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667A -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 Google Patents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667A
KR20190081667A KR1020170184375A KR20170184375A KR20190081667A KR 20190081667 A KR20190081667 A KR 20190081667A KR 1020170184375 A KR1020170184375 A KR 1020170184375A KR 20170184375 A KR20170184375 A KR 20170184375A KR 20190081667 A KR20190081667 A KR 2019008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ousing
gateway
r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782B1 (ko
Inventor
임윤규
김건
윤병수
조윤상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르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르고넷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꿀벌통의 소문을 서버를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 소문이 절개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절개 형성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꿀벌의 생육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소문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소문개폐부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소문개폐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개폐 각도에 따라 소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말벌의 피해가 있을 때는 사람이 현장에 방문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 동안 소문을 완전 폐쇄하여 1차 피해를 막고, 2차 조치를 통해 말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야간에 꿀벌의 출입이 없을 경우에는 개방각도를 작게 하여 꿀벌의 보온활동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BEEHIVE HAVING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ENTRANCE}
본 발명은 꿀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서버를 통하여 꿀벌통의 소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꿀벌을 안정적으로 사육할 수 있도록 하고 말벌로 인한 피해를 줄임과 동시에 야간에 꿀벌통 내부의 보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에 관한 것이다.
양봉에 있어서 꿀벌의 대표적인 천적은 외부 기생성인 응애와 직접 꿀벌을 공격하는 말벌이 있다.
말벌 봉군은 영년성인 꿀벌과 달리 1년성으로 월동한 여왕벌은 3~4월경 동면에서 깨어나 활동을 시작하고 6월에는 본격적으로 일벌이 등장하기 시작하며, 여름과 가을에 봉군의 최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말벌의 성충은 발효된 당액과 나무수액, 과일 등 당분이 많은 식물성 먹이를 선호하지만 말벌의 유충은 발육을 위하여 단백질이 풍부한 먹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벌은 곤충과 절지동물을 사냥 후 가공하여 유충의 먹이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체수가 풍부하고 성충의 먹이인 꿀과 유충의 먹이인 곤충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꿀벌 봉군은 말벌의 주 공격 목표가 된다.
대부분의 중소형 말벌의 경우 소문 앞에서 제자리 비행(Hovering)하며 일벌을 낚아채는 방법으로 사냥을 하지만 국내 최대종인 장수말벌의 경우 집단으로 봉군을 공격하여 일벌을 전멸시키고 봉군 내 유충과 벌꿀을 약탈하는 사냥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수말벌의 공격을 방치할 경우 해당 봉군은 전멸을 면치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장수말벌이 서식하는 지역의 양봉농가들은 말벌의 최성기인 여름과 가을에는 양봉장에 상주하면서 말벌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보초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양봉농가에 있어서 꾸준한 관심과 인력을 집중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 소문을 폐쇄하여 말벌의 봉군 유입을 방지하고, 일벌의 외출을 막아 말벌공격에 의한 일벌의 사망으로 인한 1차 피해를 우선적으로 막는 것이 중요하다.
직접적인 조치가 있을 동안 1차 피해를 방지하고 그 후 말벌을 직접 포살하면 말벌로 인한 봉군의 사멸은 방지할 수 있다.
꿀벌은 가축 중에서 가장 작은 변온동물이며, 적외선 카메라로 관찰한 바에 의하면 가슴부분을 벽에 밀착시킨 후 비행근육을 이용하여 발열을 한다. 최대 30분간 열을 방출하고 이때 체온은 거의 43℃ 이상으로 올라간다.
생육온도의 범위로 볼 때, 7℃에서 활동이 마비되며, 5℃에서는 12시간 이내에 동사하고, 13℃ 이하에서는 외부활동을 할 수 없다. 이렇게 온도가 내려가면 벌은 월동을 위한 봉구를 형성하고 발열활동을 통해 내부온도를 약 34℃로 유지한다.
또한, 산란 및 육아를 위해서는 약 35?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꿀벌은 변온동물이지만 육아와 산란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35℃를 유지하는 항온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발열활동과 냉각활동을 줄여 줄 수 있도록 환경의 조절을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밤낮의 기온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봄, 가을에 숙련된 양봉농가의 경우 소문의 개방 정도의 조절을 통해 미세하게 환경을 제어하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야간에 저온을 나타내기 때문에 야간에는 보온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이 때 소문을 좁혀주면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작업과정이 번거롭고 많은 관심을 요한다.
따라서, 이러한 적절한 생육환경의 유지를 위한 인위적인 환경제어를 할 수 있도록 꿀벌통의 소문을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개폐 각도에 따라 소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말벌의 피해가 있을 때는 사람이 현장에 방문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 동안 소문을 완전 폐쇄하여 1차 피해를 막고, 2차 조치를 통해 말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야간에 꿀벌의 출입이 없을 경우에는 개방각도를 작게 하여 꿀벌의 보온활동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은,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 소문이 절개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절개 형성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꿀벌의 생육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소문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소문개폐부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소문개폐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문개폐부는 상기 소문과 근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소문의 전방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소문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 측으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동작이 중지될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된 각도는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신부는 별도의 하드웨어에 구비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웨어는 양봉장의 선택, 선택된 상기 양봉장의 개별 꿀벌통 선택, 시스템 리셋 및 상기 소문의 개폐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제종 제어를 수행한 날짜와 제어 유형이 저장 및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은,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개폐 각도에 따라 소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말벌의 피해가 있을 때는 사람이 현장에 방문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 동안 소문을 완전 폐쇄하여 1차 피해를 막고, 2차 조치를 통해 말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야간에 꿀벌의 출입이 없을 경우에는 개방각도를 작게 하여 꿀벌의 보온활동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소문이 일부 개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소문이 완전 개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통신부인 소프트웨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소문이 일부 개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소문이 완전 개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통신부인 소프트웨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은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 소문(110)이 절개 형성되며 상면(130)이 개구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절개 형성된 상면(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130)에 설치되는 상부커버(200)와; 꿀벌의 생육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소문(110)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소문개폐부(300)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소문개폐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상면이 개구 형성된 장방 형상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내부에는 복수의 벌집형성판, 벌집판 거치대 등의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하부 일측에는 판면 일부를 절개 형성한 소문(11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여 꿀벌이 외부에서 수용공간 측으로 출입하면서 꿀을 모을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하면은 별도의 지지판(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며, 소문(110)은 하우징(100)의 하부 일측 외면이 절개된 영역과 지지판(120)의 상면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판(120)의 하면에는 하우징(100)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다리(130)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다리(130)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100)이 배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꿀벌을 효과적으로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커버(200)는 개구 형성되어 상기 벌집형성판이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하우징(10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재이다.
한편, 소문개폐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소문(11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수용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꿀의 획득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문개폐부(300)는 소문(110)과 근접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310)와, 상기 서보모터(3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310)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소문(110)의 전방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서보모터(310)는 가동범위인 0°내지 180°의 범위내에서 회전 구동하게 되며, 원격 방식으로 소문 개폐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소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서보모터(310)의 구동에 따른 개폐부재(320)의 회전량에 따라 소문(110)의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소문(110)은 서보모터(310)의 구동에 의하여 일측 단부가 회전중심이 되어 타측 단부가 호상 궤도를 형성하도록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서보모터(310)의 구동에 의하여 개폐부재(320)가 90° 회전하게 되면 소문(110)이 완전 개방되며, 개폐부재(320)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문(110)이 완전 폐쇄되게 된다.
그리고, 서보모터(310) 측으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서보모터(310)의 동작이 중지될 경우에 개폐부재(320)가 회전된 각도는 유지되도록 하여 유휴 상태에서도 전력의 사용없이 소문(11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서보모터(310)가 회전하여 개폐부재(320)를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이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서보모터(310)가 회전된 상태가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부재(3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그 높이는 소문(110)의 높이 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서보모터(310)가 회전 구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문(110)을 완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400)는 별도의 하드웨어에 구비되어 서보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양봉장의 선택, 선택된 상기 양봉장의 개별 꿀벌통 선택, 시스템 리셋 및 상기 소문의 개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웨어는 제종 제어를 수행한 날짜와 제어 유형이 저장 및 출력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꿀벌통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은 꿀벌통에 구비된 소문의 전방에 별도의 소문개폐부를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의 꿀벌통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개폐 각도에 따라 소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말벌의 피해가 있을 때는 사람이 현장에 방문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 동안 소문을 완전 폐쇄하여 1차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1차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한 후에 사용자가 현장에 도착하여 2차 조치를 통해 말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야간에 꿀벌의 출입이 없을 경우에는 개방각도를 작게 하여 꿀벌의 보온활동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소문
120 : 지지판 130 : 지지다리
200 : 상부커버 300 : 소문개폐부
310 : 서보모터 320 : 개폐부재
400 : 통신부

Claims (7)

  1.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 소문(110)이 절개 형성되며 상면(130)이 개구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절개 형성된 상면(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130)에 설치되는 상부커버(200)와;
    꿀벌의 생육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소문(110)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소문개폐부(300)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소문개폐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문개폐부(300)는 상기 소문(110)과 근접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서보모터(310)와, 상기 서보모터(3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310)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소문(110)의 전방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3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310)의 구동에 따른 상기 개폐부재(320)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소문(110)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310) 측으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서보모터(310)의 동작이 중지될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320)가 회전된 각도는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400)는 별도의 하드웨어에 구비되어 상기 서보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양봉장의 선택, 선택된 상기 양봉장의 개별 꿀벌통 선택, 시스템 리셋 및 상기 소문의 개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제종 제어를 수행한 날짜와 제어 유형이 저장 및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1020170184375A 2017-12-29 2017-12-29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10201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75A KR102011782B1 (ko) 2017-12-29 2017-12-29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75A KR102011782B1 (ko) 2017-12-29 2017-12-29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67A true KR20190081667A (ko) 2019-07-09
KR102011782B1 KR102011782B1 (ko) 2019-08-19

Family

ID=6726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375A KR102011782B1 (ko) 2017-12-29 2017-12-29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504A (ko) * 2015-08-07 2017-02-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101736288B1 (ko) * 2016-06-17 2017-05-16 신상훈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504A (ko) * 2015-08-07 2017-02-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KR101736288B1 (ko) * 2016-06-17 2017-05-16 신상훈 IoT 기술이 적용된 벌통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782B1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AN01 et al. What are stingless bees, and why and how to use them as crop pollinators?-a review
CN107094715A (zh) 一种中蜂的养殖方法
KR101785371B1 (ko)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CN106719106B (zh) 多功能蜂螨控制器及控螨方法
CN105900929A (zh) 蜜蜂的养殖工艺
US7556552B1 (en) Solitary bee emergence box
KR101813538B1 (ko) 벌통 가온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2011781B1 (ko) 자동환기장치를 구비한 꿀벌통
KR20190081667A (ko) 소문개폐부를 구비한 꿀벌통
CN206462194U (zh) 多功能蜂螨控制器
EP1414292B1 (en) Bee hive and method for parasite control of bees and bee hives
CN108094354B (zh) 一种狄氏瓦螨生物诱杀器的制作与设伏方法
CN112970677B (zh) 一种利用无子繁育提升蜂群基数的方法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AU2021103101A4 (en) Drone breeding device
El-Sheikh et al. Effect of using a modified warming system on activities and productivity of honey bees
Eskov The origin and organization of the bee colony Apis mellifera L.
Kipyatkov et al. Experimental study of seasonal cycle of rapid brood production in the ants Myrmica rubra L. and M. ruginodis Nyl. from two different latitudes
US11991992B2 (en) Method for preventing escaping of bees from a hiv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RU2693726C1 (ru)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одства пчелосемей
Cornoiu et al. Contribution concerning the behaviour knowledge before natural swarming in honeybees (Apis mellifera carpathica, Linnaeus).
CN117598225A (zh) 一种中华蜜蜂蜂王定向交尾的装置及方法
Anton et al. Honey Bee Management Throughout the Seasons
EP43463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hotobiomodulation of pollinating insects in a hive
Mutsaers Seasonal absconding of honeybees (Apis mellifera) in tropical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