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221A -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221A
KR20190086221A KR1020180004482A KR20180004482A KR20190086221A KR 20190086221 A KR20190086221 A KR 20190086221A KR 1020180004482 A KR1020180004482 A KR 1020180004482A KR 20180004482 A KR20180004482 A KR 20180004482A KR 20190086221 A KR20190086221 A KR 20190086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diffractive optical
light
light guid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6828B1 (en
Inventor
박성민
박정호
한상철
신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0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28B1/en
Priority to US16/771,552 priority patent/US11982827B2/en
Priority to JP2020552658A priority patent/JP7043121B2/en
Priority to CN201980006673.9A priority patent/CN111512215B/en
Priority to PCT/KR2019/000548 priority patent/WO2019139440A1/en
Priority to EP19738519.8A priority patent/EP3719562A4/en
Publication of KR2019008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2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05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contributing to image formation, e.g. whereby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r optical aberrations are releva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comprises: a light guide unit for guiding light; an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receiv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diffracting the received light to be guided on the light guide unit; a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receiving the diffracted light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o be one-dimensionally extended the same by diffraction; and an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receiving extended light from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o be output from the light guide unit by diffractio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re separately disposed in region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ight guide unit.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cludes a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which are separately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light guide unit.

Description

회절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회절 도광판 및 회절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ffracting light guide plate and a diffracting light guide plate.

최근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또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심이 커지면서, 이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또는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광의 파동적 성질에 기초한 회절 현상을 이용하는 회절 도광판을 포함하고 있다. Recently, as interest in a display unit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AR), Mixed Reality (MR), or Virtual Reality (VR) has increased, There is a trend. A display unit implementing an augmented reality, a mixed reality, or a virtual reality includes a diffused light guide plate using a diffraction phenomenon based on the wave-like property of light.

이러한 회절 도광판은 광가이드부와, 광가이드부 일면 또는 타면 측에 마련되며 복수의 격자선 패턴을 갖는 복수의 회절 광학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절 도광판은 마이크로 광원출력소자를 통해 출력된 광이 입력되어 광가이드부 상에 안내되도록 하는 제1회절 광학소자와, 광가이드부를 통해 제1회절 광학소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며 제1광학소자로부터 수광된 광을 회절에 의해 제1방향으로의 1차원적인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회절 광학소자 및 광가이드부를 통해 제2회절 광학소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며 제2회절 광학소자로부터 수광된 광을 회절에 의해 제2방향으로의 1차원적인 확장이 이루어진 채 광가이드로부터 출력되어 사용자의 동공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제3회절 광학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may include a light guide portion and a plurality of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provid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grating pattern. Specifically,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includes a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receives light output through the micro-light source output element and guides the light to be guid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and a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is optically coupled to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rough the light guide portion, A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allows one-dimensional expansion in the first direction by diffraction of the light received from the element, and a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is op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rough the light guide portion, And a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diffracting the received light so that the diffracted light can be output from the light guide while being one-dimensionally expanded in the second direction to be directed to the user's pupil.

도 1a은 종래기술의 일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회절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A schematically shows a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ior art, and FIG. 1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shown in FIG. 1A.

도 1a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일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10)은 제1회절 광학소자(12)가 광가이드부(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회절 광학소자(13)는 광가이드부(1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가로 방향(도 1에서의 y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광가이드부(11) 상에 배치되며, 제3회절 광학소자(14)는 제2 회절 광학소자(13)로부터 세로 방향(도 1에서의 x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광가이드부(11) 상에 이격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광가이드부(11) 상에서 제1회절 광학소자(12), 제2 회절 광학소자(13) 및 제3회절 광학소자(14)이 배치되어 있는 경로가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인 구조일 수 있다. 1A, the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1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related art has a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 disposed on one side of a light guide portion 11, a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disposed on a side of a light guide portion 11, (The y-axis direction in Fig. 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1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main direction and is arrang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 and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 May b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Fig. 1) in the main direction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 Fig. That is, the path in which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and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 are arrang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 is a " .

한편, 제2회절 광학소자(13)에서 회절에 의해 광이 1차원적으로 확장되는 제1방향은 가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면서, 회절 광학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경로가 “ㄱ”자 형태인 경우에는, 제2회절 광학소자(13)가 제1회절 광학소자(12)로부터 가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이동 및 수광한 광을 바로 세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회절시키면 그 회절광을 제3회절 광학소자(14) 측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one-dimensionally expanded by the diffraction in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s the main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ath in which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arranged is the " , When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diffracts the light that is moved and received in the main direction from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main direction immediat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diffracts the diffracted light in the main direction, (14).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2회절 광학소자(13)에서 제1회절 광학소자(12)으로부터 수광한 광을 홀수 번 회수만큼 회절시키는 것 만으로 제3회절 광학소자(14)로 지향시킬 수 있다(제3회절 광학소자로 지향시키기 위한 회절 회수 N = 2n-1, n은 x 축 방향을 향하여 회절되는 회수). 한편, 제2회절 광학소자(13)를 통해 수광된 광의 일부는 회절되고 나머지 일부는 전반사되며, 또다시 그 중 일부가 회절, 그리고 그 중 나머지가 전반사되는 형태로 회절과 전반사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전반사가 진행되는 방향에 대하여 광이동경로가 바뀌는 회절이 복수 번 진행하게 되면 전반사가 진행되는 방향으로는 광량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2회절 광학소자(13)의 연장 방향인 가로 방향을 따라 회절율(회절되는 광량을 회절되기 전 광량으로 나눈 값)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도, 제2회절 광학소자(30)로부터 회절에 의해 확장된 광들의 광량을 균일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this structure, the light can be directed to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 only by diffracting the light received from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 in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by an odd number of times The number of diffraction N = 2n-1 for directing to the 3-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n is the number of diffracted toward the x-axis direction).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light received through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s diffracted and the remaining part is totally reflected, and diffraction and total reflection are repeatedly performed i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light is totally diffracted and the other part is totally reflected . Therefore, when the diffraction of the light traveling path chang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tal reflection progresses a plurality of times, the amount of light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tal reflection progresses. Therefore, by merely gradually increasing the diffraction rate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diffracted light by the amount of diffracted light)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which i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t is possible to easily achieve uniformity of the amount of light expanded by the diffracted light from the light source.

제2회절 광학소자(13)가 배치되는 광가이드부(11)의 일정 영역에서 회절 및 전반사가 일어나는 영상광에 대하여 외광에 의한 간섭으로 인한 무지개 무늬가 생기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회절 광학소자(13)가 배치되는 광가이드부(11)의 일정 영역 상에 수광되는 외광의 수광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층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A phenomenon of iridescence due to interference due to external light may occur in the image light in which diffraction and total reflection occur in a certain region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 where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s dispos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duction layer for reducing the light receiving rate of the external light received on a certain region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 where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s disposed.

한편,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10)은 제2회절 광학소자(13)와 제3회절 광학소자(14)은 세로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A, B)에 각각 분리 배치, 구체적으로는 제2회절 광학소자(13)는 세로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 중 상부 영역(A)에 배치되고, 제3회절 광학소자(14)는 세로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 중 하부 영역(B)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2회절 광학소자(13)는 가로 방향을 따라 주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2회절 광학소자(13)가 배치되는 광가이드부(11)의 일정 영역 상에 저감층(15)을 구비하면 도 1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회절 도광판(10)이 적용될 수 있는 렌즈 상의 상측 영역을 저감층(15)이 상당부분 차지하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related art,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and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 are separately arranged in regions A and B, , Specifically,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s arranged in the upper region A among the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 is arranged in the lower And is disposed in the region B.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s elongated in the main direction along the lateral direction, the reduced layer 15 (or 15) is formed on a certain region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 where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 is disposed. ,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pper region of the lens on which the diffracting light guide plate 10 can be applied occupies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reduction layer 15 as in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도 2는 종래기술의 또 다른 일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또 다른 일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20)은 제1회절 광학소자(22)가 광가이드부(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회절 광학소자(23)는 광가이드부(2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세로 방향(도 2에서의 x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광가이드부(21) 상에 배치되며, 제3회절 광학소자(24)는 제2 회절 광학소자(23)의 하단부로부터 가로 방향(도 2에서의 y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광가이드(21) 상에 이격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광가이드부(21) 상에서 제1회절 광학소자(22), 제2 회절 광학소자(23) 및 제3회절 광학소자(24)이 배치되어 있는 경로가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인 구조일 수 있다. 2, in the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2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related art,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ortion 21, and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And is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21 and has a shape elongated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in Fig. 2)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light guide portion 21, (The y-axis direction in Fig. 2)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in a main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guide 21 in the main direction. That is, the path in which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2,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and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4 are arrang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21 is a "b" .

한편, 제2회절 광학소자(23)에서 회절에 의해 광이 1차원적으로 확장되는 제1방향은 세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므로, 회절 광학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경로가 “ㄴ”자 형태인 경우에는 제2회절 광학소자(23)는 제1회절 광학소자(22)로부터 가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이동 및 수광한 광에 대해 필수적으로 세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세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회절된 광을 다시 가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회절시켜야 그 회절광을 제3회절 광학소자(24) 측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is one-dimensionally expanded by the diffraction in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is the main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path in which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disposed is in the "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must be essentially required to diffrac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ai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 that is moved and received in the main direction from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2 in the main direction. And the light diffracted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urther diffracted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diffracted light can be directed to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4 side.

즉,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2회절 광학소자(23)에서 제1회절 광학소자(22)으로부터 수광한 광을 짝수 번 회수만큼 회절시켜야 제3회절 광학소자(24)로 지향시킬 수 있다(제3회절 광학소자로 지향시키기 위한 회절 회수 N = 2n, n은 x 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을 향하여 회절되는 회수). That is, in this structure, the light received from the firs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2 in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can be directed to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4 only by an even number of times (third diffractive The number of diffractions N = 2n for directing to the optical element, and n is the number of diffractions toward the x-axis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한편, 전반사가 진행되는 방향에 대하여 광이동경로가 바뀌는 회절이 복수 번 진행하게 되면 전반사가 진행되는 방향으로는 광량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데, 제2회절 광학소자(23)로부터 짝수 번 회절에 의해 1차원적으로 확장된 광들의 광량을 균일하게 하려면 기본적으로 홀수 번 회절에 의한 경우보다 더 많은 광의 보강 간섭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가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다만, 제2회절 광학소자(23)의 격자선 패턴은 광가이드부(21) 상에서 의도한 바의 전반사 경로를 조금씩 틀어지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제2회절 광학소자(23)를 세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길게 하고, 가로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폭을 넓게 형성하게 되면 전반사 이동하는 광이 격자선 패턴을 더욱 많이 만나게 되므로, 회절 및 전반사 되는 광경로가 최초 설계의도한 바와는 달리 형성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제3회절 광학소자(34)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광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ffraction which changes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travels a plurality of tim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tal reflection progresses, the amount of light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tal reflection progresses. By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In order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ight amount of the expanded light, it is basically required to have a larger width in the main direction because it requires more reinforcing interference of light than in the case of the odd number diffraction. However, the grating line pattern of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can slightly twist the total reflection path on the light guide portion 21 as intended. When the secon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23 is made longer in the main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s made larger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ght traveling in the total reflection travels more in the grating patter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quality of the image light outputted through the third diffractive optical element 34 is lowered.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btained in the derivation process and can not necessarily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ne.

US 2014/0300966 A1US 2014/0300966 A1

본 발명은 광가이드부 상에서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광을 1차원적으로 확장하는 회절 광학소자와 확장된 영상광을 광가이드로부터 출력하는 회절 광학소자가 광가이드부 상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되, 영상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절 도광판 및 그 회절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one-dimensionally expanding image light forming an image on a light guide portion and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outputting extended image light from a light gui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on a light guide por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ffracting light guide plate, which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들은,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부; 광원으로부터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수광된 광을 회절시키는 입력 회절 광학소자; 상기 입력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회절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회절에 의해 1차원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 및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확장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회절에 의해 광가이드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출력 회절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출력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분리 배치되며,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입력 회절 격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입력 회절 격자로부터 수광된 회절광을 회절에 의해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측으로 지향시키며, 상기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중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인접 배치되는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회절광의 일부를 수광하고 회절에 의해 상기 출력 회절 광학소자 측으로 지향시키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인접 배치되는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에서 수광되지 않은 회절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수광하고 회절에 의해 상기 출력 회절 광학소자 측으로 지향시키는 회절 도광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guiding unit comprising: a light guide part for guiding light; An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receives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diffracts the received light so that the received light can be guid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A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diffracted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o allow the received light to be one-dimensionally expanded by diffraction; And an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expanded from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output the received light from the light guide by diffraction, wherei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re arranged in the light guide portion Wherei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cludes a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arrang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optically coupled to the input diffraction grating via the light guide to direct the diffracted light received from the input diffraction grating to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side by diffractio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mong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optically coupled to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via the light guide portion to receive a part of the diffracted light from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direct the diffractive light towar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by diffraction , And a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optically coupled to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rough the light guide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is received from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is directed to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side by diffra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은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및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각 연장 방향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first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re parallel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회절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raction rate from one side to the other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회절율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has the same diffraction rat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그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폭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회절율은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최대 회절율보다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raction efficiency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higher than the maximum diffractive efficiency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가이드부의 일면 측 또는 타면 측에는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광 외의 외광의 수광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dispos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light guide portion, and on one surface side or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light guide portio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provid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located, A reduction portion for reducing the light-receiving rate of the external light other than the light can be dispos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light source for outputting image light forming an image; And a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가이드부 상에서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광을 1차원적으로 확장하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확장된 영상광을 광가이드로부터 출력하는 출력 회절 광학소자가 광가이드부 상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되,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광가이드부 상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영상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one-dimensionally expanding image light forming an image on a light guide portion and an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outputting extended image light from a light guide are provided on a light guide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auxiliary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ight guide portion, The image quality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도 1a은 종래기술의 일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회절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또 다른 일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도 3의 Ⅳ-Ⅳ 선 단면도로서,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에서의 회절율 조절을 위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A is a schematic view of a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ior art.
FIG. 1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ffracting light guide plate shown in FIG. 1A.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3 is a schematic view of a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showing various embodiments for adjusting the diffraction efficiency in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5 is a schematic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가이드부"는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광을 안내하는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내부 전반사를 위한 조건은 광가이드부의 굴절률이 광가이드부의 표면에 인접한 주변 매체의 굴절률보다 커야 한다. 광가이드부는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는 플레이트 타입에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플레이트"는 일면 및 그 반대측인 타면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3차원 구조체를 의미하며, 그 일면 및 타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평면일 수도 있지만, 그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1차원적 또는 2차원적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타입의 광가이드부는 1차원적으로 만곡되어 그 일면 및/또는 타면이 원기둥의 측면 중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그 만곡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은 광가이드부 상에서 광을 안내하기 위해 내부 전반사가 용이하도록 충분히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light guide portion" can be defined as a structure for guiding light internally using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The conditions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should be such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guide portion is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rrounding medium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The light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f glass and / or plastic material, and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The light guide portion can be formed in various layouts in a plate type. Here, the term "plate" mean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one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a substantially flat surface, but at least one surface And may be curved in a on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manner. For example, the plate-type light guide portion may be curved one-dimensionally so that one surface and / or the other surf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formed by the curvature has a sufficiently large radius of curvature to facilitate total internal reflection in order to guide light on the light guide portion.

본 명세서에서, 용어 "회절 광학소자"는 광가이드부 상에서 광을 회절시켜 광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절 광학소자"는 광가이드부 상에 일방향으로 배향된 복수 격자선이 미리 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패턴을 가지면서 소정의 면적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diffractive optical element" can be defined as a structure for diffracting light on a light guide portion to change an optical path. Here,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may mean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grating lines oriented in one direction on the light guide portion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while having a pattern.

본 명세서에서, 용어 "격자선"은 광가이드부 표면 상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돌기 형태(즉, 양각 패턴) 및/또는 광가이드부 표면 상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 형태(즉, 음각 패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격자선의 배향 방향은 회절 광학소자에 의한 회절을 통해 의도한 방향으로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grid line" refers to a pattern of protrusions (i.e., relief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and / or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 ≪ / RTI > Here,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grating line can be freely designed so that the optical path can be changed in an intended direction through diffraction by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본 명세서에서, 용어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은, 광가이드부 상에 회절 광학소자가 배치되어 형성하는 소정의 영역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교차된 2개의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 그 2개의 방향 중 더 길게 산출할 수 있는 방향인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extending direction of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refers to a length that can be defined based on two directions that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 predetermined region formed by arranging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on the light guide portion In the case of dividing a width, it may mean a length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that can be calculated longer among the two direction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된 방향"은, 특정 요소가 연장된 방향 등을 설명하고자 할 때 실제 그 연장된 방향은 기준 방향과 평행 또는 기준 방향에 대하여 45 ˚이하(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모두 포함)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는 경우, '특정 요소는 기준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연장'의 문구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main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a specific element is extended or the like, and the actual direction of extension is parallel to the reference direction or 45 占 or less (including both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 The 'specific element may be used with the phrase' extend the reference direction in the main direction '.

본 명세서에서, 용어 "회절율"은, 광가이드부 상에서 내부 전반사되는 광이 회절 광학소자에 의해 일부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되고 나머지는 회절되기 전의 광경로를 따라 전반사될 수 있는데,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된 회절광의 광량을 회절되기 직전의 광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diffraction ratio" means that the light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is totally diffracted by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o be totally reflected along the optical path before the optical path is changed and the rest is diffracted, May b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light of diffracted light changed by the amount of light immediately before diffraction.

본 명세서에서, 용어 "외광의 수광율"은, 광가이드부의 일면 측 또는 타면 측을 향해 진행되는 외광의 광량 대비 그 외광이 광가이드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도달하여 수광되는 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light receiving rate of external light" may mean the ratio o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external light reaching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to the light amount of external light proceeding toward one surface side or the other surface side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view of a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회절 도광판(100)은 광가이드부(110),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 및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may include a light guide portion 110, an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a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an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

광가이드부(110)는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광을 안내할 수 있다.The light guide unit 110 can guide light internally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는 광원(200)으로부터 광(L1)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수광된 광을 회절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는 광가이드부(110)의 일면(110a) 일측(예를 들어, 도 3 기준 좌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can diffract the received light so that the light L1 can be received from the light source 200 and the received light can be guid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0. [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for example, the reference left side in FIG. 3) of one surface 110a of the light guide unit 110.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는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로부터 회절된 광(L2)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회절에 의해 1차원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로부터 수광된 회절광은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를 거치면서 일부는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되며, 나머지는 기존 광경로로 전반사될 수 있는데, 광학소자(120)로부터 최초 수광된 광은 이러한 회절이 특정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복수 회 이루어지면서 복수의 빔(L3)으로 분할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1차원적인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diffracted light L2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and to allow the received light to be expanded one-dimensionally by diffraction. The diffracted light received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is partially diffracted through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to change the optical path and the other can be totally reflected by the existing optical path. Since the initially received light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eams L3 while being made plural times at a position where this diffraction is spaced in a specific direction, a one-dimensional extension can be achieved.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로부터 확장된 광(L3b, L3b')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회절에 의해 광가이드부(110)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 또한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로부터 수광한 광을 회절에 의해 1차원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의 수광측(140a) 기준으로 중간 회절 격자(130)에 의해 확장된 광이 형성하는 복수의 빔(L3b, L3b')이 이격되어 있는 방향과, 단일 빔(L3b, L3b') 기준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에 의해 확장된 복수의 빔(L4)이 이격되어 있는 방향은 서로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게 되므로, 결국 광원(200)으로부터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가 수광하는 광 기준으로는 2차원적인 확장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expanded light L3b and L3b 'from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to output the received light from the light guide portion 110 by diffraction.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can also expand the light received from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one-dimensionally by diffraction.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beams L3b and L3b 'formed by the light expanded by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grating 130 ar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receiving side 140a of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Since the directions in which the plurality of beams L4 extended by the referenc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orthogonal to each other) A two-dimensional extens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light reference received by the element 120. [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와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는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가로 방향(도 3 기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S1, S2)에 각각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는 서로 구분되는 제1영역(S1) 및 제2영역(S2) 중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에 인접한 제1영역(S1)에 배치되며,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는 그보다 우측(도 3 기준)에 위치한 제2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may be separately arranged in the regions S1 and S2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FIG. 3)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0 have. In detail,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is disposed in a first region S1 adjacent to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among the first region S1 and the second region S2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region 1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S2 located on the right side (reference to FIG. 3).

한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 상에 광원 외에서 입력되는 외광이 입사하게 되면 광원에서 출력되어 수광 및 회절되는 영상광에 간섭이 발생하여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가 위치하는 영역에 무지개 무늬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에 수광되는 외광의 수광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부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xternal light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on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130, interference occurs in the imag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and received and diffracted, and a rainbow pattern is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130 is located Can occ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duction section for reducing the light-receiving rate of the external light received by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와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을 가로 방향으로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분리배치하게 되면, 실제 안경 타입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도 5 또는 도 6 참조)를 디자인함에 있어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를 착용자의 코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320)에 인접하는 영역 또는 착용자의 귀에 의해 지지되는 다리부(530)에 인접하는 영역에 밀집되게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는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와는 멀리 이격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동공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에 수광되는 외광의 수광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부(150) 또한, 지지부(320)에 인접하는 영역 또는 다리부(530)에 인접하는 영역에 밀집 배치된 중간 회절 광학 소자(1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할 수 있게 되므로, 착용자가 외부 환경을 시인하는데 있어 저감부(150)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are separately disposed in the regions sepa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glasses type head-mounted display device (Fig. 5 or Fig. 6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and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re arrang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support portion 320 supported by the wearer's nose or in the leg portion 530 supported by the wearer's ear It can be arranged close to the adjacent area. In addition,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and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can b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upil of the wearer. The reduction section 150 for reducing the light reception rate of the external light received by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is also provided with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grating 150 arranged closely to the region adjacent to the support portion 320 or the region adjacent to the leg portion 53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turbance by the reduction unit 150 in view of the wearer's external environment.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는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세로 방향(도 3 기준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와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와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가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형태는 상호간의 연장 방향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가이드부(110) 상에 격자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이격 배치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includes a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Here, the shapes in which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0 are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are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they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y are dispos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0 with an area where no lattice pattern is formed.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는 광가이드부(110)를 통해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로부터 수광된 회절광을 회절에 의해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 측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와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는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에 의해 회절되는 광은 세로 방향(도 3 기준 x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여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내부 전반사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is optically coupled to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through the light guide portion 110 to diffract the diffracted light received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It can be directed toward the elements 132a and 132b. In this embodiment,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nd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light diffracted by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is diff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FIG. 3) as a main direction.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는 가로 방향(도 3 기준 y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may extend in the main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FIG. 3).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도 3 기준 좌측)에서 타측(도 3 기준 우측)까지의 회절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메인 중간 회절 광학 소자(131)가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로부터 수광한 광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 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여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내부 전반사되며 이동하며, 격자선 패턴에 의해 전반사경로 상에서 회절에 의해 일부 광이 분기되어 광경로가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 측을 향하게 된다. 결국 메인 회절 광학 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는 전반사경로를 따라갈수록 광량은 줄어들게 된다. 즉, 격자선 패턴에 의해 회절하고자 하는 광량 또한 상기 전반사경로를 따라갈수록 줄어들게 되므로, 메인 회절 광학 소자(131)에 있어 연장 방향을 따라 회절율이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메인 회절 광학소자(131)를 통해 회절되어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측으로 지향되는 확장된 광, 즉 복수의 제1빔(L3a)은 서로간 광량이 비슷해질 수 있다.The diffraction rate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from one side (left side in FIG. 3) to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3)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may gradually increase. The light received by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is totally reflected and moved on the optical guide portion 110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s the main direction, A part of light is diverged by the diffraction on the total reflection path by the grating pattern, and the optical path is directed to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side. As a result, the amount of light decreases along the total reflection path in whic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is the main direction. In other words, since the amount of light to be diffracted by the grating pattern also decreases along the total reflection path, the diffraction efficiency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is increa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 expanded light that is diffracted and directed toward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that is, a plurality of first beams L3a, can have similar amounts of light to each other.

도 4a 내지 4c는 도 3의 Ⅳ-Ⅳ 단면도로서,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에서의 회절율 조절을 위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s.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3, showing various embodiments for adjusting the diffraction efficiency in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도 4a를 참조하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가 포함하는 복수의 격자선은 광가이드부(110)의 일면(110a) 상에 소정의 높이(h1)를 가지는 돌기 형태(131a)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형태(131a)의 격자선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주기(d1)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돌기 형태(131a)의 격자선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h1)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돌기 형태(131a)의 격자선 높이(h1)가 높아지는 정도는,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비율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소정의 구간 내에서는 일정하다가 다른 구간으로 넘어가면 더 증가하는 스텝 함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4A, a plurality of grating lines included i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r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131a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1 on one surface 110a of the light guide unit 110 . The grating lines of the projection shapes 131a may be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period d1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 In addition, the height h1 of the lattice line of the projection 131a may gradually increase from one side to the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Here,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grid line height h1 of the projection shape 131a may be a shape that continuously increases at a predetermined ratio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but it is constant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but increases further May take the form of a step function.

도 4b를 참조하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가 포함하는 복수의 격자선은 광가이드부(110)의 일면(110a) 상에 소정의 깊이(h2)를 가지는 홈 형태(131b)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홈 형태(131b)의 격자선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주기(d2)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홈 형태(131b)의 격자선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깊이(h2)가 점진적으로 깊어질 수 있다. 여기서, 홈 형태(131b)의 격자선 깊이(h2)가 깊어지는 정도는,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비율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구간 내에서는 일정하다가 다른 구간으로 넘어가면 더 증가하는 스텝 함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4B, a plurality of grating lines included i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re formed in a groove shape 131b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h2 on one surface 110a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0 . The grating lines of the groove shape 131b may be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period d2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 In addition, the lattice line of the groove shape 131b may gradually become deeper in the depth direction h2 from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 The depth of the grating line h2 of the groove shape 131b may be gradually increased at a predetermined ratio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but may be consta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But may take the form of a step function that increases further.

도 4c를 참조하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가 포함하는 복수의 격자선은 광가이드부(110)의 일면(110a) 상에 소정의 높이(h3)를 가지는 돌기 형태(131c)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형태(131a)의 격자선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주기(d3a)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돌기 형태(131a)의 격자선은 상기 주기(d3a) 내에서 소정의 폭(d3b)를 가질 수 있는데, 격자선의 폭(d3b)을 격자선의 주기(d3a)로 나눈 값(d3b/d3a)을 “듀티(duty)”로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격자선의 듀티는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격자선의 듀티가 커지는 정도는,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비율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소정의 구간 내에서는 일정하다가 다른 구간으로 넘어가면 더 증가하는 스텝 함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C, a plurality of grating lines included i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re provided on one surface 110a of the light guide unit 110 as protrusions 131c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3 . The grating lines of the projection shapes 131a may be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period d3a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 The lattice line of the projection shape 131a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d3b within the period d3a and the value d3b / d3a obtained by dividing the width d3b of the lattice line by the period d3a of the lattice line, Is defined as " duty ". Here, the duty of the lattice line can be increas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 Here,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duty of the lattice line may be a form that continuously increases in a predetermined ratio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but may take a form of a step function that is constant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but increases further when the section goes beyond another section.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는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세로 방향(도 3 기준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는 주된 광경로가 광가이드부(110) 상측으로부터 하측(도 3 기준)을 향하는 광을 수광하여 회절에 의해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 측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와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는 가로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된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에 의해 회절되는 광은 가로 방향(도 3 기준 y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여 광가이드부(110) 상에서 내부 전반사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 may be provided on the light guide unit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FIG. 3). Each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receives light direc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reference in FIG. 3) of the optical guide part 110 and directs it towar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by diffraction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are arranged in the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the light diffracted by the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is diffra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FIG. 3) as a main direction.

한편, 세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는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의 수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에 의해 회절된 광(L3a)을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가 이격되는 방향인 세로 방향을 따라 복수의 빔(L3b, L3b')으로 재분기하여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 및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의 연장 길이를 길게 하기보다는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의 수량을 늘림으로써, 목표한 만큼의 광의 1차원적인 확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의 수량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진행되는 광이 격자선을 만나는 횟수도 많아질 것이며, 그 만남에 의해 실제 광경로는 의도한 대로의 목표 광경로와 대비하여 틀어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의 수량은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는,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와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와 같이 2개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the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reases, the light L3a diffracted by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is diffracted by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And can be expanded and re-branched into a plurality of beams L3b and L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ams L3b and L3b' Therefor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 rather than increasing the lengths of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nd the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 However, as the number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traveling light meets the grating line will increase. By this meeting, the actual optical path can be compared with the intended optical path as intended The possibility of switching may increas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 Fo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is formed by two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such as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Device. ≪ / RTI >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 중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와 인접 배치되는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는 광가이드부(110)를 통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로부터 회절광(L3a)의 일부를 수광하고 회절에 의해 그 광(L3b)을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 측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mo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is disposed i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so as to receive a part of the diffracted light L3a from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nd to direct the light L3b towar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by diffraction.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 중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와 인접 배치되는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는 광가이드부(110)를 통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에서 수광되지 않은 회절광(L3a)의 적어도 일부(L3a')를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로부터 수광하고 회절에 의해 그 광(L3b')을 을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 측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diffracts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through the optical guide part 110, At least a part (L3a ') of the diffracted light L3a which is optically coupled with the element 131 and is not received by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is received from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The light L3b 'can be directed towar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side.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의 연장 방향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에 대해 광가이드부(110) 상의 하측(도 3 기준)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에 의해 회절되는 광은 광가이드부(110) 상의 우측(도 3 기준)을 향하여 내부 전반되면서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 측으로 진행되며, 대략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여 광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다면, 출력 회절 광학소자 측으로 진행되는 광은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지하고 있는 격자선과 반복적으로 만나게 되며, 그 때마다 광경로는 조금씩 틀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의도한 광경로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결국 광에 의해 형성되는 영상의 품질은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의 연장 방향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에 대해 광가이드부(110) 상의 하측(도 3 기준)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면,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 측으로 진행되는 광은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의 연장 방향에 대해 광가이드부(110) 상의 상측(도 3 기준)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진행하므로, 결국 그 진행되는 광은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차지하고 있는 격자선과 만나는 횟수가 전술한 경우보다 확연히 줄어들 수 있으며, 광경로가 의도하지 않은 경로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광에 의해 형성되는 영상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ar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reference in FIG. 3)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 On the other hand, the light diffracted by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propagates to the right side (reference in FIG. 3)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0 and proceeds towar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side, An optical path can be formed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lement 131 as a main direction. If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un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traveling towar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direc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t is repeatedly encountered with the grid lines occupying, and each time the sight path can be twisted little by little.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form an intended optical path, and consequently, the quality of the image formed by the light is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are set such that the lower side (reference in Fig. 3)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The light traveling towar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advances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reference in FIG. 3) on the light guide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The number of times the grating line occupi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tical path from being changed to an unintended path .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image formed by the light can be maintained at a high level.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및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의 각 연장 방향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의 빔(L3a)이 만나는 지점 간의 광가이드부(110)의 세로 방향 이격 거리와,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의 빔(L3a')이 만나는 지점 간의 광가이드부(110)의 세로 방향 이격 거리를 비슷하게 형성함으로써,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에 의해 광경로가 변경된 복수의 빔(L3b) 및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에 의해 광경로가 변경된 복수의 빔(L3b') 들간의 광가이드부(110)의 세로 방향 이격 거리를 비슷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광이 확장됨으로써 줄어드는 광량의 비율이 광이 확장되는 영역에 걸쳐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are preferably parallel to each other.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ight guiding portion 110 and the point where the plurality of beams L3a mee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0 and the extension of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form a plurality of beams having the optical path changed by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by similarly forming the vertical distance distances of the light guide portions 110 between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beams L3a ' L3b,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guide portions 110 of the plurality of beams L3b 'having the changed optical path is approximately equal. As a result, the ratio of the amount of light reduced by expanding the light can be similarly maintained over the region where the light is expanded.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도 3 기준 좌측)에서 타측(도 3 기준 우측)까지의 회절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는 제1빔(L3a, L3a') 중 적어도 일부를 수광하여 회절에 의해 출력 중간 회절 광학소자(140) 측으로 지향하도록 하여, 광경로가 변경된 복수의 제2빔(L3b, L3b') 형태로 광가이드부(110)를 통해 내부 전반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빔(L3a 또는 L3a')은 서로간 광량이 비슷하므로,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에 의해 제1빔(L3a 또는 L3a')의 적어도 일부가 회절되는 각 지점에서의 회절율이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광경로가 변경된 복수의 제2빔(L3b 또는 L3b')의 서로간 광량 또한 서로 비슷해질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iffraction ratio from one side (left side in FIG. 3) to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3)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 receive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beams L3a and L3a 'and directs it to the output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side by diffra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beams L3b, and L3b 'through the light guide unit 110, as shown in FIG. Since the plurality of first beams L3a and L3a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beam L3a or L3a' is formed by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The light amount of the second beams L3b or L3b 'having a changed optical path can be made similar to each other if the diffraction rate at each point where the diffracted light is diffracted is substantially the same.

여기서,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는 그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폭(w_b)이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의 폭(w_a)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에 의해 회절된 빔(L3a)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빔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의 폭(w_a)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에 의해 분기되어 회절되는 빔(L3a)의 직경 대비 50% 정도,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의 폭(w_b)은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에 의해 분기되어 회절되는 빔(L3a)의 직경 대비 100% 이상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및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의 회절율은 모두 100%에 가깝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는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에 의해 분기되어 회절된 빔(L3a)의 50% 정도 영역을 수광하여 회절시키고(이에 의해 L3b의 광량은 L3a의 50% 정도),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에 의해 수광되지 않은 빔(L3a')은 제2보조 중간 회절광학소자(132b) 측으로 진행되며(이에 의해 L3a'의 광량은 L3a의 50% 정도),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는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에 의해 수광되지 않은 빔(L3a')의 전 영역을 수광하여 회절시킬 수 있다(이에 의해 L3b'의 광량은 L3a'와 비슷하고 L3dml 50% 정도). 결국,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에 의해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된 L3b 와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b)에 의해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된 L3b'의 광량은 모두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에 의해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된 L3a의 광량 대비 50% 수준으로 비슷해질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_b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is wider than the width w_a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beam L3a diffracted by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is a circular beam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 one embodiment, the width w_a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is about 50% of the diameter of the beam L3a diverged and diffracted by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The width w_b of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can be configured to be 100% or more of the diameter of the beam L3a diverged and diffracted by the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 addition, the diffraction ratios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are all close to 100%. Thereby,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receives and diffracts a region of about 50% of the beam L3a diverged and diffracted by the main inter-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whereby the light amount of L3b is L3a 50%), the beam L3a 'not received by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dvances towar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whereby the light amount of L3a' is 50 ,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can receive and diffract the entire area of the beam L3a 'not received by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L3b' Is similar to L3a 'and about 50% of L3dml). As a result, the light amount of L3b ', which is diffracted by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nd diffracted by the optical path changed L3b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and the optical path is changed, Diffracted by the element 131, and the optical path can be similar to 50% of the amount of the changed L3a.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는 광가이드부(110)의 일면(110a)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의 일면(110a) 측 또는 타면(110b) 측에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광원(200)으로부터 출력된 광(L) 외의 외광의 수광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저감부(150)는 광가이드부의 일면(110a) 측 또는 타면(110b) 측에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필름층일 수 있으며, 불투명한 물질, 예를 들어 검은 색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감부(150)는 예를 들어 검은 색 잉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저감부(150)의 다른 태양은, 광가이드부의 일면(110a) 측 또는 타면(110b) 측에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광가이드부(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구조물 또한 불투명한 물질, 예를 들어 검은 색을 물질, 더욱 상세하게는 검은색 잉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110a of the light guide unit 110. [ On one surface 110a side or the other surface 110b side of the light guide portion to reduce the light receiving rate of external light other than the light L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200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130 is located The reduction unit 150 can be disposed. Here, the reduction unit 150 may be a film layer that can cover a reg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ne surface 110a or the other surface 110b of the light guide portion, Materials, such as black, may be included. The abatement portion 15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cluding black ink. Another aspect of the reduction section 150 is that the side of the light guide section 110a or the side of the other surface 110b is separated from the light guide section 110 from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130 is located And may be a plastic or glass structu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uch plastic or glass structures may also be formed with opaque materials, such as black materials, more particularly black ink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광을 출력하는 광원(미도시)과, 전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회절 도광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안경테 형상을 띄는 본체(300)에 회절 도광판(100)이 결합된 형태의 구조인 헤드 마운트 타입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본체(300)는 회절 도광판(100)이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테두리부(310)와, 한 쌍의 테두리부(310)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며 착용자의 코(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320)와, 테두리부(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다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0 may include a light source (not shown) for outputting image light forming an image and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isplay device 1000 may be a head mount type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100 is coupled to a main body 300 having an eyeglass frame shape. The body 300 includes a pair of frame parts 310 to which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can be coupled and a pair of frame parts 31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nose of the wearer And a leg portion 33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im 310 and supported by the wearer's ear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1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와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을 광가이드부(110)의 가로 방향(도 5 기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분리 배치하므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는 착용자의 코(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320)에 인접하는 영역(S1a)에 밀집되어 배치되고,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는 착용자의 귀에 의해 지지되는 다리부(330) 에 인접하는 영역(S2a)에 배치될 수 있다. 때문에,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하는 광가이드부(110) 타면(110b) 상의 영역에 저감부(150)를 배치하더라도, 저감부(150)에 의해 착용자의 시야가 흐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100 and / or th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are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is disposed in a region S1a adjacent to the support portion 320 supported by the wearer's nose (not shown)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may be disposed in a region S2a adjacent to the leg portion 330 supported by the wearer's ear. Therefore, even if the reduction unit 150 is disposed in the area on the other side 110b of the light guide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130 is located, the wearer's field of view is blurred by the reduction unit 15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inimiz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광을 출력하는 광원(미도시)과, 전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회절 도광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안경테 형상을 띄는 본체(500)에 회절 도광판(100)이 결합된 형태의 구조인 헤드 마운트 타입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본체(500)는 회절 도광판(100)이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테두리부(510)와, 한 쌍의 테두리부(510)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며 착용자의 코(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520)와, 테두리부(5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다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2000 may include a light source (not shown) for outputting image light forming an image and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2000 may be a head mount type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is coupled to a main body 500 having an eyeglass frame shape. The main body 500 includes a pair of frame parts 510 to which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can be coupled and a pair of frame parts 51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nose of the wearer And a leg portion 53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im portion 510 and supported by the wearer's ear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절 도광판(1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와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을 광가이드부(110)의 가로 방향(도 5 기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분리 배치하므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는 착용자의 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다리부(530)에 인접하는 영역(S1b)에 밀집되어 배치되고, 출력 회절 광학소자(140)는 착용자의 코(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520)에 인접하는 영역(S2b)에 배치될 수 있다. 때문에, 중간 회절 광학소자(130)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하는 광가이드부(110) 타면(110b) 상의 영역에 저감부(150)를 배치하더라도, 저감부(150)에 의해 착용자의 시야가 흐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and / or the display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0 is dispos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leg portion 530 supported by the wearer's ear (not shown)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may be disposed in the region S2b adjacent to the support portion 520 supported by the wearer's nose (not shown). Therefore, even if the reduction unit 150 is disposed in the area on the other side 110b of the light guide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130 is located, the wearer's field of view is blurred by the reduction unit 15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inimiz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절 도광판(100)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 2000)에 있어, 입력 회절 광학소자(120)으로부터 수광된 광을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에서의 회절에 의해 세로 방향(도 3 및 5 기준 x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여 광경로를 변경시키고 그 광경로가 변경된 광을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에서의 회절에 의해 가로 방향(도 3 및 5 기준 y축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광경로를 재차 변경시키더라도,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와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가 광가이드부(11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고, 특히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132a, 132b)의 연장 방향이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131)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적어도 2번의 광경로 변경을 위해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폭을 가지는 단일의 중간 회절 광학소자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광이 진행하면서 격자선을 만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진행되는 광이 격자선을 만날 때마다 광경로가 의도하지 않은 경로로 틀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00 and / or the display devices 1000 and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ceived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20 is diffracted by the diffractive optical waveguide 100 i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By changing the optical path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in Figs. 3 and 5) as the main direction by the diffraction and changing the optical path thereof, the diffraction in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The main inter-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and the auxiliary inter-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ortion 110 (the y-axis direction in Figs. 3 and 5) In particular, since the extension directions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132a and 132b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Long Than the case of using a single length and a medium diffractive optical element having a width extending longitudin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meets the grid lines and light is proceeding.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tical path can be minimized in an unintended path every time the traveling light meets the grating lin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회절 도광판
110 : 광가이드부
120 : 입력 회절 광학소자
131 :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
132a :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132b :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140 : 출력 회절 광학소자
150 : 차광층
200 : 광원
1000, 2000 : 디스플레이 장치
100: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110: light guide portion
120: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1: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a: a first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32b: a second auxiliary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140: output diffraction optical element
150: Shading layer
200: Light source
1000, 2000: Display device

Claims (9)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부;
광원으로부터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수광된 광을 회절시키는 입력 회절 광학소자;
상기 입력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회절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회절에 의해 1차원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중간 회절 광학소자; 및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확장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회절에 의해 광가이드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출력 회절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출력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서로 구분되는 영역에 각각 분리 배치되며,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 상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입력 회절 격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입력 회절 격자로부터 수광된 회절광을 회절에 의해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측으로 지향시키며,
상기 복수의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중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인접 배치되는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회절광의 일부를 수광하고 회절에 의해 상기 출력 회절 광학소자 측으로 지향시키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인접 배치되는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와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에서 수광되지 않은 회절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로부터 수광하고 회절에 의해 상기 출력 회절 광학소자 측으로 지향시키는, 회절 도광판.
A light guide portion for guiding light;
An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receives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diffracts the received light so that the received light can be guid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A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diffracted from the in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o allow the received light to be one-dimensionally expanded by diffraction; And
And an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configured to receive the expanded light from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output the received light from the light guide by diffraction,
Wherei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he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re separately arrang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in a reg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cludes a main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arranged on the light gu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optically coupled to the input diffraction grating through the light guide portion to direct the diffracted light received from the input diffraction grating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by diffraction,
A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is optically coupled to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via the light guide portion, And a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arranged to be adjacent to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via the light guide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diffracted light which is optically coupled and not received by said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received from said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is directed toward said output diffractive optical element by diffra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은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회절 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 및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각 연장 방향은 서로 평행한, 회절 도광판.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회절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회절 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ffraction efficiency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회절율이 동일한, 회절 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has the same diffraction ratio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그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제1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폭보다 더 넓은, 회절 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idth of the second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of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회절율은 상기 메인 중간 회절 광학소자의 최대 회절율보다 더 높은, 회절 도광판.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diffraction efficiency of the auxiliary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higher than the maximum diffractive efficiency of the ma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는 상기 광가이드부의 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광가이드부의 일면 측 또는 타면 측에는 상기 중간 회절 광학소자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력된 광 외의 외광의 수광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부가 배치되는, 회절 도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ortion,
Wherein a reduction portion for reducing a light reception rate of external light other than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on one surface side or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light guide portion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where the intermediat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is located.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광을 출력하는 광원; 및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절 도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light source for outputting image light forming an image; And
9.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KR1020180004482A 2018-01-12 2018-01-12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86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82A KR102486828B1 (en) 2018-01-12 2018-01-12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6/771,552 US11982827B2 (en) 2018-01-12 2019-01-14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20552658A JP7043121B2 (en) 2018-01-12 2019-01-14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it
CN201980006673.9A CN111512215B (en) 2018-01-12 2019-01-14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9/000548 WO2019139440A1 (en) 2018-01-12 2019-01-14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19738519.8A EP3719562A4 (en) 2018-01-12 2019-01-14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82A KR102486828B1 (en) 2018-01-12 2018-01-12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21A true KR20190086221A (en) 2019-07-22
KR102486828B1 KR102486828B1 (en) 2023-01-10

Family

ID=6746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482A KR102486828B1 (en) 2018-01-12 2018-01-12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8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378A (en)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Holographic Wavegu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8927A1 (en) * 2007-06-04 2008-12-11 Nokia Corporation A diffractive beam expander and a virtual display based on a diffractive beam expander
US20140300966A1 (en) 2011-08-29 2014-10-09 Vuzix Corporation Controllable waveguide for near-eye display applications
WO2015125794A1 (en) * 2014-02-21 2015-08-27 旭硝子株式会社 Light-guiding element and video display device
US20170123208A1 (en) * 2015-10-29 2017-05-04 Tuomas Vallius Diffractive optical element with uncoupled grating struc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8927A1 (en) * 2007-06-04 2008-12-11 Nokia Corporation A diffractive beam expander and a virtual display based on a diffractive beam expander
US20140300966A1 (en) 2011-08-29 2014-10-09 Vuzix Corporation Controllable waveguide for near-eye display applications
WO2015125794A1 (en) * 2014-02-21 2015-08-27 旭硝子株式会社 Light-guiding element and video display device
US20170123208A1 (en) * 2015-10-29 2017-05-04 Tuomas Vallius Diffractive optical element with uncoupled grating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378A (en)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Holographic Wave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828B1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12215B (en)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325427B2 (en) exit pupil expander
CN111142263B (en) Grating waveguide element and near-to-eye display equipment
CN114545549A (en) Optical waveguide device for diffraction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US11892682B2 (en) Diffractive optical waveguid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reliminary class
KR20190086220A (en)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86221A (en)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86832B1 (en)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22138A (en)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359040A1 (en) Lightguide of eyewear apparatus, eyewear apparatus and operatio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guide
KR102601442B1 (en) Holographic Waveguide
CN111492274B (en) Optical waveguide and diffractive waveguide display
JP2020112614A (en) Exit pupil expansion element, waveguide member
WO2022259756A1 (en) Optical system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982827B2 (en) Diffraction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103223A1 (en) Optical system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220155511A1 (en) Diffractive light guide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115509006A (en)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5586636A (en) Optical pupil expanding device, equipment,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