중 인출구와 마주하는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인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점착제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가능성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보조밀폐필름이 적어도 인출구의 테두리 외부 부근을 덮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출구의 모양, 인출구필름의 존재여부, 인출구필름에 의한 인출구의 개폐구조에 따라 쉽게 인출구의 이중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인출구 내에 인출구필름이 존재할 경우 개폐필름이 인출구 상부를 덮고 있을 때 점착제 중 일부가 보조밀폐필름의 노출유도공간(10)을 관통하여 인출구필름 상부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개폐필름을 상하 회동시켜 인출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인출구필름도 점착제으 점착력에 의해 함께 자동으로 상하 회동되면서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초 사용 시 버려지는 인출구필름을 인출구의 밀폐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개폐필름 및 보조밀폐필름과 더불어 인출구필름에 의해 다중밀폐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보조밀폐필름이 개폐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점착제의 보호를 위해 사용된 후 버려지는 점착제 보호지를 재활용하여 구현함에 따라, 다중밀폐구조를 구현하더라도 그에 따른 제조공정 증가나 제품단가 상승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버려지는 재료를 재활용함에 따른 재료절감효과 및 환경보호 효과도 갖는다.
참고로 도11과 같이 개폐필름(6)의 점착제(13)가 보조밀폐필름(9)의 노출유도공간(10)을 통해 노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개폐필름(6)이 인출구(3) 상부를 덮었을 때 노출유도공간(10)을 관통하여 노출된 점착제가 인출구필름(4) 상부면에 접촉되는 도면에서,
개폐필름 중 노출유도공간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이 노출유도공간(10) 안으로 살짝 함몰되어 인출구필름(4) 표면에 부착되는 표현하는 것으로, 도시 과정에서 개폐필름(6)과 보조밀폐필름(9)의 명확한 구조표현을 위해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함에 따라 개폐필름의 함몰 정도가 과도하게 표현된 것일 뿐,
실제로는 모든 필름두께가 굉장히 얇기 때문에 이러한 함몰정도는 거의 표시되지 않을 정도가 된다.
그리고 도18에 도시된 것처럼 인출구(3)를 슬릿홀 형태로 구현하였을 경우 인출구(3) 내 틈새에 연결편(16)이 포장팩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인출구(3) 틈새가 벌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최초 사용 전 인출구(3) 틈새가 원치 않게 벌어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편(16)은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개념이 아니라 커팅날로 인출구를 슬릿형태로 절개하는 과정에서 절개 경로 중 간격을 두고 특정지점은 비절개하고 비 절개한 지점들이 결국 연결편(16)이 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 경우 보조밀폐필름(9)는 인출구 전체를 동시에 덮는 형태가 됨에 따라 개폐필름(6)의 점착제가 인출구의 연결편(18)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데,
만약 보조밀폐필름(9)가 없을 경우 개폐필름(6)의 점착제(13)가 직접적으로 연결편(16)에 접착되고, 이 상태에서 개폐필름을 위쪽으로 젖히면 연결편(16) 형성지점이 당겨져 찢어지기 시작하면서 인출구 주변까지 찢어지면서 인출구가 개방되는 형태가 되는데, 이렇게 연결편처럼 폭이 좁은 지점이 접착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당겨져 찢어지게 되면 그 주변 포장팩이 연속적으로 찢어지는 과정에서 찢어짐 경로가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결국 포장팩이 원치 않는 방향으로 찢어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보조밀폐필름(9)이 연결편(16)을 비롯해 인출구 전체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편(16)이 점착제(13)과 접촉되자 않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필름(6)을 위쪽으로 젖혀 들어올리면 연결편(16)에는 들어올려지려는 힘이 전혀 작용되지 않고, 포장팩 중 도면에 표시된 지점, 즉 인출구 하측의 넓은면적 지점이 개폐필름 점착제에 부착된 상태로 들어올려지면서 찢어지기 시작하므로 찢어짐 경로가 불규칙하게 형성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1;포장팩 2;수용공간
3;인출구 4;인출구필름
5;비 절개지점 6;개폐필름
7;찢어짐 방지라인 8;지지편
9;보조밀폐필름 10;노출유도공간
11;개폐필름 원지 12;점착제 보호지
13;점착제 14; 내용물
16;연결편
S1;포장팩 준비공정 S2;원지준비공정
S3;개폐필름 구현공정 S4;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
S5;개폐필름 설치공정

Claims (13)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포장팩을 준비하는 포장팩 준비공정,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개폐필름 원지 및 상기 개폐필름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점착제에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부착되어 있는 점착제 보호지를 준비하는 원지준비공정,
    상기 개폐필름 원지 일부를 절개하여 개폐필름 원지 중 절개구간 내측지점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부면에는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필름 형태의 개폐필름을 생성하는 개폐필름 구현공정,
    상기 원지준비공정과 상기 개폐필름 구현공정 사이에 실시되거나 상기 개폐필름 구현공정과 함께 진행되거나 상기 개폐필름 구현공정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점착제 보호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점착제 보호지 중 절개구간 내측지점으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개폐필름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상태로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에 부착된 형태의 보조밀폐필름을 생성하는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
    상기 개폐필름 중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존재하지 않는 지점 중 일부를 상기 포장팩 표면에 부착시키고 나머지 지점이 상기 부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포장팩의 인출구를 덮으면서 개폐필름의 하부면 중 상기 보조밀폐필름 주변 지점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주변면에 분리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하부면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적어도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 외측부근을 덮도록 하는 개폐필름 설치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포장팩 일부를 절개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 내부에는 절개 과정에서 포장팩 중 인출구 구간 내에 인출구필름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구를 분리 가능하도록 막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은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상기 인출구필름 및 인출구의 면적보다 크도록 제작되되 상기 점착제 보호지를 절개하여 상기 보조밀폐필름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내측지점 중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었을 때 상기 보조밀폐필름 하부면 중 상기 인출구필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에 노출유도공간을 형성시키는 형태로 이루이며,
    상기 개폐필름 설치공정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었을 때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가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상기 인출구필름에 부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필름이 상기 점착제를 통해 상기 개폐필름과 함께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포장팩 일부를 절개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 내부에는 절개 과정에서 포장팩 중 인출구 구간 내에 인출구필름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구를 분리 가능하도록 막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구필름은 상기 인출구의 비 절개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은 상기 점착제 보호지를 절개하여 상기 보조밀폐필름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 하부면 중 상기 인출구필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에 노출유도공간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필름 설치공정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었을 때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가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상기 인출구필름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와 상기 인출구필름의 테두리 간 경계지점을 덮는 형태가 되며 상기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필름이 상기 점착제를 통해 상기 개폐필름과 함께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포장팩을 비 관통방식으로 일정깊이까지만 절개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개폐필름을 최초로 위쪽으로 회동시키기 이전 상태에서는 포장팩의 인출구가 완벽히 막혀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개폐필름 설치공정에서 상기 포장팩 중 상기 절개구간 내측지점이 상기 보조밀폐필름의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에 접착된 상태가 되며,
    개폐필름을 최초로 위쪽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팩 중 상기 절개구간 내측지점이 개폐필름과의 접착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포장팩의 절개구간이 찢어지면서 절개구간 내측 구간이 인출구로부터 완전 또는 일부 분리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슬릿홀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인출구를 비롯해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측부근까지 동시에 덮을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팩 준비공정에서 상기 인출구는 일정면적을 갖는 통공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 구현공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의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필름 설치공정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비롯해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측부근까지 동시에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7.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팩,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하부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하부면 중 일부가 상기 포장팩 표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부착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며 하측으로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를 덮으면서 인출구 주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인출구를 개방할 수 있는 개폐필름,
    필름 형태이고 상기 개폐필름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점착제를 통해 상기 개폐필름 하부면에 적층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적어도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측 부근을 덮는 보조밀폐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개폐필름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개폐필름 하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의 외부노출을 차단하기 위해 적용되고,
    개폐필름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개폐필름 하부면 전체에 걸쳐 부착된 상태에서 일부가 절개제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 내에 분리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인출구를 막고 있는 인출구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필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에는 노출유도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 중 상기 노출유도공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이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점착제 중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노출된 지점이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구필름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필름이 상기 점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개폐필름과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고 상기 인출구 내에 위치하되 일측 테두리가 포장팩의 비 절개지점을 통해 포장팩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인출구를 막고 있는 인출구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인출구필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에는 노출유도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 중 상기 노출유도공간과 상하 대응되는 지점이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비 절개지점을 제외한 상기 인출구필름의 테두리와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 간 경계지점을 비롯해 포장팩 중 인출구 테두리 외측 부근까지 동시에 덮고 있는 형태가 되고,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점착제 중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통해 노출된 지점이 상기 노출유도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구필름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개폐필름이 상하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필름은 상기 점착제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개폐필름과 함께 상기 비 절개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슬릿홀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인출구를 비롯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 테두리 외부 부근을 덮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슬릿홀 형태이고,
    상기 인출구 내부 틈새에는 포장팩과 일체로 연결되어 인출구 틈새 양측 테두리를 부분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연결편을 비롯해 상기 인출구 전체를 덮음에 따라 상기 개폐필름의 점착제는 상기 연결편에 비 접착된 상태가 되고,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상기 보조밀폐필름 주변에 상기 연결편보다 넓은 면적 지점이 개폐필름의 점착제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필름이 위쪽으로 젖혀지는 과정에서 해당 접착지점이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연결편이 찢어지면서 상기 인출구가 벌어지게됨에 따라, 인출구가 벌어져 찢어지는 과정에서 찢어짐 경로가 일정하에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 패키지.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일정 면적을 갖는 통공 형태이고,
    상기 보조밀폐필름은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필름 형태이며 상기 개폐필름이 상기 인출구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인출구 내측구간 전체를 비롯해 상기 포장팩 표면 중 상기 인출구의 테두리 외부 부근을 동시에 덮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KR1020180009665A 2018-01-24 2018-01-26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32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8791 2018-01-24
KR1020180008791 2018-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318A true KR20190090318A (ko) 2019-08-01
KR102032043B1 KR102032043B1 (ko) 2019-10-15

Family

ID=6761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665A KR102032043B1 (ko) 2018-01-24 2018-01-26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771A (ko) * 2019-09-04 2021-03-15 이승현 적층별 응집력 차등화를 통한 재점착 라벨 시트지
IT202000017455A1 (it) * 2020-07-17 2022-01-17 Masterpack S P A Foglio per formare un involucro, involucro che lo comprende e processo di produzione di questo involucro
KR102505633B1 (ko) * 2021-10-12 2023-03-02 이승현 적층 단차 조절을 통하여 선택적 점착 블로킹 영역을 구획하는 라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U (ja) * 1992-01-17 1995-01-06 株式会社フクヨー ウエットティッシュ供給キット
JP2007119063A (ja) * 2005-09-29 2007-05-17 Kenji Nakamur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US20150151885A1 (en) * 2012-06-04 2015-06-04 Kao Corporation Package body
JP3206272U (ja) * 2016-06-27 2016-09-08 石田レーベル株式会社 包装用品
KR20170015110A (ko) * 2015-07-29 2017-02-08 이국화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272B2 (ja) * 1994-02-01 2001-09-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U (ja) * 1992-01-17 1995-01-06 株式会社フクヨー ウエットティッシュ供給キット
JP2007119063A (ja) * 2005-09-29 2007-05-17 Kenji Nakamura ウェットシート包装体
US20150151885A1 (en) * 2012-06-04 2015-06-04 Kao Corporation Package body
KR20170015110A (ko) * 2015-07-29 2017-02-08 이국화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JP3206272U (ja) * 2016-06-27 2016-09-08 石田レーベル株式会社 包装用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771A (ko) * 2019-09-04 2021-03-15 이승현 적층별 응집력 차등화를 통한 재점착 라벨 시트지
IT202000017455A1 (it) * 2020-07-17 2022-01-17 Masterpack S P A Foglio per formare un involucro, involucro che lo comprende e processo di produzione di questo involucro
KR102505633B1 (ko) * 2021-10-12 2023-03-02 이승현 적층 단차 조절을 통하여 선택적 점착 블로킹 영역을 구획하는 라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043B1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636B2 (en) Tamper-evident package having a peelable lid
EP1861322B1 (en) Self-venting cover for heatable food package
JP4671675B2 (ja) 易開封性包装体
KR20190090318A (ko) 다중밀폐형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11292654B2 (en) Venting system for ovenable containers
CA3006160C (en) Tamper evident hybrid resealable container
GB2543264A (en) Package
EP3122552A1 (en) A peelable label
EP3085640B1 (en) Package of tobacco-related articles
KR20030059800A (ko) 포장용기를 위한 개방장치
EP3592664B1 (en) A pull tab for a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and container comprising with pull tab
CA2281715C (en) Tape for resealing a pack of flexible articles
WO2001004020A1 (en) A material and method for forming a lid on a package
GB2337243A (en) Package with peelable seal and optional in register pattern
KR102005176B1 (ko) 개폐라벨을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2606A (ko) 포장팩용 개폐스티커 및 이를 갖는 포장팩
KR102184126B1 (ko) 절개라인이 형성된 레이어드 커버 시트 시스템
KR20190065901A (ko) 포장패키지용 개폐라벨과 이를 갖는 포장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TW201627210A (zh) 易開啟式封裝
KR20170128213A (ko) 패키지
JPH0248376Y2 (ko)
WO2019008213A1 (es) Tapa mejorada para envase
GB2564419A (en) Package
GB2526547A (en) Sheet for forming a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