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885A -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885A
KR20190083885A KR1020180001863A KR20180001863A KR20190083885A KR 20190083885 A KR20190083885 A KR 20190083885A KR 1020180001863 A KR1020180001863 A KR 1020180001863A KR 20180001863 A KR20180001863 A KR 20180001863A KR 20190083885 A KR20190083885 A KR 2019008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e
house body
frame structur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9879B1 (en
Inventor
신영복
박수용
원종혁
Original Assignee
신영복
원종혁
박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복, 원종혁, 박수용 filed Critical 신영복
Priority to KR102018000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79B1/en
Publication of KR2019008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02P60/1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proof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proof house enabling natural ventilation which can increase cultivation efficiency of various crops by enabling natural ventilation in a state that ventilation holes are opened, and can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 the house through opened ventilation holes when it rains. The rainproof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e main body in which an outer cover material is covered on a first frame structure composed of pluralities of first arch steel materials and first linear steel materials; a second house main body in which an outer cover material is covered on a second frame structure composed of pluralities of second arch steel materials and second linear steel materials, and an opened first ventilation hole is formed by a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ouse main body and the second frame structure installed at a ceiling height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frame structure; a third house main body in which an outer cover material is covered on a third frame structure composed of pluralities of third arch steel materials and third linear steel materials, and an opened second ventilation hole is formed by a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house main body and the third frame structure installed at a ceiling height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frame structure; a front surface part which blocks an opened one side of the first house main body facing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has at least one front surface door; and a rear surface part which blocks an opened one side of the third house main body facing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has at least one rear surface door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 main bodies are formed at a formation length ratio of 5:3:2.

Description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비가림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연 환기 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rigid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rigid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와 같은 비가림 하우스는 프레임용 파이프를 터널 구조로 배치하여 지반에 고정하고, 프레임용 파이프의 상부에 투명한 비닐을 씌운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각종 과일이나 야채류와 같은 작물을 계절에 따라 조기 출하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화훼재배, 또는 건조시설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Generally, a rain forest house such as a vinyl house is constructed by arranging a pipe for a frame in a tunnel structure and fixing it to a ground, and a transparent vinyl is 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pe for a frame, and various crops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are seasonally It is used for early shipment, as a flower cultivation, or as a drying facility.

특히, 온실효과에 의해 겨울에도 각종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고, 사계절 내내 생산성과 고품질의 작물 재배가 가능하여 각종 작물 재배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ultivate various crops in the winter due to the greenhouse effect, and it is possible to grow the crops with high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throughout the seasons, and is widely used for culturing various crops.

이러한 비가림 하우스 내에서 각종 작물들이 적절하게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가림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환기하고, 내부의 공기의 적정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It is very important to ventilate the inside of the rain-fed house and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side air to ensure that various crops grow properly in this rain-fed house.

이러한 비가림 하우스는 차가운 기온이나 바람, 눈 등을 차단하는 간이시설물로서 기본적인 환기구조를 갖는데, 종래 대표적인 환기방법으로는 창문을 열어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창으로부터는 실외공기가 유입되고, 정반대측 창으로는 실내의 오염공기를 배출하여 교환시키는 풍력환기가 있다.This rain forest house is a simple facility that blocks cold air temperature, wind, and snow. It has a basic ventilation structure. In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method, outdoor air is introduced from a wind-blowing window by opening a window, There is wind ventilation in window to exchange polluted air in indoor.

그러나 이와 같은 풍력환기는 바람이 있을 때는 문제가 없으나, 바람은 시시각각으로 강도와 풍향이 변하므로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하기가 어려웠고, 실외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따위의 이물이 실외공기와 함께 실내로 들어와 실내가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wind ventilation does not have a problem when there is wind,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amount of ventilation because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wind change instantaneously, an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ontained in outdoor air enters the room together with outdoor ai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terior easily becomes dirty.

또한, 풍력환기와 함께 자연환기에 속하는 중력환기가 알려져 있는데 환기통에 의한 환기는 중력환기의 예로서, 실내의 온도가 외부보다 높을 때는 그 속의 따뜻한 공기는 외부의 찬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흘러 환기가 된다.In addition, gravitational ventilation belonging to natural ventilation is known along with wind ventilation. Ventilation by ventilation duct is an example of gravity ventil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at of the outside, warm air inside the ventilator is lighter than the outside cold air, It becomes ventilation.

그러나 이러한 중력환기 또한 실내외의 온도차가 계절에 따라 상이하므로 언제나 일정한 환기량을 기대할 수 없었다.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ason, the constant ventilation amount can not always be expected.

즉, 동절기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커서 환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하절기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냉방시 오히려 실내온도가 실외보다 낮아 환기가 불안정하고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at is, in wint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the outdoor is large so that the ventilation is active.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the outdoor is not large during the summer,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during cooling so that the ventilation is unstable and insufficient.

이와 같은 풍력환기, 중력환기와 같은 자연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바로 팬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환기를 시키는 기계식 환기방식이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of natural ventilation such as wind power ventilation and gravity ventilation, it is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which forced ventilation using a fan or the like.

이러한 기계식 환기방식은 흡기입구, 흡기출구, 배기입구 및 배기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각각 흡기입구와 배기입구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흡입한 후 흡기출구와 배기출구로 각각 토출시키는 흡기팬 및 배기팬과,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공기의 열을 교환시키는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The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includes a housing formed with an intake inlet, an intake outlet, an exhaust inlet, and an exhaust outlet, respectively, and a control unit that sucks the outside air and the room air through the intake inlet and the exhaust inlet into the housing, And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sucked into the housing and the indoor air.

이때 하우징은 건축물의 벽에 설치되고, 열교환기는 내부로 흡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됨이 없이 열을 교환한 뒤 각각 흡기출구와 배기출구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housing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utdoor air and the room air sucked therein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inlet and the outlet.

따라서 흡기팬과 배기팬을 작동시키면, 흡기팬과 배기팬의 작용으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흡기입구와 배기입구를 통하여 하우징으로 각각 흡입되는바, 흡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을 교환한 뒤 흡기출구와 배기출구를 통하여 각각 실내와 실외로 토출된다.Accordingly, when the intake fan and the exhaust fan are operated,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re suck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take inlet and the exhaust inlet respectively by the action of the intake fan and the exhaust fan, and the sucked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nd the outside through the intake and exhaust ports, respectively.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환기방식은 흡기팬과 배기팬으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환기하는 방식이므로 자연환기에 비하여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소음발생과 에너지 소비가 수반된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자연환기를 더 선호하는 현 시대적 흐름에 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outdoor air and room air are forcedly flowed through an intake fan and an exhaust fan to ventilate the indoor air, there is a merit that the ventilation amount can be maintained as compared with natural ventilation,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ise generation and energy consumption are accompani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contrary to the current trend of preferring environment-friendly natural ventilation.

(특허문헌 1) KR10-1171673 B1 (Patent Document 1) KR10-1171673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환기구의 개방상태에 자연환기가 가능하여 다양한 작물의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고, 우천시 개방된 환기구를 통하여 빗물이 하우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연환기가 가능한 비가림 하우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ultivation of various crops by allowing natural ventila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ventilation openings, And to provide a non-refuse house capable of natural ventilation that can prevent inflow.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와 제1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어지는 제1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와 제2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1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와 제3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3프레임구조체와 제2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하우스본체 ;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를 갖는 전면부 ; 및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를 갖는 후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 제2하우스본체 및 제3하우스본체의 형성길이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house body having a first frame structure made up of a plurality of first arch steels and a first straight steel material and having an envelope material; The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frame structure and the first house body, which is covered with the second frame structu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arch steels and the second straight steel member and relatively higher than the ceiling height of the first frame structure, A second house body forming a first vent hole opened by the second house body; The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frame structure and the second house body, which is covered with the outer frame material of the third frame structu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third arch steels and the third straight steel material and relatively higher than the ceiling height of the second frame structure, A third house body forming a second vent hole opened by the second house body; A front portion which cuts off an open side of the first house body facing the first vent and has at least one front door; And a rear surface portion blocking the open side of the third house body facing the second vent and having at least one rear door;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house body, the second house body and the third house body is 5: 3: 2.

바람직하게,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차단판과, 상기 제1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2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1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preferably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ing a first blocking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A plurality of first dowels fixedly installed on the second arch steel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tow wires to be connected are guided and a first actuating part for winding and controlling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tow wires hav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1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바는 상기 제2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1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1절곡바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first guide bar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blocking plate which is vertically mov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the first guide bar is provided on the second arch steel A first vertical bar fixedly install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first bending bar folded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a lower end of a first blocking plate waiting to descend.

바람직하게,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3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preferably include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ventilation hol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ing a second blocking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 plurality of second drums fixedly installed on the third arch steel so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pull wires to be connected are guided and a second actuating part for winding and controlling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ull wires hav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2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바는 상기 제3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2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2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2절곡바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second guide bar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which is vertically mov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the second guide bar is provided on the third arch steel And a second bending bar that is fold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ar and is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that waits for a lowering.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제1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접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하거나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제3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연결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ront part includes auxiliary ventilation holes formed by horizontal steel materials having opposite ends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first arch steel material, or a horizontal steel material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third arch steel material, And the auxiliary vents may be form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폐부는 상기 보조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추어 상기 수평강재와 경첩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차단부와, 상기 보조차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 또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고정설치되는 보조도르레와, 상기 제3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3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opening / closing unit may include an auxiliary opening / closing unit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auxiliary opening and being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horizontal steel through the hinge member, A third pulley wire fixed to the first frame structure or the third frame structure so as to guide the third pull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auxiliary blocking unit; And a third operating por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차단부는 제1,2고정공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강재와 경첨부재를 매개로 하여 조립되는 좌우한쌍의 연결체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1고정공에 양단이 삽입고정되는 곡선재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2고정공에 양단이 삽입되는 직선재 및 상기 곡선재와 직선재를 덮는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uxiliary block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connecting bodies formed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and interposed between the horizontal steel and the lightweight member, A curved member to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and fixed, a straight member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oupling members, and a vinyl covering the curved member and the linear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제2하우스본체는 상기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1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1연장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3하우스본체는 상기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2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house body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in a curved plate shape extending from the second arch steel forming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toward the first house body side, or the third house body includes the second ventilation opening,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in the shape of a curved plate extending from the third arch steel material forming the first house body side to the second house body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아치강재와 제2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이며,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아치강재와 제3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2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a curved plate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of a first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and fixed to a first support bar provided between the first arch material and the second arch material,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and fixed to a second support bar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arch steel and the third arch steel.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상단에 구비된 힌지축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amper portion includes a damper plate having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an opening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r the rear portion of the damper plate, and a hing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damper plate, And a shaft supporting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shaft.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살균제거하는 공간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살균부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제3탱크와, 상기 제1,2 및 3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차아염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PH5.1 ~ 5.9의 잔류염소가 중화된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HOCL) 살균액을 제조하는 혼합반응기 및 상기 혼합반응기와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살균액을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 steriliz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torage tank for storing sodium hypochlorite, a second storage tank for storing sodium hypochlorite, and a second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first sterilizing unit, A second tank for storing water, a third tank for storing carbon dioxide, sodium hypochlorite, water an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tanks, (HOCL) sterilizing liquid, which is neutralized with residual chlorine, and a sterilizing liquid supplied by being pumped to the mixing reactor through a supply line, is su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s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jetting in the inner spa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제1,2 및 본체하우스를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면서 서로 인접하는 본체하우스의 경계영역에 천정높이차에 의해서 제1,2환기구를 형성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한편, 상측 제1,2환기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공간에서 대류에 의한 자연적인 환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온도조절이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작물에 대한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우천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므로 현실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1)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y hous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openings are formed by the ceiling height difference in the boundary area of the main hous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natural ventilation by convection in the internal space by forming openings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ng openings and to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improve the cultivation efficiency for various crops, So that it can be very usefully applied in practice.

2) 중력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에 의하여 제1,2 및 3하우스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환기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소비가 없어 친환경적인 재배시설물을 구축할 수 있다. 2) Natural ventilation system using gravity can induce ventilation in the internal sp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 bodies, minimizing noise generation and constructing eco-friendly cultivation faciliti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3)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물을 혼합한 차아염소산수를 분무하여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꽃가루, 스모그 분진 및 미세먼지를 포집 제거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CO2)를 같이 혼합하여 분무함으로써 잔류염소도 중화시킬 수 있어 재배작물의 성장조건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3) By spraying hypochlorous acid water mixed with sodium hypochlorite and water,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remove fine dust, pollen, smog dust and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spraying mixed carbon dioxide (CO2)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growth condition of cultivated crops pleasantly, thereby increasing the yield of the crops and cultivating the crops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2a 와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서 외피재를 제거한 상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제1,2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제1,2개폐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에 적용되는 제3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의 내부에 제1,2환기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liming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nonrigid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housing material is removed.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s applied to a non-liming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applied to a non-liming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applied to a rain gutter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ird opening / closing part applied to a nonrigid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ng holes in a non-refractory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연 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100)는 도 1 과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높이가 서로 상이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고,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아치형 단면구조를 갖는 제1,2 및 하우스본체(10,20,30) 및 전,후면부(40,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A, the rain-fed house 100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iling height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bodies 10, 20, 30 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40, 50 having an arcuate cross-sectional structure to form a space.

상기 제1하우스본체(10)는 지면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길이중간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11)와 이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직선강재(12)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house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rch steels 11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and fix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curved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a plurality of first rectilinear steels 12 The first frame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frame structure.

이러한 제1하우스본체(10)의 제1프레임구조체 외부면에는 투명한 소재의 비닐이나 부직포와 같은 외피재를 덮어 외관을 마무리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body 10 of the first house body 10 is covered with a covering material such as a vinyl or nonwoven fabric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finish the appearance.

상기 제2하우스본체(20)는 지면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길이중간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21)와 이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직선강재(22)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house main body 2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arch steels 21 having both ends thereof inserted and fixed on the ground and curved in the middle,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tilinear steels 22 The second frame structure may include a second frame structure.

외피재로 외면이 덮어지는 제2하우스본체(20)의 제2프레임구조체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의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와 제2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와 제2하우스본체(20)사이에는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structure of the second house body 20 whose outer surface is covered with the sheath material is install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ceiling height of the first frame structure of the first house body 10,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e body 10 and the second house body 20 by the difference in ceiling height between the frame structures.

상기 제3하우스본체(30)는 지면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길이중간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31)와 이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면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3직선강재(32)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house main body 30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arch steels 31 having both ends thereof fixedly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having a curved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a plurality of third straight steel plates 32 The second frame structure may include a second frame structure.

외피부재로 외면이 덮어지는 제3하우스본체(30)의 제3프레임구조체는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의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3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와 제3하우스본체(30)사이에는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third frame structure of the third house body 30 whose outer surface is covered with the sheath member is install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ceiling height of the second frame structure of the second house body 20, The second ventilation opening can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house body 20 and the third house body 30 by the difference in ceiling height between the frame structures.

이때,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제1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후단의 제1아치강재(11)와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선단의 제2아치강재(21)는 동일한 지면에서 수직한 양단이 서로 겹쳐져서 삽입고정되고, 상기 제1환기구(A)의 개구크기는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와 제2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를 가변시키는 것에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arch steel material (11) at the rearmost end forming the first frame structure of the first house body and the second arch steel material (21) at the extreme end forming the second frame structure of the second house body The opening size of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A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rame structure and the second frame structure.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후단의 제2아치강재(21)와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제3프레임구조체를 형성하는 최선단의 제3아치강재(31)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지면에서 수직한 양단이 서로 겹쳐서 삽입고정되고,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크기는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3프레임구조체간의 천정높이차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The second arch steel material 21 at the rearmost end forming the second frame structure of the second house body and the third arch steel material 31 forming the third frame structure of the third house body also form the third arch structure 31, Likewise, both ends perpendicular to the same plane are inserted and fixed to each other, and the opening size of the second ventilation opening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frame structure and the third frame structure.

이때, 상기 제1,2 및 3아치강재(11,21,31)의 길이중간에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아치부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2환기구의 개구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arch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middle of the length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arch steels 11, 21, 31 is preferably the same as each other, The sizes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equal to each other, but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sizes.

여기서, 상기 제1하우스본체(10), 제2하우스본체(20) 및 제3하우스본체(30)의 형성길이(A,B,C)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s A, B and C of the first house body 10, the second house body 20 and the third house body 30 are preferably in a ratio of 5: 3: 2.

상기 전면부(40)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44)를 갖추어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도록 외피재가 씌어진 프레임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ront part 4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ront door 44 so as to allow an operator to move in and out of the front part 40. The front part 40 has a frame structure ≪ / RTI >

상기 후면부(50)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54)를 갖추어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30)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도록 외피재가 씌어진 프레임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ear portion 5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rear door 54 for allowing an operator to move in and out, and a frame structure, which is covered with a sheathing material to block an open side of the third house body 30 facing the second ventilation opening Lt; / RTI >

그리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와 제2하우스본체(20)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entilating opening formed by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eiling heights of the first house body 10 and the second house body 20.

상기 제1개폐부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차단판(2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차단판(25)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23a,23b)는 상기 제2아치강재(21)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도르레(25a)에 감기어 안내이동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23a,23b)의 타단은 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한 높이에 설치되는 제1작동부(28)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감기는 휠을 회전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first shielding plate 25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first ventilation opening, The plurality of first traction wires 23a and 23b to which the first traction wires 23a and 23b are connected is guided and guided by a plurality of first pulleys 25a fixed to the second arch steel 21, 23a and 23b are connected to a first actuating part 28 provided at a height at which a worker can manipulate, and the first actu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pulling wires, And may include a manipulating handle.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와 제3하우스본체(30)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Similarly,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ventilating opening formed by the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house body 20 and the third house body 30 may be included.

상기 제2개폐부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차단판(3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차단판(35)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33a,33b)는 상기 제3아치강재(31)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도르레(35a)에 감기어 안내이동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33a,33b)의 타단은 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한 높이에 설치되는 제2작동부(38)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작동부에도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감기는 휠을 회전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 second blocking plate 35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second ventilation opening,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plate 35 The plurality of second traction wires 33a and 33b are guided and guid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pulleys 35a fixed to the third arch steel 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raction wires 33a and 33b ) Is connected to a second operation portion (38) installed at a height at which a worker can operate, and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pulling wires to rotate the wheel . ≪ / RTI >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1,2작동부의 핸들조작에 의해서 휠에 감겨진 제1,2견인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2차단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구된 제1,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since the operator can raise or lower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plates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traction wires wound on the wheel by the handl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ing parts,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openings can be selectively blocked or opened.

그리고, 상기 제1,2개폐부에는 상기 제1,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서 상하이동되는 제1,2차단판(25,35)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1,2안내바(24,3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guide bars 24 and 24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plates 25 and 35 which are moved up and dow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openings, 34, respectively.

상기 제1안내바(24)는 상기 제2아치강재(21)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제1수직바(24a)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바(24a)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제1환기구의 개방시 하강대기하는 제1차단판(25)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1절곡바(2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bar 24 includes a first vertical bar 24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arch steel member 21. The first vertical bar 24a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24a, And a first bending bar 24b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blocking plate 25 waiting to descend upon opening of the first ventilation hole.

상기 제2안내바(34)는 상기 제3아치강재(31)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제2수직바(34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바(34a)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제2환기구의 개방시 하강대기하는 제2차단판(35)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2절곡바(3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bar 34 includes a second vertical bar 34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third arch steel 31. The second vertical bar 34a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ar 34a, And a second bending bar 34b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35 waiting to descend upon opening o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또한, 천정높이가 가장 낮은 제1하우스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면부에는 도 5와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아치강재(11)의 길이중간에 형성되는 아치부에 양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수평강재(11a)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환기구는 천정높이가 가장 높은 제3하우스본체(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후면부에도 상기 제3아치강재(31)의 길이중간에 형성되는 아치부에 양단이 접하여 고정되는 다른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house body 10 having the lowest ceiling height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first arch steel material 11 And the auxiliary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by a horizontal steel material 11a fixed to both ends of the third housing main body 30. The auxiliary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rear wall of the third house main body 30 having the highest ceiling height, And another horizontal steel material having both ends tangent to and fixed to the arch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slab 31.

그리고,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n auxiliary opening / closing unit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auxiliary ventilation opening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이러한 보조개폐부는 상기 보조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추어 상기 수평강재(11a)와 경첩부재(15c)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차단부(45)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차단부(45)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견인와이어(45b)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제1직선강재 또는 제3프레임구조체의 제3직선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보조도르레(45a)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견인와이어(45b)의 타단은 작업자의 조작이 가능한 높이에 설치되는 제3작동부(45c)에 연결되고, 상기 제3작동부에는 상기 제3견인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어 감기는 휠을 회전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n auxiliary blocking part 45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auxiliary ventilation opening and assembled to be rotatable via the hinge member 15c with the horizontal steel material 11a, (45a) fixed to the first straight steel member of the first frame structure or the third straight steel member of the third frame structure so that the third pulling wire (45b),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hird straight steel member The other end of the third pulling wire 45b is connected to a third actuating part 45c provided at a height at which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device and the third actu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pulling wire, And a handle for rotating the wheel.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3작동부의 핸들조작에 의해서 휠에 감겨진 제3견인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보조차단부를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개구된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pivot the auxiliary blocking portion by controlling the third traction wire wrapped around the wheel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f the third actuating portion so that the auxiliary vent is opened selectively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보조차단부(45)는 제1,2고정공(15a,15b)을 일면에 함몰형성하여 상기 수평강재(11a)와 경첩부재(15c)를 매개로 하여 조립되는 좌우한쌍의 연결체(15)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15)의 각 제1고정공(15a)에 양단이 삽입고정되는 곡선재(45d)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15)의 각 제2고정공(15b)에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직선재(45e)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재(45d)와 직선재(45e)를 덮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의 외피재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blocking portion 45 is formed by recess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15a and 15b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coupling members, which are assembled through the hinge member 15c and the horizontal steel material 11a, And a curved member (45d) having both ends fixedly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holes (15a)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connecting bodies (15), wherein the left and right pair of connecting bodies (15) And a linear member 45e having both ends fixedly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second fixing holes 15b and may include a sheath material of a transparent or opaque material covering the curved member 45d and the linear member 45e have.

또한, 상기 제2하우스본체(20)는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제1환기구를 통하여 우천시 내리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아치강재(21)의 길이중앙인 천정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하우스본체(10)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1연장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A, the second house body 20 includes a second arch steel member 21, which forms the first ventilation hole, to prevent rainwater from falling through during the rainy season through the opened first ventilation hole. And a first extended portion 26 in the form of a curved plate extending from the ceiling area having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first house body 10 toward the first house body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3하우스본체(30)는 제1하우스본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아치강재(31)의 길이중앙인 천정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2연장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house body 30 has a curv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ceiling area at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third arch steel 31 forming the second ventilation hole toward the second house body 20, And may include a plate-like second extension portion 36.

이때, 상기 제1연장부(26)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제1아치강재와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바(26b)와 연결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켓(26a)을 하부면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장부(36)는 상기 제2하우스본체(20)의 제2아치강재(21)와 상기 제3하우스본체(30)의 제3아치강재(31)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바(36b)와 연결고정되는 제2지지브라켓(36a)을 하부면에 포함할 수 있으며, At this time,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6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ing bar 26b,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rch steel of the first house body and the second arch steel of the second house body, Brackets 26a may be includ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extension 36 may include brackets 26a on the second arch body 21 of the second house body 20 and the third arch body 21 of the third house body 30. [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36a connected to and fixed to a second support bar 36b provided between the arch steel 31,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26)와 제2연장부(36)는 상기 제2,3하우스본체(20,30)의 천정면을 형성하는 곡률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extending portion 26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36 are curved plates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urvature as that forming the ceiling face of the second and third house bodies 20 and 30 .

또한, 상기 제1,2환기구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서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판상의 제1,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제1아치강재(11)를 천정높이가 높은 제2하우스본체의 내측에 중첩배치되도록 일정길이 진입시켜 설치하고, 상기 제2하우스본체의 제2아치강재(21)를 천정높이가 높은 제3하우스본체의 내측에 중첩배치되도록 일정길이 진입시켜 설치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개방된 제1,2환기구를 통하여 하우스본체내부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A, in order to block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ng openings,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curved pl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first arch steel member 11 of the first house main body is install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e main body having a high ceiling height and the second arch steel member 21 of the second house main body Is install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inside of the third house main body having a high ceiling height so that the rain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hous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ng openings when raining.

상기 전면부(40)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시에 개방되고 제1,2 및 3 하우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공기배출시에 차단되는 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42)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댐퍼판(46)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판(46)의 상단에 구비된 힌지축(46a)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재(46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40 may include a damper portion that is opened when the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is blocked when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 main bodies to the outside. The damper plate 46 includes a damper plate 46 having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the opening 42 form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damper plate 46. The damper plate 46 includes a hinge shaft 46a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amper plate 46, And a support member 46b.

이러한 댐퍼부는 상기 후면부에도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댐퍼부에 의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서 상기 댐퍼판(46)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개방됨으로써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할 수 있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제1,2환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The damper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rear portion. The damper plate 46 is rotated inward by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the damper portion,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openings.

또한, 외부온도에 비하여 상기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면서 내부공기가 상승되면, 대류현상에 의해서 상승되는 내부공기는 개방된 제1,2환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환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s is raised and the internal air is raised, the internal air raised by the convectio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openings Because it can be natural ventilation.

한편, 상기 전면부(40)에 구비되는 댐퍼부는 외부공기가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될때 개방되고, 상기 후면부(50)에 구비되는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에 구비되는 댐퍼부와는 반대로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개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amper part of the front part 40 is opened whe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opening part and the damper part of the rear part 50 is in contact with the damper part of the front part, 2 < / RTI > and 3 < RTI ID = 0.0 > housings < / RTI >

이러한 경우, 외부공기가 내부유입되면서 댐퍼판이 내측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전면부의 개구부에는 양압이 형성되고,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공기가 외부배출되면서 댐퍼판이 외측으로 젖혀져 개방되는 후면부의 개구부에는 음압이 형성되면, 풍압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에 의하여 실내외 온도차(동절기에는 온도차이가 크지만 하절기에는 온도차이가 작다)에 관계없이 연중으로 자연적으로 환기를 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a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where the damper plate is inwardly opened whil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the rear portion of the damper plate is opened when the damper plate is turned outward while the internal air of the first, It is possible to ventilate naturally throughout the year regardless of the indoor /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in winter, bu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small in summer) by natural ventilation using wind pressure.

한편, 상기 제1,2 및 하우스본체(10,20,3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살균제거하는 공간살균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pace sterilizing unit 60 may steriliz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s of the first, second, and house bodies 10, 20, and 30.

이러한 공간살균부는 일정량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62)를 포함하고, 일정량의 물(H2O)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63)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제3탱크(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및 3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치아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PH5.1 ~ 5.9의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HOCL)살균액을 제조하는 혼합반응기(61)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반응기(61)와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살균액을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10,20,30)의 내부공간에서 분무형태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65)을 포함할 수 있다.This space sterilizing section includes a first storage tank 62 for storing a certain amount of sodium hypochlorite (NaCLO) and a second storage tank 63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H2O) (HOCL) having a pH of 5.1 to 5.9, which is a mixture of sodium hypochlorite, water and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tanks, and a third tank (64) And a sterilizing liquid su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s 10, 20, and 30 by a sterilizing liquid supplied from the mixing reactor 61 via the supply line, A plurality of nozzles 65 for spraying in the form of a spray in the inner space of the nozzle.

그리고, 상기 노즐(65)은 상기 제1,2 및 3하우스본체(10,20,30)의 제1,2 및 3직선강재(11,21,31)를 따라 설치되는 살균액 공급라인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액 공급라인은 상기 제1,2환기구의 양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2차단판의 양측단과 겹쳐지는 고정판(27,37)에 관통형성된 관통공(27a,37a)을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nozzle 65 is provided in a sterilizing liquid supply line provided al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ar steel materials 11, 21, 31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s 10, And the sterilizing liquid supply line includes through holes 27a and 37a formed i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holes and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plates 27 and 37 overlapping with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plates, As shown in FIG.

이때, 혼합반응기에서 살균액을 제조하기 위한 치아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간의 반응은 아래와 같은 반응식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reaction between sodium hypochlorite, water and carbon dioxide for producing a sterilizing liquid in a mixing reactor is performed by the following reaction formula.

2NaCLO + H2O + Co2 = 2HCLO + CLO + 2Na + Co3 + H 2NaCLO + H2O + Co2 = 2HCLO + CLO + 2Na + Co3 + H

염소계 소독제의 살균력은 차아염소산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산성영역에서는 염소가스, 약산성 영역에서는 차아염소산, 알카리 영역에서는 차아염소산 이온으로 변경됩니다.The disinfecting power of chlorine disinfectants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hypochlorous acid, chlorine gas in the acid region, hypochlorous acid in the weak acid region and hypochlorite ion in the alkaline region.

이러한 경우, 상기 노즐(65)을 통하여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10,20,30)의 내부공간에서 분무형태로 분사되는 살균액에 의해서 비가림 하우스내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영양을 줄 수 있는 잔류염소를 중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sterilization liquid sprayed in the form of spray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 bodies 10, 20, and 30 through the nozzle 65 nourishes the crops cultivated in the rain- It can neutralize residual chlorine that can be given.

또한, 제1,2 및 3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에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인 살균액을 분무함으로써 자연환기에 따른 대류의 이동시 실외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물론 작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이물질을 비중차에 의하여 침강시킴은 물론 비가림 하우스 내부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spraying a sterilizing liquid, which is a hypochlorous acid water,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 bodies, foreign matter that adversely affects the crops as well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It can be settled by car and air quality inside the rain house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살균액을 노즐에 공급하는 살균액공급라인은 차아염소산 나트륨이 갖고 있는 부식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팜메이드 재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살균액을 분사하는 노즐은 공급되는 살균액을 분무상태로 분무할 수 있도록 진동자를 갖는 분무장치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및 진동자는 하스텔로이 및 써스 316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rilizing liquid supply line for supplying the sterilizing liquid to the nozzle is preferably made of a palm-shaped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odium hypochlorite, and the nozzle for spraying the sterilizing liquid is a sterilizing liquid supplied It may be replaced by a spray device having a vibrator so that it can be sprayed in a spray stat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and the vibrator are made of materials of Hastelloy and Thors 316 or mo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제1하우스본체
11 : 제1아치강재
12 : 제1직선강재
20 : 제2하우스본체
21 : 제2아치강재
22 : 제2직선강재
25 : 제1차단판
26 : 제2연장부
30 : 제3하우스본체
31 : 제3아치강재
32 : 제3직선강재
35 : 제2차단판
36 : 제2연장부
40 : 전면부
44 : 전면도어
50 : 후면부
55 : 후면도어
60 : 공간살균부
61 : 혼합반응기
62,63,64 : 제1,2 및 3저장탱크
65 : 노즐
10: first house body
11: 1st arch steel
12: First straight steel
20: second house body
21: Second arch steel
22: 2nd straight steel
25: first blocking plate
26:
30: Third house body
31: Third arch steel
32: Third straight steel
35: second blocking plate
36: second extension part
40: front part
44: Front door
50:
55: Rear door
60: Space sterilizer
61: Mixing reactor
62, 63, 64: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tanks
65: Nozzle

Claims (12)

복수개의 제1아치강재와 제1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는 제1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2아치강재와 제2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구조체와 제1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하우스본체 ;
복수개의 제3아치강재와 제3직선강재로 이루어지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외피재가 덮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구조체의 천정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는 제3프레임구조체와 제2하우스본체간의 천정높이차이에 의해서 개구된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하우스본체 ;
상기 제1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면도어를 갖는 전면부 ; 및
상기 제2환기구와 마주하는 상기 제3하우스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도어를 갖는 후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스본체, 제2하우스본체 및 제3하우스본체의 형성길이는 5:3:2 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A first house body in which an envelope material is covered by a first frame structure made up of a plurality of first arch steels and a first straight steel;
The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frame structure and the first house body, which is covered with the second frame structu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econd arch steels and the second straight steel member and relatively higher than the ceiling height of the first frame structure, A second house body forming a first vent hole opened by the second house body;
The ceil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frame structure and the second house body, which is covered with the outer frame material of the third frame structu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third arch steels and the third straight steel material and relatively higher than the ceiling height of the second frame structure, A third house body forming a second vent hole opened by the second house body;
A front portion which cuts off an open side of the first house body facing the first vent and has at least one front door; And
A rear portion blocking an open side of said third house body facing said second vent and having at least one rear door; Lt; / RTI >
Wherein the first house body, the second house body, and the third house body are formed at a ratio of 5: 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차단판과, 상기 제1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2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1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1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entilation hole,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first blocking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a second blocking plate fixed to the second arch steel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traction wires, And a first actuating part that winds or uncovers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pull wir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1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바는 상기 제2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1수직바와, 상기 제1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1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1절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first guide bar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blocking plate moved up and down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a first bending bar whi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end of a first blocking plate that is bent upwardly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and waits for a f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3아치강재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도르레와, 상기 복수개의 제2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second ventilating opening,
Wherei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s a second blocking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a second blocking plate fixed to the third arch steel piece so that a plurality of second traction wires, And a second actuating part for winding or releasing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pull wir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는 상기 제2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제2차단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바는 상기 제3아치강재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제2수직바와, 상기 제2수직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하강대기하는 제2차단판의 하단과 접해지는 제2절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guide bar includes a second guide bar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which is vertically mov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ventilating opening, And a second bending bar folded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bar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a lower end of a second blocking plate waiting to desc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제1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접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하거나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제3아치강재의 길이중간에 양단이 연결되는 수평강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보조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por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vent formed by a horizontal steel member having both ends thereof in contact with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first arch steel member or an auxiliary auxiliary member formed by a horizontal steel member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third arch steel member. And a ventilating opening. The nonrigid house has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보조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개폐부는 상기 보조환기구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추어 상기 수평강재와 경첩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보조차단부와, 상기 보조차단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견인와이어가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구조체 또는 제3프레임구조체에 고정설치되는 보조도르레와, 상기 제3견인와이어의 타단을 감거나 풀림제어하는 제3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auxiliary opening /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ventilation opening,
Wherein the auxiliary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n auxiliary blocking part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shape of the auxiliary ventilation hole and assembl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horizontal steel and the hinge member; and a third pulling wire to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blocking part, And a third actuating part that winds or loosens the other end of the third pulling wire, and a third actuating part fixed to the first frame structure or the third frame structure,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차단부는 제1,2고정공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강재와 경첨부재를 매개로 하여 조립되는 좌우한쌍의 연결체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1고정공에 양단이 삽입고정되는 곡선재와, 상기 좌우한쌍의 연결체의 각 제2고정공에 양단이 삽입되는 직선재 및 상기 곡선재와 직선재를 덮는 외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block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connecting bodies formed by forming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and being assembled via the horizontal steel and lightweight material, And a cover member covering the curved member and the straight member, wherein the curved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onnecting members, and a cover member covering the curved member and the straight memb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스본체는 상기 제1환기구를 형성하는 제2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1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1연장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3하우스본체는 상기 제2환기구를 형성하는 제3아치강재로부터 상기 제2하우스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곡면판상의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ouse body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in a curved plate shape extending from the second arch steel material forming the first ventilating opening toward the first house body side or the third house body includes the first extending portion forming the second ventilation opening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in a curved plate shape extending from the third arch steel material to the second house body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아치강재와 제2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이며,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2아치강재와 제3아치강재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바와 연결고정되는 제2지지브라켓을 하부면에 구비하는 곡면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a curved plate member having a lower surface and a first support bracket connected and fixed to a first support bar provided between the first arch steel member and the second arch steel member,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connected to and fixed to a second support bar provided between the third arch steel and the lower support wall.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상단에 구비된 힌지축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damper plate includes a damper plate having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an opening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r the rear portion of the damper plate, And a shaft supporting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haft support member. The non-rotary house having a natural ventilation structur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살균제거하는 공간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살균부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제3탱크와, 상기 제1,2 및 3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차아염염소산나트륨,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PH5.1 ~ 5.9의 미산성의 차아염소산수(HOCL) 살균액을 제조하는 혼합반응기 및 상기 혼합반응기와 공급라인을 매개로 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살균액을 상기 제1,2 및 3 하우스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환기구조를 갖는 비가림 하우스.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 bodies,
The space sterilizer includes a first storage tank for storing sodium hypochlorite, a second storage tank for storing water, a third tank for storing carbon dioxide, a hypochlorous acid supply unit for supplying hypochlorous acid (HOCL) sterilizing liquid having a PH of 5.1 to 5.9 by mixing sodium, water and carbon dioxide at an appropriate ratio, and a mixing reactor in which the mixing reactor and the sterilizing liquid And a plurality of nozzles for injecting ai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e bodies.
KR1020180001863A 2018-01-05 2018-01-05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KR102039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63A KR102039879B1 (en) 2018-01-05 2018-01-05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63A KR102039879B1 (en) 2018-01-05 2018-01-05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85A true KR20190083885A (en) 2019-07-15
KR102039879B1 KR102039879B1 (en) 2019-11-04

Family

ID=6725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63A KR102039879B1 (en) 2018-01-05 2018-01-05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490A (en) * 2020-10-21 2022-04-28 권수현 Vinyl houses and management methods with automatic control variability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KR20220092076A (en) * 2020-12-24 2022-07-01 농업회사법인㈜수산복해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qua plasma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540A (en) 2021-04-29 2022-11-07 강성원 Frame for rain shelter greenhous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400Y1 (en) * 2007-04-20 2008-04-08 (주)현대금속농공 Vinyl house including ventilating portion
KR20080073891A (en) * 2007-02-07 2008-08-12 이기훈 Vinyl-house with roof structure possibility opening and sutting
JP2011201838A (en) * 2010-03-26 2011-10-13 Es Technology Kk Epidemic prevention method and epidemic prevention apparatus of vegetable
KR20140022693A (en) * 2012-08-14 2014-02-25 이형식 Glasshouse
JP2015133913A (en) * 2014-01-16 2015-07-27 東都興業株式会社 Air infilt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wind-induced ventilation structured greenhouse
KR20180024272A (en) * 2016-08-29 2018-03-08 남상철 Crop cultivation house
KR101911027B1 (en) * 2017-05-12 2018-10-24 권수현 Plastic house with multi ventilation structure fr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891A (en) * 2007-02-07 2008-08-12 이기훈 Vinyl-house with roof structure possibility opening and sutting
KR200439400Y1 (en) * 2007-04-20 2008-04-08 (주)현대금속농공 Vinyl house including ventilating portion
JP2011201838A (en) * 2010-03-26 2011-10-13 Es Technology Kk Epidemic prevention method and epidemic prevention apparatus of vegetable
KR20140022693A (en) * 2012-08-14 2014-02-25 이형식 Glasshouse
JP2015133913A (en) * 2014-01-16 2015-07-27 東都興業株式会社 Air infilt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wind-induced ventilation structured greenhouse
KR20180024272A (en) * 2016-08-29 2018-03-08 남상철 Crop cultivation house
KR101911027B1 (en) * 2017-05-12 2018-10-24 권수현 Plastic house with multi ventilation structure fr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490A (en) * 2020-10-21 2022-04-28 권수현 Vinyl houses and management methods with automatic control variability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WO2022085857A1 (en) * 2020-10-21 2022-04-28 권수현 Greenhouse having automatic control variability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ethod for managing same
KR20220092076A (en) * 2020-12-24 2022-07-01 농업회사법인㈜수산복해 Hydroponics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qua plasma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879B1 (en)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337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ES2436111T5 (en) Greenhouse an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procedure
KR101881299B1 (en) Smart farm glasshouse of semi-closed type
KR102039879B1 (en) Rain proof house having a nature ventilation structure
JP5515118B2 (en) Plant growth facility
CA2828602A1 (en) Plant air purification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EP3347653B1 (en) Module of ventilation and biological pur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air to an environment, and relevant method
KR20140135871A (en) Multipurpose greenhouse dome
JP4818222B2 (en) Plant growth equipment
JP2005034043A (en) Plant for cultivating soil culture plant
JPH08126438A (en) Multilayered-type energy saving t, i house with light-(middle-) weight steel frame in sunlight-utilizing plant culturing house
KR101260145B1 (en) Plant cultivating unit for window of a building
JP5974481B2 (en) Cultivation facility
JP5669404B2 (en) Building local blower and its local blowing method
JP3183679B2 (en) House equipment for shiitake cultivation
KR101606468B1 (en) Vaporization type humidification tower
CN216163870U (en) Agricultural information ization big-arch shelter ventilation unit
JP2000209969A (en) Device for culturing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