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331A -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331A
KR20190089331A KR1020180007662A KR20180007662A KR20190089331A KR 20190089331 A KR20190089331 A KR 20190089331A KR 1020180007662 A KR1020180007662 A KR 1020180007662A KR 20180007662 A KR20180007662 A KR 20180007662A KR 20190089331 A KR20190089331 A KR 2019008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pplication
input
acceleration sensor
cl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수
송찬호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장성수
송찬호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수, 송찬호, 김선태 filed Critical 장성수
Priority to KR102018000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9331A/ko
Publication of KR2019008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또는 기타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스마트폰의 움직임 좌표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감지부, 상기 스마트폰 내에 좌클릭, 우클릭 버튼과 휠 기능의 입력을 받아오고, 실제 마우스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Wireless mouse Smartphone application with acceleration sensor built in Smartphone or Other devices which have acceleration sensor}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 또는 기타 장치의 가속도센서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컴퓨터 마우스 기능에 대한 것이다.
기존에는 노트북 또는 컴퓨터사용 시 유, 무선 광마우스 또는 스마트폰의 터치패드 방식을 차용한 마우스 기능을 활용하여 이용하였다.
하지만 휴대의 측면에서는 마우스를 항상 구비해야 하거나 터치패드 방식을 차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 마우스의 역할을 구현해야 했다.
터치패드 방식을 차용한 기존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경우에는 좁은 스마트폰 화면의 한계에 따른 마우스 포인터 이동의 불편함, 마우스 포인터 좌표이동 및 클릭 반복의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기존의 기술에는 존재하고 있다.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며 기종에 따라 가속도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부가적인 장치를 활용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를 활용하여 기존의 광마우스, 스마트폰의 터치패드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마우스 포인터 이동 및 클릭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 무선 마우스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그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및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좌표정보를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상에서는 좌, 우클릭 정보를 입력 받는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좌, 우클릭 버튼과 휠이 실제 마우스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며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에서 좌표정보, 클릭정보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기타 장치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그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들이 따로 마우스를 구입하거나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이, 자신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대체하여 비용적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마우스 휴대의 측면에서도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터치패드 방식으로만 존재하던 마우스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단점 중 한 가지인 좌표이동 및 클릭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마우스 어플리케이션 구동 구조(130)는 어플리케이션(131), 입력 감지부(132), 데이터 전송부(133)를 포함한다.
입력감지부(132)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가속도센서를 구비한 장치를 이동시킬 때 그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데이터전송부(13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종합된 마우스 클릭 및 이동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노트북(120)으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어플리케이션(131)은 페이지뒤로버튼(10), 휠버튼(11), 페이지앞으로버튼(12), 좌클릭버튼(13), 우클릭버튼(14)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20: 노트북 또는 PC화면
13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동작 구조
131: 어플리케이션
132: 입력 감지부
133: 데이터 전송부
10: 페이지뒤로 버튼
11: 휠 버튼
12: 페이지앞으로 버튼
13: 좌클릭 버튼
14: 우클릭 버튼

Claims (6)

  1. 스마트폰 내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스마트폰의 움직이는 좌표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감지부;
    상기 스마트폰 내에 좌클릭, 우클릭 버튼과 휠 기능의 입력을 받아오고, 실제 마우스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2. 제1항의 입력감지부와 데이터전송부에 있어서,
    입력감지부와 데이터전송부의 데이터 전송 형태는 유선usb 잭을 연결하는 전송 형태와 무선 BlueTooth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무선 전송 형태;
    입력감지부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 및 기타 장치의 가속도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 화면 내의 좌표데이터 이동 명령을 전달하여 움직임을 유도하는 장치; 및
    데이터전송부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받아온 클릭 및 입력 데이터를 PC 및노트북으로 전달하여 출력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3. 제1항의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은 좌클릭, 우클릭, 휠기능, 휠클릭, 더블클릭, 페이지 앞으로가기, 페이지 뒤로가기 의 입력을 받아오며 가속도센서의 데이터를 불러와 PC 및 노트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장치.
  4. 스마트폰 내에 내장되어 있는 광 센서로부터 마우스의 움직이는 좌표의 정보를 노트북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 내에 좌클릭, 우클릭 버튼과 휠 기능의 입력을 받아오고, 실제 마우스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유무선 마우스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5. 제4항의 전송단계에 있어서,
    좌표 전송부와 입력 전송부의 데이터 전송 형태는 유선usb 잭을 연결하는 전송 형태와 무선 BlueTooth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무선 전송의 단계;
    좌표 전송부는 스마트폰의 광 센서를 기반으로 모니터 화면 내의 좌표를 전달하여 움직임을 유도하는 단계; 및
    입력 전송부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받아온 입력 데이터를 노트북으로 전달하여 출력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6. 제4항의 어플리케이션 단계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은 좌클릭, 우클릭, 휠기능, 휠클릭, 더블클릭, 페이지 앞으로가기, 페이지 뒤로가기 의 입력을 받아 올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KR1020180007662A 2018-01-22 2018-01-22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KR20190089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62A KR20190089331A (ko) 2018-01-22 2018-01-22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62A KR20190089331A (ko) 2018-01-22 2018-01-22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31A true KR20190089331A (ko) 2019-07-31

Family

ID=6747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662A KR20190089331A (ko) 2018-01-22 2018-01-22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3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17B2 (en) Multi-function stylus with sensor controller
US8836653B1 (en) Extending host device functionality using a mobile device
US20110225553A1 (en) Use Of Standalone Mobile Devices To Extend HID Capabilities Of Computer Systems
WO2020181955A1 (zh) 界面控制方法及终端设备
TW201421350A (zh) 於外部顯示裝置上顯示觸控裝置之畫面的方法
JP2006500680A (ja) 3次元手書き認識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3282870A (zh) 用于使外部显示器的使用与移动设备适配的方法和系统
TW201303655A (zh) 無線傳輸觸控筆與觸控顯示系統
US201201543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exchange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remote display
WO2021115103A1 (zh) 显示控制方法和终端设备
CN110244884B (zh) 一种桌面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WO2006016225A2 (en) Embedded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20125405A1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WO2019047129A1 (zh) 一种移动应用图标的方法及终端
KR20120061169A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물 제어시스템
US20120212416A1 (en) External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data and visuals of an input operating interface
TWI475421B (zh) 觸控指令整合方法及觸控系統
WO2018039914A1 (zh) 一种数据复制方法及用户终端
KR20190089331A (ko) 스마트폰 내장 또는 기타장치의 가속도센서 기반 무선마우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KR102288431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이미지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데이터 생성방법
WO2013137357A1 (ja) 携帯端末
US9292107B1 (en) Mobile telephone as computer mouse
US20120026087A1 (en) Movable operation plat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11023054B2 (en) Device case computer mouse
CN105389031A (zh) 一种人机交互的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