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884A -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 Google Patents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884A
KR20190087884A KR1020180006252A KR20180006252A KR20190087884A KR 20190087884 A KR20190087884 A KR 20190087884A KR 1020180006252 A KR1020180006252 A KR 1020180006252A KR 20180006252 A KR20180006252 A KR 20180006252A KR 20190087884 A KR20190087884 A KR 20190087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locking
block
stopper block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2844B1 (en
Inventor
양형수
Original Assignee
(주)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도 filed Critical (주)아도
Priority to KR102018000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844B1/en
Publication of KR2019008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in which a support structure of a support roller and a restrained structure of an interlocking device are integrated with a mounting unit and a cover frame, thereby being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being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installation state without a wobble, and being possible to be used in common because all is provided in the same structure regardless of a position of each door.

Description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0001]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0002]

본 발명은 연동 슬라이딩 도어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겹침 영역을 최소화하면서도 연동 구조와 구속 구조의 일체화를 통한 구조의 공용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동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조작시 일부가 다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door that minimizes an overlapping area of a door and allows a structure to be shared by integrating the interlocking structure and the restrain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 new form capable of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again.

일반적으로 도어는 실내와 실외 혹은, 구획된 공간을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출입문이다.In general, a door is a door that serves to open or close indoor, outdoor, or divided spaces.

이러한 도어 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는 둘 이상의 도어가 서로 연동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도어로써, 현관의 공간과 실내를 구분하기 위한 중문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mong these doors is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while two or more door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slidably operated, and is used mainly in the middle door to distinguish the space between the entrance and the inside of the door.

이와 같은 연동 슬라이딩 도어는 각 개별 도어가 서로 중첩되는 구조이며, 최근에는 이러한 연동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을 위한 구조 및 장치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771181호, 공개특허 제10-2017-0087126호, 공개특허 제10-2015-0039619호, 등록특허 제10-1172697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Such interlocking sliding doors are structured such that respective individual door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apparatus for interlocking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s have been provided. In this connection, it i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1771181,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10-2017-0087126, 10-2015-0039619, and 10-1172697.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는 각 개별 도어 간의 연동을 위한 구조가 두 롤러 및 이를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고정되면서 또 다른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두 롤러의 크기로 인해 상기 연결브라켓의 이동 거리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However, the related art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ructure for interlocking between individual doors is provided with two rollers and a belt installed to move along the two rollers, and a connection bracket fixed to the belt and connected to another door.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onnection bracket can not be limited due to the size of the two rollers.

즉, 상기 롤러의 어느 한 측면을 경유하여 다른 한 측면으로 연장되는 벨트 간의 이격 거리는 해당 벨트의 처짐을 고려하여 충분히 크게 형성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이러한 벨트가 경유하는 롤러의 직경이 매우 커질 수밖에 없었고, 또한 연결브라켓은 상기 롤러가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는 도달되지 않도록 그 이동 거리가 한정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각 도어 간의 겹침 영역이 그만큼 커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출입구의 크기는 상기 각 도어 간의 겹침 영역만큼 작아질 수밖에 없었다.That is,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elts extending to the other side via the one side of the roller must be made sufficiently large in consideration of deflection of the belt, the diameter of the roller passed through the belt must be very large, Since the moving distance of the bracket must be limited so that the roller can not reach the position where the roller is located, the size of the door is relatively small as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doors is relatively increased.

더욱이,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는 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핀이 외팔보 구조로만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롤러에 감겨진 벨트의 이동시 상기 지지핀이 흔들려 상기 롤러의 동작 불량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since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support pin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roller is fixed only to the cantilever structure, when the belt wound on the roller is moved, the support pin is shaken, There was a problem.

한편,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의 닫힘 조작을 수행하였을 경우 해당 도어가 문틀에 정확히 밀착되지 못하는 현상이 있었다. 즉, 사용자는 비록 도어가 완전히 닫힐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닫힘력을 제공하더라도 오히려 과도한 닫힘력에 의해 도어가 문틀에 부딪혀 그 충격에 의해 다시금 미세하게 열리는 현상이 발생되었던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door can 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frame. That is, even though the user provides a sufficient closing force for the door to be completely closed, the door is hit by the excessive closing force against the door frame, and the door is opened again by the impact.

이에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347213호, 등록특허 제10-1550404호에 언급되고 있는 바와 같은 구속 구조들의 추가 제공을 통해 도어가 부딪힘 충격으로 다시금 미세하게 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ly, it has been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again due to a collision impact through the provision of restraint structures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10-1347213 and No. 10-1550404.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 역시 구속 상태로의 안정적인 유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도어를 완전히 닫음에도 불구하고 흔들림 발생 및 이에 따른 틈새 발생이 야기될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큰 힘으로 도어를 닫을 경우 부딪힘 충격에 의해 다시금 도어가 열리는 현상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lated arts also fail to stably maintain the door in a restrained state, so that even though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door is forced to be shaken and a clearance is generated, and when the door is closed with a large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is opened again.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들은 각 도어의 연동 및 구속을 위한 구조가 각각의 도어마다 달리 제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의 제품 공용화가 어려웠던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조립시 실내측 및 실외측 도어의 뒤바뀜과 같은 작업상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for interlocking and restraining each door is provided for each door differently from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to use such a structure in common for the products. Therefore, when the door is assembled, And the like.

등록특허 제10-1771181호Patent No. 10-1771181 공개특허 제10-2017-0087126호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87126 공개특허 제10-2015-0039619호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39619 등록특허 제10-1172697호Patent No. 10-1172697 등록특허 제10-1347213호Patent No. 10-1347213 등록특허 제10-1550404호Registration No. 10-1550404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겹침 영역을 최소화하면서도 연동 구조와 구속 구조의 일체화를 통한 구조의 공용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연동 슬라이딩 도어의 닫힘 조작시 일부가 다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structure which minimizes overlapping areas of a doo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that can prevent a part of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from being opened again when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is clo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도어를 연동시키는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각 도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부문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지지를 받아 이동되도록 가이드돌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장착부; 적어도 어느 한 도어에 구비되는 장착부의 양 끝단 두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되면서 가이드핀의 지지를 받아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설치된 와이어부재; 상기 와이어부재를 가지는 어느 한 도어의 측부에 위치되는 여타 도어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를 파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느 한 도어와 여타 도어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파지부; 상기 각 지지롤러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부문틀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속블럭에 수용되면서 구속되는 스토퍼블록이 돌출 형성된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for interlocking a plurality of doors with each other, the interlocking device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having a guide protrud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moving; A support roller which is positioned at two corners of both ends of 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at least one door and is rotated by being supported by a guide pin; A wire member installed to sequentially pass the support rollers; An interlocking gripper installed to grip the wire member while being fixed to a door positioned at a side of a door having the wire member and interlocking the door with the other door; And a cover frame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rollers and having a stopper block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stopper block being received in a restricting block provided at an end of the upper door frame.

여기서, 상기 구속블럭은 상기 스토퍼블록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스토퍼블록을 향해 돌출된 두 구속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블록의 양측면과 상기 두 구속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블록이 상기 두 구속편 내로 수용될 경우 서로 맞물리도록 둘 이상 복수의 요철돌기가 나사산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stricting block includes two restraint pieces protruding toward the stopper block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grasp both side surfaces of the stopper block.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block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two restraint pieces, And two or more concave-convex protrusions are formed in a rounded shape in the form of a thread so that the concave-convex protrusio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y are received in the two constraint pieces.

또한, 상기 구속블럭의 두 구속편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로 오므려진 상태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wo restraint pieces of the restraint block are inclined so as to be inclined gradually toward the end.

또한, 상기 스토퍼블록은 내측이 이동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두 구속편에 의한 파지시 내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block is formed so that its inside is cut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is deformable inward when gripped by the two restraint pieces.

또한, 상기 지지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핀은 상단이 상기 커버프레임에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장착부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pin, in which the support roller is rotatably installed, has an upper end supported by the cover frame, and a lower end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소형의 지지롤러를 장착부의 일측 끝단 두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여 이를 와이어부재가 경유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연동파지부의 이동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각 도어 간의 겹침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mall supporting rollers are installed at two corners at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inimize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doors.

또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지지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핀이 상단 및 하단 모두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와이어부재의 이동에 따른 각 지지롤러의 회전시 흔들림이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지지롤러의 동작 불량이 방지됨과 더불어 와이어부재가 지지롤러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된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pin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can be stably fixed at bot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failure of the support roller and prevent the wire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roller.

또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구속블럭의 두 구속편과 스토퍼블록 간의 접촉면에 복수의 요철돌기를 나사산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요철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조작이 수행되는 도중 강한 닫힘력에 의한 문틀과의 부딪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이 충격으로 해당 도어가 미세하게 열리는 현상이 방지되며,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기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도어가 다시금 열리거나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Further, in the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wo restraint pieces of the restraint block and the stopper block so as to be rounded in the form of a scre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due to the impact even if an impact is caused by the closing force of the door frame due to the closing force, and the d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or shaked again by the influence of outside air or wind .

또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장착부 및 커버프레임에 지지롤러를 지지 구조와 연동장치의 구속 구조가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각 도어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Further, since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that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interlocking device is integrated with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over frame, the interlocking device can be used commonl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each door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열림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중 어느 한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중 연동파지부에 의한 연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중 연동파지부에 의한 와이어부재의 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중 연동파지부에 의한 와이어부재의 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중 구속블럭과 스토퍼블록 간의 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중 구속블럭과 스토퍼블록 간의 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도 2의 상태 중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출입문 폐쇄를 위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출입문 폐쇄를 위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출입문 폐쇄를 위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n the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and FIG. 9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grasping structure of a wire member by the interlocking grip portion of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ripping structure of a wire member by the cooperating gripper among interlocking devices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gripping structure between a restricting block and a stopper block in the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gripping structure between the restricting block and the stopper block in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ver frame is removed from the state of Fig. 2
16 and 17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for closing the door of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for closing the door of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for closing the door of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0.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세 도어(11,12,13)를 서로 연동하면서 열리거나 혹은, 닫히도록 이루어진 장치임을 실시예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in which the three doors (11, 12, 13) ar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while being interlocked with each other.

특히, 상기 세 도어(11,12,13) 중 중앙측에 위치되는 도어(이하, “제1이동측 도어”라 함)(12)를 기준으로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도어(이하, “고정측 도어”라 함)(11)는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1이동측 도어(12) 및 이 제1이동측 도어(12)의 다른 한 측에 위치되는 도어(이하, “제2이동측 도어”라 함)(13)는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Particularly, a 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xed door ") positioned on either side with respect to a d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movable door ") 1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doors 11, Side door 12 and a door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oving-side door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door ") 11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Side door ") 13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의 열림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중 어느 한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n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one of the interlocking devices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terlocking device for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이하, “연동장치”라 함)는 각 도어(11,12,13)에 각각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크게 장착부(100)와, 지지롤러(200)와, 와이어부재(300)와, 연동파지부(400)와, 커버프레임(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interlocking device for interlocking sliding do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nterlocking device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ach door 11, 12, 100, a support roller 200, a wire member 300, an interlocking gripper 400, and a cover frame 50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는 상기 장착부(100) 및 커버프레임(500)에 상기 지지롤러(200)의 지지 구조와 연동장치의 구속 구조가 일체화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롤러(200)의 회전이 원활하면서도 흔들림없는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각 도어(11,12,13)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구조로 제공되기 때문에 공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upporting roller 200 and the restraining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device are integrated into the mounting part 100 and the cover frame 500, It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installation state while smoothly rotating, and is provided with the same structur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s of the doors 11, 12, and 13, so that it can be used for common use.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장착부(100)는 도어(11,12,13)와의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First, the mounting portion 100 is a portion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doors 11, 12, and 13.

이와 같은 장착부(100)는 장착프레임(110)과 결합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unting portion 100 includes the mounting frame 110 and the coupling block 120.

여기서, 상기 장착프레임(110)은 상기 도어(11,12,13)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 내측이 요입되게 형성되면서 결합블럭(12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상으로는 상기 장착프레임(110)이 두 부분으로 분할되면서 도어(11,12,13)의 상면 양측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사실상 상기 장착프레임(110)은 분할되지 않은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도어(11,12,13)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mounting frame 1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doors 11, 12, and 13, and is provided to provide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coupling block 120 can be mounted whil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be recessed. At this time, although the mounting frame 110 is shown as being divided into two parts and provided only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doors 11, 12 and 13 in the drawing, the mounting frame 110 is actually composed of one frame And is installed al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doors (11, 12, 13).

특히, 상기 장착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도어(11,12,13)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동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mounting frame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coupling with the doors 11, 12, and 13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e durability of the interlocking device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결합블럭(120)은 상기 장착프레임(110)의 상면 양 끝단 내에 수용된 상태로 나사 체결로써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The coupling block 120 is fixedly installed by being screwed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10.

이때, 상기 결합블럭(120)은 성형의 용이함 및 교체성과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block 12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order to facilitate molding and to reduc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costs.

상기 결합블럭(120)의 상면에는 상기 각 지지롤러(200)의 설치를 위한 롤러 설치영역(121) 및 연동파지부(400)의 고정 설치를 위한 파지부 설치영역(122)이 각각 제공된다.A roller mounting region 121 for mounting the supporting rollers 200 and a gripping portion mounting region 122 for fixing the interlocking gripping portions 40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120,

이때, 상기 롤러 설치영역(121)은 상기 결합블럭(120)의 상면 중 끝단 양 모서리 부위에 각각 제공됨과 더불어 그 둘레로는 내벽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블럭(123)이 돌출 형성되면서 두 롤러 설치영역(121)에 설치되는 지지롤러(200)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와이어부재(300)가 상기 지지롤러(20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roller mounting area 121 is provided at both corners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120, and a round block 123 having an inner wall surface rounded is formed around the roller mounting area 121, The wire member 300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support rollers 200 installed in the region 121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roller 200.

이와 함께, 상기 파지부 설치영역(122)의 상면에는 후술될 연동파지부(400)가 수용 장착되는 장착홈(125)이 해당 결합블럭(120)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구조로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mounting region 122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125 through which the linkage grip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received and which is formed so as to cross the upper surface of the linkage block 120.

한편, 상기 결합블럭(120)의 상면에는 가이드돌부(124)가 추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부(124)는 상부 문틀(도시는 생략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0)의 지지를 받아 이동되는 부위이며,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양측면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단(124a)이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수용단(21)에 요입되어 안내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각 도면을 통해 도시되는 가이드레일(20)은 단순히 가이드돌부(124)와의 결합 관계만 설명하기 위해 그 일부만 도시된 상태이다.A guide protrusion 124 is further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120. The guide protrusions 124 are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20 provided on the upper door frame (not shown) and are moved. As shown in FIG. 4, protruding ends 124a are formed and guided in the receiving end 21 of the guide rail 20 so as to be guided. At this time, the guide rail 20 shown in each drawing is only partially shown in order to explain merely the coupling relation with the guide protrusion 124.

다음으로, 상기 지지롤러(200)는 와이어부재(300)의 정역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Next, the support roller 200 is a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wire member 300.

이와 같은 지지롤러(200)는 각 장착부(100)를 이루는 결합블럭(120)의 롤러 설치영역(121)에 각각 위치되면서 이 롤러 설치영역(121)에 고정되는 가이드핀(210)의 지지를 받아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롤러(200)는 하나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크기를 축소시켜 하나의 장착부(100)마다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연동파지부(400)가 최대한 해당 장착부(100)의 끝단에 이르기까지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이 장착부(100)가 설치되는 각 도어(11,12,13) 간의 겹침부위가 최소화될 수 있다.The support roller 200 is supported by a guide pin 210 fixed to the roller mounting area 121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roller mounting area 121 of the coupling block 120 constituting each mounting part 100 . That is, the support roller 200 is not provided but is reduced in size so that two or more of the support rollers 200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mounting portions 100, so that the interlocking gripper 400 reaches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mounting portion 100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each door 11, 12, 13 o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00 is installed can be minimized.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부재(300)는 연동파지부(400)의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Next, the wire member 300 is a portion provided for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gripper 400.

이와 같은 와이어부재(300)는 중앙측의 제1이동측 도어(12)에 설치된 두 장착부(100)의 지지롤러(200)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벨트 혹은, 와이어로 이루어진다.The wire member 300 is formed of a belt or a wire that is installed to sequentially pass the support rollers 200 of the two mounting portions 100 provided on the first movable side door 12 at the center side.

한편, 상기 지지롤러(200) 및 와이어부재(300)는 모든 도어(11,12,13)의 장착부(100)에 모두 제공될 수도 있지만, 사실상 세 도어(11,12,13) 중 중앙측에 위치되는 제1이동측 도어(12)에만 제공되더라도 상관없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롤러(200)의 경우 모든 도어(11,12,13)의 장착부(100)에 각각 제공되되, 상기 와이어부재(300)는 세 도어(11,12,13) 중 중앙측에 위치되는 제1이동측 도어(12)에만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롤러(200)는 제1이동측 도어(12)에만 제공되어도 충분하다.The supporting roller 200 and the wire member 300 may be provided on all the mounting portions 100 of all the doors 11, 12 and 13 but may be provided on the center side of the three doors 1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roller 20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00 of all the doors 11, 12, and 13, The wire member 300 is provided only in the first movable-side door 12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doors 11, 12, and 13. [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support roller 200 may be provided only on the first movable-side door 12.

다음으로, 상기 연동파지부(400)는 장착부(100)에 고정되면서 측부에 위치되는 도어(11,12,13)들을 서로 연동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interlocking gripper 400 is provided to interlock the doors 11, 12, 13 located on the side while being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00. [

이와 같은 연동파지부(400)는 와이어부재(300)를 가지는 어느 한 도어(제1이동측 도어)(12)의 측부에 위치되는 여타 도어(고정측 도어 및 제2이동측 도어)(11,13)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300)를 파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느 한 도어(12)와 여타 도어(11,13)를 서로 연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동파지부(400)는 고정측 도어(11) 및 제2이동측 도어(13)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면서 제1이동측 도어(12)에 구비되는 와이어부재(300)의 양 끝단을 각각 파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측 도어(11)를 기준으로 제1이동측 도어(12) 및 제2이동측 도어(13)가 서로 연동되면서 동작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uch a cooperating gripper 400 is provided with other doors (stationary-side door and second moving-side door) 11, which are positioned on the side of a door (first moving-side door) 12 having the wire member 300, 13 so as to grasp the wire member 300 so that the door 12 and the doors 11 and 1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cooperating gripper 400 is provided at the fixed door 11 and the second moving-side door 13, respectively, so that both ends of the wire member 300 provided at the first moving- Side door 12 and the second moving-side door 13 with respect to the fixed-side door 11 as a refer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파지부(400)가 구속단(410)과, 프레임 파지단(420)과, 와이어파지단(430) 및 압착부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ing gripper 400 includes a restricting end 410, a frame finger 420, a wire finger 430 and a pressing member 440.

여기서, 상기 구속단(410)은 결합블럭(120)의 파지부 설치영역(122)에 형성된 장착홈(125)에 요입 설치되면서 구속되는 부위로써, 상기 장착홈(125)의 어느 한 측부로부터 상기 장착홈(125)을 향해 연장된 평판형으로 형성된다.The restricting end 410 is fixed to the mounting recess 125 formed in the grip mounting region 122 of the coupling block 120 and is fixed to the mounting recess 125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recess 125,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extending toward the mounting groove 125.

또한, 상기 프레임 파지단(420)은 중앙측 도어(12)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10)의 양측 벽면 중 해당 프레임 파지단(420)이 마주보는 측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절곡단(111)(첨부된 도 4 및 도 5 참조)의 지지를 받아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e frame grasping end 420 has a bent end 11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opposite to the corresponding frame grasping end 420 of the mounting frame 110 installed on the center side door 12 (See FIGS. 4 and 5).

이때, 상기 프레임 파지단(420)에는 상기 절곡단(111)이 수용되는 수용홈(421)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절곡단(111)은 상기 수용홈(421) 내로 요입 설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421)과 상기 절곡단(111)은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다단 절곡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용홈(421)의 내면은 요철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At this time, a receiving groove 421 for receiving the bending end 111 is formed in the frame holding end 420 and the bending end 111 is recessed into the receiving recess 421, The receiving groove 421 and the folding end 111 are formed to be bent in a multi-step mann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421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his is shown in FIGS. 7 to 10 attached hereto.

또한, 상기 와이어 파지단(430)은 상기 프레임 파지단(420)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게 구성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수용되면서 통과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다단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 파지단(430)과 프레임 파지단(420)은 도면상 서로 분리된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사실상 서로는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wire grasping end 430 is formed to be protruded outwardly from the frame grasping end 420 and bent in a multi-step manner to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wire member 300 is received. At this time, the wire gripping end 430 and the frame gripping end 420 are shown a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drawing, but they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integral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압착부재(440)는 그의 축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와이어 파지단(430)의 와이어부재(300)가 통과되는 공간 내에 압입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The pressing member 440 is press-fitted into a space through which the wire member 300 of the wire gripping stage 430 passes, while the wire pressing member 440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wire member 300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다음으로, 상기 커버프레임(500)은 상기 각 지지롤러(200)의 동작을 지지함과 더불어 도어(11,12,13)의 닫힘 동작시 정확한 닫힘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Next, the cover frame 500 supports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rollers 200 and provides a closed state when the doors 11, 12, and 13 are closed .

이와 같은 커버프레임(500)은 상기 각 지지롤러(20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면에는 구속블럭(30)에 수용되면서 구속되는 스토퍼블록(510)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속블럭(30)은 상부문틀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스토퍼블록(510)을 파지하여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The cover frame 500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support rollers 200. A stopper block 51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50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restricting block 30. At this time, the restricting block 3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upper door frame, and is provided to grip and arrest the stopper block 510. [

여기서, 상기 구속블럭(30)은 상기 스토퍼블록(510)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스토퍼블록(510)을 향해 돌출된 두 구속편(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블록(510)의 양측면과 상기 두 구속편(31)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블록(510)이 상기 두 구속편(31) 내로 수용될 경우 서로 맞물리도록 둘 이상 복수의 요철돌기(32)가 나사산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restricting block 30 includes two restraint pieces 31 protruding toward the stopper block 510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grasp both sides of the stopper block 510, Two or more protrusions and protrusions 3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so that the stopper blocks 510 are received in the two constraint pieces 31. [ As shown in Fig. This is as shown in Figs. 11 and 12 attached hereto.

특히, 상기 구속블럭(30)의 두 구속편(31)은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로 오므려진 상태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두 구속편(31)의 요철돌기(32)가 상기 스토퍼블록(510)의 요철돌기(511)와 맞물릴 경우 상기 구속편(31)의 요철돌기(32)와 스토퍼블록(510)의 요철돌기(511)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로 정확한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two restraint pieces 31 of the restricting block 30 are inclined so as to gradually become inwardly inclined toward the ends, 31 of the stopper block 510 engage with the protrusions and protrusions 511 of the stopper block 510, the protrusions and protrusions 321 of the restraint piece 31 and the protrusions and protrusions 511 of the stopper block 510 So that accurate engaging can be achieved while being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이와 함께, 상기 스토퍼블록(510)은 내측이 이동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두 구속편(31)에 의한 파지시 내측으로 탄력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block 510 is formed so that its inside is cut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ed inward when gripped by the two restraint pieces 31.

즉, 전술된 구속블럭(30)을 이루는 구속편(31)의 구조와 상기 스토퍼블록(510)의 구조에 의해 각 도어(11,12,13)를 닫는 과정에서는 부딪힘 충격에 의해 다시금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각 도어(11,12,13)를 여는 과정에서는 전술된 각 요철돌기(32,511)의 라운드 구조 및 탄력 변형 가능한 구조로 인해 일정 이상의 힘(도어를 개방하는 힘)을 가함으로 인해 파지가 쉽게 해제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s 11, 12 and 13 by the structure of the restraint piece 31 constituting the restraint block 30 and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block 510 described above, (Force for opening the door) due to the round structure and the resiliently deformable structure of each of the concave-convex protrusions 32, 511 described above in the course of opening the doors 11, 12, 13, Can be easily released.

한편, 상기 지지롤러(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핀(210)은 상단이 상기 커버프레임(500)에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장착부(10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guide pin 210, to which the support roller 200 is rotatably installed, has an upper end supported by the cover frame 500 and a lower end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100.

즉, 상기 가이드핀(210)이 그 일단만 지지되는 외팔보 구조의 설치가 아니라 양단 모두가 지지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부재(300)의 이동에 따른 각 지지롤러(200)의 회전시 상기 각 지지롤러(2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와이어부재(300)가 지지롤러(2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도어의 개방이나 폐쇄 과정에서 부드러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guide pin 2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supported rather than the cantilever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pin 210 is supported only at one end thereof, so that when the support roller 200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 member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ort rollers 200 from being shaken and to prevent the wire member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rollers 200 and smooth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opening or closing the door .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이며, 이의 경우 세 도어(11,12,13)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첨부된 도 15는 각 도어 (11,12,13)의 연동장치 중 커버프레임(50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1 to 4, the door is opened, and three doors 11, 12 and 13 ar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each other. 1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frame 500 is removed from the interlocking devices of the respective doors 11, 12, and 13. In this case,

특히, 이러한 세 도어(11,12,13) 중 실외측 및 실내측에 위치된 고정측 도어(11) 및 제2이동측 도어(13)의 장착부(100)를 이루는 결합블럭(120)의 장착홈(125)에는 연동파지부(400)가 각각 결합 고정됨과 더불어 이러한 각 연동파지부(400)는 중앙측에 위치된 제1이동측 도어(12)에 구비된 와이어부재(300)의 양단을 각각 파지한 상태로 유지된다.Particularly, among the three doors 11, 12, and 13, the fitting block 120 constituting the mounting portion 100 of the fixed side door 11 and the second moving side door 13, which are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the indoor side, Each of the interlocking grippers 400 is fixedly coupled to the groove 125 so that both ends of the wire member 300 provided on the first movable door 12 located at the center side Respectively.

이때, 상기 고정측 도어(11)는 문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나머지 두 도어(12,13)만 해당 문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의 지지를 받으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ixed-side door 11 is fixed to the door frame, and only the remaining two doors 12 and 13 are mov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20 provided in the door frame.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입문을 폐쇄하기 위해 비고정 상태의 제2이동측 도어(13)를 조작하면 상기 제2이동측 도어(13)는 가이드레일(20)의 지지를 받으면서 닫음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econd movable-side door 13 in the non-fixed state to close the door, the second movable-side door 13 is slid in the closing direc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uide rail 20 .

특히, 상기한 제2이동측 도어(13)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는 해당 제2이동측 도어(13)에 고정된 연동파지부(400)가 제1이동측 도어(12)의 와이어부재(300)를 그 이동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로써 상기 와이어부재(300)는 상기 연동파지부(400)의 당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해당 제1이동측 도어(12) 역시 고정측 도어(11)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moving-side door 13 is slidably moved, the cooperating gripper portion 400 fixed to the second moving-side door 13 is engaged with the wire member 300 of the first moving- So that the first movable side door 12 is also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ed side door 11 while the wire member 300 is moved i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cooperating gripper 400, .

즉, 상기 와이어부재(300)가 이동될 경우 제1이동측 도어(12)는 해당 와이어부재(300)의 다른 한 측 부위를 파지하고 있던 고정측 도어(11)의 연동파지부(400)에 의해 상기 고정측 도어(11)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첨부된 도 17 및 도 19는 각 도어(11,12,13)의 연동장치 중 커버프레임(50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That is, when the wire member 300 is moved, the first moving-side door 12 is moved to the interlocking grip portion 400 of the fixed-side door 11 that grips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wire member 300 Side door 11, as shown in Fig. This is as shown in appended 16 to 20. 17 and 19 show a state in which the cover frame 500 is removed from the interlocking devices of the doors 11, 12, and 13.

이와 함께, 전술된 바와 같이 출입문을 폐쇄할 경우에는 상부문틀에 고정된 구속블럭(30)의 두 구속편(31) 사이로 연동장치의 커버프레임(500)을 이루는 스토퍼블록(510)이 수용되면서 구속된다.When the door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block 510 constituting the cover frame 500 of the interlocking device is accommodated between the two restraint pieces 31 of the restraint block 30 fixed to the upper door frame, do.

특히, 상기 두 구속편(31)과 상기 스토퍼블록(510) 간의 접촉면에는 복수의 요철돌기(32,511)가 나사산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두 구속편(31)은 끝단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두 구속편(31) 사이로 상기 스토퍼블록(510)이 수용될 경우 상기 두 구속편(31)과 스토퍼블록(510)의 각 요철돌기(32,511)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원치않게 유동되거나 혹은, 다시금 도어(11,12,13)가 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wo restraint pieces 31 and the stopper block 510,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vex protrusions 32 and 511 are formed in a rounded shape in the form of a thread, and in addition, When the stopper block 510 is received between the two restraint pieces 31, the two restraint pieces 31 and the protrusions 32 and 511 of the stopper block 5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phenomenon that the door 11, 12, 13 is opened or opened again can be prevented.

결국,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소형의 지지롤러(200)를 장착부(100)의 일측 끝단 두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여 이를 와이어부재(300)가 경유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연동파지부(400)의 이동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각 도어(11,12,13) 간의 겹침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interlocking device for interlocking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small supporting rollers 200 are installed at two corners of one end of the mounting part 100, So that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doors 11, 12, and 13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지지롤러(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핀(210)이 상단 및 하단 모두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와이어부재(300)의 이동에 따른 각 지지롤러(200)의 회전시 흔들림이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지지롤러(200)의 동작 불량이 방지됨과 더불어 와이어부재(300)가 지지롤러(200)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된다.Since the guide pin 210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oller 200 can be stably fixed to bot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inter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ort roller 200 from malfunctioning and to prevent the wire member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roller 200. In addition,

또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구속블럭(30)의 두 구속편(31)과 스토퍼블록(510) 간의 접촉면에 복수의 요철돌기(32,511)를 나사산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요철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도어(11,12,13)의 닫힘 조작이 수행되는 도중 강한 닫힘력에 의한 문틀과의 부딪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이 충격으로 해당 도어(11,12,13)가 미세하게 열리는 현상이 방지되며, 도어(11,12,13)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외기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도어(11,12,13)가 다시금 열리거나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device for interlocking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protrusions 32,511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wo restraint pieces 31 of the restraining block 30 and the stopper block 510 in a rounded shape 12 and 13 ar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impact even if a collision impact with the door frame due to a strong closing force is generated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s 11, And the door 11, 12, 1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or shaked again by the influence of outside air or wind while the doors 11, 12, 13 are completely closed.

또한, 본 발명의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는 장착부(100) 및 커버프레임(500)에 지지롤러(200)의 지지 구조와 연동장치의 구속 구조가 일체화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각 도어의(11,12,13) 위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upporting roller 200 and the restraint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device are integra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00 and the cover frame 500 of the interlocking sliding door inter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can be commonly used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11,12,13. 도어 20. 가이드레일
30. 구속블럭 31. 구속편
32. 요철돌기 100. 장착부
110. 장착프레임 120. 결합블럭
121. 롤러 설치영역 122. 파지부 설치영역
123. 라운드블럭 124. 가이드돌부
200. 지지롤러 210. 가이드핀
300. 와이어부재 400. 연동파지부
410. 구속단 420. 프레임 파지단
421. 수용홈 430. 와이어 파지단
440. 압착부재 500. 커버프레임
510. 스토퍼블록 511. 요철돌기
11, 12, 13. Door 20. Guide rail
30. Restraint block 31. Restraint piece
32. Uneven protrusion 100. Mounting portion
110. Mounting frame 120. Coupling block
121. Roller mounting area 122. Finger mounting area
123. Round block 124. Guide-
200. Support roller 210. Guide pin
300. Wire member 400. Interlocking grip section
410. Constraining unit 420. Frame waveguide
421. Receiving groove 430. Wire-
440. Compression member 500. Cover frame
510. Stopper block 511. Uneven protrusion

Claims (5)

복수의 도어를 연동시키는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각 도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부문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의 지지를 받아 이동되도록 가이드돌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장착부;
적어도 어느 한 도어에 구비되는 장착부의 양 끝단 두 모서리 부위에 각각 위치되면서 가이드핀의 지지를 받아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설치된 와이어부재;
상기 와이어부재를 가지는 어느 한 도어의 측부에 위치되는 여타 도어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부재를 파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느 한 도어와 여타 도어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파지부;
상기 각 지지롤러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부문틀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속블럭에 수용되면서 구속되는 스토퍼블록이 돌출 형성된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An interlocking device for an interlocking sliding door for interlocking a plurality of doors,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door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to be moved by being supported by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upper door frame;
A support roller which is positioned at two corners of both ends of 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at least one door and is rotated by being supported by a guide pin;
A wire member installed to sequentially pass the support rollers;
An interlocking gripper installed to grip the wire member while being fixed to a door positioned at a side of a door having the wire member and interlocking the door with the other door;
And a cover frame instal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support rollers and having a stopper block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he stopper block being received in a restricting block provided at an end of the upper door fram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블럭은 상기 스토퍼블록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스토퍼블록을 향해 돌출된 두 구속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블록의 양측면과 상기 두 구속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블록이 상기 두 구속편 내로 수용될 경우 서로 맞물리도록 둘 이상 복수의 요철돌기가 나사산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stricting block includes two restraint piece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grasp both sides of the stopper block and protrude toward the stopper block,
Wherein the stopper block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two restraint pieces are formed with two or more concave and convex protrusions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stopper block is received in the two constraint pieces, 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블럭의 두 구속편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로 오므려진 상태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wo restraint pieces of the restraint block are inclined so as to gradually become inwardly inclined toward the e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블록은 내측이 이동 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두 구속편에 의한 파지시 내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opper block is formed so that an inner side of the stopper block is cut along a moving direction, and is deformable inward when gripped by the two restraint pie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핀은
상단이 상기 커버프레임에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장착부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in, in which the support roller is rotatably installed,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guid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cover frame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KR1020180006252A 2018-01-17 2018-01-17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KR1020128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52A KR102012844B1 (en) 2018-01-17 2018-01-17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52A KR102012844B1 (en) 2018-01-17 2018-01-17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84A true KR20190087884A (en) 2019-07-25
KR102012844B1 KR102012844B1 (en) 2019-08-21

Family

ID=6746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252A KR102012844B1 (en) 2018-01-17 2018-01-17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8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753B1 (en) * 2019-12-03 2020-03-09 장윤호 Triple do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025B1 (en) 2020-08-18 2022-10-11 이재숙 Door interlocking device for velt roration part with assembly and pivot holder with attached free typ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47A (en) * 2001-05-18 2002-11-27 Dantani Plywood Co Ltd Sliding door provided with braking function
JP3787324B2 (en) * 2001-11-27 2006-06-21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Sliding door interlocking device
JP2007309088A (en) * 2006-04-20 2007-11-29 Nifco Inc Self-reciprocating mechanism of movable body, sliding door, and spacer implement
KR101172697B1 (en) 2011-06-14 2012-08-10 송진화 Inter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KR101347213B1 (en) 2012-06-25 2014-01-03 안재옥 Three sliding door
JP5576255B2 (en) * 2010-12-10 2014-08-20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Opening and closing body closing device
KR20150039619A (en) 2013-08-23 2015-04-13 이재명 Quantitative supply liquid supply valve equipped with a brush
KR101550404B1 (en) 2013-08-20 2015-09-04 고경돈 Apparatus for locking Door in 3 Sliding Door
KR20170087126A (en) 2016-01-20 2017-07-28 남승원 Interlocking door moving apparatus using inserting type pully
KR101771181B1 (en) 2016-02-22 2017-08-25 이녹하 Interlocking device of triple sliding door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47A (en) * 2001-05-18 2002-11-27 Dantani Plywood Co Ltd Sliding door provided with braking function
JP3787324B2 (en) * 2001-11-27 2006-06-21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Sliding door interlocking device
JP2007309088A (en) * 2006-04-20 2007-11-29 Nifco Inc Self-reciprocating mechanism of movable body, sliding door, and spacer implement
JP5576255B2 (en) * 2010-12-10 2014-08-20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Opening and closing body closing device
KR101172697B1 (en) 2011-06-14 2012-08-10 송진화 Inter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KR101347213B1 (en) 2012-06-25 2014-01-03 안재옥 Three sliding door
KR101550404B1 (en) 2013-08-20 2015-09-04 고경돈 Apparatus for locking Door in 3 Sliding Door
KR20150039619A (en) 2013-08-23 2015-04-13 이재명 Quantitative supply liquid supply valve equipped with a brush
KR20170087126A (en) 2016-01-20 2017-07-28 남승원 Interlocking door moving apparatus using inserting type pully
KR101771181B1 (en) 2016-02-22 2017-08-25 이녹하 Interlocking device of triple sliding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753B1 (en) * 2019-12-03 2020-03-09 장윤호 Triple d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844B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141B2 (en) Sliding apparatus with self-closing means
KR101661080B1 (en) A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capable of multi-direction rotation
KR101731775B1 (en) Horizontal Close Device of Sliding Window
US6928697B2 (en) Hinge
US20100031579A1 (en)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US20120060323A1 (en) Door hinge
KR20190087884A (en) interlock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US20020029523A1 (en) Guiding structure for moving member
KR102076173B1 (en) Safety door for preventing accident
KR101256286B1 (en) Fixing device for door
KR10194338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aught in hinged door
KR101841874B1 (en) Grip type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US8528441B2 (en) Handle for latching mechanism
KR200451771Y1 (en) fixing structure for roller in folding door
KR200447878Y1 (en) Sliding guide device of folding door
CN110853950A (en) Air switch interlocking mechanism and electrical equipment
JP2700444B2 (en) Locking device for door of electric equipment installation box
KR102532415B1 (en) Door stopper
KR102556809B1 (en) Device for preventing hands to be jammed in the door
KR102551682B1 (en) Apparatus for fixing of hinge of folding door, and folding door system using the apparatus
KR101085556B1 (en) Hinge apparatus and hinged door having the same
JP7184573B2 (en) Fittings
KR200142673Y1 (en) Door latch of a car
KR101960520B1 (en) Coupling apparatus for hinge
KR20220121503A (en) BIDirectional SPEED DECELERATION SYSTEM FOR SLIDING DOOR TYPE THREE LINKED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