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850A -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850A
KR20190077850A KR1020170179376A KR20170179376A KR20190077850A KR 20190077850 A KR20190077850 A KR 20190077850A KR 1020170179376 A KR1020170179376 A KR 1020170179376A KR 20170179376 A KR20170179376 A KR 20170179376A KR 20190077850 A KR20190077850 A KR 2019007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ngerprint sensor
user
similarity
fea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3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세진
Original Assignee
(주) 유파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파인스 filed Critical (주) 유파인스
Priority to KR102017017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7850A/en
Publication of KR2019007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8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06K9/00013
    • G06K9/000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which comprises: a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y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t least one fingerprint sensor; a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y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a final authentication unit finally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y us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Description

사용자 인증 시스템{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0001]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0002]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문과 심전도의 2가지 생체 신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in which security is enhanced by using biometric signals of a fingerprint and an electrocardiogram.

지문, 심전도 및 홍채 등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것은 근래 아주 보편화 되었다. 그런데 1 종류의 생체 정보만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경우 인증의 보안면에서 불안한 측면이 여전히 남아 있다.The use of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s, electrocardiograms, and irises, has made authentication of users very common in recent years. However, when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only one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there is still a worrying aspect in security of the authentication.

다만, 2 종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경우, 장치의 복잡성 및 측정의 번거로움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However,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two or more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the complexity of the device and the troublesome measurement are expected to increase, and a solution is needed.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814호(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센서,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인증 방법)에는 2가지 이상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2814 (a sensor capable of enhancing securit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ensor, and an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mobile device) uses two or more pieces of biometric information A mobil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is disclosed.

그런데,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814호의 경우, 측정 시 양손의 손가락을 사용함에 있어 다소 불편함이 예상된다.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112814, it is expected that the fingers of both hands are somewhat inconvenient when measurin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편리하게 2가지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capable of conveniently acquiring two piece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지문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제 1 예비적 인증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이용한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하는 제 2 예비적 인증부; 및 상기 제 1 예비적 인증부의 인증 결과와 상기 제 2 예비적 인증부의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하는 최종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t least one fingerprint sensor; A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based on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nal authentication unit which finally authenticates the user us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아울러,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지문 센서 중 제 1 지문 센서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상기 제 1 전극이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 1 지문 센서와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지문 센서와 상기 제 1 전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시 인체 비접촉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시 인체 접촉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fingerprint sensor and a second fingerprint sensor, wherein at least three surfaces or fou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among the at least one fingerprint sensor are surrounded by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and the first electrode are disposed at a noncontact portion of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wearable device is worn,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isposed at a human-contact por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is wor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예비적 인증부는, 상기 제 1 지문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 특징점을 추출하는 제 1 특징점 추출기; 및 상기 제 1 특징점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지문 특징점과 미리 저장된 지문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1 유사도를 측정하는 제 1 유사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for extracting fingerprint feature points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And a first similarity meter for comparing the fingerprint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with previously stored fingerprint feature points and measuring the first similarity degree.

또한, 상기 제 2 예비적 인증부는,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제 2 특징점 추출기; 및 상기 제 2 특징점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심전도 특징점과 미리 저장된 심전도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2 유사도를 측정하는 제 2 유사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may include an analog front end for amplifying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onverting the amplifi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for extracting ECG feature points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And a second degree-of-similar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second degree of similarity by comparing the electrocardiographic characteristic points extracted from the second characteristic point extractor with previously stored electrocardiographic characteristic points.

아울러, 상기 제 2 특징점 추출기는,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가 심전도 특징점 추출을 위한 신호로부터 반전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반전된 신호인 경우 다시 반전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is an inverted signal from the signal for extracting the electrocardiographic feature point, reverses the inverted signal, and extracts the feature point of the electrocardiogram .

또한, 상기 최종 인증부는, 상기 제 1 유사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 1 유사도 값이 제 1 값 이상이고, 상기 제 2 유사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 2 유사도 값이 제 2 값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first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imilarity measur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and the second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similarity measur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value, Is authenticated.

본 발명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따르면, 편리하게 2가지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conveniently acquired and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제 1 지문 센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배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제 1 지문 센서, 제 2 지문 센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배치 설명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fingerprint senso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in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first fingerprint sensor, a second fingerprint senso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in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FIG. 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100)은, 제 1 지문 센서(F1), 제 1 전극(E1), 제 2 전극(E2), 제 1 예비적 인증부(110), 제 2 예비적 인증부(120), 최종 인증부(130), 제 1 데이터베이스(140) 및 제 2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 first electrode E1, a second electrode E2, 1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10, a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20, a final authentication unit 130, a first database 140, and a second database 150.

제 1 지문 센서(F1)는, 지문 전용의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전극(E1) 및 제 2 전극(E2)은 심전도를 특정하기 위한 건식 전극으로, 2개의 전극(E1, E2) 사이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As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 sensor dedicated to a fingerprint or a camera having an image sensor incorporated therein may be used.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are dry electrodes for specifying the electrocardiogram and extract electrocardiogram signals using electrical signals between the two electrodes E1 and E2.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100)의 제 1 지문 센서(F1), 제 1 전극(E1) 및 제 2 전극(E2)의 배치 설명도를 나타낸다.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of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지문 센서(F1)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제 1 전극(E1)이 둘러싸는 형태로, 제 1 지문 센서(F1)와 제 1 전극(E1)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전극(E1)은 'ㄷ'자 또는 'ㅁ'자 형태로, 내부에 제 1 지문 센서(F1)가 위치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1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electrode E1 surrounds at least three surfaces or fou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It is preferable that one electrode E1 be disposed. That is, the first electrode E1 may have a shape of 'c' or 'k', and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electrode E1.

제 1 지문 센서(F1)에 의한 지문 정보의 획득 시 제 1 전극(E1)에 의해 심전도 정보를 동시에 획득하기 위해 제 1 지문 센서(F1)의 주위에 제 1 전극(E1)이 많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지문 센서(F1)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제 1 전극(E1)이 둘러싸는 형태로 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1 are arranged around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so as to simultaneously acquire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by the first electrode E1 when acquiring fingerprint information by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The first electrode E1 surrounds at least three or fou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아울러, 제 1 지문 센서(F1)와 제 1 전극(E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의 착용 시 인체 비접촉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증을 위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의 착용 시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지문 센서(F1)와 제 1 전극(E1)에 손가락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first electrode E1 are disposed at a noncontact por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W is worn. For authentication, the user can acquire biometric information by touching the finger to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first electrode E1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wearable device W is worn.

또한, 제 2 전극(E2)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의 착용 시 인체 접촉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전극(E2)의 경우, 별도의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접촉 없이도 제 1 지문 센서(F1)와 제 1 전극(E1)에 사용자가 접촉 시, 제 1 전극(E1)과 제 2 전극(E2)에 의해 심전도 신호의 획득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해 짐을 알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ectrode E2 is disposed at a human body contact por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W is worn. 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electrode E2,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first electrode E1 without touching the finger or the like of another user,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1,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can be acquired by the second signal E2.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the user becomes easy.

제 1 예비적 인증부(110)는,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111), 제 1 특징점 추출기(112) 및 제 1 유사도 측정기(113)를 포함한다.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10 includes a sensor interface circuit 111, a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112, and a first similarity meter 113.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111)는, 제 1 지문 센서(F1)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특징점 추출기(112)는, 제 1 지문 센서(F1)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 특징점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1 유사도 측정기(113)는, 제 1 특징점 추출기(112)로부터 추출된 지문 특징점과 제 1 데이터베이스(140)에 미리 저장된 지문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1 유사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interface circuit 111 serves to convert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into digital information. The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112 extracts fingerprint feature points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The first similarity measuring unit 113 compares the fingerprint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112 with the fingerprint feature points stored in the first database 140 to measure the first similarity.

또한, 제 2 예비적 인증부(120)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21), 제 2 특징점 추출기(122) 및 제 2 유사도 측정기(123)를 포함한다.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20 includes an analog front end 121, a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122, and a second similarity degree measurer 123.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21)는, 제 1 전극(E1) 및 제 2 전극(E2)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특징점 추출기(122)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2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유사도 측정기(123)는, 제 2 특징점 추출기(122)로부터 추출된 심전도 특징점과 제 2 데이터베이스(150)에 미리 저장된 심전도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2 유사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analog front end 121 amplifies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nto digital signals.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122 extracts feature points of the electrocardiogram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121. The second similarity measuring unit 123 compares the electrocardiographic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122 with electrocardiographic feature points previously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150 to measure the second similarity.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W)를 착용하는 손은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제 1 전극(E1)이 오른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왼쪽 손목에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어떤 사람은, 제 1 전극(E1)이 왼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오른쪽 손목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특징점 추출기(122)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2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가 심전도 특징점 추출을 위한 신호로부터 반전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반전된 신호인 경우 다시 반전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기준 신호가 제 1 전극(E1)이 오른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왼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로 제 2 데이터베이스(150)에 특징점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전극(E1)이 왼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오른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 반전된 신호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21)로부터 출력되게 되므로, 다시 반전하는 것에 의해 기준 신호와 상을 매칭시켜줄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전극(E1)이 왼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오른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로 제 2 데이터베이스(150)에 특징점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전극(E1)이 오른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왼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 반전된 신호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21)로부터 출력되게 되므로, 다시 반전하는 것에 의해 기준 신호와 상을 매칭시켜줄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hand wearing the wearable device W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Someone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E1 with the righ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with the left wrist. In any other person, the first electrode E1 may contact the lef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may contact the right wrist. Accordingly,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122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121 is an inverted signal from the signal for extracting the ECG feature point, and if the inverted signal is the inverted signal, inverts the ECG feature point .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150 when the first electrode E1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left wrist, Since the inverted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analog front end 121 when the first electrode E1 is in contact with the lef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wrist,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eference signal with the phase by inverting again . Similarly, when the first electrode E1 is in contact with the lef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wrist and the feature point is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150, When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left wrist, the inverted signal is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121,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image by inverting again.

최종 인증부(130)는, 제 1 예비적 인증부(110)의 인증 결과와 제 2 예비적 인증부(120)의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최종 인증부(130)는, 제 1 유사도 측정기(113)에 의해 측정된 제 1 유사도 값이 제 1 값 이상이고, 제 2 유사도 측정기(123)에 의해 측정된 제 2 유사도 값이 제 2 값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nal authentication unit 130 finally authenticates the user us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10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20. [ Specifically, the final authentic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imilarity measuring unit 11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and the second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similarity measuring unit 12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If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wo, the user is finally authentic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100)에 따르면, 한 손의 심전도 정보는 언제든지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의 접촉 부위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한 손가락을 제 1 지문 센서(F1) 및 제 1 전극(E1)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2가지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of one hand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wearable device W that can be obtained at any time, By touching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first electrode E1, two types of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conveniently obtained and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FIG. 3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은, 제 1 지문 센서(F1), 제 2 지문 센서(F2), 제 1 전극(E1), 제 2 전극(E2), 제 1 예비적 인증부(210), 제 2 예비적 인증부(220), 최종 인증부(230), 제 1 데이터베이스(240) 및 제 2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a first electrode E1, The second electrode E2 includes a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210, a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220, a final authentication unit 230, a first database 240 and a second database 250 .

제 1 지문 센서(F1) 및 제 2 지문 센서(F2)는, 지문 전용의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전극(E1) 및 제 2 전극(E2)은 심전도를 특정하기 위한 건식 전극으로, 2개의 전극(E1, E2) 사이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As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a sensor for fingerprints or a camera with an image sensor can be used.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are dry electrodes for specifying the electrocardiogram and extract electrocardiogram signals using electrical signals between the two electrodes E1 and E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의 제 1 지문 센서(F1), 제 2 지문 센서(F2), 제 1 전극(E1) 및 제 2 전극(E2)의 배치 설명도를 나타낸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the fingerprint sensor F1,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of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지문 센서(F1)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제 1 전극(E1)이 둘러싸는 형태로, 제 1 지문 센서(F1)와 제 1 전극(E1)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전극(E1)은 'ㄷ'자 또는 'ㅁ'자 형태로, 내부에 제 1 지문 센서(F1)가 위치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1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electrode E1 surrounds at least three surfaces or fou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It is preferable that one electrode E1 be disposed. That is, the first electrode E1 may have a shape of 'c' or 'k', and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electrode E1.

제 1 지문 센서(F1)에 의한 지문 정보의 획득 시 제 1 전극(E1)에 의해 심전도 정보를 동시에 획득하기 위해 제 1 지문 센서(F1)의 주위에 제 1 전극(E1)이 많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지문 센서(F1)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제 1 전극(E1)이 둘러싸는 형태로 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1 are arranged around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so as to simultaneously acquire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by the first electrode E1 when acquiring fingerprint information by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The first electrode E1 surrounds at least three or fou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마찬가지로, 제 2 지문 센서(F2)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제 2 전극(E2)이 둘러싸는 형태로, 제 2 지문 센서(F2)와 제 2 전극(E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전극(E2)은 'ㄷ'자 또는 'ㅁ'자 형태로, 내부에 제 2 지문 센서(F3)가 위치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and the second electrode E2 are arranged such that the second electrode E2 surrounds at least three surfaces or fou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E2 may have a shape of 'c' or 'k', and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3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electrode E2.

제 2 지문 센서(F2)에 의한 지문 정보의 획득 시 제 2 전극(E2)에 의해 심전도 정보를 동시에 획득하기 위해 제 2 지문 센서(F2)의 주위에 제 2 전극(E2)이 많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 2 지문 센서(F2)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제 1 전극(E1)이 둘러싸는 형태로 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E2 are arranged around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to simultaneously acquire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by the second electrode E2 when fingerprint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 The first electrode E1 surrounds at least three or fou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제 1 예비적 인증부(210)는,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211), 제 1 특징점 추출기(212) 및 제 1 유사도 측정기(213)를 포함한다.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210 includes a sensor interface circuit 211, a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212, and a first similarity meter 213.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211)는, 제 1 지문 센서(F1) 및 제 2 지문 센서(F2)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특징점 추출기(212)는, 제 1 지문 센서(F1) 및 제 2 지문 센서(F2)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지문 특징점 및 제 2 지문 특징점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1 유사도 측정기(213)는, 제 1 특징점 추출기(212)로부터 추출된 제 1 지문 특징점 및 제 2 지문 특징점과 제 1 데이터베이스(240)에 미리 저장된 제 1 지문 특징점 및 제 2 지문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1-1 유사도 및 제 1-2 유사도를 각각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sensor interface circuit 211 serves to convert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into digital information. The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212 extracts the first fingerprin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ingerprint feature point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second fingerprint sensor F2. In addition, the first similarity level measuring device 213 calculates the first fingerprin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ingerprint feature point extracted from the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212 and the first fingerprin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ingerprint feature point stored in advance in the first database 240 And to measure the 1-1 similarity and the 1-2 similarity, respectively.

또한, 제 2 예비적 인증부(220)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221), 제 2 특징점 추출기(222) 및 제 2 유사도 측정기(223)를 포함한다.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220 includes an analog front end 221, a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222, and a second similarity degree measurer 223.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221)는, 제 1 전극(E1) 및 제 2 전극(E2)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특징점 추출기(222)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22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2 유사도 측정기(223)는, 제 2 특징점 추출기(222)로부터 추출된 심전도 특징점과 제 2 데이터베이스(250)에 미리 저장된 심전도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2 유사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analog front end 221 amplifies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nto digital signals.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222 extracts feature points of the electrocardiogram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221. The second similarity meter 223 measures the second similarity by comparing the ECG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second feature extractor 222 with the ECG feature points previously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250.

아울러, 제 1 전극(E1)과 제 2 전극(E2)에 접촉하는 손은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제 1 전극(E1)이 오른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왼쪽 손목에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어떤 사람은, 제 1 전극(E1)이 왼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오른쪽 손목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특징점 추출기(222)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22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가 심전도 특징점 추출을 위한 신호로부터 반전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반전된 신호인 경우 다시 반전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기준 신호가 제 1 전극(E1)이 오른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왼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로 제 2 데이터베이스(250)에 특징점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전극(E1)이 왼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오른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 반전된 신호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221)로부터 출력되게 되므로, 다시 반전하는 것에 의해 기준 신호와 상을 매칭시켜줄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전극(E1)이 왼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오른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로 제 2 데이터베이스(250)에 특징점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전극(E1)이 오른쪽 손가락과 접촉하고 제 2 전극(E2)은 왼쪽 손목에 접촉한 경우 반전된 신호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221)로부터 출력되게 되므로, 다시 반전하는 것에 의해 기준 신호와 상을 매칭시켜줄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hand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Someone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E1 with the righ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with the left wrist. In any other person, the first electrode E1 may contact the lef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may contact the right wrist. Accordingly,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222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221 is an inverted signal from the signal for extracting the ECG feature point, and if it is an inverted signal, inverts the ECG feature point again .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250 when the first electrode E1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left wrist, When the first electrode E1 touches the lef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touches the right wrist, the inverted signal is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221, so that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eference signal with the phase by inverting again . Similarly, when the first electrode E1 is in contact with the left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wrist and the feature point is stored in the second database 250, When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 and the second electrode E2 is in contact with the left wrist, the inverted signal is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221,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image by inverting again.

최종 인증부(230)는, 제 1 예비적 인증부(210)의 인증 결과와 제 2 예비적 인증부(220)의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최종 인증부(230)는, 제 1-1 유사도 측정기 및 제 1-2 유사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 1-2 유사도 값 및 제 1-2 유사도 값이 제 1 값 이상이고, 제 2 유사도 측정기(223)에 의해 측정된 제 2 유사도 값이 제 2 값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nal authentication unit 230 use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210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220 to finally authenticate the user. Specifically, the final authentic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second similarity value and the first-second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first-first similarity measuring unit and the first-second similarity measuring unit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When the second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similarity measuring unit 223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value, the user is finally authentic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200)에 따르면, 별도로 구비된 제 1 지문 센서(F1) 및 제 1 전극(E1)를 위한 접촉부와 제 2 지문 센서 및 제 3 전극를 위한 접촉부에 의해 편리하게 2가지 생체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for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F1 and the first electrode E1 separately provided, Two kinds of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conveniently obtained by the contact part for three electrodes, and the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100, 200 : 사용자 인증 시스템
110, 210 : 제 1 예비적 인증부 120, 220 : 제 2 예비적 인증부
130, 230 : 최종 인증부 140, 240 : 제 1 데이터베이스
150, 250 : 제 2 데이터베이스
111, 211 :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 112, 212 : 제 1 특징점 추출기
113, 213 : 제 1 유사도 측정기 121, 221 :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122, 222 : 제 2 특징점 추출기 123, 223 : 제 2 유사도 측정기
F1 : 제 1 지문 센서 F2 : 제 2 지문 센서
E1 : 제 1 전극 E2 : 제 2 전극
100, 200: user authentication system
110, 210: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20, 220: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130, 230: final authentication unit 140, 240: first database
150, 250: second database
111, 211: sensor interface circuit 112, 212: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113, 213: first similarity measuring device 121, 221: analog front end
122, 222: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s 123, 223: second similarity-
F1: first fingerprint sensor F2: second fingerprint sensor
E1: first electrode E2: second electrode

Claims (8)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문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실시하는 제 1 예비적 인증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이용한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하는 제 2 예비적 인증부; 및
상기 제 1 예비적 인증부의 인증 결과와 상기 제 2 예비적 인증부의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실시하는 최종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In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A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t least one fingerprint sensor;
A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a user based on electrocardiographic information of the user us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nd a final authentication unit which finally authenticates the user us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지문 센서 중 제 1 지문 센서의 외부 둘레 중 적어도 3개의 면 또는 4개의 면을 상기 제 1 전극이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 1 지문 센서와 상기 제 1 전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compri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and the first electrode are disposed such that at least three faces or four 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among at least one fingerprint sensor are surrounded by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User authentic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문 센서와 상기 제 1 전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시 인체 비접촉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and the first electro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wearable device is disposed at a noncontact portion of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wearable device is wor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시 인체 접촉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comprises:
Wherein the wearable device is disposed at a human body contact por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is wo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예비적 인증부는,
상기 제 1 지문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 특징점을 추출하는 제 1 특징점 추출기; 및
상기 제 1 특징점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지문 특징점과 미리 저장된 지문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1 유사도를 측정하는 제 1 유사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comprises:
A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for extracting fingerprint feature points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fingerprint sensor; And
And a first similarity measuring unit for comparing the extracted fingerprint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first feature point extractor with previously stored fingerprint feature points and measuring a first similarity degre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예비적 인증부는,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제 2 특징점 추출기; 및
상기 제 2 특징점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심전도 특징점과 미리 저장된 심전도 특징점을 비교하여 제 2 유사도를 측정하는 제 2 유사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preliminary authentication unit comprises:
An analog front end for amplifying and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to a digital signal;
A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for extracting ECG feature points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And
And a second degree-of-similarity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second degree of similarity by comparing the electrocardiographic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with previously stored electrocardiographic feature poin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특징점 추출기는,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가 심전도 특징점 추출을 위한 신호로부터 반전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반전된 신호인 경우 다시 반전하여 심전도 특징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feature point extractor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front end is an inverted signal from the signal for extracting an ECG feature point and inverts the inverted signal to extract the ECG feature poi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인증부는,
상기 제 1 유사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 1 유사도 값이 제 1 값 이상이고, 상기 제 2 유사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 2 유사도 값이 제 2 값 이상인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nal authentication unit,
Wherein when the first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imilarity measur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value and the second similarity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similarity measuring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value, User authentication system.



KR1020170179376A 2017-12-26 2017-12-26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KR201900778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376A KR20190077850A (en) 2017-12-26 2017-12-26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376A KR20190077850A (en) 2017-12-26 2017-12-26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850A true KR20190077850A (en) 2019-07-04

Family

ID=6725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376A KR20190077850A (en) 2017-12-26 2017-12-26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785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69A (en)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Apparatus and method of personal identification using biometric sig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69A (en)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Apparatus and method of personal identification using biometric signal
WO2023121279A1 (en)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using biological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456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a user
US9289160B2 (en) Portable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dorsal hand vein pattern
US10749863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data in a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US9400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based security using capacitive profiles
WO2019109433A1 (en)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gait recognition
Sufi et al. ECG-based authentication
JP2947210B2 (en) Biological identification device
WO2018145377A1 (en) User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W201705031A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a fingerprint identification region and a pulse and blood flow identification region together having a total area about a press area of a single finger
US10891362B2 (en) Wearable device having higher security and skin sensor equipped thereon
JP2011103113A5 (en)
CN102467665B (en) Finger vein image acquisi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KR102507269B1 (en) Sensor for improving securit using biometric data,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ensor and authentification method of the mobile device
JP2010515185A (en) Personal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90114469A1 (en) Apparatus and method
KR1016275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ntaneous biometrics authentication in wearable device
Ojala et al. Wearable authentication device for transparent login in nomadic applications environment
WO2017003078A1 (en) Vein recognition device and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using same
KR20190077850A (en) System for user authentification
Oduah et al. Towards a high-precision contactless fingerprint scanner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CN108594937B (en) Portable terminal
Sadasivuni et al. Anti-spoofing device for biometric fingerprint scanners
KR101863840B1 (en) Authentication apparatutus based on ecg
Doi et al. Personal authentication using feature points on finger and palmar creases
KR100648548B1 (en) Living-body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uthenticating apparatus having living-body detec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