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157A -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157A
KR20190084157A KR1020170175977A KR20170175977A KR20190084157A KR 20190084157 A KR20190084157 A KR 20190084157A KR 1020170175977 A KR1020170175977 A KR 1020170175977A KR 20170175977 A KR20170175977 A KR 20170175977A KR 20190084157 A KR20190084157 A KR 2019008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style
information
user terminal
serv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542B1 (ko
Inventor
민경필
박정운
최인수
박철영
Original Assignee
(주)휴레이포지티브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레이포지티브,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주)휴레이포지티브
Priority to KR102017017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가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상기 관리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Method providing service for self-management of life habit, and and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질병인자를 갖고 있는 대상자에 대한 생활 습관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자 개개인의 관리 목표를 설정하여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만성질환자의 잘못된 생활습관은 그 유형을 정의하여, 점검표와 같은 형태로 만성질환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잘못된 생활습관에 대한 관리목표를 설정하고, 생활습관의 개선/유지/악화 여부를 추적하는 방법으로는 환자가 병원에 직접 내원하여 생리적 지표의 변화로 유추하는 것만 가능하다. 생활 습관병이라 불리는 만성질환의 경우, 경구약 등의 치료방법도 중요하지만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환자는 치료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목표를 설정해야 할지 알아야 하며, 어떤 요인이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유추하여 지속적인 자가건강관리를 위한 동기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앱을 통한 라이프로그 수집 툴이 개발되고 있지만, 라이프로그의 추이를 평가하는 기준 및 지표가 마련되지 않아 생활습관 점검 문진과 연관지어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여,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여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가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상기 관리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건강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는,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및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질병인자들의 조합에 의해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군 타입은, 상기 비만 코드, 상기 혈당 코드, 상기 혈압 코드 및 상기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의 전송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관리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기가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상기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정보 중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및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인자들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의 출력 후에,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는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생활습관 점검문항들 중에서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고,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상기 관리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및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제공된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비만 코드, 상기 혈당 코드, 상기 혈압 코드 및 상기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는,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생활습관 점검문항들 중에서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고,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및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비만 코드, 상기 혈당 코드, 상기 혈압 코드 및 상기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입력받으면,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여,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여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 등의 관리 대상자는 자신의 치료 또는 관리 목표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어떤 요인이 치료 또는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자가건강관리를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버(10), 통신망(20) 및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에 따른 생활습관 개선사항 및/또는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30)와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서버(1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망(20)은 서버(10)와 사용자 단말기(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통신망(20)은 서버(10)와 사용자 단말기(30) 간에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른 생활습관 점검문항, 생활습관 점검문항의 응답에 따른 생활습관 응답정보, 생활습관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관리목표 알림메시지 및/또는 관리목표 이력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유선 통신망으로서 유선 인터넷, L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은 무선 통신망로서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위험요인 타입을 결정하고, 관리 대상자의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따라, 생활습관 개선사항 및/또는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출력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는 서버 제어부(100), 서버 통신부(110)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DB)(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한다. 여기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는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또는 고지혈증 코드 등을 포함하는 질병인자들의 조합에 의해 분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다.
다음의 표 1은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를 예시하는 테이블 정보이다.
질병인자 분류 테이블
번호 타입 질병인자
비만코드(OB) 혈당코드(BG) 혈압코드(BP) 고지혈증코드(LP)
1 A OB
2 B OB BG
3 C OB BG BP
4 D OB BG BP LP
5 E OB BP
6 F OB BP LP
7 G OB LP
8 H BG
9 I BG BP
10 J BG BP LP
11 K BG LP
12 L BP
13 M BP LP
14 N LP
15 O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만 코드(OB), 혈당 코드(BG), 혈압 코드(BP) 또는 고지혈증 코드(LP)를 포함하는 질병인자들의 조합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들(A ~ O)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표 1의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또는 고지혈증 코드 이외에 다른 질병인자들을 이용하여 분류테이블 메타정보가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100)는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와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의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및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위험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100)는 수신된 건강 정보에 포함된 비만 정보, 혈당 정보, 혈압 정보 또는 고지혈증 정보와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를 매핑함으로써,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에 대응하는 위험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서버 제어부(100)는 관리 대상자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한다. 위험군 타입에 따른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가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다.
다음의 표 2는 점검문항 메타정보를 예시하는 테이블 정보이다.
Figure pat00001
서버 제어부(100)는 위험군 타입에 따라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가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확인한 후에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각각의 답변 즉,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입력된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가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관한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서버 제어부(100)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수신된 생활습관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한다.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다.
다음의 표 3은 개선사항 메타정보를 예시하는 테이블 정보이다.
Figure pat00002
서버 제어부(100)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가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30)는 서버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그 후, 서버 제어부(100)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은 일별, 주간별, 월간별, 년간별로 관리 대상자의 생활 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 시점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100)은 생활습관 개선사항의 이벤트 시점정보를 참고하여,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서버 제어부(100)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한다.
서버 제어부(100)는 생성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가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에 표시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따라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게 되며, 아울러, 이러한 라이프 실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입력된 라이프 실행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가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라이프 실행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서버 제어부(100)는 수신된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관리목표 이력정보는 관리 대상자가 관리목표에 따라 개선된 생활습관을 실행하고 있는지를 시간 흐름에 따라 기록한 라이프 로그정보를 의미한다.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서버 통신부(11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에서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응하는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에서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의 도래에 따라 서버 제어부(100)가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면, 생성된 관리목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110)는 서버 제어부(100)가 라이프 실행정보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면, 생성된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또는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서버 제어부(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데이터베이스(120)는 서버 제어부(10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서버 제어부(100)에 제공하거나, 서버 제어부(100)의 저장 요청에 따라,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3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30)는 단지 서버(10)의 동작에 의해 점검문항 응답정보의 입력, 라이프 실행정보의 입력, 생활습관 점검문항의 출력, 생활습관 개선사항의 출력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서버(1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0)는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에 따른 생활습관 개선사항 및/또는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추출 및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3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는 단말 제어부(200), 단말 통신부(210), 단말 메모리(22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한다. 여기서, 분류테이블메타정보는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또는 고지혈증 코드 등을 포함하는 질병인자들의 조합에 의해 분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는 단말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와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의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및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위험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 입력받으면, 단말 제어부(200)는 입력된 건강 정보에 포함된 비만 정보, 혈당 정보, 혈압 정보 또는 고지혈증 정보와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를 매핑함으로써,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에 대응하는 위험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 제어부(200)는 관리 대상자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한다. 이를 위해, 위험군 타입에 따른 점검문항 메타정보는 단말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확인한 후에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각각의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관한 생활습관 응답정보가 입력되면, 단말 제어부(200)는 입력된 생활 습관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입력된 생활습관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선사항 메타정보는 단말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단말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제어부(200)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은 일별, 주간별, 월간별, 년간별로 관리 대상자의 생활 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 시점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 제어부(200)은 생활습관 개선사항의 이벤트 시점정보를 참고하여,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단말 제어부(200)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한다.
단말 제어부(200)는 생성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을 통해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에서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따라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게 되며, 아울러, 이러한 라이프 실행정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에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라이프 실행정보가 입력되면, 단말 제어부(200)는 입력된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단말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서버(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기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통신부(21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단말 통신부(210)는 서버(10)로부터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또는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들을 단말 메모리(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서버(10)에서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통신부(210)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응하는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서버(10)에서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통신부(210)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의 도래에 따라 서버(10)가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면, 생성된 관리목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 통신부(110)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서버(10)가 라이프 실행정보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면, 생성된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메모리(220)는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및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단말 메모리(220)는 단말 제어부(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메모리(220)는 단말 제어부(20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단말 제어부(200)에 제공하거나, 단말 제어부(200)의 저장 요청에 따라, 해당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단말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른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응하는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로부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 제어부(200)에서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 또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키 보드(key board), 패널 (touch panel), 스캐닝 펜(scanning pen), 또는 초음파 (ultrasonic)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보드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스캐닝 펜은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 (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디바이스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마이크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단말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영상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 (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 (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기(30)는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00). 관리 대상자에 대한 건강정보를 수신한 서버(10)는 건강 정보에 포함된 비만 정보, 혈당 정보, 혈압 정보 또는 고지혈증 정보와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을 매핑함으로써,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에 대응하는 위험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S402). 그 후, 사용자 단말기(30)는 관리 대상자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요청신호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404). 이에 따라, 서버(10)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 중에서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한다(S406). 그 후, 서버(10)는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08). 서버(10)가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S41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에 표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확인한 후에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입력된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12). 그 후, 서버(10)는 수신된 생활습관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한다(S414). 서버(10)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16). 서버(10)가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30)는 서버(10)로부터 수신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S418). 그 후, 서버(10)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S420).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서버부(10)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 및 생성된 관리목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422). 서버(10)가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에 표시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따라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게 되며, 아울러, 이러한 라이프 실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입력된 라이프 실행정보를 서버(10)로 전송한다(S426). 그 후, 서버(10)는 수신된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한다(S428). 생성된 관리목표 이력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서버는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를 서버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S500 단계). 건강 정보는 관리 대상의 건강과 관련된 비만 정보, 혈당 정보, 혈압 정보 또는 고지혈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500 단계 후에, 서버는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한다(S502 단계). 서버는 수신된 건강 정보에 포함된 비만 정보, 혈당 정보, 혈압 정보 또는 고지혈증 정보와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를 매핑함으로써,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에 대응하는 위험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S502 단계 후에, 서버는 관리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한다(S504 단계). 서버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할 수 있다.
S504 단계 후에, 서버는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S506 단계). 서버가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확인한 후에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각각의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된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서버는 관리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수신한다.
S506 단계 후에, 서버는 수신된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한다(S508 단계). 서버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할 수 있다.
S508 단계 후에, 서버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510 단계). 서버가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S510 단계 후에, 서버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S512 단계).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은 일별, 주간별, 월간별, 년간별로 관리 대상자의 생활 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 시점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의 이벤트 시점정보를 참고하여,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서버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514 단계). 서버가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따라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게 되며, 아울러, 이러한 라이프 실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된 라이프 실행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S514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가 관리 대상자로부터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입력받아서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한다(S516). 서버는 생성된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600 단계).
S600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한다(S602 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된 건강 정보에 포함된 비만 정보, 혈당 정보, 혈압 정보 또는 고지혈증 정보와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를 매핑함으로써, 관리 대상자의 건강 정보에 대응하는 위험군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S602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관리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한다(S604 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관리 대상자의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할 수 있다.
S604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입력받는다(S606 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확인한 후에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각각의 생활습관 응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S606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된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 및 출력한다(S608 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S608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S610 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의 이벤트 시점정보를 참고하여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사용자 단말기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출력한다(S612 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관리목표 알림 메시지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따라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게 되며, 아울러, 이러한 라이프 실행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S612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된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한다(S614). 사용자 단말기는 생성된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생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서버
20: 통신망
30: 사용자 단말기
100: 서버 제어부
110: 서버 통신부
120: 서버 DB
200: 단말 제어부
210: 단말 통신부
220: 단말 메모리
23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서버가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상기 관리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건강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테이블 메타정보는,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및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질병인자들의 조합에 의해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험군 타입은,
    상기 비만 코드, 상기 혈당 코드, 상기 혈압 코드 및 상기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의 전송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7. 관리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기가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에 따라, 상기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에서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정보 중 비만 코드, 혈당 코드, 혈압 코드 및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인자들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의 출력 후에,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
  12.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생활습관 점검문항들 중에서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고,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상기 관리 대상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및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제공된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비만 코드, 상기 혈당 코드, 상기 혈압 코드 및 상기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
  17. 건강과 관련한 복수의 질병인자들을 코드화하여 분류한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질병인자에 따른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고, 생활습관 점검문항들 중에서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추출하고, 상기 생활습관 점검문항에 대한 상기 관리 대상자의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점검문항을 출력하고,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질병인자 분류테이블에 대한 분류테이블 메타정보, 상기 관리 대상자의 상기 위험군 타입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점검문항들에 관한 점검문항 메타정보 및 상기 점검문항 응답정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개선사항들에 관한 개선사항 메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비만 코드, 상기 혈당 코드, 상기 혈압 코드 및 상기 고지혈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상기 위험군 타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점이 도래하였다면 상기 생활습관 개선사항에 대응하는 관리목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관리목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는 라이프 실행정보를 상기 관리 대상자로부터 입력받으면, 상기 라이프 실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관리목표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KR1020170175977A 2017-12-20 2017-12-20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KR10209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77A KR102093542B1 (ko) 2017-12-20 2017-12-20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77A KR102093542B1 (ko) 2017-12-20 2017-12-20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157A true KR20190084157A (ko) 2019-07-16
KR102093542B1 KR102093542B1 (ko) 2020-04-28

Family

ID=6747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977A KR102093542B1 (ko) 2017-12-20 2017-12-20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6452A (zh) * 2021-07-16 2021-10-1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生活服务引导方法、装置、控制终端及存储介质
KR20220074250A (ko) * 2020-11-27 2022-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011A (ko) * 2012-09-11 2014-03-19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서버의 당뇨병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61618A (ko) * 2014-11-24 2016-06-01 김명철 건강검진 서비스 관리방법
KR20170097338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유비케어 맞춤형 건강 가이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011A (ko) * 2012-09-11 2014-03-19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서버의 당뇨병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61618A (ko) * 2014-11-24 2016-06-01 김명철 건강검진 서비스 관리방법
KR20170097338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유비케어 맞춤형 건강 가이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250A (ko) * 2020-11-27 2022-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아동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 안내 방법 및 장치
CN113516452A (zh) * 2021-07-16 2021-10-1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生活服务引导方法、装置、控制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542B1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tgomery et al. Health wearables: ensuring fairness, preventing discrimination, and promoting equity in an emerging Internet-of-Things environment
EP2891999A2 (en) Cloud systems for providing health-related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s thereof
Eyrich et al. Bridging the digital divide to avoid leaving the most vulnerable behind
US86304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age-based nutrition/health monitoring
Villagran Methodological diversity to reach patients along the margins, in the shadows, and on the cutting edge
Paula et al. Healthcare telemonitoring and business dynamic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SUS
Atkinson et al. Systems modelling and simulation to inform strategic decision making for suicide prevention in rural New South Wales (Australia)
KR20190073120A (ko) 건강 관리를 위한 사용자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서버
Kozar et al. Are all deaths recorded equally? The impact of hospice care on risk-adjusted mortality
Smith et al. A scoping review to identify the techniques frequently used when analysing qualitative visual data
KR102093542B1 (ko) 생활 습관 자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Tokosi et al. The impact of mHealth interventions on breast cancer awareness and screening: systematic review protocol
Krittanawong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global health
KR20220026214A (ko) 음식 메뉴 추천 방법 및 음식 메뉴 추천 시스템
Rao et al. Long-term trends of use of health service among heart failure patients
Wang et al. The promi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in the remote monitoring of postsurgical wounds: a literature review
US201701477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atient-provider interactions and timelines
US20200258634A1 (en) Machine learning for automatically providing notifications and providing content dynamically
US20170351820A1 (en) Scheduling interaction with a subject
AU2021418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access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windows
US201600193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media consent
Paglialonga et al. e-Health solutions for better care: Characterization of health apps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and support users' choices
Kim et al. Development of real-time Internet of Things motion detection platform applying non-contact sensor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Kaplan et al.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ients who leave hospital against medical advice: predictors and temporal trends
Abusham et al. Smartphone application for Self-Management Diabete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