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294A -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294A
KR20190078294A KR1020170180134A KR20170180134A KR20190078294A KR 20190078294 A KR20190078294 A KR 20190078294A KR 1020170180134 A KR1020170180134 A KR 1020170180134A KR 20170180134 A KR20170180134 A KR 20170180134A KR 20190078294 A KR20190078294 A KR 2019007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arning
contents
tutor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Priority to KR102017018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294A/ko
Publication of KR2019007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는, 학습자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부,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받는 학습자 인터페이스부, 선택된 캐릭터를 모션캡쳐데이터에 기반한 가상 튜터(tutor)로 지정하고, 지정된 가상 튜터가 추출된 학습 컨텐츠 내에서 학습을 지도하도록 설정하는 튜터 설정부,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를 VR(Virtual Reality) 컨텐츠로 변환하는 VR 변환부, 및 변환된 VR 컨텐츠를 VR 기기로 출력하는 VR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tudy by virtual tutor}
본 발명은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의한 가상 튜터가 학습을 도와주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학습 방법으로는 일정하게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지는 강의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정해진 시간 및 정해진 장소에서 강의자가 강의를 하게 되고, 학습자는 강의에 참석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강의 방법은 현재에도 학교, 학원 등 여러 교육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이 따르므로 여러가지 불편함을 동반한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종이책을 대신하여 전자책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었음에 따라, 장소의 제한 없이 강의를 들을 수 있음은 물론 전자책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육 관련 업종들에서는 특정 장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강사로부터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수업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원격 수업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특정 장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이 가능한 시간에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혼자서 자신의 의지에 의해 강의를 시청하여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누군가 보조자가 있더라도 학습에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강의에 대한 참석율이 저조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57765호(2017. 07. 26.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션캡쳐데이터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가상 튜터가 되어 학습을 지도하고, 가상현실을 접목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는, 학습자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부,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받는 학습자 인터페이스부, 선택된 캐릭터를 모션캡쳐데이터에 기반한 가상 튜터(tutor)로 지정하고, 지정된 가상 튜터가 추출된 학습 컨텐츠 내에서 학습을 지도하도록 설정하는 튜터 설정부,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를 VR(Virtual Reality) 컨텐츠로 변환하는 VR 변환부, 및 변환된 VR 컨텐츠를 VR 기기로 출력하는 VR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학습자 인터페이스부는,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다른 하나를 학습자 아바타로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에 학습자 아바타(avatar)를 등장시키는 아바타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VR 변환부는 학습자 아바타가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를 VR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학습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아바타 설정부는, 모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는 학습자의 모션을 학습자 아바타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대화형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컨텐츠 추출부는 학습자가 1인 인 경우에는, 1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컨텐츠 추출부는 학습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의 인원의 협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은, 학습자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캐릭터를 모션캡쳐데이터에 기반한 가상 튜터(tutor)로 지정하는 단계, 지정된 가상 튜터가 상기 추출된 학습 컨텐츠 내에서 학습을 지도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를 VR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VR 컨텐츠를 VR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다른 하나를 학습자 아바타로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에 상기 학습자 아바타를 등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변환하는 단계에서, 학습자 아바타가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를 VR 컨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학습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모션을 학습자 아바타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대화형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추출하는 단계는, 학습자가 1인 인 경우에는, 1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추출하는 단계는, 학습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의 인원의 협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한 캐릭터가 가상 튜터로 설정되어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을 독려 및 지도함으로써, 흥미를 잃지 않고 학습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형태의 교육용 컨텐츠 이외에도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학습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손쉽게 자신의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 및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보조기기(100)과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로 이루어진다.
학습보조기기(100)는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로부터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학습자가 학습 컨텐츠 재생시 요구되는 기기들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보조기기(100)로 태블릿 PC(100a)와 HMD(Head Mounted Display)(100b)를 구비하였음을 예시하였다.
태블릿 PC(100a)는 유선 혹은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와 통신을 할 수 있고,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로부터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아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HMD(100b)는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는 영상출력기구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태블릿 PC(100a)와 통신을 하여 태블릿 PC(100a)를 통해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학습용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HMD(100b)를 통해서는 태블릿 PC(100a)에서 재생되는 통상의 영상 및 음성이 출력될 수도 있지만,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에서 VR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학습보조기기(100)로 태블릿 PC(100a)와 HMD(100b)를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태블릿 PC(100a)와 HMD(100b) 이외에 다른 디지털 기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혹은 태블릿 PC(100a) 및 HMD(100b)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는 다수의 학습용 컨텐츠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수의 학습자들이 학습보조기기(100)를 이용하여 접속해 오면, 이에 응답하여 적절한 학습용 컨텐츠를 지원한다.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추출부(210), 학습자 인터페이스부(220), 튜터 설정부(230), 아바타 설정부(240), 모션 인식부(250), VR 변환부(260), VR 인터페이스부(270), 저장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컨텐츠 추출부(210)는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학습 컨텐츠 중 현재 이용중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습 컨텐츠를 추출한다. 컨텐츠 추출부(210)에서 추출하는 학습 컨텐츠는 학습자에 대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추출될 수 있고, 혹은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추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학습 컨텐츠는 영어, 수학, 독서와 같은 통상의 교육용 컨텐츠와 복수의 대화형 오브젝트(object)들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는, 1인에 의해 저작 가능한 구조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와, 복수의 인원의 협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구조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로 구분될 수 있다.
학습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학습자에 대응하는 학습보조기기(100)와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학습보조기기(100)를 통한 학습자의 요청을 입력받고,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학습보조기기(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학습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튜터 설정부(230)는 학습자가 복수의 캐릭터 중에서 가상 튜터를 위한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캐릭터를 가상 튜터(tutor)로 지정한다. 튜터는 개인지도교사를 의미하는 단어로, 본 실시예에서의 가상 튜터는 튜터 설정부(230)에 의해 학습 컨텐츠 내에서 학습자 개인에 대한 학습을 지도하도록 즉, 개인지도교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아바타 설정부(240)는 학습자가 복수의 캐릭터 중 자신의 아바타(avatar)로 설정하고자 하는 하나의 캐릭터를 선택하면, 이 선택된 캐릭터를 학습자 아바타로 설정하고,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에 학습자 아바타를 더 등장시킨다.
모션 인식부(250)는 학습자의 모션을 인식한다. 모션 인식부(250)에서 대상의 모션을 인식하는 기법은 기공지된 바에 의한다. 모션 인식부(250)에서 인식되는 학습자의 모션은 아바타 설정부(240)에 의해 학습자 아바타에 반영된다.
VR 변환부(260)는 가상 튜터 및 학습자 아바타가 포함된 학습 컨텐츠를 가상현실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VR 컨텐츠로 변환한다. VR 변환부(260)에 의해 변환된 VR 컨텐츠는 HMD(100b)를 통해 사용자에게 3D 환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VR 인터페이스부(270)는 VR 컨텐츠를 VR 기기로 출력한다. 학습자가 구비한 VR 기기 예를 들면, HMD(100b)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와의 통신에 의해 VR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장부(280)는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280)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컨텐츠 추출부(210), 학습자 인터페이스부(220), 튜터 설정부(230), 아바타 설정부(240), 모션 인식부(250), VR 변환부(260), VR 인터페이스부(270), 및 저장부(28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에 학습자가 학습보조기기(100)를 통해 접속해 오면, 컨텐츠 추출부(210)는 저장부(28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 현재 접속한 학습자에 해당하는 학습 컨텐츠를 추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추출부(210)에 의해 추출되는 학습 컨텐츠는 영어 학습에 관련된 교육용 학습 플랫폼일 수 있다.
학습자는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a)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고,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b)와 같이 학습 컨텐츠가 제공된다.
(b)에서, 화면의 좌측에는 복수의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학습자가 복수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가 튜터 설정부(230)에 의해 가상 튜터로 지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캐릭터 표시 화면에서 첫번째 표시되었던 캐릭터가 선택되었으며, 선택된 캐릭터가 학습 컨텐츠 내에 표시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가상 튜터는 3D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표시될 수 있고, 학습자의 조작에 의해 그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이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고자 하는 경우, 컨텐츠 추출부(210)는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학습 컨텐츠 중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a는, 학습자가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통해, 학습자는 가상현실 공간에 도로를 만들고, 건물을 세울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에 "인도, 도로끝, 삼거리교차로, 주차공간, 교차로, 횡단보도, 기본도로"와 같은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제공됨에 따라, 학습자는 큰 어려움없이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할 수 있다.
도 4b는, 학습자가 가상현실 공간에 어느정도의 오브젝트들을 배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학습자는 다른 오브젝트들을 더 배치할 수 있고, 이미 재재배치한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재배치할 수도 있다.
도 4c는, 학습자가 가상현실 공간에 원하는 공간을 완성한 상태를 예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건물들이 세워지고, 건물들 사이에는 도로들이 배치되었으며, 공원도 조성되었다. 도 4c에서는 학습자가 가상현실 공간에 배치한 여러 오브젝트들이 3D 형태로 나타남을 예시하였다.
도 4d는, 도 4c에서 도시한 가상현실 공간의 일부이며, 여러 아바타를 배치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여러 아바타 중 하나는 학습자 자신에 대응하는 학습자 아바타일 수 있고, 다른 아바타들은 학습자의 설정에 따라 친구 아바타와 같은 형태로 지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 구조물이 오브젝트로 제공됨에 따라, 학습자는 큰 어려움 없이 가상현실 공간에 원하는 설계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공간의 설계는 학습자가 직접 경험하지 않은 공간을 간접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자신만의 가상 공간을 생성 및 보유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학습을 진행한 후, 학습 결과물을 VR 변환부(260)에서 VR 컨텐츠로 변환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학습자는 자신이 설계한 가상현실 공간을 VR 컨텐츠로 현실감있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학습자가 학습보조기기(100)를 통해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200)에 접속해 오면, 컨텐츠 추출부(210)는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 학습자에 해당하는 학습 컨텐츠를 추출한다(S300).
컨텐츠 추출부(210)에 의해 추출되는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학습자는 학습 컨텐츠를 통해 복수의 캐릭터 중에서 가상 튜터로 적용할 캐릭터 및 자신의 아바타로 사용할 캐릭터를 선택한다(S320).
튜터 설정부(230)는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가상 튜터로 적용할 캐릭터를 학습 컨텐츠에 가상 튜터로 적용한다. 튜터 설정부(230)에 의해 가상 튜터로 지정된 캐릭터는 학습자가 학습 컨텐츠를 이용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학습을 지도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아바타 설정부(240)는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자 아바타로 적용할 캐릭터를 학습자 아바타로 적용한다(S330).
학습자는 학습보조기기(100)를 통해 제공된 학습 컨텐츠를 이용한다(S340). 예를 들면, 학습 컨텐츠가 일반 교육용 플랫폼일 경우에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고, 가상현실 공간 저작 컨텐츠일 경우에는 원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할 수 있다.
학습자의 학습이 완료되었을 경우, 학습자가 저장한 학습 내용은 VR 변환부(260)에 의해 VR 컨텐츠로 변환되고(S350), VR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학습보조기기(100)로 전송되어 학습보조기기(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S3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캐릭터를 이용하여 가상 튜터 및 학습자 아바타를 설정함으로써, 학습자가 원하는 캐릭터로부터 학습 지도를 받음으로써, 학습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210 : 컨텐츠 추출부
220 : 학습자 인터페이스부 230 : 튜터 설정부
240 : 아바타 설정부 250 : 모션 인식부
260 : VR 변환부 270 : VR 인터페이스부
280 : 저장부 290 : 제어부

Claims (14)

  1. 학습자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부;
    상기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받는 학습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캐릭터를 모션캡쳐데이터에 기반한 가상 튜터(tutor)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가상 튜터가 상기 추출된 학습 컨텐츠 내에서 학습을 지도하도록 설정하는 튜터 설정부;
    상기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를 VR(Virtual Reality) 컨텐츠로 변환하는 VR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VR 컨텐츠를 VR 기기로 출력하는 VR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캐릭터 중 다른 하나를 학습자 아바타로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에 상기 학습자 아바타(avatar)를 등장시키는 아바타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VR 변환부는, 상기 학습자 아바타가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를 상기 VR 컨텐츠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바타 설정부는, 상기 모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학습자의 모션을 상기 학습자 아바타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대화형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학습자가 1인 인 경우에는, 1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출부는, 상기 학습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의 인원의 협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8. 학습자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로부터 복수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캐릭터를 모션캡쳐데이터에 기반한 가상 튜터(tutor)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가상 튜터가 상기 추출된 학습 컨텐츠 내에서 학습을 지도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를 VR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VR 컨텐츠를 VR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캐릭터 중 다른 하나를 학습자 아바타로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튜터가 설정된 학습 컨텐츠에 상기 학습자 아바타를 등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학습자 아바타가 등장하는 학습 컨텐츠를 상기 VR 컨텐츠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모션을 상기 학습자 아바타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는, 복수의 대화형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가 1인 인 경우에는, 1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의 인원의 협업에 의해 저작 가능한 가상현실 공간을 저작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방법.
KR1020170180134A 2017-12-26 2017-12-26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90078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34A KR20190078294A (ko) 2017-12-26 2017-12-26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34A KR20190078294A (ko) 2017-12-26 2017-12-26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94A true KR20190078294A (ko) 2019-07-04

Family

ID=6725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134A KR20190078294A (ko) 2017-12-26 2017-12-26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2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1990A (zh) * 2020-07-31 2020-11-27 天津洪恩完美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场景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102341752B1 (ko) * 2021-09-13 2021-12-27 (주)인더스트리미디어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강의 보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8616B1 (ko) * 2021-09-01 2022-03-02 (주)유밥 메타버스에서의 학습을 위한 가상의 강의공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15670A (ko) * 2021-07-23 2023-01-31 (주)유밥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강사 아바타 생성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765B1 (ko) 2016-05-24 2017-07-26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모션 캡처 데이터 기반 3차원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765B1 (ko) 2016-05-24 2017-07-26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모션 캡처 데이터 기반 3차원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1990A (zh) * 2020-07-31 2020-11-27 天津洪恩完美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场景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2001990B (zh) * 2020-07-31 2024-01-09 天津洪恩完美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场景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20230015670A (ko) * 2021-07-23 2023-01-31 (주)유밥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강사 아바타 생성을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방법
KR102368616B1 (ko) * 2021-09-01 2022-03-02 (주)유밥 메타버스에서의 학습을 위한 가상의 강의공간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1752B1 (ko) * 2021-09-13 2021-12-27 (주)인더스트리미디어 메타버스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강의 보조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hadzir et al.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pop-up book to increase motivation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for national primary school
Pilgrim et al. The use of virtual reality tools in the reading-language arts classroom.
Cadavieco et al.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learning to optimize students performance in higher education
KR20190078294A (ko) 가상 튜터에 의한 디지털 학습 제공 서버 및 방법
Zirzow Signing avatars: Using virtual reality to support students with hearing loss
Ioannou et al. Augmented reality supporting deaf students in mainstream schools: Two case studies of practical utility of the technology
Taran Use of elements of augmented reality in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Laidlaw Reinventing curriculum: A complex perspective on literacy and writing
Pérez Miles et al. ROAM: Walking, mapping, and play: Wanderings in art and art education
Gajendran et al. Integrating Indigenous, Western and Inclusive Pedagogies for Work-Integrated Learning Partnerships in Architecture and Design Disciplines.
Lege et al. The state of virtual reality in education
Johnson et al. " If This Place Could Talk": Using Augmented Reality to Make the Past Visible
Cecilia et al. Games as educational strategy: A case of tangible interaction for users of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Marshall Augmented reality’s applica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Hanna Architectural education in the era of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Vasilakou et al. The accessibility of visually impaired people to museums and art through ICTs
Gkanidi et al. Tactile maps and new technologies for blind and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Lu et al. Autonomous learning in tertiary university EFL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allenges and new directions
Wasko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for procedural instruction delivered via augmented reality
Portugal et al. Design and narrative for deaf and listener children
Ashby et al. Pointing forward: Typing for academic access
Hamid et al.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storybook and an augmented reality (AR)-based proverbs application
Davydkov et al. Multimedia Support for Physics Laboratory Works in Groups with Auditory Constraints
Waskiewicz Virtual Rea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Thévin et al. How to move from Inclusive Systems to Collaborative Systems: the Case of Virtual Reality for teaching 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