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288A -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288A
KR20190078288A KR1020170180127A KR20170180127A KR20190078288A KR 20190078288 A KR20190078288 A KR 20190078288A KR 1020170180127 A KR1020170180127 A KR 1020170180127A KR 20170180127 A KR20170180127 A KR 20170180127A KR 20190078288 A KR20190078288 A KR 20190078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avigation signal
samples
sample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839B1 (ko
Inventor
곽현규
송규하
김소연
김산해
서승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8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8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은, 수신한 항법신호를 복수의 I/Q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I/Q 데이터각각의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복수의 I/Q 샘플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밀 임계치와 상기 I/Q 샘플들을 비교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유효상승구간 및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상승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상승시간 및 상기 유효하강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하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A receiver for receiving a navigation signal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navigation signal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항법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전용 수신기는 레이더(radar) 신호를 수집하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레이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로서, 레이더 신호의 주파수, 펄스폭, 신호도착시간, 신호세기 등을 측정하여 PDW(Pulse Description Word)를 생성한다. 도 1의 그림(a)을 참조하면, 수신기는 신호탐지 임계치를 설정한 후 신호탐지 구간을 탐지하고, 신호탐지 임계치 이상인 시점의 일정 구간에서의 샘플을 이용하여 평균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펄스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평균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신호측정 임계치를 설정하고, 신호측정 임계치를 기준으로 레이더 신호의 상승 시점, 레이더 신호의 하강시점을 이용하여 레이더 신호의 신호도착시간과 펄스폭을 측정한다. 그러나, 도 1의 그림(b)와 같이 항법신호의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이 레이더 신호와 비교했을 때, 매우 길기 때문에, 레이더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법신호를 측정하게 되면 펄스신호의 평균 신호세기 측정오차가 크게 발생하고, 정확한 신호측정 임계치를 설정할 수 없어 항법신호의 신호제원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의 항법신호의 특성에 부합한 신호 제원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항법신호 분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은, 수신한 항법신호를 복수의 I/Q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I/Q 데이터 각각의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복수의 I/Q 샘플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밀 임계치와 상기 I/Q 샘플들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항법신호의 유효상승구간 및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상승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상승시간 및 상기 유효하강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하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은 수신한 항법신호를 복수의 I/Q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I/Q 데이터 각각의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복수의 I/Q 샘플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소정의 오프셋을 갖는 복수의 정밀 임계치들을 설정하는 단계,상기 정밀 임계치들 각각을 상기 I/Q 샘플들과 병렬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복수의 유효상승구간들 및 복수의 유효하강구간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상승구간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상승시간들 및 상기 유효하강구간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하강시간들을 이용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는 수신기는, 상기 항법신호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신호 제원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원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원 측정부는, 상기 항법신호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정밀 임계치 설정부 및 상기 정밀 임계치 및 상기 항법신호 이전에 수신된 이전 항법신호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상기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신호특성기반 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수신기는 항법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항법신호에 대한 신호 제원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하게 항법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더 신호의 신호 제원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전자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항법신호에 대한 신호 제원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수신기의 항법신호에 대한 신호 제원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임계치 설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샘플 추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정밀 임계치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특성기반 측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더블렛 분석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정밀 펄스폭 측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밀 펄스폭 측정부의 동작을 정리한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전자전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전 장치(100)는 수신기(120, 또는, 디지털 수신기) 및 신호 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20)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121), I/Q 변환기(Qaudrature Demodulator, 122), LPF(LowPass Filter, 123), CORDIC(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 회로(124), 신호 제원 측정보(125), PDW 생성기(126), PDW 메모리(127) 및 I/Q 메모리(128)을 포함할 수 있다. ADC(121)는 항법신호인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12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데이터를 I/Q 변환기(122)에 제공할 수 있다. I/Q 변환기(122)는 양자화된 데이터를 기저대역으로 주파수를 변환함과 동시에 I/Q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LPF(123)는 I/Q 데이터에 대하여 원하는 대역폭만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I/Q 데이터를 I/Q 저장 메모리(128)에 저장하며, CORDIC 회로(124)에 제공할 수 있다. CORDIC 회로(124)는 I/Q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I/Q 데이터 샘플들을 생성하고, I/Q 데이터 샘플들 각각에 대한 신호세기 및 신호위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I/Q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 CORDIC 회로(124)는 복수의 I/Q 샘플들을 신호 제원 측정부(125)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제원 측정부(125)는 정밀 임계치 설정부(125a) 및 신호특성기반 측정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정밀 임계치 설정부(125a)는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밀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정밀 임계치는 상승구간 및 하강구간이 비교적 긴 항법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항법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정밀 임계치 설정부(125a)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기 위해 복수의 루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정밀 임계치 설정부(125a)는 제N 루프를 수행할 때에, 소정의 개수의 I/Q 샘플들을 포함하는 제N 샘플 그룹의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제N 후보 기준 I/Q 샘플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정밀 임계치 설정부(125a)는 제N 샘플 그룹 이전 샘플 그룹들(제1 내지 제N-1 샘플 그룹)로부터 검출된 후보 기준 I/Q 샘플과 제N 후보 기준 I/Q 샘플을 비교하여, 더 큰 값을 갖는 후보 기준 I/Q 샘플을 소정의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정밀 임계치 설정부(125a)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서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특성기반 측정부(125b)는 정밀 임계치 설정부(125a)에 의해 설정된 정밀 임계치와 I/Q 샘플들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항법신호의 유효상승구간 및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하고, 유효상승구간에 대응하는 항법신호의 상승시간 및 유효하강구간에 대응하는 항법신호의 하강시간을 이용하여 항법신호의 신호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신호특성기반 측정부(125b)는 항법신호의 전송 패턴을 고려하여 항법신호의 신호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항법신호 전송기는 제1 항법신호와 동일한 펄스 성분을 갖는 제2 항법신호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수신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신호특성기반 측정부(125b)는 위와 같은 전송 패턴을 고려해 이전에 측정된 제1 항법신호의 신호 제원 및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제2 항법신호의 신호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위의 항법신호의 전송 패턴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항법신호의 전송 패턴으로 항법신호 전송기가 항법신호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기는 다양한 항법신호의 전송 패턴에 부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항법신호의 신호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신호특성기반 측정부(125b)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2에서 서술하도록 한다.
신호 제원 측정부(125b)는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항법신호에 대한 신호도착시간, 정밀 펄스폭, 신호세기,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 제원을 측정하여 PDW 생성부(126)에 제공할 수 있다. PDW 생성부(126)는 신호 제원을 PDW 형태의 자료 구조로 변환하여 PDW 저장 메모리(127)에 저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PDW 저장 메모리(127) 및 I/Q 저장 메모리(128)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항법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수신기(120)는 항법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항법신호에 대한 신호 제원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하게 항법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항법신호에 대한 신호 제원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수신기의 항법신호에 대한 신호 제원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생성 시간 순으로 나열된 I/Q 샘플들의 집합은 항법신호의 파형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을 가정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신기는 신호탐지 구간 내의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할 수 있다(S10). 구체적으로, 수신기는 신호구간 탐지 임계치를 이용하여 신호구간 탐지 임계치의 이상의 신호세기를 갖는 I/Q 샘플들을 포함하는 신호탐지 구간을 결정하고, 신호탐지 구간 내의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기는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정밀 임계치(PTH)를 설정할 수 있다(S20). 구체적으로, 수신기는 기준 I/Q 샘플에 대응하는 기준 인덱스를 획득하여, 기준 인덱스를 기준으로 주변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I/Q 샘플들을 포함하는 측정대상 샘플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인덱스는 각각 대응하는 I/Q 샘플이 생성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수신기는 인덱스를 이용하여 인덱스에 대응하는 I/Q 샘플을 리드(Read) 또는 억세스(Access)할 수 있다. 주변 인덱스들은 기준 I/Q 샘플이 생성된 시간과 인접한 시간들에 생성된 I/Q 샘플들과 대응될 수 있다. 측정대상 샘플 그룹에 포함된 I/Q 샘플들의 개수는 항법신호의 상승구간, 하강구간의 길이를 기반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수신기는 측정대상 샘플 그룹에 포함된 I/Q 샘플들의 평균 신호세기를 계산하고, 평균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밀 임계치(PTH)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신기는 평균 신호세기 대비 수 dB 이내로 정밀 임계치(PTH)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소정의 오프셋을 갖는 복수의 정밀 임계치들(PTH)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밀 임계치들(PTH)은 신호 제원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수신기는 정밀 임계치(PTH)를 이용하여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SAT) 및 정밀 펄스폭(PPW)을 측정할 수 있다(S30). 구체적으로, 수신기는 정밀 임계치(PTH)와 I/Q 샘플들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항법신호의 유효상승구간(VR_ITV) 및 유효하강구간(VF_ITV)을 검출하고, 유효상승구간(VR_ITV)에 대응하는 항법신호의 상승시간(RT) 및 유효하강구간(VF_ITV)에 대응하는 항법신호의 하강시간(FT)을 이용하여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SAT) 및 정밀 펄스폭(PPW)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신기는 생성된 순으로 나열된 I/Q 샘플들을 소정의 개수로 나누어 설정된 샘플 그룹들에 대하여 샘플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유효상승구간(VR_ITV) 및 유효하강구간(VF_ITV)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기는 샘플 그룹들 중에서 처음으로 정밀 임계치(PTH)보다 큰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제1 기준 개수 이상의 I/Q 샘플들이 포함된 제1 샘플 그룹을 검출하고, 제1 샘플 그룹에 대응하는 구간을 유효상승구간(VR_ITV)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샘플 그룹들 중에서 제1 샘플 그룹 이후에 처음으로 정밀 임계치(PTH)보다 큰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제2 기준 개수 이상의 I/Q 샘플들이 포함된 제2 샘플 그룹을 검출하고, 제2 샘플 그룹에 대응하는 구간을 유효하강구간(VF_INV)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기준 개수와 제2 기준 개수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1 기준 개수가 제2 기준 개수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수신기는 유효상승구간(VR_ITV)에 대응하는 상승시간(RT) 및 유효하강구간(VF_ITV)에 대응하는 하강시간(FT)을 이용하여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SAT) 및 정밀 펄스폭(PPW)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신기는 상승시간(RT) 및 하강시간(FT)의 평균 시간을 신호도착시간(SAT)으로서 측정하고, 상승시간(RT)과 하강시간(FT) 사이의 간격을 정밀 펄스폭(PPW)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수신기는 상승시간(RT) 및 하강시간(FT)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신호도착시간(SAT) 및 정밀 펄스폭(PPW)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밀 임계치 설정부(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2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샘플 추출부(23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밀 임계치 설정부(200)는 신호 탐지부(210),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220), 신호 지연부(230), 샘플 추출부(230) 및 정밀 임계치 계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탐지부(210)는 신호구간 탐지 임계치(TH) 및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I/Q 샘플들(PG)을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신호구간 탐지 임계치(TH)와 I/Q 샘플들(PG)을 비교함으로써, 신호탐지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220)는 신호탐지 구간 내의 I/Q 샘플들(PG)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검출할 수 있다(220).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220)는 소정의 개수의 I/Q 샘플들을 포함하는 샘플 그룹별로 기준 I/Q 샘플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220)는 수신기 내부 클록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클록 신호를 기준으로 한 클록 동안 16개의 I/Q 샘플들(G0~G15)을 포함하는 샘플 그룹(PG_N) 내에서 최대신호세기를 갖는 후보 기준 I/Q 샘플을 검출할 수 있다. 샘플 그룹(PG_N) 내에서 최대신호세기를 갖는 후보 기준 I/Q 샘플(Result)과 이전에 다른 샘플 그룹(들)에서 검출된 후보 기준 I/Q 샘플(Pre-Max)를 비교하여, 최대신호세기를 갖는 후보 기준 I/Q 샘플(Pos-Max)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220)는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탐지 구간 내의 최대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기준 I/Q 샘플에 대응하는 기준 인덱스(Indexmax)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샘플 추출부(230)는 인덱스 매칭부(232) 및 쉬프트 버버(234)를 포함할 수 있다. 쉬프트 버퍼(234)는 샘플 그룹들(PG_N-1~PG_N+1)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쉬프트 버퍼(234)는 제N+2 샘플 그룹(PG_N+2)을 저장할 때에, 제N-1 샘플 그룹(PG_N-1)은 삭제하고, 제N 및 제N+1 샘플 그룹(PG_N, PG_N+1)을 오른쪽 저장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인덱스 매칭부(232)는 최대신호세기 인덱스 검출기(220)로부터 기준 인덱스(Indexmax)를 수신하여, 기준 인덱스(Indexmax)에 대응하는 기준 I/Q 샘플을 쉬프트 버퍼(234)에 저장된 샘플들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인덱스 매칭부(232)는 기준 인덱스(Indexmax)를 기준으로 주변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I/Q 샘플들을 포함하는 측정대상 샘플 그룹(SamplesSS)을 쉬프트 버퍼(2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측정대상 샘플 그룹(SamplesSS)의 I/Q 샘플 개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항법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오면, 정밀 임계치 계산부(240)는 측정대상 샘플 그룹에 포함된 I/Q 샘플들의 평균 신호세기를 계산하고, 평균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밀 임계치(PTH)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정밀 임계치들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기는 각각 소정의 오프셋을 갖는 제1 정밀 임계치와 제2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병렬적으로 항법신호의 신호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신기는 제1 정밀 임계치를 이용한 유효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S110). 수신기는 유효구간 내의 I/Q 샘플들과 제1 정밀 임계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항법신호의 유효상승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S120). 수신기는 검출된 유효상승구간에 안정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30). 일 실시예로, 유효상승구간 내의 I/Q 샘플들 중 일부(예를 들면, 5개의 I/Q 샘플들)가 연속적으로 제1 정밀 임계치보다 클 때에, 안정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안정구간이 존재하면(S130, Yes), 후속 단계 S140을 수행하고, 안정구간이 존재하지 않으면(S130, No), 단계 120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수신기는 유효구간 내의 I/Q 샘플들을 제1 정밀 임계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항법신호의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S140). 이후, 단계 S150을 통해 단계 S130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효하강구간에 안정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50). 이후, 수신기는 유효상승구간에 대응하는 상승시간 및 유효하강구간에 대응하는 하강시간을 기반으로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할 수 있다(S160). 또한, 이와 병렬적으로 수신기는 제2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단계 S112~단계 S162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기는 제1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호도착시간과 제2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신호도착시간의 평균 값을 최종 신호도착시간으로서 측정할 수 있고, 제1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정밀 펄스폭과 제2 정밀 임계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정밀 펄스폭의 평균 값을 최종 정밀 펄스폭으로 측정할 수 있다(S170).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소정의 오프셋을 갖는 복수의 정밀 임계치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신호 제원을 측정하고, 각각의 평균 값을 신호 제원으로서 측정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항법신호의 분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특성기반 측정부(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더블렛 분석부(3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정밀 펄스폭 측정부(33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밀 펄스폭 측정부(330)의 동작을 정리한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신호특성기반 측정부(300)는 더블렛 분석부(310) 및 정밀 펄스폭 측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특성기반 측정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항법신호의 전송 패턴을 고려하여, 신호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제1 항법신호가 수신된 후에 일정 시간 내에 제1 항법신호와 동일한 펄스 성분을 갖는 제2 항법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항법신호와 제2 항법신호를 항법신호 쌍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 때에, 신호특성기반 측정부(330)는 제1 항법신호에 대하여 측정한 신호 제원을 제2 항법신호의 신호 제원을 측정할 때에 반영할 수 있다. 더블렛 분석부(310)는 신호제원 측정부에서 생성된 제N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SAT_N)과 제N+1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SAT_N+1)을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신호도착시간 차가 일정 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제N 항법신호와 제N+1 항법신호가 항법신호 쌍이 되는지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정밀 펄스폭 측정부(330)는 플래그 신호(Flag)와 제N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_N) 및 제N+1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_N+1)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N+1 항법신호의 신 정밀 펄스폭(PPW')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더블렛 분석부(310)는 딜레이부(312), 감산기(314) 및 더블렛 판별기(316)를 포함할 수 있다. 딜레이부(312) 및 감산기(314)를 통해 소정의 시간만큼 딜레이된 제N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SAT_N)과 제N+1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SAT_N+1)을 감산하여 감산 결과를 더블렛 판별기(316)에 제공할 수 있다. 더블렛 판별기(316)는 감산 결과를 기반으로 제N 항법신호와 제N+1 항법신호가 항법신호 쌍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에 부합하는 플래그 신호(Flag)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제N+1 항법신호가 제N 항법신호와 항법신호 쌍으로 판별되는 때에, '1'값(또는, 로직 하이)을 갖는 플래그 신호(Flag)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N+1 항법신호가 제N 항법신호와 항법신호 쌍으로 판별되지 않는 때에, '0' 값(또는, 로직 로우)을 갖는 플래그 신호(Flag)를 생성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정밀 펄스폭 측정부(330)는 제1 쉬프트 버퍼(331), 누적기(332), 제2 쉬프트 버퍼(333), PPW 선택부(334), 디바이더(335), 멀티플렉서(3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의 테이블(TB)을 기준으로 도 11의 정밀 펄스폭 측정부(330)의 동작을 서술한다. 먼저, 제N 항법신호의 제N 정밀 펄스폭(PPWN)에 대응하는 제N 플래그 신호(Flag N)와 제N+1 항법신호의 제N+1 정밀 펄스폭(PPWN+1)에 대응하는 제N+1 플래그 신호(Flag N+1)가 각각 '00'일 때에, 제N 항법신호와 제N+1 항법신호는 항법신호 쌍을 만족하지 않음으로, 제N+1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N+1)을 신 정밀 펄스폭(PPW')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N 플래그 신호(Flag N), 제N+1 플래그 신호(Flag N+1)가 각각 '01' 또는 '11'일 때에, 제N 항법신호와 제N+1 항법신호는 항법신호 쌍을 만족함으로, 제N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N)과 제N+1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N+1)의 평균 정밀 펄스폭을 제N+1 항법신호(또는, 제N 항법신호)의 신 정밀 펄스폭(PPW')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N 플래그 신호(Flag N), 제N+1 플래그 신호(Flag N+1)가 각각 '10' 일 때에, 제N 항법신호와 제N+1 항법신호는 항법신호 쌍을 만족하지 않으나, 제N+1 항법신호와 제N+2 항법신호는 항법신호 쌍을 만족할 수 있으므로, 제N+2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N+2) 및 제N+2 플래그 신호(Flag N+2)를 각각 제1 쉬프트 버퍼(331) 및 제2 쉬프트 버퍼(333)가 저장할 때까지 대기한 후에, 제N+1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N+1)과 제N+2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PPWN+2)의 평균 정밀 펄스폭을 제N+2 항법신호(또는, 제N+1 항법신호)의 신 정밀 펄스폭(PPW')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Claims (10)

  1.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으로서,
    수신한 항법신호로부터 변환된 I/Q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복수의 I/Q 데이터 샘플들을 생성하고, 상기 I/Q 데이터 샘플들 각각에 대한 신호세기 및 신호위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I/Q 샘플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밀 임계치와 상기 I/Q 샘플들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항법신호의 유효상승구간 및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상승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상승시간 및 상기 유효하강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하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기 위해 수행되는 복수의 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들 중 제N 루프는,
    소정의 개수의 상기 I/Q 샘플들을 포함하는 제N 샘플 그룹의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제N 후보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는 단계;
    제1 내지 제N-1 샘플 그룹에서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후보 기준 I/Q 샘플과 상기 제N 후보 기준 I/Q 샘플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 기준 I/Q 샘플의 인덱스 및 상기 제N 후보 기준 I/Q 샘플의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I/Q 샘플에 대응하는 기준 인덱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I/Q 샘플 및 상기 기준 인덱스를 기준으로 주변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I/Q 샘플들을 포함하는 측정대상 샘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대상 샘플 그룹에 포함된 I/Q 샘플들의 평균 신호세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상승구간 및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생성된 순으로 나열된 상기 I/Q 샘플들을 소정의 개수로 나누어 설정된 샘플 그룹들에 대하여 상기 샘플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상기 유효상승구간 및 상기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상승구간 및 유효하강구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샘플 그룹들 중에서 처음으로 상기 정밀 임계치보다 큰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제1 기준 개수 이상의 상기 I/Q 샘플들이 포함된 제1 샘플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샘플 그룹들 중에서 상기 제1 샘플 그룹 이후에 처음으로 상기 정밀 임계치보다 큰 신호세기를 나타내는 제2 기준 개수 이상의 상기 I/Q 샘플들이 포함된 제2 샘플 그룹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샘플 그룹에 대응하는 구간을 상기 유효상승구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샘플 그룹에 대응하는 구간을 상기 유효하강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개수는 상기 제2 기준 개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승시간과 상기 하강시간 간의 평균 시간을 상기 신호도착시간으로서 측정하고, 상기 상승시간 및 상기 하강시간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정밀 펄스폭으로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항법신호 이전에 다른 항법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항법신호 측정 방법은,
    상기 다른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과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다른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과 상기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 간의 평균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정밀 펄스폭을 상기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9.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으로서,
    수신한 항법신호를 I/Q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I/Q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I/Q 데이터 샘플들 각각에 대한 신호세기 및 신호위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I/Q 샘플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소정의 오프셋을 갖는 복수의 정밀 임계치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밀 임계치들 각각을 상기 I/Q 샘플들과 병렬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복수의 유효상승구간들 및 복수의 유효하강구간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상승구간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상승시간들 및 상기 유효하강구간들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항법신호의 하강시간들을 이용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법신호 측정 방법.
  10.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는 수신기는,
    상기 항법신호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신호 제원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원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원 측정부는,
    상기 항법신호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I/Q 샘플들 중 최대 신호세기를 갖는 기준 I/Q 샘플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I/Q 샘플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밀 임계치를 설정하는 정밀 임계치 설정부; 및
    상기 정밀 임계치 및 상기 항법신호 이전에 수신된 이전 항법신호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항법신호의 신호도착시간 및 상기 항법신호의 정밀 펄스폭을 측정하는 신호특성기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20170180127A 2017-12-26 2017-12-26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 KR10210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27A KR102109839B1 (ko) 2017-12-26 2017-12-26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27A KR102109839B1 (ko) 2017-12-26 2017-12-26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88A true KR20190078288A (ko) 2019-07-04
KR102109839B1 KR102109839B1 (ko) 2020-05-28

Family

ID=6725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127A KR102109839B1 (ko) 2017-12-26 2017-12-26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8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79A (ja) * 1984-06-26 1986-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ルス信号のパルス幅及びパルス間隔測定装置
JPS6243573A (ja) * 1985-08-21 1987-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ルス信号諸元測定装置
JPH10197578A (ja) * 1997-01-14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ルス検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装置
JP2001503521A (ja) * 1996-11-01 2001-03-13 ナノトロン・ゲゼルシャフト・フューア・ミクロテッヒニク・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測定及び/又は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5017235A (ja) * 2003-06-27 2005-01-20 Toshiba Corp パルス幅測定装置及びパルス幅測定方法
KR101075450B1 (ko) * 2010-11-08 2011-10-2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펄스열을 동기화하여 분석 및 출력하는 펄스 분석기 및 그 방법
KR101280512B1 (ko) * 2012-12-21 2013-07-01 국방과학연구소 실시간 pmop/fmop 신호 처리를 위한 디지털 수신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79A (ja) * 1984-06-26 1986-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ルス信号のパルス幅及びパルス間隔測定装置
JPS6243573A (ja) * 1985-08-21 1987-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ルス信号諸元測定装置
JP2001503521A (ja) * 1996-11-01 2001-03-13 ナノトロン・ゲゼルシャフト・フューア・ミクロテッヒニク・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測定及び/又は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10197578A (ja) * 1997-01-14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ルス検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装置
JP2005017235A (ja) * 2003-06-27 2005-01-20 Toshiba Corp パルス幅測定装置及びパルス幅測定方法
KR101075450B1 (ko) * 2010-11-08 2011-10-2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펄스열을 동기화하여 분석 및 출력하는 펄스 분석기 및 그 방법
KR101280512B1 (ko) * 2012-12-21 2013-07-01 국방과학연구소 실시간 pmop/fmop 신호 처리를 위한 디지털 수신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839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47724A (ja) 電磁波識別装置、電磁波識別方法、及び電磁波識別プログラム
CN115047417B (zh) 一种模拟雷达回波及干扰的方法和系统
US7668235B2 (en) Jitter measurement algorithm using locally in-order strobes
CN113225667A (zh) 到达时间测量值的非直射径消除方法、装置及终端
CN110287537A (zh) 用于频标输出跳变检测的抗野值自适应卡尔曼滤波方法
US4388491A (en) Speech pitch period extraction apparatus
CN109085624B (zh) 基于定位信号强度的室内外定位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10585128B2 (en) Noise spectrum analysis for electronic device
KR102109839B1 (ko)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이의 항법신호 측정 방법
CN110632563A (zh) 一种基于短时傅里叶变换的脉内频率编码信号参数测量方法
CN111490789B (zh) 基于伪中位数累加的周期性弱信号检测方法及装置
KR101035295B1 (ko) 확률 분포를 이용한 펄스열 분리 방법
US20130070830A1 (en) Characterization of the jitter of a clock signal
WO2021077253A1 (zh) 测量方法、装置、可移动平台和计算机可读介质
CN110032758B (zh) 计算电信号的能量的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07356896A (zh) 一种电能表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2207970A (ja) Apd測定器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1013180A (ja) 信号分析装置
CN113960555B (zh) 目标太赫兹时域回波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138318B (zh) 一种相位抖动测试方法及系统
CN115308814B (zh) 低采样数据采集设备的授时误差测量方法及装置
RU2806655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узкополосных сигналов
JPH1075218A (ja) データ群の特性境界識別方法及び装置
US11624781B2 (en) Noise-compensated jitter measurement instrument and methods
CN109711036B (zh) 飞行控制系统试验结果的评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