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002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002A
KR20190087002A KR1020180005233A KR20180005233A KR20190087002A KR 20190087002 A KR20190087002 A KR 20190087002A KR 1020180005233 A KR1020180005233 A KR 1020180005233A KR 20180005233 A KR20180005233 A KR 20180005233A KR 20190087002 A KR20190087002 A KR 2019008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pair
washing
container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6382B1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382B1/en
Priority to AU2018395018A priority patent/AU2018395018B2/en
Priority to CN201880090338.7A priority patent/CN111819319B/en
Priority to PCT/KR2018/016890 priority patent/WO2019132602A1/en
Priority to US16/958,815 priority patent/US11718947B2/en
Publication of KR2019008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which can prevent accid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achine comprises: a first washing tank rotated around a vertical axis; a second washing tank separ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ank to be rotated with the first washing tank as one unit; and a locker arranged on the second washing tank to fix the second washing tank to prevent the second washing tank from being removed from the first washing tank while the second washing tank is rotated. The second washing tank includes: a container to accommodate laundry; and a washing tank cover which covers the container, and has a feeding port to feed laundry into the container. The washing tank includes: a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provided with an inlet into which a water current ascending in the container flows when the first washing tank rotates, and an outlet to discharge water entering through the inlet;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to limit a flow passage reaching the outlet from the inlet. The lower cover has a pair of partitions formed thereon to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the locker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s.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ssage by the pair of partitions.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having two washing machines.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treating laundry through various opera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ng and / or drying.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laundr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loth") using water and detergent.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탁조들을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wo washing tanks has been released. Such a washing machine has a large-capacity washing tank and a small-capacity washing tank, and each washing tank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convenient that the washing machines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urthermore, if a small amount of washing is required, only a small capacity washing machine can be used, which is very economica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두 개의 세탁조가 공간적으로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될 수밖에 없고, 세탁조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 급수를 위한 급수기구들, 배수를 위한 배수기구들이 각각 두 개씩 필요하여,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ince the two washing tanks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space,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 driving units for driving the washing tubs, the water supply mechanisms for supplying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s of the products are also increased.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treating laundry through various opera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ng and / or drying.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laundr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cloth") using water and detergent.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탁조들을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wo washing tanks has been released. Such a washing machine has a large-capacity washing tank and a small-capacity washing tank, and each washing tank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convenient that the washing machines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urthermore, if a small amount of washing is required, only a small capacity washing machine can be used, which is very economica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두 개의 세탁조가 공간적으로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세탁조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들, 급수를 위한 급수기구들, 배수를 위한 배수기구들이 각각 두 개씩 필요하여,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ince the two washing tanks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 driving units for driving the washing tubs, the water supply devices for supplying wa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ice of the product also ri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와, 상기 제 2 세탁조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를 포함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ashing tub which is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 locker provided in the washing tub to fix the second washing tub so that the second washing tub is not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being rotated.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덮고, 상기 컨테이너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세탁조 커버를 포함한다.The second washing tub include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laundry, and a washing tub cover covering the container and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laundry into the container.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한다.Wherein the washing tub cover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an inlet port through which water flows upward in the container when the washing tub rotates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is formed,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to define a flow path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상기 하부 커버에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격벽 사이에 상기 락커가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한 쌍의 격벽에 의해 상기 유로로부터 분리된다.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pair of partitions, and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s to receive the locker, and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by the pair of partitions.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2 세탁조가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econd washing tu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first wash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washing tub are integrally rotated.

특히, 상기 제 2 세탁조의 상하 방향 거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 2 세탁조가 도어를 충격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기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washing tub is prevented, the second washing tub does not experience a shock to the do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apparatus from occurring,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또한, 락커가 상기 제 2 세탁조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세탁조에는 세탁에 사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유로가 구비되는 구조에서, 상기 유로와 분리된 공간에 상기 락커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락커가 수용된 공간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 2 세탁조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락커가 수용되는 공간에 물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cker is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flow path for draining water used for washing is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by arranging the locker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a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looded. Particularly, there is an effect that water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where the locker is accommodated in the process of draining the second washing tub.

또한, 하부 커버에 상기 락커를 설치한 후, 상부 커버를 조립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락커가 배치된 공간이 상기 유로와 분리, 구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in which the locker is disposed can be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by only assembling the upper cover after installing the locker on the lower cover.

또한, 회전 중에는 상기 제 2 세탁조와 상기 제 1 세탁조가 자동으로 락되고, 회전이 정지되면, 락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락 과정이 별도의 전동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회전에 의해 자연 발생하는 원심력, 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락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 또한 낮다.Also, during the rotation, the second washing tub and the first washing tub are automatically locked, and when the rotation is stopped, the locked state is automatically canceled,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Particularly, since the locking process is not a method using a separate electric power but a centrifugal force naturally generated by rotation or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structure for locking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low.

또한, 세탁기의 운전이 종료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락이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 해제 여부를 의식할 필요 없이 상기 제 2 세탁조를 탈거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ck is releas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by the user in the state where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s finished, the user can remove the second washing tub without needing to be aware that the lock is released, hav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써,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상부 커버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10은 상부 커버와 컨테이너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부 커버에 락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격벽 사이에 락커가 배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a)는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고, (b)는 락킹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버를 도시한 것(a)과 상부 커버의 저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b)이다.
도 15는 도 14에 XV로 표시된 부분을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shing tub cov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in the balancer.
Figure 6 is a top view of the assembly shown in Figure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Figure 9 is a top view of the top cover viewed from above.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are separate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a locker is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Particularly, a locker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partition walls.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in FIG.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7, wherein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Fig. 1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lower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b) show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Fig. 15 is a top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XV in Fig. 14.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로써,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상부 커버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10은 상부 커버와 컨테이너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부 커버에 락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격벽 사이에 락커가 배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a)는 락킹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고, (b)는 락킹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한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ub.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shing tub cov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ashing tub is installed in the balancer. Figure 6 is a top view of the assembly shown in Figure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Figure 9 is a top view of the top cover viewed from above.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and the container are separate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a locker is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Particularly, a locker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partition walls.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in FIG.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7, wherein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Fig. 1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FIG.

도 1을 참조하면, 캐비닛(2)은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측으로 저수조(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닛(2)은 평평한 캐비닛 베이스(5)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포함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abinet 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washing machin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4 is accommodated. The cabinet 2 is supported by a flat cabinet base 5, and includes a front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 rea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is opened.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에는 탑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op cover 3 may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2. [ The top cover 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aundry (or " cloth "). A do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3.

저수조(4)는 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지지로드(15)에 의해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캐비닛(2)의 네 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로드(15)의 일단은 탑 커버(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27)에 의해 저수조(4)와 연결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is for storing water and can be suspended in the cabinet 2 by the support rod 15. The support rods 15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cabinet 2, one end of each support rod 15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top cover 3,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4) by the water supply pipe (27).

저수조(4)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저수조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 커버(14)는 중앙부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된다.The water storage tank 4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water storage tank cover 14 is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The reservoir cover (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opening at its center, and laundry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저수조(4)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수직한 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수직한 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 1 세탁조(6)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6h)이 형성되고, 통공(6h)을 통해 제 1 세탁조(6)와 저수조(4) 간에 물이 교류된다.In the water storage tank 4, a first washing tub 6 accommodating laundry and rotated around a vertical axis may be disposed. The vertical axis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vertical axis may be accurately align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but may b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h through which water is passed is formed in the first washing tub 6 and water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water storage tank 4 through the through holes 6h.

제 1 세탁조(6)는, 상측이 개구되고, 통공(6h)이 형성된 드럼(6a)과, 드럼(6a)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6a)의 저면은 허브(7)에 의해 구동부(8)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ashing tub 6 may include a drum 6a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through hole 6h formed therein and a ring balancer 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6a.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6a can b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driving unit 8 by the hub 7.

제 1 세탁조(6)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9)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9)가 회전될 시, 상기 날개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된다.A pulsator (9) can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first washing tub (6). The pulsator 9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wardly projecting radial blades. When the pulsator 9 is rotated, water flows by the wings.

밸런서(20)는 드럼(6a)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것이다. 밸런서(20)는 드럼(6a)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밸런서(20)는, 링형의 공동(20h1, 20h2)을 형성하는 밸런서 본체 (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20h1, 20h2) 내에는 유체(예를 들어, 소금물) 또는 복수의 중량체(예를 들어, 금속구)가 삽입될 수 있다. 환형의 공동(20h1, 20h2)은, 동심을 가지나 서로 다른 직경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lancer 20 compensates for the eccentricity caused when the drum 6a rotates. The balancer 20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drum 6a. Referring to Figs. 5-7, the balancer 20 may include a balancer body 21 forming ring-shaped cavities 20h1, 20h2. Fluids (e.g., brine) or a plurality of weights (e.g., metal spheres) may be inserted into cavities 20h1, 20h2. The annular cavities 20h1 and 20h2 may have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드럼(6a)이 회전되는 중에 한쪽으로 치우치면, 드럼(6a)이 치우친 방향과 반대로 유체 또는 중량체들이 이동됨으로써 편심이 보정된다. 세탁기에 적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drum 6a is shifted to one side while rotating, the fluid or the weight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um 6a is shifted, thereby correcting the eccentricity. Since the ring type balancer 20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has already been known in various forms, th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세탁조(10)는, 링형태의 밸런서(20)에 의해 규정된 공간(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밸런서(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이 담기는 컨테이너(30)와, 컨테이너(30)를 덮는 세탁조 커버(6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30)는 세탁물과 물을 담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세탁조 커버(60)가 덮는다. 컨테이너(30)는,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ub 10 can be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ring-shaped balancer 20 (or a substantially circular opening), and can be supported by the balancer 20 in this inserted state. The second washing tank 10 includes a container 30 containing laundry and a washing tub cover 60 covering the container 30. The container 30 is filled with laundry and water and has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opened upper surface is covered with the washing tub cover 60. The container 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aundry contained in th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밸런서 본체(21)의 내경부(위에서 내려다 볼 때 링형을 구성하는 두 개의 원 중에서 안쪽 원을 이루는 부분)에는 컨테이너(30)를 지지하는 링형의 지지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치합홈(22c, 도 8 참조.)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 각 치합홈(22c)들은 나선 형태일 수 있다.A ring-shaped support portion 22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30 may be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balancer main body 21 (a portion forming an inner circle among the two circles constituting the ring type when viewed from above).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22c (see Fig. 8)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support portion 2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of the engagement grooves 22c may be in the form of a spiral.

컨테이너(30)의 외측면에는 지지부(22)에 형성된 치합홈(22c)들과 맞물리는 돌기 형태의 스레드(thread, 3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스레드(33)는 치합홈(22c)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하로 연장된다. 즉, 치합홈(22c)이 나선 형태인 경우, 스레드(33) 역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돌기이다. 스레드(33)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threads 33 in the form of protrusions engaging with the engagement grooves 22c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22 can be formed. The thread 33 extends verticall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groove 22c. That is, when the fitting groove 22c is in the form of a spiral, the thread 33 is also a spiral extending projection. The threads 33 are arranged in plur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스레드(33)들은 일종의 헬리컬 기어를 구성하여, 밸런서(20)의 안착부(33)에 형성된 치합홈(22c)들과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 1 세탁조(6)가 회전될 시, 제 2 세탁조(10)가 헛돌지 않고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밸런서(20)와 컨테이너(30) 간의 이러한 방식의 결합은 일종의 나사 결합이기도 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와 제 1 세탁조(6) 간의 결합이 견실하게 유지된다. 특히, 스레드(33)와 치합홈(22c)간의 결합이 갖는 구속력(예를 들어, 서로 맞물리는 면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하강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The threads 33 constitute a kind of helical gear and ar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s 22c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3 of the balancer 20. [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the second washing tub 10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without idling. In this way, the coupling between the balancer 20 and the container 30 is also a kind of screw coupling,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washing tub 10 and the first washing tub 6 is firmly maintained. Particularly, the second washing tub 10 can be fixed without being lowered by the restraining force (for example, a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mutually engaged surfaces) of the coupling between the thread 33 and the latch groove 22c.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제 1 세탁조(6)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도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된다.The second washing tank 10 accommodates the laundry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That is,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installed,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also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사용자는 제 2 세탁조(10)가 미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에 제 1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 2 세탁조(10)를 설치하여 제 2 세탁조(10)에 제 2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the first laundry into the first washing tub 6 or install the second washing tub 10 into the second washing tub 10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not installed have.

도 1을 참조하면, 캐비닛(2) 내에는 제 1 세탁조(6)와 펄세이터(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8)는 저수조(4)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수조(4)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로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abinet 2 may include a first washing tub 6 and a driving unit 8 for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pulsator 9. The driving unit 8 is disposed below the water storage tank 4 and can be suspended in the cabinet 2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4. [

구동부(8)의 회전축은 펄세이터(9)와는 항시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세탁조(6)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의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된 상태로 구동부(8)가 운전될 시에는, 펄세이터(9)와 제 1 세탁조(6)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해제(또는, 분리)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제 1 세탁조(6)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9)만 회전된다.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8 is constantly connected to the pulsator 9 and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lutch (not shown). The pulsator 9 and the first washing tub 6 are integrally rotated when the driving unit 8 is operated while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8 is connect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When the first washing tub 6 is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disconnected from (or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only the pulsator 9 is rotated in the stopped state.

구동부(8)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세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직접 구동 방식의 인버터 모터(Inverter 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세탁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세탁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또는, 목표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8 may include a washing motor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washing motor may be an inverter direct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PI controller), a 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ler (PID controller), and the like. The controller receives an output value (e.g., an output current) of the washing motor as an input, and based on the output value, determines whether the rotational speed (or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motor follows a predetermined target rotational speed Can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들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not only the washing motor but also the entir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at the control of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한편, 세탁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관(미도시)과,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may include a cold water pipe (not shown) for receiving cold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hot water pipe (not shown) for receiving hot water.

급수관(11)을 단속하는 급수밸브(13)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11)이 복수가 구비되는 경우, 급수밸브(13)도 복수가 구비되어, 급수관(11)들이 각각 급수밸브(13)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13)가 개방되면, 개방된 급수밸브(13)와 대응하는 급수관(11)을 통해 메인 디스펜서(16)로 급수가 이루어진다.A water supply valve 13 for interrupting the water supply pipe 11 may be provided. When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11 are provide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valves 13 are also provided so that the water supply pipes 11 can be interrupted by water supply valves 13, respectively. When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13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dispenser 16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corresponding to the opened water supply valve 13.

메인 디스펜서(16)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급수관(11)을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저수조(4)로 공급한다. 메인 디스펜서(16)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이 있다.The main dispenser 16 supplies the additive acting on the laundry to the water storage tank 4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The additives supplied by the main dispenser 16 include laundry detergents, fabric softeners, bleaching agents and the like.

한편, 세탁기는, 저수조(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19a)와, 배수 밸로우즈(19a)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9a)는 펌프(18)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17)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19a)를 통해 펌프(18)로 물이 공급된다. 이렇게 펌프(18)로 유입된 물은, 펌프(18)가 작동될 시 배수관(19b)을 통해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drain valve 19a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water reservoir 4 and a drain valve 17 for interrupting the drain valve 19a. The drainage bellows 19a can be connected to the pump 18. When the drain valve 17 is opened, water is supplied to the pump 18 through the drain valve 19a. The water thus introduced into the pump 1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drain pipe 19b when the pump 18 is operated.

세탁조 커버(60)의 대략 중앙에는, 컨테이너(30)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60h)가 형성된다. 세탁조 커버(60)는 하부 커버(40)와, 하부 커버(4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40)는 컨테이너(3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와 컨테이너(30)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용착, 더 바람직하게는 열 용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t a substantially center of the washing tub cover 60, a charging port 60h is formed so that laundry can be charged into the container 30. The washing tub cover 60 may include a lower cover 40 and an upper cover 5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40. The lower cover 40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30. The lower cover 40 and the container 30 are each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re preferably connected by welding, more preferably by heat welding,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부 커버(50)는 하부 커버(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에는 제 1 개구부(40h)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50)에는 제 1 개구부(40h)와 연통되며, 투입구(60h)를 이루는 제 2 개구부(50h)가 형성된다.The upper cover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ver 40. A first opening 40h is formed in the lower cover 40 and a second opening 50h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5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40h and to form a charging port 60h.

상부 커버(50)와 하부 커버(40) 사이에는 후술하는, 락커(80), 체크밸브(91), 유로(FP) 등이 배치되는 공간이 제공되며, 필요시, 사용자는 상부 커버(50)를 하부 커버(40)로부터 분리한 후, 락커(80)나 체크밸브(91)를 유지 또는 수선할 수 있으며, 유로(FP)를 청소할 수도 있다.A space in which a locker 80, a check valve 91, a flow path FP and the like are disposed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40. If necessary, The locker 80 and the check valve 91 can be maintained or repaired after the lower cover 4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over 40 and the flow path FP can be cleaned.

세탁조 커버(60)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51h)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세제, 표백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담는 서브 디스펜서(70)가 구비되며, 급수구(51h)로 공급된 물이 서브 디스펜서(70)를 경유하면서 첨가제와 함께 컨테이너(30)로 공급된다. 상기 첨가제는, 후술하는 사이폰 관(724)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tub cover 6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51h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flows. The washing tub cover 60 is provided with a sub dispenser 70 for containing additives such as a detergent, a bleaching agent or a fabric softening agent so that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ort 51h flows through the sub- 30). The additive is preferably liquid so that it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ube 724 described later.

급수구(51h)를 통한 급수는 복수회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첫 번째 급수 시 후술하는 사이폰 관(724)을 통해 모두 배출되기 때문에, 이후에 실시되는 급수시에는, 서브 디스펜서(70)를 통해 첨가제가 용해되지 않은 상태의 물(또는, 원수)이 급수된다.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51h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In this case, since the additive is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ube 724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time of the first water supply, the water (or water) in which the additive is not dissolved through the sub-dispenser 70 , Enemy water) is supplied.

한편, 제 2 세탁조(10)가 충분한 속도로 회전되면, 컨테이너(3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발달된 수류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즉, 컨테이너 본체(31)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여, 후술하는 유입구(452h)를 통해 세탁조 커버(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유입구(452h)를 통해 유입된 수류를 안내하는 유로(FP, 도 12 참조.)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at a sufficient speed, the water flow developed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in the container 30 is transmitt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30 ,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cover 60 through the inlet port 452h described later. The washing tub cover 60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FP (see FIG. 12) for guiding the water flo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52h.

세탁조 커버(60)는 유로(FP)를 따라 안내된 수류를, 세탁조 커버(60)의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6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62)은 하부 커버(40)에 형성된 배출구(431, 도 12 참조)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노즐(62)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릿 형태의 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shing tub cover 60 may include a nozzle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flow guided along the flow path FP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tub cover 60. The nozzle 62 can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discharge port 431 (see FIG. 12) formed in the lower cover 40. The nozzle 62 may have a horizontally elongated slit-shaped outlet.

상기 출구는 저수조 커버(14) 보다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제 2 세탁조(10)가 고속으로 회전되어, 노즐(62)을 통해 배출된 물이 저수조 커버(14)의 저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The outlet is open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reservoir cover (14).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rotated at a high spe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62 can be guid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cover 14.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세탁조(10)가 밸런서(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즐(62)은 밸런서(20) 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며(즉, 밸런서(20) 보다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노즐(62)을 통해 분사된 물이 밸런서(20)와 간섭되지 않고, 저수조(4) 내에 이를 수 있다.5,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installed on the balancer 20, the nozzle 62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balancer 20 (i.e., the upper side of the balancer 20 is exposed) So that the water injected through the nozzle 62 can reach the water storage tank 4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balancer 20.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3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인(35)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인(35)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이며, 컨테이너(3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컨테이너(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수류가 베인(35)과의 충돌에 의해 상승한 후, 컨테이너(30)의 중심부로 낙하된다. 베인(35)은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복수가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베인(35)이 구비되나, 베인(35)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3,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may include a vane 35 extending vertically. The vane 35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and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ainer 30 and installed in the container 30.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ai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vane 35 and then falls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30. [ A plurality of vanes 35 may be provided, and preferably, a plurality of vanes 35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In the embodiment, a pair of vanes 35 is provided, but the number of vanes 35 is not limited to this.

세탁조 커버(60)는 투입구(60h) 둘레에 형성된 손잡이(61)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봤을 때, 손잡이(61)를 기준으로 일측에 투입구(60h)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급수구(51h)가 위치한다. 손잡이(61)는 투입구(60h)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급수구(51h) 역시 각 손잡이(6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tub cover 60 may include a handle 61 formed around the inlet port 60h. When the washing tub cover 60 is viewed from the top downward, the inlet 60h is located at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handle 61 and the water inlet 51h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The handle 61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60h and the water inlet 51h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each handle 61, respectively.

서브 디스펜서(70)는 세탁조 커버(6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는 세탁용 세제 또는 표백제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를 통해서는 섬유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다.The sub-dispenser 7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shing tub cover 6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laundry detergent or the bleaching agent may be supplied through one of the pair of sub-dispensers 70, and the fabric soften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other.

서브 디스펜서(70)는 하부 커버(40)에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한 쌍의 급수구(51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를 각각 제 1 서브 디스펜서(70(1))와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구분한다.The sub-dispenser 7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over 40. The sub-dispenser 7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water supply ports 51h, respectively. Hereinafter, a pair of sub-dispensers 70 are divided into a first sub-dispenser 70 (1) and a second sub-dispenser 70 (2).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 1 서브 디스펜서(70(1)) 또는 제 2 디스펜서(70(2))로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시에는 제 1 서브 디스펜서(70(1))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헹굼 행정시에는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sub-dispenser 70 (1) or the second dispenser 70 (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position (or rotation angle) Lt; / RTI > For example,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sub-dispenser 70 (1) during the washing cycle and to supply water to the second sub-dispenser 70 (2) during the rinsing cycle, The rotational position (or rotational angle) of the rotor 10 can be controlled.

각각의 서브 디스펜서(70)는 디스펜서 하우징(71)과, 디스펜서 하우징(71)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된 드로워(72)와, 드로워(72)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드로워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 커버(73)는 드로워(7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드로워 커버(73)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통과하는 개구부(73h)가 형성되어, 개구부(73h)를 통과한 물이 드로워(72) 내로 공급된다. Each of the sub-dispensers 70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71, a drawer 72 that is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housing 71 so as to be drawn out and has an opened upper surface and a drawer 72 that covers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drawer 72 And a lower cover (73). The drawer cover (73) can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drawer (72). An opening 73h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passes is formed in the drawer cover 73 so that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opening 73h is supplied into the drawer 72. [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를 통해 유입된 물을 서브 디스펜서(70)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52)는 물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물이 드로워 커버(73)의 개구부(73h)로 안내된다.The upper cover 50 may include a flow guide 52 for guiding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51h to the sub-dispenser 70. The flow guide 52 form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water is guided downward, and water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is guided to the opening 73h of the drawer cover 73.

상부 하우징(50)에는, 서브 디스펜서(70)의 상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55)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55)는 상부 하우징(50)에 착탈될 수 있다. 플레이트(55)는 유동 가이드(52)의 하단과의 사이에 간격(55h)을 형성하며, 유동 가이드(52)를 따라 안내된 물이 간격(55h)을 통과하여 드로워 커버(73)의 개구부(73h)로 공급된다.The upper housing 50 may be provided with a plate 55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b-dispenser 70. The plate 55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housing 50. The plate 55 forms an interval 55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low guide 52 and the water guided along the flow guide 52 passes through the gap 55h and is guided to the opening of the drawer cover 73. [ (73h).

디스펜서 하우징(71)은 드로워(7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 커버(4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71)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하부 커버(40)에 고정될 수 있다.The dispenser housing 7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over 40 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rawer 72 is received. The dispenser housing 71 can be fixed to the lower cover 40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or bolts.

드로워(72)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써, 드로워(72) 내에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드로워(72)는 디스펜서 하우징(71)과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은 드로워(72)를 디스펜서 하우징(71) 내로 삽입하거나, 디스펜서 하우징(71)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드로워(72)는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디스펜서 하우징(71)과 결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디스펜서 하우징(71)에 대해 선회 가능한 방식, 즉, 디스펜서 하우징(71)과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The drawer (72) is a container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additive can be received in the drawer (72). The drawer 72 is engaged with the dispenser housing 71 and this engagement allows the drawer 72 to be inserted into the dispenser housing 71 or to be withdrawn from the dispenser housing 71. Although the drawer 72 in the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dispenser housing 71 in a slidable mann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 example, a pivotable manner with respect to the dispenser housing 71, 71).

도 7을 참조하면, 드로워(72)는,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사이폰 관(724)을 포함할 수 있고, 드로워 커버(73)는 사이폰 관(724)을 덮는 사이폰 캡(732)을 포함할 수 있다. 7, the drawer 72 may include a siphon tube 724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and the drawer cover 73 may include a siphon cap 724 covering the siphon tube 724, 732).

사이폰 관(724)의 출구는 드로워(72)의 바닥에 형성되고, 사이폰 캡(73)은 사이폰 관(7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액상의 첨가제를 공급하는데 적합하다.The outlet of the siphon tube 72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awer 72 and the siphon cap 73 forms an annular flow path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phon tube 724 in the transverse section. Such a structure is suitable for supplying a liquid phase additive.

서브 디스펜서(70)로 물이 공급되어, 드로워(72) 내의 수위가 점점 상승되면, 물이 상기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따라 상승하여 사이폰 관(724) 상단의 입구를 통해 사이폰 관(724) 내로 유입된 후, 사이폰 관(724) 하단의 출구를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배출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ub-dispenser 70 and the water level in the drawer 72 gradually rises, the water rises along the annular channel in the transverse section and flows through the siphon tube 724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container 30 through the outlet at the lower end of the siphon tube 724. [

한편, 제 1 세탁조(6) 내의 세탁물과 제 2 세탁조(10) 내의 세탁물이 동시에 세탁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급수가 가능하여야 한다. 이하,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어떻게 급수가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laundry in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laundry in the second washing tub 10 to be washe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supply water to the first washing tub 6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installed. Hereinafter, how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ub 6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제 2 세탁조(10)의 외형은, 밸런서(20)의 지지부(22)와 접촉되는 제 1 구간(S1)과, 지지부(22)와 이격되는 제 2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S1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ection 22 of the balancer 20 and a second section S1 in which the support section 22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ection S1, And a section S2.

제 1 구간(S1)은 수직축(O)을 지나는 제 1 축(VII-VII로 표시된 선) 상에 위치하고, 제 2 구간(S2)은 수직축(O)을 지나고 상기 제 1 축과 직교하는 제 2 축(Y)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 2 구간(S2)은 상기 제 1 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tion S1 is located on the first axis (line VII-VII)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O and the second section S2 is located on the second axis II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O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may be located on the axis Y. [ The first section S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Y and the second section S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되어 제 1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 2 구간(S2)과 밸런서(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급수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flows through the second section S2 and the balancer 20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and aligned to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section 8 of the control section. The water can be supplied into the container 30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ontainer 30.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구(51h)를 통해 서브 디스펜서(70)로 공급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급수구(51h)가 메인 디스펜서(16)의 출구와 정렬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급수구(51h)로 유입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회전 위치는,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위치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급수구(51h)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2 회전 위치와 상기 제 1 회전 위치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되므로,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제 2 세탁조(10)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기도 하다.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aligned to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rotated from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8 of the control uni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ort 51h To the sub-dispenser 70. [0054] That is, in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the water supply port 51h is aligned with the outlet of the main dispenser 16, and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port 51h .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However, when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port 51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and the first rotation position may be chang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hing motor is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al angle of the first washing tub 6 or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based on the speed of the washing motor It is possible. Since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the rotation angle or the rotating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r the rotating posi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It is also.

구체적으로, 저수조 커버(14)에 제 1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가 구비되고, 제 2 세탁조(10)에 제 1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홀 센서가 상기 제 1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또는, 제 1 자석의 위치), 회전 각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hall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reservoir cover 14, and a first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10. During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the first hall sensor may sense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first magnet, and send signals to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ensed magnetic fiel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rotational speed, the rotational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first magnet), the rotational angle, and the like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The washing motor can be controlled to be aligned with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한편, 세탁 모터의 로터에 제 2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가 상기 제 2 자석 인근의 고정된 구조(예를 들어, 저수조(4)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제 1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제 2 세탁조(10)가 제 1 회전 위치 또는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magnet may be provided on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and a second hall senso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econd magnet may be provided in a fixed structure (for example, a water tank 4 (I.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plurality of second magnet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washing motor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hall sensor. At this time, by consider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hall sensor, The first rotation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 posi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세탁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상기 세탁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can be sensed without a separate sensor. That is, the controller may sense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in a sensorless mann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based on an output current detected while a current of a certain frequency flows through the washing motor, after causing a phase current of a constant frequency to flow to the washing motor. Such a sensorless system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컨테이너(30) 내로 급수가 완료된 후, 제어부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부(8)를 제어하여, 세탁을 실시한다. 이후, 세탁에 사용된 물이 제 2 세탁조(10)로부터 배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배수는 제 2 세탁조(10)의 고속회전에 의해 유발된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water supply into the container 3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8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lgorithm to perform washing. Thereafter, the water used for washing must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shing tank 10, and this drainage is performed by using the centrifugal force induced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커버(40)에는,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컨테이너(30)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452h)와, 유입구(452h)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431)가 형성된다. 도 12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431) 내에는 노즐(62)이 삽입될 수 있다.12, the lower cover 40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452h through which water flows upward in the container 30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A discharge port 431 for discharging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31 is formed. 12, the nozzle 62 may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431, as shown in FIG.

하부 커버(40)는 유입구(452h)가 형성된 바닥부(452)와, 바닥부(45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배출구(431)가 형성된 측벽부(4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40)는 제 1 개구부(40h)가 형성된 제 1 상면부(41)와, 제 1 개구부(40h)의 둘레에서 제 1 상면부(4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내벽부(42)와, 제 1 상면부(41)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벽부(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over 4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452 formed with an inlet port 452h and a side wall portion 43a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452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431. The lower cover 40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portion 41 formed with a first opening portion 40h and a first inner wall portion 4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upper surface portion 41 around the first opening portion 40h And an outer wall portion 43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upper surface portion 41.

제 1 상면부(41)는 일부분이 함몰되어 홈부(45)를 이를 수 있고, 이 경우, 바닥부(452)는 홈부(45)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측벽부(43a)는 외벽부(43)에 속함과 아울러, 홈부(45)의 외측 내주면(451)을 구성한다. 제 1 내벽부(42)에는 디스펜서(70) 설치를 위한 개구부(42h)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surface portion 41 can be partially recessed to reach the groove portion 45. In this case, the bottom portion 452 constitu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45. The side wall portion 43a belongs to the outer wall portion 43 and constitutes the outer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451 of the groove portion 45. [ The first inner wall portion 42 may have an opening 42h for installing the dispenser 70 therein.

도 9,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하부 커버(40)는 홈부(45)와 제 1 개구부(40h) 사이에 형성된 내측 손잡이(4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손잡이(410)의 일측면은 제 1 내벽부(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측면은 제 1 개구부(40h)를 한정한다. 디스펜서(70) 설치를 위한 개구부(42h)는, 상기 일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부(42h)는 디스펜서(70) 보다 더 높이까지 형성되어, 디스펜서(70)와 내측 손잡이(410) 사이에, 손잡이(61)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된다.9 and 12 to 13, the lower cover 40 may include an inner handle 410 formed between the groove 45 and the first opening 40h. One side of the inner handle 410 may be formed by a first inner wall portion 42, in which case one side defines the first opening 40h. The opening 42h for installing the dispenser 70 is formed on the one side surface and the opening 42h is formed up to a height higher than the dispenser 70 so that between the dispenser 70 and the inner handle 410, (61), a space through which the user's finger passes is formed.

한편, 홈부(45)는 외측 내주면(45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내측 내주면(453)이 형성된다. 내측 내주면(453)은, 외측 내주면(451)의 반대쪽에서, 홈부(45)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groove 45 has an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3 form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51 in the radial direction.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3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groove 45 at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1.

내측 내주면(453)의 양단은 각각 홈 내측면(454, 455)에 의해 외측 내주면(451)과 연결되며, 따라서, 내측 내주면(453), 제 1 홈 내측면(454), 제 2 홈 내측면(455) 및 외측 내주면(451)에 의해 둘러 쌓인 내측이 홈부(45)에 의해 한정된 영역이 된다.Both ends of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3 are connected to the out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1 by the inward grooves 454 and 455 respectively and thu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3, the first groove inner side surface 454, The inner side surround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455 and the outer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451 is defined by the groove 45.

내측 내주면(453)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면(456)이 연장될 수 있다. 경사면(456)과 후술하는 상부 커버(50)의 유동 가이드(52) 사이의 틈새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경사면(456)이 유동 가이드(52)의 저면과 접하여 있다.An inclined surface 456 may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453 in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 456 is preferab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guide 52 so that water does not penetrate into the gap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456 and the flow guide 52 of the upper cover 50 described later.

내측 내주면(453)은 한 쌍의 격벽(47, 48)에 의해 외벽부(43)와 연결된다. 후술하는 락킹부재(81)는 언락 위치(즉, 제 2 세탁조(10)가 정지된 상태에서의 락킹부재(81)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82)의 복원력에 의해 내측 내주면(453)과 접촉되어 있다.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3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portion 43 by a pair of partition walls 47, 48. The locking member 81 to be described later is moved in the unlocking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81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stopped), preferabl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82, 453, respectively.

상부 커버(50)는 제 2 개구부(50h)와 급수구(51h)가 형성된 제 2 상면부(51)와, 제 2 개구부(50h) 둘레에서 제 2 상면부(5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2 내벽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구(51h)는 제 2 개구부(50h) 보다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한다.The upper cover 50 includes a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formed with a second opening portion 50h and a water supply port 51h and a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arou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50h. 2 inner wall portion 53 as shown in FIG. The water supply port 51h is located radially outwardly of the second opening 50h.

제 2 상면부(51)는, 급수구(51h)와 제 2 개구부(50h) 사이에 형성된 외측 손잡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손잡이(510)는 제 2 상면부(51)에 속하는 손잡이 상면부(511)와, 제 2 개구부(50h) 둘레에서 손잡이 상면부(5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써 제 2 내벽부(53)에 속하는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와, 급수구(51h)의 둘레에서 손잡이 상면부(5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2 손잡이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손잡이 상면부(511), 제 1 손잡이 측면부(512) 및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에 의해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may include an outer handle 510 formed between the water supply port 51h and the second opening 50h. The outer handle 510 includes a handle upper surface portion 511 belonging to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and a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51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511 of the handle 511 arou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50h, And a second handle side portion 5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upper surface portion 511 around the water supply port 51h. That is, a "C" -shaped groove whose lower side is opened is formed by the handle upper surface portion 511, the first handle side surface portion 512, and the second handle side surface portion 513.

상기 "ㄷ"자 형태의 홈 내에 내측 손잡이(410)가 삽입된다.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함께 파지할 수 있어, 제 2 세탁조(10)를 들어 올릴 시, 상부 커버(50)와 하부 커버(4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The inner handle 410 is inserted into the "C" The user can grasp both the inner handle 410 and the outer handle 510 so that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4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lifted.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보다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 중 어느 하나에 후크(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 hook (not shown) is formed on one of the inner knob 410 and the outer knob 510 so that the inner knob 410 and the outer knob 510 are mor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A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한편, 상부 커버(50)의 제 2 내벽부(53)에는, 하부 커버(40)의 개구부(42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53h)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손잡이(510)의 제 1 손잡이 측면부(512)는 제 2 내벽부(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손잡이 측면부(512)는 제 2 개구부(50h)를 한정한다.An opening 53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ner wall portion 53 of the upper cover 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42h of the lower cover 40. [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of the outer handle 510 can be formed by the second inner wall portion 53 and in this case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defines the second opening 50h.

개구부(53h)의 높이는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의 하단에 의해 정해진다.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의 하단은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의 하단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opening 53h is determined by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may be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ndle side portion 513.

한편,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 둘레에서, 특히,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와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구간으로부터 유동 가이드(52)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동 가이드(52)는 제 2 손잡이 측면부(513)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상면부(51)로부터 연장된다. 유동 가이드(52)는 제 2 상면부(51)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하며 연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ver 50 can extend from the section around the water supply port 51h, in particula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handle side surface portion 513 from the flow guide 52. That is, the flow guide 52 extends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at a position radially outwardly spaced from the second handle side surface portion 513. The flow guide 52 gradually extends downwar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toward the inner 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세탁조 커버(60)에는, 유입구(452h)로부터 배출구(431)에 이르는 유로(FP)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되면, 컨테이너(30) 내에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발달된 수류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승된 수류가 유입구(452h)를 통해 유로(FP)내로 유입된 후, 배출구(431)를 통해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452h)와 배출구(431)는 하부 커버(40)에 형성되며, 상부 커버(50)는 하부 커버(40)와 결합되어 유로(FP)를 한정한다.12, a flow path FP extending from the inlet port 452h to the outlet port 431 may be formed in the washing tub cover 60. As shown in FIG.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the water flow developed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ris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in the container 30. The upward flow of water flows into the flow path FP through the inlet port 452h and then through the outlet port 431. [ The inlet port 452h and the outlet port 431 are formed in the lower cover 40 and the upper cover 50 is coupled with the lower cover 40 to define the flow path FP.

유로(FP)는, 하부 커버(40)의 바닥부(452), 외벽부(43) 및 제 1 내벽부(42)에 의해 한정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입구(452h)를 통해 유로(FP) 내로 유입된 물이 측벽부(43a)의 내측면(즉, 외측 내주면(451))을 따라 상승하여 배출구(43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431)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잔여분의 물은 상부 커버(50)의 저면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한다. 유로(FP)의 용량이 충분한 경우, 유로(FP) 내의 물은 그 대부분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 내주면(451)에 압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측 내주면(453)까지 이르는 수류는 실질적으로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내측 내주면(453)은 유로(FP)를 한정하는 역할에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The flow path FP can be defined as a region defined by the bottom portion 452 of the lower cover 40, the outer wall portion 43 and the first inner wall portion 42. [ The water flowing into the flow path FP through the inlet port 452h ris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43a (i.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51)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431. [ At this time, the remaining water that can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31 can not rise further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When the capacity of the flow path FP is sufficient, most of the water in the flow path FP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inner peripheral surface 451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so that water flow to the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453 is substantially not generated. Theref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53 may not contribute to the role of defining the flow path FP.

하부 커버(40)에는 유입구(452h)를 개폐하는 체크밸브(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91)는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개폐되거나, 수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40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9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452h. The check valve 91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water pressure.

체크밸브(91)는 홈부(4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91)는 저면이 바닥부(452)의 상면(즉, 홈부(45)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있으며, 외측단(91a)은 바닥부(452)에 고정되어 있고, 외측단(91a) 보다 반경 반향을 따라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단(91b)은 외측단(91a)을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다. 외측단(91a)이 고정되도록, 체크밸브(91)의 상면을 가압하는 리브(미도시)가 상부 커버(5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The check valve 91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45. The check valve 9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452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45), the outer end portion 91a is fixed to the bottom portion 452, The inner end 91b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91a can be pivoted on the basis of the outer end 91a. A rib (not shown)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heck valve 91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so that the outer end 91a is fixed.

체크밸브(91)는 고무와 같이 다소간의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체크밸브(91)는 유입구(452h)를 통과하는 수류의 압력과, 원심력에 의해 외측단(91a)을 작용점으로 하여 유발된 모멘트에 의해 선회되어 유입구(452h)를 개방하며, 제 2 세탁조(10)가 정지되거나 감속되면, 자중과 재질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유입구(452h)를 닫는다.The check valve 9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In this case, the check valve 91 is pivoted by the moment induced by the pressure of the water flow passing through the inlet port 452h and the outer end 91a by the centrifugal force to open the inlet port 452h, When the washing tub 10 is stopped or decelerated, the washing tub 10 is returned to its home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its own weight and material, and the inlet 452h is closed.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외측단(91a)이 바닥부(45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측단(91)과 바닥부(452)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체크밸브(91)가 선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크밸브(91)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이 아니더라도 무방하다.The outer end 91a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452 so that the outer end 91 and the bottom portion 4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heck valve 91 may be turned. In this case, the check valve 91 may not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 2 세탁조(10)를 이용한 세탁 코스는, 세탁 행정과 배수 행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 행정에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속도는, 컨테이너(30) 내의 수류가 유입구(452h)에 이르지는 못하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때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속도는 컨테이너(30) 내의 수위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세탁 행정시, 컨테이너(30)로 급수되는 수량이 항시 일정하도록 구성된 경우, 기 설정된 정량(즉, 제품 설명서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투입량)의 포가 투입된 경우를 기준으로 수류가 유입구(452h)까지 도달하기 시작할 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가 실험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이렇게 정해진 회전 속도를 넘지 않도록, 제어부는 세탁행정에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washing course using the second washing tub 10 may include a washing cycle and a drain cycl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in the washing cycle is preferably such that the water flow in the container 30 can not reach the inlet port 452h. 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may be configur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container 30.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ontainer 30 is constantly set at the time of the washing operation, a predetermined amount (that is, the amount of input to guide the user through the product manual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cond washing tub 10 in the washing cycle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when the water flow starts to reach the inlet 452h can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and does not exceed the determined rotational speed, Can be controlled.

다르게는, 컨테이너(30) 내에서 상승된 수류가 유입구(452h)에는 이르더라도, 유입구(452h)를 통해 작용하는 수압이 체크밸브(91)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를 극복할 정도에는 이르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세탁 행정 시의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Alternatively, even if the upward flow of water in the container 30 reaches the inlet port 452h, the water pressure acting through the inlet port 452h can be prevented from exceeding the moment acting in the closing direction by the self weight of the check valve 91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at the time of the washing cycle can be controlled within a range not reaching the predetermined value.

도 7,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 2 세탁조(10)에 구비되어,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되는 중에 제 1 세탁조(6)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80)를 포함한다. 락커(80)는 하부 커버(40)에 구비될 수 있다.7 and 11 to 13,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econd washing tub 10, and the first washing tub 10 is rotated from a first washing tub 6 And a locker (80) for fixing to prevent detachment. The locker 8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cover 40.

락커(80)는 락킹부재(81)와 탄성부재(82)를 포함한다. 락킹부재(81)는, 제 2 세탁조(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위치(도 13의 (a) 참조. 이하, "언락 위치"라고 함.)에 위치하고,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될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도 13의 (b) 참조. 이하, "락 위치"라고 함.)로 이동된다. 락 위치는 언락 위치 보다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한다.The locker (80) includes a locking member (81) and an elastic member (82). The locking member 81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refer to FIG. 13 (a),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lock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stopped, and the second washing tub 10 And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refer to FIG. 13 (b),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k position") by centrifugal force. The lock position is located outside the unlock position along the radial direction.

락킹부재(81)는 락 위치 에서 제 1 세탁조(6)와 맞물려 제 2 세탁조(10)를 제 1 세탁조(6)에 고정시킨다. 언락 위치로부터 락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즉, 락킹부재(81)의 동선)은 제 1 구간(S1)을 가로지를 수 있다 (도 6 참조.).The locking member 81 is engag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6 at the lock position to fix the second washing tub 10 to the first washing tub 6.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lock position from the unlock position (i.e., a line of the locking member 81) may cross the first section S1 (see FIG. 6).

밸런서(20)에는, 락킹부재(81)가 락 위치에서 삽입되는 락킹 홈(22r)이 형성될 수 있다. 락킹 홈(22r)는 밸런서 본체(21)의 내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가, 링형 밸런서(20)에 장착되고, 기 설정된 회전 위치에 정렬된 상태에서 소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락 위치에 이르게 되고, 이 과정에서 락킹부재(81)가 락킹 홈(22r) 내로 삽입된다. 제 2 세탁조(10)가 회전 중에 흔들리거나 진동되더라고, 락킹부재(81)와 락킹 홈(22r)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제 2 세탁조(10)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지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가 탑 커버(3)나 도어(미도시)를 충격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 2 세탁조(1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예를 들어, 탈수 행정)에도,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balancer 2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22r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81 is inserted at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groove 22r may be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balancer main body 21. [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mounted on the ring-shaped balancer 20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or higher in a state in which it is align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position, the locking member 81 is moved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by centrifugal force And the locking member 8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2r in this process.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ecause the locking member 81 and the locking groove 22r are engaged even if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shaken or vibrated during rotation. Particularly, since the upward movement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restrained,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second washing tub 10 impacts the top cover 3 or the door (not shown). Even when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rotated at a high speed (for example, a dewatering strok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apparatus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제 2 세탁조(10)의 락킹이, 별도의 동력기구(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락(lock)을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락을 위한 특수한 제어를 강구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locking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not performed by a separate power mechanism (for example, a motor) but by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take special control for locking as well as merely having a simple structure for the structure for the lock.

탄성부재(82)는, 락킹부재(81)가 락 위치에 있을 시 탄성 변형되었다가, 제 2 세탁조(10)의 회전이 정지되면, 원상 복원되어 락킹부재(81)를 언락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이 정지되면, 탄성부재(82)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언락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락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세탁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락이 해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락 해제를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할 필요 없이, 제 2 세탁조(10)를 쉽게 들어 낼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82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member 81 is in the lock position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stopped to return the locking member 81 to the unlock posi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is stopped, the locking member 81 is returned to the unlock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2, whereby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second washing tub 10 without having to perform any other operation for releasing the lock.

탄성부재(82)는 락킹부재(81)가 언락 위치로부터 상기 락 위치로 이동될 시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락킹부재(81)는 스프링(82)에 의해 탄지되는 스프링 마운트(81b)와, 스프링 마운트(81b)로부터 돌출된 헤드(81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마운트(81b)는, 헤드(81a)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돌출된 각 부분에 스프링 고정 돌기(81c, 81d)가 형성되고, 한 쌍의 스프링(82)이 이들 고정 돌기(81c, 81d)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즉, 스프링(82)은 일단이 외벽부(43)의 내측면(즉, 외측 외주면(451) 상에 위치하고, 타단은 스프링 마운트(81b)를 탄지할 수 있다. 홈부(45)의 외측 내주면(451)로부터 한 쌍의 돌기(435a, 435b, 도 15 참조.)가 돌출되어, 각각의 돌기(435a, 435b)에 스프링(82)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82 may be a coil spring that is compressed when the locking member 81 is moved from the unlocked position to the locked position. The locking member 81 may include a spring mount 81b that is resiliently biased by a spring 82 and a head 81a that protrudes from the spring mount 81b. The spring mount 81b is formed with spring fixing projections 81c and 81d at respective portions protruding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ead 81a and a pair of springs 82 are fixed to the fixing projections 81c and 81d Respectively. That is, one end of the spring 82 can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surface (i.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51) of the outer wall portion 43 and the other end can seat the spring mount 81b. A pair of projections 435a and 435b ar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s 451 and 451 so that one end of the spring 82 can be fitted to each of the projections 435a and 435b.

락킹부재(81)는 언락 위치에서, 스프링(82)의 복원력에 의해 홈부(45)의 내측 내주면(453)과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언락 위치에서, 락킹부재(81)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81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453 of the groove 45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82 at the unlock position.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ing member 81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shaking.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 커버(40)는, 외벽부(43)에 제 1 관통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81a)는 제 1 관통부(43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락킹부재(81)가 언락 위치와 락 위치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더라도, 헤드(81a)는 항시 제 1 관통부(432) 내에 위치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11, the lower cover 40 may have a first penetrating portion 432 formed in the outer wall portion 43. The head 81a may be located in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432. [ Preferably, the head 81a is always positioned within the first through-hole 432, even if the locking member 81 is located at any point between the unlock position and the lock position.

한편, 컨테이너(30)는 컨테이너 본체(31)와, 컨테이너 본체(3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하부 커버(40)의 외측에서 외벽부(43)를 감싸는 림부(32, 도 2, 도 1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림부(32)는, 컨테이너 본체(31)의 상단, 즉, 컨테이너(30) 상면의 개구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림부(32)에는 제 1 관통부(432)와 연통되는 제 2 관통부(32h)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81a)가 제 2 관통부(32h)를 통과하여 제 2 세탁조(10)의 외부로 돌출된다.The container 30 includes a container body 31 and a rim portion 32 (see Figs. 2 and 1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31 and surrounding the outer wall portion 43 from the outside of the lower cover 40, ). The rim portion 32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3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The rim portion 32 may be formed with a second penetration portion 32h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432. [ The head 81a passes through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32h and protrudes outside the second washing tub 10.

헤드(81a)는 락킹 홈(22r)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811)와, 삽입부(811)와 스프링 마운트(81b)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써, 스프링 마운트(81b)와 연결되는 부분이 제 1 관통부(432)의 통로 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걸림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811)는 제 1 관통부(432)를 통과할 수 있으나, 걸림부(812)는 그렇지 못한다.The head 81a has an insertion portion 811 tha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2r and a portion that connects the insertion portion 811 and the spring mount 81b, And a latching portion 812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passage area of the portion 432. [ The insertion portion 811 can pass through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432, but the engagement portion 812 does not.

헤드(81a)는, 길이 방향(즉, 락킹부재(81)의 동선)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취한 임의의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다. 제 1 관통부(432)는, 외벽부(43)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는 출구가 삽입부(811)의 단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외벽부(43)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는 입구는 걸림부(812)의 단면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812)는, 스프링 마운트(81b)와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삽입부(811) 측으로 점점 하강하는 제 1 경사면(812a, 도 13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432a)이 제 1 관통부(432)의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81a has an arbitrary section taken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the copper line of the locking member 81)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432 is formed so that the outlet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43 corresponds to the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811 and the inlet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43 And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d surface of the latching portion 812. The latching portion 812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812a (see FIG. 13) that gradually descends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pring mount 81b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811 sid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2a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of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432 and the outlet.

하부 커버(40)에는 한 쌍의 격벽(47, 48)이 형성된다. 한 쌍의 격벽(47, 48) 사이에 락커(80)가 수용되는 공간(SP)이 제공된다. 공간(SP)은 한 쌍의 격벽(47, 48)에 의해 유로(FP)로부터 분리된다. 한 쌍의 격벽(47, 48) 각각은 바닥부(452)로부터 외벽부(43)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격벽(47, 48)은 내측 내주면(453)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공간(SP)은 외벽부(43), 한 쌍의 격벽(47, 48) 및 내측 내주면(453)으로 둘러 쌓이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나, 개방된 상면은 다시 상부 커버(50)의 저면에 의해 닫혀 있다.A pair of partition walls (47, 48) are formed in the lower cover (40). A space SP in which the locker 80 is accommodated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The space SP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FP by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and 48. [ Each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48 may extend from the bottom portion 452 to the outer wall portion 43.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and 48 are connected to the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453, respectively. That is, the space SP is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portion 43,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and 48 and the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453,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It is closed by.

특히, 한 쌍의 격벽(47, 48)의 상단들은 상부 커버(50)의 저면과 밀착되어 있어, 유로(FP) 내의 물이 격벽(47, 48)을 넘어 공간(SP)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유동 가이드(52)의 저면이 한 쌍의 격벽(47, 48)의 상단들과 밀착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and 48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so that water in the flow path FP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pace SP beyond the partition walls 47 and 48 d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guide 52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and 48.

실시예에 따라, 격벽(47, 48)과 상부 커버(50) 사이의 기밀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격벽(47, 48)의 상단들과 상부 커버(50)의 저면 사이를 밀봉하는 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러는 연질(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져, 한쌍의 격벽(47, 48)과 상부 커버(50)의 저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한쪽 면은 격벽(47, 48)에 의해 가압되고, 반대쪽 면은 상부 커버(50)의 저면에 의해 가압된다.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and 48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so that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47 and 48 and the upper cover 50 can be more reliably maintained, A sea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he sealer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and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 walls 47 and 48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In this case, the one surface is pressed by the partition walls 47 and 48, and the opposite surface is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버를 도시한 것(a)과 상부 커버의 저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b)이다. 도 15는 도 14에 XV로 표시된 부분을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FIG. 14 is a view showing a lower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b) show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Fig. 15 is a top view of the portion indicated by XV in Fig. 14. Fig.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커버(50)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리브(514a, 51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격벽(47)은 상기 한 쌍의 제 1 리브들(514a, 514b)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리브들(514a, 514b) 사이의 간격은, 제 1 격벽(47)의 두께보다 미세(바람직하게는, 2mm 이하)하게 넓은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 2 리브(515a, 515b)가 더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제 2 격벽(48)이 삽입될 수 있다.14 to 15, the upper cover 5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rst ribs 514a and 514b projecting from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rib 47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ribs 514a and 514b. The gap between the first ribs 514a and 514b is preferably as small as possible (preferably, 2 mm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nk 47. A pair of second ribs 515a and 515b are further formed so that the second partition wall 48 can be inserted therebetween.

한 쌍의 제 1 리브들(514a, 514b)과 이들 사이에 끼어지는 제 1 격벽(47), 그리고, 한 쌍의 제 2 리브들(515a, 515b)과 이들 사이에 끼어지는 제 2 격벽(48)이 미로구조의 씰(labyrinth seal)들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부 커버(50)의 저면이 리브들(514a, 514b, 515a, 515b)의 상단과 밀착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공간(SP) 내로 물이 쉽게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 pair of first ribs 514a and 514b and a first partition 47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second ribs 515a and 515b and a second partition 48 Eve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s of the ribs 514a, 514b, 515a, and 515b, water easily flows into the space SP because of the labyrinth seals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flow.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 및
상기 제 2 세탁조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세탁조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를 덮고, 상기 컨테이너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세탁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에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격벽 사이에 상기 락커가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한 쌍의 격벽에 의해 상기 유로로부터 분리되는 세탁기.
A first washing tub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A second washing tub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ub; And
And a locker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ub to fix the second washing tub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is rotating,
Wherein the second washing tub comprise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laundry; And
And a washing tub cover covering the container and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laundry into the container,
The washing tub cover
A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flows upward in the container during rota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are forme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formed; And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to define a flow path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In the lower cover,
A pair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partition walls to receive the locker,
The space
And is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by the pair of parti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각각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측벽부로 연장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cover comprises:
A bottom having the inlet formed therein; And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the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Wherein each of the pair of partitions has:
And extends from the bottom portion to the side wall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의 상단들은,
상기 상부 커버의 저면과 밀착되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탁조는,
첨가제를 수용하는 드로워; 및
상기 하부 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급수구가 형성되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경사를 이루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의 저면이 상기 한 쌍의 격벽의 상단들과 밀착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washing tub comprises:
Drawers for receiving additives; And
Further comprising a dispenser housing disposed in the lower cover to define a space for receiving the drawer,
Wherein the upper cover comprises:
An upper surface portion on which a water supply port is formed; And
Further comprising a flow guid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to guide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let to the dispenser,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flow guide is in close contact with upper ends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의 상단들과 상기 상부 커버의 저면 사이를 밀봉하는 실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aler seal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제 2 세탁조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세탁조가 회전될 시에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세탁조와 맞물려 상기 제 2 세탁조를 상기 제 1 세탁조에 고정하는 락킹부재; 및
상기 락킹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시 탄성 변형되었다가, 상기 제 2 세탁조의 회전이 정지되면, 원상 복원되어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er includes:
The second washing tub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while the second washing tub is stopped and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entrifugal force when the second washing tub is rotated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at the second position, A locking member for fixing the second washing tub to the first washing tub; And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member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ub is stopped to return the lock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는 제 1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제 1 관통부를 통과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에 이르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er cover comprises:
A bottom having the inlet formed therein; And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the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Wherein the lower cover comprises:
A first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nd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being moved through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하부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측벽부를 감싸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감싸는 부분에는 상기 제 1 관통부와 연통되는 제 2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제 2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세탁조의 외부로 노출되는 세탁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ainer comprises:
And a portion enclosing the side wall portion at an outer side of the lower cover,
A second penetr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wrapping portion,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washing tub through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측벽부 상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락킹부재를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세탁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lastic member
And a coil spring, one end of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스프링 마운트; 및
상기 스프링 마운트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1 관통부 내에 배치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 spring mount biased by the spring; And
And a head projecting from the spring mount and disposed in the first penetr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벽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격벽에 의해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는 내측 내주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측 내주면과 접촉되어 있는 세탁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ower cover comprises:
A bottom having the inlet formed therein;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the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nd
Further comprising an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and spaced in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ide wall portion by the pair of partition walls,
Wherein the locking member comprises:
And in the first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inner peripheral surface by a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부 커버의 바닥부를 대향하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제 1 리브들 사이에 삽입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cover comprises:
And a pair of first ribs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bottom of the lower cover,
Wherein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rib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제 2 리브들 사이에 삽입되는 세탁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upper cov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econd ribs projecting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partition walls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ribs.
KR1020180005233A 2017-12-28 2018-01-15 Washing machine KR102456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233A KR102456382B1 (en) 2018-01-15 2018-01-15 Washing machine
AU2018395018A AU2018395018B2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processing device
CN201880090338.7A CN111819319B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treatment device
PCT/KR2018/016890 WO2019132602A1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processing device
US16/958,815 US11718947B2 (en) 2017-12-28 2018-12-28 Laundry treatme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233A KR102456382B1 (en) 2018-01-15 2018-01-15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002A true KR20190087002A (en) 2019-07-24
KR102456382B1 KR102456382B1 (en) 2022-10-18

Family

ID=6748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233A KR102456382B1 (en) 2017-12-28 2018-01-15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38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810A1 (en)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810A1 (en)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382B1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36924B (en) Washing machine
AU2018395018B2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KR20190087002A (en) Washing machine
KR102509990B1 (en) Washing machine
CN111971431B (en) Washing machine
KR20190087003A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0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78B1 (en) Washing machine
KR20190086997A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90087001A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3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4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5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0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2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0B1 (en) Washing machine
KR20190086998A (en) Washing machine
KR10252185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6277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48155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