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788A -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788A
KR20190083788A KR1020180001649A KR20180001649A KR20190083788A KR 20190083788 A KR20190083788 A KR 20190083788A KR 1020180001649 A KR1020180001649 A KR 1020180001649A KR 20180001649 A KR20180001649 A KR 20180001649A KR 20190083788 A KR20190083788 A KR 2019008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unit
information
reading information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382B1 (ko
Inventor
엄재식
최윤수
안창구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8000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3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계량기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하는 검침부;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중계 장치; 상기 검침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비암호화, 가상화 및 암호화 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처리된 검침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자;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ETER READING}
실시 예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관리비의 경우, 아파트 거주민들이 아파트에 거주하며 사용하는 가스, 전기 등 다양한 사용료와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청소비, 엘리베이터 사용료 등을 청구하고 영수하는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료를 청구하기 위해, 각 가정에는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가 부착되어 있으나, 자동으로 검침이 되지 않아 서 사람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검침 작업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단순히 기계적인 장치로서 계량기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다 할지라도 검침을 사람의 눈으로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검침 정보는 개인 정보에 해당하여 사용자는 공공기관이나 국각가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불신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검침 정보는 사용자에게 요금 부과를 위해 수집이 불가피함과 동시에 보안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한다.
실시 예는 보안성이 강화된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용이하게 검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은 계량기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하는 검침부;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중계 장치; 상기 검침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비암호화, 가상화 및 암호화 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처리된 검침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자;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검침 정보를 상기 비암호화, 상기 가상화 및 상기 암호화 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검침 정보를 상기 수신자에 따라 대응되게 송신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침 정보를 유지하는 비암호화부; 및 상기 검침 정보 중 일부 정보를 변경하는 가상화부;을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대표값에 따라 상기 가상화 처리된 검침 정보 중 일부를 추출는 암호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는 사용자 및 공급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침부는 세트 박스일 수 있다.
상기 세트 박스는,
상기 세트 박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세트 박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계량기 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에 추가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검침 정보 내의 고유번호에 따른 위치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성이 향상된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검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검침부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검침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은 검침부(100), 중계 장치(200), 중앙 서버(300), 수신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검침부(100)는 가스 등의 사용자 측에 배치되어,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다. 예컨대, 검침부(100)는 아파트에 배치된 계량기(M1 내지 Mn)으로부터 가스 사용량 정보를 송신 받을 수 있다. 다만, 아파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침부(100)는 가정 집, 빌딩 등의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검침부(100)는 가스뿐만 아니라, 수도, 전기 등의 사용량인 검침 정보를 검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침부(100)는 각종 검침을 위한 다수개의 원격 계량기(M1~Mn)와, 원격 계량기(M1-Mn)의 전기적인 값을 적산하고 적산된 값을 소정 요구에 의해 전달하는 미터 인터페이스 유니트(이하 'MIU'이라 함)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장치(200)는 검침부(100)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장치(200)는 복수 개의 검침부(100)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검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계 장치(200)는 검침 정보 수신부(310)와, 검침 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침 정보 수신부(310)는 복수 개의 검침부(100)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검침 정보는 예를 들어, 가스 사용량과 가스 사용량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예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장치(200)는 검침부(100)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장치(200)는 검침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검침 정보를 중앙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계 장치(200)는 아파트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200)는 아파트 관리소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중계 장치(200)는 소정 지역에 위치한 아파트를 관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계 장치(2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중계 장치(200)는 아파트 별로 대응되어 대응된 아파트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장치(200)는 검침 정보를 중앙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300)는 복수 개의 중계 장치(200)로부터 각 사용자 측 별로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300)는 수신한 검침 정보를 다양한 수신자(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 서버(300)는 수신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사용량(일, 월, 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30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수신자(400)에게 검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은 네트워크(N)인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게이트웨이, 중앙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자원의 집합이며, 유선 랜(Local Area Network; LAN), USB(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Ethernet),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무선 랜(Wireless LAN),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LTE(Long Term Evolution),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DMA; WCDMA),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Band; UWB),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통신 방법은 중앙 서버(300) 뿐만 아니라, 중계 장치(200), 계량기(M), 수신자(400)의 검침 정보 송신 또는 수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300)는 수신자(400)에 따라 비암호화, 가상화, 암호화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300)는 저장부를 통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검침부(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침부(100)는 복수 개의 계량기(M)와 데이터 베이스부(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계량기(M)는 소정의 아파트 단지(A-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계량기(M)는 아파트 단지(A-1)의 각 아파트 별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계량기(M)는 아파트 1동, 아파트 2동, 아파트 3동 등에 각각 배치되어, 아파트의 각 호수 별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계량기(M)는 각각 아파트 동 별로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검침부(100)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침부(100)는 계량기(M)와 중계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계기는 세트 박스(110)일 수 있다.
세트 박스(110)는 신호처리부(111), 메모리부(112), 통신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11)은 메모리부(112)로부터 수신한 세트 박스(110)의 위치 정보를 계량기(M)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에 통합하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를 통신부(113)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11)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처리부(111)은 통신부(113)를 통해 수신되는 검침 정보와 메모리부(112)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량기(M)는 각 호수 별로 설치되며,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다. 즉, 신호처리부(111)은 고유번호 별 호수 정보와 메모리부(112)에 저장된 호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111)은 고유번호 별 호수 정보와 메모리부(112)에 저장된 호수 정보가 일치하면 통신부(113)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11)는 통신부(113)을 통해 수신한 계량기(M)의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계량기(M)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신호처리부(111)는 검침 정보에서 사용량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증가한 경우에 고장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11)는 상기 고장에 대한 결과를 세트 박스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세트 박스(110)는 계량기(M)의 고장을 용이하게 수리하도록 고장에 대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12)는 세트 박스(11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12)는 각 계량기(M)의 고유 번호 별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12)는 통신부(113)를 통해 계량기(M)의 고유 번호 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해당 세트 박스(11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12)에 세트 박스(11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12)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 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 (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 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 (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13)는 신호처리부(111)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를 중계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3)는 계량기(M)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세트 박스(110)는 중계 장치(20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20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계 장치(200)는 검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검침 정보는 예를 들어 전기, 가스 상수도, 난방의 사용량일 수 있다. 중계 장치(200)는 계량기(M)로부터 수신한 각 사용량을 날짜 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200)는 계량기(M)로부터 수신한 각 사용량을 날짜뿐만 아니라, 초, 분, 시, 일, 주, 월, 년 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장치(200)는 실시간으로 상기 계량기(M)로부터 수신한 각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30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 서버(300)는 수신부(310), 제1 저장부(320), 처리부(330), 제어부(340) 및 송신부(350)를 포함한다.
수신부(310)는 중계 장치(200)로부터 저장된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부(320)는 처리부(330)에서 처리된 검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저장부(320)는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앞서 설명한 메모리부(112)와 동일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부(330)는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검침 정보를 비암호화, 가상화, 암호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340)는 처리부(330)에서 처리된 검침 정보를 수신자(400)에 따라 송신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40)는 수신자(400)에 따라 매칭된 처리된 검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수신자(400)가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의 실제 위치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40)는 사용자에게 수신자(400)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로그인, 공인인증서 등의 인증 절차를 거쳐 수신자(400) 정보를 처리부(3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자(400) 정보에 대응하는 검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자(400)는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검침 정보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 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340)는 수신자(400)가 공급자인 경우, 보안 정도에 따라 가상화 처리된 검침 정보 또는 암호화 처리된 검침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급자가 수요 예측이나 전체 감시로 검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340)는 가상화 처리된 검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는 검침 정보 전송에 있어서 보안성을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다.
송신부(350)는 처리된 검침 정보를 수신자(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350)는 앞서거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랜(Local Area Network; LAN), USB(Universal Serial Bus), 이더넷(Ethernet),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무선 랜(Wireless LAN),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LTE(Long Term Evolution),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DMA; WCDMA),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Band; UWB),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330)의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33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330)는 비암호화부(331), 암호화부(332), 가상화부(333), 제2 저장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비암호화부(331)은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비암호화부(331)은 검침 정보를 변경 없이 수신자(400)에게 보내기 위해, 비암호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화부(333)는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를 가상화처리할 수 있다. 가상화부(333)는 중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에서 위치 정보만을 변경 처리할 수 있다. 즉, 가상화부(333)는 검침 정보를 호수, 동, 구 등 수신자(400)의 요구에 맞춰 일부 정보만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중앙 서버(300)는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A호의 검침 정보,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B호의 검침 정보,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C호의 검침 정보,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D호의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가상화부(333)는 각 검침 정보 중 호수만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수신자(400)가 동별 각 세대의 검침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중앙 서버(300)는 가상화부(333)라 동일한 동(A동)에서 호수만을 랜덤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세대별 검침 정보에 관한 보안을 유지하면서 수신자(400)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수신자(400)는 가상화 처리된 검침 정보를 통해 수요를 예측 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400)는 가상화 처리된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예컨대 온도, 유량 등을 용이하게 예측하면서 동시에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부(333)는 구에 대한 난방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동, 아파트 동, 호수 등을 비식별화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부(333)는 각 세대별 주민번호 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암호화부(332)는 검침 정보를 암호화 처리할 수 있다. 즉, 암호화부(332)는 검침 정보 중 일부만을 추출하여 수신자(400)에게 제공하도록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부(332)는 대표값에 따라 일부 검침 정보만을 암호화 처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중앙 서버(300)는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A호의 검침 정보,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B호의 검침 정보,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C호의 검침 정보,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D호의 검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암호화부(332)는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A호의 검침 정보 및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D호의 검침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A호의 검침 정보 및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D호의 검침 정보는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A호의 검침 정보 및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의 각 호 별 검침 정보의 대표값일 수 있다.
여기서, 대표값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400)가 난방 곱급자인 경우, 중앙 서버(300)는 수신자(400)의 요청에 의해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의 난방 사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각 세대별 난방 사용량은 개인 정보이므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중앙 서버(300)는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의 최대 난방 사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대표값을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설정은 수신자(400)의 요구나 중앙 서버(300)의 관리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를 참조하면, 암호화부(332)는 아파트에서 최상부, 중간부, 최하부에 위치한 호수(S1, S2, S3, S4, S5, S6, S7, S8, S9)를 암호화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처리된 검침 정보에 대한 주소는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A호와 경기도 분당구 정자동 A 아파트 A 동 D호 일 수 있으나, 실제 호수와 상이할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은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난방 사용량에 대한 검침 정보를 수신자(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난방의 경우, 실시예에 따른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은 아파트 내에서 최상부, 최하부 및 중간부에 위치하는 호수들의 난방에 대한 검침 정보를 대표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파트 내에서 최상부, 최하부 및 중간부에 위치하는 호수들의 난방에 대한 검침 정보를 활용하면, 해당 아파트에서 사용하는 난방에 대한 검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아파트 내에서 최상부, 최하부 및 중간부에 위치하는 호수들의 난방에 대한 검침 정보의 평균값을 아파트의 전체 호수의 난방 평균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로써, 일부 호수의 난방에 대한 검침 정보만으로도 용이하게 아파트의 전체 난방 사용량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부(332)는 외곽부에 위치한 호수(S1, S2, S3, S4)를 암호화 처리할 수 있다. 실제로, 암호화 처리된 호수는 외곽부에 위치한 실제 호수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저장부(334)는 비암호화부(331), 암호화부(332), 가상화부(333)에서 처리된 검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부(333)는 아파트(A-1)에서 층과 무관하게 호수만을 서로 랜덤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상화부는 가상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계량기로부터 검침 정보를 수신하는 검침부;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중계 장치;
    상기 검침 정보를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비암호화, 가상화 및 암호화 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중앙 서버; 및
    상기 처리된 검침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자;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검침 정보를 상기 비암호화, 상기 가상화 및 상기 암호화 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검침 정보를 상기 수신자에 따라 대응되게 송신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침 정보를 유지하는 비암호화부; 및
    상기 검침 정보 중 일부 정보를 변경하는 가상화부;을 포함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대표값에 따라 상기 가상화 처리된 검침 정보 중 일부를 추출는 암호화부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는 사용자 및 공급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부는 세트 박스인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박스는,
    상기 세트 박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세트 박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계량기 로부터 수신한 검침 정보에 추가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검침 정보 내의 고유번호에 따른 위치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하는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80001649A 2018-01-05 2018-01-05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49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49A KR102049382B1 (ko) 2018-01-05 2018-01-05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49A KR102049382B1 (ko) 2018-01-05 2018-01-05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88A true KR20190083788A (ko) 2019-07-15
KR102049382B1 KR102049382B1 (ko) 2019-11-28

Family

ID=6725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649A KR102049382B1 (ko) 2018-01-05 2018-01-05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3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798A (ja) * 2000-12-20 2002-07-05 Nec Corp 暗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101261200B1 (ko) * 2012-10-16 2013-05-10 정재홍 능동형 원격검침시스템
KR20130068872A (ko) * 2011-12-16 2013-06-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검침 정보의 암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119930A (ko) * 2013-03-29 2014-10-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20160133346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강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반도체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798A (ja) * 2000-12-20 2002-07-05 Nec Corp 暗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20130068872A (ko) * 2011-12-16 2013-06-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검침 정보의 암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61200B1 (ko) * 2012-10-16 2013-05-10 정재홍 능동형 원격검침시스템
KR20140119930A (ko) * 2013-03-29 2014-10-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20160133346A (ko)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강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반도체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382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801B2 (en) Systems for monitoring aspects of tool use
US10524268B2 (en) Intelligent resource procurement system based on physical proximity to related resources
US20130254896A1 (en) Method to Detect Tampering of Data
CN102868675B (zh) 具有提高安全性的计量系统
CN106464698A (zh) 经由信任链保护无线网状网络
CN102165460A (zh) 用于生成密码的数据包发生器
US20130254881A1 (en) Method to Detect Tampering of Data
KR101650436B1 (ko) 라돈저감설비 통합관제시스템
US20140279712A1 (en) Utility monitoring and billing systems, and methods
CN104301320A (zh) 四端一体的加密式云服务方法及系统
CN106382976A (zh) 一种电子计价秤防作弊系统及方法
KR101326732B1 (ko) 첨단계량 인프라를 위한 암호화 키를 이용한 원격검침방법
TW201521480A (zh) 通信裝置、設定程式及內設通信裝置之分電盤
Chore et al. IoT based smart electricity meter and billing system
KR20190083788A (ko) 검침 정보 처리 시스템
CN102928059A (zh) 手持式电子计价秤防作弊监督检测方法及系统
McNabb Vulnerabilities of wireless water meter networks
DK2913636T3 (en) Wireless sensor network
CN104504315A (zh) 一种智能电网用电信息的多方交互方法
KR102356635B1 (ko)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WO201203876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KR101784409B1 (ko)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7260B1 (ko) 전자식 전력량계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202853732U (zh) 手持式电子计价秤防作弊监督检测系统
CN104113523B (zh) 聚合器和用于聚合数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