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825A -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825A
KR20190086825A KR1020180004845A KR20180004845A KR20190086825A KR 20190086825 A KR20190086825 A KR 20190086825A KR 1020180004845 A KR1020180004845 A KR 1020180004845A KR 20180004845 A KR20180004845 A KR 20180004845A KR 20190086825 A KR20190086825 A KR 20190086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iometric data
user
evalu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주
Original Assignee
아이지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지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지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6825A/ko
Priority to PCT/KR2019/000565 priority patent/WO2019139447A1/ko
Publication of KR2019008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체험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체험자의 인지 감각적 반응을 체험자의 컨텐츠 평가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체험자의 생체 데이터를 컨텐츠 평가에 반영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체험자의 컨텐츠 평가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가 누적될수록 더 정확한 컨텐츠 평가 모델이 구축되어 평가의 객관성, 정확성 및 용이성이 지속적으로 담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Apparatus For Evaluating Contents Us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Evaluating Cont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평가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동영상,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는 물론 독서, 그림 감상 등 아날로그 컨텐츠의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컨텐츠 플레이 등 체험이 끝난 후 일종의 설문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왔다.
여기서 평가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 품질이라 함은 컨텐츠 구성의 적절성(시나리오 기반), 조작감 등 사용성, 그래픽/사운드에 대한 감각적 평가, 상품성(구매욕 자극 정도)을 포함하는 사업적 성공 가능성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체험 후 설문 방식의 한계로 시계열적으로 연속성을 갖는 컨텐츠 체험 과정에서 특정 순간 또는 특정 장면에 대한 평가가 곤란하고 설문 방식 특성의 한계로 말미암아 정량성 및 데이터 취득의 일관성에 근본적인 제약이 존재하여 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단순한 설문 방식의 컨텐츠 평가 방식을 넘어서 컨텐츠 체험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체험자의 인지 감각적 반응을 컨텐츠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컨텐츠 체험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체험자의 컨텐츠 평가를 결정할 수 있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컨텐츠 및 컨텐츠 체험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체험자의 컨텐츠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컨텐츠 체험자의 평가 과정 및 결과를 영상과 함께 제공하여 보다 세부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은,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에 노출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 심전도 데이터 및 시선이동경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 각각의 입력값과 사용자 평가지표를 매칭한 레퍼런스 모델(reference model)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모델(reference model)을 참조하여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지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평가지표는, 정성적 평가지표와 정량적 평가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누적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분석을 통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특정 생체 데이터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레퍼런스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은,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각의 가중치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특정 시간 구간마다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게임 컨텐츠, 방송 컨텐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컨텐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는,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노출된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 심전도 데이터 및 시선이동경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 데이터 각각에 대해 입력값과 사용자 평가지표를 매칭한 레퍼런스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퍼런스 모델을 참조하여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지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평가지표는, 정성적 평가지표와 정량적 평가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누적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분석을 통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특정 종류의 생체 데이터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레퍼런스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특정 시간 구간마다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게임 컨텐츠, 방송 컨텐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컨텐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설문 방식의 컨텐츠 평가 방식을 넘어서 컨텐츠 체험자의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체험자의 인지 감각적 반응을 컨텐츠 평가에 반영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체험자의 컨텐츠 평가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및 컨텐츠 체험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체험자의 컨텐츠 평가에 반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컨텐츠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체험자의 컨텐츠 평가를 결정하게 되어 데이터가 누적될수록 더 정확한 컨텐츠 평가 모델이 구축되어 평가의 객관성, 정확성 및 용이성이 지속적으로 담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체험자의 평가 과정 및 결과를 영상과 함께 제공하여 보다 다양하고 세부적인 분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예에 의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뇌파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부에 복수의 전극들이 부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심전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의 흉부에 복수의 전극들이 부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실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평가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예에 의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은, 컨텐츠 평가 장치(100), 컨텐츠 출력 장치(110),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 및 영상 수집 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 및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에 노출되고 있는 사용자의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결정한다.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그 종류와 범위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오디오, 비디오, 게임, 방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컨텐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는, 외부의 컨텐츠 공급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는,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는 디스플레이와 카메라(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1)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노출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 심전도 데이터 및 시선이동경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는,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거나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에 저장된 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체 데이터 또는 생체 정보는, EEG(Electroencephalogram), ECG(Electrocardiogram), GSR(Galvanic Skin Response), Eye Tracking 등 사람의 인지 감각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체험하고 있는 사용자에 부착된 외부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 및/또는 심전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뇌파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의 두부에 복수의 전극들이 부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심전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의 흉부에 복수의 전극들이 부착되는 예를 도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111)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체험하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이동경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의 동작 및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이에 노출된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와 사용자를 함께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사용자의 컨텐츠 체험 상황/장면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촬영하거나 상기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체험 중인 사용자만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110) 및/또는 상기 사용자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환경의 실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평가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평가 장치(100)는, 통신부(200), 입력부(210), 출력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00)는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 및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10)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정전/정압) 등일 수 있다.
상기 출력부(22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저장부(2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통상적으로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상기 제어부(24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24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생체 데이터 관리부(241), 영상 데이터 관리부(242) 및 분석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관리부(241)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종류별로 집계하여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데이터 관리부(241)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생체 데이터에 타임스탬프(timestamp) 정보를 마킹(marking)하여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시각에 수신되는 생체 데이터에 그 시각의 특정 이벤트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관리부(242)는,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243)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 및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한다. 상기 분석부(243)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 및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평가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컨텐츠 평가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생체 데이터 입력값과 평가지표를 매칭한 레퍼런스 모델(reference model)을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S100].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생체 정보 종류별로 입력값에 따라 평가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모델로서, 기 알려진 모델에 기반하여 데이터 누적에 따라 통계 분석을 통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중 뇌파의 경우, 전두엽과 두정엽 활성 조합에 따른 감성 판별 방식으로 잘 알려진 'Wendy Heller'의 'Valence Arousal Model(1993)'과 같은 EEG 데이터 직접 비교 방법이나 Witmer & Singer의 'Immersive Tendencies Questionnaire(1998)' 등과 같은 설문 대응 다양한 피험자의 EEG Profiling 결과를 토대로 판정 기준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endy Heller'의 'Valence Arousal Model'에 의하면, '즐거움'을 느낄 때 대뇌 좌측 전두엽의 비 알파파가 활성화되고, '불쾌감'이 느껴질 때 우측 전두엽의 비 알파파가 활성화된다는 연구 결과이다.
또한 예를 들어, Witmer & Singer의 'Immersive Tendencies Questionnaire(1998)'라는 레퍼런스 모델은, Immersive Tendencies 설문 사항과 해당 상황에서 채취한 피험자 뇌파 특성을 바탕으로 산출된 모델이다.
또한 예를 들어, 'Motion Sickness estimation system, Chin-Teng Lin 등, 2012년 6월'에 의하면, 자동차 주행 장면을 표시하는 VR(Virtual Reality) 장비를 착용 후 'Straight Road' 장면과 'Winding Road' 장면을 구성하여 피험자에게 제시하였을 경우, 주행에 따른 멀미감이 느껴졌을 때 뇌의 특정 부위, 특정 파장의 검출 빈도가 높아져 멀미도 지표로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VR에서의 멀미감은 콘텐츠에의 집중과 향유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를 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멀미도 지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Directed Communication between Nucleus Accumbens and Neocortex in Humans Is Differentially Supported by Synchronization in the Theta and Alpha Band, Jorn M. Horschig1, 2015년 10월'에 의하면, 뇌의 측좌핵은 사람이 가지고 싶은 물건을 보거나 어떤 의욕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진 부위로 이 부위가 활성화 됐을 때 EEG 소견 상 전두엽과 두정엽 부위에 '쎄타파'와 '알파파'의 빈도가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광고심리학에서는 소비자가 광고에 반응 정도를 측좌핵의 활성화 정도와 연관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고, 이러한 지표 또는 레퍼런스 모델이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결정할 때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뇌파와 관련하여 Gale(2001년), Dennis & Solomon(2010년) 등의 다양한 뇌파 관련 연구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중 심전도의 경우, 사용자 심전도 파장(P-Q-R-S-T) 데이터를 특정 알고리즘을 거쳐 Frequency(Hz)화 및 Amplitude(mV)화하여 이 특성값을 기반으로 'Joy', 'Sad', 'Fear', 'Anger'의 4가지 Emotion을 추출하는 Vanitha(2013년) 등의 연구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심전도와 관련하여, Vanitha(2013)나 Teo Kah Ming(2007) 등의 심전도 관련 연구 결과가 본 발명에 적용될 레퍼런스 모델의 기반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전술한 다양한 각각의 레퍼런스 모델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중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레퍼런스 모델들이 통합 적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레퍼런스 모델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레퍼런스 모델은, 컨텐츠 평가에 유의한 설문과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매핑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레퍼런스 모델 업데이트시에는 Clustering을 위한 Support Vector Machine과 같은 Deep Learning 기술이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로부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노출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상기 생체 데이터 관리부(241)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소정의 데이터 가공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분석부(243)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중 뇌파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두부에 전극이 부착 또는 삽입되어 전류 특성값 및/또는 전압 특성값이 수집되고, 상기 생체 데이터 관리부(241)는 상기 수집된 값을 소정의 변환 연산이나 필터링(filtering) 과정을 거쳐 분석 데이터(uV, Hz 등)로 정제하여 상기 분석부(24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중 심전도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증폭하여 채취하는 파장에 대한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심근의 활동 특성에 따라 파장이 형성되어 Hz 또는 uV/mV 값이 취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레퍼런스 모델을 참조하여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할 수 있다[S120].
상기 분석부(243)는, 상기 생체 데이터 관리부(241)의 출력 정보에 따라 상기 레퍼런스 모델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체험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부(243)는, 특정 시각에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 및/또는 심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미성', '몰입성', '구매가능성'등 다양한 정성적 컨텐츠 평가지표에 관한 평가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부(243)는, 현재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의 평가를 '재미를 느끼고 있음'및 '재미를 못 느끼고 있음'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243)는, 상기 예시된 컨텐츠 평가지표(재미성, 몰입성, 구매가능성 등)에 대해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복수의 컨텐츠 평가지표 중 재미성에 대한 등급을 5등급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등급에 대해 생체 데이터 입력값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부(243)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체험하고 있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에 관한 입력값을 분석하여 상기 재미성에 대한 5등급 중 현재사용자가 느끼고 있는 재미가 어느 정도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분석부(243)는, 특정 정성적 평가지표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결과를 정량적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평가지표들 중 '몰입성'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4 등급 중 가장 몰입도가 높은 '100' 또는 '1등급'으로 정량적 평가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S120 단계의 수행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평가 결과를 상기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130].
상기 S130 단계는, 실시간 또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현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체험 중인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실시간 또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관리자는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특정 장면 또는 전체 시나리오 중 특정 구간의 시나리오에 대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체험 중인 사용자가 어떤 평가를 내리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석부(243)는,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에 걸쳐 특정 평가지표 또는 전체 평가지표들에 대해 최고값 및/또는 최소값을 포함하는 시간에 따른 평가지표 변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40)는, 1시간짜리 컨텐츠에 대해 25분째 장면에서 사용자의 '구매가능성'이 최고치였고, 10분째 장면에서 사용자의 '구매가능성이 최저치였다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의 관리자는 상기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특정 컨텐츠 및 특정 체험 사용자에 대해 특정 평가지표에 대해 다양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자는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체 구간 중 사용자의 '몰입도'가 언제 최고였는지 또는 최소였는지 검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시스템 환경 및 상기 컨텐츠 평가 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평가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컨텐츠 평가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생체 데이터 입력값과 평가지표를 매칭한 레퍼런스 모델(reference model)을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S200]. 상기 S200 단계는, 도 7의 상기 S100 단계와 동일하다.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120)로부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노출된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상기 S210 단계는, 도 7의 상기 S110 단계와 동일하다.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상기 영상 수집 장치(130)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이에 노출된 상기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 관리부(24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상기 분석부(243)는, 상기 생체 데이터 수신부(201)로부터 전달된 생체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정성적 또는 정량적 평가지표를 결정함에 있어, 상기 생체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가중치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중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부(243)가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여 이를 사용자의 평가지표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2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를 체험하는 도중 특정 이벤트가 기록된 경우, 이를 사용자의 평가지표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재채기를 하는 등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분석부(243)는 상기 돌발 상황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평가지표 결정에서 배제하는 방식으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컨텐츠 평가지표의 결정에 사용되지 않고 단순히 확인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몰입도'가 최고치인 시점에 사용자의 상황 및/또는 컨텐츠출력 화면을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영상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S120 단계의 수행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평가 결과를 상기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사용자의 평가 결과를 출력할 때 상기 영상 데이터를 연동하여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지털화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가 아닌 만화, 소설 등 아날로그 컨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상기 아날로그 컨텐츠에 대한 평가를 결정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컨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도 뇌파, 심전도 등의 생체 데이터의 변화가 생기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생체 데이터의 변화를 인지하고, 전술한 레퍼런스 모델(데이터 누적에 따라 통계분석을 통해 업데이트 가능함)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컨텐츠 평가 장치 110: 컨텐츠 출력 장치
111: 카메라 120: 생체 데이터 수집 장치
130: 영상 수집 장치 200: 통신부
201: 생체 데이터 수신부 202: 영상 데이터 수신부
210: 입력부 220: 출력부
230: 저장부 240: 제어부
241: 생체 데이터 관리부 242: 영상 데이터 관리부
243: 분석부

Claims (22)

  1. 특정 컨텐츠(contents)에 노출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 심전도 데이터 및 시선이동경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 각각의 입력값과 사용자 평가지표를 매칭한 레퍼런스 모델(reference model)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모델(reference model)을 참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지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가지표는,
    정성적 평가지표와 정량적 평가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누적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분석을 통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특정 생체 데이터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레퍼런스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각의 가중치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특정 시간 구간마다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게임 컨텐츠, 방송 컨텐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컨텐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1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9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 11 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한 배포 서버.
  13. 특정 컨텐츠에 노출된 사용자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 데이터, 심전도 데이터 및 시선이동경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 데이터 각각에 대해 입력값과 사용자 평가지표를 매칭한 레퍼런스 모델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퍼런스 모델을 참조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지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가지표는,
    정성적 평가지표와 정량적 평가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누적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분석을 통하여 업데이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모델은,
    특정 종류의 생체 데이터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레퍼런스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 및 상기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시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특정 시간 구간마다 상기 사용자의 평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게임 컨텐츠, 방송 컨텐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컨텐츠,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KR1020180004845A 2018-01-15 2018-01-15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KR20190086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45A KR20190086825A (ko) 2018-01-15 2018-01-15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PCT/KR2019/000565 WO2019139447A1 (ko) 2018-01-15 2019-01-15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845A KR20190086825A (ko) 2018-01-15 2018-01-15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825A true KR20190086825A (ko) 2019-07-24

Family

ID=6721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845A KR20190086825A (ko) 2018-01-15 2018-01-15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86825A (ko)
WO (1) WO20191394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502B2 (ja) * 2001-02-06 2005-04-27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呈示制御方法
KR101006107B1 (ko) * 2006-11-01 2011-01-07 강만희 피험자 반응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535432B1 (ko) * 2013-09-13 2015-07-13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KR101548453B1 (ko) * 2014-02-12 2015-08-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신호 및 눈 깜빡임 신호의 획득과 분석 기술을 이용한 문화 콘텐츠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150102473A (ko) * 2014-02-28 2015-09-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몰입 유발요소 검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447A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9345A1 (en) Methods for modeling neurological development and diagnosing a neurological impairment of a patient
US9165216B2 (en) Identifying and generating biometric cohorts based on biometric sensor input
US112886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Abdelrahman et al. Classifying attention types with thermal imaging and eye tracking
US200802559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Non-Verbal and Pre-Conscious Responses to External Stimuli
JP5119375B2 (ja) 集中有無推定装置及びコンテンツ評価装置
CN110013261B (zh) 情绪监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6525829A (ja) インテリジェント欺瞞検証システム
CN102933136A (zh) 利用网络服务的精神状态分析
CN103154953A (zh) 测量具有上网功能的应用程序的情感数据
Abadi et al. Inference of personality traits and affect schedule by analysis of spontaneous reactions to affective videos
Ketabdar et al. System and methodology for using mobile phones in live remote monitoring of physical activities
JP2015229040A (ja) 感情分析システム、感情分析方法および感情分析プログラム
KR101988334B1 (ko) 이동 전화기 및 이동전화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효율성 분석 방법
US11666269B2 (en) Sleeping mask methods and panels with integrated sensors
US20190008466A1 (en) Life log utilization system, life log utiliz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4116826A1 (en) Mobile, neurally-assisted personal assistant
US20130052621A1 (en) Mental state analysis of voters
Das et al.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driver distraction using multimodal signals
KR20190086825A (ko)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Coenen et al. The wearable living lab: how wearables could support living labs
Wu et al. Unobtrusive monitoring of sedentary behaviors with fusion of bluetooth and ballistocardiogram signals
JP7257381B2 (ja) 判定システムおよび判定方法
Brás et al. BeMonitored: Monitoring psychophysiology and behavior using Android in phobias
Panicker et al. Finding patterns in biological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