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116A -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움직임 감지 기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움직임 감지 기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116A
KR20190082116A KR1020180170440A KR20180170440A KR20190082116A KR 20190082116 A KR20190082116 A KR 20190082116A KR 1020180170440 A KR1020180170440 A KR 1020180170440A KR 20180170440 A KR20180170440 A KR 20180170440A KR 20190082116 A KR20190082116 A KR 2019008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phere
motion
gesture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고미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미랩스 filed Critical (주)고미랩스
Publication of KR2019008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구동체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구형 이동 장치의 구체의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구동력 및 가속도 값을 기초로 구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구동체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제스처와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는 단계; 누적 수집된 제스처와 운동값을 기초로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움직임 감지 기반 구동 방법{SPHERICAL MOBILE APPARATUS AND MOTION DETECTION BASE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에 대한 움직임 감지를 기반으로 구형 이동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구형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형 로봇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구형 이동 장치는 외부의 거친 환경으로부터 밀봉 보호될 수 있게 설계될 수도 있고, 장애물에 부딪혀도 튀어 나올 수 있으며, 홀로노믹(holonomic)하게 작동할 수 있는 등 흥미롭고 독특한 특징들을 갖고 있다. 로봇 공학에서 홀로노믹 시스템이란 로봇이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이 현재 로봇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로봇, 즉 어느 방향으로든지 즉시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을 말한다.
이러한 구형 로봇의 구동체는 구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체는 구동력을 전달해야 한다. 구형 로봇의 내부 구동체는 삼차원적으로 구체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 반면, 구체는 내부의 구동체와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되어 있어야 하다.
구형 로봇의 구동 원리는 크게 무게중심 이동(BCO, Barycenter Offset), 외피 변형(ST, Shell Transformation), 각운동량 보존(COAM, Conservation of Angular Momentum)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구형 로봇에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는 무게중심 이동이란 구형 로봇에서 필요한 운동을 생산하기 위해 로봇의 무게 중심을 이동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구체가 평형 상태에 놓여 있다고 할 때, 구체 내부의 구동체가 움직이면 구체의 질량 분포가 변화되고, 구체는 새로 평형위치를 찾아 굴러가게 된다. 이때, 적절한 제어 방법을 사용해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7565호, 등록일자 2015년 3월 25일.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할 수 있는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관점으로서 구형 이동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체;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구체를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 상기 구동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체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구체의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력 및 상기 가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구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하며, 상기 구동체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상기 제스처와 상기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고, 상기 누적 수집된 상기 제스처와 상기 운동값을 기초로 상기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으로서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구체를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구동체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체의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구동력 및 상기 가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구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구동체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상기 제스처와 상기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수집된 상기 제스처와 상기 운동값을 기초로 상기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력이 가해져서 발생한 제스처와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한 결과를 기초로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주변 장치나 서버장치에게 전송하거나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특정 명령을 생성하여 주변 장치나 서버장치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구형 이동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애완동물을 센싱 대상체로 삼을 경우에, 애완동물의 활동량에 따라 먹이를 제공하는 것 등과 같이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추정된 활동량을 기초로 애완동물이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구형 이동 장치를 구동하여 애완동물의 관심을 이끌어내서 운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와 주변 장치 및 서버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10)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10)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270)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10)와 주변 장치(N) 및 서버장치(30)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구형 이동 장치(10)는 구체(100) 및 구동체(200)를 포함한다.
구체(100)는 내부 공간이 비어 있어, 그 내부 공간에 구동체(200)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100)는 구동체(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한다. 여기서, 구체(100)는 완벽한 구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및 계란형일 수 있으며, 또는 구체(100)의 표면에 홈을 만들거나 구체(100)의 일부가 절단된 형태를 사용하여 불규칙한 회전 운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구현 예를 본 발명에서는 구형 및 구체(100)라고 정의한다.
구동체(200)는 구체(100)가 회전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정지마찰력을 통해 제공한다. 이를 위해 구동체(200)는 제1 바퀴(210), 제2 바퀴(220), 제1 동력제공부(230), 제2 동력제공부(240)를 포함한다.
또, 구동체(200)는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270)을 더 포함하며, 제어 모듈(270)은 센서부(271) 및 제어부(272)를 포함한다.
센서부(271)는 구동체(200)에 장착되어 구동체(200)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고, 구체(100)의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러한 센서부(271)는 구동체(200)의 3축에 대한 가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센서부(271)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도플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2)는 구체(100)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해 구동체(200)가 제공하는 구동력과 센서부(271)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값을 기초로 하여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72)는 구동체(200)가 구체(100)에 가하는 구동력에 대응하여 센서부(271)에 의해 측정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속도 값과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까지 포함하여 센서부(271)에 의해 센싱된 가속도 값의 차분을 기초로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72)는 센서부(271)에 의해 구동력에 대응하여 측정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속도 값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72)가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제어부(272)는 구동체(200)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제스처와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고, 누적 수집된 상기 제스처와 운동값을 기초로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한다. 이러한 제어부(272)는 센싱 대상체가 구형 이동 장치(10)를 대상으로 특정 제스처를 취하기 위해 센싱 대상체에 요구되는 운동값을 기초로 누적 수집된 제스처에 대한 운동값을 누계한 후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누적 수집된 운동값과 합산하여 활동량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2)는 인식된 제스처에 따라 사전에 맵핑된 소정의 액션을 구체(100)가 수행하도록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7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70)은 제어부(272)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N)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통신망(20)을 통해 서버장치(30)에 직접 접속하거나 주변 장치(N)를 경유하여서 통신망(20)을 통해 서버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2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2)는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73)를 통해 주변 장치(N) 또는 서버장치(30)에게 전송하거나,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통신부(273)를 통해 주변 장치(N) 또는 서버장치(30)에게 특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2)는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센싱 대상체가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구체(100)를 회전 운동시키도록 구동체(200)를 제어할 수 있다.
주변 장치(N)는 동물이 취식할 수 있는 먹이를 급식 명령에 따라 토출하는 자동급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72) 또는 서버장치(30)는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주변 장치(N) 중 자동급식장치에서 급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장치(N)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과 같이 고도의 컴퓨팅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형 이동 장치(10)의 좀더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S401), 구동체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S402), 구형 이동 장치의 구체의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4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구동체에 의한 구동력 및 측정된 가속도 값을 기초로 구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S404)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구동체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제스처와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는 단계(S40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누적 수집된 제스처와 운동값을 기초로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는 단계(S40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제스처를 취하기 위해 센싱 대상체에 요구되는 소정 행동에 대응하는 운동값을 기초로 누적 수집된 제스처에 대한 운동값을 누계한 후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누적 수집된 운동값과 합산하여 활동량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한 후,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 또는 서버장치에게 전송하거나,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주변 장치 또는 서버장치에게 특정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4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장치는 동물이 취식할 수 있는 먹이를 급식 명령에 따라 토출하는 자동급식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407)에서 자동급식장치에게 급식 명령이 전송될 수 있다.
아울러,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은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한 후,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센싱 대상체가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구체를 회전 운동시키도록 구동체를 제어하는 단계(S4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이동 장치의 구성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구형 이동 장치(10)는 구체(100) 및 구동체(200)를 포함하며, 구동체(200)는 구체(100)의 비어 있는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구동체(200)는 구동체(2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50)를 포함하고, 프레임부(25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구동체(200)는 프레임부(25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구체(100)의 회전 운동 시에 구체(100)와 접촉되거나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이격 거리(r)를 두고 비접촉되는 복수의 성곽부(26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성곽부(260)와 구체(100) 안쪽면 사이 소정의 이격 거리(r)는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이는 구동체(200)는 구체(10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 및 구체(100)의 내주면과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이격 거리(r)를 두고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영역을 포함하되, 비접촉 영역은 구체(100)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구체(100)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며, 접촉 영역은 구체(100)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구체(100)의 내부면과 비접촉 가능한 약결합(loosely coupling)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구동체(200)가 구체(100) 내부에서 이격 간극에 의해 지면과의 각도가 변하면서 구체(100)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성곽부(260)는 구체(100)쪽으로 연장 형성된 면에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26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성곽부(260)가 구체(100)의 안쪽면과 마주보는 면을 압축 가능한 재질의 완충부(265)를 구비하면 완충부(265)와 구체(100)의 안쪽면이 접촉하는 경우, 마찰이 줄어들어 구체(100)의 회전 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완충부(265)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체(200)의 무게만으로 압축 가능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72)는 제1 동력제공부(230) 및/또는 제2 동력제공부(240)에 대한 제어 상태 및 센서부(271)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 값과 기 저장된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를 인식한다. 여기서, 센서부(271)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 값에는 성곽부(260)와 구체(100) 사이의 이격 거리(r)에 의한 성분이 포함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에도 구체(100)의 움직임에 의한 성곽부(260)와 구체(100) 사이의 이격 거리(r)의 변화에 따른 가속도 값의 변화 성분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어부(272)는 구동체(200)의 구동력에 따라 구체(100)에서 발생한 가속도 값의 변화에 따른 제1 변화 성분을 파악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구체(100)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그리고, 센서부(271)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값의 변화량으로부터 제1 변화 성분을 제거하여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가속도 값의 변화에 따른 제 2 변화 성분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 2 변화 성분과 기 저장된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72)는 제1 동력제공부(230) 및/또는 제2 동력제공부(240)를 통해 구동체(200)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에는 구체(100)의 움직임을 구동력이 관여된 구체(100)의 이동 중 제스처로 판별하며, 구동체(200)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중에는 상기 구체의 움직임을 구동력이 관여되지 않은 구체(100)의 정지 중 제스처로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72)는 제스처 판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는 각각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와 연결되며,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는 모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는 각각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속도가 각기 달리 제어될 수 있다.
구동체(200)의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는 구체(100)의 안쪽면에 접촉한 경우, 구체(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구체(100)에게 전달한다.
구동체(200)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가 모두 구체(100)의 안쪽면에 접촉한다. 또한 구동체(200)가 회전 운동 중에는 제1 바퀴(210) 또는 제2 바퀴(220) 중 일부가 구체(100)의 안쪽면과 이격될 수 있다. 즉, 회전 운동 시에 구체(100)와 구동체(200)에는 상호간이 접촉되는 영역과, 기 설정된 범위로 상호간이 이격되는 영역이 공존한다.
이로 인하여,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의 구체(100)의 안쪽면에 접촉 여부 및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가 지면에 대해 위치하는 각도에 따라 구형 이동 장치(10)는 다양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체(200) 내부의 바퀴가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구체(100)가 구름 운동으로 인해 전진하게 되는데, 구동체(200)는 구체(100)에 완전하게 밀착된 구조가 아니므로 구체(100) 내부에서 흔들리게 되며, 이로써 구체(100)가 뒤뚱거리며 전진하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성곽부(260)는 구동체(200)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나, 성곽부(260)와 구체(100)의 안쪽면 사이 소정의 간격 때문에, 구체(100)의 회전 운동 시에 복수의 성곽부(260), 제1 바퀴(210) 및 제2 바퀴(220) 중 일부는 구체(100)의 안쪽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체(200)는 정지 상태에서 구체(100) 내부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지만, 구체(10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체(100) 내부에서 구동체(200)는 지면과의 각도가 정지 상태인 경우와 달리하며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성곽부(260)와 구체(100) 안쪽면 사이 소정의 간격이 0.5mm이상 2mm이하인 경우, 구동체(200)가 구체(100) 내부에서 지면과의 각도가 변하여 구체(100)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해당 간격이 0.5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성곽부(260)와 구체(100) 안쪽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 구동체(200)가 구체(100)의 안쪽면과 밀착되어 구체(100)의 회전 운동은 직진 또는 후진 운동만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당 간격이 2mm보다 큰 경우에는 구동체(200) 성곽부(260)와 구체(100) 안쪽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 구동체(200)가 구체(100) 내부에서 움직이는 범위가 불규칙하여 구체(100)의 회전 운동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구형 이동 장치(10)는 애완동물 등과 같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센싱 대상체가 주변에 존재하는 환경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대상체와의 상호작용 환경에서 제어부(272)는 제1 동력제공부(230) 및 제2 동력제공부(24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구동체(2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S401).
아울러, 애완동물 등의 센싱 대상체는 구체(100)에 외력을 인가하기 위해 각종 제스처를 취할 수 있고, 제어부(272)는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분별할 수 있다. 예컨대, 구체(10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는 터치(touch), 잽(jab), 펀치(punch), 킥(kick), 드롭(drop), 리프트(lift), 저글(juggle), 쉐이크(shake), 캐치(catch), 범프(bump), 범프 린(bump-lean) 등이 있다.
구동체(200)의 센서부(271)는 구동체(200)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며, 측정된 가속도 값을 제어부(272)에게 제공한다(S402). 예를 들어, 센서부(271)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동체(200)의 X축과 Y축 및 Z축의 가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100)와 구동체(200) 사이에 접촉 영역과 비접촉 영역이 공존하고 접촉 영역과 비접촉 영역이 바뀌어 질 수 있도록, 구체(100)와 구동체(200)가 약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운동 시 구체(100)와 구동체(200)가 끊임없이 접촉하도록 압축하는 종속형(coupling)과 비교할 때에 운동 특성의 다양한 변화가 발생되며, 이로써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포함하는 운동 상태 정보가 상대적으로 더 풍부하게 측정된다. 이는 성곽부(260)와 구체(100) 사이의 이격 거리(r)에 기인한 성분이 운동 상태 정보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또, 운동 중에 구체(100)와 구동체(200)는 약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때 측정된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포함하는 운동 상태 정보는 신뢰성을 가지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체(200)의 센서부(271)는 구체(100)의 외부에 있는 애완동물 등과 같은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센싱 대상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값을 제어부(272)에게 제공한다(S403). 예를 들어, 센서부(271)는 도플러 센서를 이용하여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플러 센서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구형 이동 장치(10)로부터 약 0.3~10m 거리 내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플러 센서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센싱 대상체가 있는 구체(100)의 외부로 송신한 후 다시 수신할 때의 주파수 변화량을 이용해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72)는 센서부(271)로부터 제공받은 가속도 값을 가공하여 각종 변화량을 파악한다. 예컨대, 구간별 최소/최대값, 구간별 평균값, 구간별 힘의 벡터값, 구간별 (평균)분산/분포, 전체 최소/최대값, 전체 평균값, 전체 힘의 벡터값, 전체 (평균)분산/분포, 변화량 발생 시간 주기,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따른 변화량, 자유낙하 상황에서의 변화량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2)는 구동체(200)의 구동력에 의한 가속도 값의 변화에 따른 제1 변화 성분을 파악한다. 이는 구체(10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한 운동 성분이 아니라 구동체(2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한 운동 성분에 대응하는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어부(272)는 제1 동력제공부(230)와 제2 동력제공부(24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구동체(200)의 운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구동체(200)에 의한 구체(100)의 운동 특성, 즉 어떠한 움직임을 하고 있는지를 유추 및 인지할 수 있다. 또, 외력이 구체(100)에 가해지지 않는 환경에서 구체(100)의 운동 종류별로 구동체(200)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은 사전에 수집되어 등록 및 저장된다. 그러면, 제어부(272)는 사전에 저장된 복수의 운동 종류 중에서 현재 구체(100)에 의해 수행되는 운동 종류에 대응하는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읽어 들임으로써 구동체(2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한 운동 성분에 대응하는 구체(100)의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등록 및 저장된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에는 구체(100)의 움직임에 의한 성곽부(260)와 구체(100) 사이의 이격 거리(r)에 기인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72)는 센서부(271)에 의해 측정되는 가속도 값의 전체 변화량으로부터 앞서 파악된 제1 변화 성분을 제거하여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가속도 값의 변화에 따른 제2 변화 성분을 추출한다. 즉, 구체(10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객체, 즉 애완동물 등처럼 구형 이동 장치(10)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센싱 대상체가 구형 이동 장치(10)를 대상으로 특정 제스처를 수행할 때에 해당 제스처에 의해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가속도 값의 변화 성분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추출된 제2 변화 성분, 즉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가속도 값의 변화량과 기 저장된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은 외력이 구체(100)에 가해지는 환경에서 외력에 의한 제스처별로 구동체(200)의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사전에 수집하여 등록 및 저장한 것이다. 그런데, 구체(100)의 이동 중 제스처와 정지 중 제스처의 운동 성분이 유사한 패턴을 가진 경우에는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만으로는 이동 중 제스처인지 아니면 정지 중 제스처인지를 분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범프는 구체(100)가 장애물에 부딪히는 운동 특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범프 린은 구체(100)가 장애물에 부딪힌 후 튕겨나가지 않고 장애물을 밀고 계속 앞으로 전진하려고 하는 운동 특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범프 및 범프 린은 벽 등과 같이 상시 고정된 장애물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스스로 움직이는 객체가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장애물의 역할을 할 수 있기에, 외력에 의한 제스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중에서 잽, 펀치, 킥, 범프 등은 운동 성분이 유사한 패턴을 가져서 사전에 등록 및 저장된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만으로는 이동 중인지 아니면 정지 중인지를 분별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제어부(272)는 제1 동력제공부(230) 및/또는 제2 동력제공부(240)를 통해 구동체(200)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중에는 구동력이 관여된 구체(100)의 이동 중 제스처로 판별하며, 구동체(200)가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중에는 구동력이 관여되지 않은 구체(100)의 정지 중 제스처로 판별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72)는 앞서 추출된 제2 변화 성분, 즉 구체(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가속도 값의 변화량과 기 저장된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로 인식한다. 여기서, 기 저장된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에는 구체(100)의 움직임에 의한 성곽부(260)와 구체(100) 사이의 이격 거리(r)의 변화에 기인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중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복수의 이동 중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로 인식하며, 정지 중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복수의 정지 중 제스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로 인식된다(S404).
예컨대, 범프(bump)와 킥(kick)의 경우에는 앞서 추출된 제2 변화 성분과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만을 기초로 하여서는 제스처를 정확히 판별하기가 어렵다. 여기서, 제2 변화 성분과 복수의 제스처별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부(272)가 범프(bump)와 킥(kick)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스처라고 인식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만약, 제1 동력제공부(230) 및/또는 제2 동력제공부(240)에 대한 정지 제어 중이라면 제어부(272)는 이때의 제스처를 킥이라고 판별한다. 하지만, 제1 동력제공부(230) 및/또는 제2 동력제공부(240)에 대한 이동 제어 중이라면 제어부(272)는 앞서 추출된 제2 변화 성분에 점프(jump) 패턴, 공중부양 패턴 등과 같은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으면 킥이라 판별하고, 제2 변화 성분에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범프라고 판별한다.
제어 모듈(270)은 통신부(273)와 조명부(274)를 포함한다.
통신부(273)는 제어부(272)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N)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통신망(20)을 통해 서버장치(30)에 접속할 수 있다.
조명부(274)는 제어부(272)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274)는 프레임부(250)의 외측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100)는 조명부(274)에 의한 광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투명 소재 또는 반투명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 제어부(272)는 구동체(200)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제스처와 센서부(271)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72)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인식되는 제스처의 종류 및 그 횟수를 누적 수집하고, 센싱 대상체가 소정의 움직임을 수행함에 따라 유발되는 운동값을 누적 수집한다. 예컨대, 운동값은 가속도 값을 측정할 때에 이용된 X축과 Y축 및 Z축에 대한 총 이동거리 값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2)는 누적 수집된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와 운동값을 기초로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한다(S406). 예컨대, 제스처는 센싱 대상체에 의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에 특정 제스처를 발생시키기 위한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으로 환산할 수 있으며, 제스처에 의한 운동값과 센싱 대상체의 단독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합산하면 센싱 대상체의 전체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73)는 제어부(272)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N)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73)는 제어부(272)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20)을 통해 서버장치(30)에 접속될 수 있다.
제어부(272)는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73)를 통해 주변 장치(N) 또는 서버장치(30)에게 전송할 수 있다(S407).
예컨대, 주변 장치(N) 중 어느 하나는 자동급식장치일 수 있다. 자동급식장치는 구형 이동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급식량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급식량만큼 먹이를 토출할 수 있다. 또는, 서버장치(30)가 구형 이동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급식량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급식량만큼 먹이를 토출하도록 자동급식장치에게 급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 제어부(272)는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통신부(273)를 통해 주변 장치(N) 또는 서버장치(30)에게 특정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72)는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센싱 대상체가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구동체(200)의 이동을 포함하는 제스처를 취하도록 제1 동력제공부(230)와 제2 동력제공부(24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구동체(200)의 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S408). 예를 들어, 주변 장치(N) 중 어느 하나가 자동급식장치일 경우, 제어부(272)는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필요한 급식량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급식량만큼 먹이를 토출하도록 자동급식장치에게 급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72)가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고, 누적 수집된 운동값을 기초로 활동량을 추정하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센싱 대상체의 활동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구형 이동 장치(10)는 구동체(200)가 구체(100)와 접촉되었던 접촉 영역이 운동에 따라서 접촉되지 않거나 또는 구동체(200)와 구체(100)가 접촉되지 않았던 비접촉 영역이 운동에 따라 접촉될 수 있도록, 구동체(200)와 구체(100)가 서로 약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운동 시 구체(100)와 구동체(200)가 끊임없이 접촉하도록 압축하는 종속형의 구형 이동 장치와 비교할 때에 운동 특성의 다양한 변화가 발생되며, 이로써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포함하는 운동 상태 정보가 상대적으로 더 풍부하게 측정된다. 또, 운동 중에 구체(100)와 구동체(200)는 약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때 측정된 가속도 값 및 그 변화 성분을 포함하는 운동 상태 정보는 신뢰성을 가지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을 가지는 풍부한 운동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구형 이동 장치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제스처를 높은 정확도로 인식할 수 있다.
또, 외력이 가해져서 발생한 제스처와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한 결과를 기초로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주변 장치나 서버장치에게 전송하거나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특정 명령을 생성하여 주변 장치나 서버장치에게 전송한다.
그러므로, 구형 이동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애완동물을 센싱 대상체로 삼을 경우에, 애완동물의 활동량에 따라 먹이를 제공하는 것 등과 같이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구형 이동 장치 100 : 구체
200 : 구동체 210 : 제1 바퀴
220 : 제2 바퀴 230 : 제1 동력제공부
240 : 제2 동력제공부 250 : 프레임부
260 : 성곽부 270 : 제어 모듈
271 : 센서부 272 : 제어부
273 : 통신부 274 : 조명부

Claims (11)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체;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구체를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
    상기 구동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체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고, 상기 구체의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구동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력 및 상기 가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구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하며, 상기 구동체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상기 제스처와 상기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고, 상기 누적 수집된 상기 제스처와 상기 운동값을 기초로 상기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형 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상기 센싱 대상체에 요구되는 운동값을 기초로 상기 누적 수집된 제스처에 대한 운동값을 누계한 후 상기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누적 수집된 운동값과 합산하여 상기 활동량을 추정하는
    구형 이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서버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장치 또는 상기 서버장치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장치 또는 상기 서버장치에게 특정 명령을 전송하는
    구형 이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동물이 취식할 수 있는 먹이를 급식 명령에 따라 토출하는 자동급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동급식장치에서 상기 급식 명령을 전송하는
    구형 이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싱 대상체가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체를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체를 제어하는
    구형 이동 장치.
  6.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구체를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를 포함하는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구동체의 가속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체의 외부에 있는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구동력 및 상기 가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구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상기 센싱 대상체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구동체의 정지 및 이동을 포함하는 구동 중에 인식되는 상기 제스처와 상기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값을 누적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수집된 상기 제스처와 상기 운동값을 기초로 상기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를 위해 상기 센싱 대상체에 요구되는 운동값을 기초로 상기 누적 수집된 제스처에 대한 운동값을 누계한 후 상기 센싱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누적 수집된 운동값과 합산하여 상기 활동량을 추정하는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한 후, 상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 또는 서버장치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추정된 활동량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또는 상기 서버장치에게 특정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동물이 취식할 수 있는 먹이를 급식 명령에 따라 토출하는 자동급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동급식장치에게 상기 급식 명령이 전송되는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대상체의 활동량을 추정한 후, 상기 추정된 활동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싱 대상체가 운동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체를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형 이동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구동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170440A 2017-12-29 2018-12-27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움직임 감지 기반 구동 방법 KR20190082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23 2017-12-29
KR20170183323 2017-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116A true KR20190082116A (ko) 2019-07-09

Family

ID=6726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440A KR20190082116A (ko) 2017-12-29 2018-12-27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움직임 감지 기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21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65B1 (ko) 2014-02-10 2015-04-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구형 이동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65B1 (ko) 2014-02-10 2015-04-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구형 이동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93B1 (ko)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제스처 인식 방법
US90430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robot operation
JP2020059121A (ja) 作業空間安全監視および機器制御
EP347956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behavior around moving bodies
JP6733967B2 (ja) スポーツゲームプレーの低電力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技法
US201403684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Gesture-Based Interaction
CN106604804B (zh) 碰撞检测
CN106227206B (zh) 一种设备跟随控制方法及装置及跟随系统
CN110494260A (zh) 用于控制协作机器人的装置和方法
JP20130274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157397A1 (en) System and method related to motion tracking
JP2020097091A (ja) ロボット干渉判定装置、ロボット干渉判定方法、ロボット制御装置、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人動作予測装置、および人動作予測方法
Villani et al. Interacting with a mobile robot with a natural infrastructure-less interface
US11029753B2 (en) Human computer interaction system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method
KR20190082116A (ko)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움직임 감지 기반 구동 방법
CN110328664A (zh) 碰撞检测方法及装置
KR20190082101A (ko) 구형 이동 장치 및 그 제스처 기반 구동 방법
JP2020093373A (ja) ロボット干渉判定装置、ロボット干渉判定方法、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JP7272221B2 (ja) 情報処理装置、ロボット、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Alabbas et al. ArUcoGlide: a novel wearable robot for position tracking and haptic feedback to increase safety during human-robot interaction
US20220379463A1 (en) Safe activation of free-drive mode of robot arm
EP3813018A1 (en) Virtual object operating system and virtual object operating method
KR102237025B1 (ko)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장치
TWI737068B (zh) 動作追蹤系統和方法
JP2021089691A (ja) 動作追跡システム及び動作追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