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774A -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774A
KR20190083774A KR1020180001613A KR20180001613A KR20190083774A KR 20190083774 A KR20190083774 A KR 20190083774A KR 1020180001613 A KR1020180001613 A KR 1020180001613A KR 20180001613 A KR20180001613 A KR 20180001613A KR 20190083774 A KR20190083774 A KR 2019008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half mirror
int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4225B1 (en
Inventor
임원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225B1/en
Publication of KR2019008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2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06K9/008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06V20/584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of vehicle lights or 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60W2550/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a three-channel camera can comprise: a step of acquiring a side and a front image by using a half mirror for a camera installed in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vehicle; a step of recognizing a front vehicle on the basis of the front camera; a step of distinguishing a recognizing region of the recognized front vehicle, and selecting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distinguished recognizing region; and a step of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s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camera image.

Description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channel camera,

본 발명은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종래의 차간거리 산출방법은 전방카메라 또는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를 산출하였다.The conventional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ing method calculates the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camera of the front camera or the camera peripheral image providing device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의 차간 산출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r-to-car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차간거리 산출 방법은 단일 카메라인 전방카메라에서 전방차량의 번호판 폭 혹은 차량의 폭과 차선을 인식하여 차선 데이터 및 기 저장된 차선규격 데이터와 비교하여 전방차량과의 차간거리를 추정하였다(S110, S111, S112). 또는, 차량에 좌/우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로부터 교정된 좌측 영상과 거리영상을 검출하여 차량을 인식하고 차간거리를 추정하였다(S120, S121, S122). 이후, 상기 추정된 차간거리를 운전자 편의장치에 제공하였다(S130).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vehicle-to-vehicle distance calculating method, a license plate width of a front vehicle or width and lane of a vehicle in a front camera as a single camera are recognized and compared with lane data and pre- (S110, S111, S112). Alternatively, the left and right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corrected left and right images are detected from the captured image signals to recognize the vehicle and estimate the inter-vehicle distance (S120, S121, S122). Then, the estimated inter-vehicle distance is provided to the driver's apparatus (S130).

이러한 종래의 차간거리 산출기술은 단일카메라 사용시 단방향 정보활용으로 인한 도로상황변화에 따른 정확도 부재 및 사각지대 존재가 있으며 기존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차간거리 측정 시 전방 구간의 영역에 대한 한계를 가짐으로 좌/우측에 치우친 차량에 대한 사각지대가 존재함으로써 그에 대한 측정값은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single camera, there is an accuracy member and a blind spo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oad state due to the unidirectional information use.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vis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blind vehicle is not reliable due to the presence of a blind spot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본 발명에서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및 방법 에 대하여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더욱 상세하게,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카메라에 하프미러(Half Mirror)를 결합하여 주행 중 기존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기능 및 전방영상 또한 활용이 가능하고, 기존 스테레오 비전을 통한 전방차량 거리측정 대비 3 채널 카메라 활용으로 영역별 차간거리 측정개선으로 정확도 및 커버(Cover)영역을 보완한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a half mirror (Half Mirror) is combined with the camera of the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so that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forward image can be utilized. Also, Provided i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3-channel camera that improves the accuracy and cover area by improving the measurement of the inter-vehicle distance by using the camera.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은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가 하프미러를 활용하여 측면 및 전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차간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alcula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side and front images using a half mirror of a camera installed on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the vehicle; Recognizing a forward vehicle based on a forward camera; Identifying a recognized area of the recognized forward vehicle, and selecting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area; And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selected camera imag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가 하프미러를 활용하여 측면 및 전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차량의 상태가 주행상태인 경우, 전방차량 차간거리 측정 모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간거리 측정모드인 경우, 상기 공급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배치된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하프미러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가 전방 및 측방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 of the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utilizing the half mirror to acquire the side and front images may b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tate of the vehicle is the running state, ; Supplying current to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supply current control in the case of the inter-vehicle distance measurement mode; Activating a supply current of a half mirror disposed in the camera; And receiving the front and side images of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half mirro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된 카메라 영상 중 측면 영상은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탑 뷰 및 사각지대 감지시스템 정보로 활용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 중 전방 영상은 3 채널 카메라로 활용하는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image of the input camera image is utilized as top view and dead zone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of a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using the front image among the camera image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as a three-channel camera; .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프미러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가 전방 및 측방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 시, 상기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가 프레임 별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입력하기 위하여 전류를 반복 조절하는 단계; 상기 조절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미러의 반사율 및 투과율 조절하여 상기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전방 및 측면 영상을 해당 영상 스테레오 비전으로 활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inputting the front and side images by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half mirror includes supplying current to the half mirror when the supply current of the half mirror is activated; Repeatedly adjusting currents for the camera to input the front and side images for each frame; Receiving the front and side images by adjusting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adjusted current; And using the input front and side images as a corresponding image stereo vis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측정 영역이 0도 내지 190도인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 of recognizing the front vehicle based on the front camera can recognize the front vehicle based on the front camera having the measurement area of 0 to 190 degrees.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영역이 0 도내지 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와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criminating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ront vehicle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recognition area may include the step of,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0 degrees or 45 degrees, And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forward camera.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영역이 45 도 내지 1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criminating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ront vehicle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recognition area may include the step of,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45 degrees to 145 degrees, And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영역이 145 도 내지 190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방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tinguishing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ront vehicle and the step of selecting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recognition area may include: if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145 degrees to 190 degrees, And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fron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차간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영상 보정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 저장된 카메라의 좌표, 전방차량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삼각측정법에 따른 차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measuring the headway distance based on the selected camera image includes: obtaining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amera image correction; Performing triangulation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pre-stored camera and the feature points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obtaining an inter-vehicle distance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metho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는 하프미러를 활용하여 측면 및 전면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전방카메라;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차간 거리를 측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including: a camera installed on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f a vehicle for acquiring side and front images using a half mirror; A front camera for recognizing a front vehicle; And a processor that identifies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orward vehicle, selects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recognition area, and measures the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selected camera image.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상태가 주행상태인 경우, 전방차량 차간거리 측정 모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차간거리 측정모드인 경우, 상기 공급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카메라에 배치된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하고, 상기 하프미러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방 및 측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or a forward vehicle-to-vehicle distance measuring mode, and in the case of the inter-vehicle distance measuring mode, supplies a current to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supply current control , The supply current of the half mirror disposed in the camera is activated, and the front and side images are received from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half mirror.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카메라 영상 중 측면 영상은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탑 뷰 및 사각지대 감지시스템 정보로 활용하고,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 중 전방 영상은 3 채널 카메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uses the side image of the input camera image as the top view and the dead zone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uses the front side of the camera image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The image can be used as a 3-channel camera.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 시, 상기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카메라가 프레임 별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입력하기 위하여 전류를 반복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미러의 반사율 및 투과율 조절하여 상기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방 및 측면 영상을 해당 영상 스테레오 비전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supplies a current to the half mirror when activating a supply current of the half mirror, and the camera repeatedly adjusts current to input a frame-by-frame front and side image, The front and side images can be received by adjusting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received image data and the received front and side images can be used as a corresponding image stereo vis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측정 영역이 0도 내지 190도인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is able to recognize the front vehicle based on the front camera whose measurement area is between 0 and 190 degrees.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영역이 0 도내지 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와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measure the headway distance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front camera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0 degrees or 45 degrees.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영역이 45 도 내지 1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measure the headway distance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45 degrees to 145 degrees.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영역이 145 도 내지 190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방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measure the headway distance based on the fron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145 degrees to 190 degrees.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영상 보정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카메라의 좌표, 전방차량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을 수행하고, 상기 삼각측정법에 따른 차간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obtains the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amera image correction, performs triangulation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previously stored camera, the feature points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obtains the inter-vehicle distance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method .

본 발명에 따른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및 방법 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headway distance using the 3-channel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기존의 카메라에 전류제어를 통한 반사율/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하프미러 부분만을 추가하여 기존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라이더의 사용 없이 전방방향 전 영역에 대한 차간거리 인식을 사각지대 없이 가능하게 하여 ADAS분야에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First, by adding only the half mirror part which can control the reflectance / transmittance through the current control to the existing camera,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nter-vehicle distance to the whole area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out using the rider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existing peripheral image providing device without blind spot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applied to ADAS field.

둘째, 단일카메라 및 단순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시스템에 비해 정확도와 Cover영역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accuracy and cover area are improved compared with the system using single camera and simple stereo vision.

셋째, 3 채널 영상확보를 통해 영역별 영상처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환경에서도 차간거리의 정확성 확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irdly, it is easy to image the area by securing the 3-channel image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accuracy of the inter-vehicle distance can be secured even in various environment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차간 산출 방법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를 활용한 측면 및 전면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 전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간거리 측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rawings, and the features disclosed in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constitute a new embodiment.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r-to-car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vehicle danger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headway distance calculation method using a 3-channe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quiring a side image and a front image using a half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lf mirror curr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headway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alf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various metho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being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before" or "after" of each component, (Lower) "and" front or rear "encompass both that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at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위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vehicle danger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는 전방카메라(110), 제 1카메라(120) 및 제 2카메라(130) 및 프로세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2,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may include a front camera 110, a first camera 120 and a second camera 130, and a processor 200. [

전방카메라(110)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방카메라는 단일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전방카메라(110)는 측정 영역으로 0도 내지 190 도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The front camera 110 may output a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The front camera may be a single camera. The front camera 110 may have an area ranging from 0 degrees to 190 degrees as a measurement area.

상기 제 1카메라(120)는 하프미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카메라(120)는 하프미러(400) 제어에 기초하여 차량의 전방 영상 및 차량의 좌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1카메라(120)는 차량의 제1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카메라(120)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부터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20 may include a half mirror 400. The first camera 120 may output the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and the left imag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half mirror 400. [ The one camera 12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first camera 12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from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제 2카메라(130)는 하프미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카메라(120)는 하프미러(400) 제어에 기초하여 차량의 전방 영상 및 차량의 우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2카메라(130)는 차량의 제2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카메라(130)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amera 130 may include a half mirror 400. The first camera 120 can output a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and a right imag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half mirror 400. [ The two cameras 130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econd camera 130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from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프로세서(200)는 상기 전방카메라(110)로부터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전방차량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recognize the area of the preceding vehicle from the image received from the front camera 110. [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제1 전방차량(310)이 전방카메라의 측정 영역 중 45 도 내지 145 도 내에 위치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recognize that the first forward vehicle 310 is located within 45 degrees to 145 degrees of the measurement area of the front camera.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제2 전방차량(320)이 전방카메라의 측정 영역 중 0 도 내지 45 도 영역 내에 위치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recognize that the second front vehicle 320 is located within the 0 to 45 degree region of the measurement area of the front camera.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제3 전방차량(330)이 전방카메라의 측정 영역 중 145 도 내지 190 도 내에 위치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recognize that the third forward vehicle 330 is located within 145 degrees to 190 degrees of the measurement area of the front camera.

프로세서(200)는 상기 전방차량의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may select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recognition area based on the area of the preceding vehicle.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 영역이 0 도내지 45도인 영역에 상기 제1 전방차량(31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120)와 상기 전방카메라(110)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select the first camera 120 and the front camera 110 when the first front vehicle 310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0 degrees or 45 degrees. have.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 영역이 45 도내지 145도인 영역에 상기 제2 전방차량(32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120) 및 상기 제 2카메라(130)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may select the first camera 120 and the second camera 130 when the second front vehicle 320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45 degrees or 145 degrees. .

예를 들어,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 영역이 145 도내지 90도인 영역에 상기 제3 전방차량(33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방카메라(110) 및 상기 제 2카메라(130)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00 can select the front camera 110 and the second camera 130 when the third forward vehicle 330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145 degrees or 90 degrees. have.

프로세서(200)는 전방차량 인식 시 차간거리를 위한 특징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징점은 차량의 중심부로 설정되고, 차간거리는 차량의 중심부부터 전방차량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set feature points for the inter-vehicle distance when recognizing the front vehicle. At this time, the feature point is se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the inter-vehicle distance may b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vehicle to the center of the front vehicle.

프로세서(200)는 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스테레오 형식의 차간거리 측정을 위해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공차보정 시 캘리브레이션 및 좌표 값 이용한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차간거리 측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measure the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camera. The processor 200 may measure the headway distance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using the calibration and the coordinate value of the tolerance correction of the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to measure the inter-vehicle distance in the stereo format.

프로세서(200)는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에 배치되는 하프미러(4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차간거리 측정 시, 하프미러(40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가 프레임 별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프미러(400)에 공급되는 전류를 반복하여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control the current supplied to the half mirror 400 disposed in the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The processor 200 can control to supply the electric current to the half mirror 400 when measuring the headway distance. The processor 200 can control to repeatedly adjust the current supplied to the half mirror 400 so that the camera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vehicle output frame-by-frame front and side images.

프로세서(200)는 하프미러(400)의 반사율 및 투과율 조절하여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는 하프미러(400)의 투과율 및 반사율에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측방을 촬영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프미러(400)의 상태에 대응하여 촬영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프미러(400)의 반사율이 100%인 경우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프미러(400)의 투과율이 100% 인 경우 측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receive the front and side images from the camera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vehicle by adjusting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400. [ Referring to FIG. 7, the camera can photograph the front or the sid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ransmittance and the reflectance of the half mirror 400. Referring to FIG. 7, the photographing direction can be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half mirror 400. For example, when the reflectance of the half mirror 400 is 100%, the front image can be photographed. For example, when the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400 is 100%, a lateral image can be photographed.

프로세서(200)는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입력된 전방 및 측면 영상을 해당 영상 스테레오 비전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utilize the forward and side images input from the camera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vehicle as the corresponding image stereo vision.

프로세서(200)는 카메라 영상 중 측면 영상은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탑 뷰 및 사각지대 감지시스템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utilize the side image of the camera image as the top view and the dead zone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프로세서(200)는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 중 전방 영상은 3 채널 카메라로 활용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utilize the forward image of the camera image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as a three-channel camer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headway distance calculation method using a 3-channe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00)는 상기 주행 중 카메라에 추가된 하프미러(400)를 활용한 측면 및 전면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3, the processor 200 may receive side and front images using the half mirror 400 added to the camera during operation (S210).

프로세서(200)는 전방카메라에서 수신한 영상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S220). 이때, 상기 전방 카메라의 측정 영역은 0도 내지 190도일 수 있다.The processor 200 may recognize the forward vehicle based on the image received from the forward camera (S220).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area of the front camera may be 0 to 190 degrees.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영역 중 45도~145도 영역 내에 전방차량을 인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0).The processor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been recognized within the range of 45 to 145 degrees of the measurement area (S230).

상기 S2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S235). 이후, 프로세서(200)는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 이용 차간거리 측정할 수 있다(S260).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된 차간 거리를 운전자 편의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270).If the step S230 is satisfied, the processor 200 can select the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S235). Thereafter, the processor 200 may measure the inter-vehicle distance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based on the camera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S260). The processor 200 may provide the measured inter-vehicle distance to the driver's equipment (S270).

또한, 상기 S23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영역 중 45도~145도 영역 내에 전방차량을 인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40).If the step S230 is not satisfied, the processor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been recognized in the range of 45 to 145 degrees of the measurement area (S240).

상기 S2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제 1카메라(120) 및 전방카메라(110)를 선택할 수 있다(S245). 이후, 프로세서(200)는 상기 제 1카메라(120) 및 전방카메라(110)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 이용 차간거리 측정할 수 있다(S260).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된 차간 거리를 운전자 편의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270).If the step S240 is satisfied, the processor 200 may select the first camera 120 and the front camera 110 (S245). Thereafter, the processor 200 may measure the inter-vehicle distance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based on the first camera 120 and the front camera 110 (S260). The processor 200 may provide the measured inter-vehicle distance to the driver's equipment (S270).

또한, 상기 S24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영역 중 45도~145도 영역 내에 전방차량을 인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50).If the step S240 is not satisfied, the processor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has been recognized in the range of 45 to 145 degrees of the measurement area (S250).

상기 S25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제 2카메라(130) 및 전방카메라(110)를 선택할 수 있다(S260). 이후, 프로세서(200)는 상기 제 2카메라(130) 및 전방카메라(110)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 이용 차간거리 측정할 수 있다(S260). 프로세서(200)는 상기 측정된 차간 거리를 운전자 편의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270).If the step S250 is satisfied, the processor 200 can select the second camera 130 and the front camera 110 (S260). Thereafter, the processor 200 may measure the inter-vehicle distance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based on the second camera 130 and the front camera 110 (S260). The processor 200 may provide the measured inter-vehicle distance to the driver's equipment (S270).

또한, 상기 S250 단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S220 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If the step S250 is not satisfied, the step S220 may be performed agai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를 활용한 측면 및 전면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cquiring a side image and a front image using a half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상태가 IG On 이고 D단 설정 상태 일 수 있다(S310).Referring to FIG. 4, the state of the vehicle may be IG On and D stage (S310).

이때, 프로세서(200)는 USM상 전방차량 차간거리 측정 모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320).At this time, the processor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state of the front-vehicle distance measurement mode on the USM (S320).

상기 S320 단계를 만족하는 않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카메라에 설치된 하프미러(400)의 상태를 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325).If the step S320 is not satisfied, the processor 200 can maintain the state of the half mirror 400 installed in the camera in the current state (S325).

상기 S32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200)는 주변 영상 제공 장치 좌/우측 카메라에 결합된 하프미러(400)에 공급전류 활성화할 수 있다(S330).If the step S320 is satisfied, the processor 200 may activate the supply current to the half mirror 400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cameras of the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S330).

이후, 프로세서(200)는 하프미러(400)를 활용한 좌/측방 카메라의 전방 및 측방 영상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S340).Thereafter, the processor 200 may simultaneously input the front and side images of the left / right camera using the half mirror 400 (S34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 전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lf mirror curr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하프미러에 공급전류를 활성화 시, 프로세서(200)는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10).Referring to FIG. 5, when the supply current to the half mirror is activated, the processor 200 may control to supply current to the half mirror (S410).

상기 S410 단계 이후, 프로세서(200)는 카메라의 입력 프레임 별 전방 및 측방 영상 입력을 위한 전류를 반복 조절할 수 있다(S420).After step S410, the processor 200 may repeatedly adjust the currents for the front and side image inputs of the input frame of the camera (S420).

상기 S420 단계 이후, 카메라는 상기 전류가 반복 조절을 통하여 하프미러(400) 반사율 및 투과율 조절하여 차량의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S430).After the step S420, the camera adjusts the reflectanc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400 through the repeated adjustment to receive the front and side images of the vehicle (S430).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가 영상을 입력받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초당 60프레임의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라면 30프레임은 하프미러(400)의 반사율이 100퍼센트로 동작하여 거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는 전방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나머지 30프레임은 하프미러(400)의 투과율이 100퍼센트로 동작하여 일반 유리의 역할을 하여 측방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는 하프미러(400)의 반사율 및 투과율을 조절에 대응하여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amera receives an image of 60 frames per second using the frame in which the image is input, 30 frames can serve as a mirror by operating the reflectivity of the half mirror 400 to 100 percent. Thus, the camera can receive a forward image. In addition, in the remaining 30 frames, the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400 operates at 100 percent, so that the half mirror 400 serves as a general glass, thereby receiving a lateral image. That is, the camera can receive the front and side images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of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400.

상기 S430 단계 이후, 프로세서(200)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을 스테레오 비전으로 활용할 수 있다(S440).After step S430, the processor 200 receives the front and side images from the camera and can utilize the received image as a stereo vision (S44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간거리 측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a headway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전방차량이 좌측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의 차간거리 계산을 도시한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6, there is shown an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ion when the front vehicle exists in the left area.

프로세서(200)는 제1 전방차량(310)이 인식되는 경우, 카메라 영상 보정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can obtain the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amera image correction when the first front vehicle 310 is recognized.

프로세서(200)는 기 저장된 카메라의 좌표와 제1 전방차량(310)의 특징점 및 상기 보정 좌표정보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삼각측량법은 삼각형 한 변의 길이와 그 양쪽의 각을 알면 나머지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해 내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해 평면위치를 결정하는 측량법일 수 있다.The processor 200 may perform triangulation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pre-stored camera, the feature points of the first front vehicle 310, and the corrected coordinate information. The triangulation method may be a survey method for determining the plane posi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length of one side of a triangle and the length of one side after knowing the angle of both sides thereof.

프로세서(200)는 상기 삼각측량법 측정을 위하여 제1 전방차량(310)의 특징점, 상기 전방카메라(110) 및 상기 제 1카메라(120)가 이루는 각도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 processor 200 may calculate the feature point of the first front vehicle 310 and the angle formed by the front camera 110 and the first camera 120 according to Equation (1) for the triangulation method measurement.

[수학식1][Equation 1]

B점의 각(β) = 180-α-γ The angle of the point B (?) = 180 -? -?

이때, 상기 제1 전방차량(310)의 특징점과 전방카메라가 이루는 각도는 α일 수 있다. 상기 전방차량의 특징점과 제 1카메라(120)가 이루는 각도는 γ 일 수 있다. 상기 α 및 γ는 기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feature point of the first front vehicle 310 and the front camera may be?. The angle between the feature point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first camera 120 may be?. And? And? May be pre-stored information.

이후, 프로세서(200)는 제1 전방차량(310)과의 차간거리를 상기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n, the processor 200 can calculate the headway distance to the first front vehicle 310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2]&Quot; (2)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즉, α, γ, AC길이는 기 저장된 정보이고, β는 B점의 각, BC는 전방 특징점부터 제 1카메라(120)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전방카메라는 A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카메라(120)는 C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AC는 상기 전방카메라와 상기 제 1카메라(120)의 거리 길이는 기 저장된 정보일수 있다.That is, α, γ, and AC lengths are pre-stored information, β is an angle of the point B, and BC is a distance from the front feature point to the first camera 120. At this time, the front camera may be disposed at the position of A. The first camera 120 may be disposed at the position of C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camera and the first camera 120 may be stored in advance.

프로세서(200)는 상기 수학식 2에 기초하여 AB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AB 길이는 전방차량과의 차간거리일 수 있다.The processor 200 may calculate the length AB based on Equation (2). The AB length may be an inter-vehicl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system,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 code,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100: 차량
110: 전방카메라
120: 제1 카메라.
130: 제2 카메라.
200: 프로세서
310,320,330: 전방차량
400: 하프미러
100: vehicle
110: front camera
120: First camera.
130: Second camera.
200: Processor
310, 320, 330:
400: half mirror

Claims (19)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가 하프미러를 활용하여 측면 및 전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차간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The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utilizes a half mirror to obtain side and front images;
Recognizing a forward vehicle based on a forward camera;
Identifying a recognized area of the recognized forward vehicle, and selecting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area; And
And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selected camera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가 하프미러를 활용하여 측면 및 전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차량의 상태가 주행상태인 경우, 전방차량 차간거리 측정 모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간거리 측정모드인 경우, 상기 공급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배치된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하프미러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가 전방 및 측방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s of the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utilizing the half mirror to obtain the side and front images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or in a forward vehicle-to-vehicle distance measuring mode;
Supplying current to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supply current control in the case of the inter-vehicle distance measurement mode;
Activating a supply current of a half mirror disposed in the camera;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front and side images being received by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half mirro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카메라 영상 중 측면 영상은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탑 뷰 및 사각지대 감지시스템 정보로 활용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 중 전방 영상은 3 채널 카메라로 활용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 side image of the input camera image is utilized as a top view and a dead zone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of a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Using the forward image of the camera image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as a three-channel camera;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headway distance using a 3 - channel camera that further includ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가 전방 및 측방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 시, 상기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가 프레임 별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입력하기 위하여 전류를 반복 조절하는 단계;
상기 조절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미러의 반사율 및 투과율 조절하여 상기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전방 및 측면 영상을 해당 영상 스테레오 비전으로 활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inputting the front and side images by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half mirr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half mirror when the supply current of the half mirror is activated;
Repeatedly adjusting currents for the camera to input the front and side images for each frame;
Receiving the front and side images by adjusting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adjusted current; And
And using the input front and side images as a corresponding image stereo vi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단계는
측정 영역이 0도 내지 190도인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ognizing the forward vehicle based on the forward camera
A method for calcula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that recognizes a front vehicle based on the front camera having a measurement area of 0 to 190 degre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영역이 0 도내지 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와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discriminating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orward vehicle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recognition area
Measuring a headway distance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front camera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at 0 degree and 45 degre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영역이 45 도 내지 1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discriminating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orward vehicle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recognition area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45 degrees to 145 degree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wo vehicles using a 3 - channel camer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영역이 145 도 내지 190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방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discriminating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orward vehicle and the step of selecting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recognition area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145 degrees to 190 degre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fron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차간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영상 보정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 저장된 카메라의 좌표, 전방차량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삼각측정법에 따른 차간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measuring the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selected camera image
Obtaining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amera image correction;
Performing triangulation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pre-stored camera and the feature points of the preceding vehicl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qui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method.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alizing a headway distance calculating method using a three-channel camer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is recorded. 하프미러를 활용하여 측면 및 전면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전방카메라;
상기 인식된 전방차량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인식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차간 거리를 측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A camera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for obtaining side and front images utilizing a half mirror;
A front camera for recognizing a front vehicle;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area of the recognized forward vehicle,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recognition area,
And a processor for measuring an inter-vehicle distance based on the selected camera ima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상태가 주행상태인 경우, 전방차량 차간거리 측정 모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차간거리 측정모드인 경우, 상기 공급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카메라에 배치된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하고,
상기 하프미러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방 및 측방 영상을 수신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cessor
Vehicle distance measuring mode when the vehicle is in a running state,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supply current control in the case of the inter-vehicle distance measurement mode,
Activating a supply current of the half mirror disposed in the camera,
And an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ion devi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that receives front and side images from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half mirro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카메라 영상 중 측면 영상은 주변 영상 제공 장치의 탑 뷰 및 사각지대 감지시스템 정보로 활용하고,
상기 차량의 제1측 및 제2측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 중 전방 영상은 3 채널 카메라로 활용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The side image of the input camera image is used as top view and blind zone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front image of the camera images installed 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vehicle is a 3-channel camera.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프미러의 공급전류를 활성화 시, 상기 하프미러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카메라가 프레임 별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입력하기 위하여 전류를 반복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미러의 반사율 및 투과율 조절하여 상기 전방 및 측면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방 및 측면 영상을 해당 영상 스테레오 비전으로 활용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Wherein when a supply current of the half mirror is activated,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half mirror,
The camera repeatedly adjusts the current to input the front and side images for each frame,
Receiving the front and side images by adjusting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the half mirror based on the adjusted current,
And using the received forward and side images as a corresponding image stereo vision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a 3 - channel camera.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측정 영역이 0도 내지 190도인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cessor
An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ing apparatus using a three-channel camera that recognizes a front vehicle based on the front camera having a measurement area of 0 to 190 degree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영역이 0 도내지 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와 상기 전방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cessor
And an inter-vehicle distance is measured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front camera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at 0 degree and 45 degree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영역이 45 도 내지 145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 측정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cessor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45 degrees to 145 degrees, an inter-vehicle distance is measured based on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a 3 - channel camera.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 영역이 145 도 내지 190도인 영역에 상기 전방차량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방카메라 및 상기 제 2카메라에 기초하여 차간거리를 측정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cessor
When the front vehicl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measurement area is 145 degrees to 190 degrees,
And an inter-vehicle distance is measured based on the fron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a 3 - channel camera.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영상 보정에 기초하여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카메라의 좌표, 전방차량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을 수행하고,
상기 삼각측정법에 따른 차간거리를 획득하는 3 채널 카메라를 활용한 차간거리 산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cessor
Acquiring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camera image correction,
The triangulation method is perform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previously stored camera and the feature points of the preceding vehicle,
An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ion device using a three-channel camera for obtaining an inter-vehicle distance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method.
KR1020180001613A 2018-01-05 2018-01-05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 KR102504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13A KR102504225B1 (en) 2018-01-05 2018-01-05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13A KR102504225B1 (en) 2018-01-05 2018-01-05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74A true KR20190083774A (en) 2019-07-15
KR102504225B1 KR102504225B1 (en) 2023-02-27

Family

ID=6725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613A KR102504225B1 (en) 2018-01-05 2018-01-05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22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0402A (en) * 2019-09-30 2021-03-3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Monocular vision pedestrian d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vehicle and medium thereof
KR102426854B1 (en) 2021-04-27 2022-08-01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distance on autonomous vehicle
WO2023120872A1 (en) * 2021-12-24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Sensor assembly comprising dimm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8326A (en) * 1990-11-28 1992-08-18 Nippondenso Co Ltd Display device
KR20140065210A (en)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ing distance of vehicle
US20150151725A1 (en) * 2013-12-04 2015-06-04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multi-segment braking profile for a vehicle
US20170187963A1 (en) * 2015-12-24 2017-06-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8326A (en) * 1990-11-28 1992-08-18 Nippondenso Co Ltd Display device
KR20140065210A (en)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ing distance of vehicle
US20150151725A1 (en) * 2013-12-04 2015-06-04 Mobileye Vision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multi-segment braking profile for a vehicle
US20170187963A1 (en) * 2015-12-24 2017-06-2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0402A (en) * 2019-09-30 2021-03-3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Monocular vision pedestrian distance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vehicle and medium thereof
KR102426854B1 (en) 2021-04-27 2022-08-01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distance on autonomous vehicle
WO2023120872A1 (en) * 2021-12-24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Sensor assembly comprising dimm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225B1 (en)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5017B2 (en) Headlamp monitoring apparatus for image exposure adjustment
JP2015143979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EP2729930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program
US107199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gion around vehicle
US20130083971A1 (en) Front vehicle detecting method and front vehicle detecting apparatus
KR201900837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distance between vehicles using 3-channel camera
JP2016142647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system
JP2018073275A (en) Image recognition device
KR101730740B1 (en) Driving assistant apparatus
KR20200133853A (en)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US8531589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KR1012760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ance between forward vehicle using image in navigation for vehicle
US119195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ate
US10841495B2 (en) Vehicle camera device and exposure parameter setting method thereof
KR20180007211A (en) A Rear collision warning system of Vehicles
JP202100948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on-vehicle system
KR101526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an obstacle in rear and side of vehicle
JP2020087233A (en) Recogni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gni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0038551A (en) Face orientation detection device, face orientation detection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170052857A (en) Driving assistant apparatus and driving assistant method
KR20200082317A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19087083A (en) Travel lane recognition device, travel lane recognition method, and program
TW201323262A (en) Vehicle assistant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4334784A (en) Confirmation action detecting device and alarm system
US20230242108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