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788A -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 Google Patents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788A
KR20190077788A KR1020170179250A KR20170179250A KR20190077788A KR 20190077788 A KR20190077788 A KR 20190077788A KR 1020170179250 A KR1020170179250 A KR 1020170179250A KR 20170179250 A KR20170179250 A KR 20170179250A KR 20190077788 A KR20190077788 A KR 20190077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ier
water tank
sterilization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호
Original Assignee
(주)보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토코리아 filed Critical (주)보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7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7788A/ko
Publication of KR2019007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micro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수조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멸균부, 제2 멸균부 및 가습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고 분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착탈되며 입자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입자화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는 가습기 생산 비용이 기존의 초음파 가습기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은 물론, 가습기 저수조에서 번식할 수 있는 세균 등의 미생물을 박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Humidifier Using Low Temperature Intermittent Sterilization Method}
본 발명은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수조를 포함하되, 제1 멸균부로서 가열부 및 제2 멸균부로서 오존 생성부를 포함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낮아 매우 건조한 겨울철, 특히 콘크리트 건물에서의 겨울철에는 그 실내가 극히 건조해지며, 실내가 지속적으로 건조해질 경우에는 인체에 큰 해악을 끼치게 된다.
그래서 환절기나 냉난방 등 실내 온도의 조절이 필요한 시기에는 실내의 습도가 낮아져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습기를 공급하는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가습기 내의 물에 세균이나 병원균이 서식하여 가습기로부터 공급되는 습기 또는 수증기에 세균이나 병원균이 함께 옮겨져 질병을 옮긴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가습기의 살균 성능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전기나 열에 의해 물을 입자화하거나 수증기로 만들어 실내의 수분을 높이는 장치로써, 그 종류에는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 가습기, 그리고 이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복합식 가습기가 있다.
이 중에서 초음파 가습기는 초음파 즉, 사람의 청각으로는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보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물을 입자화 즉, 작은 알갱이로 만든 뒤 팬을 이용해 실내로 보내는 방식이 사용된다. 작은 팬으로 방안에 불어 보내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초음파 가습기의 경우 진동자가 본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동자의 세척이 불편하고 특히 본체에는 송풍팬, 회로기판, 파워서플라이 등 여러 가지 전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진동자를 물로 세척할 경우 위 전기장치들로 물이 들어가 가습기가 고장이 날 우려가 있다.
또한, 초음파 가습기는 특별한 살균기능이 없어 근래에 살균기능이 추가된 가습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고, 가습기 살균제가 크게 유행되기도 하였으나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확인되어 근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열식 가습기는 가습기 안에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뿜어주는 방식인데, 물을 끓여 분무하므로 위생적이고 따뜻한 수증기로 실내 온도를 유지하므로 호흡기 부담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분무량이 적고 소비 전력이 높으며 특유의 소음이 발생되는 작동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로 인하여 화상의 가능성이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도 있다.
한편, 이들의 복합 형태로서 가열 방식과 초음파 방식이 결합된 복합식 가습기가 사용되었는데, 각각의 방식의 장점을 누릴 수 있지만 높은 제조비용으로 종래 초음파 가습기에 비하여 현저히 비싼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 가습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14311호(발명의 명칭 : 멸균 가습기)에서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로 습기를 만들어 분무하는 가습기로서, 상기 저수조 내의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상기 물을 증발 또는 비산시켜 습기를 발생시키는 습기 생성유닛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상기 저수조 내의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직류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산화체를 생성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물 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전도도 측정부와; 상기 전기 전도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1값보다 더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소금 용액이나 소금 분말을 저장하고 있다가 소금 성분을 상기 저수조 내의 물 속에 공급하는 소금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고,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74593호(발명의 명칭 : 초음파 가습기)에서는 물이 수용되는 저수조에 진동자를 설치하고, 상기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를 저수조의 하부와 크래들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기 단자를 커피포트에 사용되는 전기스위치로 사용함으로써 전원단자의 부식이나 파손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줄여 가습기의 수명을 늘려줄 수 있는 초음파 가습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에 포함된 가습기의 경우도 가습기의 저수조에 포함된 세균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가열식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및 복합식 가습기의 단점을 보완하되, 가습기 생산 비용이 기존의 초음파 가습기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은 물론, 가습기 저수조에서 번식할 수 있는 세균 등의 미생물을 박멸할 수 있는 가습기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 가습기에 저장된 물을 열과 오존 등을 이용한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하여 멸균과정을 거칠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하여 초음파 가습기에 저장된 물을 멸균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가열식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및 복합식 가습기의 단점을 보완하되, 가습기 생산 비용이 기존의 초음파 가습기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은 물론, 가습기 저수조에서 번식할 수 있는 세균 등의 미생물을 박멸할 수 있는 가습기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초음파 가습기에 저장된 물을 열과 오존 등을 이용한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하여 멸균과정을 거칠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와 수조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멸균부, 제2 멸균부 및 가습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고 분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착탈되며 입자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입자화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살균’은 특정 공간에 포함된 세균을 특정한 조치에 의해 대부분 사멸시키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할 수 있고, 용어‘멸균’은 특정 공간에 포함된 세균을 특정한 조치에 의해 모두 사멸시키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멸균’은 특정 공간에 포함된 세균을 특정한 조치에 의해 99% 이상 사멸시키는 일련의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간헐멸균’은 통상적으로 최초에 섭씨 100도, 15-30분 가열하고, 하룻밤 실온에 두었다가 이튿날 동일한 가열을 반복하는 멸균방법을 의미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가열 방식에 의한 가열 멸균 단계 및 상기 가열 멸균 단계 이후, 가열 멸균 방식을 제외한 멸균 단계를 추가적으로 시행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오존’은 산소 원자 3개로 이루어진 산소의 동소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마이크로웨이브’는 주파수가 300-30000 메가사이클, 파장 1 m 이하의 전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멸균부는 바람젝하게는 가열부에 의해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멸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가열방식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섭씨 50도 내지 100도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섭씨 55도 내지 95도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섭씨 60도 내지 95도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섭씨 65도 내지 85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가열 온도가 섭씨 65도 내지 85도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섭씨 65도 내지 85도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 처리할 경우,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아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히쇽(heat shock) 작용에 의해 아포의 발아를 촉진할 수 있어, 아포에서 발아된 세균을 2차 멸균부에 의해 모두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2 멸균부는 바람직하게는 오존 생성부, 자외선 생성부 및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멸균방식을 이용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존 생성부 또는 자외선 생성부를 이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오존 생성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멸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제2 멸균부가 오존 생성부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자외선 생성부를 제2 멸균부로 이용할 경우 자외선이 물속을 투과하는 두께가 10 mm에 불과하여 충분한 멸균 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제2 멸균부로 이용할 경우 상술한 자외선과 같이 마이크로웨이브가 물속을 투과할 수 있는 두께가 얇은 것은 물론, 에너지 효율이 낮고,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멸균부에 의한 제1 멸균 단계 및 상기 제2 멸균부에 의한 제2 멸균 단계를 거쳐 멸균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조에 담긴 물을 제1 멸균부에 의한 제1 멸균 단계 및 제2 멸균부에 의한 제2 멸균 단계를 거쳐 멸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제1 멸균부의 멸균 작용에 의해 아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 멸균부의 히쇽(heat shock) 작용에 의해 아포의 발아를 촉진할 수 있어, 아포에서 발아된 세균을 제2 멸균부의 멸균 작용에 의해 모두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오존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001 ppm 내지 10 pp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ppm 내지 5 ppm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 ppm 내지 3 ppm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ppm 내지 1 pp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오존 농도가 0.5 ppm 내지 1 ppm인 이유는 오존 농도가 0.5 ppm 미만일 경우 멸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오존 농도가 1 ppm을 초과할 경우 생성된 오존 제거가 어려운 것은 물론, 오존에 의해 가습기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오존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는 바람직하게는 오존 제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기가 오존 제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오존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물이 배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 수조에 담긴 물의 멸균방법을 제공한다:
(a) 가습기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부를 이용해서 섭씨 65도 내지 85도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가열된 물을 섭씨 30도 미만으로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냉각된 물의 오존 농도를 오존 생성부를 이용하여 0.001 ppm 내지 3 ppm로 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냉각된 물에 포함된 오존 농도를 0.001 ppm 미만으로 낮추는 단계.
본 명세서에서 가습기 수조에 담긴 물의 멸균방법과 관련된 사항은 상술한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의 내용과 공통되므로, 본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본체와 수조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멸균부, 제2 멸균부 및 가습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고 분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착탈되며 입자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입자화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인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는 가습기 생산 비용이 기존의 초음파 가습기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은 물론, 가습기 저수조에서 번식할 수 있는 세균 등의 미생물을 박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의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의 멸균 방법과 관련된 순서도이다.
도 5는 세균의 사멸 온도와 관련된 참고도이다.
도 6은 힛쇽(heat shock)의 세균 사멸과 관련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100)의 사시도, 정면도, 참고도 및 상기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100)의 멸균 방법과 관련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100)는 제1 멸균부(11), 제2 멸균부(12), 제어부(13), 제어창(14) 및 오존 제거부(15)를 포함하는 본체(10) 및 커버(21), 배출구(22) 및 진동자(23)를 포함하는 수조(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제1 멸균부(11), 제2 멸균부(12), 제어부(13), 제어창(14) 및 오존 제거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멸균부(11)는 가열부(11-1)가 상기 수조(20)에 포함된 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멸균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가열부(11-1)는 열선, 할로겐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조(20)에 포함된 물의 수온을 섭씨 65도 내지 85도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20)에 포함된 물의 수온을 섭씨 65도 내지 85도로 승온하여 1차 멸균 과정을 진행할 경우, 물속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 중 아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1차 멸균 과정 진행 후, 수온을 섭씨 30도로 낮춰 일정 시간(약 10-60 분) 유지할 경우)아포의 발아를 촉진시켜 발아된 하포를 후술하는 2차 멸균 과정에서 완전히 사멸할 수 있다.
상기 제2 멸균부(12)는 오존 생성부(12-1)가 상술한 1차 멸균 과정을 진행한 물에 0.5 ppm 내지 1 ppm의 오존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멸균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오존 생성부(12-1)는 전기분해 방식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조(20)에 포함된 물의 오존 농도를 0.5 ppm 내지 1 ppm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조(20)에 포함된 물의 오존 농도를 0.5 ppm 내지 1 ppm으로 유지하여 2차 멸균 과정을 진행할 경우, 상술한 1차 멸균 과정 진행 후, 아포에서 발아한 세균을 완전히 사멸할 수 있다.
세균의 아포는 3 ppm 이상의 오존 농도에서 불활성화 되는데, 상술한 1차 멸균 과정을 통해 아포를 세균으로 발아시킬 경우 0.5 ppm 내지 1 ppm의 오존 농도로도 아포에서 발아된 세균을 완전히 사멸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는 사용자의 제어창(14)을 통한 입력을 통해 상술한 가열부(11-1), 오존 생성부(12-1) 및 진동자(23)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창(14)은 터치스크린 패널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멸균작업 조건 및 분무량을 입력하는 입력부분과 멸균작업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어창(14)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로고 화면과, 멸균부 작동 화면, 물 저장량 화면, 수온 화면, 오존 농도 화면, 오존 제거 화면 및 멸균부 작동 완료 화면이 멸균작업 진행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로고 화면은 멸균부를 ON시켰을 때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로고가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멸균부 작동 화면은 멸균 작업조건을 입력할 수 있는 초기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물 저장량 화면은 운전 시작버튼을 눌렀을 때 물 저장량 안내 표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수온 화면은 상기 멸균부 작동 화면 이후 현재 수온 안내 표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오존 농도 화면은 상기 멸균부 작동 화면 이후 현재 온존 농도 표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오존 제거 화면은 오존 제거부(15)에서 오존 가스를 제거하는 동안 오존 가스 제거상태 안내 문자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멸균부 작동 완료화면은 운전종료 안내 문자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오존 제거부(15)는 활성탄필터 등 오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오존 제거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가열부를 이용하여 오존수를 재가열하는 방법으로 물속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수조(20)는 커버(21), 배출구(22) 및 진동자(23)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수조(20)의 상단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출구(2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커버(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진동자(23)에서 발생시킨 입자화된 물을 상기 커버(21)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진동자(23)는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입자화된 물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초음파 진동자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진동자를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 멸균 효과 확인
본원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의 멸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이용하여 멸균 처리(섭씨 121도, 2 atm, 15분)된 유리 비커에 정제수를 500 ml 넣고, 상기 비커에 원주시 농업기술센터에서 농가 미생물 배양을 위해 제공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 subtilis) 종균 10 ml를 넣은 다음,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멸균 처리를 진행하였다. 가열처리는 섭씨 80도로 15분간 중탕 가열을 실시하였고, 오존수 처리는 섭씨 25도, 오존 농도 1 ppm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오토클레이브 처리는 섭씨 121도, 2 atm 및 15분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 비커를 밀봉하여 실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다음,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멸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대조구 무처리구
가열처리 O O X X X
오존수 처리 O X O X X
오토클레이브 X X X O X
실험결과 관찰X 관찰O 관찰O 관찰X 관찰O
실험결과 본원발명의 방법을 적용한 실시예 및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한 대조구의 경우 현미경을 통한 육안 관찰로 미생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및 무처리구의 경우 미생물이 관찰되었다.
본체 10 제1 멸균부 11
가열부 11-1 제2 멸균부 12
오존 생성부 12-1 제어부 13
제어창 14 오존 제거부 15
수조 20 커버 21
배출구 22 진동자 23
가습기 100

Claims (10)

  1. 본체와 수조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멸균부, 제2 멸균부 및 가습기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고 분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수조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불순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착탈되며 입자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입자화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는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멸균부는 가열부에 의해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방식의 가열 온도는 섭씨 65도 내지 8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멸균부는 오존 생성부, 자외선 생성부 및 마이크로웨이브 생성부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멸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을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은 상기 제1 멸균부에 의한 제1 멸균 단계 및 상기 제2 멸균부에 의한 제2 멸균 단계를 거쳐 멸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멸균부는 오존 생성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존의 농도는 0.001 ppm 내지 3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존은 상기 입자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는 오존 제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10.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 수조에 담긴 물의 멸균방법:
    (a) 가습기 수조에 담긴 물을 가열부를 이용해서 섭씨 65도 내지 85도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가열된 물을 섭씨 30도 미만으로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냉각된 물의 오존 농도를 오존 생성부를 이용하여 0.001 ppm 내지 3 ppm로 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냉각된 물에 포함된 오존 농도를 0.001 ppm 미만으로 낮추는 단계.
KR1020170179250A 2017-12-26 2017-12-26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KR20190077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50A KR20190077788A (ko) 2017-12-26 2017-12-26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250A KR20190077788A (ko) 2017-12-26 2017-12-26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88A true KR20190077788A (ko) 2019-07-04

Family

ID=6725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250A KR20190077788A (ko) 2017-12-26 2017-12-26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77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7153A (zh) * 2020-09-25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控制方法、装置、空调机组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7153A (zh) * 2020-09-25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控制方法、装置、空调机组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933B1 (ko) 오존소독방법 및 오존소독장치
KR101116042B1 (ko) 초음파 가습원리를 이용한 과산화수소 의료용 소독장치
KR20090080089A (ko) 오존 살균 방법 및 장치
WO2022062053A1 (zh) 一种灭菌空调器
JP2012081215A (ja) 低温プラズマ・紫外線複合殺菌装置
KR20130114311A (ko) 살균 가습기
KR20140107774A (ko) 살균 가습기
CN109303537A (zh) 一种新型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20190077788A (ko) 저온 간헐멸균 방식을 이용한 가습기
CN207221045U (zh) 一种新型医用消毒箱
CN101214384A (zh) 一种干燥消毒器
CN101254151B (zh) 多功能复合医用治疗仪
CN105832005A (zh) 家用消毒置物柜
CN105816891A (zh) 具有报警功能的消毒柜
JP2004351012A (ja) 食器洗い乾燥機
KR20120106028A (ko) 평면형태의 대기압 공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형의 다용도 멸균소독기
CN203842070U (zh) 一种消毒柜
CN112245635A (zh) 水雾消毒机
CN218915521U (zh) 加湿装置及制冷设备
KR20200000302A (ko) 가습량을 증대하도록 개선된 기화식 가습장치
JP6296275B2 (ja) 気化式加湿器の加湿用濾材の殺菌処理方法及び気化式加湿器を備えた加湿システム、並びに該加湿システムを備えた施設
CN213698049U (zh) 便携式口罩消毒机
JP2004041222A (ja) 食品機械の運転方法
CN212713094U (zh) 水处理装置、用水设备及热水器
CN107007856A (zh) 一种多功能自消毒医疗存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