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799A -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799A
KR20190079799A KR1020170181773A KR20170181773A KR20190079799A KR 20190079799 A KR20190079799 A KR 20190079799A KR 1020170181773 A KR1020170181773 A KR 1020170181773A KR 20170181773 A KR20170181773 A KR 20170181773A KR 20190079799 A KR20190079799 A KR 2019007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erver
unit
ope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씨
Priority to KR102017018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799A/ko
Publication of KR2019007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사료가 반려 동물에게 제공되고, 이러한 사료의 공급 시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고, 사료의 잔량이 설정 수치 미만인 경우 사료를 배송하므로 사료를 미리 구매할 필요가 없고, 사료의 구매시기를 놓치지 않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사료의 공급량 및 공급 주기가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 동물의 종 및 개월수에 비해 평균치를 지나치게 벗어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개입하여 수정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Auto feeding system using IO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사료가 반려 동물에게 제공되고, 이러한 사료의 공급 시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고, 사료의 잔량이 설정 수치 미만인 경우 사료를 배송하므로 사료를 미리 구매할 필요가 없고, 사료의 구매시기를 놓치지 않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사료의 공급량 및 공급 주기가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 동물의 종 및 개월수에 비해 평균치를 지나치게 벗어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개입하여 수정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려 동물을 기르는 국내 인구는 현재 1000만명을 넘어서고 관련 시장 규모만 2조원대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2020년까지 약 6조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려 동물을 기르는 가정의 최대 고민거리는 여행, 출장 등으로 가정을 장시간 비우는 경우에 반려 동물의 급식이 해결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설정된 양 만큼의 사료가 자동으로 공급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조작하여 사료의 공급 시점을 설정해야 했으므로, 갑작스런 출장, 애사 등으로 인해 사료 공급 장치의 자동 공급 시점을 설정하지 못한 채 집을 비워야 하는 경우 이를 해결할 방도가 없어 반려 동물이 결식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가 직접 사료의 잔량을 체크하고 사료를 주문해야 했으므로, 사료의 잔량체크를 잊은 경우 사료가 없어 반려 동물이 결식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었다.
따라서, 외부에서 원격으로 사료의 공급 시점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사료의 잔량에 따라 자동으로 사료가 가정에 배송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20-1995-0026211(공개번호) 1995.10.16.
본 발명은, 자동으로 사료가 반려 동물에게 제공되고, 이러한 사료의 공급 시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의 잔량이 설정 수치 미만인 경우 사료를 배송하므로 사료를 미리 구매할 필요가 없고, 사료의 구매시기를 놓치지 않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사료의 공급량 및 공급 주기가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 동물의 종 및 개월수에 비해 평균치를 지나치게 벗어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개입하여 수정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저장부로부터 불출되는 사료를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의 하방 또는 측방에 구비되는 취식부와, 상기 개폐부에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료 공급 장치; 상기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사료 공급 장치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 내의 사료가 설정 높이 미만인 경우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잔량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잔량 측정부로부터 생성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잔량 측정부가 구비된 상기 사료 공급 장치를 보유한 가정에 사료를 배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어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료 공급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료의 성분 정보, 효능 정보, 섭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료의 구매 의사를 수신한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사료가 반려 동물에게 제공되고, 이러한 사료의 공급 시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량 측정부가 구비되어서 사료의 잔량이 설정 수치 미만인 경우 사료를 배송하므로 사료를 미리 구매할 필요가 없고, 사료의 구매시기를 놓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사료의 공급량 및 공급 주기가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 동물의 종 및 개월수에 비해 평균치를 지나치게 벗어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개입하여 수정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의 사료 배송 판단 과정의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의 사료 공급 시기 설정 과정의 순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료를 수용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료를 불출하는 사료 공급 장치(100)와, 사료 공급 장치(100)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200)와, 서버(200) 또는 사료 공급 장치(100)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300)과, 서버(200) 또는 사료 공급 장치(100)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료 공급 장치(100)는, 설정 시간마다, 제어 신호가 있을 때마다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사료를 불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부(미도시)와, 저장부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미도시)와,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부로부터 불출되는 사료를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부의 하방 또는 측방에 구비되는 취식부(미도시)와, 개폐부에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는, 사료를 저장하고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된 사료가 취식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저장부는 상단에 개폐 가능한 캡이 구비되어 있어 사료의 보충시 상단의 캡을 열고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장부는 내부에 수용된 사료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만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저장부의 일측에는 사료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잔량 측정부가 구비된다. 잔량 측정부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료에 의해 적외선 신호가 막혀있을 때에는 측정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사료가 잔량 측정부의 높이 아래로 내려간 경우에 적외선 신호가 도통되어 측정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잔량 측정부는 하나의 잔량 측정부가 구비되는 경우 저장부의 하단 부근에 구비되어서 저장부의 사료가 설정 높이 미만인 경우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잔량 측정부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각 잔량 측정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며, 각 잔량 측정부는 각각 구비된 높이 미만으로 사료가 내려가는 경우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서버(200)로 전송한다는 기재의 의미는 바람직하게는 잔량 측정부로부터 생성된 측정 신호가 제어부에 의해 통신부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되는 것이나, 기재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거치는 과정은 생략하도록 한다.
개폐부는, 저장부 내의 사료가 외부로 불출될 수 있도록 저장부의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저장부의 개구부 하방에 구비된다.
이러한 개폐부는 전동식으로 작동되며, 제어부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하여 개페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취식부는,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부로부터 불출되는 사료를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개폐부의 하방 또는 측방에 구비된다.
이러한 취식부는 반려 동물이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넓은 용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개폐부에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잔량 측정부의 측정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서버(200)로부터 제어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개폐부의 개방 또는 폐쇄 시간, 간격 등을 조절하며, 이를 위하여 개폐부, 잔량 측정부,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어부는 사료 공급 장치(100)의 일측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개폐 시간, 간격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설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것이 아닌 수동 모드의 개방 역시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인터페이스부상에는 수동 공급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는, 사료 공급 장치(100)와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하여 유무선 공유기 또는 라우터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안테나가 구비되어서 무선으로 공유기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3G 또는 LTE 모듈이 구비되어서 직접 통신사의 휴대용 네트워크망에 접속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신비 등의 지출이 요구되므로 와이파이 또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인터넷상으로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신부는 블루투스 등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300)과의 직접 접속이 가능하다.
서버(200)는, 사료 공급 장치(100)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사료 공급 장치(100)의 통신부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서버(200)는 각 사료 공급 장치(100)의 설치 장소, 각 사료 공급 장치(100)의 설치 장소에 살고 있는 반려 동물의 종류 및 개월수, 각 사료 공급 장치(100)의 설치 장소에 판매된 사료의 종류, 각 사료 공급 장치(100)의 현재 개폐 설정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제어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사료 공급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설정 신호가 저장된 반려 동물의 종류 및 개월수에 비추어 과도하게 평균치를 어긋난 경우 단말기 오조작에 의한 잘못된 설정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에는 사료의 종류 및 각 종류의 사료에 대한 성분 정보, 효능 정보, 섭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의 제공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료의 구매 의사가 수신되면 즉시 또는 차후 공급 시점부터 구매 의사가 반영된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서버(200)는 사료 공급 장치(100)로부터 잔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하나의 잔량 측정부가 구비된 사료 공급 장치(100)는 측정 신호가 수신되는대로, 그리고, 복수의 잔량 측정부가 구비된 사료 공급 장치(100)는 최하단의 잔량 측정부로부터 측정 신호가 수신되는대로, 측정 신호를 전송한 사료 공급 장치(100)를 보유한 가정에 사료를 배송한다. 이때 배송되는 사료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정보에 따라 이루어지며, 사료의 배송 전에 사용자에게 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사료의 배송 이후 대금을 청구할수도 있고 예치금을 미리 충전한 후 예치금 내에서 사료가 배송될 수 있도록 구성될수도 있다. 이때, 사료를 배송한다는 의미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서버가 어떠한 일을 하는 것이 아닌, 관리자 단말(400)에 사료의 배송을 요청함으로써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함은 명백하다. 이 경우 관리자 단말(400)은 사료 판매 업체의 관리용 컴퓨터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사료 공급 장치(100)의 저장부에 사료가 설정 높이 미만으로 남게 되면 서버(200)가 자동으로 사료를 가정에 배송하므로, 사용자가 사료의 잔량을 미처 체크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사료의 끊김 없는 공급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200) 또는 사료 공급 장치(100)의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스마트폰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외부에서 사료 공급 장치(100)의 공급 시간, 간격 등을 조절하고 싶을 때, 서버(200)에 접속하거나 또는 고유의 접속ip를 통해 사료 공급 장치(100)에 접속하여 설정값을 수정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에는 서버(200)로부터 사료의 잔량이 설정 수치 미만으로 떨어졌음이 공지되고, 사료를 구매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푸시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료의 구매 여부 확인 없이 자동으로 사료가 배송될 수 있도록 설정할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에는 서버(200)로부터 사료의 종류 및 각 종류의 사료에 대한 성분 정보, 효능 정보, 섭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료 정보는 웹페이지 링크 형태로 전송되거나 어플리케이션상에 표출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서버(200) 또는 사료 공급 장치(100)의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스마트폰 또는 PC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외부에서 사료 공급 장치(100)의 공급 시간, 간격 등을 조절해야 할 때, 서버(200)에 접속하거나 또는 고유의 접속ip를 통해 사료 공급 장치(100)에 접속하여 설정값을 수정한다.
관리자 단말(400)에는 서버(200)로부터 가정으로의 사료의 배송이 요청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료의 배송이 승인되면 해당 정보가 전송되어서 관리자로 하여금 가정에 사료를 배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자동으로 사료가 반려 동물에게 제공되고, 이러한 사료의 공급 시점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량 측정부가 구비되어서 사료의 잔량이 설정 수치 미만인 경우 사료를 배송하므로 사료를 미리 구매할 필요가 없고, 사료의 구매시기를 놓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사료의 공급량 및 공급 주기가 사용자가 등록한 반려 동물의 종 및 개월수에 비해 평균치를 지나치게 벗어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개입하여 수정할 수 있으므로, 반려 동물의 결식 또는 과다 급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사료 공급 장치
200 : 서버
300 : 사용자 단말
400 : 관리자 단말

Claims (5)

  1. 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저장부로부터 불출되는 사료를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의 하방 또는 측방에 구비되는 취식부와, 상기 개폐부에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료 공급 장치;
    상기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통신부에 제어 설정 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
    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 장치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 내의 사료가 설정 높이 미만인 경우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잔량 측정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잔량 측정부로부터 생성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잔량 측정부가 구비된 상기 사료 공급 장치를 보유한 가정에 사료를 배송하도록 관리자 단말에 요청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어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료 공급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료의 성분 정보, 효능 정보, 섭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료의 구매 의사를 수신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KR1020170181773A 2017-12-28 2017-12-28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KR20190079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73A KR20190079799A (ko) 2017-12-28 2017-12-28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773A KR20190079799A (ko) 2017-12-28 2017-12-28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799A true KR20190079799A (ko) 2019-07-08

Family

ID=6725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773A KR20190079799A (ko) 2017-12-28 2017-12-28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7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293A (ko) 2021-11-11 2023-05-19 주식회사 마크에이치 잔량 측정이 가능한 자동 급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11U (ko) 1994-03-16 1995-10-16 노용섭 동물사료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11U (ko) 1994-03-16 1995-10-16 노용섭 동물사료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293A (ko) 2021-11-11 2023-05-19 주식회사 마크에이치 잔량 측정이 가능한 자동 급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706B1 (ko) 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ES2753298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monitorización y la alimentación remotas de mascotas
US201900292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nd feeding a pet
KR101348964B1 (ko) 사료 자동 급여 장치 및 시스템
US200502843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feeding animals
KR101756360B1 (ko)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US9750229B2 (en) In-home pet feeding and monitoring system
US20170150698A1 (en) Multi-animal feeder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8893653B2 (en) Animal feeder
WO2009063415A2 (en) Smart automatic animals feeder (saaf)
US20150373945A1 (en) Smart Animal Feeder
US11026399B2 (en) Automated animal feed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402732B1 (ko)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JP2018509931A (ja) 動物に給餌するための自動化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70000956A (ko) 반려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WO2016142866A1 (en) Automatic pet feeding system
KR20190079799A (ko) 사물인터넷 기반 반려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
WO2019058311A1 (en) DOMESTIC ANIMAL FEEDING DEVICE
KR20190012583A (ko) 양식장용 스마트 자동 급이 장치
KR102373592B1 (ko) 반려동물 급식 장치
US11622535B2 (en) Pellet dispenser for laboratory animal cages
GB2578071A (en) An animal feeder
KR101727278B1 (ko)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KR20180095206A (ko) 반려동물 원격 사료배급 제어장치
KR20200011177A (ko)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