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640A -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640A
KR20190082640A KR1020180000479A KR20180000479A KR20190082640A KR 20190082640 A KR20190082640 A KR 20190082640A KR 1020180000479 A KR1020180000479 A KR 1020180000479A KR 20180000479 A KR20180000479 A KR 20180000479A KR 20190082640 A KR20190082640 A KR 20190082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information
block
wireless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8000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640A/ko
Publication of KR2019008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따르면,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통신하고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할 가맹점 무선단말로부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되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OTID 및 인증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로 상기 OTID와 인증코드를 제공하는 제4 단계와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측 무선단말을 통해 근거리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결제앱과 연계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인식한 OTID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신된 OTID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한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통해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식별 인증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블록체인에 근거한 N(N≥1)개의 암호화폐 중 제n(1≤n≤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확인하고 상기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서 상기 결제를 위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로 이전하기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지정된 결제서버를 통해 수행된 암호화폐거래 절차의 결과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에 대한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가맹점 측 단말기로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Method for Providing Asynchronous Reverse Direction Payment by using Affiliated Store's Mobile Device with Radio Signal Sending and Cryptocurrency}
본 발명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로부터 역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 등록 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일회용의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로 제공한 후,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 무선단말에서 근거리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결제앱과 연계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OTID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하고 상기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를 인증한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인증된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결제앱에서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종래의 오프라인 가맹점에 제공되던 전자 결제는 고객이 가맹점으로 카드를 제시하면 가맹점단말에 카드를 리딩하여 카드정보를 독출한 후, 가맹점단말에서 상기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전문을 생성하여 밴(VAN)을 통해 전송하면 카드사서버에서 상기 결제요청 전문을 수신하여 승인하는 형태로 제공되었다. 이와 같이 고객에서 시작하여 가맹점단말, 밴, 카드사서버로 이어지는 결제 경로를 '순방향'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종래의 순방향 결제는 신속하게 오프라인 결제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가맹점 입장에서 매 결제 건마다 밴 수수료를 비롯한 수수료 비용이 과도하게 청구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고, 고객 입장에서 항상 결제용 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지니고 있으며, 카드사 입장에서 분실된 카드를 이용한 부정 결제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종래의 순방향 결제는 고객의 카드를 가맹점단말에 리딩하여 결제하므로, 고객 본인과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 이외에 가맹점에 고객의 카드정보를 노출하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최근 구매자 모바일이 판매자 모바일에 표시된 바코드를 촬영하여 결제정보를 제공받아 구매자 모바일에 저장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한 후 결제 승인 시 구매자 모바일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판매자 모바일로 승인정보를 제공하는 역결제 방식이 제안되었다(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07781호(2014년01월20일)).
그러나 종래 역결제 방식의 경우 구매자 모바일이 판매자 모바일에 표시된 바코드를 촬영하므로 구매자 모바일에서 준비하여 바코드를 촬영하는데 최소 5~6초 이상 소요되므로 종래 순방향 결제에 비해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 역결제 방식은 구매자 모바일에서 결제한 후 근거리 통신을 통해 판매자 모바일로 승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경우 판매자 모바일을 바코드를 표시한 후 구매자 모바일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승인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다른 결제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을 비롯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암호화폐에 투자 열풍이 불고 있으며, 마치 블록체인 기술이 종래의 기술을 대체할 만능 기술인 것처럼 묘사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측면이 더욱 강하다.
우선 블록체인 기술은 익명의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자신의 논문을 통해 밝혔듯이 P2P(Peer-To-Peer)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명확한 사업 주체나 서비스 주체가 존재하는 기술 분야에는 적용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은 적절한 보상 체계를 근거로 피어(Peer)들의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그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해야만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적절한 보상 체계를 구축하는 없는 기술 분야나 피어들의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난해한 기술 분야에는 적용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은 복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블록화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블록화를 위해 일정한 대기 시간(예컨대, 비트코인의 경우 10분)을 소요하는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실시간 정보 처리를 요구하는 기술 분야나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기술 분야에는 적용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은 복수의 피어들이 모든 정보를 비실명 형태로 완전 공개하고 공유함으로써 역으로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 때문에 비밀 정보를 다루는 분야나 사생활 침해에 민감한 기술 분야에는 적용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은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낭비하고 자원을 소모하는 비효율성의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비효율성이 블록체인 기술 보안의 근간을 형성한다. 최근 이러한 비효율성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부 블록체인 기술은 에너지 낭비와 자원 소모를 일정 수준 줄이는 형태로 변형되기도 했는데, 이 경우 블록체인 기술 보안의 근간이 취약해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보안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블록체인 기술은 P2P 방식의 암호화폐 거래에 최적화된 기술일 뿐, 이를 암호화폐 이외의 다른 기술분야에 적용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보안적으로 많은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결제 관련 분야는 사업 주체나 서비스 주체가 명확하게 존재하고, 피어들의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난해하며, 실시간 정보 처리나 결제 승인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비밀 정보나 사생활 침해에 민감한 정보를 다루며 보안적으로도 안전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제 관련 분야에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적용하기에는 기술적으로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로부터 역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 등록 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일회용의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로 제공한 후,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 무선단말에서 근거리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결제앱과 연계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OTID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하고 상기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를 인증한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인증된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결제앱에서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하도록 처리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결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및/또는 보안적 결함에 해당하는 부분을 보완하면서 블록체인을 역방향 무선 결제 서비스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통신하고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할 가맹점 무선단말로부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되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OTID 및 인증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로 상기 OTID와 인증코드를 제공하는 제4 단계와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측 무선단말을 통해 근거리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결제앱과 연계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인식한 OTID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신된 OTID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한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통해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6 단계와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식별 인증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블록체인에 근거한 N(N≥1)개의 암호화폐 중 제n(1≤n≤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확인하고 상기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서 상기 결제를 위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로 이전하기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지정된 결제서버를 통해 수행된 암호화폐거래 절차의 결과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에 대한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가맹점 측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금액은, 상기 결제앱을 통해 요청되는 결제 절차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암호화폐는, 상기 운영서버(또는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된 노드장치)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여 합의 요청 가능한 능동형 노드(Active Node)로 참여시킨 암호화폐, 상기 운영서버(또는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된 노드장치)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 내지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을 실시간 확인 가능한 수동형 노드(Passive Node)로 참여시킨 암호화폐, 상기 운영서버를 운영하는 운영사에서 구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발행되는 운영사의 암호화폐 중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등록받고,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식별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설정된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등록받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하여 사용자 측 암호화폐 거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전을 위한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율정보가 변동되는 경우, 지정된 주기 별로 변동되는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최근 갱신된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현재 환율정보를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는,상기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현재 환율정보와 동일한 환율정보, 상기 현재 환율정보보다 제n 암호화폐의 가치를 일정 비율 낮춰 산출하는 환율정보, 일정 기간 동안의 환율정보의 변동 추이를 근거로 환전에 따른 손실을 헤지(Hedge)하기 위해 조정된 환율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환율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N(N≥1)개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 또는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신규로 생성 또는 합의되는 신규 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갱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을 체인화하기 위해 각 블록들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근거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증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포함된 암호화화폐단위와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화폐단위 중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근거한 블록체인화 과정과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보다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우선 포함시키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로 이전하기 위한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생성하여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방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실물화폐단위로 환전하기 위해 임시 보관하는 에스크로우(Escrow)를 위해 지정된 제n 암호화폐의 에스크로우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지정된 암호화폐 거래 절차에 따라 매도 요청한 후에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매수하는 매수인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방송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에 대한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가맹점 측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장치를 구비한 가맹점에서 지정된 운영서버에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하면서 상기 무선장치를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기 위해 생성된 OTID와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연계 등록한 후, 가맹점의 무선장치를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를 인식하여 역방향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인식된 하나의 OTID를 통해 무선장치를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복수의 거래등록정보 중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자동 식별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역방향 결제 처리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장치를 구비한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와 연계된 OTID를 이용하여 무선장치를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복수의 거래등록정보 중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자동 식별함으로써, 무선장치를 구비한 가맹점에서 앞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에 대한 역방향 결제가 완료되기 전에 다음 결제를 위한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하더라도 상기 가맹점의 무선장치를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OTID를 인식한 각각의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각각의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역방향 결제가 비동기식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결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기술적 및/또는 보안적 결함을 해소하여 블록체인을 통해 안전한 관리되는 역방향 무선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맹점 무선단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 관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거래등록 내지 역방향 OTID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거래등록 내지 역방향 OTID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무선신호 인식 내지 거래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결제앱을 이용한 역방향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암호화폐블록을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암호화폐와 실물화폐 간 환율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측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암호화폐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역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 등록 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일회용의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제공한 후,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근거리로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실행된 결제앱(420)과 연계된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OTID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하고 상기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를 인증한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100)로 상기 인증된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결제앱(420)에서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되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이용한 역결제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맹점에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의 OTID(예컨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의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기 위해 일회용으로 동적 생성된 OTID)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OTID를 이용하여 확인된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앱(420)을 설치하거나 설치 가능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등록하는 거래등록정보를 등록받아 관리하는 운영서버(20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동하고 상기 운영서버(200)와 연동하는 관리서버(100)와, 지정된 결제시스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결제앱(420)의 결제 절차에 대응하는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서버(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운영서버(200)와 결제서버(105) 중 적어도 하나(또는 둘의 조합)의 서버는 상기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하기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도면10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가맹점에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추하는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가맹점 내에서 운영되는 가맹점 무선단말(예컨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등)이나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소지한 무선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각 가맹점에서 순방향 결제를 위해 구비된 무선통신단말(예컨대, 패드형 포스 등)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가맹점 측에서 운영함으로써 본 발명에 기재된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단말이라면 어떠한 무선단말이라도 무방하며, 특정한 명칭의 무선단말이나 물리적인 특정 무선단말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결제를 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수행하는 지정된 가맹점용 앱(320)이 설치 실행된다. 이후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상기 가맹점용 앱(320)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가맹점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이 구비되고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가맹점용 앱(320)이 (기)설치된 경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가맹점용 앱(320)을 통해 역방향 결제를 위한 소정의 정보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등록정보(예컨대, 가맹점명, 가맹점주, 전화번호, 주소, 업종/업태, 사업자번호 등)를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소정의 결제(예컨대, 종래의 CAT/POS 등에서 VAN을 경유하여 카드사로 전문을 전송하는 순방향 결제 등)를 위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가맹점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입력받을 수 있으며,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정보를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소정의 단말정보(예컨대,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가맹점용 앱(320)이 설치 실행되기 전부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식별정보, 일례로서 전화번호, IMSI 등을 포함 가능)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입력받을 수 있으며,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단말정보를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별도의 고유코드(예컨대,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고유코드, 및/또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기능이 구현된 이후에 상기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고유코드, 및/또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기 위한 앱이 설치된 이후에 상기 앱을 설치 실행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고유코드 등)를 확인하고, 지정된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등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고유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결정되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맹점에는 해당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순방향)결제를 위한 가맹점번호 등의 가맹점정보)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는데, 종래에 가맹점에 할당된 정보는 해당 가맹점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이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단지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정보인 반면, 상기 고유코드는 가맹점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별도로 중복되지 않게 결정되어 부여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유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기능이 구현된 이후에 상기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코드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가맹점용 앱(320)이 설치되어 상기 가맹점용 앱(320)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내장된 근거리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 가능한 경우에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정보가 단순히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정보라면, 상기 고유코드는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하기 위해 별도로 중복되지 않게 결정되어 부여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고유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기 위한 가맹점용 앱(320)이 설치된 이후에 상기 가맹점용 앱(320)을 설치 실행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가맹점용 앱(320)이 설치된 후 최초 실행 시 상기 가맹점용 앱(320)을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결정된 코드값이 부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부여된 코득밧을 상기 고유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고유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고유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고유코드는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하기 위해 중복되지 않게 부여된 코드라면 어떠한 코드라도 무방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제1 내지 제4 고유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여 지정된 운영서버(200)를 통해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설치된 가맹점용 앱(320)을 이용하거나 웹사이트를 이용한 가맹점 가입 과정에서 부여된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맹점의 가맹점 주(또는 직원)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상기 부여된 코드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입력된 코드값을 포함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가맹점용 앱(32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설치된 후 최초 실행(또는 지정된 코드값이 할당되기 전 실행) 시 지정된 앱 식별 인증 및/내지 가입 절차에 따라 지정된 서버로부터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고유한 코드값을 부여받거나 또는 고유한 코드값을 결정하여 서버를 통해 승인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가맹점용 앱(320)의 설치 후 고유하게 부여된 코드값을 포함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와 통신 연결(또는 소정의 정보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중/후에 상기 운영서버(200)와 지정된 코드 교환 절차를 수행하여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코드값을 교환/합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교환/합의된 코드값을 포함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코드 생성 절차를 통해 중복되지 않는 코드값을 생성(또는 코드값을 생성한 후 운영서버(200)를 통해 중복 검사)하고, 상기 생성된 코드값을 포함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통신하는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코드 생성 절차를 통해 중복되지 않는 코드값을 생성(또는 코드값을 생성한 후 중복 검사)하고, 상기 생성된 코드값을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코드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값을 포함하는 고유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제1 내지 제5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제1 내지 제6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된 고유코드를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단, 기 저장된 경우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제1 내지 제6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된 고유코드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또는 등록 요청)하여 등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등록정보, 결제를 위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가맹점정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와 상기 고유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역방향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하기 전, 중, 후의 어느 일 시점에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코드값 형태의 OTID를 동적 생성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를 등록하는 절차가 생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고유코드를 등록하지 않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되는 지정된 무선신호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시,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역방향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입력받거나 지정된 절차에 따라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로 등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래등록정보는 상기 입력/확인된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및/또는 일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등록정보는 상기 역방향 결제를 위해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하는 가맹점(또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등록정보, 결제를 위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가맹점정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상기 고유코드가 구비되고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등록된 경우, 상기 거래등록정보는 상기 고유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가맹점에서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한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전송한 가맹점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인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운영서버(200)에 기 등록된 정보를 비교/조회함으로써,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전송한 가맹점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를 미리 지정된 특정 장치/서버를 통해서만 독출 가능하게 은닉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거래 별로 서로 다른 코드값을 지니게 일회용으로 생성된 지정된 코드체계의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OTID는 그 자체로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 식별성을 지님과 동시에, 특정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일정 시간 동안만 유일하게 식별하는 일회 식별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통상의 일회용비밀번호가 일회성(=일정 시간 동안만 유효한 특징)과 임의성(=임의의 값을 지닌 성질)을 기반으로 소정의 식별수단을 통해 기 식별된 대상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만 사용되는 반면, 본 발명의 OTID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성, 특정한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성, 특정 거래를 일정 시간 동안 식별하는 일회성 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코드를 통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과 특정 거래를 동시에 식별하는 다중 식별성을 지니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OTID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독출된 시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시간정보를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값을 생성하는 엔코딩 규칙의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용하여 지정된 엔코딩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일회용의 OT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을 구비한 특정 장치/서버는 상기 디코딩 규칙을 통해 상기 OTID를 디코딩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OTID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와 지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임의의 난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난수정보를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값을 생성하는 엔코딩 규칙의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용하여 지정된 엔코딩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일회용의 OT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을 구비한 특정 장치/서버는 상기 디코딩 규칙을 통해 상기 OTID를 디코딩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OTID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독출된 시간정보와 지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임의의 난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와 시간정보 및 난수정보를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값을 생성하는 엔코딩 규칙의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이용하여 지정된 엔코딩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일회용의 OT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을 구비한 특정 장치/서버는 상기 디코딩 규칙을 통해 상기 OTID를 디코딩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OTID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OTID로부터 고유코드를 독출할 특정 장치/서버와 일정 시간 유효한 키값을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키값을 이용하는 지정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일련의 정보를 엔코딩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일회용의 OT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과 상기 키값을 구비한 특정 장치/서버는 상기 디코딩 규칙과 키값을 통해 상기 OTID를 디코딩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OTID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OTID로부터 고유코드를 독출할 특정 장치/서버와 지정된 키값을 교환하고, 상기 교환된 키값과 지정된 규칙에 따라 독출된 일시정보를 이용하는 지정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일련의 정보를 엔코딩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일회용의 OTID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과 상기 키값을 구비한 특정 장치/서버는 상기 디코딩 규칙과 키값 및 일시정보를 통해 상기 OTID를 디코딩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OTID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제1 내지 제5 OTID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일회용의 OTID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임시고유코드를 포함(또는 은닉)함으로써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코드값 형태의 OTID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OTID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OTID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거래등록정보(또는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거래등록정보)와 상기 OTID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적어도 상기 OTID의 유효시간에 대응하는 일정 시간 동안(또는 일정 시간 이상)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OTID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인증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소정의 난수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난수값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증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정보(예컨대, 금액정보, 상품정보, 일시정보 등)를 지정된 코드화 알고리즘(예컨대, 해시함수 등)에 대입하여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와 연관된 거래연동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인증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사전에 교환/공유된 적어도 일부의 정보(예컨대, 가맹점 관련 정보 중의 일부 정보 등)와 동적으로 결정되는 변수 값(예컨대, 시간 값, 난수 값 등)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지정된 코드 형태(예컨대, OTP(One Time Password) 등)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인증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동적으로 결정되는 변수 값을 지정된 코드화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와 연관된 거래연동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인증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사전에 교환/공유된 적어도 일부의 정보와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정보 및 동적으로 결정되는 변수 값을 지정된 코드화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와 연관된 거래연동코드 형태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인증코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제1 내지 제5 인증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회용 인증코드는 일회용으로 생성되는 코드값이라면 어떠한 값이라도 무방하며, 상기 실시예는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인증코드가 상기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내지 제6 인증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일회용의 인증코드가 동적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일정 시간 동안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거래등록정보(또는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거래등록정보)와 연계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생성된 일회용의 인증코드와 상기 OTID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상기 거래등록정보 및/또는 OTID와 연계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OTID와 거래등록정보 및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TID와 유효시간과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시간은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가맹점 내에 구비/운영되며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수신하여 인식 가능한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OTID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상기 OTID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특징과, 하나의 OTID를 통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복수의 거래등록정보 중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자동 식별하는 특징을 기반으로,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앞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에 대한 역방향 결제가 완료되기 전에 다음 역방향 결제를 위한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하더라도 각각의 역방향 결제가 비동기식으로 처리되는 특징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상기 OTID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특징과, 하나의 OTID를 통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복수의 거래등록정보 중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자동 식별하는 특징을 기반으로,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앞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에 대한 역방향 결제가 완료되기 전에 다음 역방향 결제를 위한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하더라도 각각의 역방향 결제가 비동기식으로 처리되는 특징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수신하여 지정된 앱을 통해 인식 가능한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블루투스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또는 페어링 없이)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리더/라이터모드, 태그모드, 피투피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RFID 규격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무선신호 관련 구성부를 통해 수신하여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특정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장치로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OTID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할 수 있다. 또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근거리로 송출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이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사용자가 소지/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무선신호 관련 구성부를 구비한 무선단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의 OTID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OTID를 이용하여 거래금액을 확인하고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앱(420)이 설치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설치 실행되는 결제앱(420)은 역방향 결제를 위한 결제 절차를 처리하기에 명명된 것은 특정 금융사의 앱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지정된 결제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앱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또는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근거리 무선부(31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또는 방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함은 물론,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수신 가능한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앱 동작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또는 지정된 앱 구동 절차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앱(420)은 구동(또는 활성화)됨과 동시에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가 활성화지 않은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를 활성화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근거리 무선부(310)가 기 활성화된 상태이거나 또는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활성화된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 대기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앱 동작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또는 지정된 앱 구동 절차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또는 활성화)된 결제앱(420)은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지 결정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제앱(42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하여금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요청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요청신호에는 해당 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사용자 무선단말(400)(또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식별자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가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임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근거리 무선부(310)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경우, 상기 요청신호에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요청하는 명령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요청신호를 송출한 결제앱(42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앱 동작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함에 의해 지정된 절차에 따라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함에 의해 구동(또는 활성화)된 결제앱(420)은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앱 동작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앱 동작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동작하여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앱 동작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결제앱(420)은 상기 인식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구성된 인식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설치된 결제앱(420)과 연동 가능한 서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한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실행된 결제앱(420)과 통신하고 상기 결제앱(420)을 관리하는 앱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통신하며, 상기 결제앱(420)이 지정된 결제시스템을 운영하는 금융사에서 제공한 앱인 경우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금융사에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결제앱(420)이 금융사 외에 별도의 결제사업자가 제공한 앱인 경우 상기 관리서버(100)는 금융사에 구비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통신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운영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을 통한 결제 절차가 상기 관리서버(100)를 경유하여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100)는 지정된 결제시스템 상의 결제서버(105)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앱(420)에서 수행되는 결제 절차와 결제서버(105)의 결제 절차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에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전달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계된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인식정보에 포함된 OTID를 판독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를 생성하는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을 통해 상기 OTID를 판독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의 코드체계를 판독하여 상기 고유코드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코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의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고유코드를 조회하여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가 실제로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인지 확인함으로써,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 중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어느 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의 고유코드와 가맹점 관련 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조회하여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관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 중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어느 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 중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이 식별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등록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운영서버(200)로 등록되는 거래등록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복수 개일 수 있으나, 어느 한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는 어느 하나의 거래등록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등록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와 연계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연계 저장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함으로써,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된 어느 한 특정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OTID를 통해 고유 식별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거래등록정보 중에서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가 확인됨과 동시에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금액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해 역방향 결제할 거래금액을 확인/산출한다.
본 발명의 제1 거래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를 상기 거래금액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400)(또는 결제앱(420))에 적용할 할인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또는 결제앱(420))의 사용자에게 적용할 할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서 상기 할인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차감(또는 할인)하여 상기 거래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거래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400)(또는 무선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 중 일부의 금액을 결제하고 나머지 금액은 다른 사용자를 통해 결제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동(예컨대, 관리서버(100)를 경유하여 연동하거나 인식정보를 수신한 후 직접 연동 가능)하여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 중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또는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결제할 일부 금액을 확인/산출하고, 상기 확인된 일부 금액을 상기 거래금액으로 확인/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거래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래금액은 상기 제1 내지 제3 거래금액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확인/산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이 확인/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산출된 거래금액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컨대, 상품정보, 일시정보, 가맹점등록정보, 가맹점정보,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서버(200)에 등록된 가맹점 관련 정보(예컨대, 가맹점등록정보, 가맹점정보,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계된 관리서버(100)(예컨대, 인식정보를 중계한 관리서버(100))로 상기 구성된 거래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와 거래정보를 연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거래정보가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동일한 구성정보를 지닌 경우 별도로 OTID와 거래정보를 연계 관리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운영서버(200)에 등록된 가맹점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상기 거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앱 화면 상의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에서 상기 관리서버(100)로 상기 인식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OTID를 통해 확인되는 거래정보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OTID를 통해 확인된 거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결제앱(420)으로부터 제공받은 결제요청정보를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지정된 결제서버(105)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결제를 즉시 처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권리범위도 포함할 수 있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다만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거래정보를 제공하여 출력한 후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운영서버(200)에 등록된 가맹점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앱 화면 상의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앱(420)의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출력된 거래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금액정보를 기반으로 거래정보의 결제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거래정보의 결제 처리 결정 시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상기 거래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거래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결제 처리 결정을 근거로 지정된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정보(예컨대, 거래정보 또는 거래정보 중 결제 처리에 필요한 일부 정보)를 출력하고(생략 가능), 상기 결제앱(420)에 구비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결제앱(420)에서 이용 가능한 사용자 결제수단(예컨대, 서버 측에 등록된 카드정보, 계좌정보 등)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제서버(105)는 지정된 거래금액의 결제 승인을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에서 수행되는 단말 측 결제 절차에 대응하는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금융사의 결제서버(105)(예컨대, 결제승인서버 등), 상기 결제수단을 발급한 금융사서버와 연계된 결제사업자의 결제서버(1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서버(105)가 금융사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결제서버(105)는 간편 결제를 위해 사용자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수단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서버(105)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수단정보와 매핑된 토큰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토큰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된 결제수단정보를 추출하여 지정된 거래금액의 결제를 승인하기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서버(105)가 금융사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제서버(105)는 금융사서버에 구비된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토큰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금융사서버로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식별하는 토큰정보와 지정된 거래금액을 전달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승인하도록 요청하는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앱(420)에서 수행하는 단말 측 결제 절차가 아닌 간편 결제가 아닌 경우 상기 결제서버(105)에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하지 않거나 및/또는 토큰정보를 이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서버(105)와 연동하기 위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앱(420)은 상기 관리서버(100)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하거나,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예컨대, PG서버, 결제앱(420)과 연계된 결제사업자의 중계서버 등, 도시생략)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앱(420)은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직접 연동(예컨대, 앱 내에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하는 모듈이 탑재된 경우 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 절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앱(420)은 상기 관리서버(100)를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앱 내에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관리서버(100)와 연동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로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연계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요청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조합하여 식별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결제앱(420)에서 수행되는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상기 결제서버(105)의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가 승인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 절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앱(420)은 지정된 중계서버(예컨대, PG서버, 결제앱(420)과 연계된 결제사업자서버 등, 도시생략)와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앱 내에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중계서버와 연동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로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연계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요청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조합하여 식별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결제앱(420)에서 수행되는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상기 결제서버(105)의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가 승인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 절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앱(420)은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직접 연동 가능하며, 상기 결제서버(105)와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앱 내에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결제서버(105)로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연계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요청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조합하여 식별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현금카드, 직불카드, 계좌이체 등의 실물화폐 결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예컨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기 구현된 암호화폐, 또는 운영서버(200)를 운영하는 운영사나 결제서버(105)를 운영하는 금융사에서 발행하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하는 실시예를 하기의 도면10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운영서버(200) 또는 상기 결제서버(105)를 통해 거래금액에 대한 서버 측 결제 절차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제 절차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관리서버(100), 결제서버(105), 결제앱(4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결제 절차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중계서버, 결제서버(105), 결제앱(4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결제 절차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서버(105)와 결제앱(4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은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200)를 실시하기 위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서버(2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2는 역방향 결제를 위한 구성을 지닌 운영서버(200)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며,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는 실시예는 하기의 도면10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200)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설치 실행된 결제앱(420)과 연동하고,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과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동하는 관리서버(100)와 통신 가능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등록정보, 결제를 위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가맹점정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거나,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등록받아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05)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또는 별도의 운영단말 등)에서 상기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등록정보, 결제를 위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가맹점정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입력/확인하여 등록 요청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가맹점등록정보, 가맹점정보,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에 상기 수신된 가맹점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또는 별도의 운영단말 등)에서 해당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의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고유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와 연계되도록 처리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가맹점에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는 거래등록 수신부(210)와,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는 OTID 생성부(215)와,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인증코드 생성부(220)와,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OTID 및 일회용 인증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거래등록 관리부(225)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제공하는 등록결과 제공부(230)를 구비한다.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역방향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입력받거나 지정된 절차에 따라 확인하고,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로 전송하면, 상기 거래등록 수신부(21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래등록정보는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품정보 및/또는 일시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등록정보는 별도로 할당된 고유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래등록 수신부(21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정보(예컨대, 가맹점 관련 정보 및/또는 고유코드 등)와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된 정보(예컨대, 가맹점 관련 정보 및/또는 고유코드 등)를 비교/조회하여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전송한 가맹점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OTID 생성부(215)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의 고유코드가 등록(또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상기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OTID 생성부(215)는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코드를 미리 지정된 특정 장치/서버를 통해서만 독출 가능하게 은닉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거래 별로 서로 다른 코드값을 지니게 일회용으로 생성된 지정된 코드체계의 OTID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OTID 생성부(21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OTID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은닉한 일회용의 OTID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OTID는 중복되지 않는 고유성, 특정한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성, 특정 거래를 일정 시간 동안 식별하는 일회성 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코드를 통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과 특정 거래를 동시에 식별하는 다중 식별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OTID 생성부(215)는 상기 고유코드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중복되지 않는 임시고유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임시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코드값 형태의 OTID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증코드 생성부(220)는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코드 생성부(22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인증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OTID 생성부(215)를 통해 상기 OTID가 생성되고 상기 인증코드 생성부(220)를 통해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가 동적 생성되면, 상기 거래등록 관리부(225)는 상기 거래등록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거래등록정보(또는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거래등록정보)와 상기 OTID 생성부(215)를 통해 생성된 OTID 및 상기 인증코드 생성부(220)를 통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는 일정 시간 동안 유효한 유효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거래등록 관리부(225)는 상기 유효시간 동안(또는 유효시간 이상의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유지하도록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록결과 제공부(230)는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전송한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등록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생성된 OTID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등록결과정보를 통해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제공받은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앱 동작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400)로 수신되고 지정된 결제앱(420)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는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무선단말 중 지정된 결제앱(420)을 실행한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상기 결제앱(420)을 통해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상기 결제앱(420)이 실행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근거리의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요청신호를 근거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무선신호가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까지 유효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강도를 제어하여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상기 결제앱(420)이 설치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됨에 의해 구동(또는 활성화)되어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인식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구성된 인식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달하고,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결제앱(420)에서 인식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제공받는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근거리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지정된 결제앱(420)으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인식한 OTID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인식정보 수신부(235)와, 상기 수신된 OTID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가맹점을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으로 식별 인증하는 식별/인증 처리부(240)와,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의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등록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하는 거래등록 확인부(245)와, 상기 거래등록정보 확인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는 거래정보 제공부(250)를 구비하며, 지정된 결제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 처리에 대한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등록된 거래등록정보의 결제결과로 처리하는 결제결과 처리부(255)를 구비한다.
상기 인식정보 수신부(2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계된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결제앱(420)에서 인식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식별/인증 처리부(24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OTID를 판독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인증 처리부(240)는 상기 OTID를 생성하는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을 통해 상기 OTID를 판독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OTID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OTID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생성된 경우, 상기 식별/인증 처리부(240)는 상기 제1 내지 제6 OTID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OTID를 판독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식별/인증 처리부(240)는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의 코드체계를 판독하여 상기 고유코드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코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식별/인증 처리부(240)는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등록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의 고유코드를 조회하여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가 실제로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인지 확인함으로써,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 중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어느 한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된 가맹점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이 구비되어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식별/인증 처리부(240)는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등록된 고유코드와 가맹점 관련 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의 고유코드(또는 고유코드와 연계된 가맹점 관련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 관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 중 상기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어느 한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된 가맹점에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이 구비되어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 중 상기 OTID에 대응하는 가맹점(또는 OTID로부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이 식별 인증된 경우, 상기 거래등록 확인부(245)는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의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등록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운영서버(200)로 등록되는 거래등록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복수 개일 수 있으나, 어느 한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는 어느 하나의 거래등록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래등록 확인부(245)는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등록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OTID를 통해 고유 식별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거래등록정보 중에서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식별/인증 처리부(240)는 상기 거래등록 관리부(225)를 통해 상기 OTID와 연계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연계 저장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함으로써,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된 어느 한 특정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OTID를 통해 고유 식별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거래등록정보 중에서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가 확인됨과 동시에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250)는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금액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해 역방향 결제할 거래금액을 확인/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25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거래금액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역방향 결제할 거래금액을 확인/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결제할 거래금액을 확인/산출되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250)는 상기 확인/산출된 거래금액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컨대, 상품정보, 일시정보, 가맹점등록정보, 가맹점정보,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등록된 가맹점 관련 정보(예컨대, 가맹점등록정보, 가맹점정보,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25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계된 관리서버(100)(예컨대, 인식정보를 중계한 관리서버(100))로 상기 구성된 거래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250)는 상기 OTID와 거래정보를 연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신된 거래정보를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정보를 앱 화면 상의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100)는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결제서버(105)로 전달하여 결제 처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제2 거래정보 전달 실시예도 권리범위에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거래정보의 결제 처리가 결정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거래정보의 결제 처리 결정 시, 상기 결제앱(42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결제 절차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또는 둘 이상의 실시예의 적어도 부분적 조합)에 대응하는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예컨대, 거래정보의 구성 정보 중에서 결제에 필요한 정보의 집합)를 표시(단 거래정보를 그대로 결제정보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표시된 거래정보를 그대로 이용 가능)하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결제 절차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또는 둘 이상의 실시예의 적어도 부분적 조합)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 처리를 위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앱(420)과 연동하는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가 승인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절차가 상기 관리서버(100)를 경유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 결제결과 처리부(255)는 상기 관리서버(100), 결제서버(105), 결제앱(4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 절차가 지정된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 결제결과 처리부(255)는 상기 중계서버, 결제서버(105), 결제앱(4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 절차가 상기 결제앱(420)과 결제서버(105)가 직접 연동하여 처리되는 경우, 상기 결제결과 처리부(255)는 상기 결제서버(105)와 결제앱(4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결제결과 처리부(255)는 지정된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맹점 무선단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가맹점에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 구성을 구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2)와 메모리부(318)와 화면 출력부(304)와 사용자 입력부(306)와 사운드 처리부(308)와 근거리 무선부(310)와 근거리망 통신부(312)와 무선망 통신부(314)와 USIM 리더부(316)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가맹점용 앱(320) 구성을 본 제어부(3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18)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18)는 기본적으로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18)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3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308)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구성부 중에서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에 따라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써, 바람직하게 지정된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예컨대, 지정된 거리 이내의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해 수신 가능한 신호강도 등)로 안테나(도시생략)을 통해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해 수신 내지 인식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또는 페어링 없이)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하는 블루투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하는 기능 이외에, 블루투스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나,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와이파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파이부는 상기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 이외에,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나,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가 와이파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NFC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FC부는 리더/라이터모드, 태그모드, 피투피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RFID 규격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RF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태그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수신하여 인식 가능한 무선신호를 유효하게 송출 가능한 구성부라면 어떠한 구성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특정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구성부로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무선망 통신부(314)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316)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16)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결제(예컨대, 순방향 결제)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가맹점 결제부(3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제어부(302)는 상기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역방향 결제를 위한 가맹점용 앱(320)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결제를 위해 상기 다운로드 설치된 가맹점용 앱(320)을 설치 실행한다. 상기 가맹점용 앱(320)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설치 실행되는 별도의 앱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 결제부(315)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 앱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가맹점 결제부(315)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용 앱(320)을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가맹점용 앱(32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등록하거나,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등록하는 정보 등록부(32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등록부(325)는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등록정보, 결제를 위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가맹점정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입력받거나 확인하고,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입력/확인된 가맹점 관련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200)에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등록부(325)는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고유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와 연계되도록 처리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가맹점용 앱(320)은, 역방향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입력/확인하고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거래 등록부(330)와,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도록 생성된 OTID를 포함하고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해 생성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등록결과 수신부(335)를 구비한다.
상기 거래 등록부(330)는 역방향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입력받거나 지정된 절차에 따라 확인하고,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OTID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OTID는 지정된 고유코드를 미리 지정된 특정 장치/서버를 통해서만 독출 가능하게 은닉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거래 별로 서로 다른 코드값을 지니게 일회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인증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일회용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상기 OTID 및 일회용 인증코드를 연계 저장하고,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결과 수신부(335)는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수신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의 가맹점용 앱(320)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지정된 구조의 송출정보를 구성하는 정보 구성부(340)와,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상기 송출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된 무선신호가 근거리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송출 처리부(345)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 내지 인식한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해 역방향 결제 처리된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결과 처리부(3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정보 구성부(340)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운영앱에서 판독 가능한 지정된 정보 구조로 상기 OTID를 포함하는 송출정보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등록결과정보를 통해 일회용 인증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정보 구성부(340)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운영앱에서 판독 가능한 지정된 정보 구조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송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송출정보에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가 포함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보 구성부(340)를 통해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송출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신호송출 처리부(345)는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상기 송출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가 지정된 신호강도(예컨대, 지정된 거리 이내의 무선단말을 통해 수신 가능한 신호강도 등)로 송출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신호송출 처리부(345)가 제공한 송출정보를 포함하는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근거리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실행된 운영앱은 상기 무선신호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무선부(310)는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2)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정보 구성부(340)를 통해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송출정보를 구성하도록 제어하거나, 및/또는 상기 신호송출 처리부(345)를 통해 상기 송출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 내지 인식한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를 인식하고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되는 거래금액을 확인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을 통해 결제 처리한 경우, 상기 결과 처리부(350)는 상기 운영서버(2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결제시스템을 통해 결제 처리된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 관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설치 실행되는 결제앱(420)의 기능 구성과 무선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4의 무선단말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제어부(402)와 메모리부(418)와 화면 출력부(404)와 사용자 입력부(406)와 사운드 처리부(408)와 근거리 무선부(410)와 근거리망 통신부(412)와 무선망 통신부(414)와 USIM 리더부(416)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결제앱(420)의 기능적 구성을 본 제어부(4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418)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4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418)는 기본적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418)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4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4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4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4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408)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402)로 전달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구비되는 구성부 중에서 일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에서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에 따라 송출(또는 방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근거리로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써, 바람직하게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에 따라 송출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4.0 이후 규격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또는 페어링 없이) 방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는 상기 블루투스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이외에, 블루투스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나, 블루투스 기반의 양방향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와이파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파이부는 상기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이외에,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이나,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가 와이파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에 통합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NFC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FC부는 리더/라이터모드, 태그모드, 피투피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RFID 규격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태그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를 유효하게 수신 가능한 구성부라면 어떠한 구성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특정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구성부로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와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무선망 통신부(414)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416)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416)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제어부(402)는 상기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지정된 결제앱(420)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를 통해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확인하는 신호 확인부(425)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부(430)와, 상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OTID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하는 인식정보 전송부(435)와, 상기 운영서버(200)에서 OTID를 판독하여 사용자가 방문한 가맹점을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으로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등록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거래정보 수신부(440)와, 지정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445)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확인부(42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앱 동작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부(410)를 통해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신호 인식부(430)는 상기 신호 확인부(425)를 통해 확인된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한다.
상기 신호 인식부(430)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정보 전송부(435)는 상기 무선신호를 통해 인식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와 무선망 통신부(414) 중 어느 한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통신망을 경유하여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구성된 인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100)는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인식정보를 중계 전달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계된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OTID를 판독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 중 상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어느 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독출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가맹점이 식별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등록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거래금액 실시예를 통해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를 기반으로 확인/산출된 거래금액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서버(200)에 등록된 가맹점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관리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 수신부(440)는 상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거래정보를 앱 화면 상의 지정된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상기 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의 결제가 처리하도록 결정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거래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도록 결정된 경우 지정된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정보(예컨대, 거래정보 또는 거래정보 중 결제 처리에 필요한 일부 정보)를 출력하고(생략 가능), 상기 결제앱(420)에 구비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결제앱(420)에서 이용 가능한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거래정보의 결제를 처리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 처리부(445)는 상기 결제 처리 결정을 근거로 지정된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예컨대, 거래정보 또는 거래정보 중 결제 필요한 일부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445)에 구비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결제앱(420)에서 이용 가능한 사용자 결제수단(예컨대, 서버 측에 등록된 카드정보, 계좌정보 등)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서버(105)와 연동하기 위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상기 관리서버(100)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하거나,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예컨대, PG서버, 결제 처리부(445)와 연계된 결제사업자의 중계서버 등, 도시생략)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직접 연동(예컨대, 앱 내에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연동하는 모듈이 탑재된 경우 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 절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상기 관리서버(100)를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앱 내에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관리서버(100)와 연동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로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연계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요청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조합하여 식별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결제 처리부(445)를 통해 수행되는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상기 결제서버(105)의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가 승인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 절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지정된 중계서버(예컨대, PG서버, 결제 처리부(445)와 연계된 결제사업자서버 등, 도시생략)와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앱 내에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중계서버와 연동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로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연계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요청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조합하여 식별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서버는 상기 결제 처리부(445)를 통해 수행되는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상기 결제서버(105)의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가 승인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 절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지정된 결제시스템의 결제서버(105)와 직접 연동 가능하며, 상기 결제서버(105)와 연동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앱 내에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결제서버(105)로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연계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요청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와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조합하여 식별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제서버(105)를 통해 거래금액에 대한 서버 측 결제 절차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445)는 상기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이용한 역방향 결제를 위한 정보 등록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가맹점에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등록정보, 결제를 위해 상기 가맹점에 부여된 가맹점정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단말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관련 정보를 등록 요청하며(500),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50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는 상기 운영서버(200)와 연계된 별도의 운영단말을 통해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등록 요청하며(510), 상기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고유코드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고유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한다(515). 만약 상기 고유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상기 가맹점 관련 정보와 연계되도록 처리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520).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거래등록 내지 역방향 OTID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역방향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에 등록함과 동시에, 운영서버(200)에서 고유코드를 은닉하여 생성한 OTID를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하는 무선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 역방향 전달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래등록 내지 역방향 OTID 전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가맹점에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역방향 결제를 위해 금액정보를 입력받거나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금액정보를 확인하고(600),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로 전송한다(60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등록정보는 상기 금액정보 이외에 상품정보, 일시정보, 가맹점 관련 정보,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고(610),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포함된 정보나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하며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를 확인한다(615). 만약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모든 가맹점이 해당 가맹점을 고유 식별하는 별도의 고유코드를 등록하게 되어 있음에도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의 고유코드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의 고유코드를 확인할 수 없음에 대한 가맹점 오류 정보를 제공하고(620),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가맹점 오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25). 한편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모든 가맹점이 고유코드를 등록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도면7의 실시예를 통해 OTI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하며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지정된 특정 장치/서버를 통해서만 독출 가능하게 은닉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를 생성한다(630).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OTID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를 생성할 수 있다(630).
한편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한다(635).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인증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635).
만약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상기 OTID 및 일회용 인증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고(640),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전송한다(645).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200)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수신하고(650), 지정된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고(655),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지정된 구조(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에서 인식 가능한 구조)로 포함하는 송출정보를 구성함과 동시에(665),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통해 상기 송출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며(670),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는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400)로 수신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거래등록 내지 역방향 OTID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역방향 결제를 위한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에 등록함과 동시에, 운영서버(200)에서 생성한 OTID를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하는 무선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 역방향 전달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래등록 내지 역방향 OTID 전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가맹점에 구비되어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역방향 결제를 위해 금액정보를 입력받거나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금액정보를 확인하고(700),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로 전송한다(70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등록정보는 상기 금액정보 이외에 상품정보, 일시정보, 가맹점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고(710),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하며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등록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를 생성한다(715).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일정 시간 동안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임시고유코드를 포함(또는 은닉)함으로써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를 생성할 수 있다(715).
한편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한다(720).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인증코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OTID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또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720).
만약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상기 OTID 및 일회용 인증코드를 연계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고(725),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전송한다(730).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200)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등록결과정보를 수신하고(735), 지정된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고(740),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지정된 구조(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에서 인식 가능한 구조)로 포함하는 송출정보를 구성함과 동시에(750), 지정된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를 통해 상기 송출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며(755),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한 무선신호는 근거리의 사용자 무선단말(400)로 수신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무선신호 인식 내지 거래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에서 상기 도면6 또는 도면7의 과정을 통해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 판독하여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하고,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관리서버(100)가 상기 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중계 전달하고, 상기 운영서버(200)에서 상기 OTID를 통해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통해 유효성을 인증한 후 상기 인증된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를 기반으로 확인/산출된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관리서버(100)로 제공하면, 상기 관리서버(100)가 상기 거래정보를 상기 결제앱(420)으로 제공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신호 인식 내지 거래정보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 또는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가맹점 무선단말(300)에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근거리 무선부(310)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지정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x00). 만약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지정 무선신호 규격의 무선신호가 수신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한다(x05).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앱 동작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통해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 판독하여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통해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구성하고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전송한다(x10).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부터 상기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인식정보를 중계 전달한다(x1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연계된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을 통해 인식된 OTID와 일회용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한다(x20).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인식정보의 OTID를 판독(예컨대, OTID를 생성한 엔코딩 규칙에 대응하는 디코딩 규칙을 통해 디코딩)하여 상기 OTID에 은닉된 고유코드를 독출한 후(x25),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등록된 정보와 상기 독출된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또는 결제앱(420))의 사용자가 방문한 가맹점, 즉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 인증한다(x30). 만약 상기 OTID에 임시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각 가맹점으로부터 등록된 거래등록정보와 연계된 OTID에 포함(또는 은닉)된 임시고유코드를 통해 상기 독출된 임시고유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 인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OTID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이 고유 식별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OTID에 대한 식별/인증 오류를 제공하고(x35),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식별/인증 오류를 제공하며(x4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식별/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x45).
한편 상기 인식정보의 OTID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이 고유 식별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OTID를 통해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한다(x50). 만약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한 식별/인증 오류를 제공하고(x35),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식별/인증 오류를 제공하며(x4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식별/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x45).
한편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되는 거래등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연계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인식정보의 일회용 인증코드와 상기 확인된 일회용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함으로써(x55),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를 통해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일회용 인증코드에 대한 인증 오류를 제공하고(x35),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인증 오류를 제공하며(x4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x45).
한편 상기 인식정보의 OTID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300)을 구비한 가맹점이 고유 식별 인증됨과 동시에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가 식별되고 상기 인식정보의 일회용 인증코드를 통해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식별/인증된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확인/산출하고(x60), 지정된 관리서버(100)로 상기 확인/산출된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며(x65), 상기 관리서버(100)는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으로 제공하고(x7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상기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x75).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결제앱을 이용한 역방향 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 상의 결제서버(105)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역방향 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8의 과정을 통해 거래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거래정보의 결제 처리가 결정되는지 확인한다(900). 만약 상기 거래정보의 결제 처리가 결정되면, 상기 결제앱(420)은 지정된 결제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거래정보에 포함된 거래금액의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정보를 출력하고(905),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실물화폐 기반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 처리가 요청되는지 확인하거나(907),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처리가 요청되는지 확인한다(1045). 만약 상기 결제정보에 대하 암호화폐 기반 결제가 요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운영서버(200) 및/또는 결제서버(105)로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도면10 내지 도면16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실물화폐 기반 결제 처리가 요청된 경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결제 절차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 상의 결제서버(105)를 통해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결제앱(420) 내에 설정된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910), 상기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1 내지 제3 결제 절차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서버(105)로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요청한다(915).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결제 절차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측 결제 절차가 요청됨을 확인하고(920), 지정된 사용자 결제수단(예컨대, 지정된 간편 결제를 위해 등록된 사용자 결제수단, 또는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위해 수신된 결제수단정보 등)을 통해 상기 결제 요청된 거래금액의 결제를 승인하기 위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925).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결제 절차에 대한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한다(930). 만약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결제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과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제공하며(93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의 결제앱(420)은 상기 거래금액의 결제를 처리한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940),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한 후 지정된 가맹점 무선단말(300)로 제공하며(945),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300)은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가 요청된 경우에 상기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시, 상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는 운영서버(200)를 통해 구현되거나 및/또는 결제서버(105)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편의상 본 도면10은 운영서버(200)에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운영서버(200) 및/또는 결제서버(105)에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구성이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N(N≥1)개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 또는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암호화폐블록 저장부(1010)와, 상기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신규로 생성 또는 합의되는 신규 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갱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암호화폐블록 갱신부(1015)를 구비한다.
익명의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2008년10월31일자에 암호화 기술 커뮤니티 메인(Gmane)에 올린 논문에 포함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은 2009년01월03일에 '비트코인'이라는 암호화폐를 통해 최초 구현된 이후, 현재까지 블록체인 알고리즘의 변형된 예는 최소 수백개 이상에 이른다. 한편 본 발명은 수백개 이상으로 변형된(또는 앞으로 변형될) 블록체인 알고리즘 중 어떠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된 암호화폐라도 실물화폐와 동등한 결제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블록체인 알고리즘은 서버 집중형 방식이 아닌 P2P(Peer-To-Peer)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어떻게 변형되더라도 피어(Peer)들이 참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가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참여하는 피어에 대응하는 컴퓨터나 장치 또는 서버 등을 통칭하여 '노드장치(1005)'라고 명명한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퍼블릭(Public)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한된(또는 사전 인증된) 피어만 참여 가능한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블록체인 알고리즘은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혼합한 하이브리드(Hybrid)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근거로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생성된 암호화폐블록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기능과, 상기 수집된 지정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블록화하여 블록을 구성하는 기능과, 상기 구성된 블록의 체인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시값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구성된 블록의 체인화와 무결성 검증을 위한 유효한 블록체인검증값(예컨대, POW(Proof-Of-Work), POS(Proof-Of-Stake), CBB(Consensus-By-Bet) 등)을 생성 내지 적용하여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과, 신규 생성된 블록을 다른 노드장치(1005)로 합의 요청하는 기능과, 다른 노드장치(1005)로부터 합의 요청된 블록에 포함된 블록체인검증값을 근거로 상기 합의 요청된 블록의 블록체인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과, 상기 검증된 블록을 기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연결하는 기능 중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되며,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운영되는 모든 노드장치(1005)는 동일한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적용된 동일 버전의 블록체인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N(N≥1)개의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도면10에 도시된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의 구성부는 지정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예컨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적용된 블록체인 프로그램이 탑재된 노트장치)로 참여하거나 및/또는 상기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참여 가능한 가상노드(예컨대,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적용된 블록체인 프로그램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가상의 노드)로 동작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되어 유효하게 동작 중인 노드장치(1005)와 실시간 연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N개의 암호화폐는 복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실시예 뿐만아니라, 어느 하나의 특정한 단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포함한다. 다만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청구항에서 상기 N개의 암호화폐를 복수인 것처럼 표현(또는 기재)하더라도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그러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N개의 암호화폐는 복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실시예(또는 권리범위)를 포함함은 물론, 단수의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실시예(또는 권리범위)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1 암호화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암호화폐는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나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와 연계된 노드장치(1005)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여 합의 요청 가능한 능동형 노드(Active Node)로 참여시킨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능동형 노드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실제 노드장치(1005)이거나 이와 동등하게 동작하는 노드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근거로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생성된 암호화폐블록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수집하는 기능과, 상기 수집된 지정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블록화하여 블록을 구성하는 기능과, 상기 구성된 블록의 체인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해시값을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구성된 블록의 체인화와 무결성 검증을 위한 유효한 블록체인검증값을 생성 내지 적용하여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과, 신규 생성된 블록을 다른 노드장치(1005)로 합의 요청하는 기능과, 다른 노드장치(1005)로부터 합의 요청된 블록에 포함된 블록체인검증값을 근거로 상기 합의 요청된 블록의 블록체인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과, 상기 검증된 블록을 기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연결하는 기능 중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암호화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암호화폐는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나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와 연계된 노드장치(1005)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 내지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을 실시간 확인 가능한 수동형 노드(Passive Node)로 참여시킨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동형 노드는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실제 노드장치(1005)와 연동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생성 내지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을 실시간 확인하는 노드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근거로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생성된 암호화폐블록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로부터 합의 요청된 블록에 포함된 블록체인검증값을 근거로 상기 합의 요청된 블록의 블록체인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과, 상기 검증된 블록을 기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연결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암호화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암호화폐는 상기 운영서버(200)를 운영하는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통해 발행되는 운영사의 암호화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포함하거나,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혼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누구나 노드로 참여 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운영사에서 분산 구축하여 운영하는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운영사에서 분산 구축하여 운영하는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를 포함하되, 상기 운영사에서 분산 구축한 노드장치(1005) 이외에 외부의 노드장치(1005)의 참여를 허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와 외부의 노드장치(1005)가 참여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가상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의 노드 이외에 외부의 노드장치(1005)의 참여를 허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가상의 노드와 외부의 노드장치(1005)가 참여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운영사에서 분산 구축하여 운영하는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와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와 지정 개수의 가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운영사에서 분산 구축하여 운영하는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와 상기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를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와 가상의 노드 이외에 외부의 노드장치(1005)의 참여를 허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운영사에서 운영하는 지정 개수의 노드장치(1005)와 가상의 노드 및 외부의 노드장치(1005)가 참여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사에서 구현한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는 상기 제1 내지 제7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암호화폐블록 저장부(1010)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암호화폐 중 결제수단으로 이용할 N(N≥1)개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장치(1005)와 연동하여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각각의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 또는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N개의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N개의 암호화폐블록을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즉,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중앙 집중형 서버 없이 P2P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비된 각각의 노드장치(1005)에 각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암호화폐블록이 저장되고 주기적으로 갱신되므로, 상기 암호화폐블록 저장부(1010)는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장치(1005)와 연동하여 N개의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비된 노드장치(1005)들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신규 블록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합의하는 절차를 수행하는데, 상기 암호화폐블록 갱신부(1015)는 상기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신규로 생성 또는 합의되는 신규 블록을 확인하고,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각각의 암호화폐블록에 상기 확인된 신규 블록을 체인화하여 갱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블록 갱신부(1015)는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갱신할 때마다(또는 지정된 주기 별로) 상기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을 체인화하기 위해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연산(예컨대,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연산 및/또는 각 블록에 포함된 블록체인검증값을 통해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연산 등)을 통해 상기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또는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각 블록들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호화폐블록 갱신부(1015)는 상기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또는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각 블록들의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검증된 암호화폐블록(또는 검증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에 신규 블록을 체인화하여 갱신하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블록 갱신부(1015)는 지정된 암호화폐가 결제수단으로 이용되는 동안 상기 결제수단으로 이용되는 암호화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신규로 생성 또는 합의되는 신규 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해당 암호화폐의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갱신하는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등록받고,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식별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설정된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등록받는 절차를 수행하는 암호화폐정보 등록부(1020)와,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하여 사용자 측 암호화폐 거래를 관리하는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를 구비하며,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을 판독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개의 블록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을 판독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개의 블록들의 체인화를 위해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제n(1≤n≤N) 암호화폐를 통해 결제 요청하려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등록하고,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식별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설정된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예컨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비밀번호, 인증코드, 등록코드, 인증서정보, 인증서비밀번호 등)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화폐정보 등록부(1020)는 지정된 등록 절차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등록받고,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식별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설정된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등록받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통해 암호화폐 결제를 위한 암호화폐 거래가 발생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즉,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를 통해서는 해당 암호화폐계좌가 누구의 소유인지 소유자를 확인할 수 없으나,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연계 저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폐계좌의 소유자가 상기 사용자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임을 식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을 판독(예컨대,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를 인출계좌로 포함하거나 인입계좌로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유효한 노드장치(1005)를 통해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을 판독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정보를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지정된 주기적(또는 반복적)으로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을 판독(예컨대,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를 인출계좌로 포함하거나 인입계좌로 포함하는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유효한 노드장치(1005)를 통해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을 판독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암호화폐단위정보를 관리DB에 저장하는 과정을 지속(또는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개의 블록을 판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개의 블록들의 체인화를 위해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연산(예컨대,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연산 및/또는 각 블록에 포함된 블록체인검증값을 통해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개의 블록들의 체인화를 위해 각 블록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 이를 근거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전을 위한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암호화폐환율 저장부(1030)를 구비하며, 상기 환율정보가 변동되는 경우 지정된 주기 별로 변동되는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를 갱신하는 암호화폐환율 갱신부(1035)를 구비한다.
상기 암호화폐블록 저장부(1010)를 통해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N개의 암호화폐블록이 저장되거나 및/또는 상기 암호화폐블록 갱신부(1015)를 통해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N개의 암호화폐블록이 체인화되어 갱신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폐환율 저장부(1030)는 상기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N개의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N개의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예컨대, KRW, USD 등) 간 환전을 위한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1 환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와 실물화폐 간 환율정보는 임의로 변동(예컨대, 암호화폐의 매도/매수 신청에 따라 임의로 변동) 가능한 환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환율정보가 임의로 변동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폐환율 갱신부(1035)는 지정된 주기 별로 변동되는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환율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는 변동되지 않고 고정된(또는 지정된 기관에 의해 설정되는) 환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호화폐환율 갱신부(1035)는 상기 환율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제n(1≤n≤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하는 결제요청 확인부(1040)와,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확인 시, 제n 암호화폐에 대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를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하는 암호화폐환율 확인부(1045)와, 상기 확인된 결제용 환율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결정하는 암호화폐단위 결정부(1050)를 구비한다.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물화폐 기반 결제수단이 아닌 블록체인 기반의 제n(1≤n≤N)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암호화폐 결제요청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104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암호화폐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폐 결제요청정보는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무선단말, 사용자, 앱 중 적어도 하나(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 식별자, 결제수단으로 이용될 제n 암호화폐를 식별하는 암호화폐 식별자,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를 통해 제n 암호화폐에 대한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가 관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1040)를 통해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경우, 상기 암호화폐환율 확인부(1045)는 결제수단으로 이용될 제n 암호화폐에 대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를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환율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율정보가 임의로 변동되는 경우, 상기 암호화폐환율 확인부(1045)는 상기 암호화폐환율 갱신부(1035)를 통해 최근 갱신된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현재 환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현재 환율정보를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는 상기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현재 환율정보와 동일한 환율정보, 상기 현재 환율정보보다 제n 암호화폐의 가치를 일정 비율 낮춰 산출하는 환율정보, 일정 기간 동안의 환율정보의 변동 추이를 근거로 환전에 따른 손실을 헤지(Hedge)하기 위해 조정된 환율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환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환율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율정보가 고정된 경우, 상기 암호화폐환율 확인부(1045)는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환율정보를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는 상기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현재 환율정보와 동일한 환율정보, 상기 현재 환율정보보다 제n 암호화폐의 가치를 일정 비율 낮춰 산출하는 환율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환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폐환율 확인부(1045)를 통해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결제용 환율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암호화폐단위 결정부(1050)는 상기 확인된 결제용 환율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폐단위 결정부(1050)는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 및/또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사용자 무선단말(400)로 제공하여 이에 대응하는 암호화폐 기반 결제에 대한 사용자의 결제 동의나 사용자 승인을 획득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확인하는 암호화폐계좌 확인부(1060)와,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와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유효성 인증부(1065)를 구비한다.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1040)를 통해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경우, 상기 암호화폐계좌 확인부(1060)는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를 통해 관리되는 관리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암호화폐계좌 확인부(1060)는 상기 관리DB로부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 중 지정된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암호화폐계좌로 인입하는 암호화폐 거래를 진행/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암호화폐계좌 확인부(1060)를 통해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가 확인되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서 상기 암호화폐단위 결정부(1050)를 통해 결정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암호화폐계좌로 인입하는 암호화폐 거래에 근거한 암호화폐 결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근거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판독(예컨대, 제n 암호화폐블록에 체인 연결되어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에 근거한 암호화폐의 인출/인입 내역을 판독)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암호화폐정보 관리부(1025)를 통해 지정된 관리DB에 주기적(또는 반복적)으로 저장되는 사용자의 암호화폐단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유효한 노드장치(1005)와 연동하여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고 판독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어느 한 서버에 집중형으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비된 각각의 노드장치(1005)에 지정된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블록화 및 체인화하여 생성된 암호화폐블록을 저장하고 주기적 및/또는 반복적으로 갱신하므로,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실시간 판독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판독한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DB를 조화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을 체인화하기 위해 각 블록들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거나 및/또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 중 사용자의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어느 한 서버에 집중형으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비된 복수의 노드장치(1005)에 지정된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블록화 및 체인화하여 생성된 암호화폐블록을 분산 저장하므로,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이 유효한지 확인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를 통해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은 소정의 암호화폐 거래 발생 시 상기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생성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각각의 거래내역 단위로 실시간 체인화하는 것이 아니라(즉, 이전 암호화폐 거래내역의 해시값을 현재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및/또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 생성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블록화한 후 블록 단위로 체인화(즉, 최초 블록부터 연결된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현재 블록에 포함시키거나 및/또는 현재 블록의 해시값에 대한 블록체인검증값을 생성하거나 적용)하기 때문에 어느 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생성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암호화폐블록에 블록화 내지 체인화되어 포함되기 위해서는 소정의(또는 기 설정된) 대기 시간이 필요하다. 예컨대, 일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경우 10분의 대기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 알고리즘의 기술 구조 상 대기 시간을 줄이면 그 만큼 보안성은 감소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른 보안기술이 필요해진다. 아무리 많은 보안기술을 사용하여 대기 시간을 최소로 감소하더라도 적어도 10초 내외의 대기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과거의 일 시점에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되었더라도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설정된 제n 블록체인 알고리즘의 블록화 내지 체인화를 위해 설정된 대기 시간 전에는 상기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일부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비된 복수의 노드장치(1005)들은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블록화한 블록을 생성하여 체인화하는 과정에 경쟁적으로 참여하며, 블록체인화에 성공한 노드장치(1005)에게 신규 암호화폐를 발행하거나 및/또는 상기 블록체인화에 성공한 노드장치(1005)에게 상기 블록체인화된 블록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의 거래수수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노드장치(1005)들은 거래수수료가 높게 책정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자신이 생성하는 블록에 우선 포함시키고 그러하지 않은 암호화폐 거래내역은 배제하거나 나중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된 일부 암호화폐 거래내역의 경우 해당 블록체인 알고리즘 상의 대기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비된 노드장치(1005)들이 해당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언제 블록에 포함시켜주느냐에 따라 수시간에서 수일 또는 수주나 수개월의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다. 극단적으로는 일부 암호화폐 거래내역의 경우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가 폐쇄될 때까지도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위해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생성하여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하기 전에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의 지연을 방지하거나 블록체인 알고리즘 상의 결함에 따른 오류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하되,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확인된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확인되지 않거나 및/또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확인되더라도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기 포함(또는 즉시 포함)되어 유효한 암호화폐 거래로 최종 확정된 경우,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이 유효한 것으로 인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확인되거나 및/또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하기 제4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실시예와 같이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포함된 암호화화폐단위와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화폐단위 중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n 암호화폐의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방송됨과 동시에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가 차감되는 구조인 경우,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가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단위보다 작거나 같은지 확인하여 그러한 경우에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예를들어, 상기 제n 암호화폐의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방송된 후 상기 사용자 측 인출 관련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경우에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가 차감되는 구조인 경우,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암호화폐단위와 상기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포함된 암호화폐단위의 합이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보다 작거나 같은지 확인하여 그러한 경우에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하기 위해 지정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암호화폐거래 절차부와, 일정 기간 내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통해 암호화폐 결제를 처리한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하는 결과정보 확인부(1080)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제공하는 결과정보 제공부(1085)를 구비하며, 상기 지정된 암호화폐거래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암호화폐 거래가 유효하게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도록 관리하는 암호화폐 거래 관리부(107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를 통해 하나 이상의 지정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부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암호화폐단위 결정부(1050)를 통해 결정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로부터 인출하여 지정된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로 이전하기 위한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생성하여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용 암호화폐계좌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실물화폐단위로 환전하기 위해 임시 보관하는 에스크로우(Escrow)를 위해 지정된 제n 암호화폐의 에스크로우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되는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은 암호화폐와 실물화폐 간 거래의 거래내역이 아니라 암호화폐 간 거래의 거래내역이다. 따라서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로부터 인출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가 실물화폐단위로 환전되기 위해서는 지정된 암호화폐 거래소(예컨대, 제휴된 거래소 또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거래소)를 이용한 암호화폐단위의 매도/매수 거래에 근거한 실물화폐로의 환전거래 및/또는 사업자의 환전 충당금을 이용한 환전거래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전거래가 발생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실물화폐로의 환전거래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한편 제n 암호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는 암호화폐 기반 결제가 처리됨과 동시에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가 인출되어야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로부터 인출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실물화폐단위로 환전되기 전까지 임시 보관하기 위해 지정된 제n 암호화폐의 에스크로우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용 암호화폐계좌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지정된 암호화폐거래 절차에 따라 매도 요청한 후에 실물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매수하는 매수인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n 암호화폐의 환전 거래가 실시간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상기 암호화폐단위 결정부(1050)가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결정함에 있어 상기 제n 암호화폐의 현재 환율정보보다 상기 제n 암호화폐의 가치를 일정 비율 낮춰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하는 경우, 이와 같이 산출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한 매도 요청과 동시에 실시간(또는 지정된 시간 내에) 매수될 수 있다. 또는 사업자가 소정의 환전 충당금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매수하는 경우,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는 매도 요청과 동시에 실시간(또는 지정된 시간 내에) 매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제용 암호화폐단위가 매도 요청과 동시에 실시간(또는 지정된 시간 내에) 매수 가능한 경우,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매도 요청하여 실시간(또는 지정된 시간 내에) 매수하는 매수인의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는 매수인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성 인증부(1065)를 통해 상기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확인된 경우, 암호화폐 거래 관리부(1075)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근거한 블록체인화 과정과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보다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를 위해 생성되어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되는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우선 포함시키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이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비된 복수의 노드장치(1005) 중 블록체인화에 성공한 노드장치(1005)에게 상기 블록체인화된 블록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의 거래수수료를 제공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암호화폐 거래 관리부(1075)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설정된 거래수수료보다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의 거래수수료를 높게 설정하여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보다 제n 암호화폐블록에 우선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자체적으로 구현하여 운영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보다 제n 암호화폐블록에 우선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과정보 확인부(1080)는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부를 통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방송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통해 결제를 처리한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부를 통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방송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 확인부(1080)는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과정보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정보 확인부(1080)는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부를 통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방송된 후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기 전에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과정보 확인부(1080)는 상기 암호화폐 결제에 대한 가승인결과(예컨대, 제n 암호화폐블록에 의해 최종 확정되지 않은 상태의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과정보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방송된 후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 가능한 경우(예컨대, 블록체인 알고리즘 구조 상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시키는 주기가 지정된 기준 시간 이내거나 및/또는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가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의 거래수수료나 우선 순위를 조정한 경우), 상기 결과정보 확인부(1080)는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부를 통해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방송된 후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됨을 확인한 후에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경우, 상기 결과정보 확인부(1080)는 상기 암호화폐 결제에 대한 실승인결과(예컨대, 제n 암호화폐블록에 의해 최종 확정된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대응하는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정보 제공부(1085)는 상기 제1 또는 제2 결과정보 확인 실시예에 따라 확인된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 및/또는 가맹점 측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 및/또는 가맹점 측 단말기는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암호화폐블록을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N(N≥1)개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 또는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신규로 생성 또는 합의되는 신규 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암호화폐블록의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들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되는 지정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포함하여 이전 블록과 체인 연결할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규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다른 노드장치(1005)로 전달하여 합의하는 블록체인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합의된 블록들을 체인화하여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각각의 노드장치(1005)에 분산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100),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N(N≥1)개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 또는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최신의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한다(1105). 만약 상기 암호화폐블록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확인된 암호화폐블록을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한다(1110).
이후,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지정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신규 블록이 생성 내지 합의되는지 확인한다(1115). 만약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신규 블록이 생성 내지 합의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신규로 생성 내지 합의된 신규 블록을 확인하고(1120), 상기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상기 확인된 신규 블록을 체인화하여 갱신 저장하며(1125),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신규로 생성 내지 합의된 신규 블록을 확인하여 상기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갱신 저장하는 과정을 주기적 및/또는 지속적으로 반복한다. 이로써 상기 블록저장영역에는 항상 최신의 암호화폐블록이 유지될 수 있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암호화폐와 실물화폐 간 환율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전을 위해 설정된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 및/또는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환율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전을 위해 설정된 환율정보를 확인한다(1200). 예를들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지정된 암호화폐 거래소의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환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를 참조하여 상기 환율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암호화폐와 실물화폐 간 환율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상기 확인된 환율정보를 저장한다(1205).
한편 상기 환율정보가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변동 환율정보인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지정도니 주기 별로 변동되는 현재 환율정보를 확인하고(1210), 상기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를 최근 확인된 현재 환율정보로 갱신하여 저장하며(1215), 이로써 상기 환율저장영역에는 즉시 환전 가능한 환율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도면1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측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이용한 실명 기반의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제n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사용자정보를 등록하면(1300),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한다(1305).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식별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설정된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등록하면(1310),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수신하고(1315),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함으로써(1320), 실명 기반의 사용자 측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제n 암호화폐에 대응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들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되는 지정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포함하여 이전 블록과 체인 연결할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규 블록을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다른 노드장치(1005)로 전달하여 합의하는 블록체인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합의된 블록들을 체인화하여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각각의 노드장치(1005)에 분산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데(1325),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도면11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n 암호화폐에 대응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로부터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한다(1330).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확인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을 체인화하기 위해 각 블록들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한다(1335). 만약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의 유효한 노드장치(1005)로부터 최신의 유효한 제n 암호화폐블록을 (재)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하고(1340), 상기 확인/저장된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검증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개의 블록들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내역들을 판독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산출한다(1345). 만약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가 산출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정보를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연계하여 관리DB에 저장한다(1350).
도면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제n 암호화폐 기반 결제가 요청된 경우 제n 암호화폐와 실물화폐 간 환율을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확인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400)을 통해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및/또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에 대한 사용자의 결제 동의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0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400)에서 제n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요청한 경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암호화폐 기반 결제 요청을 확인한다(1400). 만약 상기 제n 암호화폐 기반 결제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도면12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제n 암호화폐와 실물화폐 간 환율 정보를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하고(1405), 상기 확인된 결제용 환율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결정한다(1410).
도면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 확인 시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가 상기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확인하고,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와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근거로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 유효성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0의 과정을 통해 제n 암호화폐 기반 결제가 요청되거나 및/또는 상기 도면14의 과정을 통해 결제용 암호화폐단위가 결정되거나 암호화폐 기반 결제에 대한 사용자 동의가 확인된 경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확인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500). 만약 상기 사용자 암호화계좌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통신망을 통해 오류정보를 제공하고(150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오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510).
한편 상기 제n 암호화폐에 대응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들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되는 지정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포함하여 이전 블록과 체인 연결할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규 블록을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다른 노드장치(1005)로 전달하여 합의하는 블록체인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합의된 블록들을 체인화하여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각각의 노드장치(1005)에 분산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는데(1515), 만약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가 확인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도면11의 과정을 통해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n 암호화폐에 대응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로부터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한다(1520).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확인된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을 체인화하기 위해 각 블록들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525). 만약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통신망을 통해 오류정보를 제공하고(150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오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510).
한편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근거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사용자 보유 암호화폐단위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530). 만약 상기 사용자 보유 암호화폐단위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통신망을 통해 오류정보를 제공하고(150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오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5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보유 암호화폐단위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보유 암호화폐단위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증하는 블록체인화 유효성을 인증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5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블록체인화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하여 블록체인화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포함된 암호화화폐단위와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화폐단위 중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사용자 보유 암호화폐단위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5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사용자 보유 암호화폐단위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에서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는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하여 블록체인화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포함된 암호화화폐단위와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화폐단위 중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보유 암호화폐단위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근거한 블록체인화 과정과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보다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우선 포함시키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면서(1545),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를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이전에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존재함이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또는 가능성)에 대한 알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암호화폐 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6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가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하기 위해 지정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암호화폐 결제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5의 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로 이전하기 위한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생성하고(1615), 상기 제n 암호화폐에 대응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상기 생성된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방송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605). 한편 상기 제n 암호화폐에 대응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노드장치(1005)들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로 방송되는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지정 개수의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포함하여 이전 블록과 체인 연결할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규 블록을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 상의 다른 노드장치(1005)로 전달하여 합의하는 블록체인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합의된 블록들을 체인화하여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각각의 노드장치(1005)에 분산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610).
한편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1000)에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방송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한다(1615). 만약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또는 결제서버(105))는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사용자 무선단말(400) 및/또는 가맹점 측 단말기로 제공하고(162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 및/또는 가맹점 측 단말기는 상기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625).
100 : 관리서버 105 : 결제서버
200 : 운영서버 205 : 정보 저장부
210 : 거래등록 수신부 215 : OTID 생성부
220 : 인증코드 생성부 225 : 거래등록 관리부
230 : 등록결과 제공부 235 : 인식정보 수신부
240 : 식별/인증 처리부 245 : 거래등록 확인부
250 : 거래정보 제공부 255 : 결제결과 처리부
300 : 가맹점 무선단말 310 : 근거리 무선부
315 : 가맹점 결제부 320 : 가맹점용 앱
325 : 정보 등록부 330 : 거래 등록부
335 : 등록결과 수신부 340 : 정보 구성부
345 : 신호송출 처리부 350 : 결과 처리부
400 : 사용자 무선단말 410 : 근거리 무선부
420 : 결제앱 425 : 신호 확인부
430 : 신호 인식부 435 : 인식정보 전송부
440 : 거래정보 수신부 445 : 결제 처리부
10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5 : 노드장치
1010 : 암호화폐블록 저장부 1015 : 암호화폐블록 갱신부
1020 : 암호화폐정보 등록부 1025 : 암호화폐정보 관리부
1030 : 암호화폐환율 저장부 1035 : 암호화폐환율 갱신부
1040 : 결제요청 확인부 1045 : 암호화폐환율 확인부
1050 : 암호화폐단위 결정부 1055 : 암호화폐결제 확인부
1060 : 암호화폐계좌 확인부 1065 : 유효성 인증부
1070 : 암호화폐 거래 절차부 1075 : 암호화폐 거래 관리부
1080 : 결과정보 확인부 1085 : 결과정보 제공부

Claims (17)

  1.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통신하고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근거리 송출할 가맹점 무선단말로부터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거래등록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지정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별도로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거래등록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거래를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유일하게 고유 식별하는 OTID(One Time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OTID를 통해 식별되는 특정 거래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거래등록정보와 OTID 및 인증코드를 연계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가맹점 무선단말로 상기 OTID와 인증코드를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OTID의 유효시간 내에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측 무선단말을 통해 근거리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결제앱과 연계된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인식한 OTID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제5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수신된 OTID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송출한 가맹점 무선단말을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 인증된 가맹점에서 등록한 거래등록정보 중 상기 OTID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되는 어느 한 거래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코드를 통해 상기 확인된 거래등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6 단계;
    상기 거래등록정보를 식별 인증 시,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관리서버로 상기 거래등록정보의 금액정보에 대응하는 거래금액을 포함하는 거래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블록체인에 근거한 N(N≥1)개의 암호화폐 중 제n(1≤n≤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확인하고 상기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서 상기 결제를 위한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로 이전하기 위한 암호화폐거래 절차를 수행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지정된 결제서버를 통해 수행된 암호화폐거래 절차의 결과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에 대한 암호화폐 기반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가맹점 측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금액은, 상기 결제앱을 통해 요청되는 결제 절차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암호화폐는,
    상기 운영서버(또는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된 노드장치)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을 생성하여 합의 요청 가능한 능동형 노드(Active Node)로 참여시킨 암호화폐,
    상기 운영서버(또는 상기 운영서버와 연계된 노드장치)를 지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 내지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을 실시간 확인 가능한 수동형 노드(Passive Node)로 참여시킨 암호화폐,
    상기 운영서버를 운영하는 운영사에서 구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발행되는 운영사의 암호화폐 중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를 등록받고, 제n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단위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식별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계좌단위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설정된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측 암호화폐등록정보를 등록받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암호화폐계좌정보와 사용자 측 암호화폐거래인증정보를 상기 사용자정보와 연계하여 지정된 관리DB에 저장하여 사용자 측 암호화폐 거래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대응하는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간 환전을 위한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환율정보가 변동되는 경우,
    지정된 주기 별로 변동되는 환율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환율저장영역에 저장된 환율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최근 갱신된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현재 환율정보를 근거로 결제용 환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환율정보는,
    상기 제n 암호화폐와 지정된 실물화폐 사이의 현재 환율정보와 동일한 환율정보,
    상기 현재 환율정보보다 제n 암호화폐의 가치를 일정 비율 낮춰 산출하는 환율정보,
    일정 기간 동안의 환율정보의 변동 추이를 근거로 환전에 따른 손실을 헤지(Hedge)하기 위해 조정된 환율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환율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현되는 N(N≥1)개의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 또는 합의되어 체인화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암호화폐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신규로 생성 또는 합의되는 신규 블록을 확인하여 지정된 블록저장영역에 저장된 암호화폐블록에 체인화하여 갱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된 i(i≥2)개의 블록들을 체인화하기 위해 각 블록들에 포함된 해시값들의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최신 갱신된 제n 암호화폐블록을 근거로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 시, 상기 제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요청을 확인한 시점을 기준으로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방송된 암호화폐 거래내역 중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를 인출계좌로 포함하면서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대기 상태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증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의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에 포함된 암호화화폐단위와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화폐단위 중 하나 이상의 암호화폐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상기 결제할 금액을 결제 가능한 유효한 암호화폐단위를 보유하고 있는지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암호화폐 결제 유효성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구현된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근거한 블록체인화 과정과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 인출 관련 미확정 암호화폐 거래내역보다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상기 제n 암호화폐블록에 우선 포함시키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할 금액에 대응하는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인출하여 지정된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로 이전하기 위한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생성하여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방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실물화폐단위로 환전하기 위해 임시 보관하는 에스크로우(Escrow)를 위해 지정된 제n 암호화폐의 에스크로우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계좌는,
    상기 제n 암호화폐의 사용자 암호화폐계좌에 보유된 암호화폐단위 중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지정된 암호화폐 거래 절차에 따라 매도 요청한 후에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단위를 매수하는 매수인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제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결제용 암호화폐 거래내역을 방송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상기 암호화폐거래 절차에 대한 암호화폐 기반 결제승인결과를 포함하는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가맹점 측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1020180000479A 2018-01-02 2018-01-0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79A KR20190082640A (ko) 2018-01-02 2018-01-0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79A KR20190082640A (ko) 2018-01-02 2018-01-0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640A true KR20190082640A (ko) 2019-07-10

Family

ID=6725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479A KR20190082640A (ko) 2018-01-02 2018-01-02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2620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3077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1548A (ko) 음파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40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41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21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38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22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39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19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3068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371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3069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370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368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407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408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27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378A (ko) 음파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409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628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0669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3065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0671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90082367A (ko) 무선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