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177A -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177A
KR20190081177A KR1020170183532A KR20170183532A KR20190081177A KR 20190081177 A KR20190081177 A KR 20190081177A KR 1020170183532 A KR1020170183532 A KR 1020170183532A KR 20170183532 A KR20170183532 A KR 20170183532A KR 20190081177 A KR20190081177 A KR 2019008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omponent
information
interface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4754B1 (en
Inventor
남상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754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06K9/0067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 H04M2203/359Augment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recording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b) recogniz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recorded image; (c) receiv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d) dividing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the entire area of the recorded ob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e)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and (f) displaying each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Description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대응되는 각각의 영역에 표시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of a component included in a device being photographed in corresponding areas.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말한다.Augmented reality (AR) is a computer graphics technique that combines virtual objects or information into a real environment to make them look like objects in the original environment.

증강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증강 현실은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 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 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The augmented reality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can reinforce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only in the real world by synthesizing a virtual object on the basis of the real world, unlike the existing virtual reality which only deals with a virtual space and objects. Because of this feature, the augmented reality can be applied to various real environments unlike existing virtual reality, which can be applied only to fields such as games. Especially,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next generation display technology suitable for ubiquitous environment.

증강 현실 기술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 다양한 분야에서 증강 현실 기술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이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증강 현실 기술이 위치 기반 서비스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been continued since the start of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Recentl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in location based services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 phones.

일반적으로, 증강 현실 기술은 현재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메뉴 형태로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때 프리뷰 화면은 촬영되고 있는 기기의 상태 정보를 2D 또는 3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Generally,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on a preview screen in a menu form. At this time, the preview screen can display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evice being photographed in 2D or 3D form.

기기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구성요소는 별도의 증강 현실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기기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가 한꺼번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복잡해져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 device includes various components. At this time, each component may be displayed as a separate augmented reality icon. However, whe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evice is provided to the user all at once, the user interface (UI) becomes complicated and the user has difficulty in grasping the desired information properly.

본 발명은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증강 현실 하부 메뉴로 표현함으로써, 증강 현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capable of simplifying a user interface (UI) to an augmented reality by expressing concrete information about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pparatus being photographed in augmented reality submenu .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이상 동작 여부와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고,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과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해당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 operation is necessary for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a device being photographed, and notifies the user of an abnormal operation and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to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that enables a user to select and browse only desired informa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은,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a)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b) 단계, 상기 객체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c) 단계,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촬영된 객체의 전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하는 (d) 단계,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e) 단계, 및 생성된 각각의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f)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including: (a) capturing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b)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C)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components, (d) identifying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on the entire area of the photographed ob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E)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of the elements, and displaying each of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generated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구성 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전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component from a user, and developing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for the selected component.

또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e)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정상 동작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잔여 수명을 계산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e) of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components, compar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onents with a predetermined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component is required or not, and calculating the remaining service lif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to determine necessity of replacement of the component.

또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e)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요소에 상기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구성요소의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알림 또는 상기 광고를 상기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e) of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ay include: generating a notification about the abnormal operation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the component; and if the component is in need of the replacement, Generating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of the component, and assigning the generated alert or the advertisement to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of the component.

또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f) 단계는, 상기 알림 또는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사용자가 해당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전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f) o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may include expanding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including the notification or the advertisement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element .

또한, 상기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 동작의 원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색깔의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notification of the abnormal operation may include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s of different shapes or colors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또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f) 단계는, 상기 광고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의 대체 가능 모델 대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상기 구성요소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f) o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may include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for the replaceable model of the component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on the component in an overlapping manner can do.

또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의 사용기간과 상기 구성요소의 권장사용수명을 비교하여 상기 잔여 수명을 계산하거나,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잔여 수명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necessity of replacement of the componen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remaining service life by comparing the use period of the component with the recommended service life of the component, Lt; RTI ID = 0.0 > lifetime. ≪ / RTI >

또한, 상기 (b) 또는 (e)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수행되고, 다른 나머지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b) or (e)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and the remaining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은,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부, 상기 객체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와,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또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처리부,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객체 상에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기 증강 현실 대표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an object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r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for the plurality of components,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on the object,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the representative interface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The.

또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구성 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하부 메뉴가 전개되도록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receiving an input of a use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for the selected component is developed hav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정상 동작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구성요소의 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with a predetermined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component is abnormal or not, and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the component, May be generated and allocated to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요소의 잔여 수명을 계산하여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상기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구성요소의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remaining lifetime of the component to determine necessity of replacement, and if there is a necessity of the replacement, generate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of the component, . ≪ / RTI >

또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는,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색깔의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may includ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s of different shapes or colo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또한, 상기 카메라부, 상기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객체 인식부와 상기 증강 현실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camera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ler, and a server including the object recognition unit and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증강 현실 하부 메뉴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I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stituent element included in a device being photographed is represented by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and concrete information about each constituent element is represented by a menu of augmented reality. This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and easily grasp information about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해 각각 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동작의 원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및 색깔의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기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업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시간 내에 빠른 작업 처리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device being photographed is abnormal or not and detec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having different shapes and colors to provid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device management, thereby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improving the processing speed. In addition, since a quick work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in the same time,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교체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알려주고,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검색 없이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판매자는 마케팅 및 홍보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니즈와 판매자의 니즈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a component requiring replacement, and provides an advertisement for a replaceable model to a user.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substitutable model without any search, and the seller can use it as a marketing and promoting means.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user and the needs of the seller at the same tim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상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교체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for illustrat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f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 operation in FIG.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etermining necessity of replacement in FIG.
8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대상 기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a target device 200, and a server 300.

사용자 단말기(100)는 증강 현실 제공 장치로써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대상 기기(200)를 촬영하고, 대상 기기(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operate as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The user terminal 100 photographs the target device 200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component included in the target device 200 from the server 300. [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대상 기기(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이상 동작 여부와 교체 필요성을 판단한다. T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omponent included in the target device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oper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mponent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증강 현실 정보를 기초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 정보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된 대상 기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다. 증강 현실 정보는 2D 또는 3D 이미지로 모델링 및 렌더링될 수 있으며, 렌더링된 이미지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로 변환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프리뷰 형태로 표시된다.T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each component from the server 300, generates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screen. Her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es the augmented reality-related data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target device 200 for cre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an be modeled and rendered as a 2D or 3D image, and the rendered image is converted into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and displayed in a preview form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

이때,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는 이상 동작 여부에 대한 알림과, 교체 필요성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포함한다. 증강 현실 하부 메뉴는 사용자가 해당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전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알림 또는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including an announcement about an abnormal operation and an advertisement about necessity of replacement.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can be deployed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element.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nd browse the advertisement of the desired component or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사용자가 해당 구성요소를 선택하기 전에 해당 구성요소는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으로 해당 기기의 지정된 영역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은 해당 구성요소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색깔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Before the user selects the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splayed on the designated area of the device with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may be represented in different shapes or color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사용자 단말기(100)는 증강 현실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모바일 기반의 장치,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예를 들어, HMD(Head Mounted Device), 비디오 시쓰루 장치(Video See-Through device), 광학 시쓰루 장치(Optical See-Through device)), 스크린 기반의 장치, 및 프로젝터 기반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mobile-based device, a wearable device (e.g., a head mounted device (HMD), a video see-through device, An optical see-through device), a screen-based device, and a projector-based device.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정보를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computer, a UMPC (Ultra Mobile PC), a workstation, a netbook,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ortable computer, a web tablet, a wireless mobile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 e-book,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대상 기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기기(200)는 자동제어기기나 산업용기기 또는 배전반이 될 수 있다. 이때, 대상 기기(200)는 차단기, 계전기, 통신링크장치, 전력량계, 센서부, HMI(Human Machine Interface)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target device 200 may be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component. For example, the target device 200 may be an automatic controller, industrial device, or switchboard. At this time, the target device 200 may include a circuit breaker, a relay, a communication link device, a watt-hour meter, a sensor unit,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and the like.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또한, 대상 기기(200)는 원격 검침 시스템(Automatic Meter Reading; 이하, AMR)의 측정 대상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격 검침 시스템(AMR)이라 함은 멀리 떨어진 지점의 측정 대상으로부터 측정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Also, the target device 200 can be an object of measurement of an Automatic Meter Reading (AMR). Generally, the AMR refers to converting measurement results from an object at a remote location to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ing th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cessing the data in the computer.

원격 검침 시스템(AMR)의 서버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데이터 통신망(예컨대, 기간망, 사설망, 인터넷망 포함)을 통해 다수의 데이터수집장치와 상호 접속된다. 서버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수집장치와 실시간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각 측정 대상의 전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rver of the AMR system can receive a plurality of data (e.g., data)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e.g., a backbone network, a private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provid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ased on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Collecting device. The serve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real time to and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power status of each measurement object in real time.

또한, 서버는 데이터수집장치로부터 각 측정 대상의 검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이러한 검침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측정 대상의 전력 상태, 예컨대 정전, 도전, 누전 상태 등을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receives meter reading data of each measurement object from the data collection device in real time. Based on such meter reading data, the power state of each measurement target, for example, power failure, electrical conduction, leakage current state, etc., is analyzed and provided to the manager.

여기서, 검침 데이터는 하나의 데이터 집중화 장치에 할당된 모든 측정 대상의 사용 전력량의 총합, 각 측정 대상별 사용 전력량, 순시 전력량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각 측정 대상의 전력 품질을 파악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meter reading data may be the sum of the used electric power amounts of all the measurement objects allocated to one data centralizing apparatus, the used electric power amount per each measurement subject, the instantaneous electric power amount, and the like, and all the data May be included.

서버(300)는 대상 기기(2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대상 기기(200)에 대한 객체 정보, 대상 기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 각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 및 대상 기기(200)와 각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300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200.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include object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device 200, information about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target device 200,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components, Can be stored.

서버(300)는 원격 검침 시스템(AMR)의 데이터수집장치 또는 서버로써 동작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대상 기기(200)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실시간을 제공받고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는 대상 기기(20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rver 300 may operate as a data collection device or server of an AMR system. That is, the server 300 can receive and store the meter reading data for the target device 200 in real time. In this way, the server 300 can monitor and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arget device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장치인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카메라부(120), 객체 인식부(130), 위치 측정부(140), 증강 현실 처리부(150), 통신부(160), 센서부(165), 메모리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2, a user terminal 100 as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camera unit 120, an object recognition unit 130, a position measurement unit 140, An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a communication unit 160, a sensor unit 165, a memory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d an interface unit 190. 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00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can be implemented.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자세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10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0 can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10 will be described below.

카메라부(120)는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써,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10)에 전달된다.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은 실시간 프리뷰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120 is a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and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0.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a real-time preview format.

객체 인식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한다. 객체 인식부(130)에서 사용되는 객체 인식 방법에는 영상에 포함된 마커를 이용해 객체를 인식하는 마커 기반 인식 방법과, 물리적인 마커 대신에 미리 등록된 실제 물체를 인식하는 마커리스 인식 방법이 있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The object recognition method used i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includes a marker based recognition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using a marker included in an image and a markerless recognition method for recognizing an actual object registered in advance instead of a physical marker.

구체적으로, 마커 기반 인식 방법은 큐알 코드(QR code), 데이터 메트릭스(DataMatrix) 또는 2D 바코드(Barcode) 등과 같은 마커를 기초로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마커 기반 인식 방법은 시스템이 미리 이해하고 있는 특수한 형태의 마커를 활용하므로 연산 속도와 인식률이 높게 나타난다.Specifically, the marker-based recognition method is a method of recognizing an object based on a marker such as a QR code, a data matrix (DataMatrix), or a 2D barcode. Since the marker-based recognition method utilizes a special type of marker that the system understands in advance, the operation speed and the recognition rate are high.

마커리스 인식 방법은 자연영상 기반 방식과 환경인식 기반 방식으로 나뉜다. 자연영상 기반 방식은 일반적인 평면 이미지에 존재하는 다수의 특징점(feature point)들을 분석하여, 분석된 특징점들을 보이지 않는 마커처럼 활용한다. 자연영상 기반 방식은, 자연영상에 존재하는 특징점을 추출하는 기술과, 특징점을 묘사하는 디스크립터(descriptor)로 효과적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이용한다. 환경인식 기반 방식은, 특수한 형태의 마커나 미리 입력된 영상 없이 환경 자체를 삼차원 지도 형태로 인식하는 기법이다. 환경인식 기반 방식은 카메라 혹은 RGBD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분석하여 삼차원 환경 지도를 실시간으로 작성하는 지도 작성(mapping) 기술과, 작성된 지도에서 현재 카메라의 위치를 추정하는 카메라 추적(track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The markerless recognition method is divided into a natural image-based method and an environmental recognition-based method. The natural image-based method analyzes a large number of feature points existing in a general plane image, and uses the analyzed feature points as invisible markers. The natural image-based method uses a technique of extracting a feature point existing in a natural image and a technique of effectively converting the feature point into a descriptor for describing the feature point. The environment recognition based method is a technique of recognizing the environment itself as a three-dimensional map without a special type of marker or a pre-input image. The environment recognition based method can be a mapping technique for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map by analyzing data from a camera or an RGBD sensor and a camera tracking technique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amera on the created map have.

객체 인식부(130)는 앞에서 설명한 마커 기반 인식 방법과 마커리스 인식 방법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객체 인식부(130)는 영상이 촬영된 위치 정보, 객체에 대한 마커 또는 객체의 마커리스 정보를 기초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객체 인식부(130)가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새로이 개발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can recognize the objects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by using the marker-based recognition method and the markerless recognition method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can recognize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image was captured, the marker for the object, or the markerless information on the object. However,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object by the object recognizing unit 130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newly developed methods can be applied.

다만, 이러한 객체 인식부(130)의 동작은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데이터만을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However, the operation of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external device (e.g., the server 300), and only the result data on the execution result may be received and used by the user terminal 100 .

위치 측정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와, 촬영되는 객체의 위치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측정부(140)는 로컬 위치 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촬영되는 객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로컬 위치 추적 기술은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서 TOF(time of flight), 공간 스캔(spatial scan), 관성측정(inertial sensing), 기계 연결식(mechanical linkage), 위상차 검출식(phase difference sensing), 직접 필드검출(direct field sensing)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기술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40 measur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In more detail,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40 may measu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100 using the local position tracking technique. Local location tracking techniques may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manner in which they are used, such as time of flight (TOF), spatial scan, inertial sensing, mechanical linkage, phase difference sensing, (direct field sensing), and the above techniqu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o increase the accuracy.

위치 측정부(140)는 근거리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위치측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는 Zigbee, iBeacon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주로 GPS를 사용하지 못하는 실내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고, 각 노드의 신호강도를 통해서 상대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측정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센서(관성측정 센서, 고도계, 나침반) 등을 이용해서 위치측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The location measurement unit 140 can perform location measurement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or example, the location based service may use Zigbee, iBeacon technology. The location based service can be used mainly in indoor environment where GPS can not be used and the relative position can be grasped through the signal strength of each node. In addition,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40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position measurement using various sensors (inertial measurement sensor, altimeter, compass)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100. [

증강 현실 처리부(150)는 증강 현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정보는 촬영되는 객체를 모델링 및 렌더링 하는데 이용되는 로데이터(raw data)이다. 증강 현실 정보는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70)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may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raw data used for modeling and rendering objects to be photographe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300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70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used.

증강 현실 처리부(150)는 증강 현실 정보를 기초로 실제 물체를 가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모델링 기술과, 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렌더링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모델링 기술은 비디오로 입력되는 2D 영상에 깊이 정보를 반영하여 합성하는 기술이다. 모델링 기술은 사용자 의도대로 객체 변형, 색상 변화 등을 수행하여 현실 공간에서 이룰 수 없는 다양한 응용을 가능하게 한다. 렌더링 기술은 생성된 가상 모델들에 조명효과, 그림자 효과, 밝기 변화 등을 부가하여 가상 모델을 사실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에서 생동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can use a modeling technique for accurately expressing an actual object virtually on the basis of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a rendering technique for realistically expressing it. The modeling technique is a technique of synthesizing the 2D image input by the video by reflecting the depth information. The modeling technique enables various applications that can not be achieved in the real space by performing object transformation and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Render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user to feel the vividness 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by realistically expressing the virtual model by adding lighting effect, shadow effect, brightness change, etc. to the created virtual models.

다만, 이러한 증강 현실 처리부(150)의 동작은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데이터만을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However,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erver 300), and only the result data on the execution result may be received and used by the user terminal 100 .

통신부(160)는 증강현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300) 또는 촬영 대상인 대상 기기(200)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때, 증강현실 데이터베이스는 증강현실 객체, 증강현실 객체의 속성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exchanges data with the server 300 that stores and manages the augmented reality database or the target device 200 to be imaged.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database is a database storing attribute information of augmented reality objects and augmented reality objects.

통신부(160)는 다른 단말 장치와 유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전자 장치, 모듈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에서 이용하는 통신 규약은,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혹은, 광대역 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a module, or a program that exchanges data with other terminal devices by wire or wireless. The communication protocol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60 includes, for example,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센서부(165)는 증강현실에 필요한 정보 또는 증강현실에 추가로 적용되는 맥락정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센서부(165)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위치감지 센서, 동작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치감지 센서는 GPS신호를 감지하는 GPS 센서가 이용될 수 있고, 동작감지 센서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65)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움직임, 기울기, 방향, 촬영하는 객체와의 거리, 주변의 소리, 밝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65 is a device for detecting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augmented reality or context information that is further applied to the augmented reality. The sensor unit 165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Here, a GPS sensor for sensing a GPS signal may be used as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may be used as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65 may measure the current position, the movement, the tilt, th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distance to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the surrounding sound, brightness, and the like.

메모리부(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압축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등)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70)는 촬영되는 대상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객체, 증강현실 객체의 속성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70)는 촬영 대상인 객체와, 객체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증강 현실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170 stores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nd storage data (telephone number, SMS message, compressed image file, moving image, etc.)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lso, the memory unit 170 may store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o be image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object, and the state information. That is, the memory unit 170 stores the object to be imaged and the state inform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bout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메모리부(170)는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ROM(Read Only Memory)과 정적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정적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또한 자기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또 다른 유형일 수 있다.The memory unit 170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or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static storage device for storing static information and instructions. The memory unit 170 may be a volatile memory unit or a non-volatile memory unit. The memory portion 170 may also be another type of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a magnetic or optical disk.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카메라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촬영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r an indicator)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limited numbers and characters,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Also, the display unit 180 may display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unit 120 and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인터페이스부(19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90)는 버튼형 입력부,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terface unit 190 can receive input from the user. The interface unit 19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such as a button-type input unit, a touch screen, a keyboard, a mous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touch scree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80 and receive the input through the user's touc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장치인 사용자 단말기(100)는 대상 기기(200)를 촬영하고, 촬영된 대상 기기(200)에 대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한다.3, a user terminal 100, which is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 target device 200 and displays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for the photographed target device 200 on a display unit 180).

여기에서, 대상 기기(200)는 제1 내지 제3 기기(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기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기기(200)는 자동제어기기나 산업용기기 또는 배전반이 될 수 있다. Here, the target device 200 may include first to third devices 210, 220 and 230, and each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target device 200 may be an automatic controller, an industrial device, or an electric switchboard.

예를 들어, 제1 기기(210)는 복수의 구성요소(A1, B1, C1, D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성요소(A1, B1, C1, D1)는 각각 차단기, 계전기, 통신링크장치, 전력량계, 센서부, HMI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first device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A1, B1, C1, and D1.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mponents A1, B1, C1, and D1 may be any one of a circuit breaker, a relay, a communication link device, a watt-hour meter, a sensor unit, and an HMI. However, this is merely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서버(300)는 대상 기기(200)와 연동되어 대상 기기(200)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300)는 객체 정보 DB(310), 구성요소 DB(320), 상태 정보 DB(330), 증강현실 DB(3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대상 기기(200)는 촬영 대상인 '객체'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erver 300 interworks with the target device 200 to store various data for the target device 200. [ The server 300 includes an object information DB 310, a component DB 320, a status information DB 330, and an augmented reality DB 340. Hereinafter, the targe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combination with the term " object "

객체 정보 DB(310)는 객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객체의 제품 정보(제품명, 제품 카테고리, 설치 시기, 관리 방법 등), 객체가 설치된 위치 정보, 객체와 관련된 회로도 및 설치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information DB 310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For example, it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product information (product name, product category, installation time, management method, etc.) of the object,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object is installed, circuit diagram and installation diagram related to the object.

구성요소 DB(320)는 객체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성요소 DB(320)는 각 객체가 포함하는 구성요소, 각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관계, 미리 정해진 각 구성요소의 정상 동작 범위, 고장 시 대체 가능한 구성요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component DB 320 includes information on all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The component DB 320 includes information on components included in each object,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a normal operation range of each predetermined component, and a replaceable component in the event of a failure.

예를 들어, 배전기에 포함된 차단기의 경우, VCB(Vacuum Circuit Breaker, 진공 차단기), ACB(Air Circuit Breaker, 기중 차단기),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배선용 차단기) 등을 포함하며, 구성요소 DB(320)는 대상 배전기에 포함된 차단기의 종류 및 대체 가능한 차단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reaker included in a distributor, it includes a VCB (Vacuum Circuit Breaker), an ACB (Air Circuit Breaker), an 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32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breaker included in the target distributor and the replaceable breaker.

상태 정보 DB(330)는 객체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 DB(330)는 각 객체의 구성요소에 대한 전력량 정보, 온도 정보, 전압 정보, 또는 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원격 검침 시스템(AMR)의 일부로 이용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DB 330 includes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bject. For example, the state information DB 330 may include power amount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voltage information, or current information for each object compon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can be updated in real time and can be used as part of an AMR.

증강현실 DB(340)는 객체를 모델링 및 렌더링 하는데 이용되는 로데이터(raw data)인 증강 현실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증강현실 DB(340)는 증강 현실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저장한다. 즉, 증강현실 DB(340)는 객체의 모델링 및 렌더링 이전의 증강 현실 정보와, 모델링 및 렌더링 이후의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모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ality DB 340 stores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ich is raw data used for modeling and rendering an object. Also, the augmented reality DB 340 stores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DB 340 stores both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before modeling and rendering of an object,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after modeling and rendering, and provides necessary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

사용자 단말기(100)는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인 대상 기기(200)를 인식하고, 대상 기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또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The user terminal 100 recognizes the target device 200 that is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and receiv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r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for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target device 200 from the server 300 Display it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에서는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제1 기기(210)의 복수의 구성요소(A1, B1, C1, D1))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이 제1 기기(210) 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은 각 구성요소(A1, B1, C1, D1)의 이상 동작 여부 또는 교체 필요성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색깔로 표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the plurality of components (A1, B1, C1, D1) of the first device 210 that are not actually visible 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s overlapped on the first device 210 Can be expressed.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may be expressed in different shapes or colors depending on whether the components A1, B1, C1, and D1 are abnormal or need to be replaced.

또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에는 각 구성요소(A1, B1, C1, D1)에 대한 이상 동작 여부에 대한 알림, 또는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특정 구성요소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구성요소에 할당된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전개하여 알림 또는 광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Also,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including the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or the advertisement about the abnormal operation for each of the components A1, B1, C1, and D1 may be allocated to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At this time, the user can expand the menu of the augmented reality allocated to the selected component by selecting a specific component, and can view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dvertisement or advertisement.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은 우선,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부(120)에서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한다(S110).Referring to FIG. 4,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aptures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in a camera unit 120 of a user terminal 100 (S110).

이어서, 객체 인식부(130)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한다(S120). Then,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S120).

이어서, 제어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30). 제어부(110)는 인식된 객체에 대한 정보와, 인식된 객체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해당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70)로부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객체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복수개가 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omponent included in the o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S130). The control unit 110 can receive from the server 300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ognized objec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recognized object.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on the object has been received in the past, the controller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bject from the memory unit 170 that stores the objec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may be plural.

이어서, 제어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객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S140). 서버(300)는 원격 검침 시스템(AMR)을 기초로 객체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서버(300)에 저장된 각 구성요소의 현재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statu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component included in the object from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S140). The server 300 stores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bject in real time based on the AMR. The controller 110 may request and receiv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stored in the server 300. [

이어서, 제어부(110)는 수신된 상태 정보와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객체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한다(S150). 여기에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과,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세 내용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포함한다.Then, the controller 110 generates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bject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onent, and displays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display unit 180 (S150). Here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representing a component and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including details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이때, 제어부(11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객체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의 이상 동작 여부에 대한 알림과, 교체 필요성 여부에 따른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알림 또는 광고는 해당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can generate notification of whether or not an abnormal operation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is performed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an advertisement for a replaceable model according to necessity of replacement. The generated notification or advertisement can be assigned to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또한,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구성요소의 영역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구분 및 할당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can be displayed on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can be classified and alloc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each component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이어서, 제어부(110)는 서버(300)로부터 각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증강 현실 처리부(150)는 수신된 증강 현실 정보와, 각 구성요소에 할당된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기초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한다.Then, the controller 110 can receiv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from the server 300. [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generates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based on the receiv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allocated to each component, and displays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display unit 180. [

이어서,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사용자의 구성요소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S160).Then,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a selection of a user's componen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90 (S160).

이어서, 제어부(110)는 선택된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전개하도록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S170).Next,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to develop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for the selected component (S170).

즉,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은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증강 현실 하부 메뉴로 표현되도록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That is,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s configured such that a constituent element included in a device being photographed is represented by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and specific information about each constituent element is represented by augmented reality submenu.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is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and easily grasp information about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evice.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and inqui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esired componen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5는 도 4의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for illustrat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S150 단계인 객체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은, 제어부(110)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에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5,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bject of step S150 in Fig. 4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in the controller 110 . Hereinafter,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우선,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한다(S251). 제어부(110)는 서버(300)의 구성요소 DB(3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촬영된 객체 상에서 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10 divides the area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S251). The control unit 110 can distinguish area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n the photographed ob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ponent DB 320 of the server 300. [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촬영된 객체의 외곽선(또는, 모서리)을 인식함으로써 객체의 전체 영역을 특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서버(300)로부터 해당 객체의 각 구성요소별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해당 객체의 전체 영역을 기준으로 각 구성요소별 영역을 특정하고, 각 구성요소를 해당 영역에 매칭시킴으로써, 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identifies the entire area of the object by recognizing the outline (or corner) of the photographed object. Then, the controller 11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element of the object from the server 300. Then, the control unit 110 identifies the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based on the entire region of the object, and matches the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by matching each component to the regio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제어부(110)는 구분된 영역 상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이미지를 표시한다(S252). 이때, 증강 현실 이미지는 해당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으로써 표시되며, 대응되는 구분된 영역 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이미지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증강 현실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augmented reality image for the corresponding element on the divided area (S252).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s displayed as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element, and can be displayed so as to overlap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The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

이어서,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의 이상 동작 유무를 판단한다(S253).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이상 동작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Next,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S253). The controller 110 can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 operation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bnormal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어서,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의 교체 필요성 여부를 판단한다(S254). 제어부(110)는 수명 판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의 잔여 수명을 계산하고, 각 구성요소의 교체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수명 판단 알고리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n,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component is required to be replaced (S254). The controller 110 may calculate the remaining service life of each component by using the life determination algorithm and determine the necessity of replacement of each compon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fe judgment algorithm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어서,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에 이상 동작이 발견되는 경우,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의 교체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한다(S255).Subsequently, when an abnormal operation is found in each component,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n alert for the abnormal operation. If the necessity of replacing each component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S255).

이어서, 제어부(110)는 생성된 알림 또는 광고를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한다(S256). 이때,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는 알림 또는 광고의 유무에 따라 증강 현실 이미지(즉,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의 형상과 색깔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110 allocates the created notification or advertisement to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S256).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can display the shape and color of the augmented reality image (that is,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vertisement or advertisement.

이어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특정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구성요소에 할당된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전개한다(S270). The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mponent, the controller 110 develops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allocated to the selected component (S270).

다만, 앞에서 설명한 S253 단계의 이상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동작과, S254 단계의 구성요소의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는 동작과, S255 단계에서의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과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는 동작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S253 단계 내지 S255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생략되어 실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operation in step S253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necessity of replacement of the component in step S254, the notification of the abnormal operation in step S255, and the operation of generating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That is,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r all of steps S253 to S255 may be omitted and implemented. However, this is merely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도 5의 이상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 operatio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S253 단계인 객체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이상 동작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제어부(110)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253 of FIG. 5,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operation for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in the following order.

우선, 특정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정상 동작 기준치를 비교하여, 특정된 구성요소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351, S353).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구성요소에 대한 전력량 정보, 온도 정보, 전압 정보, 또는 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동작 기준치는 각 상태 수치값에 대한 정상 동작 범위로써, 메모리부(170)에 미리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First, the state inform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ed component is operating normally (S351, S353). For example,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power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voltage information, or current information for the component. The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can b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170 and used as a normal operation range for each state numerical value.

이어서, 특정된 구성요소가 정상 동작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특정된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이상 동작의 원인을 판단한다(S355). 예를 들어, 특정된 구성요소의 온도가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 이상 발생으로 판단되고, 특정된 구성요소의 전력량이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력량 이상 발생으로 판단될 수 있다. Nex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ed component is not in normal operatio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pecified component (S355).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specified component deviates from the normal operating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abnormality occurs, and if the power amount of the specified component deviates from the normal operation r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wer amount is abnormal.

이어서, 제어부(110)는 판단된 이상 동작의 원인을 포함하는 알림을 생성한다(S357). 알림이 생성된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는 증강 현실 처리부(150)에 전달되거나, 메모리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 notification including the cause of the determined abnormal operation (S357). Th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n which the notification is genera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70. [

이어서,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10)는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S351 단계 내지 S357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객체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110 repeats steps S351 to S357 for the other components. Thus,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all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operate normally or not.

추가적으로, 증강 현실 처리부(150)는 알림에 포함된 이상 동작의 원인에 따라,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서로 다른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은 이상 동작의 원인에 따라 서로 다른 모델링 및 렌더링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은 이상 동작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로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may generate different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s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can be generated using different modeling and rendering images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s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bnormal operation.

예를 들어, 이상 동작 원인이 온도인 경우 생성되는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예를 들어, 화염 렌더링 이미지)과, 이상 동작 원인이 전력량인 경우 생성되는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예를 들어, 번개 렌더링 이미지)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이상이 발생된 구성요소의 온도가 100도 인 경우와 150도 인 경우는 서로 다른 색깔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xample, a fire rendering image) generated when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is a temperature and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xample, a lightning rendering image)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mponent in which the abnormality is generated is 100 degrees and 150 degrees, the colors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제어부(110)는 증강 현실 처리부(150)에서 생성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알림이 발생된 해당 구성요소의 구분된 영역에 표시한다. Then,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generated in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in the divided area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n which the notification is generated.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이상 동작 원인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를 수신하는 대신,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바로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receiv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the controller 110 may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previously stored in the server 300 for the corresponding element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80 immediately.

예를 들어, 서버(300)는 앞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객체 인식부(130)와 증강 현실 처리부(1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300)로부터 수행된 동작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object recognition unit 130 and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of the user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Then, the user terminal 100 can receive and use the resultant data of the operation performed from the server 300. [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서버(300)에 전송하고, 서버(300)는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한다. 이어서, 서버(300)는 인식된 객체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0 to the server 300, and the server 300 recognizes the object included in the received image. Then, the server 300 may generate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recognized object, and provide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100.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즉,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바로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10)의 연산량이 감소되므로 동작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directly outpu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i.e.,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to the display unit 180. [ Therefore, the operation amount of the control unit 110 is reduced, so that the operation speed can be increased.

..

도 7은 도 5의 교체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etermining necessity of replacement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S254 단계인 객체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교체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제어부(110)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step S254 of FIG. 5, the lifetime determination algorithm for determining necessity of replacement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bject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in the following order.

우선,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의 사용기간이 권장사용수명 이내인지 판단한다(S451).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의 제조날짜와 현재날짜를 비교하여 사용기간을 계산하고, 해당 구성요소와 동종의 제품의 평균사용기간에 대한 통계자료를 기초로 권장사용수명을 계산할 수 있다.First, the life judgment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the use period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within the recommended service life (S451). The life estimation algorithm can calculate the recommended life span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n the average life span of products of the same type as those of the component by comparing the manufacture date of the component with the current date to calculate the service life span.

이어서,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해당 구성요소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453). 구체적으로,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해당 구성요소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n, the life determination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operating normally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S453). Specifically, the life judgment algorithm can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operating normally by consider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ponent.

이어서,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기초로, 촬영된 해당 구성요소의 잔여 수명을 예측한다(S455). Subsequently, the life estimation algorithm predicts the remaining service life of the photographed component based on the component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S455).

구체적으로,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의 사용기간과 권장사용수명을 비교하여 촬영된 해당 구성요소의 잔여 수명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 융착 정도, 퓨즈 상태, 바이패스 스위치의 동작 상태, 또는 차단기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해당 구성요소의 잔여 수명을 계산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ife estimation algorithm can calculate the remaining lifetime of the photographed component by comparing the lifetime of the component with the recommended lifetime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the life estimation algorithm can calculate the remaining service lif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n consideration of the wear state, fusion degree, fuse state, bypass switch operation state, or breaker oper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ponent .

이어서,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촬영된 해당 구성요소의 교체 필요성을 판단한다(S457). Then, the life determination algorithm determines necessity of replacing the photographed component (S457).

예를 들어, 촬영된 해당 구성요소의 사용기간이 권장사용수명을 초과한 경우, 수명 판단 알고리즘은 해당 구성요소의 교체 필요성이 있음을 판단한다. 또한, 해당 구성요소의 잔여 수명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해당 구성요소의 교체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치는 해당 구성요소의 교체에 필요한 기간(예를 들어, 공사기간, 부품 주문 기간)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에 해당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if the lifetime of the photographed component exceeds the recommended lifetime, the lifetime determination algorithm determines that the component needs to be replaced. Also, when the remaining lifetime of the component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replac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He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may be a period necessary for replacing the component (for example, a construction period, a component order period). However, this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대상 기기(210)를 촬영하고, 대상 기기(210)는 제1 내지 제4 구성요소(A1, B1, C1, D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내지 제4 구성요소(A1, B1, C1, D1)에 각각 대응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대상 기기(210) 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과,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세 내용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포함한다. 8,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100 photographs a target device 210, and a target device 210 includes first through fourth components A1 , B1, C1, D1).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fourth components A1, B1, C1 and D1 on the target device 210 in an overlapping manner.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representing a component and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including details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에 각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divide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elem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respective elements, and may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s representing the respective elements in the divided regions.

또한, 제어부(110)는 제1 내지 제4 구성요소(A1, B1, C1, D1)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내지 제4 구성요소(A1, B1, C1, D1)의 이상 동작 여부와 교체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bnormal ope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components A1, B1, C1, and D1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to fourth components A1, B1, C1, The necessity of replacement can be judged.

만약, 특정 구성요소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한다. 또한, 특정 구성요소에 교체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알림에 대한 표시(M11)과 광고에 대한 표시(M21)는 해당 구성요소에 알림 또는 광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뿐 세부 정보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알림에 대한 표시(M11)과 광고에 대한 표시(M21)는 사용자가 해당 구성요소를 선택(예를 들어, 클릭 또는 터치)하는 경우에만 표시될 수 있다. If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a specific component, the controller 110 generates a notification of the abnormal operation.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to replace the specific component,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At this time, the display (M11) for the generated advertisement and the display (M21) for the advertisement may notif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hat the advertisement or advertisement has occurred, but may not include the detail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display (M11) for the generated notification and the display (M21) for the advertisement can be displayed only when the user selects (for example, clicks or touches) the corresponding component.

즉, 특정 구성요소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거나 교체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해당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생성된 알림에 대한 표시(M11)과 광고에 대한 표시(M21)와 같은 하부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even if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a specific component or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replacement,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component, the display M11 for the generated notification and the display M21 for the advertisement A submenu can be displayed.

이때, 해당 구성요소의 알림 또는 광고 존재 여부는 해당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의 형상 또는 색깔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상 동작 원인이 온도인 경우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은 화염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 동작 원인이 전력량인 경우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은 번개 렌더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아이콘의 형상 또는 색깔은 애니메이션 효과(예를 들어, 깜박임, 색변화, 좌우진동 등)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vertisement or advertisement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expressed by the shape or color of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For example,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 if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is temperature,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may include a flame rendering image. If the abnormal operation cause is the amount of power,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includes a lightning rendering image . At this time, the shape or color of each icon can be expressed by an animation effect (for example, flicker, color change, left / right vibration, etc.). However, this is merely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는 자신이 열람을 원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알림이 발생한 B1 구성요소 또는 광고가 발생한 C1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포함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알림 또는 광고가 발생한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can select the component that he wants to view (for example, the B1 component in which the notification has occurred or the C1 component in which the advertisement has occurred), and inquire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for that component .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a component through which the advertisement or advertisement is genera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90 including the touch screen.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대상 기기(210)에 포함된 제2 구성요소(B1)의 '알림' 표시를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user can select a 'notification' display of the second component B1 included in the target device 2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90 of the user terminal 100. FIG.

이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구성요소(B1)의 '알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M12)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 하부 메뉴(M12)는 이상 발생 원인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M12 including concrete information on 'notification' of the selected component B1. Herein,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M12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use of the anomaly.

예를 들어, 이상 발생 원인이 온도인 경우, 증강 현실 처리부(150)는 구성요소의 정상 온도 범위, 현재 구성요소의 온도, 구성요소의 쿨 다운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전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ause of the abnormality is the temperature,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develops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including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of the constituent element, the temperature of the current constituent element, and the cooldown method of the constituent element can do.

다른 예로,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상 발생 원인이 전력량인 경우, 증강 현실 처리부(150)는 구성요소의 정상 전력량 범위, 현재 전력량, 과거부터 현재까지 전력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전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cause of the abnormality is the power amount,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15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ange of the normal power amount of the component, the current power amount, a graph indicat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power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t is possible to develop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However, this is merely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장치는, 촬영되고 있는 기기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해 각각 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동작의 원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과 색깔의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기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업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시간 내에 빠른 작업 처리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of the plurality of constituent elements included in the apparatus being photographed is abnormal or not, and provides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f different shapes and colors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device management, thereby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improving the processing speed. In addition, since a quick work process can be performed within the same time,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대상 기기(210)에 포함된 제3 구성요소(C1)의 '광고' 표시를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user can select 'advertisement' display of the third component C1 included in the target device 2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90 of the user terminal 100.

이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구성요소(C1)의 '광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하부 메뉴(M22)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 하부 메뉴(M22)는 제조 날짜, 예상 잔여수명, 상태 정보, 대체 가능 모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어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M22 including concrete information on 'advertisement' of the selected component C1. Here,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M22 may include a manufacturing date, an expected remaining lifetime, state information, and replaceable model information. However, this is merely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대체 가능 모델이 복수인 경우, 제어부(110)는 객체와의 호환성 또는 제조년월을 기준으로 정렬된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리스트를 증강 현실 하부 메뉴(M22)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객체와의 호환성이 높은 순으로, 또는 가장 최근에 제조한 제품 순으로 정렬된 대한 리스트를 증강 현실 하부 메뉴(M22)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정렬 순서는 앞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준을 통해 정렬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replaceable models,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a list of replaceable model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compatibility with the object or the month of manufacture, on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M22. The controller 110 can display the list of the most recently manufactured products in the order of the highest compatibility with the objects in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M22. However, the sorting ord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rder, and the sorting order may be arranged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preset reference.

예를 들어, 선택된 구성요소(C1)와 호환성이 높은 순서대로 A 내지 C 모델이 증강 현실 하부 메뉴(M22)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A 모델을 선택하는 경우, A 모델에 대한 증강 현실 이미지는 선택된 구성요소(C1)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구성요소의 대체 가능한 모델이 실제로 설치되었을 경우의 모습을 증강 현실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 to C models may be displayed in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M22 in the order of high compatibility with the selected component C1. If the user selects model A, the augmented reality image for model A may overlap and be displayed on the selected component C1.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the appearance when the replaceable model of the component is actually installed.

따라서,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제공 방법은, 교체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알려주고,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검색 없이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판매자는 마케팅 및 홍보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니즈와 판매자의 니즈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method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a component requiring replacement, and provides an advertisement for a replaceable model to a user. Through this, users can easily obtain information on the substitutable models without any search, and sellers can use them as marketing and promotional means.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user and the needs of the seller at the same tim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대상 기기
300: 서버
100: User terminal
200: Target device
300: server

Claims (15)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으로서,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a)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b) 단계;
상기 객체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c) 단계;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촬영된 객체의 전체 영역 상에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하는 (d) 단계;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e) 단계; 및
생성된 각각의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f)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or a server,
(A) photographing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B)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C)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D) identifying an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on the entire area of the photographed ob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E)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And
And displaying each of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f)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구성 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전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selection from the user for the component;
Further comprising: developing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for the selected compon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e)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정상 동작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잔여 수명을 계산하여,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e) of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es: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components;
Compa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with a predetermined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onent is abnormal;
Calculating a remaining lifetim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and determining necessity of replacement for the componen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e)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요소에 상기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구성요소의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알림 또는 상기 광고를 상기 구성요소의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e) of generat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es:
Generating an alert for the abnormal operation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the component;
Generating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of the component if the component has the need to replace;
And assigning the generated notification or the advertisement to an augmented reality submenu of the componen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f) 단계는,
상기 알림 또는 상기 광고를 포함하는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를 사용자가 해당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전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And expanding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including the advertisement or the advertisement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elemen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 동작의 원인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색깔의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notification of the abnormal operation includes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s of different shapes or colors in accordance with the cause of the abnormal opera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f) 단계는,
상기 광고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의 대체 가능 모델 대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상기 구성요소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F)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area,
And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for a replaceable model of the component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by overlapp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with the componen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요소의 사용기간과 상기 구성요소의 권장사용수명을 비교하여 상기 잔여 수명을 계산하거나,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잔여 수명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necessity of replacement for the component comprises:
Calculating a remaining service life of the component by comparing the service life of the component with a recommended service life of the component,
And calculating the remaining lifetim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또는 (e)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수행되고, 다른 나머지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증강 현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b) or (e) is performed in the server, and the remaining step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부;
상기 객체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태 정보와,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정보 또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처리부;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객체 상에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을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기 증강 현실 대표 인터페이스를 대응되는 상기 구분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An objec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d in the object an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r augmented reality interface for the plurality of components;
An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ing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distinguish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mponents on the object and displaying the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nterface for each component on the corresponding divided regio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구성 요소에 대한 증강 현실 하부 메뉴가 전개되도록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n input of a use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for the selected component is develope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 정보와 미리 정해진 정상 동작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이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상 동작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Compa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mponent with a predetermined normal operation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onent is abnormal or not,
And generates an alert for the abnormal operation and assigns the alert to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the componen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요소의 잔여 수명을 계산하여 교체 필요성을 판단하고,
상기 구성요소에 상기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구성요소의 대체 가능 모델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에 할당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Calculating a remaining lifetime of the component to determine necessity of replacement,
And if the component needs to be replaced, generates an advertisement for the replaceable model of the component and allocates the advertisement to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는, 상기 증강 현실 하부 메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색깔의 증강 현실 대표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representative icon of a different shape or colo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ugmented reality submenu.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 상기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객체 인식부와 상기 증강 현실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camera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server including the object recognition unit and the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unit
Augmented reality providing system.
KR1020170183532A 2017-12-29 2017-12-29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KR102264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32A KR102264754B1 (en) 2017-12-29 2017-12-29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532A KR102264754B1 (en) 2017-12-29 2017-12-29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177A true KR20190081177A (en) 2019-07-09
KR102264754B1 KR102264754B1 (en) 2021-06-11

Family

ID=6726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532A KR102264754B1 (en) 2017-12-29 2017-12-29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75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14B1 (en) * 2020-07-28 2021-05-06 조명환 system of allocating and rewarding to user through virtual space allocation and partition on physical space
KR102295226B1 (en) * 2020-03-12 2021-08-27 수니코리아 엘엘씨(한국뉴욕주립대학교)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 in crowd of objects using augmented reality
WO2022045587A1 (en) * 2020-08-28 2022-03-03 머지리티 주식회사 Image-dependent content integr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028A (en)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Augmented reality device to recognize the object using virtual point
KR20140133640A (en) * 2013-05-09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028A (en)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Augmented reality device to recognize the object using virtual point
KR20140133640A (en) * 2013-05-09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226B1 (en) * 2020-03-12 2021-08-27 수니코리아 엘엘씨(한국뉴욕주립대학교)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 in crowd of objects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249014B1 (en) * 2020-07-28 2021-05-06 조명환 system of allocating and rewarding to user through virtual space allocation and partition on physical space
WO2022025449A1 (en) * 2020-07-28 2022-02-03 조명환 System of allocating to user and rewarding user through virtual space allocation and partition in physical space
WO2022045587A1 (en) * 2020-08-28 2022-03-03 머지리티 주식회사 Image-dependent content integration method
JP2022549567A (en) * 2020-08-28 2022-11-28 メジリティ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How to integrate image-dependent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754B1 (en)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8080A1 (en) Displaying content in an augmented reality system
KR102347586B1 (en)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Koch et al. Natural markers for augmented reality-based indoor navigation and facility maintenance
KR1013572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US96399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a virtual object
CN113741698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target mark information
US10412594B2 (en) Network planning tool support for 3D data
KR102264754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EP2798616B1 (en) Target aquisition in a three dimensional building display
US11030808B2 (en) Generating time-delayed augmented reality content
JP2014106681A5 (en)
KR102345333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US2014032040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2070906A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data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KR1022634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CN112070907A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data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KR102268797B1 (en) Sye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JP2012141779A (en)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KR20150079387A (en) Illuminating a Virtual Environment With Camera Light Data
WO20161579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687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JPWO2014061310A1 (en) Display object control system, display object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925181B1 (en) Augmented/virtual reality based dynamic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06055108B (en) Virtual touch screen control method and system
KR1023386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