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829A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829A
KR20190085829A KR1020180108237A KR20180108237A KR20190085829A KR 20190085829 A KR20190085829 A KR 20190085829A KR 1020180108237 A KR1020180108237 A KR 1020180108237A KR 20180108237 A KR20180108237 A KR 20180108237A KR 20190085829 A KR20190085829 A KR 2019008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츠토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239,11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78800B2/en
Publication of KR2019008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8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02B27/2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ens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mage display device, which comprises: a scanning optical unit scanning laser light; a beam shaper in which laser light scanned by the scanning optical uni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incident; two reflective optical elements with sculptured surfaces; one anamorphic lens; an illumination optical unit illuminating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beam shaper with a display panel;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aser light illuminated from the illumination optical unit; three reflective optical elements having sculptured surfaces; and an eyepiece optical unit focusing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on an eye of an observer.

Description

이미지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0001] IMAGE DISPLAY DEVICE [0002]

이하,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공된다.Hereinafter, a technique relating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전방의 실제 장면(real scene)에 겹치게(superimpose) 가상 이미지(virtual image)를 표시함으로써, 실제 장면에 정보 등이 부가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생성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을 운행하는 관찰자의 시선이동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관찰자에 대해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쾌적한 차량운행에 기여할 수 있다.The head-up display device displays a virtual image superimposed on a real scene in front of the vehicle, thereby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AR) to which information is added to the actual scene . The head-up display device can contribute to a safe and comfortable vehicle operation by providing the desired information to the observer accurately while suppressing the movement of the observer traveling the vehicle to the utmost.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2016-014861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6-014861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는 레이저 광(laser light)을 주사(scan)하는 주사광학부; 상기 주사광학부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수직으로 입사(incident)되는 빔 쉐이퍼; 자유곡면(free-form curve)을 가지는 2개의 반사 광학소자 및 하나의 아나모픽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빔 쉐이퍼로부터 방출(emit)된 레이저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조명(illuminate)하는 조명광학부; 상기 조명광학부로부터 조명된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자유곡면을 가지는 3개의 반사 광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image light)을 관찰자의 눈에 집광시키는 접안광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scanning optical unit for scanning a laser light; A beam shaper in which laser light scanned from the scanning optical unit is incident vertically; An illumination light classifier including two reflective optical elements having a free-form curve and one anamorphic lens, and illuminating a display panel with laser light emit- ted from the beam shaper; The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aser light illuminated from the illuminating light unit; And an eyepiece optic that includes three reflective optical elements having a free-form surface and that condenses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onto an observer's eye.

이미지 표시 장치는 상기 눈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상기 빔 쉐이퍼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osition at which the scanned laser beam enters the beam shap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ye.

상기 주사광학부는, 레이저 주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주사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상기 빔 쉐이퍼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scanning optical section includes a laser scanning section, and the first control section can control the position at which the scanned laser beam enters the beam shaper by controlling the laser scanning section.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눈의 광축(optical axis)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상기 빔 쉐이퍼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may condense the image light by controll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scanned laser light enters the beam shap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al chang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eye .

이미지 표시 장치는 상기 눈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 쉐이퍼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ye.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빔 쉐이퍼의 위치를 광축에 대해 전후로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눈이 광축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빔 쉐이퍼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can condense the image light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in response to the case where the eye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상기 빔 쉐이퍼는, 회절 광학 소자(DOE, Diffractive Optics Element),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또는 확산판(diffuser plate)일 수 있다.The beam shaper may be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or a diffuser plate.

이미지 표시 장치는 상기 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컨텐츠를 제어 하는 제3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imag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ye.

상기 제3 제어부는, 양안에 대해 서로 구별되는 우안 이미지 및 좌안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control unit may provide a right eye image and a left eye image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binocular vision.

상기 주사광학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방출(emit) 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을 주사(scanning)하는 레이저 주사부(laser scanning unit); 및 상기 레이저 주사부에 의해 주사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빔 쉐이퍼로 입사시키는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canning optical unit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emitting the laser light; A laser scanning unit scanning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 mirror for reflecting the laser beam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to cause the laser beam to enter the beam shaper.

상기 레이저 주사부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스캐너로 구현되고, 상기 거울은, 포물면 거울(parabolic mirror)로 구현될 수 있다.The laser scanning unit is implemented by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scanner, and the mirror can be implemented as a parabolic mirror.

상기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판에 집광(concentrate)시키는 집광 렌즈(condensing lens); 상기 집광 렌즈에 의해 집광된 레이저 광을 산란시키는 상기 확산판; 상기 확산판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 광을 평행하게 함(collimating)으로써 생성된 평행광을 상기 레이저 주사부로 방출하는 시준 렌즈(collimating lens) ; 및 상기 확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condensing lens that concentrates the laser light onto a diffusion plate; A diffusion plate for scattering laser light condensed by the condenser lens; A collimating lens that emits collimated light generated by collimating a laser beam scattered by the diffusion plate to the laser scanning unit;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diffuser plate.

상기 접안광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을 반사하는 전단(front end)의 자유곡면 거울; 상기 전단의 자유곡면 거울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 광을 추가로(additionally) 반사시키는 후단(back end)의 자유곡면 거울; 및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 광을 추가로 반사시킴으로써 이미지 광을 상기 눈에 집광시키는 결합기(combin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eyepiece optics may include a front end free-form surface mirror reflecting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A back-end free-form surface mirror for additionally reflecting the image light reflected by the front-end free-form surface mirror; And a combiner for focusing the image light onto the eye by further reflecting the image light reflected by the free-form surface mirror at the subsequent stage.

상기 전단의 자유곡면 거울 및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은, 상기 전단의 자유곡면 거울로부터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까지의 광로 사이에서 적어도 두 이미지 광 들이 서로 교차(cross)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ree-form curved mirror at the front end and the free-form curved mirror at the rear end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two image lights cross each other between the optical path from the free-form curved mirror of the front end to the free-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 및 상기 결합기는,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로부터 상기 결합기까지의 광로 사이에서 이미지 광의 광선들 중 적어도 두 광선 이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ree-form curved mirror and the combiner at the subsequent stage may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two of the beams of the image light intersect between the optical path from the free-form curved mirror at the succeeding stage to the coupler.

상기 이미지 표시 장치는, 헤드업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장치일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be a head-up display (HUD) apparatus.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홀로그램 표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be implemented as a hologram display device.

상기 광원부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레이저 광을 결합(combine)으로써, 백색광을 생성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can combine laser light of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to generate white light.

상기 광원부는,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된 반도체 레이저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semiconductor laser light sources arranged in an arra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 및 윈드 쉴드 글래스 및 가상 이미지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각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광학부 및 빔 쉐이퍼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광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광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광학부에 있어서 광선이 교차하는 측면(aspect)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에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광학부 및 빔 쉐이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windshield glass and a virtu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canning optical unit and a beam sh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illumination illu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yepiece optic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de where rays intersect in the eyepiece op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canning optical unit and a beam sh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to them.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미지 표시 장치(100)은 주사광학부(scanning optical unit)(110), 빔 쉐이퍼(beam shaper)(120), 조명광학부(illuminating optical unit)(130),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140), 및 접안광학부(eyepiece optical unit)(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scanning optical unit 110, a beam shaper 120, an illuminating optical unit 130, a display panel 140, And an eyepiece optical unit 150.

주사광학부(110)는 레이저 광을 주사할 수 있다.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can scan the laser light.

빔 쉐이퍼(120)에는 주사광학부(110)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광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광학부(110)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광이, 빔 쉐이퍼(120)에 대략 수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주사광학부(110)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광은, 빔 쉐이퍼(120)의 면에 대해 수직인 각도 또는 수직과 유사한 각도로 입사될 수 있다. 수직과 유사한 각도는 빔 쉐이퍼(120)의 면에 대해 수직인 각도에 대한 각도 차이(angle difference)가 미리 정한 임계 각도 미만인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The beam shaper 120 can receive the scanned laser light from 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 For example, the laser light scanned from 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may be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he laser light scanned from 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may be incident at an angle perpendicular or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eam shaper 120. [ An angle similar to vertical may indicate an angle where the angle difference to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eam shaper 12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ngle.

조명광학부(130)는 빔 쉐이퍼(120)으로부터 방출(emit)된 레이저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조명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130 may illuminate the display panel 140 with laser light emit from the beam shaper 120. [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조명광학부(130)에 의해 조명된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조명광학부(130)에 의해 조명된 레이저 광을 통과시킴으로써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광은, 레이저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임의의 지점을 통과한 후의 광(light)을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 광은,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방출된 광선 다발(bundle of rays)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40 may display an image using the laser light illuminated by the illumination light unit 130.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40 may generate the image light corresponding to the image by passing the laser light illuminated by the illumination light section 130. [ The image light may represent light after the laser light has passed through any point of the display panel 140. [ The image light may comprise a bundle of rays emitted from any point of the display panel 140.

접안광학부(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40)으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을 관찰자의 눈에 집광(concentrate))시킬 수 있다.The eyepiece optical unit 150 can concentrate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40 to the eye of the observer.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자기 차량 전방의 실제 장면(real scene)에 가상 이미지를 겹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실제 장면에 정보 등을 부가한 증강현실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것은 단순 예시로서, 다른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or example, a head-up display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and can display a virtual image superimposed on a real scene in front of the own vehicl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generate an augmented reality in which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added to the actual scene. Howev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applied to the head-up display apparatus as a simple example, and may be applied to other apparatuses.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을 관찰자의 눈에 효율적으로 집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아이 박스(eye box) 전체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이미지 광을 관찰자의 눈에 집광시킬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 광을 관찰자의 눈에 집광시킴으로써, 양안(both eyes)의 각각에 서로 다른 이미지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좌안에 좌안 이미지를 제공하고, 관찰자의 우안에 우안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관찰자에게 입체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efficiently condense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head-up display device into the eyes of the observer.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dense the image light to the observer's eye in order to display the image on the entire eye box.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dense the image light to the observer's eye, thereby collecting different image light in each of both eyes. Thu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to the observer by providing a left-eye image in the left eye of the observer and a right-eye image in the right-eye image of the observe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 및 윈드 쉴드 글래스 및 가상 이미지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windshield glass and a virtu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우선, 주사광학부(110)는 빔 쉐이퍼(120)로 레이저 광을 주사할 수 있다. 그리고 빔 쉐이퍼(120)는 조명광학부(130)로 레이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주사광학부(110)에 의한 레이저 광의 주사 및 빔 쉐이퍼(120)는 하기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다.First, 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can scan the laser beam with the beam shaper 120. The beam shaper 120 may emit laser light to the illumination light unit 130. The scanning of the laser beam by 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and the beam shap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빔 쉐이퍼(120)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은, 조명광학부(130)에 입사(incident)할 수 있다. 레이저 광은 조명광학부(130)에 구비되는 아나모픽 렌즈(131), 제1 자유곡면 거울(132), 및 제2 자유곡면 거울(133)의 순서로 전달될 수 있다.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beam shaper 120 can be incident on the illumination light unit 130. The laser ligh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anamorphic lens 131, 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and 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provided in the illumination unit 130 in this order.

그리고 해당 레이저 광은 제2 자유곡면 거울(133)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입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해당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투과형 패널로서, 뒷면을 통해 레이저 광을 수신하고, 수신된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이미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40)으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은, 접안광학부(150)에 입사할 수 있다.The laser beam can be incident on the display panel 140 from 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The display panel 140 can display an image using the laser light.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40, as a transmissive panel, can receive laser light through the back surface and emit image light based on the received laser light.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40 can be incident on the eyepiece optical unit 150.

이어서, 이미지 광은 접안광학부(150)에 구비된 제3 자유곡면 거울(151), 제4 자유곡면 거울(152), 결합기(153)의 순서대로 전파될 수 있다. 결합기(153)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 광은, 관찰자의 눈에 집광된다. 따라서, 관찰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 실드 글래스(10)를 통해, 전방의 실제 장면(real scene)에 중첩되어 프로젝션 평면(11)에 표시된 가상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Then, the image light can be propagated in the order of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and the combiner 153 provided in the eyepiece optical unit 150. The image light reflected by the coupler 153 is focused on the observer's eye. Accordingly, the observer can recognize the virtual image displayed on the projection plane 11 by superimposing on the front real scene through the windshield glass 10, as shown in Fig.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미리 정한 광학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관찰자의 눈에 이미지 광을 계속 집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찰자의 눈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광학 소자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눈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광학 소자의 위치 등을 제어함으로써, 관찰자의 눈에 이미지 광을 계속하여 집광시킬 수 있다. 여기서, 눈의 위치 정보는 미리 정한 센싱 데이터의 분석 등에 의해 생성되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생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눈의 위치 정보의 생성은, 외부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이미지 표시 장치(100)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미지 광이 관찰자의 양안에 집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한쪽 눈에만 집광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inuously focus the image light on the observer's eye by controlling the predetermined optical element.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change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movement or the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optical element based on the eye position informa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inuously focus the image light on the observer's eye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optical element or the lik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ye. Here, the eye posi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eye of the observer generated by analyzing the predetermined sensing data, and the gener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ddition, generation of the ey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realized by an external device or may be realiz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In addition, although the image light is described as being focused on both sides of the observer, it may be focused on only one eye.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양안의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이미지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양안의 각각에 서로 다른 이미지 광을 제공함으로써, 관찰자에게 3차원 이미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서로 시차(disparity)를 가지는, 좌안 이미지의 이미지 광 및 우안 이미지의 이미지 광을 각각의 눈에 집광시킬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dense different image lights for each of the binocula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provide the observer with a three-dimensional image by providing different image lights to each of the binocular.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dense the image light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image light of the right eye image into each eye, which have a disparity with each other.

아래에서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각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광학부 및 빔 쉐이퍼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canning optical unit and a beam sh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주사광학부(110)는 광원부(111), 레이저 주사부(예를 들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스캐너(112)), 및 포물면 거울(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사광학부(110)는 조명광학부(130), 접안광학부(150)가 배치된 경우에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데드 스페이스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하우징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에서, 조명광학부(130) 및 접안광학부(150)가 차지하는 공간 이외에 남는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소형화될 수 있다.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111, a laser scanning unit (for example,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scanner 112), and a parabolic mirror 113. In addition, 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may be disposed in a dead space generated when the illumination optical unit 130 and the eyepiece optical unit 150 are disposed. The dead space may represent a space remaining in the space defined by the housing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ther than the space occupied by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130 and the eyepiece optics 150. [ Theref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downsized.

광원부(111)는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광학 소자로서, 예를 들어, 백생광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부(111)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 도 6에서 설명한다.The light source unit 111 is an optical element that generates laser light, and can generate, for example, white light.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1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MEMS 스캐너(112)는, 광원부(111)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광학소자이다. 예를 들어, MEMS 스캐너(112)는 포물면 거울(113)의 초점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MEMS 스캐너(112)에 의해 주사된 레이저 광은, 포물면 거울(113)에 의해 반사되어, 빔 쉐이퍼(120)에 입사한다. 여기서, 포물면 거울(113)의 초점 위치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이 포물면 거울(113) 상의 각 점에서 반사하는 경우, 각 반사광의 진행 방향은 포물면 거울(113)의 광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는 특징을 가진다. 서로서로 대략 평행하게 된 반사광은 빔 쉐이퍼(120)의 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입사한다. 본 명세서에서 광축은, 빛이 투과하는 광로를 지시하는 선을 나타낼 수 있다.The MEMS scanner 112 is an optical element for scanning the laser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1. [ For example, the MEMS scanner 112 may be placed at the focal position of the parabolic mirror 113. The laser light scanned by the MEMS scanner 112 is reflected by the parabolic mirror 113 and enters the beam shaper 120. Here, when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focal position of the parabolic mirror 113 is reflected at each point on the parabolic mirror 113, the proceeding direction of each reflected light is characterized by being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parabolic mirror 113 . The reflected light, whic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s incid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beam shaper 120. In this specification, the optical axis can indicate a line indicating an optical path through which light passes.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이 빔 쉐이퍼(120)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91)는 MEMS 스캐너(112)를 제어함으로써, 포물면 거울(113)에 반사된 레이저 광이 빔 쉐이퍼(120)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빔 쉐이퍼(120)에 있어서, 레이저 광의 입사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레이저 광의 입사 각도는 변하지 않는다. 빔 쉐이퍼(120)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레이저 광은 여전히 빔 쉐이퍼(120)의 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각도로 입사할 수 있다. MEMS 스캐너(112)가 제1 제어부(191)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roller 191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erver's ey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ler 191 controls the position at which the laser beam reflected by the parabolic mirror 113 enters the beam shaper 120 by controlling the MEMS scanner 112. Also, in the beam shaper 120, the incident angle of the laser beam does not change even if the incident position of the laser beam is changed. The laser beam can still enter the beam shaper 120 at an angl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eam shaper 120, even if the position at which the laser beam is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is changed. The MEMS scanner 112 may operate as the first control unit 191. [

참고로,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쉐이퍼(120)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광학계에 있어서, 관찰자의 눈의 위치와 결합 관계에 있다. 빔 쉐이퍼(120)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위치가 달라지면, 이미지 광이 최종적으로 집광되는 위치도 달라진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 변화에 따라, 빔 쉐이퍼(120)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91)는 상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상기 빔 쉐이퍼(120)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눈의 광축(optical axis)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관찰자의 눈의 위치가, 광축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91)는 이러한 관찰자의 눈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빔 쉐이퍼(120) 상에서 변화된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으로 레이저 광이 입사되도록, MEMS 스캐너(11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에 이미지 광을 계속하여 집광시킬 수 있다.For reference, the beam shaper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 an optical syste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If the position of the laser beam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is changed, the position at which the image light is finally condensed is also changed.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laser beam is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unit 191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scanned laser beam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al chan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eye The image light can be condensed. It can be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control unit 191 can control the MEMS scanner 112 such that the laser light is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yes of the observer.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inuously converge the image light on the observer's eyes.

또한, MEMS 스캐너(112)는 레이저 광이 빔 쉐이퍼(120)에 입사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우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우안 이미지 광 및 좌안 이미지에 대응하는 좌안 이미지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MS 스캐너(112)는 고속으로 구동함으로써, 빔 쉐이퍼(120) 상에서 좌안에 대응하는 지점 및 우안에 대응하는 지점에 대해 교대로(alternatively) 시계열적으로(time sequentially) 레이저 광을 주사할 수 있다. 빔 쉐이퍼(120) 상에서 좌안에 대응하는 지점에 입사된 레이저 광은,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의해 좌안 이미지 광으로 변환되어 관찰자의 좌안으로 집광될 수 있다. 우안에 대응하는 지점에 입사된 레이저 광은,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의해 우안 이미지 광으로 변환되어 우안으로 집광될 수 있다. 따라서, MEMS 스캐너(112)는, 관찰자에게 서로 다른 우안 이미지 및 좌안 이미지를 고속으로 전환되면서 제공되도록, 레이저 광을 주사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는 이러한 MEMS 스캐너(112)의 고속 구동을 통해 우안 이미지 및 좌안 이미지를 관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찰자에게 3차원 이미지를 인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S scanner 112 can generate the right eye image light corresponding to different right eye images and the left eye image ligh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image by adjusting the position where the laser light is incident on the beam shaper 120. For example, the MEMS scanner 112 may be driven at high speed to alternately time sequentially emit laser light in response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on the beam shaper 120 can do. The laser light incident o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n the beam shaper 120 is converted into a left eye image light by the display panel 140 and can be condensed on the left eye of the observer. The laser light incident o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can then be converted into right eye image light by the display panel 140 and condensed into the right eye. Therefore, the MEMS scanner 112 can scan the laser light so that different right-eye images and left-eye images are provided to the observer while switching at high spe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allow the observer to recognize the three-dimensional image by providing the observer with the right-eye image and the left-eye image through high-speed driving of the MEMS scanner 112.

도 4에서는 주사광학부(110)가 MEMS 스캐너(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MEMS 스캐너(112) 외에도, 주사광학부(110)는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물면 거울(113) 외에도, 주사광학부(110)는 레이저 광을 빔 쉐이퍼(120)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입사시키는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FIG. 4, the scanning optics 11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MEMS scanner 1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the MEMS scanner 112, the scanning optics 110 may include optical elements for scanning laser light. Further, in addition to the parabolic mirror 113, the scanning optical unit 110 may include an optical element that allows laser light to be incid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beam shaper 120. [

빔 쉐이퍼(120)는 포물면 거울(113)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광을 조명광학부(130)에 전달하는 광학소자이다. 빔 쉐이퍼(120)는 포물면 거울(113)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을 회절현상 등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빔 쉐이퍼(120)는 레이저 광의 빔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빔 쉐이퍼(120)는 DOE (Diffractive Optics Element) 등의 회로 광학 소자,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 등의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또는 확산판(diffuser plat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beam shaper 120 is an optical element that transmits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parabolic mirror 113 to the illumination light unit 130. The beam shaper 120 can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parabolic mirror 113 through a diffraction phenomenon or the like. Further, the beam shaper 120 can change the beam shape of the laser beam. The beam shaper 120 may be implemented by a circuit optical element such as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such as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or a diffuser plate.

상술한 바에 따라, 포물면 거울(113)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광이, 빔 쉐이퍼(120)의 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입사할 수 있다. 빔 쉐이퍼(120)는 통상적으로 입사한 레이저 광의 광속경(light beam diameter)을 임계 크기까지 넓혀서(broaden), 레이저 광의 형태(예를 들어, 본래 원형)를 직사각형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레이저 광이 변경되는 형태를 직사각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태일 수도 있다. 임계 크기는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조명광학부(130)에 있어서 조명광(illumination light)의 콘 앵클(cone angle)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 레이저 광의 광속경은,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에 대한 레이저 광의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ser light reflected by the parabolic mirror 113 can be incident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plane of the beam shaper 120. [ The beam shaper 120 can broaden the light beam diameter of the incident laser beam to a critical size and change the shape of the laser beam (for example, original circular shape) into a rectangular shape. The shape in which the laser beam is changed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shape, but may be similar to the rectangular shape. The critical siz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 and may be, for exampl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ne angle of the illumination light in the illumination section 130. The light flux diameter of the laser light can indicate the diameter of the laser ligh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빔 쉐이퍼(12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19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192)는 빔 쉐이퍼(120)의 위치를 광축에 대해 전후으로 제어할 수 있다. 광축에 대해 전후 방향은, 예를 들어, 빔 쉐이퍼(120)의 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대략 수직인 방향은, 빔 쉐이퍼(120)의 면에 대해 수직 방향 또는 수직과 유사한 방향일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 unit 192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120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erver's eye.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ler 192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120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may be, for example,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eam shaper 120.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or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beam shaper 120.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쉐이퍼(120)는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광학계에 있어서, 관찰자의 눈의 위치와 결합 관계에 있다. 관찰자의 눈의 위치가 광축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는 경우에 응답하여, 제2 제어부(192)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위치로 빔 쉐이퍼(1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자의 눈이 광축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는 경우에도,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에 이미지 광을 계속하여 집광시킬 수 있다. 다만, 빔 쉐이퍼(120)의 위치의 변경 방법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ptical syste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beam shap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 a coupling rela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In response to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the second control section 192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12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Therefore, even when the observer's eye mov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inue to focus the image light on the observer's eyes. However, the method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120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한 시점에서의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관찰자의 눈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이미지의 컨텐츠를 변화 후의 시점에서의 3차원 이미지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부(193)는 디스플레이 패널(140)을 제어함으로써 이미지의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view point)에 대한 3차원 이미지가 시각화된 상태에서, 관찰자의 눈의 위치가 제2 시점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이 제1 시점으로부터 제2 시점으로 이동된 경우에 응답하여, 제3 제어부(193)는 제1 시점에 대응하는 컨텐츠로부터 제2 시점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시점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3차원 객체를 제1 시점에서 관측한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시점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3차원 컨텐츠를 제2 시점에서 관측한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관찰자의 눈의 위치가 변화해도, 관찰자에게 해당 시점에 적절한 이미지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content of the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changes in a state where a three-dimensional image at a predetermined time is display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change the content of the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at a point in time after the change .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trol unit 193 for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image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an observer's eye. The third controller 193 can change the contents of the image by controlling the display panel 140. [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changes to the second viewpoint in a state where the three-dimensio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first viewpoint is visualized. In response to the user's eyes moving from the first viewpoint to the second viewpoint, the third controller 193 can chang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ewpoint to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poin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ewpoint may represent the content observed at the first viewpoint of the 3D object an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ewpoint may represent the content observed at the second viewpoint of the 3D content. Theref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inue to provide an appropriate image to the observer at that point of tim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observer's eye changes.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광원부(111)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레이저 광을 결합(combine)으로써, 백색광을 생성할 수 있다. 레이저 광의 결합은 합파(multiplexing)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광원부(111-1a), G광원부(111-1b), B광원부(111-1c), 시준 렌즈(collimating lens)(111-2a) 내지 시준 렌즈(111-2c), 색선별 거울(dichroic mirror)(111-3a) 및 색선별 거울(111-3b)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11 may combine laser light of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to generate white light. The coupling of laser light can also be referred to as multiplex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light source unit 111 includes an R light source unit 111-1a, a G light source unit 111-1b, a B light source unit 111-1c, a collimating lens 111- 2a to collimation lens 111-2c, a dichroic mirror 111-3a, and a color selection mirror 111-3b.

R광원부(111-1a), G광원부(111-1b), 및 B광원부(111-1c)의 각각은 개별 대역에서 피크(peak) 강도를 가지는 레이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R광원부(111-1a)는 적색 파장 대역에서 피크 강도를 가지는 레이저 광으로서 적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G광원부(111-1b)는 녹색 파장 대역에서 피크 강도를 가지는 레이저 광으로서 녹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B광원부(111-1c)는 청색 파장 대역에서 피크 강도를 가지는 레이저 광으로서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Each of the R light source unit 111-1a, the G light source unit 111-1b, and the B light source unit 111-1c can emit laser light having a peak intensity in an individual band. The R light source unit 111-1a can emit red light as laser light having a peak intensity in a red wavelength band. The G light source unit 111-1b can emit green light as laser light having a peak intensity in the green wavelength band. The B light source unit 111-1c can emit blue light as laser light having a peak intensity in the blue wavelength band.

광원부(111)에 이용되는 레이저 광원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이저 광원으로서 반도체 레이저 광원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광원부(111-1a)로서, GaInP 반도체를 이용한 GaInP 양자 우물(Quantum Wells) 구조 레이저 다이오드가 이용되고, G광원부(111-1b) 및 B광원부(111-1c)로서 GaInN 반도체를 이용한 GaInN 양자 우물 구조 레이저 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레이저 광원이 반도체 레이저 광원으로 구현됨으로써, 광원부(111)가 소형화될 수 있다.The laser light source used in the light source unit 111 is not limited. For example, a semiconductor laser light source may be used as the laser light source. For example, a GaInP quantum well structure laser diode using a GaInP semiconductor is used as the R light source unit 111-1a, and a GaInN semiconductor is used as the G light source unit 111-1b and the B light source unit 111-1c. A GaInN quantum well structure laser diode can be used. Since the laser light source is realized as a semiconductor laser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unit 111 can be miniaturized.

R광원부(111-1a), G광원부(111-1b), 및 B광원부(111-1c)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의 각각은, 그에 대응하는 시준 렌즈(111-2a) 내지 시준 렌즈(111-2c)를 투과함으로써 대략 평행한 레이저 광이 된다. 그 후, R광원부(111-1a)로부터의 적색광이, 색선별 거울(111-3a) 및 색선별 거울(111-3b)를 투과한다. G광원부(111-1b)로부터 방출된 녹색광의 광로는 색선별 거울(111-3a)에 의해 전환된다. 색선별 거울(111-3a)은 적색광보다 긴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고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지는 거울이다. 색선별 거울(111-3a)에 의해 광로가 전환된 녹색광은 적색광에 결합될 수 있다. 녹색광 및 적색광이 결합된 광선 다발은 색선별 거울(111-3b)을 투과한다. 색선별 거울(111-3b)은 녹색광보다 긴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고 청색광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지는 거울이다. B광원부(111-1c)로부터 방출된 청색광의 광로는 색선별 거울(111-3b)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색선별 거울(111-3b)에 의해 광로가 전환된 청색광은 적색광 및 녹색광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111)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결합함으로써 백색광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부(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백색광을 MEMS 스캐너(112)로 방출한다.Each of the laser beams emitted from the R light source section 111-1a, the G light source section 111-1b and the B light source section 111-1c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llimating lens 111-2a to the collimating lens 111-2c, So that the laser light becomes substantially parallel. Thereafter, the red light from the R light source unit 111-1a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lor discriminating mirror 111-3a and the color discriminating mirror 111-3b. The optical path of the green light emitted from the G light source unit 111-1b is switched by the color selection mirror 111-3a. The color selection mirror 111-3a is a mirror having a characteristic of transmitting light of longer wavelength than red light and reflecting green light. And the green light whose optical path is switched by the color discriminating mirror 111-3a can be coupled to the red light. The bundle of rays combined with the green light and the red light passes through the color discriminating mirror 111-3b. The color discriminating mirror 111-3b is a mirror having a characteristic of transmitting light of longer wavelength than green light and reflecting blue light. The optical path of the blue light emitted from the B light source unit 111-1c can be switched by the color selection mirror 111-3b. The blue light whose optical path has been converted by the color discriminating mirror 111-3b can be combined with the red light and the green light.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unit 111 can generate white light by combining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The light source unit 111 emits the white ligh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o the MEMS scanner 112.

또한, 광원부(111)의 구성은 상술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원부(111)는 R광원, G광원, 및 B광원의 전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 광원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광원부(111)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 외의 파장 대역의 레이저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Further,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source 11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111 may use a semiconductor laser light source including all of the R light source, the G light source, and the B light source instead.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111 may emit laser light in a wavelength band other than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광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illumination illu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조명광학부(130)는 아나모픽 렌즈(anamorphic lens)(131), 제1 자유곡면 거울(132), 및 제2 자유곡면 거울(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130 may include an anamorphic lens 131, a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and a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아나모픽 렌즈(131)는 빔 쉐이퍼(120)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을 확장시키는 광학 소자로서, 아나모픽 렌즈(131)의 단축 방향 및 장축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을 따라 레이저 광을 확장시킬 수 있다. 아나모픽 렌즈(131)는 예를 들어, 반원통형 렌즈(half cylindrical lens)(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일 수 있다. 아나모픽 렌즈(131)가 렌티큘러 렌즈인 경우, 단축 방향은, 렌티큘러 렌즈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원통형 렌즈들 중 한 반원통형 렌즈의 단면을 짧게 가로 지르는 선에 대응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원통형 렌즈에서 광축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을 최단 거리로 가로지르는 선에 대응하는 방향이 단축 방향, 최장 거리로 가로지르는 선에 대응하는 방향이 장축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나모픽 렌즈(131)의 광학 특성(예를 들어, 초점 거리)은 광축에 직교할 수 있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에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빔 쉐이퍼(120) 및 아나모픽 렌즈(131)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대략 전면으로의 효율적인 조명이 가능해진다. 아나모픽 렌즈(131)의 일면은 아나모픽 면을 가질 수 있고, 아나모픽 렌즈(131)가 가지는 아나모픽 면을 정의하는 수식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아나모픽 렌즈(131)의 다른 일면은 평면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namorphic lens 131 is an optical element that expands the laser light incident from the beam shaper 120 and can extend the laser light along at least one of the short axis direction and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anamorphic lens 131. [ The anamorphic lens 131 may be, for example, a half cylindrical lens (e.g., a lenticular lens). In the case where the anamorphic lens 131 is a lenticular lens, the uniaxial direction may indicate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line crossing a cross section of a half cylindrical lens among a plurality of semi-cylindrical lenses constituting the lenticular lens. For example,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line crossing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in the shortest distance may be a minor axis direction, and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line crossing the longest distance may be a major axis direction in the semi-cylindrical lens. For exampl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e.g., focal length) of the anamorphic lens 131 may be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and may have different curvatures in both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beam shaper 120 and the anamorphic lens 131 can efficiently illuminate the display panel 140 to substantially the entire surface. One surface of the anamorphic lens 131 may have an anamorphic surface, and an equation defining the anamorphic surface of the anamorphic lens 131 is described below. The other surface of the anamorphic lens 131 may be plan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자유곡면 거울(132)은 아나모픽 렌즈(131)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는 광학 소자이다.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is an optical element that reflects laser light incident from the anamorphic lens 131.

제2 자유곡면 거울(133)은 제1 자유곡면 거울(132)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레이저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향해 방출하는 광학 소자이다.The second free-form curved mirror 133 is an optical element that emits a laser beam toward the display panel 140 by reflecting the laser beam incident from the first free-form curved mirror 132.

자유곡면(free-form curve)을 가지는 상술한 광학소자들을 통해, 이미지 표시 장치는 광의 반사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소형화될 수 있다. 자유곡면은 비회전 대칭인 곡면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자유곡면 거울(132) 및 제2 자유곡면 거울(133)가 가지는 자유곡면을 정의하는 수식은 아래에서 설명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optical elements having free-form curve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appropriately control the reflection of light,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miniaturized. A free-form surface can represent a non-rotationally symmetric surface. The formulas defining the free-form surfaces of 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and 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are described below.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2 자유곡면 거울(133)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광에 의해 중간 이미지(intermediate image)을 형성한다. 중간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광은 여러 광학 소자들을 거쳐 결합기(153)까지 전달될 수 있고, 실제 장면에 겹쳐지는 가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결상(form)된 빛은, 디스플레이 패널(140)의 방출 측(side)으로부터 접안광학부(150)의 제3 자유곡면 거울(151)로 방출된다.The display panel 140 forms an intermediate image by laser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The image light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biner 153 through the various optical elements and can form a virtual image superimposed on the actual scene. The light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40 is emitted from the emission side of the display panel 140 to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of the eyepiece optics part 150.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40)은 제3 자유곡면 거울(151)로부터 제4 자유곡면 거울(152)에 이르는 광로, 제4 자유곡면 거울(152)로부터 결합기(153)에 이르는 광로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안광학부(150)는 소형화되면서 높은 광학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2 and 3, the display panel 140 is an optical path from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to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153).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eyepiece optical unit 150 can be miniaturized and exhibit high optical performance.

참고로, 디스플레이 패널(140)이 SLM(Spatial Light Modulator) 등의 홀로그램 표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홀로그램 표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양안의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홀로그램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관찰자에게 3차원 홀로그램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isplay panel 140 may be implemented as a hologram display device such as an SLM (Spatial Light Modulato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 hologram image using the hologram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to the observer by displaying different hologram images for each of the binocular.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광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yepiece optic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접안광학부(150)는 제3 자유곡면 거울(151), 제4 자유곡면 거울(152), 및 결합기(153)를 포함한다.The eyepiece optics 150 includes a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a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and a combiner 153.

제3 자유곡면 거울(151)은 디스플레이 패널(140)으로부터 방출된 중간 이미지를 구성하는 이미지 광을 반사하는 광학소자(예를 들어, 전단의 자유곡면 거울)이다.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is an optical element (for example, a free-form curved surface mirror at the front end) that reflects the image light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image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40.

제4 자유곡면 거울(152)은 제3 자유곡면 거울(151)로부터 입사된 이미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이미지 광을 결합기(153)를 향해 방출하는 광학소자(예를 들어,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이다.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reflects the image light incident from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so that an optical element (for example, a free-form surface mirror at the subsequent stage) that emits the image light toward the combiner 153, to be.

결합기(153)는 제4 자유곡면 거울(152)로부터 이미지 광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이미지 광의 일부를 관찰자의 눈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자유곡면 거울(152)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이 결합기(153)에 투영될 수 있다. 결합기(153)는 이미지 광이 결합기(153)에 투영된 투영광(projection light)을 관찰자의 눈에 일부 반사시킴으로써, 가상 이미지를 관찰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기(153)는, 무색의 수지성투명판(resin transparent plate)의 관찰자 측 표면(예를 들어, 반사면)에 하프 거울(half mirror)로서의 역할을 하는 증착막(evaporation film)이 형성된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기(153)의 반사면은 오목한 형태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로 한정하지 않고, 결합기(153)의 반사면은 볼록한 형태일 수도 있다. 아울러, 결합기(153)의 대신에, 윈드 쉴드 글래스(10)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combiner 153 may receive the image light from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and may reflect a portion of the received image light to the observer's eye. For example,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may be projected to the combiner 153. [ The combiner 153 can partially reflect the projection light projected onto the combiner 153 by the image light to allow the virtual image to be recognized by the observer. For example, the coupler 153 is formed by forming an evaporation film serving as a half mirror on a viewer-side surface (e.g., a reflecting surface) of a colorless resin transparent plate Device.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coupler 153 is concave, but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coupler 153 may be convex. In place of the coupler 153, a windshield glass 10 may also be used.

하기 도 9에서는 접안광학부(150)에서의 광로를 설명한다.9, the optical path in the eyepiece optical unit 150 will be described.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광학부에 있어서 광선이 교차하는 측면(aspect)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de where rays intersect in the eyepiece optic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자유곡면 거울(151)로부터 제4 자유곡면 거울(152)까지의 광로 사이에서 적어도 두 이미지 광들이 교차하도록 각 광학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의 자유곡면 거울(151)의 임의의 점에서 반사된 이미지 광은, 제3 자유곡면 거울(151)의 다른 점에서 반사된 이미지 광과 위치(20)에서 교차한 후, 제4 자유곡면 거울(152)로 입사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ptical element can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two image lights cross between the optical paths from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to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image light reflected at an arbitrary point of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is reflected by the image light reflected at another point of the third free- (20), and enters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광학계(optical system), 특히, 제3 자유곡면 거울(151) 및 제4 자유곡면 거울(152)이 소형화될 수 있다. 다만, 제3 자유곡면 거울(151)로부터 제4 자유곡면 거울(152)에 이르기까지의 광로 중에 있어서 이미지 광이 교차하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us, the optical syste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and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can be miniaturized. However, the form in which the image light intersects in the optical path from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to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제4 자유곡면 거울(152)로부터 결합기(153)까지의 광로 사이에서 각 상고(image height)의 광선이 교차하도록 각 광학소자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4 자유곡면 거울(152) 및 상기 결합기(153)는, 제4 자유곡면 거울(152)로부터 상기 결합기(153)까지의 광로 사이에서 이미지 광의 광선들 중 적어도 두 광선이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광의 광선들이 교차됨으로써, 수차(aberration)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자유곡면 거울(152)로부터 방출된 각 상고의 광선은, 위치(30)에서 교차하여 결합기(153)로 입사할 수 있다. 다만, 제3 자유곡면 거울(152)로부터 결합기(153)에 이르기까지의 광로 중에서 각 상고의 광선이 교차하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3 자유곡면 거울(151) 및 제4 자유곡면 거울(152)가 가지는 자유곡면을 정의하는 수식은 아래에서 설명한다.In addition, each optical element is disposed so that light rays of respective image heights intersect between optical paths from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to the coupler 153. For example,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and the coupler 153 ar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two of the rays of image light intersect between the optical path from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to the coupler 153 . By intersecting the rays of the image light, aberration can be improv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rays of each image elevation emitted from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may be incident on the combiner 153 crossing the position 30.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form in which the rays of each image intersect in the optical path from the third free-form curved mirror 152 to the coupler 153. The formulas defining the free-form surfaces of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and 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are described below.

따라서 결합기(153)로 입사하는 광선의 확산 각도(diffusion angle)가 증가될 수 있다. 결합기(153)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 광이 관찰자의 눈에 효과적으로 집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광학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100)가 넓은 시야각(FOV, field of view)의 광학계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해당 광학계가 소형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ffusion angl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coupler 153 can be increased. The image light reflected by the coupler 153 can be effectively focused on the observer's eye. Therefore,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improved. Also, even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pplied to an optical system of a wide field of view (FOV), the optical system can be miniaturized.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상술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반사광학계이기 때문에, 파장의 차이에 의한 색 수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는 색 번짐이 없는, 고화질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Each configu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a reflection optical system, generation of chromatic aberration due to a difference in wavelength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 high-quality image without color bleeding.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에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0 및 도 11은 상술한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전체 광학 소자가 배치된 구성의 예시를 설명한다. 도 1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각 광학 소자를 통과하는 광선 다발(bundle of rays)에 있어서, 각 광학소자의 중심위치를 전파하는 광선만을 도시한다. 다만,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각 광학소자의 배치를, 도 10 및 도 11로 한정하지 않는다.10 and 11 illustrate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ll the optical element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11 shows only a light beam propagating in a bundle of rays passing through each optical ele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for propagating the center position of each optical ele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0 and 11.

아래에서는 자유곡면을 정의하는 수식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조명광학부(130)가 구비하는 제1 자유곡면 거울(132) 및 제2 자유곡면 거울(133), 그리고 접안광학부(150)가 구비하는 제3 자유곡면 거울(151), 제4 자유곡면 거울(152), 및 결합기(153)의 각각이 가지는 자유곡면을 정의하는 수식을 설명한다. 각 광학소자가 가지는 자유곡면은, 그 자유곡면의 정점(vertex)을 기준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 (x, y, z)를 정의할 때, 아래의 수학식 1, 수학식2, 및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각 광학 소자에 대한 수학식 1의 각 계수는 다음 표 1에서 나타낸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formulas that define the free-form surface. For example, 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and 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of the illumination unit 130 and 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of the eyepiece optical unit 150, The four free-form surface mirror 152, and the combiner 153 will be described. The free-form surface of each optical element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2), and (3) when defining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with respect to the vertex of the free- . The respective coefficients of the equation (1) for each optical element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3]&Quot; (3)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서, x는 면의 x좌표, y는 면의 y좌표, z는 z축에 대략 평행한 면의 새그(sag) 량을 나타낼 수 있다. C는 정점 곡률로서, 1/곡률반경을 나타낼 수 있다.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 Cj는 단항식 xmym의 계수로서 자유곡면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quations (1) to (3), x denotes the x-coordinate of the surface, y denotes the y-coordinate of the surface, and z denotes the sag amount of the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axis. C is the vertex curvature, which can represent 1 / radius of curvature. k is a conic constant, and C j is a coefficient of the unary formula x m y m .

접안광학부(150)The eyepiece optics (150) 조명광학부(130)Department of Illumination (130) 결합기(153)The coupler (153) 제4 자유곡면 거울(152)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제3 자유곡면 거울(151)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제2 자유곡면 거울(133)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제1 자유곡면 거울(132)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정점곡률Vertex curvature 00 00 00 00 00 코닉 계수Conic coefficient 00 00 00 00 00 x의 계수coefficient of x 00 00 00 00 00 y의 계수coefficient of y 00 00 00 1.43. E-011.43. E-01 -7.54. E-01-7.54. E-01 x2의 계수coefficient of x 2 -5.19. E-04-5.19. E-04 6.20. E-046.20. E-04 8.21. E-048.21. E-04 -1.53. E-03-1.53. E-03 -1.13. E-03-1.13. E-03 xy의 계수coefficient of xy 00 00 00 00 00 y2의 계수coefficient of y 2 -7.43. E-04-7.43. E-04 4.90. E-034.90. E-03 -3.21. E-03-3.21. E-03 3.46. E-033.46. E-03 1.16. E-031.16. E-03 x3의 계수coefficient of x 3 00 00 00 00 00 x2y의 계수coefficient of x 2 y 3.85E-073.85E-07 -6.34E-06-6.34E-06 -1.40E-06-1.40E-06 -5.25E-05-5.25E-05 2.00E-052.00E-05 xy2의 계수Coefficient of xy 2 00 00 00 00 00 y3의 계수coefficient of y 3 4.37E-074.37E-07 2.16E-062.16E-06 -7.30E-06-7.30E-06 -9.95E-06-9.95E-06 -1.32E-05-1.32E-05 x4의 계수coefficient of x 4 -2.57E-10-2.57E-10 3.50E-093.50E-09 1.16E-081.16E-08 1.99E-071.99E-07 1.36E-081.36E-08 x3y의 계수Coefficient of x 3 y 00 00 00 00 00 x2y2의 계수the coefficient of x 2 y 2 -1.39E-09-1.39E-09 -8.60E-09-8.60E-09 7.02E-097.02E-09 -1.29E-07-1.29E-07 -4.60E-07-4.60E-07 xy3의 계수Coefficient of xy 3 00 00 00 00 00 y4의 계수coefficient of y 4 -7.71E-10-7.71E-10 2.53E-072.53E-07 -4.67E-09-4.67E-09 -1.96E-07-1.96E-07 1.14E-071.14E-07 x5의 계수coefficient of x 5 00 00 00 00 00 x4y의 계수coefficient of x 4 y 1.73E-121.73E-12 -1.73E-11-1.73E-11 -2.28E-10-2.28E-10 2.48E-092.48E-09 -1.94E-09-1.94E-09 x3y2의 계수the coefficient of x 3 y 2 00 00 00 00 00 x2y3의 계수coefficient of x 2 y 3 2.85E-122.85E-12 -7.55E-10-7.55E-10 -2.99E-10-2.99E-10 9.53E-109.53E-10 5.39E-095.39E-09 xy4의 계수Coefficient of xy 4 00 00 00 00 00 y5의 계수coefficient of y 5 2.30E-122.30E-12 1.47E-091.47E-09 3.30E-123.30E-12 -1.07E-09-1.07E-09 7.12E-097.12E-09 x6의 계수coefficient of x 6 1.58E-151.58E-15 5.07E-145.07E-14 6.84E-136.84E-13 -2.29E-12-2.29E-12 1.57E-121.57E-12 x5y의 계수coefficient of x 5 y 00 00 00 00 00 x4y2의 계수the coefficient of x 4 y 2 1.94E-151.94E-15 2.77E-132.77E-13 1.68E-121.68E-12 8.47E-128.47E-12 3.81E-113.81E-11 x3y3의 계수the coefficient of x 3 y 3 00 00 00 00 00 x2y4의 계수coefficient of x 2 y 4 00 -1.44E-12-1.44E-12 5.44E-135.44E-13 4.40E-124.40E-12 -5.49E-11-5.49E-11 xy5의 계수Coefficient of xy 5 00 00 00 00 00 y6의 계수coefficient of y 6 00 -3.87E-11-3.87E-11 -1.29E-12-1.29E-12 -1.74E-12-1.74E-12 -1.67E-10-1.67E-10 x7의 계수coefficient of x 7 00 00 00 00 00 x6y의 계수coefficient of x 6 y 00 1.11E-151.11E-15 00 -1.76E-14-1.76E-14 2.51E-132.51E-13

위에서는, 각 광학소자의 자유곡면의 정의식에 관해 설명하였다.계속해서, 아나모픽 렌즈(131)가 가지는 아나모픽 면을 정의하는 수학식을 설명한다. 아나모픽 면은, 해당 아나모픽 면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계 (x, y, z)를 정의했을 때,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수학식 4의 각 계수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efinition formula of the free-form surface of each optical element has been described. Next, a mathematical expression for defining the anamorphic surface of the anamorphic lens 131 will be described. The anamorphic plane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when defining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having the apex of the anamorphic plane as the origin. The respective coefficients in the equation (4) are shown in Table 2 below.

[수학식 4]&Quot; (4) "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x: 면의 x 좌표x: the x coordinate of the face

y: 면의 y 좌표y: the y coordinate of the face

z: z축에 평행한 면의 새그(sag) 량z: the amount of sag on the plane parallel to the z axis

CUX: x의 곡률CUX: Curvature of x

CUY: y의 곡률CUY: Curvature of y

KX: x의 코닉(conic) 계수KX: conic coefficient of x

KY: y의 코닉(conic) 계수KY: conic coefficient of y

AR: 회전 대칭의 4차 계수AR: fourth-order coefficient of rotational symmetry

BR: 회전 대칭의 6차 계수BR: 6th order coefficient of rotational symmetry

CR 회전 대칭의 8차 계수CR 8th order coefficient of rotational symmetry

DR: 회전 대칭의 10차 계수DR: 10th order coefficient of rotational symmetry

AP: 비회전대칭의 4차 계수AP: fourth-order coefficient of non-rotational symmetry

BP: 비회전 대칭의 6차 계수BP: sixth order coefficient of non-rotational symmetry

CP: 비회전 대칭의 8차 계수CP: 8th order coefficient of non-rotational symmetry

DP: 비회전 대칭의 10차 계수DP: 10th order coefficient of non-rotational symmetry

CUXCUX 3.22.E-033.22.E-03 CUYCUY -1.52.E-03-1.52.E-03 KYKY 00 ARAR 00 BRBR 00 CRCR 00 DRDR 00 KXKX 00 APAP 00 BPBP 00 CPCP 00 DPDP 00

위에서는 아나모픽 렌즈(131)이 있는 아나모픽 면에 관해 설명하였다.계속해서, 이미지 표시 장치(100)의 각 광학소자의 위치 좌표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아이박스의 중심점을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계 (x, y, z)(도 10 및 도 11을 참조)가 정의되었을 때, 각 광학소자의 위치좌표는 아래 표 3 내지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좌표로 배치될 수 있다. 아래, 표 3 내지 표 5의 각 위치좌표는, 각 광학소자의 중심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광학소자에 있어서 편심(eccentricity)도 함께 기재되어 있다. 편심에 있어서, α, β, 및 γ는 각각 x축, y축, z축을 회전축으로 했을 때의 경사각을 나타낼 수 있다. 경사각 α 및 경사각 β의 양(예를 들어, +)은 각각 x축, y축의 양의 방향(예를 들어, 정방향)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경사각 γ의 양(예를 들어, +)은 z축의 양의 방향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각도를 나타낸다.An anamorphic surface having the anamorphic lens 131 is described above. Next, an example of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each optical ele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see Figs. 10 and 11) having the center point of the eye box as the origin is defined, the positional coordinates of each optical element are shown in Tables 3 to 5 below As shown in FIG. The position coordinates in Tables 3 to 5 below show the center position of each optical element. Eccentricity is also described in each optical element. In the eccentricity,?,?, And? Can represent the tilt angle when the rotation axis i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respectively. The amount of the inclination angle alpha and the amount of the inclination angle beta (for example, +) can indicate the angle when the lens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and the y-axis, respectively. The amount (for example, +) of the inclination angle? Represents the angle when rota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 axis.

좌표(mm)Coordinates (mm) 편심(°)Eccentricity (°) XX YY ZZ αalpha βbeta γgamma 아이박스의 중심점Center point of eye box 00 00 00 00 00 00 결합기(153)The coupler (153) 00 00 800800 32.432.4 00 00 제4 자유곡면 거울(152)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00 -298.3-298.3 659.0659.0 92.792.7 00 00 제3 자유곡면 거울(151)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00 -211.6-211.6 607.5607.5 149.7149.7 00 00 디스플레이 패널(140)In the display panel 140, 00 -212.4-212.4 643.5643.5 178.7178.7 00 00 제2 자유곡면 거울(133)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00 -391.6-391.6 813.7813.7 163.1163.1 00 00 제1 자유곡면 거울(132)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00 -277.9-277.9 767.6767.6 -105.6-105.6 00 00 아나모픽 렌즈(131)Anamorphic Lenses (131) 00 -513.5-513.5 766.9766.9 1.21.2 00 00 빔 쉐이퍼(120)Beam shaper 120, 00 -514.6-514.6 715.5715.5 1.21.2 00 00

좌표(mm)Coordinates (mm) 편심(°)Eccentricity (°) XX YY ZZ αalpha βbeta γgamma 아이박스의 중심점Center point of eye box 00 00 00 00 00 00 결합기(153)The coupler (153) 00 00 750750 32.432.4 00 00 제4 자유곡면 거울(152)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00 -298.3-298.3 609.0609.0 92.792.7 00 00 제3 자유곡면 거울(151)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00 -211.6-211.6 557.5557.5 149.7149.7 00 00 디스플레이 패널(140)In the display panel 140, 00 -212.4-212.4 593.5593.5 178.7178.7 00 00 제2 자유곡면 거울(133)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00 -391.6-391.6 763.7763.7 163.1163.1 00 00 제1 자유곡면 거울(132)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00 -277.9-277.9 717.6717.6 -105.6-105.6 00 00 아나모픽 렌즈(131)Anamorphic Lenses (131) 00 -513.6-513.6 712.1712.1 1.21.2 00 00 빔 쉐이퍼(120)Beam shaper 120, 00 -514.7-514.7 660.7660.7 1.21.2 00 00

좌표(mm)Coordinates (mm) 편심(°)Eccentricity (°) XX YY ZZ αalpha βbeta γgamma 아이박스의 중심점Center point of eye box 00 00 00 00 00 00 결합기(153)The coupler (153) 00 00 850850 32.432.4 00 00 제4 자유곡면 거울(152)The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152, 00 -298.3-298.3 709.0709.0 92.792.7 00 00 제3 자유곡면 거울(151)The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1) 00 -211.6-211.6 657.5657.5 149.7149.7 00 00 디스플레이 패널(140)In the display panel 140, 00 -212.4-212.4 693.5693.5 178.7178.7 00 00 제2 자유곡면 거울(133)The second free-form surface mirror 133, 00 -391.6-391.6 863.7863.7 163.1163.1 00 00 제1 자유곡면 거울(132)The first free-form surface mirror 132, 00 -277.9-277.9 817.6817.6 -105.6-105.6 00 00 아나모픽 렌즈(131)Anamorphic Lenses (131) 00 -513.4-513.4 821.5821.5 1.21.2 00 00 빔 쉐이퍼(120)Beam shaper 120, 00 -514.5-514.5 770.1770.1 1.21.2 00 00

또한, 위에서 설명하였던 각 광학소자 중, 디스플레이 패널(140)보다 전단에 배치된 각 광학소자는 Off-Axis 광학계(소위, "축 분리 광학계")이고, 디스플레이 패널(140) 및 접안광학부(150)의 각 광학 소자는 On-Axis 광학계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정의식, 위치 좌표, 및 편심을 충족하면서, 광학 성능이 높은 광학계가 실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단순한 예시로서, 각 광학 소자가 Off-Axis 광학계 또는 On-Axis 광학계인 지 관해서는, 다양한 조건(상술한 정의식, 위치 좌표, 편심, 또는 요구되는 광학 성능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도 12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광학부 및 빔 쉐이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Among the optical element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optical element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140 is an Off-Axis optical system (so-called "axis separation optical system") and the display panel 140 and the eyepiece optics 150 ) Is an On-Axis optical system. Thus, an optical system having high optical performance can be realized while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definition formula, positional coordinates, and eccentricity.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s to whether each optical element is an Off-Axis optical system or an On-Axis optical system, i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definition formula, positional coordinate, eccentricity or required optical performance,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canning optical unit and a beam sh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2는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광원부(111)의 대신, 반도체 레이저 광원이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된 광원부(114)를 설명한다. 광원부(114) 외의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12 illustrates a light source unit 114 in which semiconductor laser light sources are arranged in an array instead of the light source unit 111 described in Figs. 5 and 6. Fig.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light source 114 may be realized by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도 13은 도 12에 설명된 광원부(114)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14)는 레이저 광원부(114-1a) 내지 레이저 광원부(114-1d), 시준 렌즈(114-2a) 내지 시준 렌즈(114-2d), 포물면 거울(114-3), 및 시준 렌즈(114-4)를 포함한다.Fig. 13 shows the light source unit 114 described in Fig. 13, the light source unit 114 includes a laser light source unit 114-1a to a laser light source unit 114-1d, a collimator lens 114-2a to a collimator lens 114-2d, a parabolic mirror 114- 3, and a collimating lens 114-4.

레이저 광원부(114-1a) 내지 레이저 광원부(114-1d)는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미리 정한 레이저 광을 방출하는 광원 소자이다. 도 13에서는 레이저 광원부(114-1a) 내지 레이저 광원부(114-1d)이라고 하는 4개의 레이저 광원부만 도시되어 있으나, 레이저 광원부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포물면 거울(114-3)의 크기, 또는 요구되는 광량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2에서는 세로 4열, 가로 4열로 배치된 총 16개의 레이저 광원부가 도시되었다. 또한, 각 레이저 광원부가 방출하는 레이저 광의 파장도 한정되지 않는다. 레이저 광들은 각 레이저 광의 파장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다.The laser light source part 114-1a to the laser light source part 114-1d are arranged in an array form and are a light source element that emits a predetermined laser light. 13 shows only four laser light source sections, namely the laser light source section 114-1a to 114-1d, but the number of laser light source sections is not limited, and the size of the parabolic mirror 114-3, And the like. For reference, in FIG. 12, a total of 16 laser light source portions arranged in four rows and four columns are shown. The wavelength of the laser light emitted by each laser light source portion is also not limited. The laser beams can be combined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of each laser beam.

레이저 광원부(114-1a) 내지 레이저 광원부(114-1d)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은, 각각, 대응하는 시준 렌즈(114-2a) 내지 시준 렌즈(114-2d)를 투과함으로써 대략 평행한 레이저 광이 된다. 이러한 대략 평행한 레이저 광은, 포물면 거울(114-3)에 반사함으로써 포물면 거울(114-3)의 초점 위치에 배치된 시준 렌즈(114-4)에 집광됨으로써 결합된다.The laser beams emit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sections 114-1a to 114-1d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collimator lenses 114-2a to 114-2d, do. This approximately parallel laser light is combined by being condensed on the collimator lens 114-4 arranged at the focal position of the parabolic mirror 114-3 by being reflected to the parabolic mirror 114-3.

도 14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4에 도시된 광원부(115)는 레이저 광에 의한 스펙클 노이즈(speckle noise)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스펙클 노이즈는, 반사면이나 투과면에 미세한 요철이 있는 경우에, 레이저 광이 서로 간섭하여 밝은 반점(예를 들어, 휘점)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스펙클 노이즈가 발생하면, 이미지가 반짝이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레이저 광은 협대역이기 때문에, 발광 파장이 일정하여 간섭이 쉽고, 스펙클 노이즈가 발생하기 쉽다.The light source unit 115 shown in Fig. 14 can reduce the influence of speckle noise caused by laser light. The speckle noise is a phenomenon in which laser spots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bright spots (for example, bright spots) are generated when fine irregularities are present on the reflection surface or the transmission surface. If speckle noise occurs, it is not preferable since the image becomes flickering easily. Further, since the laser light is narrow band, the light emission wavelength is constant and interference easily occurs, and speckle noise is likely to occur.

도 14는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광원부(111) 대신, 집광 렌즈(115-4), 확산판(115-5), 모터(115-6), 및 시준 렌즈(115-7)를 포함하는 광원부(115)를 설명한다. 또한, 광원부(115) 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14 includes a condenser lens 115-4, a diffusion plate 115-5, a motor 115-6, and a collimator lens 115-7 in place of the light source unit 111 described in Figs. 5 and 6 The light source unit 115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light source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광원부(111)과 유사하게, 색선별 거울(115-3a) 및 색선별 거울(115-3b)에 의해 각 색상 광이 결합됨으로써 생성되는 백색광은, 집광 렌즈(115-4)에 입사한다. 각 색상 광은 R광원부(115-1a), G광원부(115-1b), B광원부(115-1c), 시준 렌즈(collimating lens)(115-2a) 내지 시준 렌즈(115-2c)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Similar to the light source unit 111, the white light generated by combining the respective color lights by the color selection mirror 115-3a and the color selection mirror 115-3b is incident on the condenser lens 115-4. Each color light is generated by the R light source unit 115-1a, the G light source unit 115-1b, the B light source unit 115-1c, the collimating lens 115-2a, and the collimator lens 115-2c .

집광 렌즈(115-4)는, 입사된 레이저 광을, 확산판(115-5)에 집광시킨다. 그 후, 확산판(115-5)에서 산란된 레이저 광은, 시준 렌즈(115-7)을 투과함으로써 대략 평행한 레이저 광이 된다. 달리 말해, 시준 렌즈(115-7)에 의해 빔이 된다. 시준 렌즈(115-7)에 의해 빔이 됨으로써, 후단의 MEMS 스캐너(112)에 의한 주사가 수행될 수 있다.The condenser lens 115-4 converges the incident laser light on the diffusion plate 115-5. Thereafter, the laser light scattered by the diffuser plate 115-5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llimator lens 115-7, thereby becoming approximately parallel laser light. In other words, it becomes a beam by the collimating lens 115-7. Being a beam by the collimating lens 115-7, scanning by the later-stage MEMS scanner 112 can be performed.

여기서, 확산판(115-5)에 있어서, 레이저 광이 도달하는 위치에 따라, 확산판(115-5)으로부터 방출하는 레이저 광의 스펙클(speckle)의 상태가 변화한다. 더 나아가, 모터(115-6)가 확산판(115-5)을 회전시킴으로써, 확산판(115-5)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의 스펙클의 상태가 회전과 함께 변화한다.Here, the state of the speckle of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ion plate 115-5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where the laser light reaches in the diffusion plate 115-5. Furthermore, by rotating the diffuser plate 115-5 with the motor 115-6, the state of the speckle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diffuser plate 115-5 changes with rotation.

이로 인해, 스펙클 노이즈가 평균화되어 감소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시간의 방출광에 있어서 스펙클 노이즈가 발생하고 있으나, 모터(115-6)가 고속(예를 들어, 미리 정한 속도 이상)으로 확산판(115-5)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펙클 노이즈가 평균화되고, 육안으로 시인할 수 없는 정도까지 스펙클 노이즈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이미지의 반짝임이 경감된다.As a result, the speckle noise is averaged and reduced.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speckle noise occurs in the emission light at a certain time, the motor 115-6 rotates the diffusion plate 115-5 at a high speed (for example,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The speckle noise is averaged, and the speckle noise can be reduced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not be visually recognized. This reduces the brightness of the image.

또한, 상술한 구성은 단순한 예시로서, 상술한 광학 소자는 비슷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광학 소자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Furthe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optical element described abov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to another optical element having a similar function.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있었으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pplied to a head-up display device,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the like.

보다 나은 이미지 광을 관찰자의 눈에 집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focus the better image light on the observer's ey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that are executed on an operating system (OS) and an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appli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이미지 표시 장치
110: 주사광학부
111, 114: 광원부
112: MEMS 스캐너
113: 포물면 거울
120: 빔 쉐이퍼
130: 조명광학부
131: 아나모픽 렌즈
132: 제1 자유곡면 거울
133: 제2 자유곡면 거울
140: 디스플레이 패널
150: 접안광학부
151: 제3 자유곡면 거울
152: 제4 자유곡면 거울
100: Image display device
110:
111, and 114:
112: MEMS scanner
113: Parabolic mirror
120: beam shaper
130: School of illumination
131: Anamorphic lens
132: 1st free-form surface mirror
133: 2nd free-form surface mirror
140: Display panel
150: eyepiece optical part
151: Third free-form surface mirror
152: fourth free-form surface mirror

Claims (20)

이미지 표시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laser light)을 주사(scan)하는 주사광학부;
상기 주사광학부로부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수직으로 입사(incident)되는 빔 쉐이퍼;
자유곡면(free-form curve)을 가지는 2개의 반사 광학소자 및 하나의 아나모픽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빔 쉐이퍼로부터 방출(emit)된 레이저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조명(illuminate)하는 조명광학부;
상기 조명광학부로부터 조명된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자유곡면을 가지는 3개의 반사 광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image light)을 관찰자의 눈에 집광시키는 접안광학부
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 scanning optical unit for scanning a laser light;
A beam shaper in which laser light scanned from the scanning optical unit is incident vertically;
An illumination light classifier including two reflective optical elements having a free-form curve and one anamorphic lens, and illuminating a display panel with laser light emit- ted from the beam shaper;
The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aser light illuminated from the illuminating light unit; And
And an eyepiece optics part including three reflective optical elements having a free-form surface and focusing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to an observer's ey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상기 빔 쉐이퍼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osition at which the scanned laser beam enters the beam shap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y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광학부는,
레이저 주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 주사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상기 빔 쉐이퍼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canning optical unit includes:
And a laser scanning unit,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scanned laser beam enters the beam shaper by controlling the laser scanning unit,
Imag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눈의 광축(optical axis)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주사된 레이저 광이 상기 빔 쉐이퍼에 입사하는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광을 집광시키는,
이미지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includes: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scanned laser beam enters the beam shaper in response to a positional chan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ey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빔 쉐이퍼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y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빔 쉐이퍼의 위치를 광축에 대해 전후로 제어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eam shap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Image displa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눈이 광축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빔 쉐이퍼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광을 집광시키는,
이미지 표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the beam shaper is disposed in the beam path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the ey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lative to the optical axis,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쉐이퍼는,
회절 광학 소자(DOE, Diffractive Optics Element),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또는 확산판(diffuser plate)인,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am shaper includes:
Which is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Diffractive Optics Element),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or diffuser plat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imag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yes,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어부는,
양안에 대해 서로 구별되는 우안 이미지 및 좌안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third control unit,
Providing a right eye image and a left eye image distinct from each other,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광학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방출(emit)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을 주사(scanning)하는 레이저 주사부(laser scanning unit); 및
상기 레이저 주사부에 의해 주사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빔 쉐이퍼로 입사시키는 거울
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anning optical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emitting the laser light;
A laser scanning unit scanning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And a mirror for reflecting the laser beam scanned by the laser scanning unit and causing the laser beam to enter the beam shap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주사부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스캐너로 구현되고,
상기 거울은,
포물면 거울(parabolic mirror)로 구현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aser scanning unit includes:
It is implemented as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scanner,
The mirror may further comprise:
Which is implemented as a parabolic mirror,
Image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판에 집광(concentrate)시키는 집광 렌즈(condensing lens);
상기 집광 렌즈에 의해 집광된 레이저 광을 산란시키는 상기 확산판;
상기 확산판에 의해 산란된 레이저 광을 평행하게 함(collimating)으로써 생성된 평행광을 상기 레이저 주사부로 방출하는 시준 렌즈(collimating lens); 및
상기 확산판을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condensing lens for concentrating the laser light on a diffusion plate;
A diffusion plate for scattering laser light condensed by the condenser lens;
A collimating lens that emits collimated light generated by collimating a laser beam scattered by the diffusion plate to the laser scanning unit;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diffusion plat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광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된 이미지 광을 반사하는 전단(front end)의 자유곡면 거울;
상기 전단의 자유곡면 거울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 광을 추가로(additionally) 반사시키는 후단(back end)의 자유곡면 거울; 및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에 의해 반사된 이미지 광을 추가로 반사시킴으로써 이미지 광을 상기 눈에 집광시키는 결합기(combiner)
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yepiece optical unit includes:
A front end free-form surface mirror reflecting the imag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A back-end free-form surface mirror for additionally reflecting the image light reflected by the front-end free-form surface mirror; And
A combiner for focusing the image light onto the eye by further reflecting the image light reflected by the fre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의 자유곡면 거울 및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은,
상기 전단의 자유곡면 거울로부터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까지의 광로 사이에서 적어도 두 이미지 광들이 서로 교차(cross)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ront free-form surface mirror and the free-
Wherein at least two image lights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between the optical path from the free-form curved mirror of the front end to the free-
Image display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 및 상기 결합기는,
상기 후단의 자유곡면 거울로부터 상기 결합기까지의 광로 사이에서 이미지 광의 광선들 중 적어도 두 광선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ree-form curved mirror and the coupler at the subsequent stage,
Wherein at least two light beams of the image light ar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between the optical path from the fre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표시 장치는,
헤드업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장치인,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head-up display (HUD) devic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홀로그램 표시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이미지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hologram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레이저 광을 결합(combine)으로써, 백색광을 생성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nd combines laser light of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to generate white light,
Image display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된 반도체 레이저 광원들
을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The semiconductor laser light sources
And an image display device.
KR1020180108237A 2018-01-11 2018-09-11 Image display device KR201900858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39,119 US11378800B2 (en) 2018-01-11 2019-01-03 Imag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2332A JP7000167B2 (en) 2018-01-11 2018-01-11 Image display device
JPJP-P-2018-002332 2018-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829A true KR20190085829A (en) 2019-07-19

Family

ID=6730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237A KR20190085829A (en) 2018-01-11 2018-09-11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00167B2 (en)
KR (1) KR2019008582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1628B2 (en) * 2019-10-08 2024-03-01 株式会社Subaru Vehicle head-up display system
JP7244129B1 (en) 2021-10-13 2023-03-22 株式会社クロスエッジラボ night vision c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4861A (en) 2014-06-09 2016-01-28 日本精機株式会社 Head-up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3479A (en) * 1992-07-29 1994-05-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eckle-free display system using coherent light
JP2005266569A (en) 2004-03-19 2005-09-29 Teruya:Kk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DE102012210808B4 (en) 2012-06-26 2018-05-17 Sypro Optics Gmbh Head-up display and projection optics for a head-up display
JP6311971B2 (en) 2014-03-25 2018-04-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llumination device, projection device and irradiation device
WO2016208194A1 (en) 2015-06-26 2016-12-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Head-up display and moving body equipped with head-up display
JP6681546B2 (en) 2015-09-29 2020-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Head-up display and vehicles equipped with head-up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4861A (en) 2014-06-09 2016-01-28 日本精機株式会社 Head-u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20888A (en) 2019-07-22
JP7000167B2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2621B2 (en) Head-mounted display with swirling imaging light guide
JP6270674B2 (en) Projection device
EP3243099B1 (en) Head mounted imaging apparatus with optical coupling
US10838209B2 (en) Head mounted imaging apparatus with curved lenslet array
US10409082B2 (en) Adjustable focal plane optical system
TWI701463B (en) Waveguide display and source assembly including single chip superluminous light emitting diode array thereof
US20160150201A1 (en) Virtual image generator
KR20200070256A (en) Axial asymmetric image source for head-up display
JP2018533062A (en) Wide-field head-mounted display
JP5214060B1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US11960092B2 (en) Waveguide concentrator for light source
US9599814B2 (en) Head-up display and optical projection system for a head-up display
KR102087800B1 (en) Virtual display
KR20210048946A (en) Display apparatus having wide viewing window
CN113661432B (en) Head-up display device
KR20190085829A (en) Image display device
JP6121097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JP2004045496A (en) Two-dimensional optical scanner and video display device
US1137880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7111071B2 (en) head-up display device
JP7111070B2 (en) head-up display device
KR20230089420A (en) Head-up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63589A (en) Multiple Focus Optical System and Head Mounted Display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