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202A -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202A
KR20190084202A KR1020180039494A KR20180039494A KR20190084202A KR 20190084202 A KR20190084202 A KR 20190084202A KR 1020180039494 A KR1020180039494 A KR 1020180039494A KR 20180039494 A KR20180039494 A KR 20180039494A KR 20190084202 A KR20190084202 A KR 20190084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alling
term
voice command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092B1 (ko
Inventor
이은실
강정일
박준형
최순원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823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JP6752870B2/ja
Publication of KR2019008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 설정된 복수 개의 호출 용어 중 어느 하나의 호출 용어가 인식되면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해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USING PLURALITY WAKE UP WORD}
아래의 설명은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비서 시스템, 인공지능(AI) 스피커, 챗봇 플랫폼(chatbot platform) 등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사람의 명령어에 대한 의도를 이해하고 그에 대응하는 답변 문구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주로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사람이 기능적인 요구를 전달하고 이에 기계가 사람의 요구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마이크(microphone)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9797호(공개일 2011년 12월 30일)에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홈 내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통해 다중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사전에 정해진 호출 용어(wake up word))(예를 들어, 기기의 이름 등)를 기기를 활성화(wake-up)하기 위한 대화 활성 트리거로 사용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기는 호출 용어를 기반으로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계의 이름을 부르면 기기가 활성화되어 이어지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질의)을 입력받기 위한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기의 호출 용어를 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호출 용어에 따라 인공지능 기기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 설정된 복수 개의 호출 용어 중 어느 하나의 호출 용어가 인식되면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해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 별로 해당 동작을 특정하기 위한 호출 용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호출 용어와 각 호출 용어 별 동작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 기기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 용어는 기본 호출어와 추가 호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기능이 상기 기본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행하고, 상기 대화 기능이 상기 추가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도록 상기 음성 명령을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검색 신호에 응답하는 디바이스와 페어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 기기와 페어링된 다른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경우 각 디바이스 별로 상기 추가 호출어를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엔진을 호출하여 해당 엔진을 통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활성화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의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화 활성 트리거로 사용되는 호출 용어를 둘 이상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전자 기기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출 용어 중 어느 하나의 호출 용어가 인식되면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및 상기 대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해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기의 호출 용어를 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호출 용어에 따라 인공지능 기기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호출 용어와 호출 용어 별 기기 동작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한 제어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의 예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기기의 활성화(wake-up)를 위한 호출 용어를 둘 이상 이용하여 각 호출 용어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대화 방법은 상술한 전자 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전자 기기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홈(smart home)이나 홈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이 댁내의 디바이스들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술에서,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 "불 꺼줘"를 인식 및 분석하여 댁내에서 전자 기기(100)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된 댁내 조명기기(120)의 라이트 전원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댁내의 디바이스들은 상술한 댁내 조명기기(120) 외에도 텔레비전, PC(Personal Computer), 주변기기, 에어컨, 냉장고,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수도, 전기, 냉난방 기기 등과 같은 에너지 소비장치, 도어록,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기기 등 온라인 상에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 HomePNA, IEEE 1394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Wireless 1394, Home RF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댁내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댁내에 구비된 인공지능 스피커나 로봇 청소기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과 같은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댁내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댁내의 디바이스들과 연결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들이 댁내의 디바이스들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서비스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음성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100)가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 "오늘 날씨"를 인식 및 분석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10)로부터 오늘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이 음성으로 출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전자 기기(100)는 댁내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거나 사용자(110)의 모바일 기기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기능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210)에 접속하여 외부 서버(21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사용자(110)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110)의 발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직접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 및 분석하여 음성 입력에 알맞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처리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한 인식이나 인식된 음성 입력의 분석, 사용자에게 제공될 음성의 합성 등의 처리를 전자 기기(100)와 연계된 외부의 플랫폼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자 기기들(310)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 및 컨텐츠·서비스(330)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들(310)은 댁내에 구비되는 디바이스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적어도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하, 앱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과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의 개발을 위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들을 개발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커넥트(340)는 전자 기기들(310)이나 전자 기기들(31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앱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개발자들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및/또는 개발 문서를 이용하여 개발한 기기나 앱은 인터페이스 커넥트(340)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음성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고, 출력될 음성을 합성하기 위한 음성처리모듈(321), 수신된 영상이나 동영상을 분석하여 처리하기 위한 비전처리모듈(322), 수신된 음성에 따라 알맞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적절한 대화를 결정하기 위한 대화처리모듈(323), 수신된 음성에 알맞은 기능을 추천하기 위한 추천모듈(324), 인공지능이 데이터 학습을 통해 문장 단위로 언어를 번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공신경망 기반 기계 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325) 등과 같이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인터페이스 커넥트(340)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된 음성 입력을 상술한 모듈들(321 내지 325)을 활용하여 인식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 입력에 따라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적절한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확장 키트(350)는 제3자 컨텐츠 개발자 또는 회사들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에 기반하여 새로운 음성기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개발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110)의 음성 입력을 외부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 서버(210)는 확장 키트(350)를 통해 제공되는 API를 통해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음성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은 수신되는 음성 입력을 인식, 분석하여 적절한 답변 음성을 합성하여 제공하거나 음성 입력을 통해 처리되어야 할 기능에 대한 추천정보를 외부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 외부 서버(210)는 음성 입력 "오늘 날씨"를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부터 음성 입력 "오늘 날씨"의 인식을 통해 추출되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210)는 키워드 "오늘" 및 "날씨"를 통해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으로 생성된 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는 텍스트 정보를 음성으로 합성하여 외부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버(210)는 합성된 음성을 전자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100)는 합성된 음성 "오늘의 날씨는 ..."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입력 "오늘 날씨"가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기반으로 디바이스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을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의 전자 기기(410)는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에 대응할 수 있고, 서버(420)는 앞서 설명한 외부 서버(210) 또는 클라우드 인공지능 플랫폼(320)을 구현하는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기기(410)와 서버(420)는 메모리(411, 421), 프로세서(412, 422), 통신 모듈(413, 4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414, 4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11, 4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411, 4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410)나 서버(4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11, 4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410)에 설치되어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41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411, 4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413, 423)을 통해 메모리(411, 4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43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410)의 메모리(4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412, 4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11, 421) 또는 통신 모듈(413, 423)에 의해 프로세서(412, 4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2, 422)는 메모리(411, 4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413, 423)은 네트워크(430)를 통해 전자 기기(410)와 서버(42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410) 및/또는 서버(420)가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가 메모리(4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4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430)를 통해 서버(42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420)의 프로세서(4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423)과 네트워크(430)를 거쳐 전자 기기(410)의 통신 모듈(413)을 통해 전자 기기(4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413)을 통해 수신된 서버(42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412)나 메모리(4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4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입출력 장치(4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415)는 전자 기기(4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42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24)는 서버(420)와 연결되거나 서버(42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가 메모리(4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420)나 다른 전자 기기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4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 및 서버(420)는 도 4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4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4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동작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4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41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입출력 장치(415)로서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답변 음성이나 오디오 컨텐츠와 같은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입출력 장치(415)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410)에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410)에 구현된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은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따른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기기(410)의 프로세서(412)는 구성요소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510), 활성화부(520), 및 동작 수행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4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4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4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412) 및 프로세서(412)의 구성요소들은 도 6의 인공지능 대화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610 내지 S64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4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2) 및 프로세서(4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4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12)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4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전자 기기(4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4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4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410)가 각종 설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41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1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설정부(510)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S610)에서 프로세서(412)는 전자 기기(41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41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41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620 내지 S64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설정부(510)는 전자 기기(410)의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화 활성 트리거로 이용되는 둘 이상의 호출 용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호출 용어는 전자 기기(410)의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화 활성 트리거로 이용함과 동시에 전자 기기(410)의 동작을 특정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호출 용어는 전자 기기(410)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 별로 사전에 정의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410)의 동작은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전자 기기(410)에서 직접 수행하는 메인 디바이스 역할과,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전자 기기(410)와 페어링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도록 해당 음성 명령을 전달하는 릴레이 역할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디바이스 동작에 대한 호출 용어는 '클로바', 릴레이 동작에 대한 호출 용어는 '친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410)에 복수 개의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경우 디바이스 별로 호출 용어를 다르게 지정하여 각기 다른 호출 용어로 릴레이 대상을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410)의 동작은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엔진의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성 캐릭터의 음성 엔진을 이용한 동작에 대해서는 '샐리', 남성 캐릭터의 음성 엔진을 이용한 동작에 대해서는 '브라운'이 호출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호출 용어는 물론이고 호출 용어 별로 전자 기기(4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함에 따라 개인화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한 동작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기기(410)를 통해 구현 가능한 동작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다시 도 6에서, 단계(S630)에서 활성화부(520)는 둘 이상의 호출 용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호출 용어가 인식되면 전자 기기(410)의 대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부(520)는 전자 기기(410)의 대화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음성 인터페이스(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수신된 음성이 복수 개의 호출 용어 중 어느 하나의 호출 용어에 해당되는 경우 대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부(520)는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음성에 대해 잡음 제거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전처리된 음성이 사전에 정해진 호출 용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S640)에서 동작 수행부(530)는 전자 기기(410)의 대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음성 입력에 대해 전자 기기(410)가 대화 기능의 활성화 시에 이용된 호출 용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수행부(530)는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는데 이용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410)에 두 개의 호출 용어 '클로바'와 '친구'가 탑재된 경우 동작 수행부(530)는 호출 용어 '클로바'로 대화 기능이 활성화되면 메인 디바이스 동작으로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전자 기기(410)에서 직접 수행하고, 한편 호출 용어 '친구'로 대화 기능이 활성화되면 릴레이 동작으로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전자 기기(410)와 페어링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도록 해당 디바이스로 음성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기기(410)에 이종의 호출 용어를 탑재하여 그 중 하나는 전자 기기(410)에 입력된 명령을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해 이용되며, 이때 전자 기기(410)는 마이크와 동시에 릴레이 역할을 하게 된다. 다른 예로, 동작 수행부(530)는 전자 기기(410)에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각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엔진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410)에 호출 용어 '샐리'와 '브라운'이 탑재된 경우 동작 수행부(530)는 호출 용어 '샐리'로 대화 기능이 활성화되면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답변 정보를 여성 캐릭터 엔진을 통해 출력하고, 호출 용어 '브라운'으로 대화 기능이 활성화되면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답변 정보를 남성 캐릭터 엔진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기기(410)에 이종의 호출 용어를 탑재하여 하나의 기기 내에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음성 엔진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410)의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호출 용어를 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호출 용어에 따라 전자 기기(410)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한 제어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410은 음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의 예시로 인공지능 스피커를 나타낸 것으로, 인공지능 스피커(410)가 IPTV의 셋탑박스(STB)(800)와 페어링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인공지능 스피커(410)와 같은 내부 네크워크(미도시)에 연결된 셋탑박스(800)와 페어링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스피커(410)와 셋탑박스(800)는 Wi-Fi 공유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동일한 Wi-Fi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내부 네트워크에서의 기기 상호 간의 페어링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올조인(Alljoyn)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공지능 스피커(410)에는 메인 디바이스 동작을 위한 기본 호출어(예컨대, '클로바') 이외에 셋탑박스(800)에 명령을 전달하는 릴레이 동작을 위한 추가 호출어(예컨대, '티비친구')가 탑재될 수 있다.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가 인공지능 스피커(410)에서 동작하기를 원하는 경우 기본 호출어를 이용하고 IPTV에서 동작하기를 원하는 경우 추가 호출어를 이용한다. 인공지능 스피커(410)의 호출어, 즉 '클로바'가 발화되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인공지능 스피커(410)에서 직접 처리되어 인공지능 스피커(410)에서 해당 동작이 실행되고, 셋탑박스(800)의 호출어, 즉 '티비친구'가 발화되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인공지능 스피커(410)를 통해 셋탑박스(800)로 전달되어 셋탑박스(800)에서 해당 동작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기기가 활성화된 경우, 기기를 활성화시킨 호출 용어가 무엇인지를 확인한 후 확인된 호출 용어에 따라 사용자가 발화한 명령어가 포함된 음성 PCM(pulse code modulation)을 대상 기기에 전달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스피커(410)에 기본 호출어와 추가 호출어를 탑재할 수 있고, 추가 호출어는 셋탑박스(800)에 명령을 내리기 위한 호출 용어로 이용하고 이때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의 마이크 역할을 하게 된다. 추가 호출어는 셋탑박스(800)의 상태에 따라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될 수 있다. 이네이블되는 상태는 초기 설정 중 셋탑박스(800)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혹은 셋탑박스(800)가 연결된 네트워크가 동일한 경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디스에이블되는 상태는 셋탑박스(8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혹은 셋탑박스(800)가 연결된 네트워크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스피커(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의 예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초기 설정 과정에서 네트워크 설정이 완료된 이후 연결 가능한 셋탑박스(800)를 검색할 수 있다(Discovery Mode)(S901).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Discovery Mode가 되면 올조인 방식을 통해 일정 시간(예컨대, 30초) 동안 올조인 신호에 응답하는 셋탑박스(800)를 대기한다(S902).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올조인 신호에 일정 시간 이내에 응답하는 셋탑박스(800)와 연결할 수 있다(페어링)(S903).
이때, 인공지능 스피커(410)가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에 셋탑박스가 1개 존재하는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410)와 셋탑박스(800)가 바로 페어링된다. IPTV화면에서는 "AI 스피커와 연결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한 팝업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인공지능 스피커(410)가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에 셋탑박스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연결 가능한 모든 IPTV화면에 "AI 스피커와 연결하시겠습니까? 연결하기 버튼을 입력해주세요."와 같은 팝업을 띄우고 가장 먼저 연결하기 버튼이 입력된 셋탑박스(800)와 페어링을 한다. 사용자가 어떤 셋탑박스와 연결 가능한지를 IPTV 화면에 표시되는 팝업 메시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진행 과정에서 음성 안내를 통해 사용자의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410)가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에 셋탑박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 가능한 IPTV를 찾지 못했다는 안내 음성과 함께 Discovery Mode를 종료한다.
셋탑박스(800)가 액티브 모드(Active Mode)일 때뿐만 아니라 슬립 모드(Sleep Mode)일 때도 항상 인공지능 스피커(410)와의 페어링이 가능해야 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부팅을 수행하고 셋탑박스(800)와의 페어링 설정에 실패하더라도 인공지능 스피커(410)의 부팅을 수행하여 인공지능 스피커(410)의 이용이 가능케 해야 한다.
기기 간의 페어링은 물론이고 호출 용어 등에 대한 설정은 별도의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인공지능 스피커(410)의 네트워크 연결 및 각종 설정을 위한 어플(즉, 매니저앱)을 통해서 진행될 수도 있다. 매니저앱은 동일한 내부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410)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면 셋탑박스(800)를 검색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와의 페어링이 완료되거나, 혹은 타임아웃(Timeout)된 경우 해당 정보를 서버(4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서버(420)에 셋탑박스 등록 여부가 수신되면 매니저앱에서는 설정 화면을 통해 "셋탑박스와 연결되었습니다." 또는 "셋탑박스와 연결에 실패하였습니다."와 같은 토스트 팝업 노출 후 메인화면으로 이동한다. 매니저앱의 설정 화면에 셋탑박스 등록 여부를 보여주고, 이때 등록되어 있다면 셋탑모델(맥주소) 형태로 사용자에게 노출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필요한 설정이 완료되기 전까지 사용자가 호출 용어를 발화하더라도 "연결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와 같은 로컬 멘트를 발화하고 활성화하지 않는다.
인공지능 스피커(410)에서 매 프로비저닝 시 셋탑박스(800)와의 페어링 이력이 있으면 상기한 초기 설정과정을 스킵하고 최근에 페어링된 셋탑박스(800)와 자동 재연결할 수 있다.
매니저앱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를 재설정 할 시에 네트워크 설정 이후 페어링 과정이 다시 진행되어야 한다. 이때, 인공지능 스피커(410)가 가지고 있는 페어링 설정 이력은 네트워크가 다시 설정된 이후 삭제된다.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와의 페어링 설정이 완료된 이후 기본 호출어 '클로바'가 발화되면 메인 디바이스 동작을 위해 대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904).
한편,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와의 페어링 설정이 완료된 이후 추가 호출어 '티비친구'가 발화되면 릴레이 동작을 위해 대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S906).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호출 용어에 의해 대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LED와 같은 표시 수단을 통해 활성화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기본 호출어에 의한 활성화 상태와 추가 호출어에 의한 활성화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에는 '주황색' LED가 켜지고, 추가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에는 '보라색' LED가 켜질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기본 호출어 '클로바'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전자 기기(410)에서 직접 수행하는 것으로, 일례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답변 정보를 서버(420)로부터 획득하여 인공지능 스피커(410)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905).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추가 호출어 '티비친구'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셋탑박스(800)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해당 음성 명령을 셋탑박스(800)로 전달한다(S907). 이에, 셋탑박스(800)는 인공지능 스피커(41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달 받아 해당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셋탑박스(800)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일례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답변 정보를 서버(420)로부터 획득하여 셋탑박스(8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908).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추가 호출어를 통해 활성화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을 셋탑박스(800)로 전달한다. 이때,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와의 통신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IPTV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발화한 경우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와 같은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셋탑박스(800)의 전원 상태나 연결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발화 시 셋탑박스(8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 스피커(410)에 대한 호출 용어 중 기본 호출어가 발화되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인공지능 스피커(410)로 전달되어 인공지능 스피커(410)에서 해당 동작이 실행되고, 추가 호출어가 발화되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인공지능 스피커(410)를 통해 셋탑박스(800)로 전달되어 셋탑박스(800)에서 해당 동작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로바, 날씨 어때?'와 같이 발화한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410)에서 서버(420)로부터 오늘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정보를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이 스피커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티비친구, 날씨 어때?'와 같이 발화한 경우에는 해당 음성 명령이 인공지능 스피커(410)를 통해 셋탑박스(800)로 전달되어 셋탑박스(800)에서 서버(420)로부터 오늘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정보를 "오늘의 날씨는 ..."와 같이 TV 음성을 출력하거나 날씨에 대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도 8과 도 9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410)가 1개의 셋탑박스(800)와 페어링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셋탑박스 혹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인공지능 스피커(410)에 복수 개의 디바이스가 페어링된 경우 디바이스 별로 호출 용어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공지능 스피커(410)와 페어링된 셋탑박스가 2개인 경우 호출 용어를 3개, 즉 기본 호출어, 셋탑박스1의 호출어, 셋탑박스2의 호출어로 지정하여 탑재할 수 있다.
기본 호출어와 추가 호출어는 사전에 정의된 호출 용어를 적용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지정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댁내에 2개의 셋탑박스가 있는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410)에 2개의 셋탑박스가 연결되고, 셋탑박스1의 호출어와 셋탑박스2의 호출어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 호출어 이외에 다른 추가 호출어가 탑재되어 추가 호출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스피커(410)를 활성화한 경우 인공지능 스피커(4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추가 호출어에 대응되는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하나의 인공지능 스피커(410) 내에서 각 호출 용어에 따라 동작을 달리하거나 다른 엔진을 호출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성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기의 호출 용어를 둘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호출 용어에 따라 인공지능 기기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 설정된 복수 개의 호출 용어 중 어느 하나의 호출 용어가 인식되면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해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 별로 해당 동작을 특정하기 위한 호출 용어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용어와 각 호출 용어 별 동작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 용어는 기본 호출어와 추가 호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기능이 상기 기본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행하고,
    상기 대화 기능이 상기 추가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도록 상기 음성 명령을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검색 신호에 응답하는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와 페어링된 다른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경우 각 디바이스 별로 상기 추가 호출어를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엔진을 호출하여 해당 엔진을 통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활성화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대화 방법.
  9.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인공지능 대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의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기기의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화 활성 트리거로 사용되는 호출 용어를 둘 이상으로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전자 기기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출 용어 중 어느 하나의 호출 용어가 인식되면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활성화부; 및
    상기 대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해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수행부
    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행 가능한 동작 별로 해당 동작을 특정하기 위한 호출 용어를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용어와 각 호출 용어 별 동작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대하여 개인화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상기 호출 용어는 기본 호출어와 추가 호출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수행부는,
    상기 대화 기능이 상기 기본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수행하고,
    상기 대화 기능이 상기 추가 호출어로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도록 상기 음성 명령을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검색 신호에 응답하는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전자 기기와 페어링된 다른 디바이스가 복수 개인경우 각 디바이스 별로 상기 추가 호출어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행부는,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다른 엔진을 호출하여 해당 엔진을 통해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부는,
    상기 인식된 호출 용어에 따라 활성화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
KR1020180039494A 2017-12-18 2018-04-05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0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3017A JP6752870B2 (ja) 2017-12-18 2018-12-13 複数のウェイクワードを利用して人工知能機器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4460 2017-12-18
KR1020170174460 201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202A true KR20190084202A (ko) 2019-07-16
KR102209092B1 KR102209092B1 (ko) 2021-01-28

Family

ID=6747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494A KR102209092B1 (ko) 2017-12-18 2018-04-05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0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9888A (zh) * 2019-09-30 2019-12-27 北京淇瑀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ai语音速率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160318A (zh) * 2020-01-07 2020-05-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20200140595A (ko) * 2019-06-07 2020-12-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IoT 장치를 위한 지능형 음성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10108700A (ko) * 2020-02-26 2021-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간 연동에 기초한 장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102409281B1 (ko) * 2021-11-25 2022-06-15 (주)펜타유니버스 인공지능 기반의 가전기기 인터렉티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05B1 (ko) * 2021-10-01 2023-12-04 (주)파워보이스 멀티 챗봇 모듈을 이용한 가상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0497267Y1 (ko) * 2021-10-06 2023-09-18 (주)미소정보기술 멀티 챗봇 모듈을 이용하는 관리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085A (ko) * 2015-03-13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0094A (ko) * 2014-10-01 2017-06-21 엑스브레인, 인크. 음성 및 연결 플랫폼
KR20170093629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음성인식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094A (ko) * 2014-10-01 2017-06-21 엑스브레인, 인크. 음성 및 연결 플랫폼
KR20160110085A (ko) * 2015-03-13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3629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음성인식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595A (ko) * 2019-06-07 2020-12-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IoT 장치를 위한 지능형 음성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CN110619888A (zh) * 2019-09-30 2019-12-27 北京淇瑀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ai语音速率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619888B (zh) * 2019-09-30 2023-06-27 北京淇瑀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ai语音速率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160318A (zh) * 2020-01-07 2020-05-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11160318B (zh) * 2020-01-07 2023-10-3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20210108700A (ko) * 2020-02-26 2021-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간 연동에 기초한 장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EP4113905A4 (en) * 2020-02-26 2024-02-21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FOR PROVIDING A DEVICE CONTROL FUNCTION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DEVICES AND METHODS THEREOF
KR102409281B1 (ko) * 2021-11-25 2022-06-15 (주)펜타유니버스 인공지능 기반의 가전기기 인터렉티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092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2870B2 (ja) 複数のウェイクワードを利用して人工知能機器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49497B1 (ko) 사용자 발화의 표현법을 파악하여 기기의 동작이나 컨텐츠 제공 범위를 조정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명령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09092B1 (ko)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10104232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6731894B2 (ja) 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968725B1 (ko) 음성요청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을 위한 미디어 선택
KR102079979B1 (ko)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복수의 호출 용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6567727B2 (ja) 受信した音声入力の入力音量に基づいて出力される音の出力音量を調節するユーザ命令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1937028A (zh) 通过使用聊天机器人提供服务的方法及其设备
KR101924852B1 (ko) 네트워크에 연결된 음향기기와의 멀티모달 인터렉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16815A (ko) 복수의 지능형 에이전트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619488B2 (ja) 人工知能機器における連続会話機能
KR20200052612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74927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based on vo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20172722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975423B1 (ko)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02073A (ko) 기계의 자동 활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1082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와 그 동작 방법
KR20220078866A (ko) 외부 장치의 음성 기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061091A (ko) 인텔리전트 어시스턴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5844B1 (ko) 사용자의 위치 및 공간에 알맞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41792B1 (ko) 인공지능 기기에서의 연속 대화 기능
KR20190018666A (ko) 기계의 자동 활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8087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based on vo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80129729A (ko) 네트워크에 연결된 음향기기와의 멀티모달 인터렉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