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011A - Terminal block for changing electric meter - Google Patents
Terminal block for changing electric me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8011A KR20190078011A KR1020170179666A KR20170179666A KR20190078011A KR 20190078011 A KR20190078011 A KR 20190078011A KR 1020170179666 A KR1020170179666 A KR 1020170179666A KR 20170179666 A KR20170179666 A KR 20170179666A KR 20190078011 A KR20190078011 A KR 201900780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terminal
- bypass
- main body
- terminal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lock for replacing an uninterruptible power mete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자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게이지로서, 이러한 전력량계는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선의 전압과 전류를 계측하여 계측결과를 수치로 직접 나타내는 디지털 방식 및 전자식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The watt-hour meter is a gauge installed to visually confirm the power used in a factory, a home or a self-employed person. The watt-hour meter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lin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wer line, Method is mainly used.
종래의 전력량계는 내충격성, 난연성, 내후성을 가지는 두께 3mm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로 외관이 제작되고 있으며, 종류로는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과 단상 3선식 및 삼상 3선식 전용량, 삼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고 있는 중형이 있다. 이들 전력량계는 박스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계측판이 구비된 하우징의 하부측에 일체 또는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전력 공급 전선 및 부하 전선이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홈을 형성한 단자대를 구비하고 있다. The conventional watt-hour meter is made of polycarbonate synthetic resin with a thickness of 3mm or more, which has impact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weather resistance. The exterior is made of small-sized, single-phase 3-wire type and three-phase 3-wire type, There is a medium type which is used for the full capacity of the wire. These watt-hour meters are provided with a terminal block having an outer appearance formed in a box shape and formed integrally or detachably on a lower side of a housing provided with a measurement plate in an inner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for receiving power supply wires and load wires.
전력량계의 고장으로 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용 교류가 공급된 상태에서 전선을 단락시키게 되면 접점 부위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여 신체에 화상을 입을 위험성이 존재하고, 감전 사고 등의 발생이 우려된다. If a watt-hour meter is to be replaced, short-circuited wires in the state where commercial AC is supplied may cause arc to be generated at the contact point, and there is a risk of burning to the body, and electric shock accidents may occur.
따라서, 일반 가정이나 소형 자영업자 사업자 등에서는 전력공급 전선과 전력량계 사이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시킨 상태, 즉 정전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수행하였다. Therefore, in general households and small self-employed businesses, a switch was installed between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watt hour meter to perform a replacement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was cut off, that is, in a power failure state.
그러나, 공장 등의 산업현장이나, PC 방이나 횟집과 같이 전력 사용이 영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곳에서는 24시간 설비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력량계를 교체하기 위하여 정전시킨다면,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입게된다. However, in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ies, and in places where power use has a direct effect on sales, such as PC rooms and sushi restaurants, there are many cases where equipment is operated for 24 hours. Therefore, if power is turned off to replace the watt hour meter, do.
따라서, 무정전 방식으로 교체 가능한 전력량계의 사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watt-hour meter which can be replaced by the uninterruptible system.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전력공급을 차단시킬 필요없이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t-hour meter replacement terminal block capable of replacing a watt-hour meter without interrupting power supp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력량계와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에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가 설치되는 단자대본체; 상기 단자대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연결 가능한 연결단자수단; 및, 상기 단자대본체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연결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단자수단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단자수단과 상기 제1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바이패스수단;을 포함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block comprising: a terminal block body hav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watt hour meter,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upply side wire or a load side wire; Connection terminal means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and capable of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via an elastic force; And bypass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body and electrically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by pressing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And a replacement terminal block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연결단자수단은,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접촉 및, 이격 가능한 연결단자판; 및, 상기 연결단자판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단자판이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comprises: a connection terminal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plate and pressing the connection terminal plate to contac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바람직하게, 연결단자수단은, 상기 연결단자판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단자대본체의 연결단자블럭 상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로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rod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plate and installed to be movable on a connection terminal block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through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바람직하게, 단자대본체는, 전도성 소재로 구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주면이 삽입된 상기 바이패스수단의 바이패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may include a bypass inserting portion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and the bypass insert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ypass terminal of the bypass means hav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erted therein .
바람직하게, 바이패스수단은, 내부에 바이패스경로가 형성되는 바이패스본체;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본체에서 돌출된 선단부가 상기 단자대본체의 바이패스 삽입부에 각각 삽입되면서 전원측 연결단자와 부하측 연결단자가 연결되는 바이패스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ypass means includes a bypass main body in which a bypass path is formed; And a bypass terminal which is installed along the bypass path and into which the power source sid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load sid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while the tip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ypass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bypass insertion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have.
바람직하게, 바이패스 삽입부 및, 상기 바이패스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자대본체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bypass insertion portion and the bypass terminal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a cross section thereof decreases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바람직하게, 바이패스 삽입부는 상기 단자대본체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형 홀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ypass inser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tapered hole whose cross section decreases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바람직하게, 바이패스수단은, 상기 단자대본체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바이패스단자가 상기 연결단자수단은 탄성력에 의해 바이패스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ypass means may be fixed to the fixed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and the bypass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ypass insertion portion by elastic force .
바람직하게, 단자대본체의 내부에는 접촉지지면이 형성된 접촉지지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단자수단이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지면은 상기 제1 연결단자의 접촉면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의 접촉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terminal block body further includes a contact support block having a contact support surface formed inside the terminal block body. In the state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via an elastic force, The surface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공급을 차단시킬 필요없이 무정전으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watt hour meter with the uninterrupted power without the ne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lo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바이패스수단이 삽입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단자대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바이패스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t-hour meter replac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insertion of the bypass means of the terminal for watt-hour meter re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block main body of a terminal block for watt-hour meter re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Fig.
6 is a front view of bypass means of a terminal for watt-hour meter re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erminal for replacing a watt hou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는 단자대본체(100), 연결단자수단(200), 바이패스수단(3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7, a watt-hour meter replac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는 전력량계와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120)와,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에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130)가 설치되는 단자대본체(100)와, 상기 단자대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단자(120)와 상기 제2 연결단자(130)를 연결 가능한 연결단자수단(200) 및, 상기 단자대본체(10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연결단자(130)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단자수단(200)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단자수단(200)과 상기 제1 연결단자(120)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바이패스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watt-hour meter replacement terminal block includes 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단자대본체(10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a terminal block
단자대본체(100)의 상단은 제1 연결단자(120)가 단자본체(110)와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있다. The
제1 연결단자(120)는 전력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이고, 제2 연결단자(130)는 전원측 연결단자(131) 또는 부하측 연결단자(133)와 연결되는 연결단자이다.The
단자대본체(100) 단자본체(110)의 하단은 전원측 연결단자(131)와 부하측 연결단자(133)가 일체형으로 삽입되어 있다. The lower end of the
전원측 연결단자(131)는 전원측에 연결되어 있고, 부하측 연결단자(133)는 부하측에 연결되어 있다. The power source side connection terminal 131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connection terminal 133 is connected to the load side.
단자대본체(100)의 내부에서는 바이패스수단(300)이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는 연결단자수단(200)에 의하여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단자대본체(100)는, 전도성 소재로 구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제2 연결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주면이 삽입된 상기 바이패스단자(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삽입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4, the terminal block
일례로,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전도성 소재로 구성된 원통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바이패스 삽입부(150)의 외주면의 제2 연결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그리고, 바이패스 삽입부(150)의 내주면은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가 삽입되고, 바이패스단자(330)와 바이패스 삽입부(150)의 내주면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바이패스단자(330)와 바이패스 삽입부(150)의 내주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이패스 삽입부(150)의 외주면과 제2 연결단자(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바이패스단자(330), 바이패스 삽입부(150), 제2 연결단자(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이때, 바이패스단자(330), 바이패스 삽입부(150), 제2 연결단자(130), 제1 연결단자(120)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도 2는 전력량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바이패스수단(300)이 삽입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전력량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바이패스수단(300)이 삽입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bypass means 300 of the watt-hour watt-hour meter replacement terminal block is insert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bypass means 300 of the watt-hour watt-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대본체(100) 내부 상단에는 제1 연결단자(120)가 삽입되어 있고, 내부 하단에는 제2 연결단자(130)가 삽입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제2 연결단자(130)는 단자대본체(100)의 하부 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되,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닿을 정도로 연장된다. The
제1 연결단자(120), 바이패스 삽입부(150)와 제2 연결단자(1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The
또한, 연결단자수단(200)은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를 연결하는 브릿짓으로서 전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연결단자수단(200)의 제1 면은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와 맞닿아 있다. The
또한, 연결단자수단(200)의 제2 면은 단자대본체(100) 연결단자블럭(170)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부재(230)에 부착되어 있다. The second surfac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단자수단(200)이 바이패스수단(300)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30)에 의하여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에 맞닿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 when the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가 단자대본체(100)에 완전히 삽입되면 바이패스단자(330)는 바이패스 삽입부(150)의 제2 개구를 관통하여 연결단자수단(200)을 가압하여 탄성부재(230)를 수축시킨다. 3, when the
바이패스수단(300)의 완전한 삽입되어 탄성부재(230)가 수축되는 제2 상태가 되면, 연결단자수단(200)이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로부터 이격된다. The
연결단자수단(200)이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로부터 이격되면, 연결단자수단(200)과 제2 연결단자(130)는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전력량계로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제2 연결단자(130)는 바이패스수단(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측 연결 단자(100)와 부하측 연결단자(133) 사이에 바이패스가 형성된다.
When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자대본체(100)의 정면 표면에는 바이패스수단(300)이 삽입될 수 있는 바이패스 삽입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1 to 3, a
각각의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단자대본체(100)의 정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개구를 가지고, 통형으로 단자대본체(100)의 내부로 연장된다. Each
단자대본체(100)의 내부로 연장된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연결단자수단(200)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연결단자수단(200) 방향으로 제2 개구를 가진다. The
또한,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의 길이가 삽입되는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의 길이보다 짧다. The
따라서, 바이패스수단(300)이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가 바이패스 삽입부(150)의 제2 개구를 통과하여 연결단자수단(200)을 가압한다.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가압된 연결단자수단(200)은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로부터 이격된다. The pressurized connection terminal means 200 is spaced from the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 사이에서 브릿짓 역할을 하는 연결단자수단(200)이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로부터 이격되면, 제1 연결단자(120)가 전원측 연결단자(131)로부터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When the
단자대본체(100)의 정면의 하단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 개의 조임나사(180)는 각각 전원측 전선 또는 부하측 전선 연결용 나사이다. The plurality of tightening
도 4를 참조하면, 봉인처리단자(111)는 직결 단자의 무단 도전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대본체(100)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aling
또한, 직결 단자의 무단 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대본체(100)의 전면부에 투명 커버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transparent cove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대본체(100)의 내부에는 접촉지지면이 형성된 접촉지지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단자수단(200)이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단자(120) 및, 상기 제2 연결단자(13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지면은 상기 제1 연결단자(120)의 접촉면 및, 상기 제2 연결단자(130)의 접촉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이에 따라, 접촉지지면, 제1 연결단자(120)의 접촉면 및, 상기 제2 연결단자(130)의 접촉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됨으로써, 연결단자수단(200)의 변형이 방지되면서 연결단자수단(200)이 제1 연결단자(120) 및, 제2 연결단자(130)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contact supporting surface, the contact surface of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단자수단(200)은 단자대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단자(120)와 상기 제2 연결단자(130)를 연결할 수 있다.3 and 4, the
연결단자수단(200)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자대본체(100)에 바이패스수단(300)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을 때, 복수의 제1 연결단자(120) 각각은 연결단자수단(200)으로부터 이격되어 전원측 연결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이 끊긴다.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는 단자대본체(100) 내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연결단자수단(200)을 매개로 통전 및 단전이 가능해 질 수 있다The
따라서, 바이패스수단(300)이 삽입되어 연결단자수단(200)을 단자대본체(100)의 연결단자블록 쪽으로 가압하면 탄성부재(230)가 수축되어 연결단자수단(200)이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로부터 분리된다. Therefore,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inserted and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200 is pressed toward the connection terminal block of the terminal block
연결단자수단(200)이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로부터 분리되면,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When the
또한, 바이패스수단(300)이 단자대본체(1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 연결단자(120)와, 제2 연결단자(130)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동시에, 전원측 연결 단자와 부하측 연결 단자에 각각 바이패스가 형성되어 전력량계를 거치지 않고 전력량계의 교체 중에도 전원측에서 부하측으로 전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단자수단(200)은, 상기 제1 연결단자(120) 및, 상기 제2 연결단자(130)와 접촉 및, 이격 가능한 연결단자판(210) 및, 상기 연결단자판(210)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단자판(210)이 상기 제1 연결단자(120) 및, 상기 제2 연결단자(130)와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3 and 4, the
연결단자판(210)은 탄성부재(230)를 매개로 단자대본체(100)의 내부에 부착되는 평판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연결단자판(210)은 전기가 통전되도록 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탄성부재(230)는 연결단자판(210)의 후면에 제공되고, 연결단자판(210)을 상기 제1 연결단자(120) 및, 상기 제2 연결단자(13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탄성부재(230)는 일측단부가 연결단자판(210)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단자대본체(100)의 연결단자블럭(170)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일례로, 탄성부재(230)는 스프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단자수단(200)은, 상기 연결단자판(210)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단자대본체(100)의 연결단자블럭(170) 상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로드체(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the
지지로드체(270)는 단자대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단자블럭(17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71) 상에서 진퇴할 수 있다.The
지지로드체(270)의 일측단부가 연결단자판(210)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단자대본체(100)의 연결단자블럭(17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71)에서 진퇴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지지로드체(270)는 'T 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연결단자블럭(17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진퇴될 수 있다.The
지지로드체(270)는 일측이 연결단자판(210)에 고정되는 봉상부재와, 봉상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봉상부재가 연결단자블럭(17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지지로드체(270)의 봉상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일측은 연결단자판(210)에 고정되고, 타측은 가이드홀(171) 내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봉상부재의 후단에 형성된 확경된 헤드부재에 의해 연결단자블럭(170)에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which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지지로드체(270)는 봉상부재가 탄성부재(230)를 관통한 상태에서 단자대본체(100)의 연결단자블럭(170) 상에서 진퇴될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바이패스수단(300)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bypass means 300 of a terminal block for watt-hour meter watt-hour repla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Fig.
바이패스수단(300)은 단자대본체(100)의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삽입되면서, 전원측 전선이 연결되는 전원측 연결단자(131)와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는 부하측 연결단자(1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bypass means 300 is inserted into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수단(300)은 단자대본체(100)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연결단자(130)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단자수단(200)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단자수단(200)과 상기 제1 연결단자(120)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킬 수 있다.
3 and 4, the bypass means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수단(300)은, 내부에 바이패스경로가 형성되는 바이패스본체(310)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본체(310)에서 돌출된 선단부가 상기 단자대본체(100)의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각각 삽입되면서 전원측 연결단자(131)와 부하측 연결단자(133)가 연결되는 바이패스단자(330)를 구비할 수 있다.6 and 7, the bypass means 300 includes a bypass
바이패스수단(300)을 단자대본체(100)의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삽입시, 작업자가 바이패스본체(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다.When the bypass means 300 is inserted into the
바이패스단자(330)는 바이패스본체(310)의 내부에는 매립되면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고, 선단부가 바이패스본체(310)에서 돌출되면서 바이패스 삽입부(150)로 삽입될 수 있다.The
바이패스단자(330)가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삽입되어 연결단자수단(200)을 가압함으로써, 제1 연결단자(120)와 연결단자수단(200)이 전기적 연결이 분리될 수 있다.The
바이패스단자(330)는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삽입되면서 제2 연결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6을 참조하면, 바이패스단자(330)의 선단부(330a)는 바이패스단자(330)의 선단부(330h)와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단자(330)의 선단부(330b)는 바이패스단자(330)의 선단부(330g)와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단의 선단부자(330c)는 바이패스단자(330)의 선단부(330f)와 연결되어 있고, 바이패스단자(330)의 선단부(330d)는 바이패스단자(330)의 선단부(330e)와 연결되어 있다. 6, the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수단(300)이 단자대본체(100)에 삽입될 경우에,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는 전원측 연결단자(131) 또는 부하측 연결단자(1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3,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구체적으로, 바이패스단자(330) 중 일부(좌측에 배치)는 단자대본체(100)에 삽입되었을 때 전원측 연결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이패스단자(330) 중 나머지(우측에 배치)는 단자대본체(100)에 삽입되었을 때 부하측 연결단자(1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art of the bypass terminal 330 (disposed on the left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connection terminal 131 when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본체(310)에서 돌출된 일측 선단부가 상기 부하측 연결단자(133)와 연결된 상기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삽입되고, 상기 바이패스본체(310)에서 돌출된 타측 선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단자(131)와 연결된 상기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1 to 3, one en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ypass
이에 따라, 바이패스수단(300)은 단자대본체(100)에 삽입되었을 때, 전원측 연결 단자와 부하측 연결 단자가 바로 연결되도록 바이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하나의 바이패스단자(330)는 바이패스본체(310)에 매립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2곳의 선단부가 바이패스본체(31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One
이때, 바이패스단자(330)의 일측 선단부는 제2 연결단자(130) 중 부하측 연결단자(133)와 연결되고, 바이패스단자(330)의 타측 선단부는 제2 연결단자(130) 중 전원측 연결단자(131)와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바이패스본체(310)는 복수 개의 바이패스단자(330)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bypass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수단(300)이 단자대본체(1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2 연결단자(130)와 제1 연결단자(120)의 브릿지 역할을 하는 연결단자수단(200)이 제2 연결단자(130)와 제1 연결단자(12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2 연결단자(130)와 제1 연결단자(120)는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제2 연결단자(130)와 제1 연결단자(120)는 전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제1 연결단자(12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된다. 3,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제2 연결단자(130)는, 각각 바이패스수단(30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측 연결 단자와 부하측 연결 단자가 바이패스 연결되어 직류 연결된다. 따라서, 전력량계가 분리된 상태(교체 작업 상태)에서도 정전 없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삽입부(150) 및, 상기 바이패스단자(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자대본체(100)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3, at least one of the
일례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상기 단자대본체(100)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형 홀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일례로, 바이패스단자(330)는 선단부에 만곡부분이 형성된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단자대본체(100)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형 홀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따라서, 바이패스단자(330)는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동일하고,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단자대본체(100)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될 수 있다.Therefore, the cross-section of the
바이패스단자(330)가 바이패스 삽입부(150)로 삽입되는 초입에는 바이패스 삽입부(150)가 바이패스단자(330) 보다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커서 바이패스 삽입부(150)와 바이패스단자(330)의 사이에 소정의 공차가 형성되면서 바이패스단자(330)가 바이패스 삽입부(150)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바이패스단자(330)가 바이패스 삽입부(150)로 인입되면서 바이패스단자(330)가 연결단자수단(200)의 표면을 가압하여 연결단자수단(200)과 제1 연결단자(120)와 이격되면서 제1 연결단자(120)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반면에, 바이패스단자(330)가 바이패스 삽입부(150)로 인입됨에 따라, 바이패스단자(330)와 바이패스 삽입부(150)는 근접되고, 최종적으로 바이패스단자(330)와 바이패스 삽입부(1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제2 연결단자(130)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의 바이패스수단(300)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6 and 7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수단(300)은, 상기 단자대본체(100)의 고정부(190)에 고정되고, 상기 바이패스단자(330)가 상기 연결단자수단(200)은 탄성력에 의해 바이패스 삽입부(1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 the bypass means 300 is fixed to the fixing
고정부재(350)는 단자대본체(100)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고정부(190)에 걸리면서, 바이패스수단(300)이 단자대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일례로, 고정부재(350)는 바이패스수단(300)의 양측면에 고리형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고정부재(350)가 회전되면서 단자대본체(100)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고정부(190)에 걸릴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이에 따라,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가 단자대본체(100)의 바이패스 삽입부(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us, the
도 7을 참조하면, 바이패스수단(300)이 단자대본체(1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에 의하여 가압된 탄성부재(230)에 의하여 바이패스수단(30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패스수단(300)의 고정부재(350)를 단자대본체(100)의 고정부(190)에 걸 수 있다.7, by the
바이패스수단(300)이 단자대본체(1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단자대본체(100)의 고정부(190)에 걸 수 있도록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350)를 가진다. The fixing
따라서, 바이패스수단(300)이 단자대본체(1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바이패스수단(300)의 바이패스단자(330)에 의하여 가압된 탄성부재(230)에 의하여 바이패스수단(30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패스수단(300)의 고정부재(350)를 단자대본체(100)의 고정부(190)에 걸 수 있다.
When the bypass means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단자대본체
110: 단자본체
111: 봉인처리단자
120: 제1 연결단자
130: 제2 연결단자
131: 전원측 연결단자
133: 부하측 연결단자
150: 바이패스 삽입부
170: 연결단자블럭
171: 가이드홀
180: 조임나사
190: 고정부
200: 연결단자수단
210: 연결단자판
230: 탄성부재
270: 지지로드체
300: 바이패스수단
310: 바이패스본체
330: 바이패스단자
350: 고정부재100: terminal block body 110: terminal body
111: Sealing processing terminal 120: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Second connection terminal 131: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terminal
133: Load side connection terminal 150: Bypass insertion part
170: connection terminal block 171: guide hole
180: tightening screw 190:
200: connection terminal means 210: connection terminal plate
230: elastic member 270: support rod body
300: Bypass means 310: Bypass body
330: Bypass terminal 350: Fixing member
Claims (9)
상기 단자대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연결 가능한 연결단자수단; 및,
상기 단자대본체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연결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단자수단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단자수단과 상기 제1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단절시키는 바이패스수단;을 포함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A terminal block body hav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watt hour meter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ower supply side wire or a load side wire;
Connection terminal means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and capable of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via an elastic force; And
And bypass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to electrically disconnect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by pressing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Terminal block.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접촉 및, 이격 가능한 연결단자판; 및,
상기 연결단자판의 후면에 제공되고, 상기 연결단자판이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plate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plate and pressing the connection terminal plate to contac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상기 연결단자판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단자대본체의 연결단자블럭 상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로드체;를 더 포함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And a support rod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plate and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on a connection terminal block of the terminal block body through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전도성 소재로 구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주면이 삽입된 상기 바이패스수단의 바이패스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삽입부를 구비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The terminal block according to claim 1,
And a bypass inser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ypass terminal of the bypass means, the outer circumference of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which is inserted.
내부에 바이패스경로가 형성되는 바이패스본체; 및,
상기 바이패스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본체에서 돌출된 선단부가 상기 단자대본체의 바이패스 삽입부에 각각 삽입되면서 전원측 연결단자와 부하측 연결단자가 연결되는 바이패스단자;를 구비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bypass main body in which a bypass path is formed; And
And a bypass terminal installed along the bypass path and having a front end protruding from the bypass main body inserted into a bypass inserting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ide connecting terminal and a load side connecting terminal, Terminal block.
상기 바이패스 삽입부 및, 상기 바이패스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자대본체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bypass inserting portion and the bypass terminal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상기 바이패스 삽입부는 상기 단자대본체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형 홀로 구비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ypass inser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apered hole whose cross section is reduced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상기 단자대본체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바이패스단자가 상기 연결단자수단은 탄성력에 의해 바이패스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nd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main body, wherein the bypass terminal prevents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ypass inserting portion by an elastic force.
상기 단자대본체의 내부에는 접촉지지면이 형성된 접촉지지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단자수단이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지면은 상기 제1 연결단자의 접촉면 및, 상기 제2 연결단자의 접촉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act support block having a contact support surface formed inside the terminal block body,
Wherein the contact suppor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via elastic force Wherein the watt-hour meter is disposed on a pla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666A KR20190078011A (en) | 2017-12-26 | 2017-12-26 | Terminal block for changing electric me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666A KR20190078011A (en) | 2017-12-26 | 2017-12-26 | Terminal block for changing electric me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011A true KR20190078011A (en) | 2019-07-04 |
Family
ID=6725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9666A KR20190078011A (en) | 2017-12-26 | 2017-12-26 | Terminal block for changing electric me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8011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183B1 (en) * | 2019-10-11 | 2021-01-25 | 한국전력공사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lock |
KR20210058193A (en) * | 2019-11-13 | 2021-05-24 | (주)창해전력 | Low voltag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oard |
KR20220167451A (en) * | 2021-06-14 | 2022-12-21 | 천일계전(주)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lock |
KR20220167552A (en) * | 2021-06-14 | 2022-12-21 | 한국전력공사 | Uninterruptible changin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meter |
KR20230003740A (en) * | 2021-06-30 | 2023-01-06 | (주)엔씨코리아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lock with Current Transformers |
KR102692734B1 (en) * | 2024-03-19 | 2024-08-07 | 주식회사 태경이엔씨 | Detachable connection terminal box for uninterrupted power meter replacement work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79666A patent/KR20190078011A/en unkno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183B1 (en) * | 2019-10-11 | 2021-01-25 | 한국전력공사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lock |
KR20210058193A (en) * | 2019-11-13 | 2021-05-24 | (주)창해전력 | Low voltag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oard |
KR20220167451A (en) * | 2021-06-14 | 2022-12-21 | 천일계전(주)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lock |
KR20220167552A (en) * | 2021-06-14 | 2022-12-21 | 한국전력공사 | Uninterruptible changing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meter |
KR20230003740A (en) * | 2021-06-30 | 2023-01-06 | (주)엔씨코리아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erminal Block with Current Transformers |
KR102692734B1 (en) * | 2024-03-19 | 2024-08-07 | 주식회사 태경이엔씨 | Detachable connection terminal box for uninterrupted power meter replacement wor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78011A (en) | Terminal block for changing electric meter | |
US3603918A (en) |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 |
CN101582551B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772207B1 (en) | Terminal block for wattmeter uninterrupted power supply | |
CN101253658A (en) |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including protection for overheating conditions | |
CN211126137U (en) | Grounding device | |
CN105470740A (en) | Plug and charging box | |
US2401555A (en) | Lighting system for tubular lamps and holder for use therein | |
JP2008226621A (en) | Cable with branch | |
KR100804080B1 (en) | Measuring instrument corporation and circuit breaker corporation being connected to terminal block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 |
US20020004328A1 (en) | Multiple pin contactor device for power bus bar systems | |
JP5036499B2 (en) | Energy meter and its connection adapter | |
CN103441384A (en) | Socket and connector including same | |
KR100715987B1 (en) | A replaceable watt-hour meter of a common housing at state a power unfailure | |
US8779309B2 (en) | Transfer switch with internal interlock | |
JP5247856B2 (en) | Energy meter and its connection adapter | |
CN202534943U (en) | Mining explosion-isolation intrinsically-safe permanent-magnet high-voltage vacuum power distribution device | |
US9247665B2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a power isolation circuit loop | |
KR20170114836A (en) | Display unit with a power connection structure | |
PT921611E (en) | SOCKET AND SWITCH FOR CONNECTION TO ELECTRICAL | |
CN110726865A (en) | Quick-insertion type high-voltage microammeter | |
CN104966958A (en) | Fuse terminal | |
US2604505A (en) | Lamp socket for elongated tubular fluorescent discharge lamps | |
US12057667B2 (en) | Electrical plug with replaceable surge protector | |
CN113028371B (en) | Low-voltage alternating current-direct current loop assembled LED signal indicator lam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