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247A - 스토리텔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토리텔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247A
KR20190087247A KR1020180019999A KR20180019999A KR20190087247A KR 20190087247 A KR20190087247 A KR 20190087247A KR 1020180019999 A KR1020180019999 A KR 1020180019999A KR 20180019999 A KR20180019999 A KR 20180019999A KR 20190087247 A KR20190087247 A KR 2019008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user
contents
stor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백연
정백진
Original Assignee
정백연
정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백연, 정백진 filed Critical 정백연
Publication of KR2019008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리텔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계열적 순서를 가지며 스토리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유닛; 상기 스토리와 관련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다수의 퍼즐조각으로 분할하되, 분할된 상기 퍼즐조각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컨텐츠와 대응하도록 구성된 퍼즐을 저장하는 퍼즐 저장유닛;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질 때, 상기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맞춰지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스토리를 제공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토리텔링 시스템 {STORYTELLING SYSTEM}
본 발명은 스토리텔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순서대로 인지하면서 보다 명확하게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화책, 어학책, 소설책, 성경책, 문제집, 어학책 등의 각종 도서는 활자매체를 이용하여 내용이 기록되고, 경우에 따라 활자매체로 기록된 내용 주변으로 그림 또는 삽화 등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존의 그림 도서의 경우 그림과 글이 인쇄되어 제본된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며 보고 읽는 단순한 동작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도서 내용(스토리)에 관련된 스티커를 일부 부착하는 형태가 이용되고 있으나 통상의 책과 같이 각 장마다 수록된 내용에 해당하는 그림과 글이 인쇄된 종이 위에 스티커를 보조적으로 부착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처럼 스티커 부착식 도서는 스티커가 전체적인 도서 내용(스토리)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결국 기존의 스티커를 이용한 도서들의 경우에도 보고 읽는 단순한 기능만 수행하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도서들은 문자를 모르는 유아들이나 문자의 이해 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들에게 학부모가 도서의 내용을 직접 읽어주거나 도서에 해당하는 도서내용이 기 녹음된 카세트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및 CD 등을 재생하여 들려줌으로써 교육적인 효과를 얻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서 내용(도서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이하 컨텐츠에 의해 구성되는 스토리라고 함)을 순서에 맞게 진행할 수 있도록 시계열적 퍼즐 맞추기 방식을 제공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토리를 주도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참여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종래의 그림 도서를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은, 시계열적 순서를 가지며 스토리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유닛; 상기 스토리와 관련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다수의 퍼즐조각으로 분할하되, 분할된 상기 퍼즐조각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컨텐츠와 대응하도록 구성된 퍼즐을 저장하는 퍼즐 저장유닛;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질 때, 상기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맞춰지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스토리를 제공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와 다르게 맞춰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는 대신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퍼즐조각을 다시 맞출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퍼즐 저장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퍼즐조각의 수로 분할한 퍼즐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저장유닛은,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매칭유닛은, 상기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을 설정하는 (a)단계; 상기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퍼즐조각에 조립순서를 부여하는 (b)단계; 및 상기 조립순서에 따라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졌는지 확인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확인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질 때, 상기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퍼즐조각의 경우, 상기 조립순서와 무관하게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진 것으로 인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즐조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로 변경하고자 할 때, 하나의 상기 퍼즐조각에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이 다수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수의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과 관련성이 있는 각각의 상기 컨텐츠들 상호간의 순위가 연속되지 않는다면, 퍼즐을 새롭게 분할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기 퍼즐조각의 개수를 더 늘리라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토리텔링 시스템에 의하면, 컨텐츠를 순서대로 인지하면서 전개되는 스토리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각각에 대한 퍼즐조각의 매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집중력 및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2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3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4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5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일부 도면 아래 (알파벳) 부분은 실시예 별 작동 순서를 보여주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 실시예에 직접적으로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최근 스토리가 지닌 무한의 부가가치가 새로운 창출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떠오르면서 청중을 몰입시키고 내용전개에 흥미를 유발시키게 만드는 기법인 스토리텔링이 문화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스토리텔링이란 스토리(Story)와 텔링(Telling)의 합성어로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고자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는 컨텐츠 저장유닛(100), 퍼즐 저장유닛(200), 매칭유닛(300), 출력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컨텐츠 저장유닛(100), 퍼즐 저장유닛(200), 매칭유닛(300), 출력유닛(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2)와 중앙처리장치(14)로 구분되는 유/무선 통신 가능한 다수의 매체를 통해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각 구성을 어떻게 무엇으로 구현하는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이하 제1 실시예를 비롯하여, 다른 실시예 모두 제1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구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컨텐츠 저장유닛(100)은 스토리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때, 단순히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시계열적인 순서를 갖는 컨텐츠를 저장하는데, 여기서 시계열적인 순서는 스토리가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시계열적인 순서는 스토리의 전개를 고려한 컨텐츠 상호간에 상대적인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며, 컨텐츠 저장유닛(100)은 이러한 시계열적 순서를 갖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다만, 이때 상대적인 우선순위라고 하여 동 순위까지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컨텐츠 저장유닛(100)은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까지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퍼즐 저장유닛(200)은 스토리와 관련 있는 하나의 이미지가 분할되어 구성되는 다수의 퍼즐조각이 포함된 퍼즐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때, 하나의 이미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의 생산자가 스토리와 연계하여 미리 설정하여 둘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 업로드한 글과 연계된 사진 등일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퍼즐조각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의 생산자가 스토리와 연계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둔 부분일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수로 하나의 이미지가 분할된 부분일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하는 매칭유닛(300)에 의해 퍼즐조각을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맞추도록 하기 위해서 퍼즐조각은 전술한 컨텐츠들과 대응될 필요가 있다.
이때, 퍼즐조각의 수와 컨텐츠의 개수는 반드시 일치할 필요가 없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퍼즐조각의 수가 컨텐츠의 개수보다 많을 수도, 동일할 수도, 적을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퍼즐조각의 수와 컨텐츠의 개수의 상관관계가 정의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매칭유닛(300)이 이를 해결하기 때문이다.
즉, 퍼즐 저장유닛(200)은 퍼즐조각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컨텐츠와 대응하도록 구성된 퍼즐이 저장된다.
한편, 매칭유닛(3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퍼즐조각이 맞춰질 때,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이때, 매칭유닛(300)을 통해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확인방법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a)단계 내지 (c)단계와 같이 3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3 단계는 순서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확인방법의 일례는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의 일 지점을 설정하는 (a)단계와,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이미지의 일 지점을 포함하는 퍼즐조각에 조립순서를 부여하는 (b)단계; 및 조립순서에 따라 퍼즐조각이 맞춰졌는지 확인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a)단계에 있어서,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의 일 지점을 설정하는 이유는, 퍼즐 저장유닛(200)에 저장되는 퍼즐을 구성하는 퍼즐조각의 수가 사용자가 원하는 수로 랜덤하게 분할되더라도, (b)단계에서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퍼즐조각에 조립순서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혼동을 가져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퍼즐조각 1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2개의 퍼즐조각으로 추가 분할되었다고 가정하여 보면, 2개의 퍼즐조각 중 어느 퍼즐조각을 우선하여 조립순서를 부여할지 고민될 수 있는데, (a)단계와 같이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의 일 지점을 설정하여 두고 이미지의 일 지점을 포함하는 퍼즐조각에만 컨텐츠가 매칭될 수 있도록 조립순서를 부여한다면 이러한 고민은 쉽게 해결될 것이다.
다만, 전술한 가정에 있어서, 퍼즐조각 1이 분할된 2개의 퍼즐조각 중 이미지의 일 지점을 포함하지 않는 퍼즐조각의 경우에는, 퍼즐조각 2 내지 퍼즐조각 4와의 조립순서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추가적으로 고민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적인 고민은 퍼즐조각 1이 분할된 2개의 퍼즐조각 중 이미지의 일 지점을 포함하지 않는 퍼즐조각에 대하여는 컨텐츠가 매칭되지 않는 만큼, 조립순서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으로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퍼즐조각 1이 분할된 2개의 퍼즐조각 중 이미지의 일 지점을 포함하지 않는 퍼즐조각에는 조립순서가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퍼즐조각 2 내지 퍼즐조각 4가 조립되는 중간에 어느 시점에 조립되어도 무방하며, 이때 출력유닛(400)에서는 아무런 컨텐츠가 출력되지 않을 것임은 당연하다.
한편,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퍼즐조각 1 및 퍼즐조각 2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1개의 퍼즐조각으로 통합되는 경우도 가정하여 볼 수도 있다.
이 경우 1개의 퍼즐조각에는 2개의 이미지 일 지점이 포함될 수 있기에, 이 경우 (b)단계에서 퍼즐조각에 조립순서를 어떻게 부여할 것인지 고민될 수 있다.
즉, 1개의 퍼즐조각에 2개 이상의 다수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가 문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이 2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서 처리하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
첫번째 유형은 1개의 퍼즐조각에 포함된 다수의 컨텐츠 상호간에 상대적인 우선순위가 없거나 또는 컨텐츠 상호간의 순위가 연속되는 경우로, 이러한 경우에는 출력유닛(400)에서 다수의 컨텐츠를 함께 출력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두번째 유형은 1개의 퍼즐조각에 포함된 다수의 컨텐츠 상호간에 상대적인 우선순위가 있으면서도 컨텐츠 상호간의 순위가 연속되지 않는 경우로, 이러한 경우에는 퍼즐조각의 최소한의 개수를 기설정해두거나, 또는 퍼즐조각의 개수를 더 늘리라는 알람을 사용자에게 주는 방법, 나아가 해당 퍼즐조각을 임의로 더 나누거나, 새롭게 퍼즐을 분할하는 방법 등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c)단계에서는 단순히 퍼즐조각이 맞춰졌는지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b)단계에서 부여된 조립순서에 맞게 퍼즐조각이 맞춰졌는지도 함께 확인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퍼즐조각이 맞춰질 때,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이로부터 퍼즐조각이 조립순서에 따라 맞춰지면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 것으로 인정하여, 이를 출력유닛(400)에게 전달하고, 인정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출력유닛(400)은 퍼즐조각과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컨텐츠가 상호간에 상대적인 우선순위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즉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들도 있으므로, 동 순위 컨텐츠에 대응하는 퍼즐조각이 조립되는 경우에는 조립순서와 무관하게 퍼즐조각이 맞춰진 것으로 인정한다.
이상 예를 들어 설명한 확인방법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a)단계에서 (c)단계까지 순차적으로 기술하였지만, (a)단계에서 (c)단계까지 진행되는 순서는 알파벳 순서에 구속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 단계가 동시에 또는 순서가 바뀌어서 진행되어도 무방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상 예를 들어 설명한 확인방법은 도 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할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의 작동을 통해 더욱 이해되기 쉬울 것이다.
한편, 출력유닛(400)은 퍼즐조각이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맞춰지는 경우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출력유닛(400)은 퍼즐조각이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와 다르게 맞춰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로 하여금 퍼즐조각을 다시 맞출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퍼즐조각을 맞춘다는 것은 사용자가 퍼즐조각이 모여있는 부분(410)에서 퍼즐조각을 클릭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이미지가 제시되어 있는 부분(430)에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두는 것을 의미하는데, 반드시 퍼즐조각을 클릭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퍼즐조각을 더블 클릭하거나 해당 퍼즐조각의 번호를 클릭하여 시스템상 자동으로 퍼즐조각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두는 것까지 포괄적으로 모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450)을 통해서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1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즉, 출력유닛(400)은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기만 하면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로 하여금 퍼즐조각을 다시 맞출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도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에 내장된 스피커와 연계된 청각적인 알람(A1)을 통해서도 가능하고, 이미지가 제시되어 있는 부분(430)을 통해 이미지 상에 표시를 하는 시각적인 알람(A2)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컨텐츠 저장유닛(100), 퍼즐 저장유닛(200), 매칭유닛(300), 출력유닛(400)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를 구동시킨다.
제1 실시예가 구동되면 출력유닛(400)과 관련된 3부분으로 분할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3부분은 퍼즐조각이 모여있는 부분(410), 이미지가 제시되어 있는 부분(430), 시각적으로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450)으로, 각각의 부분의 위치는 생산자가 기설정해 둘 수 있지만, 사용자가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은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실시예가 구동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스토리에 포함된 다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유닛(100)에서 불러오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컨텐츠는 시계열적 순서를 갖는 것을 전제로 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퍼즐조각(P)을 조립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되면, 컨텐츠(T1)이 제시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컨텐츠(T2), 컨텐츠(T3), 컨텐츠(T4)가 차례대로 제시되어 하나의 스토리가 전개되도록 준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1 실시예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퍼즐조각(P)이 모여있는 부분(41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퍼즐조각(P)은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조립순서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조립순서에 맞춰서 퍼즐조각(P)을 조립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조립순서에 맞게 퍼즐조각(P)을 조립하게 되면, 해당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컨텐츠(T1~T4)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면서 사용자는 컨텐츠(T1~T4)가 연결된 스토리를 인지하게 된다.
즉, 먼저 사용자가 퍼즐조각 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게 대응시키면 퍼즐조각 1과 연계된 컨텐츠(T1)가 제공되고, 이어서 사용자가 퍼즐조각 2를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게 대응시키면 퍼즐조각 2와 연계된 컨텐츠(T2)가 제공되며, 이러한 과정이 퍼즐조각 4와 이에 대응되는 컨텐츠(T4)까지 이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컨텐츠(T1~T4)가 연결된 스토리를 쉽게 이해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조립순서에 맞지 않고 퍼즐조각을 조립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로 하여금 퍼즐조각을 다시 맞출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퍼즐조각 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이 아닌 다른 일 부분(예를 들면, 퍼즐조각 2가 맞춰져야 하는 부분)에 대응시키거나, 또는 퍼즐조각 1 다음에 퍼즐조각 3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더라도 퍼즐조각 2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야 하기에 청각적인 알람(A1) 또는 시각적인 알람(A2)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가 구동되면, 생산자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컨텐츠(T1~T4)의 시계열적 순서에 맞게 퍼즐조각(P)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사용자는 자연스레 스토리를 인지하게 될 것이다.
이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2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2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2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제2 실시예가 구동되면 출력유닛(400)과 관련된 3부분으로 분할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는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정해진 조립순서에 맞게 각각의 퍼즐조각(P)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게 대응시키면 각각의 퍼즐조각(P)과 연계된 컨텐츠(T)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면서 스토리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만, 제1 실시예가 하나의 이미지 전체를 다수의 퍼즐조각으로 분할한 퍼즐 형태였다면, 제2 실시예는 하나의 이미지 중 일부를 생략하고, 생략된 부분을 퍼즐조각으로 구성한 퍼즐의 형태이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대비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 순서에 맞게 스토리를 인지시키는 동시에 미완성된 이미지를 완성해나가는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며, 이에 대하여는 "눈을 떠 보니 탈이 변해있었다. 머리는 타래를 지어 살랑살랑 흔들리는 듯 했고, 볼에 붉은 연지, 이마에 붉은 곤지가 찍혀 영락없는 각시 모습이었다."라는 스토리가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연지"에 해당하는 퍼즐조각(P2)을 맞추는 것에 앞서서 " 타래"에 해당하는 퍼즐조각(P1)을 "탈의 머리"에 맞추면, 시각적으로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450)에서는 "눈을 떠 보니 탈이 변해있었다. 머리는 타래를 지어 살랑살랑 흔들리는 듯 했고,"라는 컨텐츠가 제공된다.
이때, 퍼즐조각(P2)을 먼저 "탈의 얼굴"에 맞춘다면, 전술한 컨텐츠는 제공되지 않고 순서가 틀렸음을 알려주는 알람(미표시)만 울리게 될 것이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가 제공될 때에도 알람(A3)이 울릴 수 있는데, 이때의 알람(A3)은 전술한 알람(미표시)과 다름은 당연하다.
이후, 사용자가 "연지/곤지"에 해당하는 퍼즐조각(P2)을 "탈의 얼굴"에 맞추게 되면, 시각적으로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450)에서는 "볼에 붉은 연지, 이마에 붉은 곤지가 찍혀 영락없는 각시 모습이었다."라는 컨텐츠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퍼즐조각(P1, P2)를 순차적으로 맞추게 되면, 사용자는 "각시탈"의 이미지(I)를 완성해나가는 성취감과 함께 "각시탈"이 형성되는 스토리, 즉 "눈을 떠 보니 탈이 변해있었다. 머리는 타래를 지어 살랑살랑 흔들리는 듯 했고, 볼에 붉은 연지, 이마에 붉은 곤지가 찍혀 영락없는 각시 모습이었다."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계속 이어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3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3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3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제3 실시예가 구동되면 출력유닛(400)과 관련된 3부분으로 분할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는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정해진 조립순서에 맞게 각각의 퍼즐조각(P)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게 대응시키면 각각의 퍼즐조각(P)과 연계된 컨텐츠(T)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면서 스토리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만,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퍼즐조각들은 모두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만,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정 퍼즐조각의 경우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와 같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퍼즐조각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퍼즐조각을 맞추면서 스토리를 인지하는 과정은 '아기돼지 삼형제'가 나오는 한 장면을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매칭유닛(300)을 통해 퍼즐조각(P1)에 대응하는 컨텐츠(T1) - 「"훅훅 불어 집을 날려버릴 테야" 늑대가 입김을 불자」라는 내용 - 가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다만,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기 이전에, 퍼즐조각(P2)를 먼저 맞추게 되면 퍼즐조각(P2)에 대응하는 컨텐츠(T2)가 제공되지 않고 다른 퍼즐조각을 맞춰볼 것을 알려주는 알람이 울리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기 이전에, 퍼즐조각(PS)을 먼저 맞추게 되면 다른 퍼즐조각을 맞춰볼 것을 알려주는 알람은 울리지 않는다. 이때, 퍼즐조각(PS)은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만큼 사용자에게 아무런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문제없음을 알려주는 다른 알람이 울릴 수도 있다.
물론,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고 단순히 배경으로서 갖는 느낌만을 제공하므로 문제 없음을 알려주는 알람만 울리게 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퍼즐조각(PS)을 먼저 맞추게 되면 알람이 아닌 다른 시각적 효과 또는 스토리 전개와 무관한 다른 내용을 전달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퍼즐조각(PS)을 맞추는 조립순서는 컨텐츠와 대응하도록 구성된 퍼즐조각(P1~P3)의 조립순서와는 무관하다. 즉, 퍼즐조각(P1) 전에 퍼즐조각(PS)를 맞춰도 되며, 퍼즐조각(P1)을 조립한 이후에 퍼즐조각(PS)를 조립하고 이어서 퍼즐조각(P2)를 조립하여도 사용자는 아무런 영향없이 스토리를 시계열적 순서에 맞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퍼즐조각(PS)을 언제 조립하느냐와 무관하게 사용자는 컨텐츠와 관련된 퍼즐조각(P1~P3)을 시계열적 순서에 맞게 설정된 조립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아기돼지 삼형제'가 나오는 한 장면을 더욱 쉽고 재미있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조립한 후, 퍼즐조각(P2), 퍼즐조각(P3)를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컨텐츠(T1)에서 컨텐츠(T3)까지 순차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훅훅 불어 집을 날려버릴 테야" 늑대가 입김을 불자 짚으로 만든 집이 날아가 버렸어요. 늑대는 벌벌 떠는 첫째 돼지를 한입에 삼켜버렸습니다.」라는 스토리를 일반적인 도서를 읽는 것보다 더욱 쉽고 재미있게 인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 우측 상단에 마련된 탭을 통해 직접 난이도를 낮게 또는 높게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 난이도는 퍼즐조각의 개수와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난이도를 높게 가져가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6개의 퍼즐조각은 예를 들어 12개의 퍼즐조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퍼즐조각이 12개로 확장되는 경우, 매칭유닛(300)의 확인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되어 있던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의 일 지점(제3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지점이 설정되어 있음)은 변함이 없기에 컨텐츠를 포함하는 퍼즐조각은 여전히 3개를 유지하면서, 나머지 9개의 퍼즐조각은 모두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퍼즐조각(PS)으로 재편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퍼즐조각의 개수가 확장된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퍼즐조각에 다수의 이미지의 일 지점이 포함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전술한 두 가지 유형 중 어느 경우에 해당되는지 확인한 후, 어느 유형인지 확인되는 대로 적절히 처리될 것임은 당연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컨텐츠를 포함하는 퍼즐조각은 2개로 두고 나머지 모두를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퍼즐조각(PS)으로 재편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퍼즐조각으로 축소하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처리되는 바, 이하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 또는 생산자가 기설정해둔 시스템 설정에 따라 퍼즐조각의 수, 모양,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퍼즐조각은 컨텐츠가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고 컨텐츠 전부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형별로 처리하면 되므로, 퍼즐조각의 개수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컨텐츠(T1~T3)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문제가 없다.
반대로, 사용자가 난이도를 낮게 가져가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6개의 퍼즐조각은 예를 들어 2개의 퍼즐조각으로 축소될 수 있다.
다만, 퍼즐조각이 2개로 축소되는 경우, 매칭유닛(300)의 확인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되어 있던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의 일 지점(제3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지점이 설정되어 있음)은 변함이 없지만, 컨텐츠를 포함하는 퍼즐조각은 2개 박에 유지할 수 밖에 없기에, 어느 하나의 퍼즐조각에는 2개의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의 일 지점이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두 가지 유형 중 어느 경우에 해당되는지 확인한 후, 어느 유형인지 확인되는 대로 적절히 처리될 것이다. 예를 들어, 축소된 2개의 퍼즐조각 중 1개의 퍼즐조각에 2개의 컨텐츠가 들어갔을 때 2개의 컨텐츠 상호간의 순위가 연속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1개의 퍼즐조각에 T1, T3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관련되는 경우)에는 두번째 유형에 해당되어 퍼즐조각의 개수를 더 늘리라는 알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퍼즐조각의 개수를 더 늘리라는 알람을 주는 것 이외에도, 앞서 두번째 유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산자가 퍼즐조각의 최소한의 개수를 기설정해두거나, 또는 해당 퍼즐조각을 임의로 더 나눌 수 있도록 퍼즐조각을 새롭게 분할하도록 기설정해두어도 무방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반대로 예를 들어, 축소된 2개의 퍼즐조각 중 1개의 퍼즐조각에 2개의 컨텐츠가 들어갔을 때 2개의 컨텐츠 상호간의 순위가 연속는 경우(예를 들어, 1개의 퍼즐조각에 T1, T2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관련되는 경우)에는 첫번째 유형에 해댕되어 출력유닛(400)을 통해 사용자에게 퍼즐조각에 T1, T2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한꺼번에 출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퍼즐조각의 개수가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컨텐츠(T1~T3)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토리를 시계열적 순서에 맞게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생산자가 기설정해둔 시스템 설정에 따라 퍼즐조각의 수, 모양,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퍼즐조각은 컨텐츠가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고 컨텐츠 전부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형별로 처리하면 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임은 다시 한 번 강조한다.
계속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4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4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4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제4 실시예가 구동되면 출력유닛(400)과 관련된 3부분으로 분할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는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정해진 조립순서에 맞게 각각의 퍼즐조각(P)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게 대응시키면 각각의 퍼즐조각(P)과 연계된 컨텐츠(T)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면서 스토리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의 모든 컨텐츠는 모두 상대적인 우선순위가 있는 컨텐츠들인 반면, 제4 실시예에서의 컨텐츠는 모두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와 같은 제4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퍼즐조각을 맞추면서 스토리를 인지하는 과정을 '백설공주와 일곱난장이'의 한 장면을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퍼즐조각(P1) 내지 퍼즐조각(P3)을 순서대로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매칭유닛(300)을 통해 퍼즐조각(P1) 내지 퍼즐조각(P3)에 대응하는 컨텐츠(T1) 내지 컨텐츠(T3) - 「Someone said, “who has been sitting on my chair.", “who has been taking some of my bread.", “who has been taking some of my bread."」라는 내용 - 가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기 이전에, 퍼즐조각(P2)을 먼저 맞추게 되면 퍼즐조각(P2)에 대응하는 컨텐츠(T2)가 먼저 제공된다. 이는 컨텐츠(T1) 내지 컨텐츠(T3)의 순서가 바뀌어 사용자에게 출력되어도 사용자가 해당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기 때문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퍼즐조각(P4)를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면, 퍼즐조각(P4)에 대응하는 컨텐츠(T4~T6) - 「“who has been eating my vegetables.",“who has been using my fork.",“who has been cuttingwith my knife." 」라는 내용 - 가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이와 같이 1개의 퍼즐조각에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이미지의 일 지점이 다수 개(제4 실시예의 경우 3개) 포함되더라도, 다수의 이미지의 일 지점과 관련 있는 컨텐츠의 순서가 바뀌더라도 사용자가 해당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이는 전술한 두 가지의 유형 중 첫번째에 해당되어 해당 컨텐츠 모두가 출력유닛(400)에 출력될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퍼즐조각(P7)를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면, 퍼즐조각(P7)에 대응하는 컨텐츠(T7) - 「“who has been drinking outof my mug."」라는 내용 - 가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4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계열적인 순서에 의해 스토리가 전개됨에 따라 얻는 즐거움은 느끼지 못하지만, 동 순위의 컨텐츠 다수가 다양하게 제시됨에 따라 얻는 또 다른 즐거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5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4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5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된 제5 실시예가 작동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제5 실시예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제5 실시예가 구동되면 출력유닛(400)과 관련된 3부분으로 분할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는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정해진 조립순서에 맞게 각각의 퍼즐조각(P)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게 대응시키면 각각의 퍼즐조각(P)과 연계된 컨텐츠(T)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면서 스토리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의 모든 컨텐츠는 모두 상대적인 우선순위가 있는 컨텐츠들인 반면, 제5 실시예에서의 컨텐츠는 상대적인 우선순위가 있는 컨텐츠들 외에도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와 같은 제5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퍼즐조각을 맞추면서 스토리를 인지하는 과정을 창작동화의 한 장면을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매칭유닛(300)을 통해 퍼즐조각(P1)에 대응하는 컨텐츠(T1) - 「엄마는 가족들의 옷을 챙기러 방에 들어왔습니다.」라는 내용 - 가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다만,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기 이전에, 퍼즐조각(P2)를 먼저 맞추게 되면 퍼즐조각(P2)에 대응하는 컨텐츠(T2)가 제공되지 않고 다른 퍼즐조각을 맞춰볼 것을 알려주는 알람이 울리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해당 이미지의 일 부분에 맞추기 이전에, 퍼즐조각(PS)을 먼저 맞추게 되면 아무런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음은 물론, 다른 퍼즐조각을 맞춰볼 것을 알려주는 알람이 아닌 오히려 문제 없음을 확인하는 알람이 울리게 될 것이다.
이때,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5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퍼즐조각(PS)을 맞추게 될 때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고 단순히 배경으로서 갖는 느낌만을 제공하므로 문제 없음을 알려주는 알람이 울릴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퍼즐조각(PS)을 먼저 맞추게 되면 알람이 아닌 다른 시각적 효과 또는 스토리 전개와 무관한 다른 내용을 전달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하여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퍼즐조각(PS)을 맞추는 조립순서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퍼즐조각(P1~P3)의 조립순서와는 무관하다. 즉, 퍼즐조각(P1) 전에 퍼즐조각(PS)를 맞춰도 되며, 퍼즐조각(P1)을 조립한 이후에 퍼즐조각(PS)를 조립하고 이어서 퍼즐조각(P2)를 조립하여도 사용자는 아무런 영향없이 스토리를 시계열적 순서에 맞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퍼즐조각(PS)을 언제 조립하느냐와 무관하게 사용자는 퍼즐조각(P1~P3)을 시계열적 순서에 맞게 설정된 조립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창작동화의 한 장면을 더욱 쉽고 재미있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퍼즐조각(P1)을 조립한 후, 퍼즐조각(P2), 퍼즐조각(P3)를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컨텐츠(T1)에서 컨텐츠(T3)까지 순차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엄마는 가족들의 옷을 챙기러 방에 들어갔습니다. 아기는 가족들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딸은 윗옷을 챙겨 입습니다. 아들은 아래옷을 챙겨 입습니다. 아빠는 서둘러 준비하라며 문밖에서 말합니다.」라는 스토리를 일반적인 도서를 읽는 것보다 더욱 쉽고 재미있게 인지하게 될 것이다.
다만, 제5 실시예의 스토리가 「엄마는 가족들의 옷을 챙기러 방에 들어갔습니다. 아들은 아래옷을 챙겨 입습니다. 딸은 윗옷을 챙겨 입습니다. 아기는 가족들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아빠는 서둘러 준비하라며 문밖에서 말합니다.」와 같이 일부 순서를 바꾸어도 사용자가 스토리를 인지하는데 전혀 문제없는 경우가 있다.
즉, 스토리를 구성하는 일부 컨텐츠는 전체적으로는 시계열적 순서와 연계되지만, 상호간에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관한 컨텐츠들이 있다고 할 것이며, 이에 대하여는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들이라고 전술한 바와 같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5 실시예에서 이러한 동 순위의 컨텐츠들을 확인하여 보면, 컨텐츠(T21; 아기는 가족들을 바라보고 있습니다.)와, 컨텐츠(T22; 딸은 윗옷을 챙겨 입습니다.) 및 컨텐츠(T23; 아들은 아래옷을 챙겨 입습니다.)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동 순위의 컨텐츠(T21~T23)에 대응하는 퍼즐조각(P2)은 조립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물론, 이러한 동 순위의 컨텐츠(T21~T23) 또한 퍼즐조각(PS)과 달리 컨텐츠에 대응하는 퍼즐조각(P1, P3, P4) 사이에서는 조립순서가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되짚어 가면서 스토리를 이해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이미 출력된 컨텐츠를 지우고 조립되는 퍼즐조각에 맞춰 새로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출력된 컨텐츠를 계속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로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예를 들어 제시한 동화책, 소설책 등 도서에만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텔링 시스템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사용자가 찍은 사진과 이와 연계되어 작성한 텍스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위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찍은 사진은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고, 텍스트는 컨텐츠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휴대용 단말기
100 : 컨텐츠 저장유닛
200 : 퍼즐 저장유닛
300 : 매칭유닛
400 : 출력유닛
T : 컨텐츠
I : 이미지
P : 퍼즐조각

Claims (7)

  1. 시계열적 순서를 가지며 스토리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유닛;
    상기 스토리와 관련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다수의 퍼즐조각으로 분할하되, 분할된 상기 퍼즐조각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컨텐츠와 대응하도록 구성된 퍼즐을 저장하는 퍼즐 저장유닛;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질 때, 상기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매칭유닛; 및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맞춰지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스토리를 제공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유닛은,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와 다르게 맞춰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스토리를 제공하는 대신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퍼즐조각을 다시 맞출 수 있도록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 저장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퍼즐조각의 수로 분할한 퍼즐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장유닛은,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유닛은,
    상기 컨텐츠와 관련성이 있는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을 설정하는 (a)단계; 상기 컨텐츠의 시계열적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퍼즐조각에 조립순서를 부여하는 (b)단계; 및 상기 조립순서에 따라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졌는지 확인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확인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질 때, 상기 퍼즐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가 시계열적 순서에 맞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호 간에 순서가 바뀌더라도 스토리의 전개가 달라지지 않는 동 순위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퍼즐조각의 경우, 상기 조립순서와 무관하게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진 것으로 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조각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로 변경하고자 할 때, 하나의 상기 퍼즐조각에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이 다수 포함되는 경우,
    다수의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과 관련성이 있는 각각의 상기 컨텐츠들 상호간의 순위가 연속되지 않는다면, 퍼즐을 새롭게 분할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기 퍼즐조각의 개수를 더 늘리라는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시스템.
KR1020180019999A 2018-01-15 2018-02-20 스토리텔링 시스템 KR20190087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5199 2018-01-15
KR1020180005199 2018-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247A true KR20190087247A (ko) 2019-07-24

Family

ID=6748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99A KR20190087247A (ko) 2018-01-15 2018-02-20 스토리텔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72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978A (ko) * 2020-07-22 2022-02-03 백승곤 독서교육 시스템
KR200495676Y1 (ko) * 2021-10-22 2022-07-21 장상일 자석을 이용한 놀이기능이 구비된 실외형 교구 안내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978A (ko) * 2020-07-22 2022-02-03 백승곤 독서교육 시스템
KR200495676Y1 (ko) * 2021-10-22 2022-07-21 장상일 자석을 이용한 놀이기능이 구비된 실외형 교구 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7279B2 (en) Visual scene displays, uses thereof, and corresponding apparatuses
Drager et al. Learning of dynamic display AAC technologies by typically developing 3-year-olds
MX2013012952A (es) Sistema de aprendizaje dirigido por niños, que integra sistemas de comunicacion ceular, de educacion, de entretenimiento, de alerta y de monitoreo.
WO2008047344A2 (en) Public library system for providing reading-together at two remote locations of a selected children literature item
Bozdog et al. Worlds at our fingertips: reading (in) what remains of edith finch
Martini ‘What's New?’at the dinner table: Family dynamics during mealtimes in two cultural groups in Hawaii
KR20190087247A (ko) 스토리텔링 시스템
Antwi Dub Poetry as a Black Atlantic Body-Archive
Gowans et al. Designing the interface between dementia patients, caregivers and computer-based intervention
WO2008047350A2 (en) System for providing reading-together at two remote locations of a children literature item
Johnson The social and cognitive worlds of young children reading together
Holdsworth On Living with Television
Apel et al. Beyond baby talk: From speaking to spelling: A guide to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for parents and caregivers
Ward-Wimmer et al. Counseling approaches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KR20040033517A (ko) 웹을 응용한 토이 제어 시스템 및 토이 제어 방법
Brown-Guillory Ntozake Shange: A Cultural War Correspondent—An Interview
US20080070216A1 (en) Book having audio information
Benor Black and Jewish: Language and multiple strategies for self-presentation
Barth Twilight zones: Wome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in postwar US television, film, and radio
Cox Children and death: Coping through humor, art, and music
JP2596264B2 (ja) 情報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hretien Mothers in medicine: Career, practice, and life lessons learned
Rosen Your Story, Well Told: Creative Strategies to Develop and Perform Stories that Wow an Audience
Lysne Straight Eye for the Queer Guy: Gay Youth in Contemporary Scandinavian Film
LEARN • What literacy is. Early stages of literacy development. The role of visual literacy in children's literature. What children's literature is and the benefits it provides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