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657A - 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train and train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train and train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657A
KR20190082657A KR1020180108279A KR20180108279A KR20190082657A KR 20190082657 A KR20190082657 A KR 20190082657A KR 1020180108279 A KR1020180108279 A KR 1020180108279A KR 20180108279 A KR20180108279 A KR 20180108279A KR 20190082657 A KR20190082657 A KR 2019008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rain
pipe
connecting ro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2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9295B1 (en
Inventor
이석희
김수만
박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차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차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차량
Publication of KR2019008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rain derailment sensor and a train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train derailment sensor includes: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connection rod provided to be applied with impact by a position change of an axle of a train when the train derails and an operation rod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rod and provided to be moved to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a direction of the impact; a valve unit to which the operation rod is inserted thereinto to be fixed and which guides the operation rod to b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by the impact; and a pipe connection part in which one end portion communicates with a brake pipe of the train, in which the oth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valve unit to be connected with the operation unit, and which is damaged by upper or lower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so that pressure air in the brake pipe is discharged.

Description

열차 탈선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차{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TRAIN AND TRAIN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derailment detecting apparatus and a train including the train derailment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차 탈선 감지 기술과 관련된다.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train derailment detection techniques.

일반적으로, 열차는 다수의 철도 차량이 직렬로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열차는 많은 승객 또는 화물을 탑재하기 때문에, 열차 운행 중 탈선 시 큰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열차의 탈선 시 이를 감지하여 열차를 자동 제동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Generally, a train is designed so that a plurality of railway car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run along the rails. Because trains are loaded with many passengers or cargo, they will be seriously damaged when they derail.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automatically braking a train by detecting the derailment of the trai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3646호(2007.06.20)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063646 (Jun. 20, 2007)

개시되는 실시예는 열차의 탈선을 감지하여 열차를 자동 제동할 수 있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 provides a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a train derailment and automatically braking a train, and a train including 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열차의 탈선 시 상기 열차의 차축의 위치 변동에 의해 충격을 받도록 마련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충격의 방향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작동 유닛; 상기 작동 로드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충격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밸브 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열차의 분기 파이프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밸브 유닛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 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에 의해 파손되어 상기 분기 파이프 내의 압력 공기가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한다.A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rod provided to receive a shock due to a positional change of the axle of the train when derailment of a train and a connection ro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od, An operating unit including an operating rod arranged to be moved; A valve unit for guiding the operating rod to move upward or downward by the impact;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valve unit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 and is broken by the upper or lower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so that the pressure air in the branch pipe flows out And a pipe connection portion which is provided as far as possible.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작동 로드와 일직선 상에서 연결되는 제1 연결 로드;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차축의 상부 방향의 충격을 받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로드; 및 상기 제2 연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차축의 하부 방향의 충격을 받도록 마련되는 제3 연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rod includes: a first connecting rod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operating rod; A second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adapted to receive an impact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axle; And a third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adapted to receive a shock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axle.

상기 제2 연결 로드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레일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상기 차축의 상부에서 상기 차축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3 연결 로드는,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하부에서 상기 차축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차축을 감싸게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rod is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parallel to a rail on which the train is run and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x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axle, And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xle and to surround the axle.

상기 제1 연결 로드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하단이 상기 제2 연결 로드에 고정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상단부가 상기 작동 로드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 로드와 1차 결합되며,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작동 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제1 연결 로드를 2차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rod, an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perating rod and is first engaged with the operating rod 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rod and the first connection rod.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단 내측이 상기 작동 로드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고, 하단 내측이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ngaging member includes: a first engaging member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whose upper inner side is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and whose lower inner side is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에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높이 조절 가이드 홀; 상기 작동 로드 및 상기 결합 부재 각각에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홀의 일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결합 홀; 및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 홀 및 상기 작동 로드의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 간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로드가 상기 작동 로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로드 및 상기 제3 연결 로드와 상기 차축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rod in the first connection rod; A coupling hole provided on each of the operation rod and the coupling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through a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member and a coupling hole of the operation rod to fix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rod and the operation ro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the third connecting rod and the axl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perating rod inserted into the operating rod.

상기 밸브 유닛은,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관을 포함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부가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파이프 연결부가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장착부;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 로드의 상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 로드의 하부 이동 시 변형되면서 상기 작동 로드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 로드의 하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이동 시 변형되면서 상기 작동 로드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valve unit comprises: a valve body including a storage tube in which the operation rod is inserted and store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having a pipe connection portion mounted therein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ip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A first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rod inside the valve body and allowing the actuating rod to move downward while being deformed when the actuating rod is moved downwar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inside the valve body and allowing the actuating rod to move upward while being deformed when the actuating rod is moved upward.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작동 로드의 상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상면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 걸림부; 상기 밸브 몸체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안착부; 상기 밸브 몸체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상면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걸림부; 및 상기 작동 로드의 하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atching part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and adapted to latch and fix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 first seat formed on an upper inn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adapted to se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valve body and adapted to engage and fix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a second seat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and adapted to sea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수납관의 내벽을 따라 상기 밸브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가이드 홈; 상기 작동 로드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수납 홈; 및 일면이 상기 수납 홈에 수납되고, 타면이 상기 작동 로드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타면이 상기 가이드 홈에 수납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 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provid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lve unit; A storage groov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And the other surface is hou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other surface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and the protruded surface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when the operating rod is moved upward or downward And a connecting guide portion.

상기 파이프 연결부는, 상기 밸브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밸브 유닛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분기 파이프의 단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마련되는 제1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1 파이프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작동 로드에 형성되는 삽입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ip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moun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valve unit; A first pipe body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toward the valve unit and having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branch pipe; And a second pipe bod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ip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body and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operation rod.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는 제1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는 상기 제1 외경 보다 작고 상기 통로의 직경 보다 큰 제2 외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제2 파이프 몸체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 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와 상기 제2 파이프 몸체의 경계 부분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ipe body has a first outer diameter and the second pipe body has a second outer diameter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and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ssageway and the passageway extends to the second pipe body side,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pipe body and the second pipe body may be damaged by an impact when the rod is moved upward or downward.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열차의 탈선을 감지하고, 열차의 탈선 시 자동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탈선에 따른 열차 손상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ct a train derailment and automatically braking the train when it is derail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rains and casualties caused by derailment of the tra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탈선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선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밸브 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밸브 유닛 부분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연결부가 결합되기 전의 밸브 유닛(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연결부와 밸브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선 감지 장치에서 작동 로드와 제1 연결 로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 train derailmen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unit portion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alve unit portion in Fig.
5 is a view showing a pip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valve unit before the pipe connection portion is engag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connecting portion and a valve unit are comb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ration rod and a first connection rod are engaged in a devia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of a term includes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reception ", and the like, of a signal or information refer not only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But also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to an element is indicative of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not a direct destination. This is the same for "reception" of a signal or information.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wo or more pieces of data or information are "related" means that when one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is acquired,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data (o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ased thereon.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directional terms such as the top, bottom, one side, the other, and the like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figures.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not limita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탈선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train derailment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열차 탈선 감지 시스템(100)은 탈선 감지 장치(102), 브레이크 파이프(104), 및 제동 제어 밸브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train derailment detec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derailment sensing device 102, a brake pipe 104, and a braking control valve device 106.

탈선 감지 장치(102)는 열차의 탈선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탈선 감지 장치(102)는 열차의 각 차축(50)과 이격되고 각 차축(50)을 둘러싸며 마련될 수 있다. 탈선 감지 장치(102)에는 브레이크 파이프(104)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The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102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train is derailed. The derailment detecting device 102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axle 50 of the train and surrounding each axle 50. One end of the brake pipe 104 may be connected to the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102.

탈선 감지 장치(102)가 각 차축(50)과 이격되고 각 차축(50)을 둘러싸며 마련됨으로써, 열차의 탈선 시 차축(50)의 위치 변동(예를 들어, 상하 변동)으로 차축(50)이 탈선 감지 장치(102)를 충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탈선 감지 장치(102)는 열차의 탈선으로 차축(50)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브레이크 파이프(104)와 연결된 부분이 절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erailment detecting device 102 is spaced apart from the axle 50 and surrounded by the axle 50 so that the axle 50 can be moved by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axle 50 (for example, The deviation detection device 102 is impacted. In this way, the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102 may be provided such th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brake pipe 104 is cut when an impact is generated by the axle 50 due to derailment of a train.

즉, 탈선 감지 장치(102)는 열차가 탈선되는 경우, 브레이크 파이프(104)와 연결된 부분이 절단되어 브레이크 파이프(104) 내의 압력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rain is derailed, the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102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rake pipe 104 is cut off so that the pressure air in the brake pipe 10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브레이크 파이프(104)는 탈선 감지 장치(102)와 제동 제어 밸브 장치(106)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파이프(104)는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각 열차들을 경유하여 마련될 수 있다. 브레이크 파이프(104)는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각 열차들을 경유하면서 각 열차의 차축(50) 주변에 마련되는 탈선 감지 장치(102)와 각각 연결되도록 분기될 수 있다. 브레이크 파이프(104)에는 압력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차의 기관차에서 생성되는 압력 공기가 브레이크 파이프(104)에 채워질 수 있다. The brake pipe 104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deviation detection device 102 and the braking control valve device 106.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rake pipe 104 may be provided via each train connected in series. The brake pipe 104 may be branched to be connected to the derailment sensing device 102 provided around the axle 50 of each train while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trains connected in series. The brake pipe 104 may be filled with pressurized air. In an exemplary embodiment, pressure air generated in a locomotive of a train may be filled into the brake pipe 104. [

제동 제어 밸브 장치(106)는 브레이크 파이프(104)의 공기압의 감압에 따라 열차를 제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동 제어 밸브 장치(106)는 열차의 탈선에 의해 탈선 감지 장치(102)와 연결된 분기 파이프(105)가 절단되는 경우, 분기 파이프(105) 내의 공기가 상기 절단된 부분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감지(즉, 공기압이 감소하는 것을 감지)하여 열차를 제동시킬 수 있다. 분기 파이프(105)는 브레이크 파이프(104)에서 분기된 파이프로서, 내부에 압력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The brake control valve device 106 may be provided to brake the train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urization of the air pressure of the brake pipe 104. The braking control valve device 106 detects that the air in the branch pipe 105 escapes through the cut portion when the branch pipe 105 connected to the derailment detecting device 102 is cut by the derailment of the train That is, it senses that the air pressure is reduced), so that the train can be braked. The branch pipe 105 is a pipe branched from the brake pipe 104, and can be filled with pressurized air.

한편, 분기 파이프(105)에는 하나 이상의 개폐 밸브(108)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8)는 분기 파이프(105)의 통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108)에 의해 열차 탈선 감지에 의한 자동 제동 기능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 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ranch pipe 105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on / off valves 108. The opening / closing valve 108 may be provided to open / close the passage of the branch pipe 105. The automatic braking function by the train derailment detection can be turned on or off by the opening / closing valve 108.

즉, 개폐 밸브(108)가 분기 파이프(105)의 통로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 열차 탈선 감지에 의한 자동 제동 기능은 온(On) 되게 된다. 그리고, 개폐 밸브(108)가 분기 파이프(105)의 통로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 열차 탈선 감지에 의한 자동 제동 기능은 오프(Off) 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opening / closing valve 108 opens the passage of the branch pipe 105, the automatic braking function by the train derailment detection is turned on. When the opening / closing valve 108 closes the passage of the branch pipe 105, the automatic braking function by the train derailment detection is turned off.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열차의 탈선을 감지하고, 열차의 탈선 시 자동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탈선에 따른 열차 손상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ct a train derailment and automatically braking the train when it is derail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rains and casualties caused by derailment of the trai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선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밸브 유닛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밸브 유닛 부분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unit in FIG. 2, and 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unit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탈선 감지 장치(102)는 파이프 연결부(111), 밸브 유닛(113), 및 작동 유닛(115)을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102 may include a pipe connection portion 111, a valve unit 113, and an operation unit 115.

파이프 연결부(111)는 분기 파이프(105)의 일단부를 탈선 감지 장치(102)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이프 연결부(111)는 분기 파이프(105)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111)의 내부는 분기 파이프(105)의 통로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111)는 밸브 유닛(113) 및 작동 유닛(115)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pipe connecting part 111 may connect one end of the branch pipe 105 to the derailment detecting device 102.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ipe connection portion 11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branch pipe 105. The inside of the pipe connecting portion 111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assage of the branch pipe 105. The pipe connecting portion 111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valve unit 113 and the operation unit 115.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부(11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부(111)는 장착부(111a), 제1 파이프 몸체(111b), 및 제2 파이프 몸체(111c)를 포함할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a pipe connection part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pipe connecting portion 111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11a, a first pipe body 111b, and a second pipe body 111c.

장착부(111a)의 일면은 밸브 유닛(113)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111a)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밸브 유닛(113)과 결합될 수 있다. 장착부(111a)는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1a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alve unit 113. [ The mounting portion 111a may be engaged with the valve unit 113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bolt or the like. The mounting portion 111a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파이프 몸체(111b)는 장착부(111a)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몸체(111b)의 내부에는 분기 파이프(105)의 일단부와 연통되는 통로(111d)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몸체(111b)는 제1 외경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body 111b may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1a. In the first pipe body 111b, a passage 111d communicating with one end of the branch pipe 105 may be provided. The first pipe body 111b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outer diameter.

제2 파이프 몸체(111c)는 제1 파이프 몸체(111b)의 단부에서 제1 파이프 몸체(111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몸체(111c)는 제1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경은 통로(111d)의 직경보다 큰 직경일 수 있다. 통로(111d)는 제2 파이프 몸체(111c)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pipe body 111c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body 111b at an end of the first pipe body 111b. The second pipe body 111c may have a second outer diameter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outer diameter. The second outer diameter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assage 111d. And the passage 111d may extend toward the second pipe body 111c side.

여기서, 제2 파이프 몸체(111c)가 제1 파이프 몸체(111b)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고, 통로(111d)가 제2 파이프 몸체(111c) 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에서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외경과 통로(111d)의 직경 간의 차이가 줄어 들어 상하 충격에 취약하게 된다.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provided at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passage 111d extends toward the second pipe body 111c so that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ipe body 111c and the diameter of the passage 111d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ipe body 111c is reduced and the pipe becomes vulnerable to the vertical impact.

즉,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A)에는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직경이 제1 파이프 몸체(111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통로(111d)가 제2 파이프 몸체(111c) 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내벽 두께가 제1 파이프 몸체(111b)의 내벽 두께 보다 줄어들어 상하 방향의 충격에 취약하게 된다. That is, the diameter of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ipe body 111b at the boundary portion A betwee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extended toward the second pipe body 111c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becomes vulnerable to the vertical impact.

여기서,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A)은 열차의 탈선 시 파손되게 되는 부분으로, 파손된 부분을 통해 분기 파이프(105)의 압력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Here, the boundary portion A betwee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a portion which is damaged when derailment of the train, and the pressure air of the branch pipe 105 flows through the broken portion to the outside .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밸브 유닛(113)은 작동 유닛(115)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밸브 유닛(113)은 작동 유닛(115)의 일부가 상하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밸브 유닛(113)은 밸브 몸체(121), 장착부(123), 제1 탄성 부재(125), 및 제2 탄성 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ures 2 to 4, the valve unit 113 may be provid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operation unit 115. The valve unit 113 may be provided such that a part of the operation unit 115 moves up and down. The valve unit 113 may include a valve body 121, a mounting portion 123, a first elastic member 125,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27.

밸브 몸체(121)는 밸브 유닛(113)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밸브 몸체(121)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 몸체(121)의 내부에는 작동 유닛(115)의 작동 로드(131)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valve body 121 can be formed into an appearance of the valve unit 113. The valve body 12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 storage tube 121a into which the operation rod 131 of the operation unit 115 is inserted can be formed inside the valve body 121. [

수납관(121a)은 밸브 몸체(121)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납관(121a)은 밸브 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수납관(121a)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수납관(121a)의 외벽과 밸브 몸체(121)의 내벽 사이에는 수납관(121a)의 외벽과 밸브 몸체(121)의 내벽을 연결하는 연결부(121b)가 마련될 수 있다. The storage tube 121a may be provid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body 121. [ The storage tube 121a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lve body 121. [ The storage tube 121a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n empty pipe. A connecting portion 121b for connecting the outer wall of the accommodating pipe 121a and the inner wall of the valve body 12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accommodating pipe 121a and the inner wall of the valve body 121. [

또한, 수납관(121a)에는 수납관(121a)의 내벽을 따라 가이드 홈(121a-1)이 마련될 수 있다. 작동 로드(131)의 외주면에는 연결 가이드부(141)가 수납되는 수납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가이드부(141)의 일면은 수납홈(131a)에 수납되고, 연결 가이드부(141)의 타면은 작동 로드(1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부(141)의 돌출된 타면은 가이드 홈(121a-1)에 수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tube 121a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21a-1 along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tube 121a. A receiving groove 131a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4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41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31a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41 can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 The protruded other surface of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41 can be received in the guide groove 121a-1.

연결 가이드부(141)는 가이드 홈(121a-1)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작동 로드(131)가 열차의 탈선으로 인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연결 가이드부(133) 및 가이드 홈(121a-1)에 의해 가이드 홈(121a-1)을 축으로 하는 축 방향 이동을 하게 된다.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41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21a-1. That is, when the operating rod 131 is moved to the upper or lower position due to the derailment of the train,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33 and the guide groove 121a-1 mov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21a-1 Movement.

장착부(123)는 밸브 몸체(12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23)는 내부에 파이프 연결부(111)가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장착부(123)는 제1 파이프 몸체(111b) 및 제2 파이프 몸체(111c)가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12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121. The mounting portion 123 may inclu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ipe connecting portion 111 is inserted.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123 may inclu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are inser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연결부(111)가 결합되기 전의 밸브 유닛(113)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연결부(111)와 밸브 유닛(113)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작동 로드(131) 내의 제2 파이프 몸체(111c)를 보이기 위해 작동 로드(131)의 상단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었다.FIG. 6 is a plan view of the valve unit 113 before the pipe connection unit 111 is coup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the valve unit 113 and the pipe connection unit 11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131 is removed to show the second pipe body 111c in the operation rod 131. In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부(111)의 장착부(111a)는 장착부(123)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 연결부(111)의 제1 파이프 몸체(111b) 및 제2 파이프 몸체(111c)는 장착부(123)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6 and 7, the mounting portion 111a of the pipe connecting portion 111 may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mounting portion 123.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of the pipe connecting portion 111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23. [

그리고, 제2 파이프 몸체(111c)는 작동 로드(131)에 형성되는 삽입홀(131b)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A)은 삽입홀(131b)의 입구 앞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작동 로드(131)가 열차의 탈선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A)이 충격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1b formed in the operation rod 131. [ At this time, the boundary portion A betwee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hole 131b. Here, when the operation rod 131 moves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derailment of the train, the boundary portion A betwee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cut by the impact do.

즉, 작동 로드(131)는 밸브 유닛(113) 내에서 수직하게 위치하고, 파이프 연결부(111)는 밸브 유닛(113) 내에서 수평하게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열차의 탈선 시 작동 로드(131)가 수직한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 로드(131)의 수직 이동 시 삽입홀(131b)로 삽입된 제2 파이프 몸체(111c)가 작동 로드(131)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 연결부(111)는 밸브 유닛(113)의 장착부(12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A)이 충격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That is, the operation rod 131 is vertically positioned in the valve unit 113, and the pipe connection unit 111 is horizontally positioned in the valve unit 113. The second pipe body 111c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1b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131 is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moves together with the rod 131. At this time, since the pipe connecting portion 111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23 of the valve unit 113, the boundary portion A betwee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cut by the impact do.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탄성 부재(125)는 밸브 몸체(121) 내에서 작동 로드(13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25)는 중심부에 작동 로드(131)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탄성 부재(125)는 밸브 몸체(121)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원형의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25)는 작동 로드(131)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2 to 4,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in the valve body 121.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ctuating rod 131 is inserted in the central porti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resilient member 125 may be a circular leaf spring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valve body 121.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rod 131.

제1 탄성 부재(125)의 상면은 작동 로드(13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걸림부(131c)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25)의 하면은 밸브 몸체(121)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안착부(121c)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21c)는 밸브 몸체(121)의 내측 상단에서 내측으로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 로드(131)는 제1 탄성 부재(125)에 의해 상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may be fixedly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1c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may be seated on the first seat portion 121c formed at the inner upper end of the valve body 121. [ The first seating portion 121c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inwardly from the inner upper end of the valve body 121. [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131 is restric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제2 탄성 부재(127)는 밸브 몸체(121) 내에서 작동 로드(13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27)는 제1 탄성 부재(125)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131 in the valve body 121.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제2 탄성 부재(127)의 상면은 밸브 몸체(12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제2 걸림부(121d)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21d)는 밸브 몸체(121)의 내측 하단에서 내측으로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127)의 하면은 작동 로드(131)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 안착부(131d)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31d)는 결합 부재(143)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1d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valve body 121. [ The second latching portion 121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inwardly from the inner lower end of the valve body 121.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can be seated on the second seat portion 131d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rod 131. [ The second seating portion 131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143. [

제2 안착부(131d)는 작동 로드(13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 결합 부재(143)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부재(143)의 상단을 제2 안착부(131d)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작동 로드(131)는 제2 탄성 부재(127)에 의해 상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The second seat portion 131d may protrude from a coupling member 143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143 may be used as the second seating portion 131d. As a result, the operation rod 131 is restricted from being moved up and down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이와 같이, 제1 탄성 부재(125) 및 제2 탄성 부재(127)는 밸브 몸체(121) 내에서 작동 로드(131)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탄성 부재(125) 및 제2 탄성 부재(127)는 열차의 탈선 등과 같은 큰 충격을 제외한 열차의 작은 진동에 의해 작동 로드(131)가 상하 이동되지 않도록 작동 로드(131)를 지지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may serve to support the actuating rod 131 in the valve body 121. [ That is,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support the operation rod 131 so that the operation rod 131 is not moved up and down by a small vibration of the train except for a large impact such as derailment of a train can do.

작동 유닛(115)은 열차의 탈선으로 인해 차축(50)의 위치 변동이 생기는 경우, 차축(50)과 충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동 유닛(115)은 작동 로드(131), 제1 연결 로드(133), 제2 연결 로드(135), 및 제3 연결 로드(13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15 may be provided so as to collide with the axle 50 when the position of the axle 50 is changed due to derailment of the train. The operation unit 115 may include an operation rod 131, a first connection rod 133, a second connection rod 135, and a third connection rod 137. [

작동 로드(131)는 밸브 유닛(113) 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작동 로드(131)는 밸브 유닛(113) 내에서 제1 탄성 부재(125) 및 제2 탄성 부재(12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operation rod 131 may be fixedly provided within the valve unit 113. The operation rod 131 can be fix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in the valve unit 113. [

제1 연결 로드(133)는 작동 로드(131)와 제2 연결 로드(135)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133)는 제2 연결 로드(135)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133)의 하단은 제2 연결 로드(135)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133)의 상단부는 작동 로드(1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 로드(131)의 내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133)의 상단부는 작동 로드(131)의 내벽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operation rod 131 and the second connection rod 135.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nnection rod 135.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may be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rod 135.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perating rod 131 and coupl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operating rod 131.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can be screw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operating rod 13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선 감지 장치에서 작동 로드(131)와 제1 연결 로드(133)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rod 131 and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the devia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작동 로드(131)의 하단에는 작동 로드(131)와 제1 연결 로드(133)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143)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143)는 작동 로드(131)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중공의 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143)는 작동 로드(131)의 하단과 나사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8, a coupling member 143 for coupling the actuating rod 131 and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131. The coupling member 14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rod 131 is inserted. The engaging member 143 may be provided to be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rod 131.

결합 부재(143)는 제1 결합 부재(143-1) 및 제2 결합 부재(1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43-1)는 제1 연결 로드(133)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43-1)는 제1 연결 로드(133)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143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member 143-1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143-2. The first coupling member 143-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 The first engaging member 143-1 may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

제2 결합 부재(143-2)는 작동 로드(131)의 외주면 및 제1 결합 부재(143-1)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부재(143-2)의 상단 내측은 작동 로드(131)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부재(143-2)의 하단 내측은 제1 결합 부재(143-1)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143-2 can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 143-1,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143-2 can be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 In addition, the lower end inner side of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143-2 can be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 143-1.

여기서, 제1 연결 로드(133)의 상단부 중 상단측은 작동 로드(13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 로드(131)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133)의 상단부 중 하단측에는 제1 결합 부재(143-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결합 부재(143-2)의 상단 내측이 작동 로드(131)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고, 제2 결합 부재(143-2)의 하단 내측이 제1 결합 부재(143-1)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may be inserted into the operation rod 131 and screw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The first engaging member 143-1 may be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 In this state, the upper end inside of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143-2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131, and the lower end inside of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143-2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member 143-1 As shown in Fig.

이 경우, 제1 연결 로드(133)는 작동 로드(131)의 내부로 삽입되어 1차적으로 결합되고, 결합 부재(143)를 통하여 작동 로드(131)와 2차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제1 연결 로드(133)와 작동 로드(131)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rod 131 and is primarily engaged and is secondarily engaged with the operation rod 131 via the engagement member 143,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rod 133 and the operating rod 131 can be made strong.

한편, 제1 연결 로드(133)의 외주면에는 제1 연결 로드(1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 가이드 홀(13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부재(143-1), 제2 결합 부재(143-2), 및 작동 로드(131)에는 각각 결합 홀(143-1a, 143-2a, 131e)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145)(예를 들어, 볼트, 피봇, 핀 등)가 각 결합 홀(143-1a, 143-2a, 131e)을 통해 높이 조절 가이드 홀(133a)에 결합되어 제1 연결 로드(133)와 작동 로드(131) 간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 부재(143-2)에는 제2 결합 부재(143-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홀(143-2a)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133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The coupling holes 143-1a, 143-2a, and 131e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member 143-1, the second coupling member 143-2, and the actuating rod 131, respectively. The fixing member 145 (for example, a bolt, a pivot, a pin, etc.)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133a through the fitting holes 143-1a, 143-2a, and 131e, The coupling between the operating rod 133 and the operating rod 131 can be fixed. Here,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143-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143-2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143-2.

즉, 제1 연결 로드(133) 및 작동 로드(131)는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바, 제1 연결 로드(133)가 작동 로드(131)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연결 로드(135) 및 제3 연결 로드(137)와 차축(5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 로드(133)가 작동 로드(131)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145)를 각 결합 홀(143-1a, 143-2a, 131e) 및 높이 조절 가이드 홀(133a)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면, 제1 연결 로드(133)와 작동 로드(131) 간 결합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and the operation rod 131 are coupled through a screw conn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inserted into the operation rod 131 can be adjuste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rod 135 and the third connecting rod 137 and the axle 50 can be adjusted. The fixing member 145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143-1a, 143-2a and 131e and the height adjusting guide hole 143b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inserted into the operating rod 131 is adjusted,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rod 133 and the actuating rod 131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연결 로드(135)는 제1 연결 로드(133)의 하부에서 제1 연결 로드(133)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로드(135)는 레일(미도시)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로드(135)는 차축(50)의 상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2 to 4, the second connection rod 135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rod 133. The second connection rod 135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rail (not shown). The second connecting rod 13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xle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3 연결 로드(137)는 제2 연결 로드(135)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연결 로드(137)는 제2 연결 로드(135)의 하부에서 차축(50)과 이격되고 차축(50)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연결 로드(137)는 제3-1 연결 로드(137-1), 제3-2 연결 로드(137-2), 및 제3-3 연결 로드(13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ng rod 137 may be provided under the second connecting rod 135. The third connecting rod 13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xle 50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135 and may surround the axle 50.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third connecting rod 137 is connected to the third-first connecting rod 137-1, the third-second connecting rod 137-2, and the third- . ≪ / RTI >

제3-1 연결 로드(137-1)는 제2 연결 로드(135)의 일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2 연결 로드(137-2)는 제2 연결 로드(135)의 타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1 연결 로드(137-1) 및 제3-2 연결 로드(137-2)의 종단은 차축(50)의 하단 보다 아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3-3 연결 로드(137-3)는 제3-1 연결 로드(137-1) 및 제3-2 연결 로드(137-2)의 종단을 상호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The 3-1 connection rod 137-1 may be vertically provided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rod 135 to the lower end thereof. The third-second connection rod 137-2 may be vertically provi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rod 135 to the lower side. The ends of the 3-1 connection rod 137-1 and the 3-2 connection rod 137-2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axle 50. [ The 3-3 connecting rod 137-3 may be provided to interconnect the ends of the 3-1 connecting rod 137-1 and the 3-2 connecting rod 137-2.

여기서, 열차가 탈선을 하여 차축(50)이 제2 연결 로드(135)를 강타하는 경우, 작동 로드(131)가 밸브 유닛(113)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 로드(131)가 상부 측으로 강한 힘을 받은 결과, 제2 탄성 부재(127)가 변형되면서 작동 로드(131)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결 가이드부(141)는 가이드 홈(121a-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A)이 파손되어 파손된 부분을 통해 분기 파이프(105)의 압력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Here, when the train derails and the axle 50 strikes the second connecting rod 135, the actuating rod 131 moves upward in the valve unit 113. At this time, as the operation rod 131 receives a strong force toward the upper side, the second elastic member 127 is deformed and the operation rod 131 moves upwar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41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121a-1. Accordingly, the boundary portion A betwee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broken, and the pressure air in the branch pipe 10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roken portion.

또한, 열차가 탈선을 하여 차축(50)이 제3 연결 로드(137)를 강타하는 경우, 작동 로드(131)가 밸브 유닛(113)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 로드(131)가 하부 측으로 강한 힘을 받은 결과, 제1 탄성 부재(125)가 변형되면서 작동 로드(131)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결 가이드부(141)는 가이드 홈(121a-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제1 파이프 몸체(111b)와 제2 파이프 몸체(111c)의 경계 부분(A)이 파손되어 파손된 부분을 통해 분기 파이프(105)의 압력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Further, when the train derails and the axle 50 strikes the third connecting rod 137, the operating rod 131 moves downward in the valve unit 113. At this time, as the operating rod 131 receives a strong force toward the lower side, the first elastic member 125 is deformed and the operating rod 131 moves downwar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guide portion 141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121a-1. Accordingly, the boundary portion A between the first pipe body 111b and the second pipe body 111c is broken, and the pressure air in the branch pipe 10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roken por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열차 탈선 감지 시스템
102 : 탈선 감지 장치
104 : 브레이크 파이프
105 : 분기 파이프
106 : 제동 장치
108 : 개폐 밸브
111 : 파이프 연결부
111a : 장착부
111b : 제1 파이프 몸체
111c : 제2 파이프 몸체
111d : 통로
113 : 밸브 유닛
115 : 작동 유닛
121 : 밸브 몸체
121a : 수납관
121a-1 : 가이드 홈
121b : 연결부
121c : 제1 안착부
121d : 제2 걸림부
123 : 장착부
125 : 제1 탄성 부재
127 : 제2 탄성 부재
131 : 작동 로드
131a : 수납홈
131b : 삽입홀
131c : 제1 걸림부
131d : 제2 안착부
131e : 결합 홀
133 : 제1 연결 로드
133a : 높이 조절 가이드 홀
135 : 제2 연결 로드
137 : 제3 연결 로드
137-1 : 제3-1 연결 로드
137-2 : 제3-2 연결 로드
137-3 : 제3-3 연결 로드
141 : 연결 가이드부
143 : 결합 부재
143-1 : 제1 결합 부재
143-1a : 결합 홀
143-2 : 제2 결합 부재
143-2a : 결합 홀
145 : 고정 부재
100: Train derailment detection system
102: Deviation detection device
104: Brake pipe
105: Branch pipe
106: Braking device
108: opening / closing valve
111: Pipe connection
111a:
111b: first pipe body
111c: second pipe body
111d: passage
113: Valve unit
115: Operation unit
121: Valve body
121a: storage tube
121a-1: Guide groove
121b:
121c: first seat portion
121d:
123:
125: first elastic member
127: second elastic member
131: Working load
131a: storage groove
131b: insertion hole
131c:
131d: second seat portion
131e: Coupling hole
133: first connection rod
133a: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135: second connection rod
137: Third connection load
137-1: 3-1 connection load
137-2: Section 3-2 Connection Load
137-3: the third 3-3 connecting rod
141:
143:
143-1: first coupling member
143-1a: Coupling hole
143-2: second coupling member
143-2a: Coupling hole
145: Fixing member

Claims (12)

열차의 탈선 시 상기 열차의 차축의 위치 변동에 의해 충격을 받도록 마련되는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충격의 방향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는 작동 유닛;
상기 작동 로드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충격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밸브 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열차의 분기 파이프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밸브 유닛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 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에 의해 파손되어 상기 분기 파이프 내의 압력 공기가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connection rod provided to receive a shock due to a positional change of an axle of the train when derailment of a train, and an operation ro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od and configured to be moved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impact;
A valve unit for guiding the operating rod to move upward or downward by the impact; And
One end of the branch pipe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of the train and the other end of the branch pipe is inserted into the valve unit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 so that the pressure air in the branch pipe is leaked due to the upper or lower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And a pip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작동 로드와 일직선 상에서 연결되는 제1 연결 로드;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차축의 상부 방향의 충격을 받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 로드; 및
상기 제2 연결 로드와 연결되고 상기 차축의 하부 방향의 충격을 받도록 마련되는 제3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rod
A first connecting rod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operating rod;
A second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adapted to receive an impact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axle; And
And a third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adapted to receive a shock in a lower direction of the ax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로드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레일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상기 차축의 상부에서 상기 차축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3 연결 로드는,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하부에서 상기 차축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차축을 감싸며 마련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nnecting rod is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a rail on which the train is run. The second connecting rod is spaced apart from the ax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axle,
Wherein the third connecting rod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xle and surrounds the ax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로드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하단이 상기 제2 연결 로드에 고정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상단부가 상기 작동 로드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 로드와 1차 결합되며,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작동 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제1 연결 로드를 2차 결합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rod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rod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ion ro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rod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rod and is primarily engaged with the operation rod,
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member for secondarily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rod with the first connecting ro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단 내측이 상기 작동 로드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고, 하단 내측이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upling member
A first engaging member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whose upper inner side is screw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and whose lower inner side is screw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제1 연결 로드에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높이 조절 가이드 홀;
상기 작동 로드 및 상기 결합 부재 각각에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홀의 일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결합 홀; 및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 홀 및 상기 작동 로드의 결합 홀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 가이드 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 간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로드가 상기 작동 로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로드 및 상기 제3 연결 로드와 상기 차축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rod to the first connection rod;
A coupling hole provided on each of the operation rod and the coupling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And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guide hole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actuating rod to fix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rod and the actuating rod,
And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the third connecting rod and the axle through adjustment of the length of inse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rod into the inside of the operating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내부에 상기 작동 로드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관을 포함하는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부가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파이프 연결부가 삽입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장착부;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 로드의 상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 로드의 하부 이동 시 변형되면서 상기 작동 로드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 로드의 하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이동 시 변형되면서 상기 작동 로드가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unit includes:
A valve body including a storage tube into which the operation rod is inserted and store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having a pipe connection portion mounted therein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ip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A first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rod inside the valve body and allowing the actuating rod to move downward while being deformed when the actuating rod is moved downward; An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actuating rod inside the valve body and allowing the actuating rod to move upward while being deformed when the actuating rod is moved upwar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작동 로드의 상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상면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 걸림부;
상기 밸브 몸체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안착부;
상기 밸브 몸체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상면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걸림부; 및
상기 작동 로드의 하단부 외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and adapted to engage and fix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 first seat formed on an upper inn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adapted to se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valve body and adapted to engage and fix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and adapted to receive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열차 탈선 감지 장치는,
상기 수납관의 내벽을 따라 상기 밸브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가이드 홈;
상기 작동 로드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수납 홈; 및
일면이 상기 수납 홈에 수납되고, 타면이 상기 작동 로드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타면이 상기 가이드 홈에 수납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 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train derailment sensing apparatus includes:
A guide groove provid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lve unit;
A storage groov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And
And the other surface is hou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other surface is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rod, the protruded surface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when the operating rod is moved upward or downward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guid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는,
상기 밸브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밸브 유닛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분기 파이프의 단부와 연통되는 통로가 마련되는 제1 파이프 몸체; 및
상기 제1 파이프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작동 로드에 형성되는 삽입홀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 몸체를 포함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pe connecting portion
A mounting portion moun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valve unit;
A first pipe body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toward the valve unit and having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branch pipe; And
And a second pipe bod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ip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body and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operation ro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는 제1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는 상기 제1 외경 보다 작고 상기 통로의 직경 보다 큰 제2 외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는 상기 제2 파이프 몸체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 또는 하부 이동 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와 상기 제2 파이프 몸체의 경계 부분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도록 마련되는, 열차 탈선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Said first pipe body having a first outer diameter,
Said second pipe body having a second outer diameter smaller than said first outer diameter and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said passage,
Said passage extending toward said second pipe body,
Wherein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pipe body and the second pipe body is broken by an impact when the operation rod is moved upward or downwar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열차 탈선 감지 장치를 구비하는 열차. A train equipped with the train derailment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180108279A 2018-01-02 2018-09-11 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train and train having the same KR1020492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0282 2018-01-02
KR1020180000282 2018-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657A true KR20190082657A (en) 2019-07-10
KR102049295B1 KR102049295B1 (en) 2019-11-27

Family

ID=6725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279A KR102049295B1 (en) 2018-01-02 2018-09-11 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train and train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29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646A (en) 2005-12-15 2007-06-20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 device for preventing a train from derailing
KR101285053B1 (en) * 2005-05-13 2013-07-10 아메트시스, 인제니리아 와이 아세소리아 테크니카 에스.엘. Derailment control system
KR101313802B1 (en) * 2012-09-27 2013-10-01 주식회사 주은기공 Derailment sensing valve system
KR20150129788A (en) * 2013-03-14 2015-11-20 웹텍 홀딩 코포레이션 Derailment detector
JP6014672B2 (en) * 2012-07-20 2016-10-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Railway vehicle derailment detection device and railway vehicle
KR20180059605A (en) * 2016-11-25 2018-06-05 현대로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railway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53B1 (en) * 2005-05-13 2013-07-10 아메트시스, 인제니리아 와이 아세소리아 테크니카 에스.엘. Derailment control system
KR20070063646A (en) 2005-12-15 2007-06-20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 device for preventing a train from derailing
JP6014672B2 (en) * 2012-07-20 2016-10-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Railway vehicle derailment detection device and railway vehicle
KR101313802B1 (en) * 2012-09-27 2013-10-01 주식회사 주은기공 Derailment sensing valve system
KR20150129788A (en) * 2013-03-14 2015-11-20 웹텍 홀딩 코포레이션 Derailment detector
KR20180059605A (en) * 2016-11-25 2018-06-05 현대로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railway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295B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5203B2 (en) Leveling railway vehic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8066231B2 (en) Trainline support bracket
KR101903023B1 (en) Limit switch apparatus for aerial work substitute with omnidirectional impact sensing
US10308262B2 (en) Bearing bracket, assembly containing such a bearing bracket and system containing such an assembly
US20190329659A1 (en) Railcar bogie
US5072913A (en) Spring loaded locking handle for angle cock or the like
US20140079346A1 (en) Ball-bearing slide carriage device
US10227077B2 (en) System of a bearing bracket and a coupler rod or connection rod, a multi-car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coupler rod or connection rod
KR2019008265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derailment of train and train having the same
US20220340181A1 (en) Articulation device for an articulated vehicle, corresponding vehicle and adjustment method
US9555790B2 (en) Service main piston bushing containing two spring ramps
EP3486130A1 (en) Ecp overlay system for uic-type distributor valve
US7070062B2 (en) Automatic railway car electrical and pneumatic coupler
US20030030198A1 (en) Gas-hydraulic shock absorber assembly
EP0574130A1 (en) Safety coupler-air brake interlock
US9764721B2 (en) Empty brake cylinder pressure adjustment arrangement for an empty/load valve
US11505334B2 (en) Installation system for a cabin of a vehicle
KR102263173B1 (en) Freight load detection system applied to intermodal automatic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U2018274928B2 (en) Quick service limiting valve
US10647310B2 (en) Trainline support assembly
EP2611668B1 (en) Railway carriage
KR102499650B1 (en) Derailment detector for train
CN220009723U (en) Automatic brake device for derailment of truck
CN113915233A (en) Sliding rail assembly
EP3885232B1 (en) Railway bogie equipped with a gauge varying system, and railway vehicle comprising such railway bog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