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142A -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142A
KR20190078142A KR1020170179903A KR20170179903A KR20190078142A KR 20190078142 A KR20190078142 A KR 20190078142A KR 1020170179903 A KR1020170179903 A KR 1020170179903A KR 20170179903 A KR20170179903 A KR 20170179903A KR 20190078142 A KR20190078142 A KR 2019007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guide portion
pressing
center
tor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580B1 (ko
Inventor
김길희
김형국
이용준
김민준
김동환
김민하
이정윤
김상우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orsional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심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의 가이드부가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회전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거더의 전단중심(C)이 비틀림 중심(center of torsion)과 일치되어 정확한 비틀림 각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에 의해 일부 부품이 분리되면서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Torsional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of girder}
본 발명은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거더의 파괴특성을 실험하기 위해 거더를 비틀면서 비틀림 모멘트를 유발시키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과 직각상태로 설치되는 거더는 건축이나 토목분야에서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거더를 제조한 후 이 거더를 통해 비틀림 강도를 실험하기 위해 강제로 비틀려진다.
즉, 제조된 거더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에 의해 강제로 비틀려지며, 단면과 수직인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비례하는 비틀림 각을 측정하게 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805호(2009.12.09. 공고)를 살펴보면, 거더 시험용 비틀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거더를 비트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는 거더의 양단부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켜서 비틀림 모멘트를 유발시킨다.
즉,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는 거더의 일단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거더의 타단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거더를 비튼다.
이때,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는 거더의 양단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통해 거더를 비튼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는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재가 회전력에 의해 이탈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회전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의 전단중심(C)이 이동하여 비틀림 중심(center of torsion)과 일치하지 않게 됨에 따라 정확한 비틀림 각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805호(2009.12.09.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중심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의 가이드부가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회전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거더의 전단중심(C)이 비틀림 중심(center of torsion)과 일치되어 정확한 비틀림 각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에 의해 일부 부품이 분리되면서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압부재가 회전부재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부재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반복적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추가 구성없이 거더(G)의 피로실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중심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도록 회전하면서 거더(G)를 비트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하부에 상기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부와 대응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지지하는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거더(G)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구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구름부재가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의 원주방향 양측을 밀폐시키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며, 하측면 및 양측면을 형성하는 테두리판; 상기 테두리판의 내측에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판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중심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의 가이드부가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회전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거더의 전단중심(C)이 비틀림 중심(center of torsion)과 일치되어 정확한 비틀림 각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에 의해 일부 부품이 분리되면서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재가 회전부재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부재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반복적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추가 구성없이 거더(G)의 피로실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10)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중심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도록 회전하면서 거더(G)를 비트는 회전부재(100); 회전부재(100)의 일측 또는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200); 가압부재(200)에 의해 가압되는 회전부재(10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재(30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10)는 회전부재(100), 가압부재(200) 및 받침부재(30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00)는 가압부재(200)가 상부 일측 또는 타측을 가압함에 따라 거더의 일단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비트는 것으로, 테두리판(150), 스티프너(160) 및 웨브(170)를 포함한다.
즉, 회전부재(100)는 거더(G)의 회전에 필요한 소요하중(비틀림력)에 견딜 수 있도록 사각형태의 테두리판(150)이 형성되고, 테두리판(150)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스티프너(160) 및 웨브(170)가 테두리판(15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으로 부착된다.
이때, 테두리판(150)의 형상(두께, 폭, 길이, 높이 등)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테두리판(150)은 회전중심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되어 정확한 비틀림 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거더(G)가 관통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거더(G)는 일측이 테두리판(150)에 관통되어 후술하는 패스너(120)에 의해 회전부재(100)에 고정된다.
스티프너(160)는 격자형태를 이루면서 테두리판(150)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거더(G)가 관통되는 거더공(GH)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티프너(160)는 테두리판(150)이 회전되면서 거더(G)를 비틀을 경우, 테두리판(150)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테두리판(15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웨브(170)는 평판 형상으로 스티프너(160)와 수직을 이루면서 거더(G)가 관통되도록 테두리판(150)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웨브(170)는 테두리판(150)이 회전되면서 거더(G)를 비틀을 경우, 테두리판(150) 및 스티프너(16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테두리판(15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부재(100)는, 하부에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1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10)는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되,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도록 하측으로 볼록하게 테두리판(150)의 하측면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받침부재(300)의 가이드부(31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00)는 가압부재(200)가 상부 일측을 가압하게 되면, 하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슬라이딩부(110)가 받침부재(300)의 하측으로 오목한 원호형상의 가이드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거더(G)의 전단중심(C)을 회전중심(P)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패스너(120)는 밀착판(122), 가압볼트(124) 및 너트(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착판(122)은 가압볼트(124)의 단부에 장착되며, 가압볼트(124)의 가압력에 의해 거더(G)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가압볼트(124)는 너트(126)와의 체결력에 의해 밀착판(122)을 가압하도록 거더(G)의 외측면과 직교 상태를 이루며 너트(126)에 체결된다.
너트(126)는 거더(G)의 외측면을 향하는 상태로 테두리판(150) 또는 스티프너(160)에 고정된다.
이때, 밀착판(122)은 복수 개가 거더(G)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가압볼트(124)와 너트(126)는 밀착판(122)을 가압하도록 복수 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테두리판(150) 또는 스티프너(160)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패스너(120)는 너트(126)에 체결된 가압볼트(124)를 회전시키면, 밀착판(122)이 가압볼트(124)에 의해 이동하면서 거더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너트(126)에 체결된 가압볼트(124)를 계속 회전시키면, 가압볼트(124)의 가압력에 의해 거더(G)가 밀착판(122)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부재(100)에 고정된다.
가압부재(200)는 회전부재(1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부재(100)의 일측 또는 타측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부재(200)는 회전부재(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부재(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100)의 일측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200)는 회전부재(10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부재(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100)의 일측 상부 또는 타측 상부를 가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00)는 회전부재(1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신축하면서 회전부재(10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받침부재(300)는 가압부재(200)에 의해 가압되는 회전부재(10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부(310), 테두리판(350) 및 스티프너(36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10)는 회전부재(10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테두리판(350)은 바닥면의 양측에 결합된 측면이 가이드부(310)를 받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3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며, 스티프너(360)는 테두리판(350)의 내측에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판(350)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가이드부(310)를 지지하게 된다.
가이드부(310)는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테두리판(350)의 상측에 형성되며 회전부재(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가이드부(310)는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되,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테두리판(350)의 상측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100)는 가압부재(200)가 상부 일측을 가압하게 되면, 하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슬라이딩부(110)가 받침부재(300)의 하측으로 오목한 원호형상의 가이드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거더(G)의 전단중심(C)을 회전중심(P)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받침부재(300)는, 가이드부(310)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10)를 지지하는 마찰저감부재(320);를 포함한다.
마찰저감부재(320)는 가이드부(310)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마찰저감부재(320)는 회전부재(100)의 슬라이딩부(110)와 밀착되어 습동저항이 발생됨에 따라, 내마모성과 저마찰성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신축성이 적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마찰저감부재(320)는 회전부재(100)의 슬라이딩부(110)와 가이드부(310) 사이 개재되어 회전부재(1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부재(100)와 받침부재(300) 사이의 습동저항을 줄이게 된다.
이에 따라, 마찰저감부재(320)는 폴리 아세탈(POM), 폴리 아미드(PA),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 이미드(PI),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이나, 천연 고무재 또는 폴리에스테르 일래스토머(PE)와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받침부재(300)는, 가이드부(310)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330); 및 안착홈(330)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슬라이딩부(1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구름부재(340);를 포함한다.
안착홈(330)은 가이드부(310) 또는 마찰저감부재(320)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거더(G)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며, 구름부재(3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때, 안착홈(330)은 구름부재(340)가 이탈되지 않도록 거더(G)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구름부재(340)를 지지하는 돌출부(332)가 형성된다.
즉, 안착홈(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부재(340)가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된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름부재(340)를 지지하는 돌출부(332)가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받침부재(300)는, 구름부재(340)가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부(310) 또는 마찰저감부재(32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안착홈(330)의 원주방향 양측을 밀폐시키는 이탈방지부재(380)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재(380)는 가이드부(310) 또는 마찰저감부재(32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안착홈(330)의 원주방향 양측을 밀폐시키며, 구름부재(340)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름부재(340)는 돌출부(332)와 이탈방지부재(380)에 의해 안착홈(330)에서 이탈하지 않고 자전하게 된다.
구름부재(340)는 안착홈(330)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자전하며 슬라이딩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미끄럼마찰(sliding friction)을 회전마찰로 바꾸어 운동의 저항을 줄이게 된다.
이때, 안착홈(330)에는 구름부재(34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름부재(340)는 볼 또는 롤러 등과 같이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부재(1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부재(100)와 받침부재(300) 사이의 마찰저항을 줄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10)는 회전부재(100)가 회전하게 되면, 구름부재(340)의 일부분이 안착홈(33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부재(100)의 슬라이딩부(110)에 접촉되어 자전하기 때문에 마찰저항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중심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부재(300)의 가이드부(310)가 회전부재(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회전부재(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거더(G)의 전단중심(C)이 비틀림 중심(center of torsion)과 일치되어 정확한 비틀림 각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력에 의해 일부 부품이 분리되면서 회전부재(100)가 이탈되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10)는 회전부재(100)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반복적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부재(200)가 회전부재(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00')와 받침부재(300')는 좌우로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부재(200')가 회전부재(10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가압부재(200')가 회전부재(100')의 상부 일측을 가압하게 되면, 하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슬라이딩부(110')가 받침부재(300')의 하측으로 오목한 원호형상의 가이드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거더(G)의 전단중심(C)을 회전중심(P)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압부재(200')가 회전부재(100')의 상부 타측을 가압하게 되면, 하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슬라이딩부(110')가 받침부재(300')의 하측으로 오목한 원호형상의 가이드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거더(G)의 전단중심(C)을 회전중심(P)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200')가 회전부재(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부재(100')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반복적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추가 구성없이 거더(G)의 피로실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는 거더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거더의 일단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거더의 타단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거더를 비틀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부재(300')는 좌우 대칭되는 형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압부재(200')의 가압력을 분산시키도록 가압부재(200')가 설치되는 반대측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회전부재(10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회전부재 110 : 슬라이딩부
120 : 패스너 122 : 밀착판
124 : 가압볼트 126 : 너트
150 : 테두리판 160 : 스티프너
170 : 웨브 200 : 가압부재
300 : 받침부재 310 : 가이드부
320 : 마찰저감부재 330 : 안착홈
340 : 구름부재 350 : 테두리판
360 : 스티프너

Claims (9)

  1. 비틀림 모멘트를 유발시키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중심(P)이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도록 회전하면서 거더(G)를 비트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하부에 상기 거더(G)의 전단중심(C)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부와 대응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지지하는 마찰저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구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거더(G)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구름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구름부재가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의 원주방향 양측을 밀폐시키는 이탈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며, 하측면 및 양측면을 형성하는 테두리판;
    상기 테두리판의 내측에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테두리판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스티프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KR1020170179903A 2017-12-26 2017-12-26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KR10200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03A KR102001580B1 (ko) 2017-12-26 2017-12-26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03A KR102001580B1 (ko) 2017-12-26 2017-12-26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142A true KR20190078142A (ko) 2019-07-04
KR102001580B1 KR102001580B1 (ko) 2019-07-17

Family

ID=6725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903A KR102001580B1 (ko) 2017-12-26 2017-12-26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3701A (zh) * 2019-07-05 2019-09-17 山东科技大学 一种锚固岩体扭转剪切试验装置及方法
CN110320113A (zh) * 2019-07-19 2019-10-11 三峡大学 一种土岩界面原状试样扭剪试验装置及方法
CN115096707A (zh) * 2022-08-26 2022-09-23 中铁北京工程局集团(天津)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工程用建筑材料抗压强度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39B1 (ko) * 2006-12-26 2009-12-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블 비틀림 시험장치
KR100930805B1 (ko) 2008-08-08 2009-12-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거더 시험용 비틀림 장치
KR20100127546A (ko) * 2009-05-26 2010-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39B1 (ko) * 2006-12-26 2009-12-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케이블 비틀림 시험장치
KR100930805B1 (ko) 2008-08-08 2009-12-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거더 시험용 비틀림 장치
KR20100127546A (ko) * 2009-05-26 2010-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굽힘 강도 시험용 가압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3701A (zh) * 2019-07-05 2019-09-17 山东科技大学 一种锚固岩体扭转剪切试验装置及方法
CN110320113A (zh) * 2019-07-19 2019-10-11 三峡大学 一种土岩界面原状试样扭剪试验装置及方法
CN110320113B (zh) * 2019-07-19 2021-08-31 三峡大学 一种土岩界面原状试样扭剪试验装置及方法
CN115096707A (zh) * 2022-08-26 2022-09-23 中铁北京工程局集团(天津)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工程用建筑材料抗压强度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80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580B1 (ko) 거더 비틀림 구조성능평가 장치
EP2844499B1 (de) Achsanbindung
DE102011102463B4 (de) Kettenrad
EP3440374B1 (de)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signalkabels
KR100930805B1 (ko) 거더 시험용 비틀림 장치
US6152665A (en) Direct tension indicating washers
DE102011080167A1 (de) Lagerkäfigsegment, Lagerkäfi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EP1794030A1 (de) Dachträger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08027052A1 (de)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S9605730B2 (en) Adjustable elevator belt splice
DE1605303A1 (de) Bremseinrichtung fuer Eisenbahnfahrzeuge
WO2006024512A1 (de) Scheibenbrems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nutzfahrzeug
DE102014115762A1 (de)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EP3432415A1 (de) Verbindungsvorrichtung an antennengehäusen
EP2339087B1 (de) Klemmlasche z. B. für ein Schneefangsystem auf Metalldächern
DE102019205782B4 (de) Radla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011469A1 (de) Führungseinrichtung für eine Schwimmsattel-Scheibenbremse
KR102094617B1 (ko) 거더의 구조성능 평가장치
BE1026610A1 (de) Winkelgeber
EP4264076B1 (de) Belagniederhalteranordnung, bremssattelanordnung, scheibenbremse und scheibenbremsüberwachungssystem
US20220364950A1 (en) Device for evaluating torsional structural performance of girder
EP2943697B1 (de)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17101038B4 (de) Axiallager zur Lagerung eines Achsschenkels sowie Achsschenkellageranordnung mit dem Axiallager
EP2441986A1 (de) Selbstverstärkende Scheibenbremse
EP2791541B1 (de) Bremssystem für nutzfahrzeu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