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629A - 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 - Google Patents

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629A
KR20190088629A KR1020180006922A KR20180006922A KR20190088629A KR 20190088629 A KR20190088629 A KR 20190088629A KR 1020180006922 A KR1020180006922 A KR 1020180006922A KR 20180006922 A KR20180006922 A KR 20180006922A KR 20190088629 A KR20190088629 A KR 20190088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frame
hammer
key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8338B1 (en
Inventor
박장원
Original Assignee
박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원 filed Critical 박장원
Priority to KR102018000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338B1/en
Publication of KR20190088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6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which improves assembly and precision of a digital piano, and improves stability, touch feel, and durability of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ybrid keyboard structure for a digital keyboard instrument comprises: a fram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f a uniform size, allowing keys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ing a hammer insertion protrusion allowing a hammer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an area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limiting unit formed on an area to limit a left and a right movement when pressing the keys; the key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to be touched by a performer to realize a sound, and provided with a limit protrusion unit protruding downwards from an area thereof to be inserted into the limit unit when pressed to limit a left and a right movement when pressed; a touch sensor which is installed on an area of a lower portion of the keys, has three protrusion units excluding an outer wall, and realizes a sound by bringing a contact unit arrang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stalled on an area of the frame and one or more among the three protrusion unit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keys and the frame when pressing the keys; and a hammer which is bent in multiple stages in a prescribed length to have a prescribed inclination angle to slide and come in contact with the keys,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by pressing the keys, has a heavy weight unit to be pressed and rotate in a state of applying a load to the keys when the keys are pressed, and returns to an original position by the heavy weight unit when the keys are released.

Description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key structure for a digital keyboard instrument,

본 발명은 디지털 피아노용 건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반의 안정성, 터치감, 내구성 및 연주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반의 터치 시의 터치 센서를 개선하고, 해머, 건반 및 프레임과의 결합부를 개선한 디지털 피아노용 건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for a digital piano,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board for a digital piano, in which a touch sensor at the time of touch of a keyboard is improved to improve the stability, touch feeling, durability and playability of the keyboard, A keyboard for a digital piano.

어쿠스틱 악기들에 대해서, 그 음을 디지털화하여 구현하는 디지털 악기가 개발되어 현재는 크게 대중화되고 있다. 이 중, 건반악기인 피아노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현의 소리가 아닌 전자 음향으로 연주를 하는 디지털 피아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For acoustic instruments, a digital instrument that digitizes and implements the sound has been developed and is now becoming popular. Of these, digital pianos, which play electronic sounds instead of direct string sounds, are widely used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어구스틱 피아노의 경우, 건반을 누름에 따라서 해머가 현을 타격 시 발생하는 소리로 음을 생성하나, 디지털 피아노는 건반에 대응하는 전자음을 회로상에 저장하고, 건반을 누르면 그 누름힘에 따라서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연결됨에 따라서 음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guitar stick piano, a hammer generates a sound with a sound generated when a string is struck as a key is pressed, but a digital piano stores an electronic sound corresponding to a keyboard on a circuit, So that a sound is generated as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이와 같이 센싱에 의하여 음을 디지털적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디지털 피아노는 피아노 사운드뿐 아니라 다른 악기의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어 매우 범용적이고, 또한 그 크기도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 등에 비하여 매우 작은 동시에, 가격이 저렴하여 연주 및 학습용으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Since the sound is digitally generated by the sensing, the digital piano can generate not only the piano sound but also the sound of the other musical instrument. Therefore, the digital piano is very general, and its size is very small compared with the acoustic grand piano, And is popularly used for playing and learning.

그러나 디지털 피아노의 경우, 그 터치감 및 복원감이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하여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즉, 어쿠스틱 피아노의 경우, 건반을 누를 때 해머, 댐퍼 및 현의 상호 작용에 따른 독특한 터치감이 있는데, 이러한 피아노의 터치감은 연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digital piano,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sense of touch and the sense of restoration are not as good as those of an acoustic piano. That is, in the case of an acoustic piano, there is a unique touch feeling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hammer, the damper and the string when the key is pressed. Such a touch feeling of the piano is considered to be one of important factors in performance.

그러나 디지털 피아노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과의 접점에 대한 접촉의 센싱에 따라서 디지털적으로 음을 생성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해머 및 댐퍼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어쿠스틱 피아노와 그 건반의 누름힘에 대한 저항이 차이가 클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서 터치감 역시 어쿠스틱 피아노와 많이 다른 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digital piano, since a sound is digitally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sensing of a contact with a contact point with a board as described above, it is basically unnecessary to apply a hammer and a damper,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acoustic piano and the keyboard The difference in resistance between the acoustic piano and the acoustic piano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acoustic piano.

그러나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바, 최근에는 디지털 피아노에서도 어쿠스틱 피아노와 유사한 터치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the touch feeling of the acoustic piano is very important in the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Recently,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o have a touch feeling similar to an acoustic piano in a digital piano.

이에 따라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880호 및 한국 등록특허 제10-1594887호 등에서는, 해머 및 건반과 프레임 간의 회동 구성을 통해서, 디지털 피아노에서도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느낄 수 있는 터치감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Accordingly,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8-0004880 and Korean Patent No. 10-1594887, a touch feeling that can be felt in an acoustic piano in a digital piano is realized through a rotation structure between a hammer and a keyboard and a frame I am posting the technology for.

그러나 상술한 기존의 기술들에 의해서도,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구현할 수 있었던 섬세하고 다양한 건반의 연주 방식에 따른 터치 센싱 및 음의 구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터치감을 개선하긴 했으나 그 연주의 세밀함을 향상시키지는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반의 분리가 매우 까다로워, 건반 및 프레임 내부의 인쇄회로기판 등에 대한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However, even with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it is impossible to realize the touch sensing and the sound according to the delicate and various playing methods of the keyboard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acoustic piano. Thus, although the touch feeling is improved, There was a problem. Also,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keyboard,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keyboar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nside the frame.

또한, 디지털 피아노의 외형을 제작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큰 금형을 이용하여 외형을 제작한 뒤, 이를 디지털 피아노 제작 장소에 운반하고, 이로부터 피아노를 제작하여 왔기 때문에, 큰 크기의 외형 제작을 위한 비용 및 시간의 소모에 따른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the external shape of the digital piano, the outer shape is conventionally manufactured by using a large mold, and then the piano is manufactured from the digital piano manufacturing site. Therefore, The problem of time consumption has been pointed out.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건반의 안정성, 터치감 및 내구성이 향상된 동시에, 건반에 대한 세밀한 연주 및 연주 방식에 따른 음의 다양한 생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연주의 세밀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improving the stability, touch feeling and durability of a keyboar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건반의 프레임을 수용하여 디지털 피아노의 외면을 형성하는 건반틀의 제조 용이성을 극대화하고, 정밀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디지털 피아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극대화하여 디지털 피아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asiness of manufacturing a key frame for accommodating a frame of a keyboard to form an outer surface of a digital piano and enable precise assembly,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digital piano and maximizing the stability of the digital piano There are other purposes to improve the.

또한, 본 발명은 건반의 분리를 매우 용이하도록 하여, 건반에 대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that facilitates the separation of the keyboard and facilitates maintenance on the keyboard.

또한, 본 발명은 건반을 누름에 따른 자연스러운 감촉과 터치감을 주고, 안정적인 터치와 내구성이 향상된 건반 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providing a natural touch feeling and a sense of touch according to depression of a keyboard, and a key structure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durabilit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는, 균일한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에 일정간격으로 건반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 영역에 해머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해머끼움돌기 및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갖는 프레임; 연주자에 의하여 터치됨으로서 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영역에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상기 제한부에 삽입되어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부 돌출된 제한돌출부를 갖는 건반; 상기 건반의 하부 일 영역에 외벽을 제외하고 3개의 돌출부를 갖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상기 건반과 상기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서 프레임의 일 영역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접점부와 상기 3개의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이 접촉되어 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일정 길이로 다단 절곡 형성되어 건반에 미끌림 접촉하면서 상기 건반의 누름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중량부를 갖음으로써 건반의 누름 시 가압되면서 건반에 하중을 가하는 상태로 회동하며, 건반의 누름 해제 시 상기 중량부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된 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hybrid keyboard structure for a digit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board having a uniform size accommodation space, A hammer fitting protrusion which can be engaged with a hammer in one area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restricting part formed in one area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keyboard in the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And a restricting protrusion protruded downwardly so as to be pivotally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realize sound by being touched by a player and to be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portion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in one area, keyboard; A contact portion dispos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one area of th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board and the frame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A touch sensor provided to enable at least one of the three protrusions to contact to implement a sound;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and being slidably contacted with the keyboard while be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keyboard while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ame in response to the depression of the keyboard and having a weight portion to apply a load to the keyboard And a hammer which is rotat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by the weight when the key is released from being released.

본 발명에 의하면, 3개의 돌출부를 갖는 터치 센서와 해당 센서에 접점됨에 따라서 음을 구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서, 기존의 디지털 피아노의 음 구현보다 더욱 세밀하고 다양한 연주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돌출부는 건반의 회동에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이 접점부와 접촉되는 개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 개수에 따라서 프로세서에 의하여 서로 다른 음의 강약을 구현하거나, 이에 더하여 다양한 색의 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iner and more detailed playing method than a conventional sou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piano through a touch sensor having three protrusions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implements sounds according to contact with the sensor. In other words, since the number of the three projecting portion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tac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 the contac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board, different intensities can be realized by the process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various colors of sound can be realized.

또한, 프레임과의 회동 축인 핀에 걸림되도록 건반을 구현하고, 건반의 몸체와 체결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건반의 몸체 손상 시 몸체만을 교체하거나, 내부 점검 시 건반 전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디지털 피아노의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eyboard can be detached from the pin, which is a pivoting axis with respect to the frame, the body and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keyboar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replace only the body when the body of the keyboard is damaged, , The maintenance of the digital piano is very easy.

한편, 건반 측면을 나무로 하고, 프레임의 경우 합성 수지제로 구현함으로써, 건반에 대해서는 감촉이 자연스럽고 따뜻한 느낌의 터치감을 제공하며, 프레임의 경우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de of the keyboard is made of wood and the frame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touch feeling of the keyboard is natural and warm, and the frame is stable and dur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스위치의 일부 구성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머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버 캡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이 설치된 전체 평면도 및 정면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hybrid keyboard structure for a digit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pecific view of the area A in FIG. 2; FIG.
4 is a partial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astic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op view and side view of a ham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rbor cap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overall plan view and front view of a keyboard of a digital pian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hybrid key structure for a digit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n equivalent invention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을 추가, 생략, 축소 및 확대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각 구성의 형태 및 크기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을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ollowing drawings are added, omitted, reduced, and enlarg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not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스위치의 일부 구성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머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버 캡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이 설치된 전체 평면도 및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피아노의 배면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동시에 다수의 도면이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FIG. 2 is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a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ha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ha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keyboard of a digital pian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 of a back surface of a digital pian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는, 프레임(100), 건반(200), 터치 센서(300) 및 해머(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a hybrid keyboard structure for a digit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 keyboard 200, a touch sensor 300, and a hammer 400 .

먼저 프레임(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의 음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크기의 수용공간(110)을 갖고 있으며, 수용공간(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건반(2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수용공간(110)의 일 영역에는 해머(40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해머끼움돌기(120)가 형성되어 있고, 일 영역에는 건반(200)의 누름 시 건반(200)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미도시)를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7, the frame 100 has a receiving space 110 having a uniform size as shown in FIG. 7, and the receiving space 110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And a hammer insertion protrusion 120 is formed in one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so that the hammer 400 can be engaged with the hammer insertion protrusion 120. In one area, (Not shown) that restricts the lateral movement of the keyboard 200 when the keyboard 200 is pressed.

본 발명에서 제한부는 예를 들어 디지털 피아노를 구성하는 건반 중 하얀색 건반 및 검은색 건반(정음 및 반음 건반)을 정확하게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100)의 외형을 의미하거나, 후술할 건반(200)의 제한돌출부(202)가 수용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The limi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the frame 100 for accurately accommodating a white key and a black key (quiet and semitone keys) of the keys constituting the digital piano, It may mea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rusion 202 is accommodated.

프레임(100)은 또한, 디지털 피아노를 구성하는 건반(200), 해머(400) 및 인쇄회로기판부재(330)를 포함하는 각 구성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전체적인 틀을 의미하는 골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100)은 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frame 100 can also be understood as a skeleton that is meant to mean an overall frame provided to assemble each configuration including the keyboard 200, the hammer 40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member 330 constituting the digital piano. ha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ensure stability and durability.

해머끼움돌기(120)는 도 1에 내부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해머(400)의 회동 결합부(430)가 끼워지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해머끼움돌기(120)는 해머(400)가 회동 결합부(430)에 의하여 프레임(100)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영역에 형성된 돌기형의 리세스(recess)된 끼움 가능한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lthough the hammer-insertion protrusion 120 is shown in FIG. 1 as an internal construc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hammer-insertion protrusion 120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430 of the hammer 400 shown in FIG. 5 is inserted. That is, the hammer fitting protrusion 120 means a projecting recessed fitting structure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hammer 400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frame 100 by the pivotal engagement portion 430 ≪ / RTI >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틀(101)에 설치됨으로써 유저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터치할 수 있는 높이에 건반(200) 및 프레임(100)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건반틀(101)은 일견 디지털 피아노의 외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부에 상술한 프레임(100)이 설치되도록 하여, 프레임(100)에 설치된 건반(200)이 기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프레임(100)에 수용되지 못하는 디지털 피아노의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시되는 다양한 부재를 내부의 캐비티 내부에 수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8, th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key frame 101 so that the keyboard 200 and the frame 100 are positioned at a height that the user can touch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chair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frame 101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digital piano, and at the same time, the above-described frame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key frame 101 so that the keyboard 200 provided on the frame 100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건반틀(101)은 보통 금형을 통해 제조되는데, 디지털 피아노의 크기 때문에 매우 큰 외형을 갖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금형 제작 비용 및 건반틀(101) 외형의 운반에 소요되는 기간 및 비용이 매우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key frame 101 is usually manufactured through a mold, which must be manufactured to have a very large external shape due to the size of the digital piano.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ld and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arrying the outer shape of the key frame 101 are greatly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의 건반틀(10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이 서로 건반의 음 방향(즉 후술하는 핀(1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 및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key frame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1013 are arranged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keybo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30).

이때 각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 간의 결합 영역(B)를 참조하면,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 간의 견고하고 정밀한 결합을 위해서,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에는 각 인접된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 사이를 결합하는 유닛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the coupling area B between the sub-keyframe units 1011, 1012, 1013, sub-keyframe units 1011, 1012, 1013 are provided for rigid and precise coupling between sub- , 1013 may include a unit coupling unit for coupling between adjacent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1013. [

유닛 결합부는 구체적으로, 도 8의 C 영역을 구체화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아,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 하나마다 세트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의 좌우 단측 중 일 단측에 형성되면서,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d1에서 d2로 증가되도록 형성된 끼움 돌기(1011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nit coupling unit is configured as one set for each of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as shown in Fig. 9 that embodies the C area of Fig. 8, 1013 and 1013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and has a width d1 in the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Lt; RTI ID = 0.0 > 1012 < / RTI >

이에 대응되어, 유닛 결합부는 또한,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의 좌우 단측 중 끼움 돌기(10112)가 형성된 일 단측에 대향되는 다른 단측에 끼움 돌기(10112)와 동일한 위치에 끼움 돌기(10112)에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 돌기(10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으로부터 함몰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 홈(10122)을 포함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unit engaging portion is also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on the other end side opposite to one end side of the left and right end sid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1013 where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is formed, 1012, and 1013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so as to be fitted to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결합부를 포함하는 라인(10111, 10121)의 구성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에 있어서 메인 바디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은 나무 재질로 라인(10111, 10121)의 구성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예는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라인(10111, 10121)의 재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인(10111, 10121)에서 형성된 끼움 돌기(10112) 및 끼움 홈(10122)의 구성끼리 서로 끼움 결합될 시에, 정확하고 정밀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Specifically,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s 10111 and 10121 including unit coupling portions as shown in FIG. 9 is such that the sub key frame units 1011, The units 1011, 1012, and 1013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may be made of wood and the lines 10111 and 10121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materials of the lines 10111 and 10121 are formed so as to be accurately and precisely fixedly engaged when the components of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and the fitting groove 10122 formed in the lines 10111 and 10121 are fitted to each other Any material will be possible.

또한 예를 들어,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라인(10111, 10121)의 두께는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끼움 돌기(10112) 및 끼움 홈(10122) 사이의 끼움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 사이가 더욱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are form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lines 10111 and 1012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1012 and 1013 can be more precisely and stably engaged by further increasing the fitting force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and the fitting groove 10122 .

또한, 끼움 홈(10122)와 끼움 돌기(10112)의 폭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에서 d2로 변화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끼움 돌기(10112)의 폭이 끼움 홈(10122)보다 더 크도록 구성되어, 끼움 돌기(10112)가 끼움 홈(10122)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결합력이 더욱 커지도록 할 수 있다.9, the width of the fitting groove 10122 and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are changed from d1 to d2 as shown in Fig. 9.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is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fitting groove 10122 And the fitting protrusion 10112 is configured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0122, so that the coupling force can be further increased.

이와 같은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의 결합을 통해서 건반틀(101)을 구성하게 되면, 건반틀(101)을 일체로 금형하여 제작 시 운반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즉, 건반의 사이즈에 받도록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의 개수를 정하고, 비교적 소형의 사이즈인 서브 건반틀 유닛(1011, 1012, 1013)을 용이하게 운반하여 제작 장소에서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매우 향상되고 그 결합 정밀성 역시 크게 향상되어, 디지털 피아노 제작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key frame 101 is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ub-key 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the key frame 101 is integrally molded so that in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can be completely eliminated. That is, the number of the sub-key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is determined so as to receive the size of the keyboard, and the sub-keyframe units 1011, 1012, and 1013 having relatively small sizes are easily transported and combined at the production site As a result, the assemblability is greatly improved and the coupling precision is greatly improved, thereby sav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of the digital piano.

한편 건반(200)은 연주자에 의하여 터치 및 누름됨으로써, 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건반(200)의 누름 시 상술한 제한부에 삽입되어 건반의 누름 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부 돌출된 상술한 제한돌출부(202)를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Meanwhile, the keyboard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100 so as to be able to implement sound by being touched and pressed by the player, and is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restricting portion when the keyboard 200 is pressed, The above-mentioned limiting protrusion 202 protruding downward so as to be limited.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건반(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음의 하얀 건반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며, 반음을 구현하는 검은 건반(210) 역시 건반(200)과 크기와 미세한 구성적 차이가 있을뿐, 본 발명의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하는 구성은 동일하게 채용될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keyboard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white key of a still note as shown in FIG. 1, and a black key 210 implementing a half tone also has a slight difference in configuration and size from the keyboard 200 , And th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opted in the same manner,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반(200)은 구체적으로, 제한 돌출부(202)가 저부(즉 아래 방향 또는 누름 방향)에 형성되면서, 누름 시 수용 공간(110)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201)와, 몸체의 일 단측에 형성되어 건반(200)의 외형을 결정하는 마감부(205)를 포함한다.1 and 2, the keyboard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imiting protrusion 202 is formed at the bottom (that is, downward or in the depressing direction) And a finishing unit 205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determine the external shape of the keyboard 200. [

또한, 건반(200)의 일 영역에는 동일하게 저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해머(400)의 프레임(100)과의 회동 결합부(430)의 일 측에 형성된 해머(400)의 지지 영역(410)과 미끌림 접촉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건반(200)에 대한 누름힘에 의하여 해머(400)가 회동 결합부(430)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해머 누름부(206)를 포함한다. The supporting area 410 of the hammer 400 formed on one side of the pivotal coupling part 430 of the hammer 400 with respect to the frame 100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keyboard 200, And a hammer pressing part 206 for applying a turning force to rotate the hammer 400 about the pivotal engaging part 430 by a pressing force against the keyboard 200. As shown in FIG.

또한, 건반(200)의 마감부(205)와 다른 단측에는, 몸체(201)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건반(200)의 회동축이 되는 프레임(100)의 핀 체결부에 설치된 핀(130)에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부(204)가 형성된 체결부(203)가 포함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keyboard 200 is connected to the body 201 so that the key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1. The key 200 is provided with a pin And a fastening part 203 having a fastening part 204 to be engaged with the fastening part 130.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201) 또는 건반(200) 전체 구성의 측면 또는 외면은 나무 재질로 구성되어, 터치 시 따뜻한 터치감을 주고 누름 감촉이 자연스럽도록 구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side or outer surface of the body 201 or the keyboard 200 is made of a wood material, so that a warm touch feeling when touching and a natural touch feeling can be formed.

본 발명에서 핀(130)은 건반(20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즉 상술한 음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핀 체결부로 인하여 가이드되면서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건반(200, 210)의 체결부(203)가 걸림부(204)를 통해 걸림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실질적으로 건반(200)의 회동 운동에서의 회동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핀(130)은 일체형의 바(bar)로서 구성되어 프레임(100) 전체적으로 하나의 핀으로 구현되거나, 각 건반(200)마다 분리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핀의 그룹을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 130 is formed to be lo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200, that is, in the above-mentioned scales, and is inserted and installed by being guided by the pin fastening portion of the frame 100, The engaging portion 203 of the plurality of keys 200 and 21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04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204 engages with the engaging portion 204 of the key 200, . In this case, the pin 130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bar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pin as a whole of the frame 100,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ups of pins arranged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each key 200 Can be understood.

해머 누름부(206)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해머(400)에 회동력(누름힘)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건반(200)과 해머(400)의 회동축 배치 관계 및 누름 힘 방향 관계에 의하여, 건반(200)의 회동 방향과 반대로 해머(400)가 회동하도록 회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The hammer pressing part 206 is shown in FIG. 2 and performs a function of imparting a turning force (pressing force) to the hammer 400 substantially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turning force can be given to rotate the hammer 4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keyboard 200, by virtue of the pivoting axis arrangement relationship and the pressing force dir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keyboard 200 and the hammer 400. [

또한 건반(200)의 자연스러운 누름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머 누름부(206)는 해머(400)의 지지 영역(410)에 대해서 미끌림 접촉되도록 하여, 회동력이 부여되어 해머(400)와 건반(200)이 상대회동함에 따라서 이동되는 접촉점에 따라서 미끌림되면서 지속적으로 회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ammer 400 is slida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area 410 of the hammer 400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hammer 400 to implement the natural pressing of the keyboard 200, And the keyboard 200 are slid along the contact point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ve rotation.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400)의 지지 영역(410)에는, 지지 영역(410) 및 해머 누름부(206)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 영역(410)을 감싸도록 해머(400)의 지지 영역(410) 측 단측에 까움 결합되는 해머 캡(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캡(440)에는 일정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해머 누름부(206) 역시 외부로부터 공간을 통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6, the support area 410 of the hammer 400 is provided with a hammer 400 (not shown) to surround the support area 410 to prevent the support area 410 and the hammer presser part 206 from being worn, And a hammer cap 440 that is coupled to the end side of the support region 410 side of the support member 410. 6, a certain cavity is formed in the hammer cap 440 so that the hammer pressing part 206 can be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터치 센서(300)는 건반(200)의 하부 일 영역에 외벽(310)을 제외하고 3개의 돌출부(320)를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건반(200)의 누름 시 프레임(100)의 일 영역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부재(330)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접점부(미도시)와 돌출부(320)가 접촉되면서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건반(200)의 누름 시 건반(200)과 프레임(100)의 회동에 따라서 접점부와 3개의 돌출부(320) 중 하나 이상이 접촉되면서 그 감지 결과에 따라서 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성이다.The touch sensor 300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lower part of the keyboard 200 with three protrusions 320 except for the outer wall 310 and is disposed in one area of the frame 100 when the keyboard 200 is pressed The key 200 and the frame 10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when the key 200 is pressed by sensing the contact while the contact portion (not shown)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30 and the protrusion 3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or more of the three contact portions and the three protrusions 32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도 1, 2 및 도 2의 A 영역을 구체화한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320)는 3개(321, 322, 32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터치 센서(300)은 돌출부(320) 이외에 돌출부(320)와 점점부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접촉을 가이드하기 위한 외벽(310)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protrusion 320 is composed of three portions 321, 322, and 323, and the touch sensor 300 includes a protrusion 320, And an outer wall 310 to guide stable and precise contact of the gradually increasing and decreasing portion with the inner wall 320.

건반(200)의 누름에 따라서 핀(130)을 회동축으로 하여 건반(200)이 아래로 회동되면서, 그 회동 거리에 따라서 323, 322, 321의 돌출부의 순서대로 돌출부(320)와 접점부가 접촉하게 되며, 인쇄회로기판은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미도시)에 전달하고, 프로세서에서는 접촉이 감지된 접점부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촉이 감지된 건반(200)을 식별하고, 이에 따른 건반(200)에 대응되는 음을 디지털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keyboard 200 is rotated downward with the pin 130 as a rotation axis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ion of the keyboard 200 and the contact portion contacts the protrusion 320 in the order of the protrusions 323, 322, (Not shown), and the processor identifies the key 200 in which the contact is sensed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act portion in which the contact is sensed, )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이때,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300)은 3개의 돌출부(320)가 건반(2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건반(200)의 누름 시 건반(200)의 회동 각도(회동 거리)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부와 접촉되는 돌출부(320)의 개수에 따라서 프로세서에 의하여 음의 강약이 서로 다르게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1 to 3, the touch sensor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ree protrusions 32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200, so that when the keyboard 200 is pressed, According to the angle (pivoting distance),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of the sound can be adjusted by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320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즉, 본 발명에서, 건반(200)은 섬세한 누름이 감지될 수 있다. 연주자가 건반을 강하거나 세게 누르게 되면, 건반(200)의 회동 거리 역시 증가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3개의 돌출부(320) 모두가 해당 돌출부(320)에 대응되는 접점부에 접촉될 것이다. 한편, 연주자가 건반을 약하게 누르게 되면, 건반(200)의 회동 거리 역시 감소할 것이며, 이에 따라서 3개의 돌출부(320) 중 일부(323, 322 순)만이 해당 돌출부에 대응되는 접점부에 접촉될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200 can be perceived as delicate pressing. When the player presses the keyboard strongly or strongly, the pivotal distance of the keyboard 200 will also be increased, so that all of the three protrusions 320 will contact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protrusions 320. On the other hand, if the player presses the keyboard lightly, the pivotal distance of the keyboard 200 will also decrease, so that only portions 323 and 322 of the three protrusions 320 will contact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protrusions .

이와 같이, 연주자의 연주 방식에 따라서 접점부와 접촉되는 돌출부(320)의 개수가 달라질 것이고, 이는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연주자가 건반을 튕기듯 치는 연주, 미세하게 강약을 조절하는 연주 및 건반을 문지르는 치는 연주 등 매우 섬세한 연주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경우를 접촉되는 돌출부(320)의 개수를 파악하고, 이를 프로세서에서 방영하여 동일한 음의 강약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통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protruding portions 320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will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thod of the player. This is because the player performs playing such as bouncing the key on the acoustic piano, playing the performance of finely adjusting the intensity, And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320 that are contacted in all possible cases in a very delicate performance, and broadcasts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320 to the processor.

한편 더욱 풍성하고 다양한 음을 구현하는 동시에, 실제 어쿠스틱 피아노와 동일함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서, 프로세서는, 건반(200)의 누름 시 건반(200)에 대응되는 음에 공명음, 현공명음, 해머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vide a richer and more versatile sound while providing the same sound as an actual acoustic piano,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resonance sound, a current resonance sound,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sounds through the output device.

즉 프로세서에는 각 음에 따라서 해당 음에 대해서 실제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구현되는 음이 저장되어 있고, 이에 대한 공명음, 현공명음 또는 해머사운드가 그 음으로서 저장되어 있고, 접점부의 접촉 감지 시 해당 음에 대응되는 상술한 효과음을 로드하여 실제 음과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stores a sound realized in an actual acoustic piano with respect to a corresponding sound according to each sound, and a resonance sound, a current resonance sound or a hammer sound is stored as the sound, and when the contact is detected, The corresponding effect sound described above can be loaded and output together with the actual sound.

한편, 이와 같은 건반(200)의 누름 시 건반(200)에 반발탄성을 줌으로써 건반(200)에 대한 터치감을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과 동일하게 하고, 미세한 터치의 감지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탄성스위치(340)가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keyboard 200 is depressed, the keyboard 200 is made to have a repulsive elasticity so that the touch of the keyboard 200 becomes the same as the touch of the acoustic piano. In order to accurately sense the touch of the acoustic piano 200, Can be installed.

탄성스위치(340)는 터치 센서(300)와 접점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터치 센서(300)와 접점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서 설치되어 있고, 접점부에 접촉 시 접점부에 의하여 접촉 여부가 감지될 수 있도록 접점부와 접촉되는 면의 돌출부(320)에 대응되는 위체에 형성된 접촉 돌기가 형성된 구성을 의미한다.The elastic switch 340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either the touch sensor 300 or the contact part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touch sensor 300 and the contact part. When the contact part touches the contact part, A contact protrusion formed on a body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320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도 4를 참조하면, 탄성 스위치(340)는 돌기 영역(342)이 돌출부(320)를 수용하면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접촉 돌기(341)는 돌출부(320)와의 접촉 면의 이면에 형성되어 접점부와 누름 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돌기 영역(342)에 접촉 돌기(341)가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접촉 돌기(341)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형태로, 실제로는 접촉 돌기(341)는 그 반대면에 형성될 것이다.4, the elastic switch 3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otrusion region 342 protrudes while receiving the protrusion 320, and the contact protrusion 34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protrusion 32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when pressed. 4 shows the contact protrusion 341 formed on the protruding region 342 in the form shown in order to explain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rotrusion 341. In reality, Lt; / RTI >

이러한 탄성 스위치(340)의 구성을 통해, 건반(200)의 누름 시 탄성 스위치(340)가 눌러지면서 접촉 돌기(341)가 돌출부(320)에 의하여 함께 눌러짐을 통해서 점점부와 접촉하면서 음이 구현되는 동시에, 탄성 스위치(340)의 탄성력에 의해서 누름힘과 반대 반향의 반발력을 건반(200)에 부여함으로써, 터치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Through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switch 340, when the elastic switch 340 is depressed when the keyboard 200 is pressed, the contact protrusions 341 are pressed together by the protrusions 320,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witch 340 imparts the pressing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opposite echo to the keyboard 200, thereby achieving an effect of improving touch feeling at the same tim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는 상술한 터치감을 향상시키면서, 실제 그랜드피아노 건반에서 느껴지는 특징으로 새로운 무브먼트 밸런스를 구현하기 위해서, 탄성부(140, 160)가 포함될 수 있다. 탄성부(140)는 탄성 재질로 구현되어 건반(200)의 누름 시 건반(200)과 접촉되면서 건반(200)에 대한 누름힘에 대해서 반발탄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건반(200)을 매우 살짝 눌렀을 때 일정한 회동 거리에서 걸리는 느낌이 들도록 설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40, 160)은 둘 이상이 각각 다른 영역에 구현되어, 하얀 건반 및 검은 건반(200, 210) 각각에 대해서 기능되도록 구현되거나, 하나의 건반에 동시에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rame 100 may include the elastic portions 140 and 160 in order to realize a new movement balance with a feature that can be felt on a real grand piano key while enhancing the touch feeling. The elastic part 14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repulsive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board 20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keyboard 200 when the keyboard 200 is pressed. Thus, the keyboard 200 is designed to feel a certain pivoting distance when it is pressed very lightly. As shown in FIG. 1, the elastic portions 140 and 160 may be implemented in two or more different regions, respectively, so as to function for each of the white and black keys 200 and 210, or to function simultaneously on one key Can be implemented.

한편, 해머(400)는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일정 길이로 다단 절곡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건반(200)의 해머 누름부(206)와 미끌림 접촉하면서 건반의 누름에 따라서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 결합부(430)를 축으로 하여 연결되며, 중량부(420)를 갖음으로써 건반의 누름 시 가압되면서 건반(200)에 하중을 가하는 형태로 회동되며, 건반(200)의 누름 해제 시 중량부(420)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된 구성을 의미한다.1 and 5, the hammer 400 is bent in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and is slidably contacted with the hammer pressing part 206 of the keyboard 200, And is connected to the pivotal connection portion 43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100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ion of the key 100. The weight portion 420 is pivoted to apply a load to the keyboard 200 while being pressed upon depression of the keyboard An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weight 420 when the key 200 is released.

이때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420)는 회동 결합부(430)를 중심으로 하여, 해머 누름부(206), 즉 지지 영역(410)과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420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ammer pressing part 206, that is, the supporting area 410, with the rotation coupling part 430 as a center Do.

한편, 실제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 및 해머감을 반영하기 위해서, 저음부와 고음부에 있어서 음에 따라서 각 해머(400)의 중량부(420)가 서로 다른 중량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reflect the feel of the actual acoustic piano and the feel of the hammer, the weight 420 of each hammer 400 may have different weights depending on the sound in the bass part and the treble par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 comprising, " or "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균일한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에 일정간격으로 건반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일 영역에 해머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해머끼움돌기 및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갖는 프레임;
연주자에 의하여 터치됨으로서 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영역에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상기 제한부에 삽입되어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부 돌출된 제한돌출부를 갖는 건반;
상기 건반의 하부 일 영역에 외벽을 제외하고 3개의 돌출부를 갖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상기 건반과 상기 프레임의 회동에 따라서 프레임의 일 영역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접점부와 상기 3개의 돌출부 중 하나 이상이 접촉되어 음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터치 센서; 및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일정 길이로 다단 절곡 형성되어 건반에 미끌림 접촉하면서 상기 건반의 누름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중량부를 갖음으로써 건반의 누름 시 가압되면서 건반에 하중을 가하는 상태로 회동하며, 건반의 누름 해제 시 상기 중량부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형성된 해머;를 포함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A hammer fitting protrusion having a receiving space of a uniform size and adapted to receive the keybo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receiving space, the hammer fitting protrusion being capable of being fitted to the hammer in one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A frame having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lateral movement thereof;
And a restricting protrusion protruded downwardly so as to be pivotally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realize sound by being touched by a player and to be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portion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in one area, keyboard;
A contact portion dispos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one area of th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board and the frame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A touch sensor provided to enable at least one of the three protrusions to contact to implement a sound; And
And is til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so as to be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keyboard while being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ion of the keyboard, and has a weight portion, thereby rotating in a state of applying a load to the keyboard And a hammer formed to be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by the weight when the key is released from the depression of the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건반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반틀은,
기설정된 개수의 건반 및 기설정된 개수의 건반이 수용된 프레임이 설치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서브 건반틀 유닛이 서로 건반의 음 방향으로 배열 및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서브 건반틀 유닛은,
인접된 서브 건반틀 유닛 사이를 결합하는 유닛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 결합부는,
상기 서브 건반틀 유닛의 좌우 단측 중 일 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 건반틀 유닛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서브 건반틀 유닛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끼움 돌기; 및
상기 서브 건반틀 유닛의 좌우 단측 중 상기 일 단측에 대향되는 다른 단측에 상기 끼움 돌기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끼움 돌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서브 건반틀 유닛으로부터 함몰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key frame provided so that the frame is installed,
Wherein the key frame comprises:
A plurality of sub-key frame unit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frame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key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keys are accommodated, are arrang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keyboard,
Wherein the sub-
And a unit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between adjacent sub-key frame units,
Wherein: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left and right end sides of the sub-key frame unit and protruding from the sub-key frame unit, the fitting protrusion being formed to increase its width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sub-key frame unit; And
The sub key frame unit is recess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jection so as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projection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tting projection on the other end side opposite to the one end side of the left and right end sides of the sub- And a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접점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접점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으며, 접점부에 접촉 시 상기 접점부에 의하여 접촉 여부가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점부와 접촉되는 면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접촉돌기가 형성된 탄성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or is disposed on one of the touch sensor and the contact unit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touch sensor and the contact unit, and a contact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unit, Further comprising a resilient switch having contact protrusion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of the ke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3개의 돌출부가 상기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상기 건반의 회동각도에 따라서 상기 접점부와 접촉되는 돌출부의 개수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하여 음의 강약이 서로 다르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sensor includes:
The thre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so that the sound intensity is adjusted differently by the processor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keyboard when the keyboard is depressed And a second key structure for a digital keyboard musical instru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건반과의 회동축과 반대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상기 건반과 접촉되면서 상기 건반에 대한 누름힘에 반발탄성되도록 설치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includes:
And a resilient port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frame opposite to the pivoting axis with respect to the keyboard and being resiliently resiliently urged against a pressing force of the keyboar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keyboard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Hybrid keyboard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은,
상기 제한 돌출부가 저부에 형성되면서 누름 시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
일 영역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해머의 상기 프레임과의 회동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된 지지 영역과 미끌림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누름힘에 의하여 상기 해머를 회동하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해머 누름부; 및
상기 몸체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의 핀 체결부에 설치된 핀에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eyboard includes:
A bod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limi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depressed;
A hammer which is protrudingly formed on a bottom portion of one region and which is formed so as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a supporting reg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pivotal engagement portion of the hammer with the frame, A pressing part; And
And a fastening portion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and having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o a pin provided on a pin fastening portion of the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건반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건반에 대응되는 프레임의 상기 핀 체결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건반의 체결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in
Wherein the plurality of keys ar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asten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keys by being fitted into the pin fastening portions of the fram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s, Hybrid keyboard structure f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는 상기 회동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해머 누름부와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eight por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ammer pressing portion about the pivotal coupl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는,
상기 해머의 지지 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해머의 일 단측에 끼움 결합되는 해머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ammer includes:
And a hammer cap fitted to one end of the hammer so as to surround the supporting region of the hamm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의 중량부는 상기 건반의 음에 따라서 서로 다른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eight of the hammer has a different weight depending on the sound of the key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의 누름 시 상기 건반에 대응되는 음에 공명음, 현공명음 및 해머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cessor for adding at least one of a resonance sound, a current resonance sound, and a hammer sound to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when the keyboard is depressed, and outputting the result through an output device resc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의 측면은 나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건반악기용 하이브리드 건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surface of the keyboard is made of a wood material, and the fram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KR1020180006922A 2018-01-19 2018-01-19 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 KR102038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22A KR102038338B1 (en) 2018-01-19 2018-01-19 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922A KR102038338B1 (en) 2018-01-19 2018-01-19 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629A true KR20190088629A (en) 2019-07-29
KR102038338B1 KR102038338B1 (en) 2019-10-30

Family

ID=6748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922A KR102038338B1 (en) 2018-01-19 2018-01-19 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3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80U (en) * 2007-04-20 2008-10-23 김진문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KR20100114437A (en) * 2009-04-15 2010-10-25 (주)우림 Claier for digital piano
JP2013250401A (en) * 2012-05-31 2013-12-1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Key depression switch of electronic pian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80U (en) * 2007-04-20 2008-10-23 김진문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KR20100114437A (en) * 2009-04-15 2010-10-25 (주)우림 Claier for digital piano
JP2013250401A (en) * 2012-05-31 2013-12-1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Key depression switch of electronic pian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338B1 (en)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97962A1 (en) Keytar having a dock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US7674969B2 (en) Finger musical instrument
US8847051B2 (en) Keyboard guitar including transpose buttons to control tuning
JP3799592B2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US8907190B2 (en)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221489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03700364B (en) A kind of photoelectric keyboard device for performance of improvement
US11114078B2 (en) Keybed device
KR20190088629A (en) Digital Piano Keyboard Structure
KR101594887B1 (en) Keyboard for Keyed Instrument Having Improved Return Properties
JP2009014818A (en) Keyboard apparatus
JP5707693B2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KR101817012B1 (en) Guitar with motion sensors
CN203616985U (en) Improved photoelectric keyboard device for playing
WO2022195842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506654Y2 (en) Keyboard device
KR102159444B1 (en) Keyboard Frame and Keyboard Structure of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s
JP2005189823A (en) Keyboard instrument
JP3085032B2 (en) Pedal keyboard structure
KR200294525Y1 (en) The toy piano
JP2005195987A (en) Key of keyboard instrument
KR20070088129A (en) Roll piano for blind
JP3690276B2 (e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s
JPH0997076A (en)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22430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