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621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621A
KR20190077621A KR1020197018472A KR20197018472A KR20190077621A KR 20190077621 A KR20190077621 A KR 20190077621A KR 1020197018472 A KR1020197018472 A KR 1020197018472A KR 20197018472 A KR20197018472 A KR 20197018472A KR 20190077621 A KR20190077621 A KR 20190077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bg
information
ack
code
n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374B1 (ko
Inventor
김봉회
김기준
김병훈
안준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측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송신 측으로부터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은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HARQ ACK/NAC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5세대(5G) 통신 시스템을 위한 새롭고 다양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한다. 차세대 5G 시스템에서는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Ultra-reliable Machine-Type Communications (u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 등으로 시나리오를 구분할 수 있다.
eMBB는 High Spectrum Efficiency, High User Experienced Data Rate, High Peak Data Rate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고, uMTC는 Ultra Reliable, Ultra Low Latency, Ultra High Availability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며 (예를 들어, V2X, Emergency Service, Remote Control), mMTC는 Low Cost, Low Energy, Short Packet, Massive Connectivity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다(예를 들어, Io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측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측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수신 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측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송신 측으로부터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은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모두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경우에 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라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못하면 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코드 블록 그룹에 대해 NACK을 전송한 경우, 상기 송신 측으로부터 재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재전송되는 코드 블록 개수, 코드 블록 인덱스 또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 측으로부터 상기 전송 블록의 최초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최초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측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수신 측으로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CK/NACK은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수신되며,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모두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경우에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라도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코드 블록 그룹에 대해 NACK을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 측으로 재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재전송되는 코드 블록 개수, 코드 블록 인덱스 또는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송 블록의 최초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최초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수신 측 장치는, 송신 측으로부터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수신한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은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모두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경우에 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라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못하면 NAC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코드 블록 그룹 별로 1개의 ACK/NACK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ACK/NACK을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측 장치는, 수신 측으로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상기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기는 상기 ACK/NACK을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수신하며,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모두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경우에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블록 그룹이 복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 중 어느 하나라도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코드 블록 그룹 별로 1개의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ACK/NACK을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코드 블록 그룹 단위의 ACK/NACK 전송함으로써 송신 측에서 전체 전송 블록을 재전송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LTE/LTE-A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그리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컴포넌트 캐리어(CC) 및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병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따른 서빙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인코딩된 코드 블록 (code block, CB)의 systematic 부분과 parity 부분을 분리하여 rate matching을 수행하는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LTE-A 시스템, 5G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 LTE-A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데이터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105)과 하나의 단말(110)(D2D 단말을 포함)을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5)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5), 심볼 변조기(120), 송신기(125), 송수신 안테나(130), 프로세서(180), 메모리(185), 수신기(190), 심볼 복조기(19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65), 심볼 변조기(170), 송신기(175), 송수신 안테나(135), 프로세서(155), 메모리(160), 수신기(140), 심볼 복조기(15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130, 135)가 각각 기지국(105) 및 단말(110)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은 SU-MIMO(Single User-MIMO) MU-MIMO(Multi User-MIMO) 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하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여, 코딩하고, 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고 변조하여(또는 심볼 매핑하여), 변조 심볼들("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이 데이터 심볼들과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다중화하여 이를 송신기 (125)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송신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또는 제로의 신호 값일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주기에서, 파일럿 심볼들이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 심볼일 수 있다.
송신기(12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또한,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 컨버팅(upconverting) 하여,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하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송신 안테나(130)는 발생된 하향링크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110)의 구성에서, 수신 안테나(135)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140)로 제공한다. 수신기(140)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고(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145)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을 복조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이를 프로세서(155)로 제공한다.
또한, 심볼 복조기(145)는 프로세서(155)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에 대해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송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획득하고,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50)로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복조(즉, 심볼 디-매핑(demapping))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고, 디코딩하여,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심볼 복조기(145)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에 의한 처리는 각각 기지국(105)에서의 심볼 변조기(120) 및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에 의한 처리에 대해 상보적이다.
단말(110)은 상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65)는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70)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변조를 수행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송신기(175)로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17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135)는 발생된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105)으로 전송한다. 단말 및 기지국에서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하나의 RF(Radio Frequency)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지국(105)에서, 단말(11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기(190)는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이어서, 심볼 복조기(195)는 이 샘플들을 처리하여, 상향링크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처리하여,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단말(110) 및 기지국(105) 각각의 프로세서(155, 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55, 18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160, 185)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60, 185)는 프로세서(18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55, 18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5, 18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55, 18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55, 180)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60, 185)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55, 1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레이어를 기초로 제 1 레이어(L1), 제 2 레이어(L2), 및 제 3 레이어(L3)로 분류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에 속하며, 물리 채널을 통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는 상기 제 3 레이어에 속하며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 무선 자원들을 제공한다. 단말, 기지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RRC 레이어를 통해 RRC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의 프로세서(155)와 기지국의 프로세서(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이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 및 저장 기능 등을 제외하고, 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를 언급하지 않는다. 특별히 프로세서(155, 180)의 언급이 없더라도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이 아닌 데이터 처리 등의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도 2는 LTE/LTE-A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은 10ms으로, 10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0.5ms 슬롯(slot)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슬롯은 7개(혹은 6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이루어 진다. 3GPP LTE 시스템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OFDM 심볼은 한 심볼 구간(period)를 나타낸다. OFDM 심볼은 SC-FDMA 심볼 또는 한 심볼 구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unit)이고, 한 슬롯에 인접한 복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어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된 서브프레임들의 수,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슬롯의 수, 또는 한 슬롯에 포함된 OFDM 심볼들의 수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15 kHz 간격의 부반송파 12개와 7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가 정의된다. 기지국은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6RB에서 동기화(Synchronization)를 위한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와 시스템 정보를 위한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를 전송한다. 여기서, Normal/Extended CP(Cyclic Prefix), TDD(Time Division Duplex)/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따라 상기 무선 프레임 구조 및 신호, 채널의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슬롯의 자원 그리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혹은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자원 블록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된다. 하나의 RB는 12×7(6)개의 RE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RB의 개수 NRB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에 의존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하되, OFDM 심볼이 SC-FDMA 심볼로 대체된다.
도 4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앞부분에 위치한 최대 3개(혹은 4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대응한다. 남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HARQ 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DCI 포맷은 상향링크용으로 포맷 0, 하향링크용으로 포맷 1, 1A, 1B, 1C, 1D, 2, 2A, 3, 3A 등의 포맷이 정의되어 있다. DCI 포맷은 용도에 따라 호핑 플래그(hopping flag), RB 할당, MCS(modulation coding scheme), RV(redundancy version), NDI(new data indicator), TPC(transmit power control), 사이클릭 쉬프트 DM 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요청, HARQ 프로세스 번호, TPMI(transmitted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확인(confirmation) 등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상향링크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랜덤 접속 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들에 대한 Tx 파워 제어 명령 세트, Tx 파워 제어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지시 정보 등을 나른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의 집합(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는 PDCCH에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유닛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 및 PDCCH 비트의 개수는 CCE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될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식별자(예,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마스킹 된다. 예를 들어, PDCCH가 특정 단말을 위한 것일 경우, 해당 단말의 식별자(예, cell-RNTI (C-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일 경우, 페이징 식별자(예, paging-RNTI (P-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C))를 위한 것일 경우,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가 랜덤 접속 응답을 위한 것일 경우,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 될 수 있다.
도 5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예,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CP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과 제어 영역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하고 음성 등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영역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PUCCH는 주파수 축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끝 부분에 위치한 RB 쌍(RB pair)을 포함하며 슬롯을 경계로 호핑한다.
PUCCH는 다음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SR(Scheduling Request): 상향링크 UL-SCH 자원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OOK(On-Off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 HARQ ACK/NACK: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일 하향링크 코드워드(CodeWord, CW)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1비트가 전송되고, 두 개의 하향링크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2비트가 전송된다.
-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관련 피드백 정보는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PTI(Precoding Type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당 20비트가 사용된다.
단말이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있는 제어 정보(UCI)의 양은 제어 정보 전송에 가용한 SC-FDMA의 개수에 의존한다. 제어 정보 전송에 가용한 SC-FDMA는 서브프레임에서 참조 신호 전송을 위한 SC-FDMA 심볼을 제외하고 남은 SC-FDMA 심볼을 의미하고, SRS(Sounding Reference Signal)가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경우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심볼도 제외된다. 참조 신호는 PUCCH의 코히어런트 검출에 사용된다. PUCCH는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7개의 포맷을 지원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전송
PDCCH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 특정 단말을 위한 PDSCH(ㅔDiCwnlii여러 단말을 위한 power control 명령을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PDCCH는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는 최대 4개의 OFDM 심볼을 차지하며 PCFICH로 PDCCH에 할당된 OFDM 심볼 수를 지시한다. 한편,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서는 시스템 전 대역에 걸쳐서 전송되며, 변조는 QPSK를 사용한다. PDCCH를 전송을 위하여 사용하는 자원은 CCE (control channel element)로 칭하며, 36개의 resource element (RE)로 구성되어 있어서 하나의 CCE를 통해서 72 bit를 전송할 수 있다. PDCCH에 전송되는 제어 정보의 양은 전송 mode에 따라서 달라진다. 각 전송 mode에 따른 제어 정보는 DCI format으로 규정된다. 단말은 PDSCH/PUSCH 전송 유무를 PDCCH 디코딩 결과에 따라서 판단하게 되는 데, 이는 PDCCH scrambling은 해당 단말의 UE id 정보 (C-RNTI)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단말은 자신의 UE id에 의해서 scrambling되어 전송된 DCI format을 detection하게 되는 경우 PDCCH 제어 정보에 의해서 PDSCH 수신 또는 PUSCH 송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subframe에 전송 가능한 PDCCH 수가 다수 개 이므로, 단말은 다수 개의 PDCCH에 대해서 디코딩을 수행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제어 정보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전송 가능한 PDCCH에 대해서 디코딩을 수행하기에는 복잡도가 크게 증가하게 되어, 디코딩 수에 제한을 두게 된다. PDCCH를 통해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CCE는 한 개 또는 다수 개를 연접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데, 이를 CCE aggregation이라고 한다. 현재 허용하고 있는 CCE aggregation level은 1, 2, 4, 8로서, CCE aggregation level 4의 의미는 4개의 CCE를 연접하여 해당 UE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단말은 각 aggregation level마다 디코딩 수를 제한하게 되는 데, 이는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common type의 경우 단말은 aggregation level 4와 8로 전송되는 PDCCH를 4번과 2번 디코딩을 수행하여 제어 정보 전송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데, PDCCH를 구성하는 특정 CCE는 모든 단말에게 공통으로 알려진 영역에 해당한다. UE-specific type의 경우 common type과는 다르게 aggregation level 1, 2, 4, 8로 전송되는 PDCCH를 6, 6, 2, 2번 디코딩을 수행하여 제어 정보 전송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 때 사용되는 CCE는 단말 별로 모두 다르게 설정된다. 이는 아래 수학식1 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이고,
Figure pat00004
, ns는 무선 프레임 내에서 슬롯 번호(slot number)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 캐리어(CC) 및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일 캐리어 구조를 나타낸다.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DL CC와 UL CC가 있다.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2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6의 (b)는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병합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의 (b)의 경우에 20MHz의 주파수 크기를 갖는 3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DL CC와 UL CC가 각각 3 개씩 있으나, DL CC와 UL CC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 병합의 경우 단말은 3개의 CC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셀에서 N개의 DL CC가 관리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단말에 M (M≤N)개의 DL CC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 개의 제한된 DL CC 만을 모니터링하고 D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L (L≤M≤N)개의 DL CC에 우선순위를 주어 주된 DL CC를 단말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UE는 L 개의 DL CC는 반드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 자원의 반송파 주파수(또는 DL CC)와 상향링크 자원의 반송파 주파수(또는, UL CC)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계층 메시지나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B2(System Information Block Type2)에 의해서 정의되는 링키지에 의해서 DL 자원과 UL 자원의 조합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키지는 UL 그랜트를 나르는 PDCCH가 전송되는 DL CC와 상기 UL 그랜트를 사용하는 UL CC간의 맵핑 관계를 의미할 수 있으며, HARQ를 위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DL CC(또는 UL CC)와 HARQ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UL CC(또는 DL CC)간의 맵핑 관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는 캐리어(또는 반송파) 또는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한 스케줄링 관점에서 자가 스케줄링(Self-Scheduling) 방법 및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크로스 컴포넌트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omponent Carrier Scheduling) 또는 크로스 셀 스케줄링(Cross Cell Scheduling)으로 일컬을 수 있다.
자가 스케줄링은 PDCCH(DL Grant)와 PDSCH가 동일한 DL CC로 전송되거나, DL CC에서 전송된 PDCCH(UL Grant)에 따라 전송되는 PUSCH가 UL Grant를 수신한 DL CC와 링크되어 있는 UL CC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PDCCH(DL Grant)와 PDSCH가 각각 다른 DL CC로 전송되거나, DL CC에서 전송된 PDCCH(UL Grant)에 따라 전송되는 PUSCH가 UL 그랜트를 수신한 DL CC와 링크되어 있는 UL CC가 아닌 다른 UL CC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여부는 단말 특정(UE-specific)하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반정적(semi-static)으로 각 단말 별로 알려질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된 경우, PDCCH에 해당 PDCCH가 지시하는 PDSCH/PUSCH가 어느 DL/UL CC를 통해서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캐리어 지시자 필드(CIF: Carrier Indicator Field)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PDCCH는 PDSCH 자원 또는 PUSCH 자원을 CIF를 이용하여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즉, DL CC 상에서의 PDCCH가 다중 집성된 DL/UL CC 중 하나에 PDSCH 또는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CIF가 설정된다. 이 경우, LTE Release-8의 DCI 포맷은 CIF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CIF는 3bit 필드로 고정되거나, 설정된 CIF의 위치는 DCI 포맷 크기와 무관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LTE Release-8의 PDCCH 구조(동일 코딩 및 동일한 CCE 기반의 자원 매핑)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 DL CC 상에서의 PDCCH가 동일한 DL CC 상에서의 PDSCH 자원을 할당하거나 단일 링크된 UL CC 상에서의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CIF가 설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LTE Release-8과 동일한 PDCCH 구조(동일 코딩 및 동일한 CCE 기반의 자원 매핑)와 DCI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가능할 때, 단말은 CC별 전송 모드 및/또는 대역폭에 따라 모니터링 CC의 제어영역에서 복수의 DCI에 대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검색 공간의 구성과 PDCCH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 단말 DL CC 집합은 단말이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된 DL CC의 집합을 나타내고, 단말 UL CC 집합은 단말이 PUSCH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된 UL CC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PDCCH 모니터링 집합(monitoring set)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DL CC의 집합을 나타낸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과 같거나, 단말 DL CC 집합의 부집합(subset)일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내의 DL CC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에 상관없이 별개로 정의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에 포함되는 DL CC는 링크된 UL CC에 대한 자기-스케줄링(self-scheduling)은 항상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DL CC 집합, 단말 UL CC 집합 및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특정(UE-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설정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항상 단말 DL CC 집합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에 대한 별도의 시그널링과 같은 지시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단말 DL CC 집합 내에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에 대하여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집합만을 통해 PDCCH를 전송한다.
도 7은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따른 서빙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캐리어 결합(CA)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또는 단말들은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기지국은 A셀, B셀, C셀 및 D셀 등 총 4개의 서빙셀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단말 A는 A셀, B셀 및 C셀로 구성되고, 단말 B는 B셀, C셀 및 D셀로 구성되며, 단말 C는 B셀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각 단말에 구성된 셀들 중 적어도 하나는 P셀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P셀은 항상 활성화된 상태이며, S셀은 기지국 및/또는 단말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7에서 구성된 셀은 기지국의 셀 중에서 단말로부터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기반으로 CA에 셀 추가가 가능한 셀로서 단말별로 설정 가능하다. 구성된 셀은 PDSCH 신호 전송에 대한 ACK/N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자원을 미리 예약해 둔다. 활성화된 셀(Activated cell)은 구성된 셀들 중에서 실제 PDSCH 신호 및/또는 PUSCH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셀이며, CSI 보고 및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비활성화된 셀(De-Activated cell)은 기지국의 명령 또는 타이머 동작에 의해서 PDSCH/PUSCH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셀이며, CSI 보고 및 SRS 전송도 중단된다.
Physical resource block (PRB) bundling
Transmission mode 9을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RI(Rank Indicator) feedback을 higher layer에서 설정(configuring)할 수 있다. PMI/RI feedback이 설정된 transmission mode 9 단말은 PDSCH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동일한 precoding을 적용하는 PRB 의 granularity에 대한 가정을 할 수 있다. 즉,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에 따라 precoding resource block group (PRG)에는 동일한 precoding이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 표 2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른 PRG의 크기를 나타낸 값이다.
Figure pat00005
채널 코딩
도 8은 인코딩된 코드 블록 (code block, CB)의 systematic 부분과 parity 부분을 분리하여 rate matching을 수행하는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code rate는 1/3을 가정하였다.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에서 겪는 오류를 수신 측에서 정정해주기 위해서 송신 측에서 보내는 정보를 오류정정부호(forward error correction code)를 사용하여 부호화(coding)를 한 후 전송하게 된다. 수신 측에서는 수신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한 후 오류정정부호의 디코딩(복호화) 과정을 거친 후 전송 정보를 복원하게 된다. 이러한 디코딩 과정에서, 채널에 의해서 생긴 수신신호상의 오류를 정정하게 된다. 오류정정부호는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지만, 터보 코드(turbo code)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도록 한다. 터보 코드는 recursive systematic convolution encoder와 interleaver로 구성된다. 터보 코드의 실제 구현시 병렬 디코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리버가 있는 데 이의 일종이 QPP(quadratic polynomial permutation)이다. 이와 같은 QPP interlever는 특정의 데이터 블록 크기에만 좋은 성능을 유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터보 코드의 성능은 데이터 블록 크기가 증가할수록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제 통신 시스템에서는 실제 구현의 편리함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데이터 블록의 경우 여러 개의 작은 데이터 블록으로 나누어 인코딩(encoding)을 수행하게 된다. 나누어진 작은 데이터 블록을 코드 블록이라 부른다. 코드 블록은 일반적으로 같은 크기를 갖게 되지만, QPP interleaver의 크기 제한 때문에 여러 개의 코드 블록 중 하나의 코드 블록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정해진 interleaver 크기 코드 블록 단위로 오류정정부호화 과정을 거친 후 무선 채널로 전송 시 발생하는 burst error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interleav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제 무선 자원에 매핑되어 전송된다. 실제 전송시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기 위해서는 인코딩된 코드 블록에 대하여 rate matching을 수행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rate matching은 펑처링(puncturing)이나 반복(repetition)으로 이루어진다. Rate matching은 3GPP의 WCDMA와 같이 인코딩된 코드 블록 (CB)단위로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인코딩된 코드 블록 (CB)의 systematic 부분과 parity 부분을 분리하여 따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위 레이어에서 전송된 데이터 블록에는 오류 검출을 위한 CRC가 붙게되며, segmentation된 코드 블록에도 구현상의 편의를 위하여 CRC를 코드 블록마다 첨부하게 된다. 상위 레이어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블록 크기가 정의되어야 하지만 이를 실제로 수신 측으로 시그널링해야 하므로 양자화가 필요하게 된다. 양자화할 때 상위 레이어에서 전송되어온 소스 데이터 블록을 물리 계층의 데이터 블록 크기에 맞추기 위해서 dummy bit를 붙이게 되는데, 첨가되는 dummy bit의 양이 최소가 되도록 양자화를 하는 것이 좋다. 데이터 블록 크기, 변조 및 코딩 레이트, 할당된 자원 개수는 서로 함수관계가 된다. 즉, 이들 3개의 파라미터 값 중에서 어느 두 개의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나머지 한 파라미터 값도 결정된다. 따라서, 시그널링 하는 경우는 두 파라미터 값만 시그널링해 주면 된다. 앞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터 블록 크기를 수신 측에 알려주기 위해서 변조 및 코딩 레이트, 할당된 자원 개수를 이용하기로 가정한다. 여기서 할당된 자원 개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안테나 구성에 따라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럿 (pilot) 또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및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등이 영향을 주게 되며, 매 전송 순간마다 바뀔 수 있다.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시그널링
기지국이 데이터 블록 크기를 수신 측(예를 들어, 단말)에 전달하기 위해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예를 들어, PDCCH/EPDCCH(Enhanced PDCCH))를 이용할 수 있는 데, 변조 및 코딩율(modulation 및 coding rate) 관련 정보인 MCS와 자원 할당 정보를 조합하여 PDSCH에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MCS는 5 bit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원 할당은 1 RB 부터 110 RB까지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non-MIMO의 경우, 32x110에 해당하는 데이터 블록 크기 (중복 크기 허용)에 대한 시그널링이 가능하다. 그러나, 5 비트로 전송되는 MCS 필드 중 3 state는 재전송 시 변조 방식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실제로는 29x110에 해당하는 데이터 블록 크기 (중복 크기 허용)에 대한 시그널링이 가능하다. 지원하고 있는 변조 방식은 QPSK, 16QAM, 64QAM이고, 변조 방식이 변하는 switching point에서는 동일한 자원 할당을 받은 경우 동일한 데이터 블록 크기를 지시한다. 이는 다양한 채널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해서, 실제 데이터 블록 크기를 지시하기 위해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된 MCS 관련 정보 (e.g, IMCS)는 데이터 블록 크기를 지시하기 위해서 다른 변수(ITBS)로 맵핑된다. 아래 표 3은 IMCS와 ITBS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6
하향링크 전송 모드 및 DCI 포맷(Downlink transmission mode 및 DCI format)
하향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하향링크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의 bit 구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 포맷이라고 하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영역은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와 단말 특정 검색 공간(UE specific search space)로 나뉜다. Common search space를 통해서 전송되는 제어 채널은 주로 SI-RNTI/P-RNTI/RA-RNTI와 같은 ID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스크램블링하여 전송되며, 특정한 DCI 포맷을 사용하게 된다. 아래 표 4, 5, 6, 7, 8, 9는 각각 SI-RNTI, P-RNTI, RA-RNTI, C-RNTI, SPS C-RNTI, temporary C-RNTI를 사용하는 경우의 DCI 포맷, search space, 전송 scheme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7
Transmission mode DCI format 제어채널 Search Space Transmission scheme of PDSCH corresponding to PDCCH
Mode 1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Single-antenna port, port 0
DCI format 1 UE specific by C-RNTI Single-antenna port, port 0
Mode 2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Transmit diversity
DCI format 1 UE specific by C-RNTI Transmit diversity
Mode 3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Transmit diversity
DCI format 2A UE specific by C-RNTI Large delay CDD or Transmit diversity
Mode 4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Transmit diversity
DCI format 2 UE specific by C-RNTI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or Transmit diversity
Mode 5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Transmit diversity
DCI format 1D UE specific by C-RNTI Multi-user MIMO
Mode 6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Transmit diversity
DCI format 1B UE specific by C-RNTI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using a single transmission layer
Mode 7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If the number of PBCH antenna ports is one, Single-antenna port, port 0 is used, otherwise Transmit diversity
DCI format 1 UE specific by C-RNTI Single-antenna port, port 5
Mode 8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If the number of PBCH antenna ports is one, Single-antenna port, port 0 is used, otherwise Transmit diversity
DCI format 2B UE specific by C-RNTI Dual layer transmission, port 7 and 8 or single-antenna port, port 7 or 8
Mode 9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Non-MBSFN subframe: If the number of PBCH antenna ports is one, Single-antenna port, port 0 is used, otherwise Transmit diversityMBSFN subframe: Single-antenna port, port 7
DCI format 2C UE specific by C-RNTI Up to 8 layer transmission, ports 7-14 or single-antenna port, port 7 or 8
Mode 10 DCI format 1A Common andUE specific by C-RNTI Non-MBSFN subframe: If the number of PBCH antenna ports is one, Single-antenna port, port 0 is used, otherwise Transmit diversityMBSFN subframe: Single-antenna port, port 7
DCI format 2D UE specific by C-RNTI Up to 8 layer transmission, ports 7-14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Peak data rate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 시간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는데, 이는 큰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를 지원해야 한다.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전송 블록을 구성하는 코드 블록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코드 블록 중 일부 코드 블록에만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전체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는 것은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전송 블록이 다수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 코드 블록 단위로 재전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무선 통신시스템의 쓰루풋(throughput)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정 크기를 초과하는 전송 블록은 다수 개의 코드 블록으로 segmentation되는 것을 가정한다. 전송 블록에는 오류 검출을 위해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부가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코드 블록 각각에도 오류 검출을 위해서 CRC가 부가될 수 있다. 이 때, 전송 블록에 부가되는 CRC와 코드 블록에 부가되는 CRC의 길이는 다를 수 있으며, 동일하지 않은 generator polynomial로부터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드 블록 단위로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송 블록을 구성하는 전체 코드 블록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CRC를 통하여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에 대한 정보를 송신 측(혹은 송신 단)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한 송신 측은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만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재전송되는 코드 블록에 대한 정보 역시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어 HARQ combining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신 측은 재전송된 코드 블록은 기존에 전송된 코드 블록과 HARQ combining 후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후의 재전송의 경우에도, 송신 측은 동일한 방식으로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에 대해서만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혹은 최대 재전송 횟수에 해당하는 재전송 횟수까지 재전송을 수행한다.
코드 블록 오류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
전송 블록을 구성하는 코드 블록의 개수가 사전에 정의된 개수 이하일 경우에는, 수신 측은 코드 블록 단위로 ACK/NACK을 피드백하지 않고 전체 전송 블록에 대한 single ACK/NACK bit로 피드백할 수 있다. 송신 측의 재전송에 의해, 수신 측에서 모든 코드 블록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하였을 경우, 전송 블록에 대한 ACK을 전송하고,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은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최대 재전송 허용 회수만큼 재전송에도, 수신 측은 모든 코드 블록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송 블록에 대한 NACK을 전송하고,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은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수신 측은 다수 개의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 정보와 함께 코드 블록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코드 블록 인덱스)를 송신 측으로 피드백할 수도 있다. 코드 블록 인덱스는 코드 블록 concatenation되는 순서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송신 측은 코드 블록 segmentation 시 해당 인덱스 정보를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의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신 측이 코드 블록 단위로 ACK/NACK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코드 블록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은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1: 수신 측이 다수 개의 코드 블록이 concatenation되는 순서를 코드 블록 인덱스로 정의하여 각 코드 블록의 ACK/NACK을 concatenation하여 비트맵 방식으로 송신 측으로 전송하는 방법
상기 방법 1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방법 1-1은 비트맵의 길이는 코드 블록 개수의 최대값으로 할 수 있다. 스케줄링 받은 전송 블록을 구성하는 코드 블록의 개수가 코드 블록 개수의 최대값보다 작은 경우, 수신 측은 실제 디코딩하여 ACK/NACK을 검출한 코드 블록 이외의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은 NACK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최대 100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고 할 때, 60 개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된 전송 블록이 스케줄링된 경우, 60 bit에 해당하는 ACK/NACK을 60 개의 코드 블록에 대해서 획득하고, 나머지 40 개의 코드 블록에 대해서는 NACK으로 전송된다. 비트맵으로 표현된 코드 블록들의 ACK/NACK 정보는 다시 채널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방법 1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방법 1-2는 수신 측이 스케줄링 받은 코드 블록들에 대해서만 비트맵 형식으로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 때, 수신 측이 스케줄링 받은 코드 블록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함께 피드백할 수 있고, 코드 블록 개수와 ACK/NACK 정보는 독립적으로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방법 1-3은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의 개수가 특정값 이상일 경우는 송신 측은 전체 전송 블록을 재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모든 코드 블록을 NACK으로 표현한 비트맵 값을 사용하거나 또는 특정 비트맵 값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방법 1-4는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의 개수가 특정값 이상일 경우 송신 측은 전체 전송 블록을 재전송 할 수 있고, 이 때, 수신 측은 비트맵 대신 single bit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하는 물리 채널과 다른 physical channel로 전송될 수 있다.
실제 재전송이 발생하는 코드 블록의 수가 크지 않을 경우에는 재전송에 대한 ACK/NACK은 single ACK/NACK bit로 대체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되는 single ACK/NACK bit는 재전송된 코드 블록이 모두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ACK을 전송하고, 나머지 경우는 NACK으로 전송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재전송된 코드 블록 개수에 해당하는 비트맵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비트맵은 최초 전송에서 사용된 코드 블록 인덱스의 순서대로 비트맵에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방법 2: 실제로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의 인덱스를 전송하는 방법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의 개수에 따라 인덱스의 개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송신 측은 코드 블록의 오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여 수신 측이 디코딩 시 발생할 수 있는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다. 코드 블록의 오류 개수에 대한 정보와 코드 블록 인덱스에 대한 정보는 독립적으로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의 개수가 특정값 이상일 경우는 송신 측은 전체 전송 블록을 재전송할 수 있다.
방법 3: 피드백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전송 블록 대신에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코드 블록 그룹 당 1개의 ACK/NACK을 생성하는 방법
수신 측이 송신 측으로부터 전송 블록을 수신한다. 전송 블록은 복수의 코드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블록 그룹은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은 코드 블록 그룹 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코드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코드 블록 그룹의 ACK/NACK은 코드 블록 그룹 내의 모든 코드 블록의 디코딩 후 오류가 없을 경우에만 ACK을 전송하고, 하나의 코드 블록이라도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NACK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1의 경우는 코드 블록 그룹의 인덱스의 비트맵을 전송하게 되고, 방법 2의 경우는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 그룹의 인덱스를 전송(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 그룹의 개수 정보도 포함 가능)한다.
수신 측이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를 피드백하는 경우, 이와 같은 ACK/NACK 전송을 위한 채널을 정의할 수 있다. 수신 측은 하향링크 전송 블록에 대한 코드 블록의 ACK/NACK 정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PUSCH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채널 코딩 (예를 들어, 터보 코딩)과는 다른 채널 코딩 (예를 들어, tail biting convolutional coding)을 적용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을 실어나르는 PUSCH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에서의 지시 없이 사전에 송신/수신 측에서 미리 정의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다수 개의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을 실어나르는 PUSCH는 일반 사용자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는 다른 포맷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ACK/NACK을 전송하는 PUSCH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USCH를 동시에 전송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 ACK/NACK을 전송하는 PUSCH에 우선 순위를 두고,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USCH는 전송하지 않는다. SC-FDMA와 같은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PAPR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 ACK/NACK을 전송하는 PUSCH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USCH를 동시에 전송한다. 다중 접속(Multiple access)를 OFDMA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이와 같은 전송 방식 지원이 latency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수 있다.
- ACK/NACK을 전송하는 PUSCH를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USCH에 함께 전송하되, ACK/NACK 관련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 정보는 독립적으로 인코딩한다. 이는 ACK/NACK과 사용자 데이터가 서로 다른 오류율 요구 사항을 가지기 때문이다. SC-FDMA와 같은 다중 접속을 사용하는 경우, PAPR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지만, 사용자 데이터를 펑처링하여 전송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 수신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블록에 대한 코드 블록의 ACK/NACK 정보는 PDSCH를 통하여 전송된다. 이 때, PDSCH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채널 코딩 (예를 들어, 터보 코딩)와는 다른 채널 코딩 (예를 들어, tail biting convolutional coding)을 적용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코드 블록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하는 PDSCH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서의 지시 없이 사전에 송신/수신 측에서 미리 정의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전송 블록에 대한 코드 블록의 ACK/NACK 정보는 일반 사용자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는 다른 포맷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하여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특정 사용자를 위해 ACK/NACK을 전송하는 PDSCH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DSCH를 동시에 전송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 ACK/NACK을 전송하는 PDSCH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DSCH를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ACK/NACK을 전송하는 PDSCH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DSCH가 서로 다른 채널 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 ACK/NACK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PDSCH에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ACK/NACK과 사용자 데이터는 독립적으로 인코딩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이 경우, ACK/NACK의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는 동일한 채널 코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코드 블록 단위의 재전송을 지원하게 되는 경우, 송신 측의 재전송 시 사용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예를 들어, PDCCH/EPDCCH)는 최초 전송에서 사용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서로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전송 블록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재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는 최초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전송 블록에 대한 정보에 추가하여 재전송되는 코드 블록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코드 블록 개수, 코드 블록 인덱스,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재전송을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는 최초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전송 블록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에 대한 정보) 대신에 재전송되는 코드 블록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코드 블록 개수, 코드 블록 인덱스, 코드 블록 그룹 인덱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송 블록 크기는 재전송시 바뀌지 않지만, 오류가 발생한 코드 블록 또는 코드 블록 그룹 만을 재전송하기 때문에, 송신 측이 수신 측에게 재전송하는 코드 블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신 측이 HARQ 컴바이닝(combin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방법 3의 내용들은 상기 방법 1 및 방법 2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3GPP LTE/LTE-A, 5G 시스템 등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산업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코드 블록(code block)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이 결정되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가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CBG 각각에 대해 NACK(Negative-Acknowledgement)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CBG의 모든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CBG에 대해 ACK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CBG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CBG에 대해 NACK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에서 각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는 하나의 비트로 표현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코드 블록(code block)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이 결정되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가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CBG 각각에 대해 NACK(Negative-Acknowledgement)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가 CBG에 대해 ACK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CBG의 모든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음을 나타내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가 CBG에 대해 NACK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CBG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에서 각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는 하나의 비트로 표현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코드 블록(code block)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가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CBG 각각에 대해 NACK(Negative-Acknowledgement)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CBG의 모든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CBG에 대해 ACK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CBG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CBG에 대해 NACK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에서 각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는 하나의 비트로 표현되는, 단말.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코드 블록(code block)을 포함하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을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상기 복수의 코드 블록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 그룹(code block group, CBG)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가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트 정보는 상기 TB의 최대 CBG 개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CBG의 개수를 제외한 나머지 CBG 각각에 대해 NACK(Negative-Acknowledgement)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가 CBG에 대해 ACK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CBG의 모든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음을 나타내는, 기지국.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가 CBG에 대해 NACK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CBG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드 블록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기지국.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에서 각 CBG에 대한 HARQ-ACK 정보는 하나의 비트로 표현되는, 기지국.
KR1020197018472A 2016-04-22 2017-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78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6023P 2016-04-22 2016-04-22
US62/326,023 2016-04-22
PCT/KR2017/004169 WO2017183896A1 (ko) 2016-04-22 2017-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966A Division KR101995435B1 (ko) 2016-04-22 2017-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621A true KR20190077621A (ko) 2019-07-03
KR102078374B1 KR102078374B1 (ko) 2020-02-17

Family

ID=601161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472A KR102078374B1 (ko) 2016-04-22 2017-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187018966A KR101995435B1 (ko) 2016-04-22 2017-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966A KR101995435B1 (ko) 2016-04-22 2017-04-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574404B2 (ko)
KR (2) KR102078374B1 (ko)
WO (1) WO2017183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374B1 (ko) 2016-04-22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213374A1 (en) * 2016-06-07 2017-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ifferent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13171A (ko) * 2016-07-28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프로세스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47886A (ko) * 2016-11-01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8024347B (zh) * 2016-11-04 2022-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信息传输方法、装置和设备
JP7280187B2 (ja) 2017-01-04 2023-05-23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受信機フィードバック
RU2736110C1 (ru) * 2017-01-05 2020-11-11 Гуандун Оппо Мобайл Теле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Корп.,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лужебных сигналов
CN108289011B (zh) * 2017-01-07 2023-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06953718A (zh) * 2017-03-24 2017-07-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码块的重传进程的实现方法、装置及设备
AU2018249767A1 (en) * 2017-04-03 2019-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RQ handling for nodes with variable processing times
EP3614598A4 (en) * 2017-04-20 2020-11-18 Ntt Docomo, Inc. WIRELESS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US20180324770A1 (en) * 2017-05-04 2018-11-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CN106941723B (zh) * 2017-05-05 2020-09-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基站
US10708899B2 (en) * 2017-05-12 2020-07-07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code block group-based transmission
US10707995B2 (en) * 2017-06-29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retransmission under unreliable code block group (CBG) level feedback
MX2019013470A (es) 2017-07-07 2020-02-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o de indicacion de datos y productos relacionados.
CN111034290B (zh) * 2017-08-18 2023-08-0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终端和通信方法
CN108111283B (zh) * 2017-11-03 2021-12-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设备
US10944512B2 (en) * 2017-11-17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group retransmission
US10686576B2 (en) * 2017-11-17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HARQ-ACK) feedback for carrier aggregation in new radio
CN110120855A (zh) * 2018-02-07 2019-08-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上行harq信息的传输和检测方法、终端及基站
CN110166206B (zh) * 2018-02-12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harq-ack码本的确定方法和终端
WO2019216705A1 (ko) * 2018-05-10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20194049A1 (en) * 2019-03-22 2020-10-01 Lenovo (Singapore) Pte. Ltd. Aggregating harq feedback
CN110086569B (zh) * 2019-04-03 2022-04-15 上海无线通信研究中心 车联网可变帧通信方法、终端及系统
US11843466B2 (en) * 2020-06-05 2023-12-12 Qualcomm Incorporated Turbo-HARQ uplink control information feedback compre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1077A (zh) * 2013-07-16 2015-01-21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混合重传的方法
US20150067435A1 (en) * 2013-08-30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pping to handle bursty interference
WO2016003229A1 (ko) * 2014-07-03 2016-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통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9738B2 (en) 2007-03-16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performance and enable fast decoding of transmissions with multiple code blocks
CN103188050A (zh) 2007-07-04 2013-07-03 日本电气株式会社 多载波移动体通信系统
KR101467788B1 (ko) * 2007-12-1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선형 부호화를 이용하는 통신방법 및 장치
CN101615986A (zh) 2008-06-27 2009-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通信系统
WO2010113214A1 (ja) * 2009-03-31 2010-10-0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基地局装置
CN102594493B (zh) * 2011-01-17 2014-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答信息的编码、处理方法和装置
US10735170B2 (en) 2014-08-06 2020-08-04 Lg Electronics Inc. ACK/NACK feedback method and user equipment
US9992004B2 (en) * 2015-02-03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cluster level HARQ
KR102078374B1 (ko) 2016-04-22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49748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CN113411892B (zh) * 2017-03-08 2023-09-29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无线电信号的方法和装置
CN110447193B (zh) * 2017-03-17 2022-03-15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US10484146B2 (en) * 2017-03-23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retransmission under unreliable code block group (CBG) level ACK/NACK feedback
US11171758B2 (en) * 2017-03-24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grouping and feedback that support efficient retransmissions
JP2019004362A (ja) * 2017-06-16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6896426A (zh) * 2017-07-21 2023-10-17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通信或广播系统中编码和解码信道的装置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1077A (zh) * 2013-07-16 2015-01-21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混合重传的方法
US20150067435A1 (en) * 2013-08-30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pping to handle bursty interference
WO2016003229A1 (ko) * 2014-07-03 2016-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통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374B1 (ko) 2020-02-17
US20190020445A1 (en) 2019-01-17
WO2017183896A1 (ko) 2017-10-26
KR101995435B1 (ko) 2019-07-02
KR20180083002A (ko) 2018-07-19
US10574404B2 (en) 2020-02-25
US10951364B2 (en) 2021-03-16
US20200153563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43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312883B2 (ja) 制御情報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004838B1 (ko) 위상 잡음 추정과 관련된 참조 신호를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CN110326247B (zh) 用于处理数据块的方法和用于harq ack/nack反馈的方法
KR10192978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을 설정하는 방법
JP6243387B2 (ja) 制御情報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5827365B (zh) 发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US10326560B2 (en) Data buff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cheme
EP26244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ption confirmation in wireless system
US11211953B2 (en) Rate matching performing method for LDPC code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
WO2014107030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1962141B1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6761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
KR20170105511A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385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ception acknowledgement respon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