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545A -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545A
KR20190082545A KR1020180000272A KR20180000272A KR20190082545A KR 20190082545 A KR20190082545 A KR 20190082545A KR 1020180000272 A KR1020180000272 A KR 1020180000272A KR 20180000272 A KR20180000272 A KR 20180000272A KR 20190082545 A KR20190082545 A KR 20190082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input
integrated circuit
switc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630B1 (ko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0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6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는,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가 포함된 장치의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토글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 입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저전력 집적 회로, 전력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력을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공받고, 제공받은 외부 전력을 기반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저전력 집적 회로의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전력 입력 단자를 외부 전력 전달 경로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칭 수단 및 제어부의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 장치를 저전력 집적 회로 또는 제어부에 택일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OWER TRANSMISSION PATH SELECTING CIRCUIT FOR REDUCING STANDBY POWER}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의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에서 전력 전달 경로를 달리 선택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력을 이용해 구동된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턴-오프 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외부 전력원(external power source)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이 때 전자 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을 나타내는 대기 전력(standby power)은 0W가 아닌 수 W를 소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기 전력이 소모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사용되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전기 요금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기 전력이 거의 없어 대기 전력이 0W라고 칭하기 위해서는 대기 전력이 작은 값이 임계 전력(예를 들어, 0.005W) 이하여야만 한다.
인위적으로 전원 플러그를 뽑는 방법 또는 인위적인 스위치를 만드는 방법 이외에 다양한 전자 장치의 대기 전력을 0W라고 칭하며, 전자 장치가 사용되는 장소에서 발생되는 전기 요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회로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에 있어서, 외부에서 전원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 없이 회로가 포함된 장치의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면서, 입력 장치를 통해 편리하게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가 포함된 장치의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토글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 입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저전력 집적 회로, 전력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력을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공받고, 제공받은 외부 전력을 기반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저전력 집적 회로의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전력 입력 단자를 외부 전력 전달 경로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칭 수단 및 제어부의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 장치를 저전력 집적 회로 또는 제어부에 택일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하면, 저전력 집적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입력 장치가 연결되는 경로를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에서 달리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 및 전력 공급원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의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 및 전력 공급원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에서의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 및 전력 공급원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진입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 진입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전기레인지의 대기 모드 진입 가능 여부 판단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 및 전력 공급원(20)을 나타낸다.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는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 저전력 집적 회로(100), 입력 장치(200), 전력 관리부(300), 제어부(400), 제1 스위칭 수단(SW1) 및 제2 스위칭 수단(SW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는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에 연결되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20)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는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에 연결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용 전원은 사용하는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110V 교류 전원, 220V 교류 전원, 380V 교류 전원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전압을 갖는 교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 의료 기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 항공 전자기기, 보안 기기,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IoT), 가로등, 운동 기구, 또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전 제품은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전자 액자, 전기레인지, 밥솥, 다용도 조리기구, 또는 커피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의료 기기는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와 같은 전자 액세서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모드들 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전자 장치가 꺼진 상태를 나타내는 턴-오프 상태 및 전자 장치의 모든 구성이 턴-오프 된 것은 아니지만 저전력 동작을 위해 많은 구성들의 동작이 중단된 아이들 상태(idle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로서,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전원 입력 단자를 통해 전력 공급원(20)과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가 포함된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집적 회로이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 임계 전력(예를 들어, 0.005W) 이하의 전력을 소모하는 제로 와트(Zero-Watt) 기술이 적용된 칩일 수 있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입력 장치(200)에 전력(P_ID)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도, 입력 장치(200)는 입력 신호(SIG_INPUT)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입력 장치(200)는 최소한의 전력 만을 사용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모드에서 저전력 집적 회로(100)가 입력 장치(200)에 제공하는 전력(P_ID)도 최소한의 양일 수 있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공함으로써 제1 스위칭 수단(SW1)의 턴-온 상태 또는 턴-오프 상태를 전환(토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제1 논리 레벨(예를 들어, '1' 또는 'H')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공함으로써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온 상태로 만들 수 있고, 또는 제2 논리 레벨(예를 들어, '0' 또는 'L')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공함으로써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오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되는 저전력 집적 회로 제어 신호(CTRL_LPI)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 입력 장치(200)로 수신되는 입력 신호(SIG_INPUT)를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SIG_INPUT)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SIG_INPUT)는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를 토글(toggle)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하지만 입력 신호(SIG_INPUT)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모드 전환 요청 신호일 뿐이며, 입력 신호(SIG_INPUT)의 입력으로 인해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가 곧바로 전환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SIG_INPUT)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뒤 동작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진입에 관한 순서도는 도 4에 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동작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SIG_INPUT)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대기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뒤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대기 모드 진입에 관한 순서도는 도 5에 개시된다. 입력 장치(200)는, 정전식 터치 패널, 감압식 터치 패널, 적외선 방식의 터치 패널, 초음파 방식의 터치 패널, 물리적 버튼, 광학시 키, 키패드, (디지털) 펜 센서, 또는 음성 입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저전력 집적 회로(100)로부터 전력(P_ID)을 제공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제2 스위칭 수단(SW2)에 의해 저전력 집적 회로(100) 또는 제어부(400)에 택일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는 대기 모드에서 저전력 집적 회로(10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SIG_INPUT)를 저전력 집적 회로(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SIG_INPUT)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력 관리부(300)는 전자 장치 내의 다양한 구성들에 각 구성들의 필요에 따른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내의 다양한 구성들은 동작을 위해 각기 다른 직류 전압 또는 각기 다른 교류 전압을 필요로 할 수 있고, 전력 관리부(300)는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이용해 다양한 구성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압을 생성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부(300)는 정류기(rectifier), SMPS(Switch Mode Power Supply)와 같은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 벅 컨버터(buck converter),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벅-부스트 컨버터(buck-boost converter), 축 컨버터(cuk converter), 또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등과 같은 DC-DC 컨버터, AC-DC 컨버터, DC-AC 컨버터 및 AC-AC 컨버터와 같은 다양한 전력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전력 관리부(300)를 거쳐 제어부(400)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 때 전력이 전력 공급원(20)으로부터 제어부(400)에 제공되기 까지 거쳐가는 회로적 구성 요소들을 통틀어서 외부 전력 전달 경로라 표현할 수 있다. 즉, 외부 전력 전달 경로에는 전력 관리부(300)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가 포함된 전자 장치 내의 다양한 구성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또는 미니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력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제1 스위칭 수단(SW1)이 턴-온 되어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가 외부 전력 전달 경로에 연결된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저전력 집적 회로 제어 신호(CTRL_LPI)를 통해 저전력 집적 회로(100)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CTRL_2)를 통해 제2 스위칭 수단(SW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논리 레벨(예를 들어, '1' 또는 'H')의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제2 스위칭 수단(SW2)에 제공함으로써 입력 장치(200)를 제어부(40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2 논리 레벨(예를 들어, '0' 또는 'L')의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제2 스위칭 수단(SW2)에 제공함으로써 입력 장치(200)를 저전력 집적 회로(100)와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저전력 집적 회로(10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어 신호(CTRL_1)에 따라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와 연결된 제1 노드(Nd1)와 전력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외부 전력 전달 경로와 연결된 제2 노드(Nd2) 사이를 선택적으로 단락(short)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적용하여 접점 간의 연결을 단락 또는 개방하는 릴레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수신되는 제어 신호가 없거나 수신되는 제어 신호가 제2 논리 레벨인 경우 개방되는 노말-오픈 스위칭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가 수신된 경우, 제1 스위칭 수단(SW1)은 턴-온(단락)되어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가 수신되거나 제1 제어 신호(CTRL_1)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스위칭 수단(SW1)은 턴-오프(개방)되어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어부(400)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제어 신호(CTRL_2)에 따라 입력 장치(200)와 연결된 제3 노드(Nd3)를 저전력 집적 회로(100)와 연결된 제4 노드(Nd4) 또는 제어부(400)에 연결된 제5 노드(Nd5)에 택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적용하여 접점 간의 연결을 택일적으로 하는 릴레이를 포함한 다양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논리 레벨의 제2 제어 신호(CTRL_2)가 수신된 경우,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노드(Nd3)와 제5 노드(Nd5)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논리 레벨의 제2 제어 신호(CTRL_2)가 수신되거나 제2 제어 신호(CTRL_2)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를 포함하는전자 장치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 외부의 전력 공급원(20)을 저전력 집적 회로(100)와만 연결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 모두에서 동작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편리하게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에서의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 및 전력 공급원(20)을 나타낸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제2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수신하거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수신하지 않음에 따라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를 개방시킬 수 있고,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2 논리 레벨의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수신하거나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수신하지 않음에 따라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는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가 대기 모드에서 개방된 회로를 제외한 구성 만을 포함하도록 도시한다.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 및 전력 공급원(20)에 관한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대기 모드에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를 통해 외부의 전력 공급원(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그 특성 상 전력 공급원(20)과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전력 만을 소모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 입력 장치(200)는 저전력 집적 회로(100)로부터 전력을 전력(P_ID)으로서 제공받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SIG_INPUT)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입력 장치(200)는 슬립 모드(sleep mode) 하에서 동작하여 최소한의 전력 만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SIG_INPUT)는 단락된 제3 노드(Nd3) 및 제4 노드(Nd4) 사이를 거쳐 저전력 집적 회로(100)에 전달될 수 있고,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전달된 입력 신호(SIG_INPUT)를 기초로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에 따르면, 대기 모드에서 소모하는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면서도 입력 장치를 통해 대기 모드를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에서의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 및 전력 공급원(20)을 나타낸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동작 모드에서,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제1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수신함에 따라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고,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1 논리 레벨의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수신함에 따라 제3 노드(Nd3)와 제5 노드(Nd5)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는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가 동작 모드에서 개방된 회로를 제외한 구성 만을 포함하도록 도시한다.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 및 전력 공급원(20)에 관한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모드에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계속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1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계속 제2 스위칭 수단(SW2)에 제1 논리 레벨의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서, 입력 장치(200)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SIG_INPUT)는 단락된 제3 노드(Nd3) 및 제5 노드(Nd5) 사이를 거쳐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전달된 입력 신호(SIG_INPUT)를 기초로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서,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가 단락됨에 따라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에 연결된 전력 공급원(2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은 저전력 집적 회로(100) 뿐 아니라 전력 관리부(300)를 포함한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어부(400)에도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에서,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전력 관리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P_SW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에 따르면,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에서 외부의 전력 공급원(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이 전달되는 경로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진입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대기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가 동작 모드에 진입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S110 단계에서, 동작 모드 진입 요청 신호가 입력 장치(200)에 입력될 수 있다. 동작 모드 진입 요청 신호는, 제1 논리 레벨의 입력 신호(SIG_INPUT)로서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SIG_INPUT)를 나타낼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입력된 동작 모드 진입 요청 신호는 저전력 집적 회로(100)에 전달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를 단락시키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SIG_INPUT)는 단락된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를 거쳐 저전력 집적 회로(100)에 전달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동작 모드 진입 요청 신호를 전달 받음에 따라 제1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공함을 통해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온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수단(SW1) 양단의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는 단락될 수 있다.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가 단락됨에 따라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는 전력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외부 전력 전달 경로와 연결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가 외부 전력 전달 경로와 연결됨에 따라 외부의 전력 공급원(20)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제어부(400)가 구동될 수 있다.
S150 단계에서, 전달된 전력을 기반으로 구동된 제어부(400)는 제1 논리 레벨의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제2 스위칭 수단(SW2)에 제공함을 통해 제2 스위칭 수단(SW2)의 제3 노드(Nd3)와 제5 노드(Nd5)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제3 노드(Nd3)와 제5 노드(Nd5) 사이가 단락됨에 따라 입력 장치(200)와 제어부(4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때부터 입력 장치(200)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SIG_INPUT)는 제어부(4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기 모드 진입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동작 모드 상태의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S210 단계에서, 대기 모드 진입 요청 신호가 입력 장치(200)에 입력될 수 있다. 대기 모드 진입 요청 신호는, 제2 논리 레벨의 입력 신호(SIG_INPUT)로서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SIG_INPUT)를 나타낼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입력된 대기 모드 진입 요청 신호는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동작 모드에서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노드(Nd3)와 제5 노드(Nd5) 사이를 단락시키기 때문에,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SIG_INPUT)는 단락된 제3 노드(Nd3)와 제5 노드(Nd5) 사이를 거쳐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대기 모드 진입 요청 신호를 전달 받음에 따라 바로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지 않고, 대기 모드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기 모드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란,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전자 장치가 수행해야 하는 소정의 동작이 남아 있는 경우 또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락(lock)이 되어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없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 진입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이후의 동작 수행이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 다시 S230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대기 모드 진입이 가능한 경우, S250 단계로 이어질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제어부(400)는 저전력 집적 회로(100)에 집적 회로 제어 신호(CTRL_LPI)를 제공할 수 있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수신되는 집적 회로 제어 신호(CTRL_LPI)에 따라 S2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수신되는 집적 회로 제어 신호(CTRL_LPI)에 따라 제2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공함을 통해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제2 논리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공하는 대신,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제공하지 않음을 통해 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오프 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위칭 수단(SW1) 양단의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는 개방될 수 있다.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 사이가 개방됨에 따라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는 전력 관리부(300)를 포함하는 외부 전력 전달 경로와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S270 단계에서,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가 외부 전력 전달 경로와 연결 해제됨에 따라 외부의 전력 공급원(20)으로부터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어부(400)로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부(400)에 제공되는 전력이 차단되기 때문에, 제어부(400)는 수행 중이던 다양한 제어 동작을 멈출 수 있다
S280 단계에서, 제어부(400)가 제어 동작을 멈춤에 따라 제어부(400)가 제2 스위칭 수단(SW2)에 제2 제어 신호(CTRL_2)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가 단락됨에 따라 입력 장치(200)와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때부터 입력 장치(200)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SIG_INPUT)는 저전력 집적 회로(1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를 나타낸다. 도 6의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관리부(300)는 정류기(320) 및 파워 서플라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파워 서플라이(340)는 SMPS(Switch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정류기(320)는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력으로부터 직류 전력을 얻기 위한 정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340)는 정류기(320)에 의해 정류된 전력을 이용해 제어부(400)에 제공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전력을 제어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저전력 집적 회로(100), 입력 장치(200) 및 정류기(320)의 접지 단자는 제1 접지 노드(GND1)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400)의 접지 단자는 제2 접지 노드(GND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에 포함된 구성들은 제1 접지 노드(GND1)와 제2 접지 노드(GND2)와 같이 서로 다른 접지 노드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접지 단자가 제1 접지 노드(GND1)에 연결된 구성들을 일컬어 제1 접지 도메인(DOMAIN_GND1)이라 칭하고, 접지 단자가 제2 접지 노드(GND2)에 연결된 구성들을 일컬어 제2 접지 도메인(DOMAIN_GND2)라 칭할 수 있다.
제1 접지 도메인(DOMAIN_GND1)과 제2 접지 도메인(DOMAIN_GND2)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접지 도메인(DOMAIN_GND1)에 포함된 구성들과 제2 접지 도메인(DOMAIN_GND2)에 포함된 구성들이 연결된 경우, 그 사이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는 접지 단자가 제1 접지 노드(GND1)에 연결된 입력 장치(200)와 접지 단자가 제2 접지 노드(GND2)에 연결된 제어부(400) 사이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제1 포토 커플러(500) 및 접지 단자가 제1 접지 노드(GND1)에 연결된 저전력 집적 회로(100)와 접지 단자가 제2 접지 노드(GND2)에 연결된 제어부(400) 사이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제2 포토 커플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토 커플러(500) 및 제2 포토 커플러(600) 각각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빛에 의해 신호가 전달되는 광결합소자일 수 있다. 또한 파워 서플라이(340)는 제1 접지 노드(GND1)에 연결된 전단과 제2 접지 노드(GND2)에 연결된 후단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접지 단자가 제1 접지 노드(GND1)에 연결된 정류기(320)와 접지 단자가 제2 접지 노드(GND2)에 연결된 제어부(400) 사이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를 나타낸다. 도 7의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제6 노드(Nd6)에 제1 접지 노드(GND1)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7 노드(Nd7)에 제1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전자기적 방식에 의해 제1 노드(Nd1)와 제2 노드(Nd2)를 단락시킬 수 있다(제1 스위칭 수단(SW1)을 턴-온 시킬 수 있다). 제1 전압은 제1 접지 노드(GND1)와 상이한 소정의 전압 값일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되는 저전력 집적 회로 제어 신호(CTRL_LPI)에 응답하여, 제1 제어 신호(CTRL_1)의 논리 레벨을 제1 논리 레벨에서 제2 논리 레벨로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접지 노드(GND1)와 연결되어 있던 제6 노드(GND6)가 제1 접지 노드(GND1)와 연결 해제되어 제1 스위칭 수단(SW1)이 턴-오프 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수단(SW1)이 턴-오프 됨에 따라, 제어부(400)에 전달되는 전력이 차단되게 되고, 제2 스위칭 수단(SW2)에 제2 제어 신호(CTRL_2)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제2 스위칭 수단은 제3 노드(Nd3)와 제4 노드(Nd4) 사이를 단락시킬 수 있다. 이때부터, 전자 장치는 대기 모드 상태에 놓여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모드 진입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로직 레벨의 제1 제어 신호(CTRL_1)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6 노드(GND6)는 제1 접지 노드(GND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 모드 진입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제어 신호(CTRL_3)를 생성함에 따라 제1 다이오드(D1)와 제7 노드(Nd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제7 노드(Nd7)에 제1 전압으로 변환되어 입력될 수 있고, 제1 스위칭 수단(SW1)이 턴-온 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수단(SW1)이 처음 턴-온 된 이후에는, 전력 관리부(300)에도 전력 입력 단자(POWER INPUT PORT)를 통해 외부 전력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저전력 집적 회로(100)는 제3 제어 신호(CTRL_3)를 통해 제1 다이오드(D1)와 제7 노드(Nd7) 사이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대신, 전력 관리부(300)로부터 생성되는 전압을 기초로 제2 다이오드(D2)가 턴-온 되고, 전력 관리부(300)로부터 제7 노드(Nd7)에 제1 전압이 입력됨에 따라 제1 스위칭 수단(SW1)이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1000)를 나타낸다. 도 8의 가열 장치(1000)에 포함된 저전력 집적 회로(1100), 입력 장치(1200), 전력 관리부(1300), 제어부(1400), 제1 스위칭 수단(SW1) 및 제2 스위칭 수단(SW2)은 도 1 내지 도 7의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10) 일 수 있으며, 도 8의 전력 공급원(2000)은 도 1 내지 도 7의 전력 공급원(20)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가열 장치(1000)는 전기레인지일 수 있다. 전기레인지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화구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이다. 전기레인지는 자성체에 의한 유도작용을 통해 전용 용기에 열을 내는 인덕션, 열선이 들어 있는 금속판을 가열하여 열을 내는 핫플레이트, 열선이 분포되어 세라믹 판을 가열하여 열을 내는 하이라이트 및 이외에 전기를 이용해 열을 내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방식을 혼합하여 구현된 하이브리드 전기레인지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가열 장치(1000)가 인덕션 방식으로 구현된 전기 레인지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열 장치(1000)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1520),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화구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시키는 워킹 코일(1580), 워킹 코일(158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1540), 인버터(1540)를 제어하는 MCU(1560), 디스플레이(1720) 및 스피커(1740)를 포함하는 알림부(1700) 및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17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입력 장치(1200)는 터치 IC(TOUCH IC)일 수 있다.
MCU(1560)는 제어부(1400)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400)와 제어를 위한 각종 신호 및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어부(1400)는 디스플레이(1720)가 특정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CTRL_DISP)를 제공할 수 있고, 스피커(1740)가 특정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 제어 신호(CTRL_SPKR)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0)는 센서부(1760)로부터 다양한 센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을 기초로 센서부(176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가 적용된 가열장치(1000)에서, 제어부(1400)가 가열 장치(1000)의 대기 모드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할 때, 가열 장치(10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구(미도시)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760)에 포함된 온도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제어부(1400)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1400)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화구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화구를 만지게 되면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0)는 디스플레이(1720) 또는 스피커(1740)가 사용자가 임계 온도 이상의 화구를 만질 수 없도록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알릴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720) 또는 스피커(174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가열 장치(1000)는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가열 장치(1000)의 대기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SIG_INPUT)가 입력 장치(1200)에 입력되더라고, 제어부(1400)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대기 모드 진입 불가능 상태로 판단하여 가열 장치(1000)가 대기 모드에 진입하지 않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1000)에 따르면, 대기 모드에서 소모하는 대기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 모두에서 입력 장치(1200)를 통해 편리하게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제어부(1400)의 온도 체크 동작을 통해 화구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대기 모드 진입 요청에도 불구하고 대기 모드에 진입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림으로써 신뢰성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가열 장치의 대기 모드 진입 가능 여부 판단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5의 대기 모드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S230 단계가 도 8의 가열 장치에 적용된 경우에 대응되는 구체적인 순서도를 개시한다. 도 9는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S310 단계에서, 제어부(1400)는 가열 장치(10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어부(1400)는 센서부(1760)에 포함된 온도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를 제공받음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제어부(1400)는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와 임계 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모든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가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S330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화구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S340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제어부(1400)는 가열 장치(1000)가 대기 모드 진입 가능한 상태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므로 제어부(1400)는 가열 장치(1000)가 대기 모드 진입 불가능한 상태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이므로 제어부(1400)는 알림부(1700)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태를 알리도록 알림부(17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0)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CTRL_DISP) 및/또는 스피커 제어 신호(CTRL_SPKR)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1720) 및/또는 스피커(1740)가 사용자에게 위험 상태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 및 동작 모드를 토글(toggle)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
    상기 입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저전력 집적 회로(Low power integrated circuit);
    전력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력을 외부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외부 전력을 기반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의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전력 입력 단자를 상기 외부 전력 전달 경로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어부의 제2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 장치를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 또는 상기 제어부에 택일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으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가 없거나 제2 논리 레벨을 나타내는 경우 개방되는 노말-오픈(normal-open)형 스위칭 수단이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진입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논리 레벨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전력 입력 단자를 상기 외부 전력 전달 경로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는,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모드에 있는 기간 동안 상기 제1 논리 레벨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은,
    제1 논리 레벨의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제2 논리 레벨의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수신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 모드에 있는 기간 동안 상기 제1 논리 레벨의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입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 진입 요청을 나타내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대기 모드 진입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가 상기 제2 논리 레벨의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에 제공하도록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화구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와 임계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대기 모드 진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모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구의 온도가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 진입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접지 단자는 제1 접지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접지 단자는 제2 접지 노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지 노드에 연결된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제2 접지 노드에 연결된 상기 제어부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제1 포토 커플러; 및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 및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지 노드에 연결된 상기 저전력 집적 회로와 상기 제2 접지 노드에 연결된 상기 제어부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제2 포토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외부 전력 전달 경로에 포함된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00272A 2018-01-02 2018-01-02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7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72A KR102175630B1 (ko) 2018-01-02 2018-01-02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72A KR102175630B1 (ko) 2018-01-02 2018-01-02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45A true KR20190082545A (ko) 2019-07-10
KR102175630B1 KR102175630B1 (ko) 2020-11-06

Family

ID=6725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272A KR102175630B1 (ko) 2018-01-02 2018-01-02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359A (ko) * 2021-12-16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240A (ko) * 2000-03-24 2001-10-18 이형도 대기전원을 이용한 대기상태 초절전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240A (ko) * 2000-03-24 2001-10-18 이형도 대기전원을 이용한 대기상태 초절전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630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3290A1 (en)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563651B2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同期整流コントローラ、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JP6791658B2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JP3160311U (ja) 電源管理装置
US10498167B2 (en) Multi-port power delivery
US20090289507A1 (en) Intellectual power saving switching assembly
JP2017038450A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同期整流コントローラ、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同期整流コントローラの制御方法
TW201138284A (en) Flyback converter system and feedba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7839661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having controllable switch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6498432B2 (ja) 絶縁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同期整流コントローラ、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同期整流トランジスタの制御方法
US8699241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KR20190082545A (ko) 대기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전달 경로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2299566A (zh) 无线电力接收装置与无线电力传送系统
TWI611649B (zh) 充電裝置及充電系統
US10862340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reof
CN116667678A (zh) 电源电路、电源适配器及充电系统
JP2010098875A (ja) 電源装置
US9584023B2 (en) Voltage converter
EP1435760A2 (en) Inverter circuit for microwave oven
CN111490689B (zh) 降低待机功耗的控制方法、开关电源、设备及存储介质
CN104137023A (zh) 电源供应器及其控制电路与省电方法
KR101367969B1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5461458B2 (ja) Ac/dcアダプタおよび電源システム
TWI623168B (zh) 電子裝置及電子裝置之操作方法
CN111198518A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