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658A -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658A
KR20190084658A KR1020180002670A KR20180002670A KR20190084658A KR 20190084658 A KR20190084658 A KR 20190084658A KR 1020180002670 A KR1020180002670 A KR 1020180002670A KR 20180002670 A KR20180002670 A KR 20180002670A KR 20190084658 A KR20190084658 A KR 20190084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membrane
bonding
base mold
manufacturing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현
정진무
김효재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658A/ko
Publication of KR2019008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0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the container or its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3/00Assembling of devices or systems from individually processed components
    • B81C3/001Bonding of two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19Microarrays; Bio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5Microfluid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2203/00Forming microstructural systems
    • B81C2203/03Bonding two components
    • B81C2203/032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플라즈마단계; 상기 베이스 몰드에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이 겹치도록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하는 1차 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상기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키는 2차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Experimental vascular platform using porous membrane bonding techniqu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사용하지 않고,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에 고분자기반 다공성 멤브레인을 접합시켜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제조함으로써, 실제 혈관 특성을 반영하여 체외에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는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제작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합성 고분자들은 대부분 소수성을 가지며 세포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반응기가 없어 세포와의 친화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는 세포의 부착 능력을 감소시키며 세포가 분화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히알루론산 등의 천연고분자를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사용하여 세포의 성장을 돕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고분자들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세포가 자랄 수 있는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먼저, 천연 고분자를 세포외기질로 활용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천연 고분자가 가지는 생분해 특성으로 인해 짧은 가용 시간 및 변성 위험에 대한 제약 사항이 있다.
또한, 천연 고분자의 기계적 물성을 조절할 수 없어 적용 분야에 제한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천연 고분자의 가격이 비싸다.
마지막으로, 천연 고분자는 많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오염에 취약하며 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사용하지 않고,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에 고분자기반 다공성 멤브레인을 접합시켜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제조함으로써, 실제 혈관 특성을 반영하여 체외에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는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플라즈마단계; 상기 베이스 몰드에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이 겹치도록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하는 1차 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상기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키는 2차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결합단계는 고온고압의 열풍을 분사하여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결합단계는 상기 채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된 양각몰드를 이용하여 스탬핑하여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합제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스프레이단계;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접합제가 분사된 표면이 겹치도록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하는 1차 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상기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키는 2차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에 접합제를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스핀 코팅단계;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에 상기 접합제가 코팅된 표면이 겹치도록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하는 1차 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상기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키는 2차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 몰드에 고분자기반 다공성 멤브레인을 접합시켜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제조함으로써, 실제 혈관 특성을 반영하여 체외에서 용이하게 실험용 혈관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물 테스트 및 MRI, CT, 초음파 등의 체외 진단 영상 기기의 성능 시험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용함으로써 세포 성장을 유도하는 멤브레인의 기계적, 구조적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세포의 부착성 및 분화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천연고분자 대비 오염의 염려가 없고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오랜 기간 변성되지 않아 환경적인 제약이 없으며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열풍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스탬핑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사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은 플라즈마단계(S100), 1차 결합단계(S200) 및 2차 결합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플라즈마단계(S100)는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몰드는 PDMS (Polydimethylsiloxane)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PDMS와 같은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유리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몰드에는 다양한 형상의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멤브레인은 PDMS, 세포 독성이 없는 합성 고분자, 세라믹 멤브레인, 그래핀 멤브레인 등의 일반적인 고분자 다공성 멤브레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멤브레인이 적용 가능한 베이스 몰드 내 채널의 폭은 실제 동맥 혈관 크기인 mm 부터 모세혈관 크기인 μm 까지 다양하여, 베이스 몰드 내 채널의 형상에 제한을 주지 않아 다양한 형상의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멤브레인은 천연 고분자를 대체하여 천연 고분자 대비 오염의 염려가 없고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다공성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오랜 기간 변성이 되지 않아 환경적인 제약이 없고 보관이 용이할 수 있으며, 세포의 부착성 및 분화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멤브레인은 염침출법, 염발포법, 상분리법, 동결 건조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멤브레인의 Pore size와 두께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 다공성 멤브레인의 구조적, 기계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멤브레인의 친소수성, 탄성계수(Young's modulus), 거칠기(roughness), 유연도(softness)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을 각각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에 OH기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의 접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끼리 겹치게 하는 것으로 S200 단계에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S100 단계에서 산소 플라즈마 조건은 한정되지 않고, 표면에 OH기를 생성시킬 정도의 조건이면 가능하다.
1차 결합단계(S200)는 하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베이스 몰드에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이 겹치도록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베이스 몰드의 표면과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에 접합력이 생겨 베이스 몰드에 다공성 멤브레인이 적층되어 고정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는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몰드의 채널까지 다공성 멤브레인이 완전하게 부착 접하지 못하고 베이스 몰드와 다공성 멤브레인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2차 결합단계(S300)를 통해 베이스 몰드와 멤브레인 사이의 빈 공간을 제거하고 베이스 몰드에 다공성 멤브레인이 완전하게 접합도록 할 수 있다.
2차 결합단계(S300)는 베이스 몰드에 다공성 멤브레인을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킬 수 있다. 이는 베이스 몰드에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에 S300 단계를 통해 베이스 몰드에 다공성 멤브레인을 완전 접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S300 단계는 고온고압의 열풍방식 및 스탬핑 방식의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일 예로 S300 단계는 하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몰드(B)에 적층된 다공성 멤브레인(M)의 상측에 고온고압의 열풍을 분사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때, S300 단계는 온도 100 내지 120℃ 및 풍량 30 내지 50L/min의 열풍을 20초 내지 1분 동안 분사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즉, 열풍이 분사되면 다공성 멤브레인에 팽창이 일어나면서 열풍에 의해 가압되어 채널의 형상에 맞게 베이스 몰드에 다공성 멤브레인을 용이하게 밀착시켜 완전 접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100℃ 미만일 경우 다공성 멤브레인에 팽창이 미미하여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120℃를 초과할 경우 열적 스트레스가 축적되어 다공성 멤브레인에 변형이 발생하여 기계적 및 구조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20초 미만일 경우 다공성 멤브레인의 팽창이 미미하여 접합(밀착)이 완료되지 못할 수 있고, 1분을 초과할 경우 팽창이 과하게 일어나 주름 또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S300 단계는 하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몰드(B)에 적층된 다공성 멤브레인(M)의 상측에서 채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된 양각몰드를 이용해 스탬핑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때, 양각몰드는 채널의 형상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 양각몰드를 별도로 제작하는 번거로움은 있으나, 다공성 멤브레인에 열적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접합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은 스프레이단계(S110), 1차 결합단계(S210) 및 2차 결합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110 단계 및 S210 단계를 제외하고 S300 단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실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S110 및 S210 단계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스프레이단계(S110)는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합제를 스프레이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제가 표면에 매우 얇은 두께로 코팅되어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을 접합시킬 수 있어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전체 제작 사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접합제는 열경화성, 열가소성 접합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분자 접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몰드는 소수성이 강하여 본드와 같은 접합제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접합제는 베이스 몰드와 동일한 실리콘계 접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결합단계(S210)는 베이스 몰드에 접합제가 분사된 표면이 겹치도록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할 수 있다.
이때, S200 단계와 동일하게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므로, S30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2차 결합단계(S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는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의 2차 결합단계(S3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은 스핀 코팅단계(S120), 1차 결합단계(S220) 및 2차 결합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120 단계 및 S220 단계를 제외하고, 300 단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실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S120 및 S220 단계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스핀 코팅단계(S120)는 다공성 멤브레인을 실리콘 웨이퍼 위에 올리고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에 접합제를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몰드는 표면에 채널이 형성되어 있어 스핀 코팅 방법을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므로, 다공성 멤브레인에만 코팅을 할 수 있다.
또한, S120 단계는 습도 30 내지 40%, 상온(20±5℃)에서 회전속도 1,000 내지 5,000 RPM의 회전코팅기로 25 내지 35초 동안 스핀 코팅하여 접합제를 코팅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코팅기의 회전속도가 1,000 RPM 미만일 경우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시키기 어렵고, 5,000 RPM를 초과할 경우 높은 원심력으로 인하여 다공성 멤브레인의 중앙과 외측부분에 두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코팅 시간이 25초 미만일 경우 접합제를 다공성 멤브레인 전체에 고르게 도포하기 힘들고, 35초를 초과할 경우 효과 대비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이와 같은 조건으로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제를 코팅함으로써, 접합제의 코팅 두께를 얇게 하면서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다.
1차 결합단계(S220)는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에 접합제가 코팅된 표면이 겹치도록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할 수 있다.
이때, S200 단계와 동일하게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므로, S30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2차 결합단계(S3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의 2차 결합단계(S3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고온고압의 열풍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스탬핑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사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 몰드에 고분자기반 다공성 멤브레인을 접합시켜 마이크로 유체 채널을 제조함으로써, 실제 혈관 특성을 반영하여 체외에서 용이하게 실험용 혈관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용함으로써 세포 성장을 유도하는 멤브레인의 기계적, 구조적 특성을 다공성 멤브레인의 pore size 및 두께를 조절하는 것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세포의 부착성 및 분화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천연고분자 대비 오염의 염려가 없고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오랜 기간 변성되지 않아 환경적인 제약이 없으며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6)

  1.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플라즈마단계;
    상기 베이스 몰드에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이 겹치도록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하는 1차 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상기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키는 2차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
  2.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 및 다공성 멤브레인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접합제를 스프레이 분사하는 스프레이단계;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접합제가 분사된 표면이 겹치도록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하는 1차 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상기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키는 2차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
  3.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공성 멤브레인의 표면에 접합제를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는 스핀 코팅단계;
    채널이 형성된 베이스 몰드에 상기 접합제가 코팅된 표면이 겹치도록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적층하는 1차 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 몰드에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상기 베이스 몰드 형상에 맞게 접합시키는 2차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결합단계는,
    고온고압의 열풍을 분사하여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결합단계는,
    상기 채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작된 양각몰드를 이용하여 스탬핑하여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용 혈관 플랫폼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험용 혈관 플랫폼.
KR1020180002670A 2018-01-09 2018-01-09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4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70A KR20190084658A (ko) 2018-01-09 2018-01-09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70A KR20190084658A (ko) 2018-01-09 2018-01-09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27A Division KR102031561B1 (ko) 2019-08-28 2019-08-28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58A true KR20190084658A (ko) 2019-07-17

Family

ID=6751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670A KR20190084658A (ko) 2018-01-09 2018-01-09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46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Protein adsorption on poly (N-vinylpyrrolidone)-modified silicon surfaces prepared by surface-init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Yang et al. Engineering of a microfluidic cell culture platform embedded with nanoscale features
Bernards et al. Nanoscale porosity in polymer films: fabrication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JP7042794B2 (ja) インプラントとしての使用のための、鼓膜穿孔の治療のための、また細胞培養のための構造化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デバイス
Ryu et al. The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al micro-fluidic scaffolds of biodegradable polymers by solvent vapor based bonding of micro-molded layers
Tekin et al. Thermoresponsive platforms for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JPH0399655A (ja) 人工乳房用外皮の製造方法
ES2656509T3 (es) Dispositivo de guiado de la migración celular y método de guiado que emplea dicho dispositivo
Yajima et al. Facile fabrication processes for hydrogel-based microfluidic devices made of natural biopolymers
JP6901095B2 (ja) 把持器具および把持器具を製造する方法
Chen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functional hydrogels through interfacial engineering
CN101711169A (zh) 制造复杂构造的血液相容性制品的方法和由此获得的制品
Yoo et al. Use of elastic, porous, and ultrathin co‐culture membranes to control the endothelial barrier function via cell alignment
WO2005030476A1 (en) Three-dimensional gels that have microscale features
KR101590613B1 (ko) 항온항습형 마이크로니들 패치
Dogbevi et al. Pumpless,“self-driven” microfluidic channels with controlled blood flow using an amphiphilic silicone
KR20190084658A (ko)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1561B1 (ko) 다공성 멤브레인 접합 기술을 이용한 실험용 혈관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JP5731421B2 (ja) 細胞培養デバイス
KR20140117944A (ko) 멤브레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멤브레인 구조체를 사용한 세포배양 장치
Bettinger et al. Nanofabricated collagen-inspired synthetic elastomers for primary rat hepatocyte culture
Wang et al.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 microstructures for scaffold applications
CA3229281A1 (en) Macroencapsulation devices
CN114938627A (zh) 用于粗糙表面的粘附体系
JP7440505B2 (ja) マイクロ流体ガス交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