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17A - 에어 노즐 청소기 - Google Patents

에어 노즐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17A
KR20190080517A KR1020170183009A KR20170183009A KR20190080517A KR 20190080517 A KR20190080517 A KR 20190080517A KR 1020170183009 A KR1020170183009 A KR 1020170183009A KR 20170183009 A KR20170183009 A KR 20170183009A KR 20190080517 A KR20190080517 A KR 20190080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blower
ai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규
김태경
송성배
최중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517A/ko
Publication of KR2019008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Nozzles combined with a different cleaning side, e.g. duplex nozzles or dual purpos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카펫 청소에 유용한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흡입 노즐(1)은, 바닥을 향하는 흡입구(11)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상기 흡입구(11)와 연결되는 흡입유로(12)가 마련된 바디부(10); 내부에 블로워(20)가 설치된 블로워 설치부(35); 상기 블로워 설치부(35)와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분사유로(30); 및 상기 공기분사유로(30)의 단부에 마련된 분사구(33);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30)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분사구(30)는 상기 흡입구(11)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분사구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공기로 카펫의 이물질을 비산시켜 즉시 흡입함으로써, 비접촉식으로 카펫의 손상 없이 카펫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에어 노즐 청소기{An Air Nozzl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노즐 부근에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을 설치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을 일체로 구성한 팬 모터에 의해 청소가 필요한 면의 공기를 흡입하며 이물질과 먼지를 함께 흡입한다.
청소면이 일반적인 바닥면일 경우에는, 흡입 노즐의 흡입구와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청소면의 흡입력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청소면이 카펫일 경우에는 흡입면과 카펫의 간격을 정확히 조절하기 어렵고, 카펫에 엉긴 머리카락이나 먼지가 공기 흡입만으로는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105) 부근에 회전 브러쉬(113)를 설치하여 모터로 회전시킴으로써, 카펫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긁어내며 이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청소기를 설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회전 브러쉬(113)에 머리카락, 실 등의 이물질이 감기고, 먼지가 엉겨 붙는 문제가 있었다. 회전 브러쉬에 머리카락 등이 과도하게 감시면 회전력이 감소하거나 회전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회전 브러쉬를 별도로 청소해야 했다.
또한 회전하는 브러쉬가 카펫을 긁어서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961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펫을 청소할 때 비접촉식으로 카펫 내부에 낀 먼지를 털어내며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의 흡입 노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을 향하는 흡입구(11)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상기 흡입구(11)와 연결되는 흡입유로(12)가 마련된 바디부(10); 내부에 블로워(20)가 설치된 블로워 설치부(35); 상기 블로워 설치부(35)와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분사유로(30); 및 상기 공기분사유로(30)의 단부에 마련된 분사구(33);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30)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분사구(30)는 상기 흡입구(11)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청소기의 흡입 노즐을 제공한다.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흡입유로(12)의 상부에 마련된 제1공기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30)는 상기 흡입구(11)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흡입유로(12)의 하부에 마련된 제2공기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30)는 상기 흡입구(11)의 후방에 마련된 제2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상기 흡입유로에 가깝게 배치된 내벽(32)과, 상기 내측벽보다 상기 흡입유로에서 멀리 배치된 외벽(31)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분사구(30) 부근에서 상기 외벽(31)이 상기 내벽(32)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30)는 바디부(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유로(30)에는 상기 블로워(20)에서 토출된 공기를 폭 방향으로 골고루 분산시키는 유로가이드(3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30)는 바디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분사구(30)는 공기분사유로(30)로부터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워(20)는 팬과 모터가 일체로 구성된 팬모터일 수 있다.
상기 블로워(20)의 흡입부 쪽에는 블로워(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설치부(35)는 상기 바디부(10)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의 후방에는, 상기 흡입유로(12)를 연장하는 흡입관(13)이 연결부(14)를 통해 상기 바디부(10)와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 설치부(35)는 상기 흡입관(13)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입노즐이 적용된 청소기 구조에 따르면, 흡입노즐의 흡입구 부근에서, 청소면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카펫 등에 끼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비접촉식으로 비산시키어 이를 흡입 청소하므로, 카펫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카펫을 긁는 브러쉬 류가 없으므로 제품의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면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더라도 비산되는 먼지가 흡입노즐을 통해 모두 흡입될 수 있으므로, 청소 과정에 먼지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카펫용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입노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의 흡입노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와, 팬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유동의 전방에서 팬모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유입된 먼지를 걸러주는 먼지통을 포함한다.
이러한 먼지통보다 공기 유동의 전방으로는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흡입관(13)이 구비되고, 관의 선단부에는 청소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 노즐(1)이 구비된다.
흡입관(13)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 가능한 파이프, 주름관 형태로 플렉시블한 호스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제1실시예]
이하 도 2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에 적용되는 흡입 노즐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흡입 노즐(1)은 흡입관(13)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흡입 노즐(1)에는 상기 흡입관(13)과 연결되는 연결부(14)가 구비된다. 연결부(14)는 흡입관(13)에 대해 상기 흡입 노즐(1)이 적어도 2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노즐(1)은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형태, 즉 납작한 형태의 바디부(10)를 포함한다. 통상 사용자가 청소를 할 때, 흡입 노즐(1)을 청소면에 대고 전후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폭이 넓은 형태의 흡입면(11)을 구성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여러모로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바디부(10)는 전후방향 길이보다는 좌우폭이 더욱 넓은 형태를 가진다.
바디부(1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면(11)과 흡입관(13) 사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흡입유로(12)가 마련된다. 흡입구(11)는 좌우 폭이 넓은 형태이지만 흡입관(13)은 통상 원형의 유동 단면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흡입유로(12)는 흡입구(11)에서 흡입된 공기가 흡입관(13)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바디부(10)의 저면에는, 청소면에 흡입 노즐(1)을 올려 놓고 전후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작은 바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를 흡입하는 팬모터가 작동하면, 흡입구(11) 주변에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1) 주변에 있는 공기가 먼지와 함께 흡입유로(12)와 흡입관(13)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공기 중의 먼지는 먼지통에서 걸러지고, 공기는 팬모터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통상적인 바닥을 청소할 때와 달리, 카펫을 청소할 때에는 상기 흡입구(11) 주변에 발생하는 흡입력만으로는 카펫 사이에 끼어 있는 먼지가 이물질을 흡입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입구(11) 부근에 위치하는 카펫 부위에 강한 바람을 분사하여 카펫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비산시킴과 동시에, 흡입구(11)에서 상기 비산된 이물질과 공기가 함께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1)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흡입 노즐(1)의 바디부(10) 상부에는 공기분사유로(30)가 마련되고, 공기분사유로(30)의 단부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33)가 마련된다. 바디부(10)의 바닥에서 폭방향으로 길게 개방된 형태의 흡입구(11)의 폭과 대응하도록, 상기 분사구(33)도 폭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공기분사유로(30)를 통해 분사구(33)로 분사되는 공기의 유동은 블로워(20)에 의해 발생한다. 일 예로서 블로워(20)는, 팬과 모터가 일체로 제작된 블로잉 팬모터(blowing fan-motor)일 수 있다. 블로잉 팬모터는 소형으로 제작되되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소형 경량화함으로써 흡입 노즐의 무게감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워(20)는 공기분사유로(30)와 연결되는 블로워 설치부(35)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블로워 설치부(35)는 흡입 노즐(1)의 바디부(10)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로워 설치부(35)가 바디부(10)의 후방 상부에서 일측에 마련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설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상기 블로워 설치부(35)는 흡입관(13) 쪽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블로워 설치부(35)는 외부를 향해 개방된 공기 흡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기 흡입부에는 필터(21)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는 프리필터일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설치부(35) 내에서, 블로워(20)의 흡입구 쪽은 상기 필터(21) 쪽과 연결되고, 블로워(20)의 토출구 쪽은 상기 공기분사유로(3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블로잉 팬모터는 둥근 형상이지만 분사구(33)는 좌우로 긴 폭의 형태인바,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상기 블로잉 팬모터의 토출구에서 상기 분사구(33) 쪽으로 공기가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분사구(33)가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만큼, 분사구(33)의 모든 유동 단면적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어느 한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해당 유동 단면적에서 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공기분사유로(30) 내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고 적절히 분배하는 유로가이드(34)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분사유로(30)는 내벽(32)과 외벽(31)에 의해 규정된다. 내벽(32)은 흡입유로(12)와 가까이 배치되고, 외벽(31)은 상기 내벽(32)과 이격되며 상기 내벽(32)보다 흡입유로(12)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외벽(31)은 상기 내벽(32)보다 더 상부에 위치한다.
내벽(32)과 외벽(31) 사이의 간격은 상기 블로워 설치부(35)에서 분사구(33)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블로워(20)에서 토출한 공기 유속을 가속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31)과 내벽(32)은 본체부(10)의 전방에서 하향 연장되며, 외벽(31)과 내벽(32)의 선단부 사이의 공간이 분사구(33)를 규정한다. 여기서 상기 외벽(31)은 상기 내벽(32)보다 h 만큼 더 하향 연장된다. 이에 따라 분사구(33)는 하향 개방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뒤쪽으로, 즉 흡입구(11) 쪽으로 편향되도록 하향 개방된다.
따라서 분사구(33)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흡입구(11) 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하향 토출되고, 고압의 공기는 카펫을 타격하며 카펫 사이에 낀 이물질이나 먼지를 비산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과 먼지는 흡입구(11)에서 흡입되어 흡입유로(12)와 흡입관(13)을 따라 먼지통으로 옮겨진다.
분사구(33)는 흡입구(11)와 인접하여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흡입 노즐(1)을 전방으로 미는 동작을 하더라도 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는 청소면을 타격한 후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흡입 노즐(1)을 후방으로 당기는 동작을 하더라도, 외벽(31)이 내벽(32)보다 더 길게 하향 연장되어 있으므로, 분사구(33)에서 분사된 공기 및 이에 의해 비산된 먼지가 흡입노즐 외부로 유출되어 흩날리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블로워(20)는 카펫과 같은 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만 작동하면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바닥의 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흡입구(11)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만 작동하면 족하고, 카펫을 청소할 때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블로워(20)가 함께 작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의 흡입력과 블로워(20)에서 분사하는 분사력은 서로 비례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청소기에서 청소하는 면이 카펫 면인지 일반적인 바닥인지 선택하고 청소기의 흡입력만 조절하면, 제어부는 이에 따라 흡입 팬모터와 블로워(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일반 바닥을 선택하고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절하면, 제어부는, 블로워(20)는 정지시킨 채, 흡입 팬모터의 회전 속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흡입력에 대응하여 제어하면 된다.
반면 사용자가 카펫을 선택하고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절하면, 제어부는, 블로워(20)와 흡입 팬모터를 모두 작동시키고, 블로워(20)와 흡입 팬모터의 회전 속도를 사용하자 설정한 흡입력에 대응하여 제어하면 된다.
[제2실시예]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에 적용되는 흡입 노즐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의 흡입 노즐(1)에 있어서, 공기분사유로(30)는 바디부(10)의 하부에 마련된다. 공기분사유로(30)의 단부에 마련된 공기의 분사구(33)는 흡입구(11)의 후방에 인접 배치된다. 상기 분사구(33)는 흡입구(11)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공기분사유로(30)와 연결되는 블로워 설치부(35)는, 바디부(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블로워 설치부(35)와 공기분사유로(30)는 바디부(10)에 마련된 흡입유로(12)를 회피하는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10)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블로워 설치부(35)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블로워 설치부(35)에 내장되는 블로워(20)의 흡입구는 상기 블로워 설치부(35)의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며, 공기 흡입부에는 필터(21)가 설치된다.
블로워(20)의 토출구는 상기 바디부(10)를 관통하며 연결되는 상기 공기분사유로(30)로 공기를 토출하고, 이는 분사구(33)를 통해 청소면을 향해 분사된다.
블로잉 팬모터는 둥근 형상이지만 분사구(33)는 좌우로 긴 폭의 형태인바,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상기 블로잉 팬모터의 토출구에서 상기 분사구(33) 쪽으로 공기가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분사구(33)가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만큼, 분사구(33)의 모든 유동 단면적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어느 한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해당 유동 단면적에서 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공기분사유로(30) 내에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고 적절히 분배하는 유로가이드(34)가 설치된다.
도 5을 참조하면 공기분사유로(30)는 내벽(32)과 외벽(31)에 의해 규정된다. 내벽(32)은 흡입유로(12)와 가까이 배치되고, 외벽(31)은 상기 내벽(32)과 이격되며 상기 내벽(32)보다 흡입유로(12)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외벽(31)은 상기 내벽(32)보다 더 하부에 위치한다.
내벽(32)과 외벽(31) 사이의 간격은 상기 블로워 설치부(35)에서 분사구(33)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블로워(20)에서 토출한 공기 유속을 가속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31)과 내벽(32)은 본체부(10)의 바닥에 마련된 흡입구(11)의 뒤쪽에서 하향 연장되며, 외벽(31)과 내벽(32)의 선단부 사이의 공간이 분사구(33)를 규정한다. 여기서 상기 외벽(31)은 상기 내벽(32)보다 h 만큼 더 하향 연장된다. 이에 따라 분사구(33)는 하향 개방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앞쪽으로, 즉 흡입구(11) 쪽으로 편향되도록 하향 개방된다.
따라서 분사구(33)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흡입구(11) 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하향 토출되고, 고압의 공기는 카펫을 타격하며 카펫 사이에 낀 이물질이나 먼지를 비산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과 먼지는 흡입구(11)에서 흡입되어 흡입유로(12)와 흡입관(13)을 따라 먼지통으로 옮겨진다.
분사구(33)는 흡입구(11)와 인접하여 그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흡입 노즐(1)을 후방으로 당기는 동작을 하더라도 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는 청소면을 타격한 후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흡입 노즐(1)을 전방으로 미는 동작을 하더라도, 외벽(31)이 내벽(32)보다 더 길게 하향 연장되어 있으므로, 분사구(33)에서 분사된 공기 및 이에 의해 비산된 먼지가 흡입노즐 외부로 유출되어 흩날리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 노즐(1)의 바디부(10)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공기분사유로(30)가 마련된 구조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바디부(10)의 상부에 하부에 모두 마련되고, 이에 따라 분사구(33) 역시 흡입구(11)의 전방과 후방에 모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조합, 치환 등도 모두 가능하다.
공기분사유로(30)가 상하에 모두 마련되는 경우, 상기 블로워 설치부(35)는 분기되며 상부의 제1공기분사유로와 하부의 제2공기분사유로에 연결되고, 블로워(20)는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흡입노즐의 제3실시예를 살펴본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분사구(33)의 형상에 다소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입노즐(1)은, 바디부(10)의 전방 및 흡입구(11)의 전방에서 좌우로 배열된 복수 개의 분사구(33)를 포함한다. 각 분사구(33)는 카펫(C)을 향하도록 하향 연장된 홀 형태이며, 선단부로 갈수록 점점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는 원뿔대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분사구(33)로 분사되는 공기는 분사구(33)를 통과하면서 가속되어 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의 공기가 흡입구(11) 부근에서 바닥으로 토출되어 카펫과 같이 먼지가 엉겨 있는 청소면을 타격하므로, 카펫을 비접촉식으로 털어주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카펫이 손상될 우려가 없고, 청소기의 흡입 노즐 하부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감아질 만한 구조가 없다.
또한 카펫의 타격 부위는 흡입구(11)의 하부에 있으므로, 비산된 먼지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모두 흡입구(11)로 빨아들여지는바, 먼지 비산의 우려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흡입 노즐
10: 바디부
11: 흡입구
12: 흡입유로
13: 흡입관
14: 연결부
20: 블로워(블로잉 팬모터)
21: 필터(prefilter)
30: 공기분사유로
31: 외벽
32: 내벽
33: 분사구
34: 유로가이드
35: 블로워 설치부

Claims (12)

  1. 바닥을 향하는 흡입구(11)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상기 흡입구(11)와 연결되는 흡입유로(12)가 마련된 바디부(10);
    내부에 블로워(20)가 설치된 블로워 설치부(35);
    상기 블로워 설치부(35)와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분사유로(30); 및
    상기 공기분사유로(30)의 단부에 마련된 분사구(33);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30)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분사구(30)는 상기 흡입구(11)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청소기의 흡입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흡입유로(12)의 상부에 마련된 제1공기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30)는 상기 흡입구(11)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분사구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흡입 노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흡입유로(12)의 하부에 마련된 제2공기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30)는 상기 흡입구(11)의 후방에 마련된 제2분사구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흡입 노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유로(30)는 상기 흡입유로에 가깝게 배치된 내벽(32)과, 상기 내측벽보다 상기 흡입유로에서 멀리 배치된 외벽(31)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분사구(30) 부근에서 상기 외벽(31)이 상기 내벽(32)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된 청소기의 흡입 노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30)는 바디부(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배치된 청소기의 흡입 노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유로(30)에는 상기 블로워(20)에서 토출된 공기를 폭 방향으로 골고루 분산시키는 유로가이드(34)가 마련되는 청소기의 흡입 노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30)는 바디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분사구(30)는 공기분사유로(30)로부터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흡입 노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20)는 팬과 모터가 일체로 구성된 팬모터인 청소기의 흡입 노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20)의 흡입부 쪽에는 블로워(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21)가 설치된 청소기의 흡입 노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설치부(35)는 상기 바디부(10)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의 후방에는, 상기 흡입유로(12)를 연장하는 흡입관(13)이 연결부(14)를 통해 상기 바디부(10)와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 설치부(35)는 상기 흡입관(13)에 마련되는 흡입 노즐.
  12. 청구항 1의 흡입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170183009A 2017-12-28 2017-12-28 에어 노즐 청소기 KR20190080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09A KR20190080517A (ko) 2017-12-28 2017-12-28 에어 노즐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09A KR20190080517A (ko) 2017-12-28 2017-12-28 에어 노즐 청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168A Division KR102061535B1 (ko) 2019-09-03 2019-09-03 에어 노즐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17A true KR20190080517A (ko) 2019-07-08

Family

ID=6725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009A KR20190080517A (ko) 2017-12-28 2017-12-28 에어 노즐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5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92A (ko)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 청소기의 회전브러쉬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92A (ko)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 청소기의 회전브러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472B2 (en) Cannister and upright vortex vacuum cleaners
US7665181B2 (en) Re-circulating vacuum apparatus for cleaning fabric and other non-tensioned surfaces
JP2006246928A (ja) 流体噴射ガン及びこれを用いた清掃装置
US20130067680A1 (en) Suction and collection device
US20030132152A1 (en) Vortex pool cleaner
KR102061535B1 (ko) 에어 노즐 청소기
GB2348598A (en) A vacuum cleaning device
WO2016096037A1 (en) Vacuum cleaner nozzle and vacuum cleaner
KR101078790B1 (ko) 에어브러시를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US20180184866A1 (en) Dual Fluid Channel Vacuum Apparatus
KR20190054517A (ko) 청소기
KR20190080517A (ko) 에어 노즐 청소기
EP2934266B1 (en) Passive vacuum cleaner nozzle with an air intake aperture
KR10068861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KR100439007B1 (ko) 전기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구
KR100869822B1 (ko)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JP2006239090A (ja) 湿式電気掃除機用吸引ノズル
CN107743370A (zh) 真空吸尘器吸嘴与包括真空吸尘器吸嘴的真空吸尘器
KR20070005430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CA2702516C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acuum cleaners
JP4601419B2 (ja) 湿式電気掃除機用吸引ノズル
RU2519036C2 (ru)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содержащий ее пылесос и способ встряхи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подлежащий очистке
CN114554921B (zh) 用于真空清洁器具的吸尘器头
KR101446382B1 (ko) 손 건조장치
KR20090018287A (ko)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