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841A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841A
KR20190080841A KR1020190076920A KR20190076920A KR20190080841A KR 20190080841 A KR20190080841 A KR 20190080841A KR 1020190076920 A KR1020190076920 A KR 1020190076920A KR 20190076920 A KR20190076920 A KR 20190076920A KR 20190080841 A KR20190080841 A KR 20190080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display panel
disposed
phase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영
서은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841A/en
Publication of KR2019008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841A/en
Priority to KR1020200108731A priority patent/KR102365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Abstract

A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display panel; and a polarizing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The polarizing member includes a λ/4 phase delay layer, a wire polarizer disposed on the λ/4 phase delay layer and including an elongated polymer film, and a first bond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λ/4 phase delay layer and wire polarizer and hav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C or more and 150°C or less. 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λ/4 phase delay layer when folding or bending, the display quality may be increased.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0001] FLEXIBLE DISPLAY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를 벤딩 또는 폴딩할 때 변형을 최소화하는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olarizing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polarizing member that minimizes deforma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bent or folded.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휘어지고 접히는 등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Various display devices used in multimedia devices such as a television, a mobile phone, a tablet computer, a navigation device, a game device,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Especially, in recent years,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feature that a shape Development is underway.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형상 변경 시에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들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다양한 부재들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changed, stress is applied to various members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which may cause deformation of various members of the display device, resulting in degradation of display quality.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다양한 사용 형태에 따른 편광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편광 부재에 포함된 광학 기능층들 사이에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접착 부재를 제공하여 표시 품질을 개선시킨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display quality is improved by providing an adhesive member having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between optical function layers included in a polarizing member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polariz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various use forms of the display apparatus The purpose is to provide.

일 실시예는 벤딩 영역 및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편광 부재는 λ/4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 및 상기 λ/4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일 수 있다.One embodiment includes a bending region and a non-bending region, wherein the display panel; And a polarizing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polarizing member is a? / 4 phase-retarding layer; A linear polarizer disposed o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including a stretched polymer film; And a first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 C and not more than 150 ° C.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두께는 0.1㎛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may be 0.1 탆 or more and 5 탆 or less. The first adhesive member may include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The? / 4 retardation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The thickness of the? / 4 phase-retarding layer may be 0.5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λ/2 위상 지연층; 및 상기 λ/2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A? / 2 phase delay layer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linear polarizer;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 2 phase delay layer and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or higher and 0 占 폚 or lower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占 폚 or higher and 150 占 폚 or lower.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a third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or higher and 0 占 폚 or lower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占 폚 or higher and 150 占 폚 or lower.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4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A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And a fourth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ower than 40 占 폚 and not higher than 150 占 폚.

상기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은 각각 포지티브 C-플레이트 또는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may be a positive C-plate or a negative C-plate, respectively.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a third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or higher and 0 占 폚 or lower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占 폚 or higher and 150 占 폚 or lower.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45±30도일 수 있다.On a plane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an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r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of the? / 4 phase delay layer may be 45 +/- 30 degrees.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75±30도이고, 상기 흡수축 또는 상기 투과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15±13도일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r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of the? / 4 phase delay layer is 75 +/- 30 degrees on a plane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r the transmission axis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may be 15 +/- 13 degrees.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네마틱 액정 코팅층이고,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은 디스코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The? / 4 retardation layer may be a nematic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and the? / 2 retardation layer may be a discotic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1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2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member may be bent in the first mode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and unfolded in the second mode and the polarizing membe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ending axis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in the first mode.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3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4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편광 부재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member may be bent in the third mode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and unfolded in the fourth mode, and in the third mode, the display panel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ending axis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member.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비벤딩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것일 수 있다.The bending region may be bent from one side of the non-bending region.

상기 벤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일 수 있다.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bending region may be 5 mm or less.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싱 유닛은 상기 편광 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And a touch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touch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olarizing member.

일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거나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부재는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λ/4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며,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인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며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bending region having a bendable shape or a bendable shape bending relative to a bendi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polarizing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 4 phase retardation layer compris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A first adhesive member disposed on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having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 C and not more than 150 ° C; And a linear polarizer disposed on 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including a stretched polymer film;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편광 부재에 포함된 접착 부재로 상온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접착층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의 폴딩 및 벤딩 등의 변형 조건에서도 우수한 접착 물성 및 굴곡성을 가지도록 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use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room temperature or higher as an adhesive member included in a polarizing member so as to have excellent adhesive property and bendability even under deformation conditions such as folding and bending of a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quality.

도 1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I`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II`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III-III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IV-IV`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에 포함된 광학 부재들의 광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II 'of FIG. 1A.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bent stat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II-II 'of FIG. 2A.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bent.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A.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4A.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member includ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7A to 7C and 8 are sectional views of a polarizing member includ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al axes of the optical members included in the polarizing member in one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from the actual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where a portion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ortion,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ortion in between. On the contrar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under"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underneath" an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term "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the case where it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as well as the upper part.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I'선에 대응한 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urface corresponding to a line I-I 'in FIG. 1A.

도 1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펼쳐진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한편, 도 2a와 도 3a는 각각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폴딩(folding)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is unfolded. 2A and 3A are perspective views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A, respectively, folded.

도 1a, 도 2a 및 도 3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일 예로서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인장력(Tensile force) 또는 압축력(Compressive Force)에 의하여 벤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1A, 2A, and 3A show a foldable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However,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portion bent by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And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부면)과 배면(또는 하부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Referring to FIG. 1A, a display surface IS on which an image IM is displayed in a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an embodiment is parallel to a plane defined by a first direction DR1 and a second direction DR2. The normal direction of the display surface IS, that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is indicated by the third direction DR3. The front surface (or the top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pective members are separated by the third direction DR3. However, the directions indicated by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DR1, DR2, DR3 can be converted to other directions as relative concepts. Hereinafter,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refer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irections indicated by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DR1, DR2, and DR3, respectively.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동작 형태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벤딩축(BX)에 기초하여(on the basis of) 벤딩되는 벤딩 영역(BA), 비벤딩되는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BA)과 적어도 하나의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a에서는 하나의 벤딩 영역(BA)과 두 개의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복수 개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3개 이상의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defined according to the mode of opera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ending area BA bending on the basis of a bending axis BX, a non-bending non-bending area NBA.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bending area BA and at least one non-bending area NBA. Although FIG. 1A shows a case including one bending area BA and two non-bending areas NB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nding areas BA.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three or more non-bending areas (NBA).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벤딩 영역(BA)과 비벤딩 영역(NBA)은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BA)을 기준으로 양측에 비벤딩 영역(NBA)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the bending area BA and the non-bending area NBA may b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shown in FIG. 1A, non-bending regions NBA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bending region BA.

또한,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DD-DA) 및 표시 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DD-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D-NDA)은 이미지(IM)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a에서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과 시계창을 도시하였다. 표시 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DD-NDA)은 표시 영역(DD-DA)을 둘러싸고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1A,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display area DD-DA in which the image IM is displayed and a non-display area DD-NDA adjacent to the display area DD-DA. The non-display area DD-NDA is an area where the image IM is not displayed. FIG. 1A shows application icons and a clock window as an example of an image IM. The display area DD-DA may be rectangular in shape. The non-display area DD-NDA may be arranged around the display area DD-DA.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display area DD-DA and the shape of the non-display area DD-NDA can be relatively designed.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P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편광 부재(PM)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W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WM)는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panel DP and a polarizing member PM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indow member WM disposed on the polarizing member PM.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window member WM may be omitted.

표시 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하며, 전면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생성된 이미지를 제3 방향(DR3)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DP can generate an image and provide an image generated in the front face. The display panel DP can provide the generated image in the third direction DR3.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 microelectromechanical a system display panel or an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flexible)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휘어져서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 나노미터(nm)의 수준으로 휘어있는 구조까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DP may be a flexible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DP may include a flexible substrate. In this specification, flexible mean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bent, and is not limited to a structure that is completely folded and folded, but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is bent at a level of several nanometers (nm).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비벤딩 영역(NBA)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벤딩부(DP-BA) 및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일단과 연결된 제1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및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타단과 연결된 제2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1B, the display panel DP includes a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and a non-bending area NB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and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may be plural.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may include a first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 DP-NBA1 and a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 -BA)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 (DP-NBA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play panel.

도 1b의 도시에서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를 기준으로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가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가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들 사이에 배치되되, 표시 패널 벤딩부(DP-BA)가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 중 어느 한 편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와 제2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1B,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may be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Or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s DP-NBA1 and DP-NBA2 while the display panel bending portion DP-BA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non- , DP-NBA2,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reas of the first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 (DP-NBA1)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non-bending portion (DP-NBA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표시 패널(DP) 상에는 편광 부재(PM)가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와 위상 지연층, 광보상층 등의 광학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표시 패널(DP)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부광에 의한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편광 부재(PM)에 대하여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include optical members such as a linear polarizer, a phase retardation layer, and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DP to reduce the reflectance by external light provided outsid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The polarizing member PM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편광 부재(PM) 상에는 윈도우 부재(WM)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 패널(DP) 및 편광 부재(PM) 등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플렉서블 윈도우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유리 재질 또는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윈도우 부재의 형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A window member WM may be disposed on the polarizing member PM. The window member WM may protect the display panel DP and the polarization member PM. The window member WM may be a flexible window. The window member WM may be made of a glass material or a flexible plastic material.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type of common window member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윈도우 부재(WM)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기판으로부터 선택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베젤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member WM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The window member WM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selected from a glass substrate, a plastic film, and a plastic substrate. The window member WM may further include a bezel pattern.

윈도우 부재(WM)는 표면 보호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WM) 상에는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등의 기능성 보호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window member WM may further include a surface protection layer (not shown). For example, a functional protective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and a fingerprint block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window member WM.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제1 모드에서 벤딩축(BX)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2 모드에서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편광 부재(PM)는 표시 패널(DP) 보다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1B may be bendable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BX in the first mode and unfolded in the second mode. In the first mode,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bending axis than the display panel DP.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II-II' 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IS, 도 1a)이 내측으로 가도록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a 내지 도 2b는 제1 모드로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A is folded,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II-II 'plane of FIG. 2A. 2A and 2B show in-folded states such that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display device (Fig. 1A) is directed inward. That is, FIGS.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bent in the first mode.

또한,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제3 모드에서 벤딩축(BX)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4 모드에서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표시 패널(DP)은 편광 부재(PM) 보다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to 1B may be bent in the third mode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BX and unfolded in the fourth mode. In the third mode, the display panel DP can be disposed closer to the bending axis than the polarizing member PM.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III-III' 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IS, 도 1a)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a 내지 도 3b는 제3 모드로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A is folded,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a plane III-III 'in FIG. 3A and 3B illustrate a state where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display device is out-fol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third mode bend state.

도 2b 또는 도 3b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 영역(BA)의 곡률 반경(BR)은 5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 반경(BR)은 벤딩 또는 폴딩된 상태에서 벤딩 영역(BA)의 내측면이 이루는 곡률 반경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곡률 반경(BR)은 1mm 이상 5mm 이하일 수 있다. 2B or 3B, the curvature radius BR of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may be 5 mm or less. For example, the radius of curvature BR may be indicative of the radius of curvatur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bending area BA in the bent or folded state. Specifically,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the embodiment, the radius of curvature BR may be 1 mm or more and 5 mm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도 1a 및 도 2a, 또는 도 1a 및 및 3a에 도시된 동작 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벤딩 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B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곡률 반경(BR)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can be configured to repeat only the operation modes shown in Figs. 1A and 2A, or Figs. 1A and 3A.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ending area BA may be defined correspon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Further, the area of the bending area BA is not fixed bu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BR.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벤딩축(BX)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거나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과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P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b에서 벤딩축(BX)의 연장 방향인 일 방향은 제2 방향(DR2)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변형 형태에 따라 벤딩축(BX)의 연장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to 3B,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bending area BA having a bendable shape or a bendable shape bending with respect to a bending axis BX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polarizing member PM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One direction that i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xis BX is shown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n Figs. 1A to 3B,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xis BX may be varied depending on a modific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IV-IV`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에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는 벤딩 영역(BA1, BA2)과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고, 벤딩 영역(BA1, 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것일 수 있다.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4A.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1 in one embodiment includes the bending areas BA1 and BA2 and the non-bending area NBA and the bending areas BA1 and BA2 are bent from one side of the non- Lt; / RTI >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는 이미지(IM)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비벤딩 영역(NBA), 이미지(IM)가 측면으로 표시되는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것일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은 각각 제1 벤딩축(BX1)과 제2 벤딩축(BX2)에 기초하여 벤딩된 부분일 수 있다.4A and 4B,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1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non-bending area NBA in which an image IM is displayed as a front side, a first bending area NBA in which an image IM is side- A first bending area BA1 and a second bending area BA2. The first bending area BA1 and the second bending area BA2 may be each bent from both sides of the non-bending area NBA. The first bending area BA1 and the second bending area BA2 may be portions bent on the basis of the first bending axis BX1 and the second bending axis BX2, respectively.

제1 벤딩축(BX1)에 기초하여 벤딩된 제1 벤딩 영역(BA1)은 제1 곡률 반경(BR1)을 가지며, 제2 벤딩축(BX2)에 기초하여 벤딩된 제2 벤딩 영역(BA2)은 제2 곡률 반경(BR2)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에서 제1 벤딩 영역(BA1)의 제1 곡률 반경(BR1)과 제2 벤딩 영역(BA2)의 제2 곡률 반경(BR2)은 각각 5mm 이하일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BR1)과 제2 곡률 반경(BR2)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1 곡률 반경(BR1)과 제2 곡률 반경(BR2)은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bending region BA1 bending based on the first bending axis BX1 has a first radius of curvature BR1 and the second bending region BA2 bending based on the second bending axis BX2 has And may have a second curvature radius BR2. The first curvature radius BR1 of the first bending area BA1 and the second curvature radius BR2 of the second bending area BA2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1 of the embodiment may be 5 mm or less. The first curvature radius BR1 and the second curvature radius BR2 may be the same. Alternatively,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BR1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BR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4a 내지 도 4b의 도시를 참조하면, 비벤딩 영역(NBA)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의 전면인 제3 방향(DR3)으로 이미지(IM)를 제공하고, 제1 벤딩 영역(BA1)은 제5 방향(DR5)으로 제2 벤딩 영역(BA2)은 제4 방향(DR4)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4 방향(DR4)과 제5 방향(DR5)은 제1 내지 제3 방향(DR1, DR2, DR3)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5 방향(DR1 내지 DR5)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in the non-bending area NBA, the image IM is provid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which is the front 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1, and the first bending area BA1 May provide an image in a fifth direction DR5 and a second bending area BA2 may provide an image in a fourth direction DR4. The fourth direction DR4 and the fifth direction DR5 may be directions intersecting the first to third directions DR1, DR2, DR3. However, the directions indicated by the first to fifth directions DR1 to DR5 are not limited to the directional relationships shown in the drawings as relative concepts.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는 비벤딩 영역(NBA) 및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벤딩 영역(BA1, BA2)을 포함하는 벤딩(bending)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하나의 비벤딩 영역과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벤딩 영역은 비벤딩 영역의 일측에서만 벤딩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1 of one embodiment may be a ben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bending areas BA1 and BA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non-bending area NBA and the non-bending area NBA .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may be a ben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one non-bending region and one bending region. At this time, the bending region may be provided by bending only on one side of the non-bending region.

도 5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편광 부재(PM), 터치 센싱 유닛(TSP), 및 윈도우 부재(W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싱 유닛(TSP)은 편광 부재(PM)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I-I 'of Fig. 1a.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in one embodiment may be one including a display panel DP, a polarization member PM, a touch sensing unit TSP, and a window member WM. In one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unit TSP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ing member PM.

도 5에서는 터치 센싱 유닛(TSP)이 편광 부재(PM) 상에 배치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다. 즉,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PM), 편광 부재(PM) 상에 배치된 터치 센싱 유닛(TSP), 및 터치 센싱 유닛(TSP)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W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FIG. 5 shows a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touch sensing unit TSP is disposed on the polarizing member PM. That i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DP, a polarizing member PM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a touch sensing unit TSP disposed on the polarizing member PM, And a window member WM disposed on the touch sensing unit TSP.

터치 센싱 유닛(TSP)은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금속층,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동일한 층구조를 갖거나, 다른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sensing unit TSP includes touch sensors and touch signal lines. The touch sensors and the touch signal lines may hav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The touch sensors and the touch signal lines may include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ZnO (zinc oxide), ITZO (indium tin zinc oxide), PEDOT, metal nanowire, and graphene. The touch sensors and touch signal lines may comprise a metal layer, such as molybdenum, silver, titanium, copper, aluminum, or alloys thereof. The touch sensors and the touch signal lines may have the same layer structure or different layer structures.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터치 센싱 유닛(TSP)은 표시 패널(DP)과 편광 부재(P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싱 유닛(TSP)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며,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5, the touch sensing unit TSP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DP and the polarizing member PM. The touch sensing unit TSP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DP. As used herein, "directly disposed " means formed by a continuous process, except that it is attached using a separate adhesive member.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터치 센싱 유닛(TS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유닛(TS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when the display panel DP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touch sensing unit TSP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at is, the touch sensing unit TSP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seal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윈도우 부재(WM)는 생략될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window member WM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may be omitt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DP)과 편광 부재(PM) 사이, 편광 부재(PM)와 터치 센싱 유닛(TSP) 사이, 또는 터치 센싱 유닛(TSP)과 윈도우 부재(WM)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DP and the polarizing member PM, between the polarizing member PM and the touch sensing unit TSP, or between the touch sensing unit TSP and the window member WM An adhesive member can be disposed. At this time, the adhesive member may be an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 or an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 (OCR).

이하 도 6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 DD-1)에 포함되는 편광 부재(PM)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6 to 8, the polarization member PM includ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DD-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PP), λ/4 위상 지연층(RC1), 및 제1 접착 부재(AP1)를 포함할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표시 패널(DP, 도 1b)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 제1 접착 부재(AP1) 및 선편광자(PP)가 제3 방향(DR3)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member PM includ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include a linear polarizer PP, a?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a first adhesive member AP1.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DP (FIG. 1B). In one embodiment,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nd the linear polarizer PP may be sequentially stack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선편광자(PP)는 제공된 광을 일방향으로 선 편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선편광자(PP)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의 편광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된 고분자 필름은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계 필름일 수 있다. The line polarizer PP may be one that linearly polarizes the provided light. The linear polarizer (PP) may be a film-type polarizer including a stretched polymer film. For example, the stretched polymer film may be a 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선편광자(PP)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는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필름이 연신된 방향은 선편광자(PP)의 흡수축이 될 수 있으며, 연신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은 선편광자(PP)의 투과축이 될 수 있다.Line polarizers (PP) can be prepared by adsorbing dichroic dyes on stretched polymer films. For example, a linear polarizer (PP) can be produced by adsorbing iodine to a 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lymer film is stretched can be the absorption axis of the linear polarizer PP,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ed direction can be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 polarizer PP.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편광자(PP)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편광자(PP)는 보호층으로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또는 안티글래어(anti-glare)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linear polarizer PP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ective layer. For example, it may further comprise a triacetylcellulose (TAC) layer on at least one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linear polarizer PP. In additio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near polarizer PP may further include a hard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or an anti-glare layer as a protective layer.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PP) 하부면에 배치된 λ/4 위상 지연층(RC1)을 포함할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λ/4 위상 지연층(RC1)을 통과한 광은 13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include a lambda / 4 retardation layer RC1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near polarizer PP.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may be an optical layer that delays the phase of the provided light by? / 4. For example, whe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near polarizer PP and provided to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is 550 nm,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has a phase retardation value of 137.5 nm Lt; / RTI >

또한, λ/4 위상 지연층(RC1)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에서 원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원편광 상태로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Also,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has optical anisotropy and can change the polarization state of light incident o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That is,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near polarizer PP and provided to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can be changed from a linear polarization state to a circular polarization state. Further, the light provided in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in the circularly polarized state can be changed into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state.

일 실시예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은 A-플레이트(A-Plate)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λ/4 위상 지연층(RC1)의 제1 방향(DR1)으로의 굴절률을 제1 굴절률(n1), 제2 방향(DR2)으로의 굴절률을 제2 굴절률(n2), 제3 방향(DR3)으로의 굴절률을 제3 굴절률(n3)이라 정의할 때, 제1 내지 제3 굴절률(n1~n3)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may be an A-plate. Specifically, the refractive index in the first direction DR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is referred to as a first refractive index n1, the refractive index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fractive index n2, The first to third refractive indexes n1 to n3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when the refractive index to the third refractive index DR3 is defined as a third refractive index n3.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일 실시예에 포함된 λ/4 위상 지연층(RC1)에서, 제2 및 제3 굴절률(n2, n3)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및 제3 굴절률(n2, n3)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In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included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nd third refractive indices n2 and n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and third refractive indices n2 and n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λ/4 위상 지연층(RC1)과 같은 위상 지연층은 면내 위상 지연값(Re)과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가질 수 있다. 면내 위상 지연값(Re)과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은 아래의 수학식 2로 계산되는 것일 수 있다. 아래 수학식 2에서 d는 위상 지연층의 두께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phase delay layer such as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may have an in-plane phase retardation value Re and a thickness direction phase retardation value Rth. The in-plane phase retardation value Re and the thickness direction phase retardation value Rth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In Equation (2), d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phase delay layer.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은 편광 부재(PM)에 광보상층을 더 포함하여 보상할 수 있다. 광보상층은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광 보상층에 대하여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phas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compensate by further including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in the polarization member PM.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may be a C-plate. The optical compensation layer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일 실시예의 편광 부재(PM)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코팅하여 정렬한 후 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에 사용된 액정 단량체는 막대형의 네마틱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λ/4 위상 지연층(RC1)은 네마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In the polarizing member PM of one embodiment, the lambda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may be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may be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de us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may be prepared by coat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aligning it, and then polymerizing it. For example, the liquid crystal monomer used in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may have a rod-shaped nematic phase. That is,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may be a nematic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λ/4 위상 지연층(RC1)은 지지체인 베이스 기재가 없이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를 포함하지 않고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된 λ/4 위상 지연층(RC1)을 편광 부재(PM)에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액정 코팅층인 λ/4 위상 지연층(RC1)을 사용하여 편광 부재(PM)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may be composed of only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without the base substrate as the support. The total thicknes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can be reduced by using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not including the base substrate but composed of only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for the polarizing member PM.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member PM can be reduced by using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which is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so that the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can be facilitated.

액정 코팅층인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는 0.5㎛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는 0.5㎛ 이상 2㎛ 이하일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가 0.5㎛ 보다 작아지는 경우 λ/4 위상 지연층(RC1) 내에서 광학적 특성 구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의 굴곡성이 양호하지 않아 λ/4 위상 지연층(RC1) 내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t R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as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be 0.5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t R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may be 0.5 μm or more and 2 μm or less. When the thickness t R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is less than 0.5 占 퐉, the optical property implementation may not be uniform i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not be sufficient when the thickness t R1 of the polarizing member PM1 is larger than 5 mu m. That is, when the thickness t R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is larger than 5 占 퐉,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does not have good bendability and cracks occur i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A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유리 전이 온도(Tg : 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adhesive layer)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상온(room temperature)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 특성을 가짐으로써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접착층으로 제1 접착 부재(AP1)를 형성함으로써, 제1 접착 부재(AP1)가 상온 또는 고온 조건에서 폴딩 또는 벤딩될 때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AP1)와 인접한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도 최소화할 수 있다.A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and the linear polarizer PP.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less.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haracteristic higher than the room temperature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linear polarizer PP can be increased. Further, by forming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with the adhesive layer having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when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is folded or bent at a room temperature o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 deformation of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adjacent to the member AP1 can be minimized.

제1 접착 부재(AP1)는 자외선 경화 또는 열경화 공정을 통하여 가교된 상태의 접착층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an adhesive layer in a crosslinked state through an ultraviolet curing or a thermosetting process.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a urethane resin and an epoxy resin.

제1 접착 부재(AP1)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라디칼 중합 반응 또는 양이온 중합 반응 중 적어도 하나의 반응을 통하여 중합 및 경화되어 형성된 접착층일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one containing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an adhesive layer formed by polymerization and curing through at least one of a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and a cation polymerization reaction.

제1 접착 부재(AP1)를 구성하는 접착층은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조성물은 에폭시(epoxy) 화합물, 비닐 에테르(vinyl ether) 화합물, 옥세탄(oxetane) 화합물, 옥소란(oxolane) 화합물, 고리형 아세탈(acetal) 화합물, 고리형 락톤(lactone) 화합물, 티란(thiirane) 화합물, 티오비닐에테르(thio vinyl ether) 화합물, 스피로오소에스테르(spirorthoester)화합물, 에틸렌성(ethylene) 불포화 화합물, 고리형 에테르(ether) 화합물, 및 고리형 티오에테르(thioether)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constituting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For example, the bonding composition may be an epoxy compound, a vinyl ether compound, an oxetane compound, an oxolane compound, a cyclic acetal compound, a cyclic lactone compound A thiirane compound, a thio vinyl ether compound, a spiroorthoester compound, an ethylenic unsaturated compound, a cyclic ether compound, and a cyclic thioether compound Or the like.

또한, 제1 접착 부재(AP1)를 구성하는 접착층은 라디칼 중합 반응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아크릴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constituting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including a radical polymerization reactor. For example, the radical polymerizing compound may be an acrylic compound, specifically a methacrylate compound.

제1 접착 부재(AP1)를 형성하는 접착 조성물은 광 개시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접착 조성물은 개시제 이외에 광증감제, 실란 커플링제, 가소제, 소포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one containing a photoinitiato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known additives such as a photosensitizer, a silane coupling agent, a plasticizer, and a defoaming agent in addition to the initiator.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는 0.1㎛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는 0.5㎛ 이상 3㎛ 이하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가 0.1㎛ 보다 작을 경우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을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없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할 때 제1 접착 부재(AP1)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고온 신뢰성 조건에서 제1 접착 부재(AP1)에 인접한 λ/4 위상 지연층(RC1)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t A1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0.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t A1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0.5 m or more and 3 m or less. If the thickness t A1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is smaller than 0.1 mu m, the adhesive strength for bonding the linear polarizer PP and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to each other can not be obtained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bent Peeling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occur. If the thickness t A1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is larger than 5 m,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not be sufficient, and in the high-temperature reliability condition, a crack may occur in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서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와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의 합은 선편광자(PP)의 두께(tP) 이하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을 액정 코팅층으로 형성하고, 제1 접착 부재(AP1)를 접착 조성물로 형성하여 편광 부재(PM) 전체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sum of the thickness t A1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nd the thickness t R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in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d in one embodiment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t R1 of the linear polarizer PP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t P ). That is,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entire polarizing member PM can be reduced by forming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as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s an adhesive composition.

또한, 제1 접착 부재(AP1)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으로 형성되어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 사이의 접착 강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폴딩 또는 벤딩될 때 제1 접착 부재(AP1)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이와 인접한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DEG C and not more than 150 DEG C, so that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linear polarizer PP and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can be maintained. Further, since deformation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does not occur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folded or bent, deformation of the adjacent? / 4 phase delay layer RC1 is prevented, The display quality degradation problem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ue to the deformation can be solved.

한편,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DP, 도 1b) 상에 편광 부재(PM)를 배치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DD, 도 1b)의 외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s a linear polarizer PP and a lambda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a polarizing member PM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Fig. 1B)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of the display device DD (Fig. 1B) can be reduced.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 대한 실시예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적층되어 배치된 λ/4 위상 지연층(RC1) 및 선편광자(PP)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에 도시된 편광 부재(PM)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Figs. 7A to 7C and Fig.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mbodiments of the polarization member PM includ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ptical layer in addition to the λ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linear polarizer PP which are stacked and arrange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olarizing member PM shown in Figs. 7A to 7C and Fig. 8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 6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7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이외에 λ/2 위상 지연층(R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λ/2 위상 지연층(RC2)은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λ/2 위상 지연층(RC2)은 제1 접착 부재(AP1)와 선편광자(P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λ/2 위상 지연층(RC2)과 선편광자(PP) 사이에는 제2 접착 부재(AP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further include a? / 2 phase delay layer RC2 in addition to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linear polarizer PP. In one embodiment,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linear polarizer PP. That is,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nd the linear polarizer PP. Further, a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lambda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and the linear polarizer PP.

λ/2 위상 지연층(RC2)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λ/2 위상 지연층(RC2)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λ/2 위상 지연층(RC2)을 통과한 광은 2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an optical layer that delays the phase of the provided light by? / 2. For example, whe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near polarizer PP and provided to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is 550 nm,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has a phase retardation value of 275 nm .

또한, λ/2 위상 지연층(RC2)으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선편광자(PP)로부터 λ/2 위상 지연층(RC2)으로 입사된 선편광된 광의 편광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ambda / 2 phase delay layer RC2.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incident from the line polarizer PP to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can be changed.

한편,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과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 중 어느 하나는 양의 값을 갖고, 다른 하나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은 포지티브 A-플레이트(posi A-Plate)이고, λ/2 위상 지연층(RC2)은 네가티브 A-플레이트(nega A-Plate)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 2 retardation layer RC2 has a positive value and the other has a negative value Value. ≪ / RTI > For example, the? / 4 phase delay layer RC1 may be a positive A-plate and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a negative A-plate.

상기 수학식 1에서 n1>n2인 경우를 포지티브 A-플레이트라고 하며, n1<n2인 경우를 네가티브 A-플레이트라 한다. 따라서, 포지티브 A-플레이트의 경우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은 양의 값을 갖고, 네가티브 A-플레이트의 경우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편광 부재(PM)가 적층된 λ/4 위상 지연층(RC1)과 λ/2 위상 지연층(RC2)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상쇄되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λ/4 위상 지연층(RC1) 및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들이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갖기 때문에, 시야각에 따른 위상차 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감소되어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The case of n1 > n2 in the above formula (1) is referred to as a positive A-plate and the case of n1 < n2 is referred to as a negative A-plat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ositive A-plate,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thickness direction has a positive value, and in the case of the negative A-plate, the retardation value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have a negative value. Therefore, when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s both the laminated?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 2 retardation layer RC2, the phas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be canceled out and reduc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tardation valu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ambda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retardation layer RC2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opposite to each other,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color shift can be reduced and the display quality can be improved.

λ/2 위상 지연층(RC2)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코팅하여 정렬한 후 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2 위상 지연층(RC2)에 사용된 액정 단량체는 디스크형의 디스코틱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λ/2 위상 지연층(RC2)은 디스코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de us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The? / 2 phase-retarding layer (RC2) may be one prepared by coat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aligning it, and then polymerizing. For example, the liquid crystal monomer used in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have a discotic discotic phase. That is,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a discotic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λ/2 위상 지연층(RC2)은 지지체인 베이스 기재가 없이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를 포함하지 않고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된 λ/2 위상 지연층(RC2)을 편광 부재(PM)에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액정 코팅층인 λ/2 위상 지연층(RC2)을 사용하여 편광 부재(PM)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composed of only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without the base substrate as the suppor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can be reduced by including the? / 2 retardation layer RC2, which does not include the base material but only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in the polarizing member PM.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member PM can be reduced by using the? / 2 retardation layer RC2, which is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and the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can be made easier.

액정 코팅층인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0.5㎛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0.5㎛ 이상 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 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The thickness t R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as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be 0.5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t R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can be 0.5 μm or more and 2 μm or less. The thickness t R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t R1 of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the thickness t R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t R1 of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가 0.5㎛ 보다 작아지는 경우 위상 지연층 내에서 광학적 특성 구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폴딩 또는 벤딩 조건에서 λ/2 위상 지연층(RC2) 내에 주름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t R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is less than 0.5 占 퐉, the optical property implementation may not be uniform in the phase retardation layer and the thickness t of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R2 is larger than 5 mu m, the effec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not be sufficient. That is, if the thickness t R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is larger than 5 占 퐉, wrinkles or cracks may occur in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under folding or bending conditions.

제2 접착 부재(AP2)는 λ/2 위상 지연층(RC2)과 선편광자(PP) 사이에 배치되어 λ/2 위상 지연층(RC2)과 선편광자(PP)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인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adhesive layer)일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and the linear polarizer PP to couple the? / 2 phase retarder layer RC2 and the linear polarizer PP to each other.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b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DEG C to 0 DEG C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less.

본 명세서에서 점착층은 상온(Room temperature) 보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므로, 상온에서 끈적임(tackiness)을 갖는 접착 부재에 해당하며, 접착층은 상온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므로, 상온에서 끈적임이 없는 접착 부재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층은 접착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 부재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adhesive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the room temperature, and thus corresponds to an adhesive member having tackiness at room temperature. Since the adhesive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stickiness at room temperature It may be that it corresponds to an adhesive member which does not exist. The adhesive layer may be an adhesive member having a relatively low modulus value as compared with the adhesive layer.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또는 고무계 점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점착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충진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 epoxy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known additives such as a silane coupling agent, a tackifier resin, a curing agent, a UV stabilizer, an antioxidant, and a filler.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과 점착층은 모두 아크릴계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접착층과 점착층은 서로 상이한 중합도 또는 서로 상이한 가교도를 갖는 접착 부재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acrylic resin, a silicone resin, a urethane resin, and an epoxy resin. For example, both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crylic compound, but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adhesive members having different degree of polymerization or different degrees of crosslinking.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AP2)가 점착층인 경우 제2 접착 부재(AP2)는 제1 접착 부재(AP1)와 비교하여 상온에서 더 소프트한 성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가 점착층인 경우 상온에서 제2 접착 부재(AP2)의 모듈러스는 제1 접착 부재(AP1) 모듈러스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제1 접착 부재(AP1)의 유리 전이 온도 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is an adhesive layer,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have a softer property at room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I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is an adhesive layer, the modulus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t room temperature may be smaller than the modulus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b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제2 접착 부재(AP2)가 접착층인 경우 제2 접착 부재(AP2)는 제1 접착 부재(AP1)와 동일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2 접착 부재(AP2)는 제1 접착 부재(AP1)와 상이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층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와 제1 접착 부재(AP1)는 모두 상온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며, 상온에서 끈적임이 없는 접착 부재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is an adhesive layer,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have the same modulus value as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lternatively,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modulus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both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and may be an adhesive member which is not tacky at room temperature.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는 0.1㎛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는 0.5㎛ 이상 3㎛ 이하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가 0.1㎛ 보다 작을 경우 선편광자(PP)와 λ/2 위상 지연층(RC2)을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없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할 때 제2 접착 부재(AP2)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벤딩 또는 폴딩 조건에서 제2 접착 부재(AP2) 내에서 주름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t A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be 0.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t A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be 0.5 m or more and 3 m or less. When the thickness t A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is smaller than 0.1 mu m, the adhesive strength for bonding the linear polarizer PP and the lambda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to each other can not be obtained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bent Peeling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may occur. Further, when the thickness t A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is larger than 5 m, the effec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member PM may not be sufficient. If the thickness t A2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is larger than 5 m, wrinkles or cracks may occur in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under bending or folding conditions.

한편, 선편광자의 두께(tP)는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 및 제1 접착 부재의 두께(tA1)를 모두 합한 것 이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s linear polarization (t P) is a λ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thickness (t R2), a second thickness (t A2) of the binding material (AP2), λ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of May be more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t R1 and the thickness t A1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도 7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λ/4 위상 지연층(RC1), 선편광자(PP) 및 λ/2 위상 지연층(RC2) 이외에 제1 광보상층(CP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광보상층(CP1)은 λ/4 위상 지연층(RC1)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광보상층(CP1)은 표시 패널(DP, 도 1b)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제3 방향(DR3)으로 적층되어 배치된 제1 광보상층(CP1), λ/4 위상 지연층(RC1), λ/2 위상 지연층(RC2), 및 선편광자(P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7B, 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s 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in addition to a lambda / 4 retardation layer RC1, a linear polarizer PP and a lambda / 2 retardation layer RC2, As shown in FIG. In one embodiment,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That is,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DP (FIG. 1B). 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s 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a? / 4 retardation layer RC1, a? / 2 retardation layer RC2, And a linear polarizer (PP).

제1 광보상층(CP1)은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보상하는 광학 기능층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보상층(CP1)의 제1 방향(DR1)으로의 굴절률을 제1 굴절률(n1), 제2 방향(DR2)으로의 굴절률을 제2 굴절률(n2), 제3 방향(DR3)으로의 굴절률을 제3 굴절률(n3)이라 정의할 때, 제1 내지 제3 굴절률(n1~n3)은 아래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an optical function layer that compensates th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a C-plate. Specificall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referred to as a first refractive index n1, the refractive index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fractive index n2, DR3 are defined as a third refractive index n3, the first through third refractive indices n1 through n3 may satisfy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일 실시예에 포함된 제1 광보상층(CP1)에서, 제1 및 제2 굴절률(n1, n2)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굴절률(n1, n2)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included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efractive indices n1 and n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refractive indices n1 and n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이 음(-)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포지티브 C-플레이트이고, λ/4 위상 지연층(RC1)이 양(+)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의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광보상층(CP1)은 필름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a negative C-plate or a positive C-plate. For example, when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has a negativ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is a positive C-plate and the lambda /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a negative C-plate when the four-phase retardation layer RC1 has a positiv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in the form of a solidified or cured layer of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mpris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Or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provided in a film type.

제1 광보상층(CP1)과 λ/4 위상 지연층(RC1) 사이에는 제3 접착 부재(AP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P3)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7b의 제2 접착 부재(AP2)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A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DEG C or more and 0 DEG C or less,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less. For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the same contents as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in Fig. 7B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도 7b에 도시된 편광 부재(PM)에서 제1 접착 부재(AP1)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이고, 제2 접착 부재(AP2)와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 중 어느 하나는 점착층이고, 나머지 하나는 접착층일 수 있다. 또는,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접착층이거나,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점착층일 수 있다.In the polarizing member PM shown in Fig. 7B,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 C or higher and 150 ° C or low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are glass transition An adhesive layer having a temperature of from -35 占 폚 to 0 占 폚,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om 40 占 폚 to 150 占 폚. For example, any on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be an adhesive layer, and the other may be an adhesive layer. Alternatively,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all be adhesive layers, or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all be adhesive layers.

도 7c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는 도 7b의 편광 부재와 비교하여 제2 광보상층(CP2)과 제4 접착 부재(AP4)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λ/2 위상 지연층(RC2)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λ/4 위상 지연층(RC1)과 λ/2 위상 지연층(RC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제1 접착 부재(AP1)와 λ/2 위상 지연층(RC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AP4)는 제2 광보상층(CP2)과 λ/2 위상 지연층(RC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AP4)는 제2 광보상층(CP2)과 λ/2 위상 지연층(RC2)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AP4)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C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and a fourth adhesive member AP4 as compared with the polarizing member of FIG. 7B. And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ambda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the lambda / 2 retardation layer RC2.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nd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The fourth adhesive member AP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and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The fourth adhesive member AP4 may be to couple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to each other. The fourth adhesive member AP4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占 폚 and not more than 150 占 폚.

제2 광보상층(CP2)은 λ/2 위상 지연층(RC2) 하부면에 배치되어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보상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2 위상 지연층(RC2)이 음(-)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2 광보상층(CP2)은 포지티브 C-플레이트이고, λ/2 위상 지연층(RC2)이 양(+)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2 광보상층(CP2)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의 형태일 수 있다.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to compensate the phas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RC2.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a C-plate.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a negative C-plate or a positive C-plate. For example, when the? / 2 phase delay layer RC2 has a negativ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is a positive C-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a negative C-plate when the two-phase retardation layer RC2 has a positiv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2 may be in the form of a solidified or cured layer of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mpris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도 7c에 도시된 편광 부재(PM)에서 제1 접착 부재(AP1)와 제4 접착 부재(AP4)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이고, 제2 접착 부재(AP2)와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 중 어느 하나는 점착층이고, 나머지 하나는 접착층일 수 있다. 또는,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접착층이거나,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점착층일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 AP4 in the polarizing member PM shown in Fig. 7C are adhesive layers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캜 or higher and 150 캜 or low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4 The adhesive member AP3 may be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to 0 占 폚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占 폚 or more and 150 占 폚 or less. For example, any on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be an adhesive layer, and the other may be an adhesive layer. Alternatively,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all be adhesive layers, or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all be adhesive layers.

도 8에 도시된 편광 부재(PM)는 제1 광보상층(CP1), λ/4 위상 지연층(RC1), 및 선편광자(P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편광 부재(PM)는 도 7b와 비교하여 λ/2 위상 지연층(RC2)과 제2 접착 부재(AP2)가 생략된 것일 수 있다. 즉, 도 8를 참조하면, 제1 광보상층(CP1)은 표시 패널(DP, 도 1b)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λ/4 위상 지연층(RC1)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과 λ/4 위상 지연층(RC1) 사이에는 제3 접착 부재(AP3)가 배치될 수 있다.The polarizing member PM shown in Fig. 8 may include 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a?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a linear polarizer PP. The polarizing member PM shown in Fig. 8 may be one in which the lambda / 2 retardation layer RC2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are omitted in comparison with Fig. 7B.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DP (FIG. 1B) an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A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제1 광보상층(CP1)은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보상하는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이 음(-)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포지티브 C-플레이트이고, λ/4 위상 지연층(RC1)이 양(+)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의 형태일 수 있다.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a C-plate that compensates th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a negative C-plate or a positive C-plate. For example, when the lambda / 4 phase delay layer RC1 has a negativ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is a positive C-plate and the lambda /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a negative C-plate when the four-phase retardation layer RC1 has a positive retardation value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may be in the form of a solidified or cured layer of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mpris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제3 접착 부재(AP3)는 제1 광보상층(CP1)과 λ/4 위상 지연층(RC1)을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일 수 있다. 즉,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제3 방향(DR3)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광보상층(CP1), 제3 접착 부재(AP3), λ/4 위상 지연층(RC1), 제1 접착 부재(AP1), 및 선편광자(P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 및 제3 접착 부재(AP3)에 대한 설명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be an adhesive member for bonding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to each other. That is, in on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s 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a third adhesive member AP3, a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A layer RC1, a first adhesive member AP1, and a linear polarizer PP.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DEG C or more and 0 DEG C or less,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less. For the explanation of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CP1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P3, the same contents as those described in Figs. 7A to 7C can be applied.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PM)는 λ/4 위상 지연층(RC1)과 인접한 제1 접착 부재(AP1)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으로 형성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폴딩 또는 벤딩 시 제1 접착 부재(AP1)가 λ/4 위상 지연층(RC1)의 지지층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동작 조건에 상관 없이 광학 특성이 유지될 수 있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to 8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more,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adjacent to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 C or less and prevents the deformation of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by causing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to serve as a supporting layer of the? / 4 retardation layer RC1 when folding or bend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do. Therefore, in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d in the embodiment,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can maintai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Lt; / RTI &gt;

도 9는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서의 선편광자, λ/4 위상 지연층, λ/2 위상 지연층의 광축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평면상에서의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및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9는 제1 방향(DR1)의 축과 제2 방향(DR2)의 축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평면 상에 투영된 상태에서의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및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제1 방향(DR1)의 축과 제2 방향(DR2)의 축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평면은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일 수 있다.9 schematicall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al axes of the line polarizer,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in the polarization member PM included in one embodiment. 9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on the plane,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9 shows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 polarizer in a state of being projected on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defined by the axis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axi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retardation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of the? / 2 phase-retardation layer is shown. For example, in FIG. 9, the plane parallel to the plane defined by the axis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axi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a plane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한편,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및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은 각각 λ/4 위상 지연층(RC1, 도 7a)과 λ/2 위상 지연층(RC2, 도 7a)의 슬로우 축(slow axis)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are formed o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1 (FIG. 7A) (RC2, Fig. 7A).

일 실시예에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45±30도일 수 있다.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는 75±30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θ3)은 15±13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θ1은 45도, θ2는 75도고, θ3은 15도 일 수 있다. 또한,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과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은 60±3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축(RX1)과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은 60도 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gle? 1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bending axis BX may be 45 +/- 30 degrees. The angle? 2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may be 75 +/- 30 degrees. The angle? 3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of the? / 2 phase-retardation layer may be 15 13 degrees. For example, θ 1 may be 45 degrees, θ 2 may be 75 degrees, and θ 3 may be 15 degree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retarding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of the? / 2 phase-retarding layer may be 60 +/- 30 degrees. For exampl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optical axis RX1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may be 60 degrees.

또한, 도 9는 도 1a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축(BX)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도 4b에 도시된 벤딩축(BX1, BX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흡수축(PP-OX)이 벤딩축(BX)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수축(PP-OX)은 벤딩축(BX)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45±30도일 수 있다. 즉,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15도 내지 75도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4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9 shows an example of the bending axis BX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1A,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bending axes BX1 and BX2 shown in FIG. 4B. Although FIG. 9 exemplarily shows that the absorption axis PP-OX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BX,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bsorption axis PP-OX can be rotated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BX, and in this case also the angle? 1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and the bending axis BX ) May be 45 +/- 30 degrees. That is, the angle? 1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and the bending axis BX may have a value of 15 degrees to 75 degrees, and more specifically, a value of 45 degrees.

한편, 도 9에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은 45±30도의 사이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은 일치되거나 또는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은 평면상에서 서로 수직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0±30도 또는 90±30도일 수 있다.9,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bending axis BX are shown to have an angle of 45 ± 30 degrees,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bsorption axis PP-OX and the bending axis B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may coincide or the absorption axis PP-OX and the bending axis B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a plane. Specifically, the angle? 1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bending axis BX may be 0 ± 30 degrees or 90 ± 30 degrees.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 (θ1)이 0도인 경우, 흡수축(PP-OX)과 수직인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은 벤딩축(BX)과 수직이 될 수 있고, 벤딩 동작에 의해 투과축(미도시) 방향의 분자 결합이 깨져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이 90도인 경우, 투과축(미도시) 방향의 분자 결합이 깨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나,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였을 때 특정 위치에서 이미지가 시인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고 또한 선편광자(PP)가 투과축(미도시)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15도 내지 75도의 값을 가져 벤딩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투과축(미도시) 방향의 분자 결합이 깨지는 현상, 선편광자(PP)가 투과축(미도시)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찢어지는 현상, 및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였을 때 특정 위치에서 이미지가 시인되지 않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PP-OX is perpendicular to the bending axis BX when the angle? 1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and the bending axis BX is 0 degree. And the molecular bo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may be broken by the bending operation, so that cracks may occur. When the angle? 1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and the bending axis BX is 90 degrees,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molecular bonds i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is relatively reduced. However, A phenomenon that an image is not visually recognized at a specific position occurs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 is worn, and the linear polarizer PP is physically torn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1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and the bending axis BX has a value of 15 degrees to 75 degrees, and the bending characteristic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the phenomenon that the molecular bon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is broken, the phenomenon that the linear polarizer PP is physically torn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and the polarized sunglasses are worn, Can be reduced.

한편, 도 9에서는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제1 광축(RX1) 및 제2 광축(RX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제1 광축(RX1) 및 제2 광축(RX2) 사이에도 동일한 관계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은 75±30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은 15±13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은 45±30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벤딩축(BX)의 사이각은 45도,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제1 광축(RX1)의 사이각은 75도고,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제2 광축(RX2)의 사이각은 15도일 수 있다.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is shown,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ame relationship can be applied betwee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 polarizer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Specifically, the angle betwee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may be 75 +/- 30 degrees. The angle betwee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of the? / 2 phase delay layer may be 15 13 degrees. 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and the bending axis B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beam may be 45 +/- 30 degrees. Specifically, the angle betwee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bending axis BX is 45 degrees, the angle betwee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is 75 degrees, (Not shown) and the second optical axis RX2 may be 15 degrees.

또한,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편광 부재(PM)가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을 포함하고, λ/2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평면상에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는 45±30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는 45±3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 또는 투과축(미도시)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은 45도 일 수 있다.Further,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when the polarizing member PM includes the linear polarizer PP and the lambda / 4 retardation layer RC1 and does not include the lambda / 2 retardation layer, The angle? 2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may be 45 +/- 30 degrees. Further, the angle? 2 between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retardation layer may be 45 ± 30 degrees. For example, the angle? 2 between the absorption axis (PP-OX) or the transmission axis (not show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RX1 of the? / 4 phase delay layer may be 45 degrees.

표 1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폴딩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폴딩 테스트에 사용된 편광 부재는 도 7a에 도시된 편광 부재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표 1에서 비교예 1은 두 개의 접착 부재(AP1, AP2, 도 7a)가 모두 유리 전이 온도 -35℃ 이상 0℃ 이하의 점착층인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 부재(AP1, 도 7a)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이고 제2 접착 부재(AP2, 도 7a)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인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2는 제1 접착 부재(AP1, 도 7a)와 제2 접착 부재(AP2, 도 7a)가 모두 유리 전이 온도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인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Table 1 shows folding test result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member used in the folding test has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member shown in Fig. 7A. In Table 1,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two adhesive members (AP1, AP2, FIG. 7A) all include a polarizing member having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DEG C or more and 0 DEG C or less. 7A)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less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AP2 (FIG. 7A)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DEG C or more and 0 DEG C or less And a polarizing member. Example 2 includes a polarizing member which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DEG C and not more than 150 DEG C both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P1 (Fig. 7A)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P2 (Fig.

또한, 테스트 조건에서 인폴딩(In-Folding) 조건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아웃 폴딩(Out-Folding) 조건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고온 고습 조건은 60℃, 상대습도 93% 조건에서 폴딩 테스트를 진행한 것이다.The in-folding condition in the test condit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folded as shown in FIG. 2A, and the out-folding condition indicates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3A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were folding test at 60 DEG C and relative humidity 93%.

한편, 표 1에서 2R, 3R, 4R은 각각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에서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 것이다. 2R, 3R 및 4R은 도 2a 또는 도 3a에서 각각 곡률 반경(BR)이 2mm, 3mm, 4mm인 경우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able 1, 2R, 3R and 4R denote curvature radii in the bending reg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2R, 3R and 4R show the test conditions for the curvature radii BR of 2 mm, 3 mm and 4 mm, respectively, in FIGS. 2A and 3A.

테스트 조건test requirements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인폴딩
(In-Folding)
In folding
(In-Folding)
상온Room temperature 4R4R OKOK OKOK OKOK
3R3R NGNG OKOK OKOK 2R2R NGNG OKOK OKOK 고온 고습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4R4R NGNG OKOK OKOK 3R3R NGNG OKOK OKOK 2R2R NGNG OKOK OKOK 아웃 폴딩
(Out-Folding)
Out folding
(Out-Folding)
상온Room temperature 4R4R NGNG OKOK OKOK
3R3R NGNG OKOK OKOK 2R2R NGNG NGNG OKOK 고온 고습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4R4R NGNG OKOK OKOK 3R3R NGNG OKOK OKOK 2R2R NGNG NGNG OKOK

표 1의 테스트 결과에서 "NG"는 폴딩 테스트 조건에서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한 경우를 표시한 것이고, "OK"는 폴딩 테스트 조건에서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NG"는 편광 부재에 포함된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OK"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양호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표 1의 테스트 결과를 참조하면, λ/4 위상 지연층과 인접한 제1 접착 부재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으로 구성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제1 접착 부재가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의 점착층인 비교예의 경우에 비하여 양호한 폴딩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접착 부재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으로 구성한 실시예의 경우 상온에서뿐 아니라 고온 고습 조건에서도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한 접착 물성 및 표시 품질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test results of Table 1, "NG" indicates a case where wrinkles occurred in the phase delay layer under folding test conditions, and "OK" indicates a case where wrinkles did not occur in the phase delay layer under folding test conditions. That is, "NG" indicates a case where the display qual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deteriorated due to wrinkles in the phase delay layer included in the polarizing member, and "OK" indicates a case where the display qual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good. Referring to the test results in Table 1, in the case of Example 1 and Example 2 in which the first adhesive member adjacent to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was composed of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 C or more and 150 ° C or less, It can be seen that the folding test results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transition temperature is from -35 deg. C to 0 deg. That is,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composed of th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DEG C and not more than 150 DEG C, wrinkles do not occur in the phase retardation layer not only at room temperature but also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and exhibit good adhesive property and display quality Can be confirmed.

특히, 제1 접착 부재와 제2 접착 부재를 모두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으로 구성한 실시예 2의 경우 곡률 반경에 관계 없이 모든 조건에서 양호한 접착 물성 및 표시 품질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Example 2 in which both 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were composed of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 C or more and 150 ° C or l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properties and display quality were excellent under all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radius of curvature .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선편광자와 λ/4 위상 지연층이 적층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여 외광 반사를 줄여 개선된 표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의 λ/4 위상 지연층과 인접한 접착 부재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으로 구성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 또는 폴딩할 때에도 편광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polarizing member in which a line polarizer and a lambda / 4 phase retardation layer are laminated to reduce external light reflection to obtain an improved display quality. 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 adjacent to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of the polarizing member is composed of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 C or more and 150 ° C or less,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polarization member even when bending or fold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quality can be improved.

즉,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사용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 또는 폴딩 시에 편광 부재에 포함된 λ/4 위상 지연층에서의 주름 또는 크랙 발생을 줄임으로써 벤딩 영역에서의 광 보상 값의 변형을 감소시켜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bent or folded using a polarizing member including an adhesive member that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 C or higher and 150 ° C or lower, the? / 4 phase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or cracks in the retardation layer, the deformation of the optical compensation value in the bending area can be reduced and the display quality can be impro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D, DD-1 : 플렉서블 표시 장치 DP : 표시 패널
PM : 편광 부재 RC1 : λ/4 위상 지연층
RC2 : λ/2 위상 지연층 PP : 선편광자
DD, DD-1: Flexible display device DP: Display panel
PM: polarization member RC1:? / 4 phase retardation layer
RC2: lambda / 2 phase retardation layer PP: linear polarizer

Claims (19)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부재는
λ/4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λ/2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λ/2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배치된 제2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이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Display panel; And
A polarizing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Lt; / RTI &gt;
The polarizing member
a? / 4 phase delay layer;
A linear polarizer disposed o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including a stretched polymer film;
A? / 2 phase delay layer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linear polarizer;
A first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 2 phase delay layer and the linear polarizer; Lt; / RTI &gt;
Wherein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DEG C and not more than 150 DEG C,
Wherein the second adhesive member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DEG C or more and 0 DEG C or less,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두께는 0.1㎛ 이상 5㎛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0.1 占 퐉 or more and 5 占 퐉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member comprises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액정 코팅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is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ckness of the? / 4 phase-retarding layer is 0.5 占 퐉 or more and 5 占 퐉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nd
A third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third adhesive member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or higher and 0 占 폚 or lower,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占 폚 or higher and 150 占 폚 or low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4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And
A fourth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 2 phase retardation layer;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ourth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 C and not more than 150 ° C.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은 각각 포지티브 C-플레이트 또는 네거티브 C-플레이트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compensation layer are a positive C-plate or a negative C-plate,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45±30도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a plane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r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of the? / 4 phase delay layer is 45 +/- 30 degre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75±30도고,
상기 흡수축 또는 상기 투과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15±13도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a plane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r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first optical axis of the? / 4 phase delay layer is 75 +/- 30 degrees,
And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r the transmission axis and the second optical axis of the? / 2 phase delay layer is 15 +/- 13 degre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60±30도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a plane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The angle between the first optical axis of the? / 4 phase-retarding layer and the second optical axis of the? / 2 phase-retarding layer is 60 +/- 30 degre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네마틱 액정 코팅층이고,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은 디스코틱 액정 코팅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 4 retardation layer is a nematic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Wherein the? / 2 phase delay layer is a discotic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1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2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member are bent in a first mode with respect to a bending axis and unfolded in a second mode,
Wherein the polarizing member is disposed closer to the bending axis than the display panel in the first m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3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4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편광 부재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member are bent in the third mode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xis and unfolded in the fourth mode,
And the display pane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ending axis than the polarization member in the third m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벤딩 영역 및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비벤딩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bending region and a non-bending region,
Wherein the bending region is bent from one side of the non-bending regi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ending area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5 m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싱 유닛은 상기 편광 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uch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touch sensing unit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olarizing member.
벤딩 영역 및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부재는
λ/4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된 선편광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이고,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ending region and a non-bending region,
Display panel; And
A polarizing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Lt; / RTI &gt;
The polarizing member
a? / 4 phase delay layer;
A linear polarizer disposed on the? / 4 phase delay layer;
A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A first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 4 phase delay layer and the linear polarizer; And
A third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the? / 4 phase retardation layer; Lt; / RTI &gt;
Wherein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not less than 40 DEG C and not more than 150 DEG C,
Wherein the third adhesive member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or higher and 0 占 폚 or lower,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占 폚 or higher and 150 占 폚 or lower.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거나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부재는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위상 지연층;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인 제1 접착 부재; 및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의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인 제2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위상 지연층 상측에 직접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위상 지연층 하측에 직접 배치되며,
상기 위상 지연층은 λ/4 위상 지연층 또는 λ/2 위상 지연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bending region having a bendable shape or a bendable shape bending with respect to a bendi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polarizing memb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Lt; / RTI &gt;
The polarizing member
A phase retardation layer includ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A first adhesive member which is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om 40 캜 to 150 캜; And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5 DEG C or more and 0 DEG C or less or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150 DEG C or less; Lt; / RTI &gt;
Wherein either on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phase delay layer,
And the other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phase delay layer,
Wherein the phase delay layer is a lambda / 4 phase delay layer or a lambda / 2 phase lag layer.
KR1020190076920A 2019-06-27 2019-06-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9008084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20A KR20190080841A (en) 2019-06-27 2019-06-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0200108731A KR102365731B1 (en) 2019-06-27 2020-08-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20A KR20190080841A (en) 2019-06-27 2019-06-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639A Division KR101995977B1 (en) 2016-11-28 2016-11-28 Flexible display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731A Division KR102365731B1 (en) 2019-06-27 2020-08-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841A true KR20190080841A (en) 2019-07-08

Family

ID=6725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920A KR20190080841A (en) 2019-06-27 2019-06-27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84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77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80061485A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725218B2 (en) Display device
US20190293921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U2017333829B2 (en) Flexibl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7003789B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93527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5026869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layer window member
KR102292101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141238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having a flexible polarizing film including a polarizer, a phase difference compensating layer, and a transparent adhesiv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37902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64155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365731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90080841A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20230258974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14144823B (en)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00098751A (en) Display device
US20230413652A1 (en) Display device
CN113920858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