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168A -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168A
KR20190082168A KR1020190034807A KR20190034807A KR20190082168A KR 20190082168 A KR20190082168 A KR 20190082168A KR 1020190034807 A KR1020190034807 A KR 1020190034807A KR 20190034807 A KR20190034807 A KR 20190034807A KR 20190082168 A KR20190082168 A KR 2019008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s
data
service
unit
p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게임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게임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게임빈
Priority to KR102019003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2168A/ko
Publication of KR2019008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로그인 정보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타 SNS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를 받아 와서 자체 서비스에 로그인을 시켜주는 로그인 연동부; 상기 자체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타 SNS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는 통합 테이블 생성부;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상기 타 SNS로 포스팅 시 자체 제작된 템플릿으로 포스팅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포스팅 템플릿 형성부; 상기 타 SNS로부터 원하는 데이터 및 메시지를 불러오는 메시지 호출부; 상기 자체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 SNS에 대하여 데이터 및 메시지를 포스팅하는 메지시 포스팅부; 활동 중인 SNS 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활동을 희망하는 새로운 SNS의 데이터 형태로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이종 데이터 변환부; 및 현재 활동 중인 SNS 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타 SNS에서 사용성 데이터 API를 제공할 경우,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열람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SNS CRM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며, 기존의 소셜 공급자(Social Provider)를 이용하여 단기간에 전세계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티를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마케팅 및 개발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Device for transforming data between Hetero Social Network Services(SNSs) and Linking to External SNS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개발사가 외부 SNS를 통합하여 연동할 수 있고, 이종 SNS 간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이전할 수 있는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인터넷은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온라인을 통해 광고, 금융 및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수단 중에서 가장 주목할 것 중에 하나가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이하, SNS라 한다)를 통한 매쉬업(mash-up) 서비스들이 증가하면서 SNS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는 점이다.
위키피디아(Wikipedia, 2012)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교호적 관계망이나 교호적 관계를 구축해 주고 보여 주는 온라인 서비스 또는 플랫폼"으로 정의한다.보다 이론적인 관점에서는 보이드와 엘리슨(Boyd & Ellison, 2008)의 정의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SNS(Social Network Sites)를 "개인들로 하여금 1) 특정 시스템 내에 자신의 신상 정보를 공개 또는 준공개적으로 구축하게 하고, 2) 그들이 연계를 맺고 있는 다른 이용자들의 목록을 제시해 주며, 나아가 3) 이런 다른 이용자들이 맺고 있는 연계망의 리스트, 그리고 그 시스템 내의 다른 사람들이 맺고 있는 연계망의 리스트를 둘러볼 수 있게 해주는 웹 기반의 서비스"라고 규정한다.
어떤 관점을 따르냐에 따라 정의는 각기 달라지지만, 정의들에서 공통으로 지적되는 요소는 웹 사이트라는 온라인 공간, 대인 관계의 형성 및 유지, 관계망의 구조, 관계망의 파도, 정보의 교류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SNS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인데, 최근 페이스북(Facebook)과 트위터(Twitter) 등의 폭발적 성장에 따라 사회적학문적인 관심의 대상으로 부상했다. SNS는 컴퓨터 네크워크의 역사와 같이 할 만큼 역사가 오래되었지만, 현대적인 SNS는 1990년대 이후 월드와이드웹 발전의 산물이다. 신상 정보의 공개, 관계망의 구축과 공개, 의견이나 정보의 게시, 모바일 지원 등의 기능을 갖는 SNS는 서비스마다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관점에 따라 각기 다른 측면에 주목한다. SNS는 사회적 파급력만큼 많은 문제를 제기하며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대부분의 SNS는 여러 주체가 자신들의 SNS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 승인을 거쳐 연동할 수 있는 Open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개방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수많은 서비스가 SNS의 Open API를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결합한 서비스들로서 제공되고 있다.
SNS는 자신이 작성한 글이나 컨텐츠를 자신과 관계한 타인이 즉시 볼 수 있게 함으로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SNS는 대량의 커뮤니케이션을 매우 적은 리소스만으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히 제공되는 SNS사이트에는 싸이월드(cyworld), 미투데이(me2DAY), 링크나우(LinkNow), 페이스북(Facebook), 링크드인(LinkedIn), 마이스페이스(MySpace), 트위터(Twitter) 등이 있다.
이에 추세에 따라 SNS는 PC 환경을 넘어 이동통신 시장에도 많은 파급효과를 주고 있다. 즉 SNS는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없어도 SNS 계정, 특히 SNS ID만을 인지한 상태에서 의사 소통이 가능할 수 있는데, 상기 SNS가 모바일과 결합되면서 공간적 제약까지 넘어서는 의사소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SNS와 결합한 다양한 마케팅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종 SNS 간의 데이터 이전은 각 SNS가 서로 상이한 양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상이한 양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표시는 SNS 간에는 데이터를 이전하는 것이 불편하고 힘든 작업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932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개발사가 외부 SNS를 통합하여 연동할 수 있고, 이종 SNS 간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이전할 수 있는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로그인 정보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타 SNS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를 받아 와서 자체 서비스에 로그인을 시켜주는 로그인 연동부; 상기 자체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타 SNS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는 통합 테이블 생성부;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상기 타 SNS로 포스팅 시 자체 제작된 템플릿으로 포스팅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포스팅 템플릿 형성부; 상기 타 SNS로부터 원하는 데이터 및 메시지를 불러오는 메시지 호출부; 상기 자체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 SNS에 대하여 데이터 및 메시지를 포스팅하는 메지시 포스팅부; 활동 중인 SNS 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활동을 희망하는 새로운 SNS의 데이터 형태로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이종 데이터 변환부; 및 현재 활동 중인 SNS 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타 SNS에서 사용성 데이터 API를 제공할 경우,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열람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SNS CRM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그인 연동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하나의 SNS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로그 데이터에 대한 테이블을 생성하며, 서버에 설치된 서버 모듈을 이용하여 관리용 테이블을 생성하고, 다수의 타 SNS에 관한 한 개의 API 만 호출하여 연동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합 테치블 생성부는, 개발자가 프레임워크 파일을 서버에 설치할 경우, 상기 서버 내의 DB 종류에 따라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 SNS 서비스와의 API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합 테치블 생성부는, 통합 DB 테이블을 통하여 외부 SNS 와의 연동 및 사용자가 개발자의 서비스 히스토리에 대한 로그 데이터, 메시지 등의 기초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저장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스팅 템플릿 생성부는, 상기 외부 SNS 에 사용자가 등록한 글이나 이미지등을 포스팅 할 경우 그냥 로우(raw) 데이터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데이터가 어느 서비스에서 전송되는 것인지를 알려 주기 위한 템플릿을 함께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스팅 템플릿 생성부는, 상기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임의의 SNS와 연동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벤트를 생성하면 상기 임의의 SNS로 특정 템플릿과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임의의 SNS에서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사용자의 친구들에게 상기 이벤트를 노출시킨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시지 호출부는, 외부 SNS에서 특정 정보를 가져와서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노출되게 하고, 상기 특정 정보를 Oauth 인증 방법으로 가져오고, 상기 가져온 특정 정보는 개발자 서버 테이블에 등록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시지 포스팅부는, 전송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데이터는 인증 과정을 거쳐 상기 외부 SNS에 포스팅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SNS CRM 데이터 관리부는, 현재 로그인 등을 통하여 활동중인 눈 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테이블에 상기 외부 SNS로 포스팅된 데이터, 상기 외부 SNS에서 가져온 데이터, 사용자의 로그 정보 등을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데이터들은 검색어 순위, 포스팅 데이터의 시간이나 양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CRM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개발사가 외부 SNS를 통합하여 연동할 수 있고, 이종 SNS 간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이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개발사가 외부 SNS를 통합하여 연동할 수 있고, 이종 SNS 간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이전할 수 있는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글로벌 SNS의 활성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OMA SNS 표준안 에코 시스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OMA SNS 표준 아키텍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아키텍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기본 시퀀스 다이어그램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로그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메타데이터 테이블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포스팅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표준화와의 연계 및 플러그인(Plug in) 다이아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수로 기재된 용어도 복수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현재 8억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Facebook, 그리고 Twitter 와 같은 소셜 서비스 업체들은 지금도 그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와 유사한 형태의 다양한 SNS Service 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국내 로컬 기반의 업체 서비스들은 크게 타격을 받고 있고, 추가적인 서비스 개발도 많이 어려운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스마트폰의 등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은 계속 개발되고 있고, 아이폰 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도 그 숫자가 크게 늘고 있는 상황이다.
소셜 기반의 서비스를 구축하려고 준비 중인 업체들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모바일 앱 관련 서비스를 시도하는 업체들의 가장 큰 난제 중에 하나는 신규가입자의 유치 즉 사용자 층의 확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검증된 사용자층의 확보와 개연성 있는 잠재 사용자층의 확보를 통해 업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API를 통해 내부 자원을 외부에 오픈하고 있는 Facebook, Twitter 등의 다양한 SNS Service Provider와의 연계를 쉽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개발자들이 자신의 앱이나 서비스내에 해당 자원을 이용한 서비스를 구축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로그인 정보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타 SNS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를 받아 와서 자체 서비스에 로그인을 시켜주는 로그인 연동부(110); 상기 자체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타 SNS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는 통합 테이블 생성부(120);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상기 타 SNS로 포스팅 시 자체 제작된 템플릿으로 포스팅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포스팅 템플릿 형성부(130); 상기 타 SNS로부터 원하는 데이터 및 메시지를 불러오는 메시지 호출부(140); 상기 자체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 SNS에 대하여 데이터 및 메시지를 포스팅하는 메지시 포스팅부(150); 활동 중인 SNS 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활동을 희망하는 새로운 SNS의 데이터 형태로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이종 데이터 변환부(160); 및 현재 활동 중인 SNS 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타 SNS에서 사용성 데이터 API를 제공할 경우,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열람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SNS CRM 데이터 관리부(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그인 연동부(11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하나의 SNS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로그 데이터에 대한 테이블을 생성하며, 서버에 설치된 서버 모듈을 이용하여 관리용 테이블을 생성하고, 다수의 타 SNS에 관한 한 개의 API 만 호출하여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합 테치블 생성부(120)는, 개발자가 프레임워크 파일을 서버에 설치할 경우, 상기 서버 내의 DB 종류에 따라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 SNS 서비스와의 API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합 테치블 생성부(120)는, 통합 DB 테이블을 통하여 외부 SNS 와의 연동 및 사용자가 개발자의 서비스 히스토리에 대한 로그 데이터, 메시지 등의 기초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스팅 템플릿 생성부(130)는, 상기 외부 SNS 에 사용자가 등록한 글이나 이미지등을 포스팅 할 경우 그냥 로우(raw) 데이터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데이터가 어느 서비스에서 전송되는 것인지를 알려 주기 위한 템플릿을 함께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스팅 템플릿 생성부(130)는, 상기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임의의 SNS와 연동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벤트를 생성하면 상기 임의의 SNS로 특정 템플릿과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임의의 SNS에서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사용자의 친구들에게 상기 이벤트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시지 호출부(140)는, 외부 SNS에서 특정 정보를 가져와서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노출되게 하고, 상기 특정 정보를 Oauth 인증 방법으로 가져오고, 상기 가져온 특정 정보는 개발자 서버 테이블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시지 포스팅부(150)는, 전송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데이터는 인증 과정을 거쳐 상기 외부 SNS에 포스팅하는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SNS CRM 데이터 관리부(170)는, 상기 생성된 테이블에 상기 외부 SNS로 ㅍ포스팅된 데이터, 상기 외부 SNS에서 가져온 데이터, 사용자의 로그 정보 등을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데이터들은 검색어 순위, 포스팅 데이터의 시간이나 양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CRM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글로벌 SNS의 활성화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OMA SNS 표준안 에코 시스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로, 소셜 서비스 간의 연동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현재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는 모바일 중심으로 SNS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도 이러한 표준안을 반영하고, 이를 통해 개발되는 결과물들에 대해 OMA 표준으로 반영되도록 하면, 글로벌한 범용 소프트웨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더 이상 자체의 SNS를 이용한 서비스는 글로벌 SNS 업체들의 물량 공세에 살아남기 어렵고, 특성을 가진 서비스, 특정 사용자를 공략하는 서비스가 아니면 서비스로서의 론칭 자체가 어렵다. 특수한 서비스,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승부할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서비스는 보통 중소 개발사나 개인 개발자들을 중심으로 개발될 수 있다.
하지만, 중소 개발사가 갖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대규모 포털이나 대기업처럼 그 서비스를 활용할 사용자 측이 없다는 것이며, 이러한 중소 개발사가 사용자 층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기존의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의 사용자층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소 개발사에게 본 발명을 통하여 기존의 수억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한 SNS의 경우 Open API를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면 국내 사용자뿐 아니라 전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는 좋은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게는 국내 서비스 업체들의 활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IT 시장에서도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OMA SNS 표준 아키텍쳐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 아키텍쳐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국내 대형 포털 중심의 SNS에서는 인증 API, 미니홈피 API, 일촌 API, 등의 자원을 공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API를 통해서 자사의 서비스가 타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연동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API 센터를 오픈하여 자사의 자원을 일부 공유하고는 있는 경우도 있으나, 각 SNS 서비스 간의 연동은 아직 제대로된 표준이 없는 상태에서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SNS와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인증(Authentication)이다. 인증이 선행되어야 타 서비스의 자원을 불러오거나 포스팅(posting) 할 수 있다. 현재 인증관련 기술은 OAuth 기술이 가장 부각되고 있다. 이외에도 단말의 CID를 활용한 인증 방식이 ISO 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Network API를 활용한 범용 기기간의 인증 통합 이슈가 주요한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OMA에서는 MobSocNet이라는 공식 표준명칭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고, 해당 표준은 이기종 SNS 공급자(Provider) 간에 데이터 통신과 관련한 표준안을 확정하고 각 서비스 제공자가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OMA Fast Track 을 통해 Enabler version 이 개발단계에 있다.
본 발명의 개시에서는 다른 서비스 간의 SNS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통합 프레임워크를 구현하고 해당 프레임워크를 자신의 서비스에 탑재하고자 하는 개발자나 개발사는 자신의 서버에 툴킷을 탑재하도록 하여, 쉽게 타 SNS Enabler 와 로그인, 메세징, 포스팅등의 기능을 연동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기능이 먼저 Facebook 용으로 구현될 것이며, 베타 테스트 이후 Twitter 에 적용되도록 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그인 정보 연동부(110)에서 로그인 정보의 연동을 위해서는, 메타 테이블 설계가 되어야 한다. 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본항목과 기업별로 특화되어 있는 특수 항목으로 나뉘게 되며, 일반적인 기본항목에 대한 설계와 특화된 항목을 연계 방법 및 최적화 방법에 특징이 있다.
특히, 신규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기존의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생각하고, 기존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에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에 대해서는 로그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포스팅 템플릿 형성부(130)를 통하여 개발자는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 쪽으로 효과적인 광고효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기본 Template을 제공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SNS CRM 관련 데이터 관리부(170)을 통해서, 기업별로 속해 있는 기업의 환경이 상이하기 CRM에 대한 상당히 다양한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기업군별 해당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한 리서치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Social Provider측에서 취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정형화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기본 시퀀스 다이어그램 구조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로그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메타데이터 테이블 생성 시퀀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포스팅 시퀀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표준화와의 연계 및 플러그인(Plug in) 다이아그램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로그인 연동부(110)는 현재 페이스북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로그인 연동을 진행하려면, 페이스북 API 사용 방법을 공부하고 SDK 를 별도로 다운 받아서 설치해야 하며, 로그인 로그데이터 역시 저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테이블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경우, 서버 모듈을 서버에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관리용 테이블이 생성 되고, API 연동 역시 기본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Twitter, Facebook, Linkedin API 에 대해 각각 개발할 필요없이 일괄적으로 한 개의 API 만 호출하면 연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 Facebook, Linkedin, Twitter 에는 서비스 앱만 등록하면 되고, 별도의 개발 공수는 필요치 않음. 아울러 Facebook 어플에 이미 로그인이 되어 있으면 해당 로그인 정보가 개발자 앱에도 전달되어 앱 실행시 자동으로 로그인 처리를 해 주어 사용성이 확대될 수 있다.
통합 테이블 생성부(120)는 개발자가 상기 프레임워크에 관한 정보를 다운받아 서버에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서버 내의 DB 종류에 따라 테이블을 자동 생성해 주고 외부 SNS 서비스와의 API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통합 테이블 생성부(120)은 외부 SNS 와의 연동 및 사용자가 개발자의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했는지에 대한 로그 데이터, message 등의 기초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들은 기본 검색어, 사용성등을 알려주는 CRM 분석에 이용이 가능하다. 지원 가능 DB로는 MySQL, Oracle, MSSQL (3개 DB )가 있다.
포스팅 템플릿 형성부(130)는 외부 SNS 에 사용자가 등록한 글이나 이미지등을 포스팅 할 경우, 그냥 raw 데이터만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그 데이터가 어느 서비스에서 전송되는 것인지를 알려 주기 위한 템플릿을 함께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노트 등록 앱을 개발한 개발자가 당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Facebook 과의 연동을 성립시켜놓았을 경우, 해당 노트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벤트를 생성하면, 특정 템플릿과 함께 데이터가 Facebook 으로 전송되게 되고, Facebook 에서는 자동으로 노트 앱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노트앱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친구들에게 노출되고, buzz 마케팅이 가능하게 된다.
메시지 호출부(140)는 외부 SNS 에서 해당 정보를 가져와서 개발자 서비스에서 노출 되도록 하고, 외부 SNS 에서 해당 정보를 가져오는 것은 상술한 로그인 정보를 통해 Oauth 인증 방법으로 데이터를 가져 오면, 가져온 정보는 개발자 서버 Table 에도 등록되도록 한다.
메시지 포스팅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등의 데이터는 인증 과정을 거쳐 외부 SNS 에 포스팅 되도록 한다.
SNS CRM 데이터 관리부(170)은 상기 생성된 테이블에는 외부 SNS로 포스팅된 데이터, 외부 SNS 에서 가져온 데이터, 사용자의 로그인 로그 정보 등이 기록되며, 이와 같이 통합 테이블에 축적된 데이터들은 검색어 순위, 포스팅 된 데이터의 시간이나 양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CRM 기능을 제공한다.
웹표준의 준수와 관련하여는, 현재 HTML5 와 CSS3 를 기반으로 하는 웹표준 공개가 임박하였고, 외부 SNS와의 연동 역시 웹서비스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표준 분석을 철저히 해야 한다. 아울러 다양한 브라우저 상에서 템플릿 등의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생성되는 템플릿 코드에 대해 표준 준수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외부 SNS의 사양 변경과 관련하여는, 외부 SNS 서비스들이 공인 단체가 아닌 사기업이므로 수시로 접근 API 사양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SNS 연동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지속적으로 Q/A를 진행하고 외부 SNS 공개에 변화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110 : 로그인 연동부
120 : 통합 테이블 생성부
130 : 포스팅 템플릿 형성부
140 : 메시지 호출부
150 : 메시지 포스팅부
160 : SNS CRM 데이터 관리부

Claims (3)

  1.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로그인 정보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타 SNS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를 받아 와서 자체 서비스에 로그인을 시켜주는 로그인 연동부;
    상기 자체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타 SNS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기 위한 통합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하는 통합 테이블 생성부;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상기 타 SNS로 포스팅 시 자체 제작된 템플릿으로 포스팅을 생성하여 전달하는 포스팅 템플릿 형성부;
    상기 타 SNS로부터 원하는 데이터 및 메시지를 불러오는 메시지 호출부;
    상기 자체 서비스로부터 상기 타 SNS에 대하여 데이터 및 메시지를 포스팅하는 메지시 포스팅부;
    활동 중인 SNS 상의 다양한 데이터를 활동을 희망하는 새로운 SNS의 데이터 형태로 맞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이종 데이터 변환부; 및
    현재 활동 중인 SNS 상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타 SNS에서 사용 데이터 API를 제공할 경우 상기 자체 서비스에서 열람 및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SNS CRM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연동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하나의 SNS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로그 데이터에 대한 테이블을 생성하며, 서버에 설치된 서버 모듈을 이용하여 관리용 테이블을 생성하고, 다수의 타 SNS에 관한 한 개의 API 만 호출하여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테치블 생성부는, 개발자가 프레임워크 파일을 서버에 설치할 경우, 상기 서버 내의 DB 종류에 따라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외부 SNS 서비스와의 API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KR1020190034807A 2019-03-27 2019-03-27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 KR20190082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07A KR20190082168A (ko) 2019-03-27 2019-03-27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807A KR20190082168A (ko) 2019-03-27 2019-03-27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719 Division 2017-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168A true KR20190082168A (ko) 2019-07-09

Family

ID=6726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07A KR20190082168A (ko) 2019-03-27 2019-03-27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1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8454A (zh) * 2020-09-23 2021-0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 一种电气设备交接试验智能管控系统及方法
KR102482400B1 (ko) * 2022-07-11 2022-12-29 주식회사 비케이플랜 Sns 광고 관리 서버
WO2023096349A1 (ko) * 2021-11-23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264A (ko) 2014-02-06 2015-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미디어 연동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264A (ko) 2014-02-06 2015-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미디어 연동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8454A (zh) * 2020-09-23 2021-02-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 一种电气设备交接试验智能管控系统及方法
CN112348454B (zh) * 2020-09-23 2023-01-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 一种电气设备交接试验智能管控系统及方法
WO2023096349A1 (ko) * 2021-11-23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2400B1 (ko) * 2022-07-11 2022-12-29 주식회사 비케이플랜 Sns 광고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0265B2 (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or p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8825784B2 (en) Automatic profile update in a mobile device
US201000235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personalized social network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100048571A (ko) 다중 사용자-다중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43829A (ko)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광고 컨텐츠의 동적 유저 기반 맞춤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메커니즘
CN102047277A (zh) 通过利用社会图信息进行内容使用分配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KR20190082168A (ko) 외부 sns 연동 및 이종 sns 간 데이터 이전 장치 및 방법
CN103198417A (zh) 移动互联网旗帜广告及其后台发布方法、互动方法
Yang et al. Micro-innovation strategy: the case of WeChat
KR20140095148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금융 거래 처리 방법 및 단말
US20120072559A1 (en) Text-based system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devices, services and applications
KR10101831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바이럴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2879B1 (ko) 명함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Saravanan et al. Mobile phone and social media for agricultural extension: Getting closer to hype & hope
Li et al. Confirmatory analysis on influencing factors when mention users in Twitter
US9319858B2 (en) Manag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transmission
KR20120082316A (ko) 마케팅 캠페인 채널을 확대한 상황 인지 기반 웹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7535A (ko) 쿠폰 소유권 기반 통합 쿠폰 관리 장치 및 방법
Sabarish et al. A scalable cloud enabled mobile governance framework
KR20180066914A (ko) 외부 sns 통합연동을 위한 프레임워크
Keil Standardization
Tang et al. Development Report on China's New Media
KR102169265B1 (ko) 고객의 휴대전화 번호 관련 정보 조회 방법, 이에 사용되는 정보제공 서버, 고객관리 서버, 및 통신사 서버
Ahmad et al. GreenApps: A platform for cellular edge applications
KR101678468B1 (ko) 온라인 쇼핑의 주문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