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700A -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700A
KR20190078700A KR1020170171907A KR20170171907A KR20190078700A KR 20190078700 A KR20190078700 A KR 20190078700A KR 1020170171907 A KR1020170171907 A KR 1020170171907A KR 20170171907 A KR20170171907 A KR 20170171907A KR 20190078700 A KR20190078700 A KR 2019007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yster
farm
information collect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병호
Original Assignee
바른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른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른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700A/en
Publication of KR2019007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7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ing system, capable of easily and integrally managing an oyster farm and a workplace in a remote place. The system comprises: a GPS receiver (100) installed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a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00)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workplace information; and a farmed oyster control center (300) displaying each data.

Description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0001]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0002]

본 발명은 굴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으로 굴양식장과 박신장 및 세척장 등의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에서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을 통합관리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provides environment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together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oyster farms, And a GI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that collectively manages oyster farms and work sites at a remote site.

일반적으로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바다의 우유'라 불리는 고영양식품으로 인기가 많은 굴(oyster)은 사새목(Filibranchia) 굴과의 이매패류(Bivalvia)에 속하며 그 종류에는 참굴, 아메리카굴, 포르투갈굴, 호주굴, 봄베이굴, 갓굴, 토굴, 유럽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참굴(pacific oyster)을 지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Oyster, which is popular as a nutritious food called 'sea milk' because it is generally rich in vitamins and minerals, belongs to the Bivalvia with Filibranchia oysters, which include oysters, Portugal oysters, Australian oysters, Bombay oysters, grottoes, crypts, and European oysters, but most of the domestic oysters (pacific oyster) are often referred to.

이러한 굴은 이매패류 중에서도 좌우의 패각(貝殼)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산란 시기는 22~25℃의 수온을 갖는 6~8월경에 이루어지며 수천만 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깬 직후의 유생(幼生)은 수중의 플랑크톤을 먹이로하여 부유생활을 하며 자라는 동안 몇 차례의 변태를 거쳐 2∼3주일이 지나 치패(稚貝)로 성장하면 바위 등에 부착하여 부착생활에 들어가고 만 1년이 지나면 성패(成貝)가 된다.These oysters are characterized by asymmetrical shell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bivalve. The egg laying time is from June to August with a temperature of 22 ~ 25 ℃, and gives birth to tens of millions of eggs. The larva immediately after breakage from the egg is fed with the plankton in the water and lives in a floating state. It grows up to 2 ~ 3 weeks after several metamorphoses while growing, After one year, it will be a success.

한편, 굴은 연안에서 일부 채취하기도 하지만 굴의 수요가 많아 대부분 양식을 통해서 수확되고 있는데 굴 양식에는 채묘(採苗), 양성, 수확의 과정을 갖으며 채묘란 부착생활기에 들어간 굴 치패가 착생할 수 있도록 부착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모패의 산란방식에 따라 자연채묘와 인공채묘가 있으며, 양성은 치패를 성장시키는 과정이며 수확은 성장된 굴 성패를 수확하는 과정이다. 또한, 수확된 굴은 생굴, 건조굴, 자숙굴, 젓갈 및 통조림의 형태로 포장되어 출하되며, 대부분 굴의 생산공정은 껍질을 제거하는 박신장(剝身場)을 거쳐 세척, 보관, 포장 및 출하의 공정으로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some oysters are collected from the coast, but oysters are mostly harvested through aquaculture, and oyster cultivation has a process of seedling, breeding and harvesting. It is a process of growing earthworms, and harvesting is the process of harvesting the grown oysters. In addition, the harvested oysters are shipped packed in the form of oysters, dry oysters, salted oysters, salted fish, and canned foods. Most of the oysters' production processes are washed, stored, packaged And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shipment.

그러나, 이러한 양식굴의 생산공정은 현재 양식장 및 각각의 작업장의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다음 작업자의 작업자에게 인수인계하는 방식으로 관리됨으로 인하여 양식장 및 작업장의 생태환경과 작업환경의 객관적인 관리에 한계가 있고, 양식장과 박신장 및 세척장 등의 작업장 각각의 위치를 원격지에서 파악하고 관리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is aquaculture is managed individually at the farm site and the site of each work site and is handled by taking over to the worker of the next worker, there is a limit to the objective manage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farm and the work environment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it is also difficult to remotely locate and manage the locations of the work sites such as farms, poultry houses, and washing plac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에서 위치정보와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포함하는 수집데이터를 원격지에서 지도 상에 맵핑하여 통합 관리하는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기반으로 한 양식굴의 통합 생산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or mapping collected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job information at a remote site to a map, Based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for aquacult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으로 굴양식장과 박신장 및 세척장 등의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에서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을 통합관리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yster farm, And a GI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oyster farms and work sites in a remote loc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육지 또는 연안에 설치된 다수개의 굴양식장(10)과, 상기 굴양식장으로부터 수확된 양식굴의 껍데기를 제거하는 박신장(20)과, 상기 박식장에서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을 세척하는 세척장(30)과, 상기 세척장에서 세척된 양식굴을 냉동보관하는 냉동고(40)와, 상기 냉동고에 냉동보관된 양식굴을 출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진공포장하는 포장실(50)과, 상기 포장실에서 진공포장된 양식굴을 출하하는 출하장(50)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도록 설치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00)와; 상기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출하장(60) 각각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와; 상기 GPS 수신기(100) 및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되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양식굴의 생산부터 출하과정까지의 수집된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지도 상에 위치정보와 함께 표시되도록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 및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출하장(60) 각각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 각각의 데이터를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된 지도에 맵핑(Mapping)하여 표시하는 양식굴관제센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yster farm, comprising: a plurality of oyster farms (10) installed on a land or a coast; a thin stretch (20) for removing a shell of a farm oyster harvested from the oyster farm; A freezer (40) for freezing and storing the oyster which has been washed in the washing section, and a preliminary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frozen aquaculture oyster in the freezer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100 installed to collect positio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packaging rooms 50 for vacuum packing and shipping outlets 50 for shipping the vacuum packaged oysters in the packaging room; A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of each of the oyster farm 10, the thinning shelf 20, the washing shelter 30, the freezer 40, the packaging room 50, 200);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roduction of the aquaculture oyster to the shipping process are transmitted to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at a remote location communicated by wire or wireless, , The oyster farm (10), the thinning elongation (20), and the washing site (200)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00)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freezer 40, the freezer 40, the packaging room 50, and the shipment field 60,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mapped and displayed on the map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And a culture oyster control center (300).

또한,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는, 상기 굴양식장(1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굴양식장 각각의 수온 및 영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와 채묘, 수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를 수집하는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와, 상기 박신장(20)에 설치되고,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의 처리량정보 및 작업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와, 상기 세척장(30)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에 설치된 세척조의 위생상태 및 작업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와, 상기 냉동고(40)에 설치되고, 상기 냉동고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도록 온도를 측정하는 냉동고온도센서(241)가 구비된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와, 상기 포장실(50)에 설치되고, 상기 포장실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포장실관리카메라(251)가 구비된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와, 상기 출하장(60)에 설치되고, 상기 출하장의 출하정보를 수집하는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is installed in the oyster farm 10 and collects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temperature and image of each oyster farm and the progress information on the grain, A thin stretch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installed in the thin stretch 20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throughput and the work environment of the aquaculture excavated oyster, A washing sp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installed in the freezing chamber 40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a sanitary condition and a working environment of the washing tub installed in the washing room; A freez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provided with a freezing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241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241 for measuring a freezing compartment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 packag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60) for collecting the shipment information of the shipment field.

또한,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는, 상기 굴양식장의 수온을 측정하는 양식장수온센서(211)와, 상기 굴양식장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양식장DO센서(212)와, 상기 굴양식장의 주변환경을 촬영하는 양식장관리카메라(213)와, 상기 양식굴의 채묘일자, 수하일자, 수하장소 및 수확일자를 포함하는 채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양식굴의 진행상태에 따라 채묘용 부착기 로프, 수하부자 또는 수확용 목구에 부착되는 양식장RFID태그(214)와, 상기 수확용 목구에 부착된 양식장RFID태그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주파수 식별자)신호를 수신하는 양식장RFID리더기(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rm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10 includes a farm water temperature sensor 211 for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oyster farm, a farm site DO sensor 212 for measuring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oyster farm site, And the progress information of the harvesting and harvesting conditions including the date of harvesting, the date of harvest, the place of harvest, the date of harvest and the harvest date of the culture oysters are inputted, A farm RFID reader (214) for receiving a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ignal of a farm RFID tag attached to the harvesting mower 215).

또한, 상기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는,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의 처리량정보를 수집하도록 껍데기가 제거된 상기 양식굴의 무게를 계측하는 박신장전자저울(221)과, 상기 박신장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박신장관리카메라(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includes a thin elongation electronic scale 221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ulture oyster from which the shell has been removed so a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throughput of the oyster from which the shell has been removed, And a thinning management camera (222) for photographing a working environment.

또한, 상기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는, 껍데기가 제거된 상기 양식굴의 세척을 위한 산소기포를 만드는 마이크로버블의 작동상태 및 상기 세척조의 위생상태를 수집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담겨진 세척수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세척조DO센서(231)와, 상기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에 살균소독 목적으로 첨가된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잔류염소검출기(232)와, 상기 세척장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세척장관리카메라(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ing fiel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collects the operating state of microbubbles for making oxygen bubbles for washing the culture oyster with the shell removed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bath to collect the hygiene state of the washing bath A residual chlorine detector 232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added to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for the purpose of sanitizing and disinfecting the washing water, 233).

또한, 상기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는, 상기 출하장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출하장관리카메라(261)와, 상기 출하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출하장의 출구에 출하되는 포장된 양식굴에 부착되고, 출하일자, 출하장소 및 출하량을 포함하는 출하정보가 저장된 출하굴RFID태그(262)와, 상기 출하굴RFID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출하굴RFID리더기(2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ipboar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further includes a shipboard management camera 261 for photographing the shipyard work environment and a warehouse management camera 261 attached to the packed oyster shipped to the exit of the shipyard to collect the shipping information, A shipment cave RFID tag 262 storing shipment information including a shipment date, a shipment location and a shipment amount, and a shipment oyster RFID reader 263 receiving a signal of the shipment cave RFID tag.

또한,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 각각은, 각각의 수집데이터를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에 송신하도록 상기 양식굴관제센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rm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the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Each of the devices 260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to transmit respective collection data to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

또한,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는,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 각각에 포함된 상기 통신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관제센터통신모듈(320)과, 상기 GPS 수신기(100)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 데이터와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 박신장정보수집장치, 세척장정보수집장치, 냉동고정보수집장치, 포장실정보수집장치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작업장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33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포함하는 수집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연동시켜 기저장된 지도에 맵핑(Mapping)하는 맵핑수단(340)과, 상기 수집데이터가 상기 관제용모니터(710)에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관리자가 조작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includes the far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A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module 320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each of the collecting device 250 and the shipyar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The data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collected from each of the farm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the packag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shipp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re collected (DB) 330 for collecting the oyster farms and the workplace, a database (DB) 330 for storing the oyster farms and workplaces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llecting data inclu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a user interface (UI) 350 that is operated by an administrator so that the collected data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monitoring monitor 710 .

본 발명에 따른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으로 굴양식장과 박신장 및 세척장 등의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와 함께 작업장정보수집장치를 통해 작업장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에서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지도 상에 맵핑시켜 표시함으로써,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을 용이하게 통합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I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yster farm, oyster farm,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yster farm are collected and displayed on the map by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remote place.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 중 작업장정보수집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실시예 중 양식굴관제센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을 통해 굴양식장 및 작업장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가 관제용모니터의 지도에 맵핑되어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
1 and 2 schematically show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in the embodiment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ulture oyster control center in the embodiment of Fig. 2
FIG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location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oyster farm and a workplace mapped and displayed on a map of a control monitor through a GI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l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the different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The prior art should be interpreted by itself.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따른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GPS 수신기(100),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 및 양식굴관제센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e embodiment of the GI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receiver 100, a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00, and a culture oyster control center 300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s.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굴의 생산부터 출하과정까지의 양식 및 가공작업이 이루어지는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및 출하장(60)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에 설치되고, 수집된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 데이터는 후술할 양식굴관제센터(300)로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으로 송신된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란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 또는 기기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으로,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내비게이션장치에 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등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추세이고, 본 발명에서는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를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GPS 신호를 수신한다.1 and 2,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100 includes an oyster farm 10, a poultry house 20, a washing facilit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llected oyster farms and workplaces is provided to each of the oyster farms and the workplaces, Is transmitted to the culture control center 3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s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nd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of a user or a device. It is mainly used for navigation devices such as an aircraft, a ship, and an automobile. Tablet PC,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GPS signals are received for the purpose of easily locating oyster farming sites and work sites in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at a remote site.

한편, 굴양식장(10)은 육지 또는 연안에 다수개로 설치된 것으로, 굴을 양식을 위한 채묘(採苗), 양성, 수확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채묘란 부착생활기에 들어간 굴 치패가 착생할 수 있도록 부착기를 공급하는 것이며, 양성은 치패를 성장시키는 과정이고, 수확은 성장된 굴 성채를 수확하는 과정이다. 또한, 박신장(20)은 상기 굴양식장으로부터 수확된 양식굴의 껍데기를 제거하는 작업장이고, 세척장(30)은 상기 박식장에서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을 세척하는 작업장이며, 냉동고(40)는 상기 세척장에서 세척된 양식굴을 냉동보관하는 작업장이고, 포장실(50)은 상기 냉동고에 냉동보관된 양식굴을 출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진공포장하는 작업장이며, 출하장(50)은 상기 포장실에서 진공포장된 양식굴을 출하하는 작업장이다.On the other hand, oyster farms (10) are installed on a large number of land or coastal areas. The oysters are cultivated for the cultivation of oysters, cultivated, harvested and harvested. It is the process of growing sticks, and harvesting is the process of harvesting the grown oysters. The freezing chamber (40) is a work area for washing a culture oyster from which the shell is removed from the oven, and the freezing chamber (40) is a work area for removing the oyster shell from the oyster farm. (50) is a workshop for vacuum packing the cocoons stored in the freezer by a preliminary work for shipment of cocoons stored in the freezer, and the shipment field (50) It is a workshop where vacuum packed oysters are shipped from packing rooms.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출하장(60) 각각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를 포함한다.1 to 4, the work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includes the oyster farm 10, the thin stretch 20, the washing shelf 30, the freezer 40, the packing chamber 50, The wash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reezing room 60, A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and a shipyar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

구체적으로,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는 상기 굴양식장(1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굴양식장 각각의 수온 및 영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와 채묘, 수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양식장수온센서(211), 양식장DO센서(212), 양식장관리카메라(213), 양식장RFID태그(214) 및 양식장RFID리더기(215)를 포함한다. 상기 양식장수온센서(211)는 상기 굴양식장(10)의 수온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양식굴의 채묘, 수하 및 수확되는 장소 각각의 수온을 측정하며, 예를 들어 부착생활기에 들어간 양식굴의 치패가 착생할 수 있도록 부착기를 공급하는 채묘과정을 위해 육지에 마련된 육상수조와, 상기 양식굴의 치패를 성장시키는 양성과정을 위하여 부자(浮子)에 의해 해면에 띄워진 로프에 수하연을 매달아 연승 수하식으로 양식하는 연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quacultur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is installed in the oyster farm 10, and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water temperature and image of each oyster farm, and progress information of the embryo, A farm site DO sensor 212, a farm site management camera 213, a farm RFID tag 214, and a farm RFID reader 215. The farm site water temperature sensor 211, the farm site DO sensor 212, The aquaculture water temperature sensor 211 measures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oyster farm 10 and measures the water temperature of each place where the aquaculture is harvested, harvested and harvested. For example, And a rope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sea by means of a float for the cultivation process of growing the spore of the culture oyster, , Respectively.

또한, 상기 양식장DO센서(212)는 상기 굴양식장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육지 또는 연안에 설치된 굴양식장 각각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DO센서(Dissolved Oxygen Sensor)란 굴을 포함한 물 속에서 생활하는 어패류에게 필요한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여기서, 상기 양식장수온센서(211) 및 양식장DO센서(212)의 검출된 값은 후술할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에서 관리자가 양식장의 환경정보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검출된 값이 기설정된 양식굴의 채묘 또는 양성을 위한 적정한 수온 및 용존산소량에 벗어날 경우 굴양식장의 작업자가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특히 여름철 많은 일조량과 높은 수온으로 연안에 발생하는 적조로 인해 용존산소량이 줄어드는 적조 현상이 발생시 검출된 수온과 용존산소량으로 신속히 인지하고 황토를 살포하는 등의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sh farm DO sensor 212 measures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oyster farm, and measures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each oyster farm located on the land or coast. The DO sensor (Dissolved Oxygen Sensor) It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required for fish and shellfish living in the environment. Here, the detected values of the aquaculture water temperature sensor 211 and the aquaculture DO sensor 212 are used for an administrator to easily monito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farm in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f the detected value deviates from the predetermined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amount for the cultivation or proliferation of the aquaculture oyster, the oyster farm operator can promptly respond. Especially, It is possible to promptly recognize the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amount detected when the red tide phenomenon in which the oxygen amount is reduced, and to respond such as spraying the yellow soil.

또한, 상기 양식장관리카메라(213)는 상기 굴양식장의 주변환경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의 관제용모니터(310)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됨으로써, 상기 굴양식장의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경변화, 장비파손 및 도난, 외부인침입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식장관리카메라(130)는 야간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과 함께 설치되거나 적외선촬영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식장수온센서(211), 양식장DO센서(212) 및 양식장관리카메라(213)는 육상에 마련된 굴양식장에 설치된 경우 상용전원으로 전원을 공급받고, 연승 수하식 등의 형태로 연안에 마련된 굴양식장에 설치된 경우 배터리 또는 태양광발전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해면에 띄워진 부자(浮子) 및 바지선과 같은 부력체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rm management camera 213 photograph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oyster farm, and a moving image photographed in real time is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of the farm oyster control center 300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oyster farm in real time and to prompt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equipment damage and theft, and invasion of outsiders. Here, the farm management camera 130 may be a camera that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illuminating unit or includes an infrared ray photographing function for night-time photographing. In this case, the farm water temperature sensor 211, the farm site DO sensor 212, and the farm management camera 213 receive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when they are installed in a oyster farm provided on the land, When installed in a farm, it can be powered by batteries or solar power, and can be installed on buoyant bodies such as floats and barges floating on the sea surface.

또한, 상기 양식장RFID태그(214)는 상기 양식굴의 채묘일자, 수하일자, 수하장소 및 수확일자를 포함하는 채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양식굴의 진행상태에 따라 채묘용 부착기 로프, 수하부자 또는 수확용 목구에 부착된다. 여기서, 채묘용 부착기 로프는 부착생활기에 들어간 양식굴의 치패가 착생할 수 있도록 육지에 마련된 육상수조에 설치된 채묘용 부착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수하부자는 채묘과정을 마친 양식굴을 양성목적으로 연안에 연승 수하식으로 설치시 해면에 띄워진 부자를 말하며, 수확용 목구는 양성과정을 마친 양식굴을 수확시 크레인 등의 수확장비를 통해 선박에 용이하게 적재하여 박신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그물망 형태의 양식굴 수확수단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채묘용 부착기 로프, 수하부자 및 수확용 목구 각각에 상기 양식장RFID태그를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키고, 부착시 채묘일자, 수하일자, 수하장소 및 수확일자를 포함하는 채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를 순차적으로 중첩시켜 입력하여 후술할 양식장RFID리더기(215)를 통해 상기 채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채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는 양식장RFID태그의 수량을 통해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양식굴의 채묘량 및 수확량도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rm RFID tag 214 receives progress information of the harvesting and harvesting conditions including the date of harvesting, the date of harvest, the place of harvest and the harvest date of the farm oysters, Rope, submerged or harvested mulch. Here, the attachment rope for sowing is for fixing a sowing attachment device installed on a land-based water tank provided for landing so that the spoons of the aquaculture entering the attachment lifespan can be integrated, , And the harvesting neck is used as a mesh type for easily transporting the oysters that have been cultivated to the ship through harvest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when harvesting the oysters. Means oyster harvesting means. Thus, the farm RFID tag is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f the rope for attaching rope for sowing, the lot under water, and the harvesting mowel so as to be reusable, and the sowing and harvesting including the date of sowing, The progress information of the seeding and harvesting state can be easily grasped through the farm RFID readers 215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gress information of the harvesting and harvesting conditions may include the amount of harvesting and harvesting of the oyster oysters which can be utilized as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quantity of the RFID tags in the farm.

또한, 상기 양식장RFID리더기(215)는 상기 수확용 목구에 부착된 양식장RFID태그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주파수 식별자)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이를 통해 상기 양식굴의 채묘일자, 수하일자, 수하장소, 수확일자, 채묘량 및 수확량을 포함하는 채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를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에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rm RFID reader 215 receive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ignals of a farm RFID tag attached to the harvesting mower, through which the farming date, The progress information of the harvesting and harvesting status including the harvesting place, harvest date, harvest time and yield can be easily monitored at the breeding facility control center 300 at the remote site.

다음으로, 상기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는 상기 박신장(20)에 설치되고,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의 처리량정보 및 작업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박신장전자저울(221) 및 박신장관리카메라(222)를 포함한다. 상기 박신장전자저울(221)은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의 처리량정보를 수집하도록 껍데기가 제거된 상기 양식굴의 무게를 계측하는 것으로, 수집된 계측값은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에서 취합하여 일일처리량, 주간처리량 및 월간처리량 등의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Next,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2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throughpu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ulture oyster removed from the thinning elongation 20, 221 and a thin elongation management camera 222. The thin elongation electronic scale 221 measures the weight of the culture oyster from which the shell has been removed so a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throughput of the culture oyster removed from the shell, And can be used as statistical data such as daily throughput, weekly throughput and monthly throughput.

또한, 상기 박신장관리카메라(222)는 상기 박신장(20)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의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박신장의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비파손 및 도난, 외부인침입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신장관리카메라(222)는 야간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과 함께 설치되거나 적외선촬영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n elongation management camera 222 is a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thin stretch 20, and a moving image photographed in real time is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of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hin elongation in real time and to promptly respond to breakage or theft of the equipment or invasion by an outside person. Here, the thin film thickness management camera 222 may be a camera that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illuminating means or includes an infrared ray photographing function for night shooting.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는 상기 세척장(30)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에 설치된 세척조의 위생상태 및 작업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세척조DO센서(231), 잔류염소검출기(232) 및 세척장관리카메라(233)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조DO센서(231)는 껍데기가 제거된 상기 양식굴의 세척을 위한 산소기포를 만드는 마이크로버블(Micro Bubble)의 작동상태 및 상기 세척조의 위생상태를 수집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담겨진 세척수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마이크로버블(Micro Bubble)의 산소기포를 통해 껍데기가 제거된 상기 양식굴을 버블세척하면서 세척수 내에 용존산소량을 늘려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함으로써 세척수의 수질을 깨끗히 유지시키고, 상기 세척조DO센서(231)를 통해 마이크로버블(Micro Bubble)의 작동상태 및 상기 세척조의 위생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washing fiel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sanitary condition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ashing tub installed in the washing field. To this end, the washing tub information sensor 230 ), A residual chlorine detector 232, and a cleaning field management camera 233. The washing bath DO sensor 231 measures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tub to collect the operating state of the micro bubble for making oxygen bubbles for cleaning the culture oyster from which the shell is removed and the hygiene state of the washing tub, It is a sensor to measure. That i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washing water by bubbling the culture oyster with the shell removed through oxygen bubbles of micro bubble, the water quality of the washing water is kept clean by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The operating state of the micro bubble and the hygiene state of the washing tub can be grasped.

또한, 상기 잔류염소검출기(232)는 상기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에 살균소독 목적으로 첨가된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수돗물을 세척수로 사용할 경우 수돗물에 잔류된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세척장 내에서 세척수의 소독을 위해 첨가된 염소의 시간 경과에 따른 잔류 염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에서 검출값을 모니터링하면서 양식굴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서의 적정한 염소농도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조DO센서(231)와 함께 세척조의 위생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비위생으로 인해 발생하는 식중독 및 노로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잔류염소검출기(232)는 공지된 염소검출기를 사용하고, 검출값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로 송신되도록 한다.The residual chlorine detector 232 is a detecting mean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added to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tank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urposes. For example, when the tap water is used as washing water,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remaining in the tap water is measured Or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chlorine over time of chlorine added to disinfect the wash water in the wash liqu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detected value at the remote oyster control center 300 and to maintain the proper chlorine concentration as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culture oyster, and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washing tub together with the washing bath DO sensor 231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poisoning and norovirus caused by unsanitary diseases. On the other hand, the residual chlorine detector 232 uses a known chlorine detector, and the detect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at a remote site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세척장관리카메라(233)는 상기 세척장(30)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의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세척장의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비파손 및 도난, 외부인침입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장관리카메라(233)는 야간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과 함께 설치되거나 적외선촬영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The washing field management camera 233 is a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ashing field 30.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ed in real time is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of the aquarium control center 300 Thu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washing field in real time, and to promptly cope with equipment breakage, theft, and invasion by outsiders. Here, the washing field management camera 233 may be a camera installed together with the illuminating means or having a function of taking an infrared ray for night-time photographing.

다음으로, 상기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는 상기 세척장에서 세척된 양식굴을 냉동보관하는 냉동고(40)에 설치되고, 상기 냉동고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도록 온도를 측정하는 냉동고온도센서(241)가 구비된다.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includes a freezer temperature sensor 241 installed in the freezer 40 for freezing and storing the washed oysters in the washing room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to collec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reezer, .

여기서, 상기 냉동고온도센서(241)를 통해 측정된 상기 냉동고의 온도값은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로 송신되고, 이를 통해 상기 냉동고(40)의 작동 상태를 원격지의 관리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는 냉동고관리카메라(2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고관리카메라(242)는 상기 냉동고(40)의 출입구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의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냉동고의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비파손 및 도난, 외부인침입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동고관리카메라(242)는 야간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과 함께 설치되거나 적외선촬영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freezer measured through the freezer temperature sensor 241 is transmitted to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at a remote place,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reezer 40 can be easily monitored can do. Also,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may further include a freezer management camera 242. The freezer management camera 242 is a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n entrance of the freezer 40. A moving image photographed in real time is displayed on the monitoring monitor 310 of the aquarium control center 300,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real time, thereby enabling to promptly respond to equipment breakage, theft, and invasion by outsiders. Here, the freezer management camera 242 may be a camera that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illumination means for night-time shooting or includes an infrared ray photographing function.

다음으로, 상기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는 상기 냉동고에 냉동보관된 양식굴을 출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진공포장하는 포장실(50)에 설치되고, 포장실관리카메라(251)가 구비된다. 상기 포장실관리카메라(251)는 상기 포장실(50)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의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포장실의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비파손 및 도난, 외부인침입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실관리카메라(251)는 야간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과 함께 설치되거나 적외선촬영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50 is installed in a packing chamber 50 for vacuum packing the pre-stored oyster oysters cryopreserved in the freezer, and a packing chamber managing camera 251 is provided . The packaging room management camera 251 i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packaging room 50. A moving picture photographed in real time is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of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ackaging room in real time and to promptly respond to equipment breakage, theft, and invasion of the outside. Here, the packaging room management camera 251 may be a camera that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lighting unit or includes an infrared ray photographing function for night photography.

다음으로, 상기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는 상기 출하장(60)에 설치되고, 상기 출하장의 출하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출하장관리카메라(261), 출하굴RFID태그(262) 및 출하굴RFID리더기(263)를 포함한다. 상기 출하장관리카메라(261)는 상기 출하장(60)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은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의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됨으로써, 상기 출하장의 주변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비파손 및 도난, 외부인침입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하장관리카메라(261)는 야간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과 함께 설치되거나 적외선촬영 기능을 포함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The shipment fiel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is installed in the shipment field 60 and collects the shipment information of the shipment field. To this end, the shipment fiel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includes a shipment field camera 261, a shipment oyster RFID tag 262 And a shipment oyster RFID reader 263. The shipment field management camera 261 is a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the work environment of the shipment field 60. A moving image photographed in real time is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of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hipyard in real time and thereby to promptly respond to equipment breakage, theft, and invasion by outsiders. Here, the shipment management camera 261 may be a camera which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illuminating means or includes an infrared ray photographing function for night-time photographing.

또한, 상기 출하굴RFID태그(262)는 상기 출하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출하장의 출구에 출하되는 포장된 양식굴에 부착되고, 출하일자, 출하장소 및 출하량을 포함하는 출하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출하굴RFID리더기(263)는 상기 출하굴RFID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으로 현장의 출하장작업자 및 운반자가 용이하게 출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출하장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굴RFID태그(262) 및 출하굴RFID리더기(263)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로 송신됨에 따라 원격지의 관리자가 양식굴의 출하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Also, the shipment oyster RFID tag 262 is attached to a packed oyster shipped to the outlet of the shipment field to collect the shipment information, and shipment information including shipment date, shipment place, and shipment amount is stored. The shipment oyster RFID reader 263 is a means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hipment oyster RFID tag and can be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shipment so that the shipment operator and the carrier in the field can easily grasp the shipment inform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hipment oyster RFID tag 262 and the shipment oyster RFID reader 263 are transmitted to the colony control center 300 at the remote site so that the manager of the remote site can statistically analyze the shipment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한편,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의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 각각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집데이터를 원격지의 양식굴관제센터(300)에 송신하도록 상기 양식굴관제센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217, 227, 237, 247, 257, 267)이 더 포함된다.Meanwhile, the farm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the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1 to 7 , respectively, to transmit the collected data to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at a remote loca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250 and the shipyar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60 may be connected to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And communication modules 217, 227, 237, 247, 257, and 267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및 출하장(60)은 각각 다수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GPS 수신기(100)와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를 다수로 설치하고 각각에 고유번호를 지정하여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에서 각각의 양식장 및 작업장의 식별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The oyster farm 10, the thinning shelf 20, the washing chamber 30, the freezer 40, the packaging chamber 50, and the shipment field 60 may be loca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respectively, A wash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a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and a packer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The GPS receiver 100 is connected to the far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the thinning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And a ship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and assigns a unique number to each of the ship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260, thereby facilitating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each of the aquaculture site and the workplace in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양식굴관제센터(3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PS 수신기(100) 및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되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양식굴의 생산부터 출하과정까지의 수집된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지도 상에 위치정보와 함께 표시되도록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 및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출하장(60) 각각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 각각의 데이터를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된 지도에 맵핑(Mapping)하여 표시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관제용모니터(310), 관제센터통신모듈(320), 데이터베이스(DB,330), 맵핑수단(340)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350)를 포함한다.The culturing facility control center 300 is installed at a remote site, which is connected to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 to 4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so that the collected environment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up to the shipping process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map The data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yster farming site 10, the thinning elongation 20, the washing site 30, the freezer 40, the packaging room 50, and the shipping area 60, And maps and displays the map on the map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 For this, a monitoring monitor 310, a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module 320, a database DB 330, a mapping unit 340, and a user interface (UI) 350 ar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관제용모니터(310)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UI,350)를 통해 사용자 조작으로 상기 GPS 수신기(100)와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의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로부터 수집된 각각의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서,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Image), 텍스트(Text), 그래프(Graph), 도표(Diagram) 등 다양한 형태로 수집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거나 통계되어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monitor 310 is connected to the GPS receiver 100, the farm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10 of the work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The respective pieces of data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the wash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the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and the shipping floo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are selectively As the display means to be displayed, data collec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mage including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a text, a graph and a diagram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or statistically displayed .

또한, 상기 관제센터통신모듈(320)은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의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 각각에 포함된 상기 통신모듈(217, 227, 237, 247, 257, 267)과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 및 관제센터통신모듈을 통해서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 각각은 클라이언트(Client)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는 서버(Serv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은 공지된 통신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통신모듈(320)은 상기 GPS 수신기(100)와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module 32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of the work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00, the thinning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s (217, 227, 237, 247, 257, 267) included in the packag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to be. Here, each of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200 performs a client fun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can perform a server function , And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any known communication means. The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also communicate with the GPS receiver 100 by wire or wireless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oyster farm and the work site, respectively.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DB,330)는 상기 GPS 수신기(100)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 데이터와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작업장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수단이다.The database DB 330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the thinning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Is a means for collecting and storing data o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collected from each of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the packag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and the shipping floo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또한, 상기 맵핑수단(34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포함하는 수집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연동시켜 기저장된 지도에 맵핑(Mapping)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란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자료, 인적자원의 총체적 조직체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양식굴관제센터(300)의 관리자가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와 함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관제용모니터(310)를 통해 용이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GPS 수신기(1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가 지도 상에 맵핑(Mapping)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pping unit 340 may associate collected data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ask information of each oyster farm and workplace stored in the database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s shown in FIG. Here,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n information system that integrates geographical data occupying a spatial position and attribute data related to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efficiently processes various typ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oftware, geographical data, and human resources used for collecting, storing, updating, processing, analyz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ministrator of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Information about the oyster farm and the worksite received via the GPS receiver 10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yster farm and the worksit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yster farm and the workplace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200 are mapped on the map.

예컨대,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을 통해 굴양식장 및 작업장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가 관제용모니터의 지도에 맵핑되어 표시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은 고유번호(A1,A2,…,B5)가 지정된 상태로 지도 상에 현재위치가 표시되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A1-양식장을 선택시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의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로부터 수집된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도 5 및 6은 관제용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지형도에 국한되지 않고 위성지도로 표시될 수 있고, 일일, 주간, 월간 수확량과 같은 통계자료의 경우 관리자의 모니터링이 용이하도록 그래프(Graph) 또는 도표(Diagram)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For example, FIGS. 5 and 6 illustrate mapping of location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of a oyster farm and a workplace on a map of a monitoring monitor through a GI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arm site and the work site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with the specific numbers A1, A2, ..., B5 specified, and when the A1-farm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anage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job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10 are displayed. 5 and 6 schematically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monitoring monitor, and not limited to a topographical map, and may be displayed in a satellite map. In the case of statistical data such as daily, weekly, And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graph or a diagram so as to facilitate monitoring of the user.

또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UI,350)는 상기 수집데이터가 상기 관제용모니터(710)에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관리자가 조작하는 수단으로서, 장치(Hardware)로는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프로그램(Software)으로는 상기 장치의 조작으로 수집데이터가 상기 관제용모니터(310) 상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편집 및 관리용 프로그램이다.The user interface UI 350 is a means for the administrator to operate the controller monitor 710 so that the collected data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710. The hardware includes a mouse, A touch screen or the like can be used and the program is a program for editing and management in which collected data is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by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한편,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지만 수집데이터의 저장, 비교분석을 위하여 대용량의 하드디스크(Hard disk drive), 롬(Rom), 램(Ram) 등의 저장수단과 중앙처리장치(CPU)가 더 포함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may include storage means such as a large-capacity hard disk drive, a ROM, a RAM, and the like for storing and comparing and analyzing collected data. And further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으로 굴양식장과 박신장 및 세척장 등의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와 함께 작업장정보수집장치를 통해 작업장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에서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지도 상에 맵핑시켜 표시함으로써,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을 용이하게 통합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GIS-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llecting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together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oyster farms, poultry houses, and wash shops on the basis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are collected and displayed by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work information on a map at a remote site, thereby easily managing the oyster farm and the work sit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굴양식장 20 : 박신장
30 : 세척장 40 : 냉동고
50 : 포장실 60 : 출하장
100 : GPS 수신기 200 : 작업장정보수집장치
210 : 양식장정보수집장치 220 : 박신장정보수집장치
230 : 세척장정보수집장치 240 : 냉동고정보수집장치
250 : 포장실정보수집장치 260 : 출하장정보수집장치
300 : 양식굴관제센터 310 : 관제용모니터
320 : 관제센터통신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340 : 맵핑수단 350 : 사용자인터페이스
10: oyster farm 20: night kidney
30: Washing chamber 40: Freezer
50: Packing room 60: Outgoing shelf
100: GPS receiver 200: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a far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a thin height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Clean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shipping contain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300: Cultivation control center 310: Monitoring monitor
320: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module 330: database
340: mapping means 350: user interface

Claims (8)

육지 또는 연안에 설치된 다수개의 굴양식장(10)과, 상기 굴양식장으로부터 수확된 양식굴의 껍데기를 제거하는 박신장(20)과, 상기 박식장에서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을 세척하는 세척장(30)과, 상기 세척장에서 세척된 양식굴을 냉동보관하는 냉동고(40)와, 상기 냉동고에 냉동보관된 양식굴을 출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진공포장하는 포장실(50)과, 상기 포장실에서 진공포장된 양식굴을 출하하는 출하장(50)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도록 설치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00)와;
상기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출하장(60) 각각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와;
상기 GPS 수신기(100) 및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되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양식굴의 생산부터 출하과정까지의 수집된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지도 상에 위치정보와 함께 표시되도록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상기 GPS 수신기(100) 및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굴양식장(10), 박신장(20), 세척장(30), 냉동고(40), 포장실(50), 출하장(60) 각각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 각각의 데이터를 관제용모니터(310)에 표시된 지도에 맵핑(Mapping)하여 표시하는 양식굴관제센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20) for removing a shell of a cultured oyster harvested from the oyster farm, and a washing station (10) for washing the oyster from which the shell has been removed from the excavated farm 30, a freezer 40 for freezing and storing the oyster washed in the washing field, a packaging chamber 50 for vacuum packing the preliminary work for shipping the frozen oysters in the freezer,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100 installed to collect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shipment fields 50 for shipment of vacuum packed oysters from the ship;
A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of each of the oyster farm 10, the thinning shelf 20, the washing shelter 30, the freezer 40, the packaging room 50, 200);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roduction of the aquaculture oyster to the shipping process are transmitted to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at a remote location communicated by wire or wireless, , The oyster farm (10), the thinning elongation (20), and the washing site (200)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00)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freezer 40, the freezer 40, the packaging room 50, and the shipment field 60,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mapped and displayed on the map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310 And a culture oyster control cente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정보수집장치(200)는,
상기 굴양식장(10)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굴양식장 각각의 수온 및 영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와 채묘, 수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를 수집하는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와,
상기 박신장(20)에 설치되고,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의 처리량정보 및 작업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와,
상기 세척장(30)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장에 설치된 세척조의 위생상태 및 작업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와,
상기 냉동고(40)에 설치되고, 상기 냉동고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도록 온도를 측정하는 냉동고온도센서(241)가 구비된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와,
상기 포장실(50)에 설치되고, 상기 포장실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포장실관리카메라(251)가 구비된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와,
상기 출하장(60)에 설치되고, 상기 출하장의 출하정보를 수집하는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plac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00)
A farm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10 installed in the oyster farm 10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water temperature and image of each oyster farm site, progress information on seedling, underwater and harvest state,
A thin stretch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installed in the thin stretch 20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roughput and work environment of the aquaculture oyster shell,
A wash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installed in the washing room 30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sanitary condition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ashing room installed in the washing room,
A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40 installed in the freezer 40 and having a freezer temperature sensor 241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o collec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reezer,
A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50 installed in the packing room 50 and provided with a packing room managing camera 251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packing room,
And a shipyar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installed in the shipyard (60) and collecting the shipyard information of the shipy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는,
상기 굴양식장의 수온을 측정하는 양식장수온센서(211)와,
상기 굴양식장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양식장DO센서(212)와,
상기 굴양식장의 주변환경을 촬영하는 양식장관리카메라(213)와,
상기 양식굴의 채묘일자, 수하일자, 수하장소 및 수확일자를 포함하는 채묘 및 수확 상태의 진행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양식굴의 진행상태에 따라 채묘용 부착기 로프, 수하부자 또는 수확용 목구에 부착되는 양식장RFID태그(214)와,
상기 수확용 목구에 부착된 양식장RFID태그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주파수 식별자)신호를 수신하는 양식장RFID리더기(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arm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10)
A water temperature sensor 211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oyster farm,
A farm site DO sensor 212 for measuring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oyster farm,
A farm management camera 213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oyster farm,
Progress information of the harvesting and harvesting conditions including the date of harvesting of the aquaculture oysters, date of receipt, place of harvest and date of harvest is entered and attached to the rope for harvesting attachment rope, A farm RFID tag 214,
And a farm RFID reader (215) for receiving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ignal of a farm RFID tag attached to the harvesting m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는,
껍데기가 제거된 양식굴의 처리량정보를 수집하도록 껍데기가 제거된 상기 양식굴의 무게를 계측하는 박신장전자저울(221)과,
상기 박신장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박신장관리카메라(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20,
A thin elongation electronic scale 221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ulture oyster whose shell has been remov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throughput of the oyster oyster removed from the shell,
And a thin elongation management camera (222) for photographing the work environment of the thin elong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는,
껍데기가 제거된 상기 양식굴의 세척을 위한 산소기포를 만드는 마이크로버블의 작동상태 및 상기 세척조의 위생상태를 수집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담겨진 세척수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세척조DO센서(231)와,
상기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에 살균소독 목적으로 첨가된 염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잔류염소검출기(232)와,
상기 세척장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세척장관리카메라(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shing fiel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30,
A cleaning bath DO sensor 231 for measuring the operating state of a micro bubble for forming oxygen bubbles for cleaning the culture oyster from which the shell is removed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cleaning bath to collect the hygiene state of the cleaning bath,
A residual chlorine detector 232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added to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tank for the purpose of disinfection,
And a washing field management camera (233) for photograph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ashing fiel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는,
상기 출하장의 작업환경을 촬영하는 출하장관리카메라(261)와,
상기 출하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출하장의 출구에 출하되는 포장된 양식굴에 부착되고, 출하일자, 출하장소 및 출하량을 포함하는 출하정보가 저장된 출하굴RFID태그(262)와,
상기 출하굴RFID태그의 신호를 수신하는 출하굴RFID리더기(2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ipboar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260)
A shipment field management camera 261 for photographing the work environment at the shipment floor,
A shipment oyster RFID tag 262 attached to a packed oyster shipped to the outlet of the shipment field to collect the shipment information and storing shipment information including a shipment date, a shipping place and a shipment amount,
And a shipping oyster RFID reader (263)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hipment oyster RFID ta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 각각은,
각각의 수집데이터를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에 송신하도록 상기 양식굴관제센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elter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10,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20,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30,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40, the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50, 260,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red or wirelessly with the culture facility control center to transmit the respective collection data to the culture facility control center 300.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굴관제센터(300)는,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210), 박신장정보수집장치(220), 세척장정보수집장치(230), 냉동고정보수집장치(240), 포장실정보수집장치(250)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260) 각각에 포함된 상기 통신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관제센터통신모듈(320)과,
상기 GPS 수신기(100)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 데이터와 상기 양식장정보수집장치, 박신장정보수집장치, 세척장정보수집장치, 냉동고정보수집장치, 포장실정보수집장치 및 출하장정보수집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집된 작업장의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33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굴양식장 및 작업장 각각의 위치정보, 환경정보 및 작업정보를 포함하는 수집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연동시켜 기저장된 지도에 맵핑(Mapping)하는 맵핑수단(340)과,
상기 수집데이터가 상기 관제용모니터(710)에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관리자가 조작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기반의 스마트 굴 생산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quaculture control center (300)
The shelter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10, the thin elon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20,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30,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40, the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250, A control center communication module 3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260 by wire or wireless,
Col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GPS receiver 100 and the far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thinning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washing si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freezer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packing room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A database (DB) 330 for collecting and storing data of environment information and work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Mapping means for mapping collected data including posi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oyster farm and workplace stored in the database to a previously stored map in association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340,
And a user interface (UI) (350) operated by an administrator so that the collected data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control monitor (710).
KR1020170171907A 2017-12-14 2017-12-14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KR201900787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907A KR20190078700A (en) 2017-12-14 2017-12-14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907A KR20190078700A (en) 2017-12-14 2017-12-14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700A true KR20190078700A (en) 2019-07-05

Family

ID=6722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907A KR20190078700A (en) 2017-12-14 2017-12-14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7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928A (en) * 2022-05-26 2023-12-06 (주)스페이스빌더스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using G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928A (en) * 2022-05-26 2023-12-06 (주)스페이스빌더스 Smart farm management System using G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for agriculture
Antonucci et al. Precision aquaculture: a short review on engineering innovations
US11771074B2 (en) Sensor based observation of anthropods
Hindell et al. Circumpolar habitat use in the southern elephant seal: implications for foraging success and population trajectories
KR101526199B1 (en) System for managing farming in farming building
O’toole et al. Locomotory activity and depth distribution of adult great barracuda (Sphyraena barracuda) in Bahamian coastal habitats determined using acceleration and pressure biotelemetry transmitters
AU2015376080B2 (en) Sensing of water quality
US11690309B2 (en) Responsive dispersion from compartment in aqueous solution
Van Wynsberge et al. Growth,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the giant clam Tridacna maxima (Röding 1798, Bivalvia) in two contrasting lagoons in French Polynesia
JP73018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t least one pond
JP6787471B1 (en) Aquaculture management equipment, aquaculture management methods, programs, and aquaculture management systems
JP2019180272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plant growth monitoring device and plant growth management device
Treloar et al. Biology and ecology of Zearaja maugeana, an Endangered skate restricted to two south-western Tasmanian estuaries
KR20190078700A (en) Gis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Schlaff et al. Acoustic tracking of a large predatory marine gastropod, Charonia tritonis, on the Great Barrier Reef
Symons et al. Short-term tracking tag attachment disrupts chick provisioning by Atlantic Puffins Fratercula arctica and Razorbills Alca torda
KR20190078699A (en) IoT BASED SMART OYSTER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James The effects of wave and feeding disturbance on roe enhancement of the sea urchin Evechinus chloroticus held in sea-cages
Thorstad et al. Long-term effects of two sizes of surgically implanted acoustic transmitters on a predatory marine fish (Pomatomus saltatrix)
Hutchings et 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mes in South Africa: a review: review articles
JP2021136965A (en) Aquaculture management device, aquaculture management method and feeding robot
Dimmlich et al. Spawning dynamics and biomass estimates of an anchovy Engraulis australis population in contrasting gulf and shelf environments
Premkkumar et al. AI & IoT based control and traceable aquaculture with secured data using blockchain technology
Saville et al. A Mariculture Fish Mortality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Analysis of Water Quality Monitoring
KR101753221B1 (en) Apparatus of integrated multi-tropgic aquaculture management system in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