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932A -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932A
KR20190088932A KR1020190083052A KR20190083052A KR20190088932A KR 20190088932 A KR20190088932 A KR 20190088932A KR 1020190083052 A KR1020190083052 A KR 1020190083052A KR 20190083052 A KR20190083052 A KR 20190083052A KR 20190088932 A KR20190088932 A KR 2019008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area
module
play
ga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465B1 (ko
Inventor
최명식
석승민
김중기
Original Assignee
(사) 한국디자인정책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 한국디자인정책개발원 filed Critical (사) 한국디자인정책개발원
Priority to KR102019008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4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7Output devices audible, e.g. using a loudspea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영역(110);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어모듈(120); 및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센서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색의 조명이 발산되도록 작동되는 조명부(134)를 구비하는 구동모듈(130);을 포함하며, 상기 놀이영역에는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110)이 배치되어 있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SMART PLAYGROUND AND PLAYGROUND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뛰어놀 수 있는 놀이영역에 동작감지와 조명을 발산하는 다수의 구동모듈을 배치하고, 게임형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제어모듈을 통해 구동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놀이형 게임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놀이시설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습관의 서구화로 인하여 촉발되는 성인병의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현상과 함께 웰빙(Well-being) 붐과 같이 개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데 기인하여, 각종 스포츠 및 레저 활동뿐만 아니라 실내 및 실외운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성장이 진행되는 어린이는 식습관도 중요하지만 만지고 뛰어노는 등의 신체 움직임이 꾸준히 유지되었을 때 신체의 성장이 균형 있게 촉진된다. 그러나 아파트나 공원 등의 놀이시설에는 흥미를 주는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결국 실내에서 컴퓨터 게임이나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특히 컴퓨터 게임은 성장하는 어린이에게는 그 관심이 지나칠 경우 편집증과 같은 정신장애를 유발하는 악영향이 보고되어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성장 중에 있는 어린이가 만지고 뛰어놀며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킴과 동시에 운동효과를 누림으로써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고 성장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놀이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134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뛰어놀 수 있는 놀이영역에 동작감지와 조명을 발산하는 다수의 구동모듈을 배치하고, 게임형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제어모듈을 통해 구동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만지거나 뛰어놀면서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게임적 요소를 도입한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놀이시설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게임을 제공하며 여러 명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마트 놀이시설 및 놀이시설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은, 사용자의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영역(110);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어모듈(120); 및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센서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색의 조명이 발산되도록 작동되는 조명부(134)를 구비하는 구동모듈(130);을 포함하며, 상기 놀이영역에는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110)이 배치되어 있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과 연동하는 제어부(126); 및 상기 게임형 프로그램이 제어 가능한 형태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듈(130)은,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형 구동모듈(130a) 및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폴대형 구동모듈(130b), 구조물에 결합되는 부착형 구동모듈(130c)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놀이영역은,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놀이영역(112);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1 놀이영역의 안쪽에서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2 놀이영역(114); 및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2 놀이영역의 안쪽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제3 놀이영역(11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놀이영역과 제2 놀이영역에는 상기 구동모듈이 짝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3 놀이영역에는 하나의 구동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의 운영방법은, 사용자의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영역(110)과,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어모듈(120)과,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센서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조명부(134)을 구비하며 상기 놀이영역에 다수 개가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을 포함하는 스마트 놀이시설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게임형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단계(S100); 상기 구동모듈의 조명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실행되는 게임형 프로그램의 게임이 출제되는 단계(S200); 상기 구동모듈의 센서를 통해 게임을 해결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놀이영역(110)은,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놀이영역(112)과,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1 놀이영역의 안쪽에서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2 놀이영역(114)과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2 놀이영역의 안쪽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제3 놀이영역(116)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놀이영역과 제2 놀이영역의 구동모듈은 게임의 출제와 해결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놀이영역의 구동모듈은 조명의 점등을 통해 게임의 제한시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은 사용자가 뛰어놀 수 있는 놀이영역에 동작감지와 조명을 발산하는 다수의 구동모듈을 배치하고, 게임형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제어모듈을 통해 구동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는거나 뛰어놀면서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놀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구동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대형 구동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구동모듈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100)은, 사용자가 뛰어놀 수 있는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영역(110);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어모듈(120); 및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제어모듈(120)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조명부(134)가 구비되며, 놀이영역(110)에 다수 개가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100)은 제어모듈(120)을 통해 실행되는 게임이 구동모듈(130)의 조명부(13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출되고,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작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만지거나 뛰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놀이영역(110)을 세분화하고 각각의 놀이영역(112,114)에 다수의 구동모듈(130)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놀이형 게임 및 여러 사람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놀이영역(110)은 사용자가 뛰어놀 수 있는 바닥공간으로, 탄성 포장재로 이루어진다. 놀이영역(110)은 제1 놀이영역(112) 및 제2 놀이영역(124), 제3 놀이영역(126)으로 분할된다. 놀이영역(110)에 인접하는 곳에는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되는 제어모듈(120)이 설치되며, 놀이영역(110)에는 다수의 구동모듈(130)이 배치된다.
제1 놀이영역(112)은 폐곡선의 띠 형태로 구성되며, 제1 놀이영역(112)에는 다수의 구동모듈(13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구동모듈(130)은 제1 놀이영역(112)에서 짝수 개 또는 홀수 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제1 놀이영역(112)에 구동모듈(130)이 짝수 개로 배치되면 제2 놀이영역(114)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의 개수도 짝수 개로 설치된다. 또한, 제1 놀이영역(112)에 구동모듈(130)이 홀수 개로 배치되면 제2 놀이영역(114)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의 개수도 홀수 개로 설치된다. 제1 놀이영역(112)의 내측에는 제2 놀이영역(114) 및 제3 놀이영역(116)이 구비된다.
제2 놀이영역(114)은 제1 놀이영역(112)의 안쪽에서 폐곡선의 띠 형태로 마련된다. 제2 놀이영역(114)에는 짝수 개로 이루어진 다수의 구동모듈(130)이 배치된다. 이때, 제1 놀이영역(112)과 제2 놀이영역(114)은 서로 구분되지 않은 하나의 영역으로 합쳐져 있는 상태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더 많은 놀이영역으로 세분될 수도 있다. 즉, 제3 놀이영역(116)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모듈(130)을 제외한 제1 놀이영역(112)과 제2 놀이영역(114)의 구동모듈(130)은 게임출제 및 게임 해결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제3 놀이영역(116)은 제2 놀이영역(114)의 안쪽 부분을 지칭한다. 제3 놀이영역(116)에는 하나의 구동모듈(130)이 설치된다. 제3 놀이영역(116)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듈(130)은 게임의 진행 또는 게임의 제한시간 표시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3 놀이영역(116)의 구동모듈(130)은 게임의 종류에 따라 게임 해답의 제출 및 게임의 종료를 제어모듈(120)에 전달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모듈(120)은 놀이영역(11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모듈(120)에 저장되어 있는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제어모듈(120)은 구동모듈(130)과 연동함으로써 놀이영역(110)에서 게임이 진행된다. 제어모듈(120)은 본체(121), 카메라(미도시), 디스플레이(122), 제어부(126), 알림부(124)를 구비한다.
본체(121)는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21)의 상, 하단부에 기둥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21) 자체의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체(121)의 상측에는 가림막(미도시)이 설치되며, 가림막의 상단에는 태양빛을 조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열발전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가림막의 태양열발전시스템으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제어모듈(120) 및 구동모듈(130)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체(121)에는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122), 알림부(124), 제어부(126)가 구비된다.
카메라(미도시)는 본체(121)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카메라는 놀이영역(110)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26)를 거쳐 별도의 관제센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이에, 어린아이들이 스마트 놀이시설(100)에서 놀이를 하고 있는 경우에 보호자들은 장소에 관계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을 주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122)는 본체(121)의 전면부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122)는 제어부(126)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이미지화하여 출력하는 장치로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2)를 통해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및 진행, 종료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에는 터치식의 조작 버튼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작버튼은 디스플레이(122)와 인접하게 본체(121)에 별도로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제어부(126)는 본체(121)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모듈의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26)에는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놀이영역(110)의 구동모듈(130)과 연동하도록 작동한다. 제어부(126)에 저장되어 있는 게임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2)를 통해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 디스플레이(122)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이 컨트롤 되면 제어부(126)는 이 작동값을 바탕으로 구동모듈(130)과 상호 연동하게 된다. 제어부(126)는 구동모듈(130)들과 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알림부(124)는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게임 진행에 필요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의 역할로서, 본체(121)에 내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본체(12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알림부(124)는 디스플레이(122)와 함께 제어부(126)로부터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들의 각각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4에는 매립형 구동모듈의 사시도가, 도 5에는 폴대형 구동모듈의 사시도가, 도 6에는 부착형 구동모듈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구동모듈(130)은 제어모듈(120)과 연동하도록 작동한다. 구동모듈(130)은 놀이영역(110)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직접 만지거나 터치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구동모듈(130)은 하우징(131), 센서(미도시), 조명부(134) 및 스피커(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구동모듈(130)은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매립형 구동모듈(130a)과 폴대형 구동모듈(130b), 부착형 구동모듈(130c)로 구분되며, 매립형 구동모듈(130a) 및 폴대형 구동모듈(130b), 부착형 구동모듈(130c)은 하우징(131) 및 하우징(131)에 구비되는 센서, 조명부(134), 스피커(136)의 크기와 모양이 다소 상이할 수는 있으나 같은 작용과 효과를 나타내는 부재이므로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구동모듈(130)의 스피커(136)는 매립형 구동모듈(130a) 및 폴대형 구동모듈(130b), 부착형 구동모듈(130c)에 전부 구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대형 구동모듈(130b)에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31)은 내부의 부품이 설치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매립형 구동모듈(130a) 및 폴대형 구동모듈(130b), 부착형 구동모듈(130c)의 형태에 따라 하우징(131)의 형태가 각각 다르게 제작된다. 매립형 구동모듈(130a)의 하우징(131)은 놀이영역(110)의 바닥에 내장되어 고정된다. 폴대형 구동모듈(130b)의 하우징(131)은 놀이영역(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부착형 구동모듈(130c)의 하우징(131)은 기둥이나 나무, 폴대 등 이미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에 부착하는 형태로 시설물에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부착형 구동모듈(130c)은 기존 시설물에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시설물을 감싸 고정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하우징(1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하우징(131)을 손이나 발로 터치함으로써 작동한다. 센서는 터치센서나 충격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센서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센서는 이 감지여부를 제어부(126)에 전달하도록 작동한다.
조명부(134)는 하우징(131)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색깔의 조명을 발산하도록 작동한다. 하우징(131) 내부에서 발산되는 조명부(134)의 조명은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반사판(미도시)를 통해 하우징(131) 외부로 방출된다. 조명부(134)는 LED 소자가 사용되며, 하우징(131)안에는 다수의 LED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LED 소자는 한 번에 점등될 수도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으며, 원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조명부(134)의 작동은 제어부(126)를 통해 컨트롤 된다.
스피커(136)는 하우징(131)에 설치되어 제어부(12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표출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스피커(1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듈(130a) 및 폴대형 구동모듈(130b), 부착형 구동모듈(130c)에 전부 구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대형 구동모듈(130b)에만 적용될 수 있다.
덧붙여, 놀이영역(1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은 매립형 구동모듈(130a) 및 폴대형 구동모듈(130b), 부착형 구동모듈(130c)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듈(130)들의 설치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도 있고 손으로 터치할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매립형 구동모듈(130a)과 폴대형 구동모듈(130b), 매렵형 구동모듈(130a)과 부착형 구동모듈(130c), 폴대형 구동모듈(130b)과 부착형 구동모듈(130c)이 각각 짝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20) 및 구동모듈(130)은 실외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생활 방습이나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게 제작된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놀이시설의 운영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모듈의 게임형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제어모듈(120)의 제어부(126)에는 다양한 종류의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게임의 종류는 디스플레이(1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사용자는 조작버튼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122)에 출력되는 다양한 게임들 중 한 가지를 선택한다. 게임의 종류는 '기억력겨루기', '자리뺏기', '땅따먹기', '청기백기'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게임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에 의해 게임이 선택되면, 구동모듈(130)의 조명부(134)을 통해 제어모듈(120)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게임이 출제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이때, 게임의 종류에 따라 게임 문제의 출제는 조명부(134) 및 제어모듈(120)의 알림부(124), 구동모듈(130)의 스피커(136)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억력겨루기' 게임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제어모듈(120)의 알림부(124)(128)를 통해 "기억력겨루기를 시작합니다."와 같이 게임 시작을 음성으로 알려준다. 게임이 시작되면 놀이영역(110)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모듈(130) 중 일부 구동모듈(130)의 조명부(134)가 점등하게 된다. 이때, 일부의 구동모듈(130)은 랜덤으로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동모듈(130)의 조명이 점등하고 나면 사용자는 점등된 구동모듈(130)의 위치를 기억한 후 다시 그 구동모듈(130)을 찾아내면 된다. 한편, 구동모듈(130)은 다양한 색의 조명을 발산할 수 있으며 발산되는 조명의 색깔을 순서대로 기억한 후 그 순서대로 해당 구동모듈(130)을 찾는 식으로 게임이 진행될 수도 있다.
'자리뺏기' 게임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제어모듈(120)의 알림부(124) 또는 구동모듈(130)의 스피커(136)를 통해 "자리뺏기를 시작합니다."와 같이 게임 시작을 음성으로 알려준다. 게임이 시작되면 게임에 참여한 사람의 수보다 하나가 적은 개수의 구동모듈(130)의 조명이 발산된다. 사용자들은 놀이영역(110)을 돌아다니다 알림부(124)나 스피커(136)를 통해 "잡아!"라는 멘트가 나오게 되면 조명이 발산하는 구동모듈(130)을 먼저 터치하여 한명씩 탈락시키는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땅따먹기' 게임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제1 놀이영역(112)과 제2 놀이영역(114)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모듈(130)은 정확히 반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모듈(120)의 알림부(124)나 구동모듈(130)의 스피커(136)를 통해 "땅따먹기를 시작합니다."와 같이 게임 시작을 음성으로 알려준다.
'청기백기' 게임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제어모듈(120)의 알림부(124)나 구동모듈(130)의 스피커(136)를 통해 "청기백기를 시작합니다."와 같이 게임 시작을 음성으로 알려준다. 게임이 시작되면 다수의 구동모듈(130)은 각각 초록, 파랑, 빨강색의 조명을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알림부(124) 또는 구동모듈(130)의 스피커(136)를 통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문제를 제출한다. 예를 들어, 청기백기게임의 문제는 '초록색 누르고 파란색 누르지마', '파란색 누르지 말고 빨간색 누르고 초록색 누르지마'와 같이 출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모듈(130)의 조명부(134)이나 스피커(136), 제어모듈(120)의 알림부(124)를 통해 게임 문제가 출제가 되고 나면, 그 다음으로 구동모듈(130)의 센서를 통해 게임을 해결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먼저, '기억력겨루기' 게임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문제 출제를 위해 랜덤의 구동모듈(130)이 점등하고 나면, 사용자는 점등이 이루어진 구동모듈(130)을 찾아 터치를 하거나, 초록색이나 파랑색, 빨강색으로 발산되는 조명부(134)의 점등 순서대로 구동모듈(130)을 찾아 터치를 하여 게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때, 제3 놀이영역(116)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모듈(130)은 다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조명부(134)을 통해 빛을 점등함으로써 게임의 문제풀이에 대한 제한시간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주게 된다.
'자리뺏기' 게임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알림부(124)나 스피커(136)를 통해 "잡아"라는 멘트가 나오게 되면, 사용자들은 각각 하나씩의 구동모듈(130)을 터치하여 자리를 선점하게 된다. 이때, 조명이 발산되는 구동모듈(130)은 사용자의 숫자보다 한 개가 적게 구동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한 게임당 한명의 탈락자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방식의 계속적인 게임이 진행에 따라 최종 우승자를 가리게 된다.
'땅따먹기' 게임의 경우, 놀이영역(110)의 구동모듈(130)의 조명부(134)로부터 발산되는 색이 반으로 갈린 상태에서 게임시작을 알리는 음성이 나오게 되면, 두명의 플레이어는 상대방의 구동모듈(130)을 재빨리 터치한다.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구동모듈(130)의 조명부(134)는 다른 색으로 바뀌어 조명을 발산하게 된다. 이렇게 정해진 시간 안에 구동모듈(130)의 색을 많이 바꿔 놓는 사람이 승리하게 된다. 이때, 제3 놀이영역(116)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모듈(130)은 다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조명부(134)를 통해 조명을 점등함으로써 게임의 제한시간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주게 된다. 또한, 제3 놀이영역(116)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모듈(130)을 터치하게 되면 패널티를 받게 제어될 수도 있으며, 패널티는 자신이 확보한 구동모듈(130)의 일부를 상대방에게 뺏기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청기백기' 게임의 경우, 구동모듈(130)을 통해서 초록색이나 파랑색, 빨강색의 조명을 각각 발산하는 상태에서, 알림부(124)나 스피커(136)를 통해서 '초록색 누르고 파란색 누르지마', '파란색 누르지 말고 빨간색 누르고 초록색 누르지마'와 같은 문제가 출제되면 사용자는 출제되는 문제의 지시에 따라 구동모듈(130)을 터치하게 되며, 문제출제와 구동모듈(130)의 터치 정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기게 된다. 이때, 다수의 사용자가 같이 경쟁하게 될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일정 구역이 구동모듈(130)이 지정되며 동일한 문제를 듣고 게임을 진행한 후 점수를 보고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스마트 놀이터 110:놀이영역
112:제1 놀이영역 114:제2 놀이영역
116:제3 놀이영역 120:제어모듈
122:디스플레이 126:제어부
128:알림부 130:구동모듈
130a:매립형 구동모듈 130b:폴대형 구동모듈
130c:부착형 구동모듈 134:조명
136:스피커

Claims (3)

  1. 사용자의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영역(110);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어모듈(120); 및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센서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색의 조명이 발산되도록 작동되는 조명부(134)를 구비하는 구동모듈(13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과 연동하는 제어부(126); 및 상기 게임형 프로그램이 제어 가능한 형태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22);를 포함하고,
    상기 놀이영역에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130)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듈(130)은,
    사용자가 발로 밟아 터치할 수 있도록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형 구동모듈(130a) 및 사용자가 손으로 터치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폴대형 구동모듈(130b), 사용자가 점프하여 터치할 수 있도록 구조물에 결합되는 부착형 구동모듈(130c)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놀이영역은,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놀이영역(112);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1 놀이영역의 안쪽에서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2 놀이영역(114); 및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2 놀이영역의 안쪽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제3 놀이영역(11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놀이영역과 제2 놀이영역에는 게임출제 및 게임해결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모듈(130)은 제1 놀이영역(112)에서 짝수 개 또는 홀수 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놀이영역(112)에 구동모듈(130)이 짝수 개로 배치되면 제2 놀이영역(114)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의 개수도 짝수 개로 설치되며,
    또한, 제1 놀이영역(112)에 구동모듈(130)이 홀수 개로 배치되면 제2 놀이영역(114)에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의 개수도 홀수 개로 설치되며,
    상기 제3 놀이영역에는 게임의 종류에 따라 게임 해답의 제출 및 게임의 종료를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하나의 구동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놀이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형 구동모듈에는 스피커(136)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놀이시설.
  3. 사용자의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영역(110)과, 놀이형 게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어모듈(120)과,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는 센서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조명부(134)을 구비하며 상기 놀이영역에 다수 개가 설치되는 구동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130)은, 사용자가 발로 밟아 터치할 수 있도록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형 구동모듈(130a) 및 사용자가 손으로 터치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폴대형 구동모듈(130b), 사용자가 점프하여 터치할 수 있도록 구조물에 결합되는 부착형 구동모듈(130c)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스마트 놀이시설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의 게임형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단계(S100);
    상기 구동모듈의 조명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게임이 출제되는 단계(S200);
    상기 구동모듈의 센서를 통해 게임을 해결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며,
    상기 놀이영역(110)은,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놀이영역(112)과, 다수의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1 놀이영역의 안쪽에서 띠 형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2 놀이영역(114)과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제2 놀이영역의 안쪽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제3 놀이영역(116)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놀이영역과 제2 놀이영역의 구동모듈은 게임의 출제와 해결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놀이영역의 구동모듈은 조명의 점등을 통해 게임의 제한시간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놀이시설 운영방법.
KR1020190083052A 2019-07-10 2019-07-10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KR10202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052A KR102020465B1 (ko) 2019-07-10 2019-07-10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052A KR102020465B1 (ko) 2019-07-10 2019-07-10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893A Division KR20180123782A (ko) 2017-05-10 2017-05-10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932A true KR20190088932A (ko) 2019-07-29
KR102020465B1 KR102020465B1 (ko) 2019-11-04

Family

ID=6748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052A KR102020465B1 (ko) 2019-07-10 2019-07-10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181B1 (ko) 2022-02-15 2022-06-22 홍석진 사용자 참여형 스마트 놀이시설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479A (ko) 2010-04-09 2011-10-17 박창수 게임적 요소를 도입한 어린이 놀이시설 및 그 시설운영방법
KR20140062784A (ko) * 2012-11-15 2014-05-26 (주)태용로드앤키즈랜드 놀이터용 발광다이오드 조명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479A (ko) 2010-04-09 2011-10-17 박창수 게임적 요소를 도입한 어린이 놀이시설 및 그 시설운영방법
KR20140062784A (ko) * 2012-11-15 2014-05-26 (주)태용로드앤키즈랜드 놀이터용 발광다이오드 조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465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145B2 (en) Rhythm rope
US20080139307A1 (en) Simulated Experience Apparatus, Energy Consumption Calculation Method, Squatting Motion Detection Apparatus, Exercise Assist Apparatus, Animation Method, Exercis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thletic 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Reflexes Ability Measurement Apparatus, And Audio-Visual System
US10398968B2 (en) Multi-mode controlled acousto-optic interaction infant game mat with logic and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function
EP2889110B1 (en) Dart game system
DK2276407T3 (en) Therapeutic training apparatus
US20080293470A1 (en) Electronic outdoor game apparatus
US8182373B2 (en) Hockey training device
JP2014233375A (ja) パチンコ遊技機
TWI693091B (zh) 輸出事件效果的飛鏢遊戲裝置
JP2008183254A (ja) 遊技機
US20190075864A1 (en) Interactive clothing item with choreagraphy system through lighting and audio
US20090221337A1 (en) Physical activity-promoting game utilizing networked modules
JP2000202086A (ja) 競技デ―タ表示装置
KR20180123782A (ko)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KR20190088932A (ko)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US1113783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the provision and application of modular interactive visual display surfaces
EP1769830A1 (en) Game machine
JP2019093233A (ja) 遊技機
GB2503679A (en) A programmable visual training aid for swimmers
JP2019093234A (ja) 遊技機
JP2019093235A (ja) 遊技機
US2021038371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o develop infant hand-eye coordination and spatial awareness while interacting with a caretaker
US20190038935A1 (en) Exercise game and apparatus employing color-changing base locations
JP2001017738A (ja) ゲーム装置
JP5259872B1 (ja) 遊技機枠の透明板ユニットおよびパチンコ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