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320A - 진동 재활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재활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320A
KR20190085320A KR1020180003295A KR20180003295A KR20190085320A KR 20190085320 A KR20190085320 A KR 20190085320A KR 1020180003295 A KR1020180003295 A KR 1020180003295A KR 20180003295 A KR20180003295 A KR 20180003295A KR 20190085320 A KR20190085320 A KR 2019008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heel
drive
main
drive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푸 창
Original Assignee
충-푸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푸 창 filed Critical 충-푸 창
Priority to KR102018000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5320A/ko
Publication of KR2019008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61H23/0263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using rotating unbalanced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재활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해당 진동 재활치료 장치는 두 세트의 드라이브 구성요소, 편심 구성요소, 하우징을 갖추고 있으며, 그중 해당 드라이브 구성요소는 주동륜 구성요소, 종동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그중 해당 주동륜 구성요소는 주동륜와 주동축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주동축은 해당 주동륜 중앙에 설치되고, 해당 주동축의 해당 주동륜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는 손잡이부품이 설치되고, 또한 피동륜 구성요소는 제1피동륜과 제2피동륜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제1피동륜과 주동륜은 연결되어 해당 주동륜의 구동력을 받게 되며, 해당 제2피동륜은 해당 제1피동륜과 동일한 축에 설치되고, 해당 편심 구성요소의 양측에는 전동륜을 갖추고 있으며, 그 중간에는 편심 블록이 설치되고, 해당 드라이브 구성요소와 해당 편심 구성요소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손잡이부품이 회전을 할 때, 해당 편심 구성요소가 전체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어 신경을 자극하고 재활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동 재활치료 장치 {VIBRATIONAL REHABILITATION DEVICE}
본 발명은 재활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 재활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인이나 혹은 중풍 환자의 경우, 손가락이나 발가락 그리고 주변 신체 부위를 어떻게 움직이는가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발병 초기에 최대한 신속하게 사지 재활치료 운동을 시작하게 되면 노인이나 중풍 환자의 신체 부위의 반응력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고, 신체 각 부위가 영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재활치료 활동은 예를 들어 치료테이블을 통해 선 자세나 혹은 신체의 안정도를 훈련하게 되고, 모래주머니 던지기 등을 통해 신체 평형과 중심 이전을 훈련하게 된다. 또한 손으로 계단오르기나 혹은 적목 놀이를 통해 관절 활동도를 증가시키고 어깨 관절 탈구 증상을 예방하며, 간단한 손동작의 훈련을 사용하기도 한다. 작업치료 운동을 통해 바둑알 뒤집기나 위치 이동 등의 훈련으로 손가락 동작의 조작을 훈련하고, 또한 콩줍기, 구슬꿰기 등과 같은 활동으로 손과 눈의 조화와 손가락의 영민도를 훈련한다. 이 외에도 전위 기술 지도, 샤워 기술 지도 훈련 및 도구 사용 훈련 등도 매우 중요한 항목 중 하나이다.
그러나 상술된 재활치료 운동으로도 부족한 부분이 있는데, 그 주요 원인은 신체의 각 부위의 신경세포가 충분한 자극을 받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일부 문헌 자료에도 기재가 되어 있듯이, 동작을 통해 팔다리와 몸의 동작 회복력을 자극하게 되면 노인과 환자의 회복 속도가 빠르게 되며, 근육 이완, 위축, 퇴화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근골 관절의 락맥을 활발하게 하여 팔다리와 몸이 굳는 현상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본 발명인은 상술된 기존 재활활동들의 미흡한 점을 개선하고 학리적인 운용을 위하여 다년 간의 연구와 노력을 통해 본 발명인 진동 재활치료 장치를 개발하고 다용도의 재활치료 기재로 사용할 수 있게 제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진동 재활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주요 내용은 한 쌍의 좌우로 교차하는 구동 조립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구동 조립체의 손잡이부품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규칙적인 진동을 생성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재활치료 운동이 강렬한 자극성을 갖출 수 있게 하여 재활치료 효과를 촉진시키게 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세트의 좌우 교차 설치된 구동 조립체들, 편심 조립체, 상기 구동 조립체들을 절반 용치하게 되는 두 세트의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조립체는 주동륜 조립체, 종동륜 조립체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주동륜 조립체는 주동륜과 주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주동축은 상기 주동륜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축의 상기 주동륜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는 손잡이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피동륜 조립체는 제1피동륜과 제2피동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피동륜과 주동륜은 연결되어 상기 주동륜의 구동력을 받게 되며, 상기 제2피동륜은 상기 제1피동륜과 동일한 축에 설치된다.
상기 편심 조립체 양측에는 전동륜을 갖추고 있으며, 두 개의 상기 전동륜 사이에는 편심 블록이 끼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조립설치공간이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와 상기 편심 조립체가 그 내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주동축은 하우징을 관통하여 나온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품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술된 구조를 통해 상기 구동 조립체는 좌우 교차되는 설치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 양측의 손잡이부품을 잡고 힘을 쓰게 되면 상기 주동축에 전동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편심 조립체를 구동시켜 회전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편심 블록은 조립설치공간 내에 불균등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 부위에 강렬한 진동의 자극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극감은 손부위 외에도 사용자의 뇌부위도 자극하기 때문에 재활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식 중, 상기 하우징에는 천공이 설치되고, 상기 천공 상에는 베어링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주동축이 상기 베어링에 관통되어 들어간 후 상기 하우징을 관통해서 나오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베어링이 상기 주동축에서 생성되는 직경방향 부하를 소멸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 중, 상기 편심 조립체의 편심 블록은 상기 피동륜에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피동륜의 회전으로 진동감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진동 재활치료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실시방식과 유사하며, 이 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중앙 지지 시트, 두 세트의 좌우 교차 설치된 구동 조립체, 편심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지지 시트에는 두 개의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주동축은 각각 상기 베어링 내로 관통되어 들어가며, 상기 구동 조립체는 주동륜, 제1피동륜, 제2피동륜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주동륜과 상기 제1피동륜은 연결되며, 상기 제1피동륜과 제2피동륜은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주동축의 외측에는 각각 크랭크 및 페달이 설치되고, 페달과 크랭크를 전동시킴으로서 상기 주동축이 전동되고, 상기 편심 조립체는 상기 제2피동륜에 연결되며, 본 실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양손 혹은 양발을 상기 페달에 끼워 전동시킴으로서 힘을 출력하게 되면 크랭크가 주동축을 통해 상기 구동 조립체를 간접적으로 이끌어 회전을 생성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편심 조립체까지 전동시키게 됨으로써 전체적 구조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방식은 손과 발에 힘이 없는 노인이나 혹은 재활치료 환자를 도와 팔다리와 몸을 충분히 운동시키고 또한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구조 내에서, 상기 편심 조립체에는 연결륜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륜 상에는 편심 블록이 설치되고, 회전이 발생하였을 때 규칙적인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륜의 외경은 연결된 피동륜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연결륜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되고 진동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전술된 실시방식 중, 상기 주동륜의 주동축 상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구동 조립체를 이끌어 회전시키게 되며, 재활치료를 막 시작한 사용자의 경우, 첫째로 그 믿음감이 상승되며, 둘째로 팔다리와 몸에 대해 재활치료 운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입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편심 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을 페달과 크랭크와 같이 응용한 실시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을 드라이브 모터와 같이 응용한 실시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을 연결막대 기구와 같이 응용한 실시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9a는 도9의 좌측 도면이다.
도9b는 도9의 구동 조립체의 우측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도5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인 제1실시방식 진동 재활치료 장치는 두 세트의 좌우 교차 설치된 구동 조립체(10), 편심 조립체(20), 상기 구동 조립체(10)를 절반 용치하게 되는 두 세트의 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도1에서 도5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상기 구동 조립체(10)는 좌우 교차 설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10)는 주동륜 조립체(11), 종동륜 조립체(1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주동륜 조립체(11)는 주동륜(111)과 주동축(112)을 포함하며, 상기 주동축(112)은 상기 주동륜(111)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축(112)의 상기 주동륜(111)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는 손잡이부품(15)이 설치되고, 상기 피동륜 조립체는 제1피동륜(131)과 제2피동륜(13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피동륜(131)과 주동륜(111)은 연결되어 상기 주동륜(111)의 구동력을 받게 되며, 상기 제2피동륜(132)은 상기 제1피동륜(131)과 동일한 축에 설치된다. 본 발명 중의 상기 주동륜 조립체(11)와 상기 종동륜 조립체(13)는 기어 교합 전동, 벨트풀리 전동 혹은 스프로킷과 체인 전동 등과 같은 방식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3에서 도4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상기 편심 조립체(20) 양측은 전동륜(21)을 포함하고 있고, 두 개의 전동륜(21) 사이에는 편심 블록(22)이 끼워져 설치된다.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블록(22)은 반원의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 시 전체적인 구조를 움직여 규칙적인 흔들림이 생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편심 블록(22)의 흔들림 하에 전체적인 구조에서 진동감이 생성될 수 있다.
도1에서 도3의 내용과 같이, 상기 하우징(30)은 플라스틱 혹은 경량 재료를 사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제1실시방식 중, 상기 하우징(30)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0) 내부에는 조립설치공간(31)이 오목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 조립체(10)와 상기 편심 조립체(20)가 그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동축(112)은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하여 나온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품(15)은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0)에는 천공(32)이 설치되며, 상기 천공(32) 상에는 베어링(40)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주동축(112)이 상기 베어링(40)을 관통해 들어간 후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해서 나오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베어링(40)이 상기 주동축(112)에서 생성되는 직경방향 부하를 소멸시켜 주게 된다.
상술된 구조를 통한 본 발명의 사용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 조립체(10)는 좌우 교차되는 설치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30) 양측의 손잡이부품(15)을 잡고 힘을 쓰게 되면 상기 주동축(112)에 전동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상기 구동 조립체(10)는 상기 편심 조립체(20)를 구동시켜 회전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편심 블록(22)은 조립설치공간(31) 내에 불균등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 부위에 강렬한 진동의 자극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극감은 손부위 외에도 사용자의 뇌부위도 자극하기 때문에 재활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6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그 주요 내용은 제1실시방식에서 변화를 준 것이며, 상기 편심조립체(20)의 편심 블록(22)이 상기 피동륜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륜의 회전으로 진동감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를 참조해 보면, 제1실시방식의 개념을 응용하여 상기 구동 조립체(50)를 중앙 지지 시트(70)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 시트(70)는 와식의 하우징이나 혹은 입식의 하우징일 수 있다. 본 실시방식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중앙 지지 시트, 두 세트의 좌우 교차 설치된 구동 조립체(50), 편심 조립체(60)로 구성되고, 상기 중앙 지지 시트에는 두 개의 베어링(8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50)의 주동축(54)은 각각 상기 베어링(80) 내로 관통되어 들어가며, 상기 드라이브 부품은 주동륜(51), 제1피동륜(52), 제2피동륜(53)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주동륜(51)과 상기 제1피동륜(52)은 연결되며, 상기 제1피동륜(52)과 제2피동륜(53)은 연결축(55)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주동축(54)의 외측에는 각각 크랭크(72) 및 페달(71)이 설치되고, 페달(71)과 크랭크(72)를 전동시킴으로서 상기 주동축(54)이 전동되고, 상기 편심 조립체(60)는 상기 제2피동륜(53)에 연결된다.
제2실시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양손 혹은 양발을 상기 페달(71)에 끼워 전동시킴으로서 힘을 출력하게 되면 크랭크(72)가 주동축(54)을 통해 상기 구동 조립체(50)를 간접적으로 이끌어 회전을 생성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편심 조립체(60)까지 전동시키게 됨으로써 전체적 구조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방식은 손과 발에 힘이 없는 노인이나 혹은 재활치료 환자를 도와 팔다리와 몸을 충분히 운동시키고 또한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조립체(60)에는 연결륜(61)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륜(61) 상에는 편심 블록(62)이 설치되고, 회전이 발생하였을 때 규칙적인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륜(61)의 외경은 연결된 제2피동륜(53)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연결륜(61)이 제2피동륜(53)을 통해 전동하는 과정에서 회전속도가 점점 빠르게 되고 진동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도8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그 주요 내용은 제2실시예에서 변화를 준 것이며 상기 주동륜(51)의 주동축(54) 상에 모터(9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90)가 상기 구동 조립체(50)를 이끌고 이어서 편심 조립체(60)를 이끌어 회전시키기 때문에 재활치료를 막 시작한 사용자의 경우, 첫째로 그 믿음감이 상승되며, 둘째로 팔다리와 몸에 대해 재활치료 운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측의 페달(71)과 크랭크(72)와 상기 연결륜(61)은 서로 결합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조감도, 도9a는 좌측 도면, 도9b는 우측도면이며, 주요 내용은 제2실시방식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방식으로, 본 실시방식 내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50)는 연결축(55)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55) 앞단에는 추 회전 시트(A)가 설치되며, 상기 추 회전 시트(A)는 상기 페달(71)과 크랭크(72)가 주동륜(51) 이끄는 과정에서 더 나아가 상기 추 회전 시트(A)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추 회전 시트(A)는 연동축(B)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축(B)은 상기 연결륜(61)을 이끌게 되며, 상기 연결륜(61)은 상기 편심 조립체(60)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어 전체적인 구조에서 동일한 진동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 중 상기 추 회전 시트(A)와 상기 연결축(B)은 링 버클를 통해 결합된다.
본 발명은 노인 혹은 재활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스클럽 혹은 가정에 두고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그 부피가 작고 수납이 편리하며 가정집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이 적합하다. 또한 진동을 통해 평소 운동하기 힘든 부위까지 운동이 가능하게 해주며, 허벅지, 팔뚝과 같은 부위에도 진동 효과를 이용하여 뛰어한 운동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구동 조립체
11 : 주동륜 조립체
13 : 주동륜
15 : 손잡이부품
20 : 편심 조립체
21 : 전동륜
22 : 편심 블록
30 : 하우징

Claims (13)

  1. 두 세트의 좌우 교차 설치된 구동 조립체, 편심 조립체, 상기 구동 조립체를 절반 용치하게 되는 두 세트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로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주동륜 조립체, 종동륜 조립체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주동륜 조립체는 주동륜과 주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주동축은 상기 주동륜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축의 상기 주동륜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는 손잡이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피동륜 조립체는 제1피동륜과 제2피동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피동륜과 주동륜은 연결되어 상기 주동륜의 구동력을 받게 되며, 상기 제2피동륜은 상기 제1피동륜과 동일한 축에 설치되며,
    상기 편심 조립체 양측에는 전동륜을 갖추고 있으며, 두 개의 상기 전동륜 사이에는 편심 블록이 끼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조립설치공간이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와 상기 편심 조립체가 그 내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주동축은 하우징을 관통하여 나온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품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천공이 설치되고, 상기 천공 상에는 베어링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주동축이 상기 베어링에 관통되어 들어간 후 상기 하우징을 관통해서 나오게 되며, 다시 손잡이부품이 상기 주동축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3. 중앙 지지 시트, 두 세트의 좌우 교차 설치된 구동 조립체, 편심 조립체로 구성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로서,
    상기 중앙 지지 시트에는 두 개의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주동축은 각각 상기 베어링 내로 관통되어 들어가며, 상기 구동 조립체는 주동륜, 제1피동륜, 제2피동륜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주동륜과 상기 제1피동륜은 연결되며, 상기 제1피동륜과 제2피동륜은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주동축의 외측에는 각각 크랭크 및 페달이 설치되고, 페달과 크랭크를 전동시킴으로서 상기 주동축이 전동되고, 상기 편심 조립체는 상기 제2피동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조립체에는 연결륜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륜 상에는 편심 블록이 설치되어 회전 시 규칙적인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륜의 외경은 연결된 제2피동륜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 상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구동 조립체를 이끌고 이어서 편심 조립체를 이끌어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중앙 지지 시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지지 시트 상측에는 추 회전 시트가 설치되며, 상기 추 회전 시트의 경우, 페달과 크랭크가 주동륜을 이끌어 전동 시킬 때, 더 나아가 상기 추 회전 시트까지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추 회전 시트는 연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연동축이 연결륜을 이끌게 되고 상기 연결륜은 상기 편심 조립체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구동 조립체의 구동 방식은 벨트풀리 전동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구동 조립체의 구동 방식은 벨트풀리 전동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의 구동 방식은 스프로킷과 체인 전동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의 구동 방식은 스프로킷과 체인 전동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의 구동 방식은 기어 전동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의 구동 방식은 기어 전동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재활치료 장치.
KR1020180003295A 2018-01-10 2018-01-10 진동 재활치료 장치 KR20190085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295A KR20190085320A (ko) 2018-01-10 2018-01-10 진동 재활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295A KR20190085320A (ko) 2018-01-10 2018-01-10 진동 재활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320A true KR20190085320A (ko) 2019-07-18

Family

ID=6746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295A KR20190085320A (ko) 2018-01-10 2018-01-10 진동 재활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53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labrò et al. Robotic gait rehabilitation and substitution devices in neurological disorders: where are we now?
Schmidt et al. Gait rehabilitation machines based on programmable footplates
Esquenazi et al. Robotics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JPH0581155B2 (ko)
US20190183725A1 (en) Vibrational rehabilitation device
Khor et al. Development of CR2-Haptic: a compact and portable rehabilitation robot for wrist and forearm training
JP2007283004A (ja) 下肢運動補助装置
Eddy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ody-Mind Centering®(BMC) in dance pedagogy
EP3485862B1 (en) Interacting exercise device
Aran et al. Virtual reality and occupational therapy
Zondervan et al. Lever-actuated resonance assistance (LARA): A wheelchair-based method for upper extremity therapy and overground ambulation for people with severe arm impairment
US20170080283A1 (en) Mechanical Foam Roller
KR20190085320A (ko) 진동 재활치료 장치
EP3162348A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shoulder and elbow joints
JP2007061180A (ja) 訓練装置
US20220133575A1 (en) Exercise Machine Providing Back-and Forth Movement and Vibration
Kachanathu et al. An analysis of physical performance between backward and forward walking training in young healthy individuals
KR20060040644A (ko) 대체의학 물리치료기
EP0205018A2 (en) Leg exerciser
EP3498342B1 (en) Pedal-type vibrational apparatus
GB2176412A (en) Leg exerciser/massage device
Mandil et al. PhysiTable: tangible interactive system for physical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WM568155U (zh) 健身機
JP2907509B2 (ja) 膝部運動器具
CN208726190U (zh) 一种震动复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