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602A -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602A
KR20190085602A KR1020180003658A KR20180003658A KR20190085602A KR 20190085602 A KR20190085602 A KR 20190085602A KR 1020180003658 A KR1020180003658 A KR 1020180003658A KR 20180003658 A KR20180003658 A KR 20180003658A KR 20190085602 A KR20190085602 A KR 20190085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m
content
module
ser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549B1 (ko
Inventor
김석윤
김병기
김영모
박병찬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5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4File meta data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및 PC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구축하도록 구현한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DRM을 등록받으며, DRM을 판매하는 DRM 마켓 모듈; DRM 정보를 수신받으며, DRM 라이선스 키를 생성하는 DRM 시스템 모듈; 및 콘텐츠를 제공받아 등록하며, DRM 정보를 제공받으며, 콘텐츠를 콘텐츠 구매자에게 공급하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Cloud-Based Media Service System Supporting Multi-DRM}
본 발명은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V 및 PC 그리고 모바일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미디어 서비스를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구축하도록 구현한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디어 서비스는 고용량, 고화질의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처리의 저비용, 고효율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환경은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는 TV와 PC를 거쳐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북(E-Book)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클라우드 환경의 콘텐츠 생성 및 소비 형태에서는 불법 복제 등의 저작권 보호 기술이 제한적이어서,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스트리밍 환경에서 이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유연한 저작권 보호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콘텐츠 제공자는 미디어 플랫폼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등록하며 그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미디어 플랫폼은 하나의 DRM 기술만 가지고 있어 콘텐츠 제공자는 각 플랫폼마다 콘텐츠 등록비용을 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각 플랫폼마다 정해진 수익 비율로 인하여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 유통 및 수익 분배에 직접적인 참여를 할 수 없다는 난제가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DRM 구입으로 여러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멀티 DRM 기반 통합 미디어 플랫폼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DRM 상호 호환성 기술이 음악 및 문서 콘텐츠에서만 특화되어 있어 동영상 콘텐츠에서도 각기 다른 DRM들 간에 상호 호환성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며,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들은 자신들의 플랫폼에 종속적인 DRM 기술만을 가지고 있고 적용하고 있어 콘텐츠 등록자는 여러 플랫폼에 자신의 콘텐츠를 등록할 때마다 별도의 DRM 구입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며, 콘텐츠를 이용하는 USER도 콘텐츠 구입비용뿐만 아니라 DRM 구입비용도 지불해야 하는 불합리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인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참조 모델은, 단일 DRM을 지원하는 미디어 서비스 형태로 결국 플랫폼에 종속적인 DRM을 구입하여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274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778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미디어 서비스에서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콘텐츠 보호 기술인 DRM을 콘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만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를 이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멀티 DRM을 지원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나의 DRM 구입만으로 여러 플랫폼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합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실제 미디어 서비스를 구축할 때 응용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술로 미디어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개인/사업가 등이 고려해야 하는 서비스 기능 관점에서의 기준 항목과, 클라우드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때 참조해야 하는 시스템 관점에서 기준 항목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DRM을 등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에게 자신의 콘텐츠에 적용할 DRM을 판매하는 DRM 마켓 모듈; 상기 DRM 마켓 모듈에 등록된 DRM 정보를 수신받으며,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에 결합된 DRM의 라이선스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DRM 라이선스 키를 생성하는 DRM 시스템 모듈; 및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등록하며,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콘텐츠 제공자가 구입한 DRM 정보를 제공받으며, 등록한 콘텐츠와 제공받은 DRM 정보의 DRM의 라이선스를 결합한 콘텐츠를 콘텐츠 구매자에게 공급하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RM 마켓 모듈은, 상기 DRM 시스템 모듈 또는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접근하거나,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정보 및 DRM 서비스 제공자가 등록한 DRM을 저장해 두는 저장부;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정액제 및 종량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DRM의 판매 형태를 선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아 구분하는 결제 관리부; 시스템의 구동 시 서비스 품질 또는 보안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거나, 알람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니터링부;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 하나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부; 제공하는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 서비스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품질 보장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시스템 관리자, 미디어 서비스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 중의 하나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부; 및 DRM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DRM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 관리부는, 가입 연계형 인증의 경우,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연계하여 인증하며,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회원 인증/권한을 얻은 콘텐츠 제공자의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DRM 마켓 모듈에서도 회원 인증/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 관리부는, 가입 비연계형 인증의 경우,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별계로 인증하며,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의 계정의 콘텐츠 제공자가 같다고 증명되면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의 계정이 서로 연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RM 관리부는,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DRM을 등록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의 삭제를 요청받는 DRM 등록/삭제부; DRM을 등록할 때 시스템에 참여한 모든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이용 가능 여부를 DRM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하거나, 콘텐츠 제공자가 구매한 DRM이 특정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통해 콘텐츠에 적용할 경우 이용 가능 여부를 콘텐츠 제공자에게 통지하는 정합성 테스트부; DRM을 등록할 때 필요한 DRM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 정보의 수정을 입력받는 DRM 정보 관리부; DRM이 등록되고 삭제되는 경우 목록의 업데이트를 실시하며, DRM이 등록된 후 정합성 테스트의 실시 또는 판매가격 및 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동기화를 실시하는 DRM 동기화부; 상기 DRM 시스템 모듈 또는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부터의 DRM 배포 요청에 따른 DRM의 배포 방법과 전송 경로를 관리하거나 할당하는 DRM 배포부; 이용자 환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DRM의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DRM 카테고리부; 및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자신이 이용한 DRM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 DRM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RM 정보 관리부는, 상기 결제 관리부에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가입 연계형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선택받은 경우, DRM 상품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RM 시스템 모듈은, 상기 DRM 마켓 모듈이 접근하거나,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DRM 마켓 모듈 또는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DRM 정보로부터 DRM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DRM 메타데이터의 DRM 메타데이터 정보를 관리하며,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 생성된 DRM 메타데이터 정보를 다른 모듈로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및 콘텐츠 구매자가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부터 콘텐츠를 이용할 때 콘텐츠에 적용된 DRM의 라이선스 키를 콘텐츠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라이선스 서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은, 상기 DRM 시스템 모듈 또는 이용자가 접근하거나, 상기 DRM 마켓 모듈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가 콘텐츠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송 경로를 정의 또는 할당하는 스트리밍 서버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정액제 및 종량제 중 하나의 콘텐츠 판매 형태를 선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아 구분하는 결제 관리부;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DRM 정보를 콘텐츠와 결합하는 DRM 패키징부;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 하나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부; 시스템의 구동 시 서비스 품질 또는 보안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거나, 알람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니터링부; 서비스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품질 보장부; 제공하는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 상기 DRM 마켓 모듈에 등록된 DRM 정보를 관리 또는 확인하거나, 등록된 DRM에 대해서 검색을 수행하는 DRM 정보 관리부; 클라우드 내에 콘텐츠를 위한 영역을 정의 또는 할당하며, 콘텐츠 제공자가 등록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저장해 두는 저장부; 이용자를 시스템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부; 및 콘텐츠를 등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 관리부는,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이 가입 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DRM 마켓 모듈에서 DRM을 구입할 필요 없이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DRM을 구입하여 DRM을 적용시키며,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상기 DRM 마켓 모듈, DRM 서비스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 관리부는,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이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DRM 마켓 모듈에서 DRM을 구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RM 정보 관리부는, 인증 방법이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검색하고, 인증 방법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가 DRM을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통해 구입하도록 하고 DRM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인증 방법이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구입한 DRM 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용자 관리부는, 판매자인 콘텐츠 제공자가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통해 상기 DRM 마켓 모듈에 등록된 DRM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DRM을 구매하도록 하거나, 사용된 콘텐츠에 대한 정산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등록받거나, 이미 등록된 콘텐츠의 삭제를 요청받는 콘텐츠 등록/삭제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등록받을 때 필요한 DRM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 정보를 수정받으며, 인증/권한에서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상품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전송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부; 콘텐츠가 등록되고 삭제되는 경우 목록의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콘텐츠가 등록된 후 DRM이 결합되어 판매가격 및 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동기화를 실시하며,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DRM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DRM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콘텐츠 동기화부; 콘텐츠 배포 요청 또는 콘텐츠 구매자의 이용 요청에 따른 콘텐츠의 배포 방법과 전송 경로를 관리하거나 할당하는 콘텐츠 배포부; 이용자 환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콘텐츠 카테고리부; 및 콘텐츠 구매자로부터 자신이 이용한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 콘텐츠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자들은 하나의 DRM 구입으로 여러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에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DRM 구입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DRM 제공자들의 참여로 인하여 콘텐츠 제공자들이 자신의 콘텐츠에 적용할 DRM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MR 제공자들은 콘텐츠 제공자의 DRM 평가와 성능 평가를 토대로 DRM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DRM 마켓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DRM 시스템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최근 미디어 서비스는 고용량, 고화질의 방송 콘텐츠 제작 및 처리의 저비용, 고효율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환경은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에서 N-스크린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TV와 PC를 거쳐 스마트폰, 태블릿PC, 이북(E-Book)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클라우드 환경의 콘텐츠 생성 및 소비 형태에서는 불법복제 등의 저작권 보호 기술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에서 서비스 이용자 및 제공자에게 유연한 저작권 보호 기술의 필요성이 있었다.
콘텐츠 제공자는 미디어 플랫폼에 자신의 콘텐츠를 등록하며, 그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미디어 플랫폼은 자신의 플랫폼에 종속적인 하나의 DRM 기술만 가지고 있어 콘텐츠 제공자는 각 플랫폼마다 DRM 구입 비용을 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하나 이상의 DRM 구입으로 여러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디지털 권리 관리 기술(DRM: Digital Right Management)이라 함은, 디지털 콘텐츠를 네트워크에서 배포하고(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 정상적인 사용자(지불 혹은 광고 클릭으로 허락을 받은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불법적인 사용자는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즉, 네트워크에서 거래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암호화 기술과 라이선스 발행 기술을 포함한다. DRM 관련 기술에는 워터마킹, 핑거프린팅, 암호화를 이용하는 DRM 기술, Tampering 방지 기술, CAS 등과 같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기술뿐만 아니라, Obfuscation, 콘텐츠의 적법한 유통을 관리하는 DRM 기술, 스트리밍 미디어를 위한 DRM 기술 등의 응용 기술들도 있다.
DRM 상호 호환성 기술로서 CORAL과 MARLIN은, Intertrust, Panasonic, Philips, 삼성, Sony가 표준화한 DRM 상호 호환성 기술이다. CORAL은 DRM이 적용된 콘텐츠를 이용자가 구입한 후 적용된 DRM의 라이선스에 따라서 콘텐츠 이용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고, MARLIN은 여러 미디어 플랫폼에서 구입한 콘텐츠를 이용자가 소유한 디바이스의 범위 내에서 제한 없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동영상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DECE(Digital Entertainment Content Ecosystem)가 계발한 ULTRA VIOLET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ULTRA VIOLET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DRM 기술을 기반으로 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든 통합 플랫폼 서비스를 말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DRM 마켓 모듈(100), DRM 시스템 모듈(200) 및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포함한다.
DRM 마켓 모듈(100)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DRM을 등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에게 자신의 콘텐츠에 적용할 DRM을 판매한다.
여기서, DRM 마켓 모듈(100)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 컴포넌트가 관리되어야 하며, 복수 개의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과 서비스 이용자가 접근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DRM 시스템 모듈(200)은, DRM 마켓 모듈(100)에 등록된 DRM 정보를 수신받으며,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에 결합된 DRM의 라이선스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DRM 라이선스 키를 생성한다.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등록하며, DRM 마켓 모듈(100)로부터 콘텐츠 제공자가 구입한 DRM 정보를 제공받으며, 등록한 콘텐츠와 제공받은 DRM 정보의 DRM의 라이선스를 결합한 콘텐츠를 콘텐츠 구매자에게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크게 3가지 모델로 이루어지며 DRM 관리 모듈인 DRM 마켓 모듈(100)과 DRM 라이선스 관리 모듈인 DRM 시스템 모듈(200) 그리고 콘텐츠 관리 모듈인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 구성된다.
미디어 서비스에서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콘텐츠 보호 기술인 DRM을 콘텐츠 제공자자 원하는 만큼 결합한다. 이러한 콘텐츠를 이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쉽게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참조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3개의 모듈(DRM 마켓 모듈(100), DRM 시스템 모듈(200) 및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과 모듈을 관리하는 관리자(DRM Market System Administrator, Cloud Media Service Provider), 그리고 3개의 구성원(DRM 서비스 제공자(DRM Service Provider),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콘텐츠 구매자(User))로 나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DRM 마켓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RM 마켓 모듈(100)은, 인터페이스부(110), 저장부(120), 결제 관리부(130), 서비스 모니터링부(140), 인증 관리부(150), 웹 서비스부(160), 품질 보장부(170), 이용자 관리부(180) 및 DRM 관리부(19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DRM 시스템 모듈(200) 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 접근하거나,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10)는,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서, DRM 마켓 모듈(100)에서 다른 모듈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
저장부(120)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정보 및 DRM 서비스 제공자가 등록한 DRM을 저장해 둔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20)는, DRM 마켓 모듈(100)을 접근하는 이용자 정보 및 DRM을 저장하는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모든 이용자(시스템 관리자, 미디어 서비스 관리자, 판매자 및 구매자)의 정보를 저장하며, DRM 서비스 제공자가 등록한 DRM을 저장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130)는,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정액제 및 종량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DRM의 판매 형태를 선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아 구분한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관리부(130)는, DRM 마켓 모듈(100)에서 등록된 DRM에 대해서 판매, 정산 또는 환불을 하는 컴포넌트이다.
DRM 서비스 제공자는, DRM을 판매하기 위해 판매 형태인 정액제 및 종량제 중 하나만을 선택하거나, 정액제 및 종량제 모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DRM의 판매 형태에 따라 투명한 정산을 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인증/권한에서 가입 연계형 또는 가입 비연계형에 따라 구입/정산되는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가입 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DRM 마켓 모듈(100)에서 따로 DRM을 구입할 필요 없이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DRM을 구입하여 DRM을 적용시키며, DRM 정산의 경우 DRM 마켓 모듈(100)에서 정산이 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정산이 되도록 한다. 반면에,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DRM 마켓 모듈(100)에서 DRM을 구입하여야 한다. 또한, 판매 형태와 이용 기준에 따라서 환불이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서비스 모니터링부(140)는, 시스템의 구동 시 서비스 품질 또는 보안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거나, 알람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모니터링부(140)는, DRM 마켓 모듈(100)의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이 구동될 때 항상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DRM 마켓 모듈(100)의 서비스 품질, 보안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DRM 마켓 모듈(100)의 서비스에 대한 품질, 각종 위험 요소에 대한 알람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화면은 웹서비스 형태로 시스템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인증 관리부(150)는,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 하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관리부(150)는, DRM 마켓 모듈(100)에 대한 접근, 이용 권한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에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접근 및 서비스 이용 권한은 이용자의 이용 성격에 따라 각 기능별, 접근 이용 단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증 관리부(150)의 인증 방법은, ID/Password 기반의 접근 방식이나, OAuth 기반의 인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방법은, 가입 연계형과 가입 비연계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가입 연계형 인증 방법은,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연계해서 인증할 수 있는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회원 인증/권한을 얻는 콘텐츠 제공자의 정보를 연계하여 DRM 마켓 모듈(100)에서도 회원 인증/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가입 비연계형 인증 방법은,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별계로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계정의 콘텐츠 제공자가 같다고 증명되면,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계성이 서로 연계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관리부(150)는, 가입 연계형 인증의 경우,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연계하여 인증하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회원 인증/권한을 얻은 콘텐츠 제공자의 정보를 연계하여 DRM 마켓 모듈(100)에서도 회원 인증/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관리부(150)는, 가입 비연계형 인증의 경우,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별개로 인증하며,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계정의 콘텐츠 제공자가 같다고 증명되면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계정이 서로 연계될 수 있다.
웹 서비스부(160)는, 제공하는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웹 서비스부(160)는, DRM 마켓 모듈(100)의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위한 인증, DRM 관리, 서비스 모니터링 등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품질 보장부(170)는, 서비스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품질 보장부(170)는, DRM 마켓 모듈(100)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로, DRM 마켓 모듈(100)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기능에 대해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이용자 관리부(180)는, DRM 마켓 모듈(100)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를 관리하는 컴포넌트로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시스템 제공자, 미디어 서비스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 중의 하나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시스템 관리자는, DRM 마켓 모듈(100)을 관리하는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의 모든 기능을 관리하며, DRM 마켓 모듈(100)을 이용하는 이용자(미디서 서비스 관리자, 판매자, 구매자)를 관리한다.
미디어 서비스 관리자는,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제공받기 위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로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관리자가 여기에 해당한다. 미디어 서비스 관리자는, 시스템 참여 여부에 따라 DRM 마켓 모듈(100)에 가입 및 탈퇴를 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에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관리자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에서 콘텐츠 제공자가 구입한 DRM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사용된 DRM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판매자는,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제공하기 위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로서, DRM 서비스 제공자가 여기에 해당된다. DRM 서비스 제공자는, 시스템 참여 여부에 따라 DRM 마켓 모듈(100)에 가입 및 탈퇴를 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에서 DRM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등록, DRM을 등록할 때 판매 형태와 가격의 결정, DRM 정보/판매 형태를 확인 및 수정 또는 DRM이 사용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DRM 서비스 제공자는,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사용된 DRM에 대한 정산을 받을 수 있다.
구매자는,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제공받기 위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제공자가 이에 해당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시스템 참여 여부에 따라 DRM 마켓 모듈(100)에 가입 및 탈퇴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에서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확인 관리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구매하며, DRM을 구매할 때 DRM 서비스 제공자가 결정한 판매 형태와 가격에 따라 구매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는, 구매한 DRM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구매한 DRM이 사용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DRM 관리부(190)는, DRM을 등록하고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DRM 관리부(190)는,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등록하고 이용하기 위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로서, DRM 등록/삭제, 정합성 테스트, DRM 정보 관리, DRM 동기화, DRM 배포, DRM 카테고리 및 DRM 평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DRM 관리부(190)는, DRM 등록/삭제부(191), 정합성 테스트부(192), DRM 정보 관리부(193), DRM 동기화부(194), DRM 배포부(195), DRM 카테고리부(196) 및 DRM 평가부(197)를 포함한다.
DRM 등록/삭제부(191)는,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DRM을 등록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의 삭제를 요청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DRM 등록/삭제부(191)는, DRM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DRM을 등록 및 삭제하는 컴포넌트를 말하며,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등록하거나 삭제하며, DRM을 등록할 때 판매 형태 및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정합성 테스트부(192)는, DRM을 등록할 때 시스템에 참여한 모든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이용 가능 여부를 DRM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하거나, 콘텐츠 제공자가 구매한 DRM이 특정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콘텐츠에 적용할 경우 이용 가능 여부를 콘텐츠 제공자에게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합성 테스트부(192)는, 등록된 DRM에 대한 정합성 테스트를 하는 컴포넌트로서, DRM 서비스 제공자가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등록할 때 시스템에 참여한 모든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이용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가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DRM을 구매하고 특정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콘텐츠에 적용할 때 이용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DRM 정보 관리부(193)는, DRM을 등록할 때 필요한 DRM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 정보의 수정을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DRM 정보 관리부(193)는, 등록된 DRM에 대해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컴포넌트로서, DRM의 사용 형태에 따라 다양한 DRM 정보의 확인 및 수정이 가능하며, 등록된 DRM에 대해서 검색할 수 있다.
DRM 정보 관리부(193)는, DRM 서비스 제공자가 DRM을 등록할 때 필요한 DRM 정보를 입력 및 수정할 수 있으며, DRM 마켓 모듈(100)에서 등록된 DRM에 대해서 정합성 테스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DRM 서비스 제공자가 DRM을 등록할 때 등록된 정보를 바탕(혹은, 따로 상품 정보를 입력)으로 DRM 상품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인증/권한에서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상품 정보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가 구입한 DRM에 대해서 DRM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DRM이 어떤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얼마나 사용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콘텐츠 제공자는 DRM 마켓 모듈(100)을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DRM 정보 관리부(193)는, 결제 관리부(130)에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가입 연계형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선택받은 경우, DRM 상품 정보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 전송할 수 있다.
DRM 동기화부(194)는, DRM이 등록되고 삭제되는 경우 목록의 업데이트를 실시하며, DRM이 등록된 후 정합성 테스트의 실시 또는 판매 가격 및 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동기화를 실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DRM 동기화부(194)는, DRM이 등록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며, DRM 목록의 업데이트를 위한 컴포넌트이다.
DRM 배포부(195)는, DRM 시스템 모듈(200) 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부터의 DRM 배포 요청에 따른 DRM의 배포 방법과 전송 경로를 관리하거나 할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DRM 배포부(195)는,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 사이에 DRM 정보를 교환시키거나, DRM 마켓 모듈(100)과 DRM 시스템 모듈(200) 사이에 DRM 정보를 교환시키기 위한 컴포넌트이다.
DRM 배포부(195)는, 각 모듈에 대해서 DRM 배포 요청에 따라 DRM을 배포하는데, 콘텐츠 제공자가 DRM 마켓 모듈(100)을 통해 구입한 DRM의 정보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이용된 DRM 정보를 받거나, DRM 정보를 DRM 시스템 모듈(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RM 배포에 대한 방법 및 전송 경로를 관리 및 할당할 수 있다.
DRM 카테고리부(196)는, 이용자 환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DRM의 카테고리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DRM 카테고리부(196)는, DRM 마켓 모듈(100)에 등록된 모든 DRM에 대해서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는 컴포넌트로서, DRM 서비스 제공자의 승인에 따라 다른 이용자(다른 DRM 서비스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여러 DRM을 등록한 DRM 서비스 제공자 자신이 이용자 환경에 맞는 여러 DRM을 카테고리로 만들 수 있으며, DRM 카테고리를 만들 시 이용자 환경 및 이용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DRM 평가부(197)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자신이 이용한 DRM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DRM 평가부(197)는, 콘텐츠 제공자가 자신이 이용한 DRM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는 컴포넌트이다. 이때, 평가 방법은, 콘텐츠 구매자(User)가 콘텐츠를 이용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어떤 디바이스로 이용되었으며, 디바이스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 상태 또는 네트워크 상태 등) 등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DRM 시스템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DRM 시스템 모듈(200)은, 인터페이스부(210), 메타데이터 관리부(220) 및 라이선스 서버부(230)를 포함한다.
DRM 시스템 모듈(200)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 컴포넌트가 관리되어야 하는데, DRM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거나 DRM 마켓 모듈(100)에서 제공할 수 있다. DRM 마켓 모듈(100)과 복수의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이 접근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DRM 마켓 모듈(100)이 접근하거나,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210)는,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서, DRM 시스템 모듈(200)에서 다른 모듈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DRM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 또는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DRM 정보로부터 DRM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DRM 메타데이터의 DRM 메타데이터 정보를 관리하며,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 생성된 DRM 메타데이터 정보를 다른 모듈로 전송한다.
라이선스 서버부(230)는, DRM 메타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구매자가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부터 콘텐츠를 이용할 때 콘텐츠에 적용된 DRM의 라이선스 키를 콘텐츠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은, 인터페이스부(310), 스트리밍 서버부(320), 결제 관리부(330), DRM 패키징부(340), 인증 관리부(350), 서비스 모니터링부(360), 품질 보장부(370), 웹 서비스부(380), DRM 정보 관리부(390), 클라우드 서비스부(3100), 저장부(3110), 이용자 관리부(3120) 및 콘텐츠 관리부(3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 컴포넌트가 관리되어야 하며, DRM 시스템 모듈(200)과 DRM 마켓 모듈(100)이 접근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인터페이스부(310)는, DRM 시스템 모듈(200) 또는 이용자가 접근하거나, DRM 마켓 모듈(100)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310)는,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다른 모듈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며, 다양한 장치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접속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RESTful 형식의 Open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부(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가 콘텐츠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송 경로를 정의 또는 할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서버부(320)는, 콘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으로 서비스해주는 컴포넌트로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콘텐츠 구매자(User)가 콘텐츠를 이용할 때 스트리밍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구매자(User)의 디바이스에 DASH 클라이언트 기반의 DRM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전송 경로를 정의 및 할당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330)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정액제 및 종량제 중 하나의 콘텐츠 판매 형태를 선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아 구분한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관리부(33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등록된 콘텐츠에 대해 판매/정산/환불을 수행하는 컴포넌트로서, 인증/권한의 형태에 따라 DRM 마켓 모듈(100)에 등록된 DRM에 대해서 판매/정산/환불을 할 수 있다.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은, 등록된 콘텐츠를 판매하는데, 콘텐츠 판매 형태는 콘텐츠의 형태에 따라 정액제와 종량제로 나눌 수 있으며, 판매 형태에 따라 투명한 정산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판매 형태와 이용 기준에 따라서 환불이 가능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관리부(330)는,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이 가입 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DRM 마켓 모듈(100)에서 DRM을 구입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DRM을 구입하여 DRM을 적용시키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DRM 마켓 모듈(100), DRM 서비스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관리부(330)는,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이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DRM 마켓 모듈(100)에서 DRM을 구입할 수 있다.
DRM 패키징부(340)는, DRM 마켓 모듈(100)로부터 제공받은 DRM 정보를 콘텐츠와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DRM 패키징부(340)는, DRM 마켓 모듈(100)에서 제공받은 DRM을 콘텐츠와 결합하기 위한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에서 제공받은 DRM 정보를 콘텐츠와 결합하며, 패키징(packaging)할 수 있는 DRM은 DRM 마켓 모듈(100)에서 구입하거나,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구입한 DRM의 개수만큼 적용시킬 수 있다.
인증 관리부(350)는,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 하나의 인증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관리부(35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 대한 접근 또는 이용 권한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로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 방법은, ID/Password 기반의 접근 방식이나 OAuth 기반의 인증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입 연계형과 가입 비연계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접근 및 서비스 이용 권한은 이용자의 이용 성격에 따라 각 기능별, 접근 이용 단위 별로 제어할 수 있다.
인증 관리부(350)는, 가입 연계형 인증 방법의 경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과 DRM 마켓 모듈(100)을 연계해서 인증할 수 있는데, DRM 마켓 모듈(100)에서 회원 인증/권한을 얻는 콘텐츠 제공자의 정보를 연계하여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도 회원 인증/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인증 관리부(350)는, 가입 비연계형 인증 방법의 경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과 DRM 마켓 모듈(100)을 별개로 인증하며,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계정의 콘텐츠 제공자가 같다고 증명되면 DRM 마켓 모듈(100)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계정이 서로 연계된다.
서비스 모니터링부(360)는, 시스템의 구동 시 서비스 품질 또는 보안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거나, 알람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모니터링부(36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컴포넌트로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시스템이 구동될 때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화면은 웹서비스 형태로 시스템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품질 보장부(37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로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기능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한다.
웹 서비스부(38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컴포넌트로서, 제공하는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웹 서비스부(38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위한 인증, 콘텐츠 관리, 서비스 모니터링 등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DRM 정보 관리부(390)는, DRM 마켓 모듈(100)에 등록된 DRM에 대해서 정보를 관리 및 확인하거나, 등록된 DRM에 대해서 검색을 할 수 있는 컴포넌트로서, DRM 마켓 모듈(100)에 등록된 DRM 정보를 관리 또는 확인하거나, 등록된 DRM에 대해서 검색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DRM 정보 관리부(390)는, 인증 방법이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정보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검색하고, 인증 방법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가 DRM을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구입하도록 하고 DRM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인증 방법이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DRM 마켓 모듈(100)로부터 구입한 DRM 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부(3100)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로서, 클라우드 내에 콘텐츠를 위한 영역을 정의 또는 할당하며, 콘텐츠 제공자가 등록한 콘텐츠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부(3100)는, 클라우드 내의 콘텐츠를 이용/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하거나, 콘텐츠를 제공할 시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저장부(311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접근하는 이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컴포넌트로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시스템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 등)의 정보를 저장해 둔다.
이용자 관리부(312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를 관리하는 컴포넌트로서, 이용자를 시스템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자 관리부(3120)의 시스템 관리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관리하는 컴포넌트로서,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모든 기능을 관리하거나,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이용하는 이용자(판매자, 구매자)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자 관리부(3120)의 판매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제공자를 지칭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자는, 시스템 참여 여부에 따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 가입 및 탈퇴를 할 수 있고,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콘텐츠 제공자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콘텐츠 등록, 콘텐츠 정보 확인 및 수정, 그리고 콘텐츠가 사용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자 관리부(3120)는, 판매자인 콘텐츠 제공자가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DRM 마켓 모듈(100)에 등록된 DRM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DRM을 구매하도록 하거나, 사용된 콘텐츠에 대한 정산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자 관리부(3120)의 구매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구매자를 지칭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구매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 가입 탈퇴를 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콘텐츠 구매자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구매자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판매 형태와 가격에 따라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콘텐츠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구매한 콘텐츠가 사용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구매자는, 구매하고 이용할 콘텐츠를 플레이어를 통한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3130)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을 통해 콘텐츠를 등록하고 이용하기 위해 관리되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를 등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관리부(3130)는, 콘텐츠 등록/삭제, 콘텐츠 정보 관리, 콘텐츠 동기화, 콘텐츠 배포, 콘텐츠 카테고리 및 콘텐츠 평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관리부(3130)는, 콘텐츠 등록/삭제부(3131), 콘텐츠 정보 관리부(3132), 콘텐츠 동기화부(3133), 콘텐츠 배포부(3134), 콘텐츠 카테고리부(3135) 및 콘텐츠 평가부(3136)를 포함한다.
콘텐츠 등록/삭제부(3131)는, 콘텐츠 제공자를 통해 콘텐츠를 등록 및 삭제하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등록받거나, 이미 등록된 콘텐츠의 삭제를 요청받는다.
콘텐츠 정보 관리부(3132)는,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의 관리, 콘텐츠의 사용 형태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 정보의 확인 및 수정, 또는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등록받을 때 필요한 DRM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 정보를 수정받으며, 인증/권한에서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상품 정보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정보 관리부(3132)는,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를 등록할 때 필요한 콘텐츠 정보를 입력 및 수정하도록 하며, 콘텐츠 제공자가 DRM 마켓 모듈(100)에서 구입한 DRM과 콘텐츠가 결합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며, 콘텐츠 제공자가 콘텐츠를 등록할 때 등록된 정보를 바탕(또는, 별도로 상품 정보를 입력)으로 콘텐츠 상품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정보 관리부(3132)는, 인증/권한에서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상품 정보를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로 전송하거나, 콘텐츠 제공자가 구입한 DRM에 대해서 DRM 정보 및 콘텐츠가 얼마나 이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며, 콘텐츠 구매자들로 하여금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 등록된 콘텐츠에 대해서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동기화부(3133)는, 콘텐츠가 등록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콘텐츠 목록 또는 DRM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가 등록되고 삭제되는 경우 목록의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콘텐츠가 등록된 후 DRM이 결합되어 판매가격 및 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동기화를 실시하며, DRM 마켓 모듈(100)로부터 DRM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DRM 목록을 업데이트한다.
콘텐츠 배포부(3134)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과 DRM 마켓 모듈(100) 사이에 DRM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거나,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배포 요청 또는 콘텐츠 구매자의 이용 요청에 따른 콘텐츠의 배포 방법과 전송 경로를 관리하거나 할당한다.
콘텐츠 카테고리부(3135)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300)의 등록된 모든 콘텐츠에 대해서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는 컴포넌트로서, 이용자 환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카테고리부(3135)는, 콘텐츠 제공자의 승인에 따라 다른 이용자(콘텐츠 제공자, 콘텐츠 구매자)(또는, 여러 콘텐츠를 등록한 콘텐츠 제공자 자신)가 이용자 환경에 맞는 여러 콘텐츠를 카테고리로 만들 수 있다.
콘텐츠 평가부(3136)는, 콘텐츠 구매자가 이용한 콘텐츠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는 컴포넌트로서, 콘텐츠 구매자로부터 자신이 이용한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으로 미디어 서비스를 구축하는 응용 기술로서, 멀티 DRM 기반 미디어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DRM 서비스 및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를 구축할 때 참조해야 하는 기준 항목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외의 Ultraviolet 플랫폼 서비스와 같이 국내 DRM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합 플랫폼 서비스 개발을 통해 독자적인 기술 확보 가능할 것이라 예상된다.
100: DRM 마켓 모듈 110: 인터페이스부
120: 저장부 130: 결제 관리부
140: 서비스 모니터링부 150: 인증 관리부
160: 웹 서비스부 170: 품질 보장부
180: 이용자 관리부 190: DRM 관리부
191: DRM 등록/삭제부 192: 정합성 테스트부
193: DRM 정보 관리부 194: DRM 동기화부
195: DRM 배포부 196: DRM 카테고리부
197: DRM 평가부 200: DRM 시스템 모듈
210: 인터페이스부 220: 메타데이터 관리부
230: 라이선스 서버부 300: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
310: 인터페이스부 320: 스트리밍 서버부
330: 결제 관리부 340: DRM 패키징부
350: 인증 관리부 360: 서비스 모니터링부
370: 품질 보장부 380: 웹 서비스부
390: DRM 정보 관리부 3100: 클라우드 서비스부
3110: 저장부 3120: 이용자 관리부
3130: 콘텐츠 관리부 3131: 콘텐츠 등록/삭제부
3132: 콘텐츠 정보 관리부 3133: 콘텐츠 동기화부
3134: 콘텐츠 배포부 3135: 콘텐츠 카테고리부
3136: 콘텐츠 평가부

Claims (13)

  1.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DRM을 등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에게 자신의 콘텐츠에 적용할 DRM을 판매하는 DRM 마켓 모듈;
    상기 DRM 마켓 모듈에 등록된 DRM 정보를 수신받으며,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에 결합된 DRM의 라이선스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는 DRM 라이선스 키를 생성하는 DRM 시스템 모듈; 및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등록하며,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콘텐츠 제공자가 구입한 DRM 정보를 제공받으며, 등록한 콘텐츠와 제공받은 DRM 정보의 DRM의 라이선스를 결합한 콘텐츠를 콘텐츠 구매자에게 공급하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마켓 모듈은,
    상기 DRM 시스템 모듈 또는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접근하거나,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정보 및 DRM 서비스 제공자가 등록한 DRM을 저장해 두는 저장부;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정액제 및 종량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DRM의 판매 형태를 선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아 구분하는 결제 관리부;
    시스템의 구동 시 서비스 품질 또는 보안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거나, 알람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니터링부;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 하나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부;
    제공하는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
    서비스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품질 보장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시스템 관리자, 미디어 서비스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 중의 하나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부; 및
    DRM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DRM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관리부는,
    가입 연계형 인증의 경우,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연계하여 인증하며,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회원 인증/권한을 얻은 콘텐츠 제공자의 정보를 연계하여 상기 DRM 마켓 모듈에서도 회원 인증/권한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관리부는,
    가입 비연계형 인증의 경우,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별계로 인증하며,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의 계정의 콘텐츠 제공자가 같다고 증명되면 상기 DRM 마켓 모듈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의 계정이 서로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RM 관리부는,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DRM을 등록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의 삭제를 요청받는 DRM 등록/삭제부;
    DRM을 등록할 때 시스템에 참여한 모든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이용 가능 여부를 DRM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하거나, 콘텐츠 제공자가 구매한 DRM이 특정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통해 콘텐츠에 적용할 경우 이용 가능 여부를 콘텐츠 제공자에게 통지하는 정합성 테스트부;
    DRM을 등록할 때 필요한 DRM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 정보의 수정을 입력받는 DRM 정보 관리부;
    DRM이 등록되고 삭제되는 경우 목록의 업데이트를 실시하며, DRM이 등록된 후 정합성 테스트의 실시 또는 판매가격 및 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동기화를 실시하는 DRM 동기화부;
    상기 DRM 시스템 모듈 또는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부터의 DRM 배포 요청에 따른 DRM의 배포 방법과 전송 경로를 관리하거나 할당하는 DRM 배포부;
    이용자 환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DRM의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DRM 카테고리부; 및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자신이 이용한 DRM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 DRM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 관리부는,
    상기 결제 관리부에서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가입 연계형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선택받은 경우, DRM 상품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시스템 모듈은,
    상기 DRM 마켓 모듈이 접근하거나,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DRM 마켓 모듈 또는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DRM 정보로부터 DRM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DRM 메타데이터의 DRM 메타데이터 정보를 관리하며, DRM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 생성된 DRM 메타데이터 정보를 다른 모듈로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및
    콘텐츠 구매자가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부터 콘텐츠를 이용할 때 콘텐츠에 적용된 DRM의 라이선스 키를 콘텐츠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라이선스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은,
    상기 DRM 시스템 모듈 또는 이용자가 접근하거나, 상기 DRM 마켓 모듈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가 콘텐츠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송 경로를 정의 또는 할당하는 스트리밍 서버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정액제 및 종량제 중 하나의 콘텐츠 판매 형태를 선택받으며, 콘텐츠 제공자의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을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받아 구분하는 결제 관리부;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DRM 정보를 콘텐츠와 결합하는 DRM 패키징부;
    접근하는 모든 이용자에 대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 중 하나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부;
    시스템의 구동 시 서비스 품질 또는 보안 위협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거나, 알람 및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니터링부;
    서비스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품질 보장부;
    제공하는 기능을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
    상기 DRM 마켓 모듈에 등록된 DRM 정보를 관리 또는 확인하거나, 등록된 DRM에 대해서 검색을 수행하는 DRM 정보 관리부;
    클라우드 내에 콘텐츠를 위한 영역을 정의 또는 할당하며, 콘텐츠 제공자가 등록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저장해 두는 저장부;
    이용자를 시스템 관리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부; 및
    콘텐츠를 등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관리부는,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이 가입 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DRM 마켓 모듈에서 DRM을 구입할 필요 없이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DRM을 구입하여 DRM을 적용시키며,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상기 DRM 마켓 모듈, DRM 서비스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에게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관리부는,
    DRM의 구입 또는 정산 방법이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DRM 마켓 모듈에서 DRM을 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 관리부는,
    인증 방법이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에서 검색하고, 인증 방법이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가 DRM을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통해 구입하도록 하고 DRM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인증 방법이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구입한 DRM 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관리부는,
    판매자인 콘텐츠 제공자가 가입 연계형 및 가입 비연계형일 경우,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을 통해 상기 DRM 마켓 모듈에 등록된 DRM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거나 DRM을 구매하도록 하거나, 사용된 콘텐츠에 대한 정산을 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등록받거나, 이미 등록된 콘텐츠의 삭제를 요청받는 콘텐츠 등록/삭제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등록받을 때 필요한 DRM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미 등록된 DRM 정보를 수정받으며, 인증/권한에서 가입 연계형일 경우 DRM 상품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모듈로 전송하는 콘텐츠 정보 관리부;
    콘텐츠가 등록되고 삭제되는 경우 목록의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콘텐츠가 등록된 후 DRM이 결합되어 판매가격 및 상품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동기화를 실시하며, 상기 DRM 마켓 모듈로부터 DRM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DRM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콘텐츠 동기화부;
    콘텐츠 배포 요청 또는 콘텐츠 구매자의 이용 요청에 따른 콘텐츠의 배포 방법과 전송 경로를 관리하거나 할당하는 콘텐츠 배포부;
    이용자 환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DRM 카테고리부; 및
    콘텐츠 구매자로부터 자신이 이용한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는 콘텐츠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003658A 2018-01-11 2018-01-11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0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658A KR102100549B1 (ko) 2018-01-11 2018-01-11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658A KR102100549B1 (ko) 2018-01-11 2018-01-11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602A true KR20190085602A (ko) 2019-07-19
KR102100549B1 KR102100549B1 (ko) 2020-04-13

Family

ID=6751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658A KR102100549B1 (ko) 2018-01-11 2018-01-11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5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103A (ko) * 2019-11-13 2021-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385328B1 (ko) * 2021-10-14 2022-04-12 엘에스웨어(주) 프록시 재암호화를 통해 데이터 배포 제어가 가능한 drm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786A (ko)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140090075A1 (en) * 2012-09-26 201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content protection system using downloadable drm module
KR20150070478A (ko) * 2013-12-16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결제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92749A (ko) 2016-02-03 2017-08-14 (주)젠솔소프트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786A (ko)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140090075A1 (en) * 2012-09-26 201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content protection system using downloadable drm module
KR20150070478A (ko) * 2013-12-16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결제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92749A (ko) 2016-02-03 2017-08-14 (주)젠솔소프트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조득연외 3인, ‘클라우드 환경에서 멀티 DRM을 지원하는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멀티미디어 학회 논문지 19(4), pp. 765-773, 2016.0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103A (ko) * 2019-11-13 2021-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385328B1 (ko) * 2021-10-14 2022-04-12 엘에스웨어(주) 프록시 재암호화를 통해 데이터 배포 제어가 가능한 drm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549B1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5215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selling digital media rights
US78182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lexible licensing system for digital content
US20200143015A1 (en) Decentralize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cess using block chains
US119956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federated rights management
US201902362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lickable links servers using a decentralized blockchain ledger
US7127429B2 (en) Digital contents super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distributing digital contents
CN100588198C (zh) 用于流媒体的访问控制和密钥管理系统
JP5121986B2 (ja) コンテンツ購入処理端末とその方法
EP1587000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40039705A1 (en) Distributing a software product activation key
US20140331252A1 (en) Entitlement management for video customers
US20020091643A1 (en) Digital data distribution system
WO2020180754A1 (en) Decentralized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cess using block chains and encrpyted peer-to-peer network
US20140214686A1 (en) Application store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application purchase function
CN106878383B (zh) 一种数字视听场所的视频应用系统和方法
KR102100549B1 (ko)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609354B (zh) 一种基于元数据的数字资源发售系统及方法
KR102619687B1 (ko) 블록체인 메인넷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JP2015510196A (ja) コンテンツアクセス認可の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90088594A (ko)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22037A (ko) 중고 콘텐츠를 유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0967484B1 (ko) 공인 ip 주소를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방법
JP2013127695A (ja) 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