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999A -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 Google Patents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999A
KR20190079999A KR1020170182155A KR20170182155A KR20190079999A KR 20190079999 A KR20190079999 A KR 20190079999A KR 1020170182155 A KR1020170182155 A KR 1020170182155A KR 20170182155 A KR20170182155 A KR 20170182155A KR 20190079999 A KR20190079999 A KR 2019007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arget value
sensor
tempera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민
김성광
서준식
김숙민
조동길
이동진
조효진
노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주식회사티에스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주식회사티에스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Priority to KR102017018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999A/en
Publication of KR2019007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9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01N33/24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2033/245Earth materials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measuring system for managing a garden in real time and an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The sensor measuring system for managing a garden in real time enables a user to efficiently manage an individual flowerpot and/or a garden by measuring and properly calculating the moisture content of a flowerpot an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the temperature of a place in which the flowerpot is placed in real time so as to indicate a predetermined control targe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easuring system for managing a garden in real time includes: a sensor unit (110) including a moisture content sensor (112)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in a flowerpot and an illumination intensity sensor (114) and a temperature sensor (116), which individually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illumination and the temperature in the place where the flowerpot is positioned; a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first desired value (Y1) using a measurement value (Z) transferred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calculating a second target value (Y2) by applying a correlation factor to the first desired value (Y1); a signal processing unit (130) generating a final desired value by converting the second desired value (Y2) which i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control unit (140)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final desired value transferr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o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which is set by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40) to a smart device (160) of the user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a user setting value and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to the control unit (140) by receiving the user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from the smart device (160).

Description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과 운용 방법{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for real-

본 발명은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과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화분의 수분 함유량과 화분이 놓인 장소의 조도 및 온도를 계측하고 적절히 연산하여 소정의 제어 목표값으로 나타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개별 화분 및/또는 정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과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which measure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len and the illuminance and temperature of the pollen place in real time and appropriately calculates and displays them as a predetermined control target val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that enables efficient management of individual flower pots and / or gardens.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식물들은 밭에서 파종되어 화분으로 이식된 것으로, 화분에서의 식물 재배는 꾸준한 관리가 요구되며 주로 경험에서 터득한 지식으로 식물을 재배하며, 식물에 대한 지식이나 재배 경험이 없는 사람은 주위의 간행물이나 인터넷 등의 정보전달매체를 이용하여 식물의 재배 정보를 습득하여 식물을 재배한다.In general, plants for use as ornamental plants in the home or office are planted in fields and transplanted into pollen. Plant cultivation in pollen requires steady management, and mainly cultivates plants with knowledge learned from experience, Those who do not have the experience of cultivation cultivate the plants by acquiring the cultivation information of the plants using the information delivery media such as the surrounding publications and the internet.

이러한 재배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 모든 식물에 대해 경험하기가 사실상 어렵고, 또한 정보전달매체를 통해 식물의 재배 정보를 습득하였다 할지라도, 온도, 습도 및 일사량 등의 성장환경 조건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일이 쉽지 않다.These cultivation methods are practically difficult to experience for all kinds of plants when cultivating various kinds of plants, and even when cultivation information of plants is acquired through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growth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t is not easy to measure plants accurately.

종래 기술인 특허 문헌1에는 각 화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다수의 환경 상태 정보를 취합하며,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를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고, 취합되는 환경 상태 정보가 각각의 기준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각 환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제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분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of the prior art discloses a method of measuring at least one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of each flowerpot, collecting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to be measured, comparing the collected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with respective reference values, And the management propos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environmental stat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user when it does not match the reference value of the environment state information.

그러나 온도, 습도, 조도에 대하여 미리 설정한 기준값들과 센서 측정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경우에 온도, 습도, 조도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온도, 조도, 수분 함유량 등의 인자들이 식물의 생장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각 인자들이 상호 연관하여 작용하는 것에 대하여는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도가 함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식물이 흡수할 함수율이 분산될 수 있으며, 온도가 함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식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빨리 개화되거나 시들게 하지만, 조도의 영향으로 온도가 높으면 토양의 함수율과 관계없이 식물의 수분이 빠르게 말라 식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악영향은 식물의 현 상태를 유지 관리하는 본래의 목적과 다른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식물의 생애주기를 길게 만들어 보기 좋고 관리하기 좋은 상태를 벗어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are separately controlled by comparing the sensor readings with preset reference values. Therefore, factors such as temperature, Plant growth, and does not adequately reflect the interaction of each factor. For example, the roughness directly affects the water content so that the water content to be absorbed by the plant can be dispersed, and the temperature directly affects the water content, thereby raising or lowering the plant temperature so as to quickly bloom or wilt. However, Regardless of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the plant's moisture can dry out quickly and can adversely affect the plant. The adverse effect mentioned here is a phenomenon that causes a phenomeno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maintain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lan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ife cycle of the plant is made longer and it is out of the condition that it is easy to manage and manage.

(특허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6550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2655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화분의 수분 함유량과 화분이 놓인 장소의 조도 및 온도를 계측하고 적절히 연산하여 소정의 제어 목표값으로 나타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개별 화분 또는 정원을 관리하도록 하는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measuring a water content of a pollen, an illuminance and a temperature of a pollen pl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metering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that manages individual pots or gardens.

또한, 식물의 생장에 영양을 주는 온도, 조도, 수분 함유량 등의 생장 요소들 각각의 영향뿐만 아니라, 각 요소들이 상호 연관하여 식물 생장에 작용하는 점을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not only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growth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moisture content which nourishes the plant growth but also the fact that each element interacts with the plant growth properly is reflected in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 time garden management .

본 발명의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은, 화분 내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 센서와, 화분이 위치한 장소의 조도 및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조도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값을 이용하여 제1 목표값을 산출하고, 제1 목표값에 상관 인수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을 산출하는 연산부;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제2 목표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을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최종 목표값과 사용자가 설정한 관리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사용자 설정값 및 상기 관리 기준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isture content sensor for measuring a water content in a flowerpot, a sensor unit including an ambient light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illuminance and temperature at a place where the flowerpot is located;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rst target value by using a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and a second target value by applying a correlation factor to the first target value;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second target value, which i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o generate a final target valu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final target valu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with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set by a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smart device of the user in real time and receiving the user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from the smart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user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1 목표값(Y1)은 Y1 = Z1 + Z2 + Z3 이고, 상기 Z1, Z2, Z3는 각각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값인 조도값, 온도값 및 함수율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arget value Y1 is expressed by Y1 = Z1 + Z2 + Z3, and Z1, Z2, and Z3 are illuminance values, temperature values, and moisture content values, respectively, do.

또한, 상기 센서부의 상기 측정값(Z)은 상기 Z1, Z2, Z3 각각에 대하여 Z = (설정값*인수) + 목표값 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easured value (Z) of the sensor unit is expressed by the form of Z = (set value * argument) + target value for each of Z1, Z2 and Z3.

또한, 상기 제2 목표값(Y2)은 Y2 = u*(Z1+Z2) + v*(Z2+Z3) + w*(Z3+Z1) 이고, 상기 u, v, w는 각각 조도보완 인수(Factor), 온도보완 인수 및 함수율보완 인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target value Y2 is expressed as Y2 = u * (Z1 + Z2) + v * (Z2 + Z3) + w * (Z3 + Z1) Factor), a temperature compensating factor and a moisture content compensating factor.

또한, 상기 제어 정보에는 상기 최종 목표값이 상기 관리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관리 기준값의 재설정을 문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a request for resetting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if the final target value is greater than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한편, 본 발명의 실시간 정원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Meanwhile, a method of operating a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

센서부에서 화분 또는 정원의 조도, 온도, 함수율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연산부에서는 측정된 조도값, 온도값, 함수율값을 제1 목표값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목표값에 상호보완 인자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을 산출하는 제3 단계; 신호처리부에서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제2 목표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을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제어부에서 상기 최종 목표값을 사용자 설정값 또는 관리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5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step of measuring illuminance,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a flowerpot or a garden in a sensor part; A second step of converting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moisture content value into a first target value; A third step of calculating a second target value by applying a complementary factor to the first target value; A fourth step of converting the second target value, which is an analog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to a digital signal to generate a final target value; And a fifth step of comparing the final target value with a user setting value or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in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5 단계 이후에, 상기 최종 목표값이 상기 관리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관리 기준값의 재설정을 문의하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final target value is greater than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after the fifth step, the user is further requested to inquire of the user about the resetting of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실시간으로 화분의 수분 함유량과 화분이 놓인 장소의 조도 및 온도를 계측하고 적절히 연산하여 소정의 목표값으로 나타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개별 화분 또는 정원을 관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ensor metering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len and the illuminance and temperature of the pollen place in real time and appropriately calculate and display them as a predetermined target value, So that the individual pollen or the garden can be managed.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의 생장에 영양을 주는 온도, 조도, 수분 함유량 등의 생장 요소들 각각의 영향뿐만 아니라, 각 생장 요소들이 상호 연관하여 식물 생장에 작용하는 점을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에 적절히 반영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not only to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growth factors such as temperature, roughness and water content, which nourish the plant growth, but also to the fact that each growth factor interacts with the plant growth, It has an effect of appropriately reflecting on th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원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100)은 화분 내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 센서(112)와, 화분이 위치한 장소의 조도 및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조도 센서(114) 및 온도 센서(116)를 포함하는 센서부(110);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값(Z)을 이용하여 제1 목표값(Y1)을 산출하고, 제1 목표값(Y1)에 상관 인수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Y2)을 산출하는 연산부(120); 아날로그 신호인 제2 목표값(Y2)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을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130); 신호처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최종 목표값과 사용자가 설정한 관리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40); 및 제어부(140)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60)로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스마트 기기(160)로부터 사용자 설정값 및 관리 기준값을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통신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content sensor 112 for measuring a moisture content in a flowerpot, an ambient light sensor 112 for measuring illuminance and temperature at a place where the flowerpot is located, A sensor unit 110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114 and a temperature sensor 116; The first target value Y1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value Z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the second target value Y2 is calculated by applying a correlation factor to the first target value Y1 An operation unit 120; A signal processing unit 130 for converting a second target value Y2, which i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generating a final target value; A control unit 140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by comparing a final target valu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with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set by a user; A communication unit 150 that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ntroller 140 to the smart device 160 of the user in real time and receives the user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from the smart device 160 and transmits the user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to the control unit 140, And a control unit.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100)은, 센서부(110), 연산부(120), 신호처리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스마트 기기(160)로 구성되며, 추가로 시스템(1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at is,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10, an operation unit 120, a signal processing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smart device 160, and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100.

센서부(110)는 화분 내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 센서(112)와, 화분이 위치한 장소의 조도 및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조도 센서(114) 및 온도 센서(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Z)을 연산부(120)로 전달한다.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 water content sensor 112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in the flowerpot and an ambient light sensor 114 and a temperature sensor 116 for measuring the illuminance and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flowerpot is located, To the arithmetic unit 120. [0031]

연산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값(Z)을 이용하여 제1 목표값(Y1)을 산출하고, 제1 목표값(Y1)에 상관 인수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Y2)을 산출하여 신호처리부(130)로 전달하도록 한다.The calcul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first target value Y1 using the measured value Z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applies the correlation factor to the first target value Y1 to calculate the second target value Y1 Y2,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

즉, 상기 제1 목표값(Y1)은That is, the first target value Y1 is

Y1 = Z1 + Z2 + Z3 (1)Y1 = Z1 + Z2 + Z3 (One)

의 수식을 통해 구하게 되며, 상기 Z1, Z2, Z3는 각각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값인 조도값, 온도값 및 함수율값을 나타낸다.Z1, Z2, and Z3 represent values of illuminance,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which ar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respectively.

이때,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값(Z)은 상기 Z1, Z2, Z3 각각에 대하여,At this time, the measured value (Z)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is calculated for each of Z1, Z2, and Z3,

Z = (설정값*인수) + 목표값 (2)Z = (set value * argument) + target value (2)

의 형태를 가진다..

연산부(120)는 다음으로 조도, 온도 및 함수율 등 각 식물 생장 인자들이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제1 목표값(Y1)에 조도-온도. 온도-함수율, 함수율-조도 에 대한 각각의 상호 보완 인수를 적용하여 아래 식 (3)과 같이 제2 목표값(Y2)을 산출한 후에 이를 신호처리부(130)로 전달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unit 120 then determines the influence of each plant growth factors such as illuminanc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n each other. The roughness-temperature at the first target value Y1. The second target value Y2 i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by applying mutually complementary factors to the temperature-moisture-water ratio and water content-roughness, and then the second target value Y2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

Y2 = u*(Z1+Z2) + v*(Z2+Z3) + w*(Z3+Z1) (3)Y2 = u * Z1 + Z2 + v * Z2 + Z3 + w * Z3 + (3)

이때, 상기 u, v, w는 각각 조도보완 인수(Factor), 온도보완 인수 및 함수율보완 인수이다.Here, u, v, and w are the illumination complementary factor, the temperature complementary factor, and the water content complementary factor, respectively.

신호처리부(130)는 연산부(120)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제2 목표값(Y2)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으로 생성한 후에 제어부(140)로 전달한다.The signal processor 130 converts the second target value Y2, which is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lculator 120, into a digital signal, generates a final target value, and transmits the digital target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

제어부(140)는 센서부(110), 연산부(120), 신호처리부(130) 및 통신부(150)를 제어하며, 특히 신호처리부(130)로부터 전달된 최종 목표값과, 스마트 기기(16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설정값 및 관리 기준값을 비교 판단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스마트 기기(160)를 통하여 사용자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ensor unit 110, the operation unit 12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final target valu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user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to be transmitt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smart device 160 so that the user can prepare an appropriate countermeasure.

한편, 상기 제어 정보에는 상기 최종 목표값이 상기 관리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관리 기준값의 재설정을 문의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a request for the user to reset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if the final target value is greater than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통신부(150)는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60)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최종 목표값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스마트 기기로(160)부터는 사용자가 지정하게 되는 설정값 및 관리 기준값을 수신받아 제어부(140)에 전달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the final target value and the control information using the low power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160 of the user and receives the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to be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smart device 160, (140).

전원부는 시스템(100)의 특성상 저전력으로 구성하여 소형 건전지를 사용하여 최대 약 3달간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100, the power unit is configured with low power and can be operated for about 3 months using a small battery.

한편, 본 발명의 실시간 정원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센서부(110)에서 화분 또는 정원의 조도, 온도, 함수율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연산부(120)에서는 측정된 조도값, 온도값, 함수율값을 제1 목표값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목표값에 상호보완 인자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을 산출하는 제3 단계; 신호처리부(130)에서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제2 목표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을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제어부(140)에서 상기 최종 목표값을 사용자 설정값 또는 관리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5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5 단계 이후에, 상기 최종 목표값이 상기 관리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관리 기준값의 재설정을 문의하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operating a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easuring illuminance,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a flower pot or garden in a sensor unit 110; A second step of converting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moisture content value into a first target value; A third step of calculating a second target value by applying a complementary factor to the first target value; A fourth step of converting the second target value, which i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o generate a final target value; And a fifth step of comparing the final target value with a user setting value or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in the control unit 140. If the final target value is greater than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after the fifth step, And to inquire about the resetting of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원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100)의 운영방법은, 상세하게는 센서부(110)에서 화분 또는 정원의 조도, 온도, 함수율을 측정하도록 하고(S10), 연산부(120)에서는 측정된 조도값, 온도값, 함수율값을 제1 목표값(Y1)으로 변환하며(S20), 다시 제1 목표값(Y1)에 상호보완 인자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Y3)을 산출하도록 한다(S30).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sensor measurement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ensor measurement system 100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asuring the illuminance,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a flower pot or a garden in the sensor unit 110 The operation unit 120 converts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water content value into the first target value Y1 (S20). Then, the complementary factor is applied to the first target value Y1, The target value Y3 is calculated (S30).

이때, 제1 목표값(Y1) 및 제2 목표값(Y2)은 상기 (1), (2), (3) 식에 따라 산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arget value Y1 and the second target value Y2 a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equations (1), (2), and (3).

다음으로, 아날로그 신호인 제2 목표값(Y2)은 신호처리부(1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을 생성하도록 한다(S40).Next, the second target value Y2, which is an analog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o generate a final target value (S40).

이렇게 생성된 최종 목표값은 제어부(140)으로 전달되고, 제어부(140)에서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설정값 또는 관리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S50), 이 단계에서 최종 목표값이 관리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관리 기준값의 재설정을 문의하도록 한다(S60).The final target value thus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generated target final value with a preset user setting value or management reference value (S50). In this step, The user is asked to reset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S60).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160)를 통해 관리 기준값의 설정 및 조절이 가능하며, 따라서 실시간으로 화분 및/또는 정원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The user can set and adjust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through the smart device 160, and thus can manage pollen and / or garden in real tim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10 : 센서부
112 : 함수율 센서
114 : 조도 센서
116 : 온도 센서
120 : 연산부
130 : 신호처리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스마트 기기
110:
112: Moisture content sensor
114: illuminance sensor
116: Temperature sensor
120:
130: Signal processor
140:
150:
160: Smart devices

Claims (7)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화분 내 함수율을 측정하는 함수율 센서(112)와, 화분이 위치한 장소의 조도 및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조도 센서(114) 및 온도 센서(116)를 포함하는 센서부(110);
상기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측정값(Z)을 이용하여 제1 목표값(Y1)을 산출하고, 제1 목표값(Y1)에 상관 인수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Y2)을 산출하는 연산부(120);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제2 목표값(Y2)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을 생성하는 신호처리부(130);
상기 신호처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최종 목표값과 사용자가 설정한 관리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60)로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160)로부터 사용자 설정값 및 상기 관리 기준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통신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
A sensor metering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 moisture content sensor 112 for measuring a water content in a flowerpot, a sensor unit 110 including an ambient light sensor 114 and a temperature sensor 116 for measuring the illuminance and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flowerpot is located, respectively;
A first target value Y1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value Z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a second target value Y2 is calculated by applying a correlation factor to the first target value Y1 A calculation unit 120 for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A signal processor 130 for converting the second target value Y2, which i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o generate a final target value;
A controller 140 for comparing the final target valu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processor 130 with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set by the user and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140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40 to the smart device 160 of the user in real time and receives the user setting value and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from the smart device 160, (150).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목표값(Y1)은
Y1 = Z1 + Z2 + Z3 이고,
상기 Z1, Z2, Z3는 각각 상기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값인 조도값, 온도값 및 함수율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arget value (Y1)
Y1 = Z1 + Z2 + Z3,
Wherein the Z1, Z2, and Z3 are illuminance values, temperature values, and water content values, respectively, of the measurement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10)의 상기 측정값(Z)은 상기 Z1, Z2, Z3 각각에 대하여
Z = (설정값*인수) + 목표값
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measured value (Z) of the sensor unit (110) is calculated for each of the Z1, Z2, and Z3
Z = (set value * argument) + target value
Wherein the sensor system is in the form of a sens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목표값(Y2)은
Y2 = u*(Z1+Z2) + v*(Z2+Z3) + w*(Z3+Z1) 이고,
상기 u, v, w는 각각 조도보완 인수(Factor), 온도보완 인수 및 함수율보완 인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target value (Y2)
Y2 = u * (Z1 + Z2) + v * (Z2 + Z3) + w * (Z3 + Z1)
Wherein u, v, and w are a factor of complementary illumination, a complementary factor of temperature, and a complementary factor of water content,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에는 상기 최종 목표값이 상기 관리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관리 기준값의 재설정을 문의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원 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final target value is greater than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inquiring the user about the resetting of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실시간 정원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시스템을 구비하며,
센서부(110)에서 화분 또는 정원의 조도, 온도, 함수율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연산부(120)에서는 측정된 조도값, 온도값, 함수율값을 제1 목표값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목표값에 상호보완 인자를 적용하여 제2 목표값을 산출하는 제3 단계;
신호처리부(130)에서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제2 목표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목표값을 생성하는 제4 단계;
제어부(140)에서 상기 최종 목표값을 사용자 설정값 또는 관리 기준값과 비교하는 제5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원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sensor metrology system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The system of claim 1,
A first step of measuring illuminance,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a flower pot or a garden in the sensor unit 110;
A second step of converting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moisture content value into a first target value;
A third step of calculating a second target value by applying a complementary factor to the first target value;
A fourth step of converting the second target value, which i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o generate a final target value;
And comparing the final target value with a user setting value or a management reference value in the control unit (14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이후에, 상기 최종 목표값이 상기 관리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관리 기준값의 재설정을 문의하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원관리를 위한 센서 계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if the final target value is greater than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inquiring the user about the resetting of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after the fifth step. .



KR1020170182155A 2017-12-28 2017-12-28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KR201900799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155A KR20190079999A (en) 2017-12-28 2017-12-28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155A KR20190079999A (en) 2017-12-28 2017-12-28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999A true KR20190079999A (en) 2019-07-08

Family

ID=6725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155A KR20190079999A (en) 2017-12-28 2017-12-28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99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550B1 (en) 2005-12-14 2007-06-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lowerpot environment using of home network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550B1 (en) 2005-12-14 2007-06-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lowerpot environment using of home networ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9319B1 (en) Method for irrigation planning and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KR101799995B1 (en)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based on online integration platform
WO2016158987A1 (en) Fertigation system, fertigation control server, salts accumul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soil ec sensor
AU20182380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crop irrigation
US10874062B2 (en) Moisture content observation device, moisture content obser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device
RU2010150342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OLOR POINT OF THE LED LIGHT SOURCE
WO2008149361A2 (en) Water and fertilizer management system
US201403664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rop growth
KR20190085220A (en) Smart pot
CN115135139A (en) Estimating harvest time of plant parts based on light measurement information
KR20130126205A (en) Plant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
CN113168599A (en)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and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device
KR20190079999A (en) Sensor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garden management
KR102214008B1 (en) Plant Growth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Plant using the same
CN116380708B (en) Irrigation quantity prediction method, device, system, equipment and medium
Teoh et al. Smart planter: A 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system prioritizing usability for urban home owner
WO2021248773A1 (en) Crop dynamic monitor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KR20210056213A (en) Farm operat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ung et al. Wireless Sensor Based Monitoring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Application.
KR20210051200A (en) plant growth simulator
KR201200957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growth in city farm control system
Lee et al. Implementation of IoT Plant Growth Chamber based on Raspberry Pi
CN114527813B (en) Dynamic adjustment verification method based on Internet
CN112816621B (en) Method for measuring potassium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for hydroponic vegetable production
KR20180091471A (en) Cultivatio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